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70B1 - 고속스위치 - Google Patents

고속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270B1
KR102067270B1 KR1020180131134A KR20180131134A KR102067270B1 KR 102067270 B1 KR102067270 B1 KR 102067270B1 KR 1020180131134 A KR1020180131134 A KR 1020180131134A KR 20180131134 A KR20180131134 A KR 20180131134A KR 102067270 B1 KR102067270 B1 KR 102067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cam
actuator
cam groove
spe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소해
고장욱
안현모
Original Assignee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70B1/ko
Priority to PCT/KR2019/013141 priority patent/WO202009125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엑츄에이터(30)가 일방향으로만 구동력을 제공하여 구동축(33)이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축(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캠(20)의 캠홈(24)에 프레임(10)에 설치된 안내핀(18)이 안내되면서 캠(20)의 이동과 회전을 만들어낸다. 상기 구동축(33)의 단부에는 탄성부재(42)가 지지되어 상기 엑츄에이터(30)가 제공하는 구동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안내핀(18)이 상기 캠홈(24)의 클로즈부(26)나 오픈부(28)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구동축(33)에 연결된 차단기의 가동전극의 위치가 설정되면서 온오프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엑츄에이터(30)를 하나만 사용하여 스위칭작용을 하고 하나의 탄성부재(42)를 사용하여 온상태와 오프상태를 유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도록 하였으므로 고속스위치의 부품수가 최소화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속스위치{Fast switch}
본 발명은 고속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 등에서 사용되는 고속스위치에 대한 것이다.
전력계통에서는 사고전류의 차단이나 정상상태에서의 개폐를 위해서 차단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차단기에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온, 오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차단기에서 사용되는 스위치는 매우 짧은 시간에 동작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고속스위치라고 칭한다. 이와 같은 고속스위치는 온,오프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단기뿐만 아니라, 단로기, 접지개폐기, 한류기 등 다양한 것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고속스위치에서는 전극이 오픈 및 클로즈된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아래의 선행기술 문헌인 미국특허 US 8,791,779에서는 2개의 톰슨코일엑츄에이터와 쌍안정 메커니즘을 가지는 고속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오픈 상태와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횡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열하고, 오픈 동작과 클로즈 동작을 위한 엑츄에이터를 각각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고속스위치는 쌍안정 메커니즘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조립작업이 어렵고 동작 정확성도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오픈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엑츄에이터와 클로즈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엑츄에이터가 각각 있어서 상대적으로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미국 특허 US 8,791,779 미국 특허 US 4,447,68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343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엑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오픈동작과 클로즈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속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면에 전극의 오픈위치와 클로즈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캠홈이 형성된 캠을 사용하여 전극의 오픈동작과 클로즈동작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에 구동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과 함께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외면을 둘러 캠홈이 형성되는 캠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캠홈에 안내되어 상기 캠의 위치를 온오프위치로 설정하는 안내핀과, 상기 구동축에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축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축에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작용하는 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구동축을 일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톰슨코일엑츄에이터이다.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캠이 연결된 반대쪽에 가동전극과 연결되는 전극연결로드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에는 구동축의 운동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댐퍼가 더 구비된다.
삭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된 부재지지판에 지지되어 구동축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캠홈에는 오픈부와 클로즈부가 있고, 상기 오픈부와 클로즈부를 연결하는 캠홈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오픈부와 클로즈부에서 캠홈의 폭방향 양측 내면은 서로 오프셋되어 형성된다.
