KR102067492B1 - 전자 라벨용 홀더 - Google Patents

전자 라벨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492B1
KR102067492B1 KR1020180027744A KR20180027744A KR102067492B1 KR 102067492 B1 KR102067492 B1 KR 102067492B1 KR 1020180027744 A KR1020180027744 A KR 1020180027744A KR 20180027744 A KR20180027744 A KR 20180027744A KR 102067492 B1 KR102067492 B1 KR 10206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label
side portion
holder
coupling
pop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356A (ko
Inventor
김현학
Original Assignee
김현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학 filed Critical 김현학
Priority to KR102018002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4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47F5/0068Shelf extensions, e.g. fixed on price rai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2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for labels being formed by a combination of interchangeable elements, e.g. price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라벨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전자 라벨이 삽입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삽입 방향 쪽 일면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마주보는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자 라벨의 삽입 방향 반대 쪽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타면을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 라벨용 홀더는 전자 라벨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하지 않고 삽입식으로 탈착하므로 전자 라벨의 탈착 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라벨용 홀더는 전자 라벨과 동일 평면 상에 또는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되는 팝 시트(POP Sheet)를 전자 라벨과 함께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팝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 라벨용 홀더{Holder for electric label}
본 발명은 전자 라벨을 손상 없이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자자 라벨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마트, 슈퍼, 각종 매장에서는 진열된 수많은 상품의 가격이나 제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라벨을 사용하고 있다.
전시된 수많은 상품들의 가격 및 진열 품목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모션(이벤트)에 의해 상품의 가격, 산지 등의 상품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상품 정보가 변경되면 해당 가격표, 산지 등을 표시하는 라벨을 일일이 교체해야 한다. 라벨을 일일이 교체하는 경우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소모될 뿐만 아니라 교체 실수에 따른 고객 불만, 고객 신뢰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품의 가격 및 부대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전자 라벨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자 라벨 장치의 일 예가 한국특허등록 제10-0715163호(등록일 2007년04월30일)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 문헌의 전자 라벨 장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어,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품의 정보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변경된 정보를 표시한다.
전자 라벨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접착제나 설치 기구가 필요하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전자 라벨 장치가 훼손될 수 있어 전자 라벨 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설치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라벨 장치의 설치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 라벨 장치의 설치 기구(7)는 길이 방향 양단부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벤딩(bending)되고, 벤딩된 단부(이하 벤딩부, 9) 사이에 전자 라벨 장치(1)를 삽입하는 형태이다. 설치 기구(7)는 제품이 진열된 곳에 접착제나 스크류와 같은 체결기구를 이용해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설치 기구(7)는 전자 라벨 장치(1)를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벤딩부(9)에 전자 라벨 장치가 긁히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특히, 전자 라벨(1)의 디스플레이(5)가 형성된 전면에 손상이 생길 경우 디스플레이(5)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외관 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행사 안내를 위한 문구가 인쇄된 팝 시트(POP Sheet)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팝 시트는 별도의 설치 기구나 접착제를 이용해 고정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라벨의 손상 없이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전자 라벨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고정 구조 없이 팝 시트(POP Sheet)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전자 라벨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라벨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전자 라벨이 삽입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삽입 방향 쪽 일면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마주보는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자 라벨의 삽입 방향 반대 쪽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타면을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전자 라벨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며, 상기 전자 라벨의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전자 라벨의 전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프런트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리브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자 라벨의 후면에 접촉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와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는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를 구비하고, 전자 라벨이 삽입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삽입 방향 쪽 일면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자 라벨의 삽입 방향 반대 쪽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타면을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자라벨용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전자 라벨의 전면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자 라벨의 전면을 지지하는 프런트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자 라벨의 후면에 접촉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의 외측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전면을 향해 인쇄면한다.