상기 캠홈에는 상기 오픈부에서 상기 클로즈부 까지의 구간이 다수회 반복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핀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속스위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엑츄에이터를 사용하여 구동판을 한 방향으로 반복 동작시킴에 의해 캠이 회전되면서 오픈위치와 클로즈위치로 차례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엑츄에이터를 사용하여 고속스위치가 안정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축의 동작방향으로 하나의 탄성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캠이 안내핀과 캠홈의 연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축을 오픈위치와 클로즈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최소한의 부품으로 고속스위치가 구성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속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캠의 캠홈을 보인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고속스위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캠과 안내핀의 연동에 의해 캠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고속스위치에서 프레임(10)은 골격을 형성하고 여러 부품들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지지판(12)들 사이를 연결컬럼(14)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하도록 프레임(10)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여러 부품들이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프레임(10)의 구성은 도시된 것과 달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성부품을 외부와 차폐할 수 있는 하우징의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12)에는 안내로드(16)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안내로드(16)는 본 실시례에서는 2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안내로드(16)의 선단에는 안내핀(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핀(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캠(20)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핀(18)은 상기 안내로드(16)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핀(18)의 선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캠홈(24)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형상으로 되거나, 롤러와 같은 것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핀(18)에 연결되어 캠(20)이 설치된다. 상기 캠(2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캠(20)의 외면을 둘러서는 원형 곡면(22)이 형성된다. 상기 원형곡면(22)은 상기 캠(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에 위치된다. 상기 원형곡면(22)에는 캠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홈(24)의 전체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캠홈(24)은 몇개의 구간으로 나눠서 일정한 형상이 반복된다. 상기 캠홈(24)의 반복되는 구간의 갯수는 상기 안내핀(18)의 갯수와 같거나 배수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반복되는 구간이 있다.
상기 캠홈(24)은 상기 캠(20)의 하단에서부터의 높이가 다른 영역을 가지도록 된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캠홈(24)이 상대적으로 상기 캠(20)의 하단에 인접한 클로즈부(26)와 상대적으로 상기 캠(20)의 상단쪽에 인접한 오픈부(28)가 있고, 이들 클로즈부(26)와 오픈부(28)를 연속적으로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캠홈(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캠(20)은 상기 클로즈부(26)와 오픈부(28) 사이의 높이차 만큼 승강된다. 상기 캠홈(24)은 소위 말하는 푸시-푸시 버튼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캠홈(24)의 폭방향 측면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캠(20)이 눌러지거나 탄성부재(42)의 복원력이 작용하면 안내핀(18)이 캠홈(24)을 따라 안내되도록, 즉 캠(20)이 회전되도록 한다.
참고로 캠(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은,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클로즈부(26)의 양측면중에서 캠(20)의 하단에 가장 가까운 하측면(26b)의 위치가 캠(20)의 상단에 가장 가까운 상측면(26t)의 위치에서 소정 거리 오프셋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안내핀(18)이 안내됨에 의해 상기 캠(20)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캠홈(24)에서 경사진 부분들에 의해 안내핀(18)이 안내되면서 구동축(33)의 동작에 의해 캠(20)이 회전된다.
상기 안내로드(16)가 있는 지지판(12)과 마주보는 지지판(12)에는 엑츄에이터(30)가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일방향으로의 운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톰슨코일엑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일측에는 금속으로 된 구동판(32)이 있어 엑츄에이터(3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판(32)에는 구동축(3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33)은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구동판(32)의 구동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구동축(33)의 일단부에는 전극연결로드(33')가 연결된다. 상기 전극연결로드(33')는 가동전극(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가동전극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극연결로드(33')는 상기 엑츄에이터(30)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축(33)과 반대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축(33)은 상기 캠(20)과 일체로 이동된다. 하지만, 상기 구동축(33)에 대해 상기 캠(20)은 회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캠(20)과 구동축(33)의 사이에는 베어링(34)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33)에서 상기 구동판(32)과 연결된 반대쪽은 상기 캠(2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댐퍼(3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댐퍼(36)는 상기 구동축(33)의 과도한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운동에너지를 소산시켜서 상기 구동축(33)의 동작이 정확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댐퍼(36)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2) 등을 포함한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구동축(33)에서 상기 구동판(32)과 연결된 반대쪽에는 부재지지판(40)이 설치되고, 상기 부재지지판(40)에는 탄성부재(42)가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42)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판(12)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42)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코일스프링인데, 상기 구동축(33)을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밀어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42)는 상기 구동축(33)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엑츄에이터(30)에 의해 작용하는 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부재지지판(40)은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구동축(33)에 탄성부재(42)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없어도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속스위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엑츄에이터(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33)이 동작되면서 전극연결로드(33')에 연결된 가동전극을 동작시켜, 예를 들면 차단기에서 오픈동작과 클로즈동작을 만들어낸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엑츄에이터(30), 즉 하나의 톰슨코일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데,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일방향으로만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엑츄에이터(30)가 상기 구동축(33)을 상기 탄성부재(42)를 눌러주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방향 구동력만을 제공하면서도, 예를 들면 차단기의 전극이 오픈상태와 클로즈상태 선택적으로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엑츄에이터(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33)이 상기 탄성부재(42)를 눌러주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부재(42)의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캠(20)의 캠홈(24)중 클로즈부(26)와 오픈부(28)에 상기 안내핀(18)이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캠(20)과 구동축(33)의 위치가 결정되고, 결국 상기 구동축(33)과 연결된 전극연결로드(33')가 특정한 위치에 있게 되면서 가동전극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안내핀(18)이 상기 캠홈(24)을 따라 안내되는 것과 캠(20)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a) 에는 안내핀(18)이 캠홈(24)중에서 클로즈부(26)에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캠(20)이 상대적으로 가동전극 쪽으로 이동된 위치이다. 따라서 고정전극과 접촉되어 선로를 클로즈시킨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선로를 오픈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엑츄에이터(30)에 제공되면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상기 탄성부재(42)를 눌러주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33)을 이동시킨다. 즉, 캠(20)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클로즈부(26)에 있는 안내핀(18)은 처음에는 하측면(26b)에 상기 탄성부재(42)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있다가 상기 상측면(26t)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상측면(26t)은 상기 하측면(26b)에 비해 도면상 좌측에 있으므로 상기 안내핀(18)은 상기 상측면(26t) 우측에 있는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안내되고 이에 의해 상기 캠(20)이 회전한다. 도 6의 (b)에는 상기 구동축(33)에 의해 캠(20)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안내핀(18)이 캠홈(24)을 따라 이동하여 캠(20)이 회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안내핀(18)이 상기 캠홈(24)에서 경사부를 따라 상기 오픈부(28)에 인접한 경사부의 끝까지 간 상태가 도 6의 (c)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까지 상기 구동축(33)에 의해 상기 캠(20)이 계속하여 이동하였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엑츄에이터(30)에 의해 수행되던 상기 구동축(33)의 동작이 끝나면 상기 탄성부재(42)의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20)이 화살표 d방향으로 밀리고, 상기 안내핀(18)은 상기 오픈부(28)에 있게 된다.
도 6의 (d) 상태를 보면 도 6의 (a)~(b)에 비해 캠(20)이 하부로 내려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캠(20)이 상대적으로 하부로 내려와 있게 되면 상기 구동축(33), 전극연결로드(33')도 역시 이동되어 있어서 가동전극은 고정전극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도 5에도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핀(18)이 상기 오픈부(28)에 있는 상태, 즉 오픈상태에서 상기 엑츄에이터(30)에서 구동력이 제공되어 다시 클로즈상태로 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6의 (e) 상태에서 상기 캠(20)이 화살표 e 방향으로 구동축(33)에 의해 이동되면서 오픈부(28)의 상대적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상측면 때문에 도 6의 (f)에 도시된 위치에 안내핀(18)이 이동하도록 된다. 이후에 계속해서 구동축(3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캠(20)은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안내핀(18)은 클로즈부(26)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동축(33)의 구동력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안내핀(18)은 캠홈(24)의 클로즈부(26)의 하측면(26b)에 밀착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전극은 고정전극에 밀착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는 도 2에도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일방향 구동력과 캠(20)의 이동 및 회전에 의해 가동전극의 이동을 만들어내어, 예를 들면 차단기의 클로즈상태와 오픈상태를 만들어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2: 지지판
14: 연결컬럼 16: 안내로드
18: 안내핀 20: 캠
22: 원형곡면 24: 캠홈
26: 클로즈부 26t: 상측면
26b: 하측면 28: 오픈부
30: 엑츄에이터 32: 구동판
33: 구동축 34: 베어링
36: 댐퍼 38: 스톱단
40: 부재지지판 42: 탄성부재

Claims (9)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에 구동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과 함께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외면을 둘러 캠홈이 형성되는 캠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캠홈에 안내되어 상기 캠의 위치를 온오프위치로 설정하는 안내핀과,
    상기 구동축에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축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축에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작용하는 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속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구동축을 일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톰슨코일엑츄에이터인 고속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캠이 연결된 반대쪽에 가동전극과 연결되는 전극연결로드가 연결되는 고속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구동축의 운동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댐퍼가 더 구비되는 고속스위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된 부재지지판에 지지되어 구동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속스위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에는 오픈부와 클로즈부가 있고, 상기 오픈부와 클로즈부를 연결하는 캠홈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오픈부와 클로즈부에서 캠홈의 폭방향 양측 내면은 서로 오프셋되어 형성되는 고속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에는 상기 오픈부에서 상기 클로즈부 까지의 구간이 다수회 반복되게 형성되는 고속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핀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사용되는 고속스위치.