상기 제1 결합부는 한 쌍의 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호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돌기 중 상기 메인 팝 시트가 삽입되는 방향 쪽 돌기가 상기 메인 팝 시트의 삽입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메인 팝 시트가 삽입되는 방향 쪽 돌기 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자 라벨의 전면을 향해 벤딩(bending)되는 사이드 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리브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의 외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 리브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리브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사이에 상기 전자 라벨의 측면을 향해 인쇄면이 배치되는 판(plate) 상의 사이드 팝 시트가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전자 라벨용 홀더는 전자 라벨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하지 않고 삽입식으로 탈착하므로 전자 라벨의 탈착 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라벨용 홀더는 전자 라벨과 동일 평면 상에 또는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되는 팝 시트(POP Sheet)를 전자 라벨과 함께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팝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라벨 장치의 설치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의 일방향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의 타방향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의 A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의 B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메인 팝 시트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메인 팝 시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사이드 팝 시트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사이드 팝 시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메인 팝 시트 및 사이드 팝 시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는 전자 라벨을 탈착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전자 라벨용 홀더는 후술할 메인 팝 시트(POP Sheet) 및 사이드 팝 시트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전자 라벨용 홀더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의 일방향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의 타방향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의 A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의 B 부분 사시도이다(도 2를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쪽을 전방, 하측을 향하는 쪽을 후방으로 정의함).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H)는 전자 라벨(1)을 탈착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자 라벨(1)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과, 하우징(3)의 전면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5) 상에 제품 정보가 표시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전자 라벨(1)은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홀더(H)는 전자 라벨(1)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메인 프레임(100)과, 메인 프레임(100)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자 라벨(1)이 거치되는 서브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홀더(H)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홀더(H)는 메인 프레임(100) 상에 메인 팝 시트(12) 및 사이드 팝 시트(14)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전자 라벨(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며, 전자 라벨(1)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전자 라벨(1)의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이다. 메인 프레임(100)은 상하좌우 방향의 내측면이 전자 라벨(1)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형태로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00)은 길이(후술할 제1 측면부의 길이) 및 폭(후술할 제3 측면부의 길이)이 전자 라벨(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메인 프레임(100)의 너비(후술할 제1 측면부의 폭)는 전자 라벨(1)의 두께에 대응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자 라벨(1)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300)이 구비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100)의 너비가 전자 라벨(1)의 두께보다 작더라도 전자 라벨(1)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전방을 향하는 면 상에 프런트 리브(100a)가 형성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장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를 각각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30)로 정의한다. 메인 프레임(100)의 폭 방향(단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를 각각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로 정의한다.
프런트 리브(100a)는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폭으로 연장 형성된다. 프런트 리브(100a)는 후방에서 보면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따라서 프런트 리브(100a)는 전자 홀더(H)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 라벨(1)의 전면을 일부 차단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프런트 리브(100a)에 의해 전자 라벨(1)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걸림 유지될 수 있다.
프런트 리브(100a)는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균일한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리브(100a)는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 쪽은 일부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30)는 메인 프레임(100)의 장 방향 외관을 형성한다.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는 메인 프레임(100)의 단 방향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에는 서브 프레임(300)과, 팝 시트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된다.
서브 프레임(300)은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 상에 각각 구비되며,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로부터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을 향해 각각 연장된다. 또는, 서브 프레임(300)은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3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서브 프레임(300)은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의 중앙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각각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다. 서브 프레임(300)의 폭은 메인 프레임(10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서브 프레임(300)의 폭이 메인 프레임(100) 폭의 1/3 정도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서브 프레임(300)은 전자 라벨(1)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면 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브 프레임(300)은 전자 라벨(1)의 가장자리 중 폭 방향 측면을 지지한다. 서브 프레임(300)은 전자 라벨(1)이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310)을 구비한다.
걸림턱(310)은 서브 프레임(300)의 내측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서브 프레임(300)의 일단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서브 프레임(300)이 메인 프레임(10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서브 프레임(300)의 재질이 플라스틱이므로, 서브 프레임(300)은 탄성력(elastic force)을 가질 수 있다. 서브 프레임(300)은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와 연결된 부분이 외측을 향해 일시적으로 변형되었다 복원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300)이 변형되는 정도(변위)는 전자 라벨(1)이 서브 프레임(300)을 지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예를 들어 1mm 내외). 전자 라벨(1)은 서브 프레임(300)을 외측으로 가압해 통과한 후 메인 프레임(100)에 삽입되어 전면이 프런트 리브(100a)에 접촉할 수 있다.
전자 라벨(1)을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삽입하는 방식으로 전자 라벨(1)과 홀더(H)가 결합되므로, 서브 프레임(300)이 외측으로 벌어져야 전자 라벨(1)이 홀더(H)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라벨(1)을 서브 프레임(300)의 일측에 접촉한 상태에서 타측을 밀어 넣어 서브 프레임(300)을 약간 변형시킨 후 전자 라벨(1)을 메인 프레임(100)에 삽입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전자 라벨(1)을 서브 프레임(30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양측을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해 서브 프레임(300)을 외측으로 벌린 후 전자 라벨(1)을 메인 프레임(100)에 삽입할 수도 있다.
전자 라벨(1)은 메인 프레임(100)의 프런트 리브(100a)에 전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300)의 걸림턱(310)에 의해 후면이 지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300)은 전자 라벨(1)의 결합 상태에서 전자 라벨(1)의 후면에 걸림턱(310)이 접촉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라벨(1)을 분리할 때에는 홀더(H)의 후방으로 전자 라벨(1)을 당기면 서브 프레임(300)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전자 라벨(1)이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전자 라벨(1)이 홀더(H)에 결합되므로, 전자 라벨(1)의 탈착 시 전자 라벨(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5)가 형성된 전자 라벨(1)의 전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 라벨(1)의 내구성 및 설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메인 프레임(100)에 형성된 팝 시트의 결합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에는 팝 시트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부가 구비된다. 정확하게는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 상에 팝 시트의 결합부가 구비된다(편의상 제3 측면부 또는 제4 측면부를 기준으로 설명함).
제3 측면부(150)의 외측에는 메인 팝 시트(12)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1 결합부(152)와, 사이드 팝 시트(14)의 결합을 위한 사이드 리브(154) 및 제2 결합부(156)가 구비된다. 제4 측면부(170) 역시 제1 결합부(152)와 사이드 리브(154) 및 제2 결합부(156)를 포함한다.
메인 팝 시트(12)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plate) 형상으로, 표면에 제품 정보나 행사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도안이나 글자가 인쇄된다. 메인 팝 시트(12)는 전자 라벨(1)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메인 팝 시트(12)는 인쇄된 면이 홀더(H)의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결합부(152)가 구비된다. 메인 팝 시트(12)는 홀더(H)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판면에 관통 형성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팝 시트(14)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plate) 형상으로, 표면에 제품 정보나 행사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도안이나 글자가 인쇄된다. 사이드 팝 시트(14)는 전자 라벨(1) 쪽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이드 팝 시트(14)는 인쇄된 면이 홀더(H)의 측면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사이드 리브(154, 174) 및 제2 결합부(156, 176)가 구비된다. 사이드 팝 시트(14)는 사이드 리브(154, 174)와 제2 결합부(156, 176)의 사이에 삽입되며, 삽입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72)는 메인 팝 시트(12)의 내측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돌기가 제4 측면부(170)의 외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형태이다. 제1 결합부(172)는 한 쌍의 돌기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돌기 사이에 메인 팝 시트(12)의 내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제1 결합부(172)의 한 쌍의 돌기 중 전방 측 돌기를 제1 돌기(172a), 후방측 돌기를 제2 돌기(172b), 이들 둘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삽입부(172c)라고 정의한다.