KR1020180131134A 2018-10-30 2018-10-30 고속스위치 KR102067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134A KR102067270B1 (ko) 2018-10-30 2018-10-30 고속스위치
PCT/KR2019/013141 WO2020091250A1 (ko) 2018-10-30 2019-10-07 고속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134A KR102067270B1 (ko) 2018-10-30 2018-10-30 고속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270B1 true KR102067270B1 (ko) 2020-01-16

Family

ID=6936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134A KR102067270B1 (ko) 2018-10-30 2018-10-30 고속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7270B1 (ko)
WO (1) WO2020091250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7686A (en) 1981-12-10 1984-05-08 Itt Industries, Inc. Pushbutton switch or pushbutton-actuated slide switch
KR950034332A (ko) 1994-05-24 1995-12-28 가다오까 마사다끼 자기복귀기능을 가지는 스위치장치
JP2002175749A (ja) * 2000-12-08 2002-06-21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器
JP2013229108A (ja) * 2012-04-24 2013-11-07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装置
KR101410780B1 (ko) * 2013-03-14 2014-06-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회로 개폐기용 트립 액추에이터
US8791779B2 (en) 2011-07-14 2014-07-29 Abb Technology Ag Fast switch with non-circular Thomson coil
KR20150005257A (ko) * 2013-07-05 2015-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속투입스위치
JP6235374B2 (ja) * 2014-02-27 2017-11-22 株式会社東芝 開閉器の操作機構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7686A (en) 1981-12-10 1984-05-08 Itt Industries, Inc. Pushbutton switch or pushbutton-actuated slide switch
KR950034332A (ko) 1994-05-24 1995-12-28 가다오까 마사다끼 자기복귀기능을 가지는 스위치장치
JP2002175749A (ja) * 2000-12-08 2002-06-21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器
US8791779B2 (en) 2011-07-14 2014-07-29 Abb Technology Ag Fast switch with non-circular Thomson coil
JP2013229108A (ja) * 2012-04-24 2013-11-07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装置
JP5815460B2 (ja) * 2012-04-24 2015-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
KR101410780B1 (ko) * 2013-03-14 2014-06-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회로 개폐기용 트립 액추에이터
KR20150005257A (ko) * 2013-07-05 2015-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속투입스위치
JP6235374B2 (ja) * 2014-02-27 2017-11-22 株式会社東芝 開閉器の操作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250A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5388B1 (de) Relais mit doppelunterbrechung
EP1854114B1 (en) Push-button operated rocker switch
CA2828032C (en) Switching apparatus
US11177085B2 (en) Slowing mechanism for switching apparatus and switching apparatus
KR102067270B1 (ko) 고속스위치
EP1108261A1 (en) Actuation and control device for high- and medium-voltage circuit breakers
US10199188B2 (en) Gas circuit breaker
US9530578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assembly therefor
US10153109B2 (en) Gas circuit breaker
US9870884B2 (en) Gas circuit breaker
EP2768006B1 (en) Fast switching-on mechanism
US2841662A (en) Load tap changing transformers
EP3399536B1 (en) Actuator for high-speed switch
EP3380386B1 (en) Point machine and electrical switch with snap-a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id point machine
CN107017100B (zh) 在控制机构中引导弹簧的装置和包括该装置的电气保护设备
RU2526866C2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щелкивающий узел для главного приводного узла
US10964504B2 (en) Relay
US11631562B2 (en) Closing spring assemblies for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CN109659191B (zh) 一种开关装置及其传动结构
EP4270439A1 (en) Reclosing switch capable of stably opening and closing
EP3989253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vacuum interrupter for a power diverter switch, a power diverter switch and an on-load tap changer
US2837613A (en) Switching device
EP2907148B1 (en) Actuator for low-, medium- or high-voltage switchgears
JP6626771B2 (ja) ガス遮断器
US6747232B1 (en) Vacuum cont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