제1 결합부(152)의 삽입부(172c)는 메인 팝 시트(12)의 두께를 고려하여 가장 두꺼운 메인 팝 시트(12)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172b)는 홀더(H)의 후방 쪽에 배치되며, 전방 쪽에 배치되는 제1 돌기(172a)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메인 팝 시트(12)가 후방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제1 돌기(172a)는 메인 팝 시트(12)의 삽입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메인 팝 시트(12)의 삽입 시 메인 팝 시트(12)가 경사면을 따라 삽입되어 삽입부(172c)로 용이하게 안착하기 위한 구조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52)가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에 위치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결합부(152)는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3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결합부(152)는 제1 측면부(110) 내지 제4 측면부(170)에 모두 다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리브(174)는 서브 프레임(300)의 외측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후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해 벤딩(bending)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이드 리브(174)는 내측면에 후크(154a)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크(174a)는 제7 측면부(17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후크(174a)는 적어도 1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사이드 리브(174)는 플라스틱 재질이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리브(174)는 사이드 팝 시트(14)가 삽입될 때 제4 측면부(170)의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76)는 제4 측면부(170)의 판면 상에 돌출 형성되며, 돌기 또는 후크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76)는 사이드 리브(174)에 형성된 후크(174a)와 함께 사이드 팝 시트(14)를 양방향에서 접촉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결합부(176)는 사이드 리브(174)의 후크(174a)가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경우, 후크(174a)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사이드 리브(174)의 후크(174a)가 한 개로 형성되는 경우, 후크(174a)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176)와 후크(174a)와의 사이에 사이드 팝 시트(14)가 삽입되어야 하므로 제2 결합부(176)와 후크(174a)의 사이는 사이드 팝 시트(14)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제2 결합부(176)와 후크(174a)의 이격 간격이 너무 크면 사이드 팝 시트(14)가 설치 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사이드 팝 시트(14)의 두께를 고려해 이격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76)와 후크(174a)에 의한 사이드 팝 시트(14)의 고정이 좀더 안정적일 수 있도록 사이드 팝 시트(14) 상에는 홀(14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팝 시트(14)에 형성된 홀(14a)에 제2 결합부(176)가 삽입되어 사이드 팝 시트(14)가 좀더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사이드 리브의 구조는 제3 측면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술한 결합부에 의해 메인 팝 시트(12) 및 사이드 팝 시트(14)를 별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홀더(H) 상에 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팝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제나 고정 구조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의 전자 라벨 및 팝 시트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메인 팝 시트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메인 팝 시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사이드 팝 시트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사이드 팝 시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따른 전자 라벨용 홀더와 메인 팝 시트 및 사이드 팝 시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팝 시트(12)는 전자 라벨(1)이 홀더(H)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 또는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H)에 삽입될 수 있다(도면에는 전자 라벨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결합 부위가 상이하므로 전자 라벨이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팝 시트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팝 시트(12)는 판면에 홀더(H)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홀이 관통 형성되므로 홀더(H)가 메인 팝 시트(12)의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팝 시트(12)는 홀더(H)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삽입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팝 시트(12)는 복수의 제1 결합부(152, 172)에 내측 가장자리가 걸림 유지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52, 172)의 후방측 제2 돌기(172b)가 전방측 제1 돌기(172a)보다 크므로, 메인 팝 시트(12)는 홀더(H)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팝 시트(14)는 전자 라벨(1)이나 메인 팝 시트(12)가 결합된 상태 또는 이들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홀더(H)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H)는 제3 측면부(150) 및 제4 측면부(170)에 사이드 팝 시트(14)를 결합하기 위한 사이드 리브(154) 및 제2 결합부(156)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팝 시트(14)는 사이드 리브(154)와 제2 결합부(156)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팝 시트(14)에는 제2 결합부(156)가 삽입되는 홀(14a)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이드 팝 시트(14)가 사이드 리브(154)와 제2 결합부(156) 사이에 결합된 상태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전자 라벨(1)과 메인 팝 시트(12), 사이드 팝 시트(14)는 홀더(H)에 어느 한 가지만 결합될 수도 있고, 모두가 홀더(H)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라벨(1)과 메인 팝 시트(12), 사이드 팝 시트(14)가 홀더(H)에 모두 결합되더라도 결합 부위가 모두 상이하므로 서로 간섭되지 않고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전자 라벨 H: 홀더
100: 메인 프레임 100a: 프런트 리브
110: 제1 측면부 130: 제2 측면부
150: 제3 측면부 170: 제4 측면부
152, 172: 제1 결합부 154, 174: 사이드 리브
156, 176: 제2 결합부 300: 서브 프레임
310: 걸림턱

Claims (8)

  1.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와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는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를 구비하고, 전자 라벨이 삽입되며, 상기 제1 측면부 내지 제4 측면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자 라벨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연장 형성된 프런트 리브를 구비한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자 라벨의 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자 라벨의 후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 라벨의 후면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서브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 라벨의 전면 또는 측면을 향해 인쇄면이 배치되는 판(plate) 상의 팝 시트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의 외측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자 라벨의 전면을 향해 인쇄면이 배치되는 판(plate) 상의 메인 팝 시트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전자 라벨의 전방을 향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전자 라벨용 홀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전자 라벨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돌기 보다 크기가 큰
    전자 라벨용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자 라벨의 전방을 향해 벤딩(bending)되는 사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용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리브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용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또는 상기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의 외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 리브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라벨용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후크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 및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상기 팝 시트가 삽입되는
    전자 라벨용 홀더.
KR1020180027744A 2018-03-09 2018-03-09 전자 라벨용 홀더 KR10206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744A KR102067492B1 (ko) 2018-03-09 2018-03-09 전자 라벨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744A KR102067492B1 (ko) 2018-03-09 2018-03-09 전자 라벨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56A KR20190106356A (ko) 2019-09-18
KR102067492B1 true KR102067492B1 (ko) 2020-01-17

Family

ID=6807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744A KR102067492B1 (ko) 2018-03-09 2018-03-09 전자 라벨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0368A3 (de) * 2022-04-06 2024-01-03 VISI/ONE GmbH Eigenständig handhabbare schautaf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4478B (zh) * 2022-02-15 2023-11-24 深圳大昌洋行实业有限公司 一种电商物流仓储用方便读取及自带保护机构的电子标签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362Y1 (ko) 2005-10-14 2006-01-20 권경옥 무선 전자가격표시기용 홀더
WO2008098337A1 (en) 2007-02-14 2008-08-21 Kost Klip Manufacturing Ltd. Unitary holder for electronic shelf labels and mounting method thereof
JP2013093973A (ja) 2011-10-26 2013-05-16 Toyoda Gosei Co Ltd 充電式電気機器用ホルダ装置
US20150170550A1 (en) 2012-07-06 2015-06-18 Pricer Ab Electronic shelf label with attachment means for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such information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5100A (en) * 1994-06-23 1996-11-19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Electronic shelf label protective cover
KR102364613B1 (ko) * 2015-10-07 2022-02-18 주식회사 솔루엠 전자 정보 표시기
KR20170002530U (ko) * 2016-01-04 2017-07-12 (주)앰아이피테크 정보판이 설치되는 전자가격표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362Y1 (ko) 2005-10-14 2006-01-20 권경옥 무선 전자가격표시기용 홀더
WO2008098337A1 (en) 2007-02-14 2008-08-21 Kost Klip Manufacturing Ltd. Unitary holder for electronic shelf labels and mounting method thereof
JP2013093973A (ja) 2011-10-26 2013-05-16 Toyoda Gosei Co Ltd 充電式電気機器用ホルダ装置
US20150170550A1 (en) 2012-07-06 2015-06-18 Pricer Ab Electronic shelf label with attachment means for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such information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0368A3 (de) * 2022-04-06 2024-01-03 VISI/ONE GmbH Eigenständig handhabbare schautaf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56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2691B2 (en) Display device
KR102067492B1 (ko) 전자 라벨용 홀더
US20190105890A1 (en) Sign support
JP2018205399A (ja) 表示装置
JPH09503318A (ja) 商品キャビネット用の交換式看板パネル組立体
US20020148151A1 (en) Picture frame system
KR20160062968A (ko) 전자 가격 표시기, 수용 레일 및 그를 이용한 전자 가격 표시 조립체
US8333025B2 (en) Badge for displaying multiple and interchangeable pieces of information
US6898885B1 (en) Label holder assembly with end sign
KR100655088B1 (ko) 간판용 프레임 구조
KR20180078750A (ko) 양면형 광고간판
WO2003070064A1 (en) Holder device for mounting on shelves in shops
KR200488700Y1 (ko) 상품정보 태그용 조립식 홀더
KR200449674Y1 (ko) 광고용 간판
KR20190050202A (ko) 전자 가격 표시 장치
US20120036752A1 (en) Point of Purchase Graphic Sign Holder Device
JP6691198B1 (ja) 情報表示物ホルダ
JP4085067B2 (ja) カード差し
KR200196915Y1 (ko) 조립식 돌출형 간판
KR100693763B1 (ko) 포스터 홀더 장치
CN211632437U (zh) 标识架、搁架组件和储物柜
CN218038529U (zh) 一种具有新型广告压板的售卖机
KR20170017180A (ko) 광고 게시판
JP3125485U (ja) 商品陳列用具
KR200454229Y1 (ko) 광고용 인쇄물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