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45B1 - 차 여과기 - Google Patents

차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245B1
KR102067245B1 KR1020180091070A KR20180091070A KR102067245B1 KR 102067245 B1 KR102067245 B1 KR 102067245B1 KR 1020180091070 A KR1020180091070 A KR 1020180091070A KR 20180091070 A KR20180091070 A KR 20180091070A KR 102067245 B1 KR102067245 B1 KR 10206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tea
unit
tea strain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조이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이쿡 filed Critical (주)조이쿡
Priority to KR102018009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재사용이 가능하며 휴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상단부를 수면 위측으로 부양시키는 부력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도록 수납홈이 함몰 형성되며 하단부가 개구되되, 상기 수납홈의 내측 내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관통된 안내관부를 포함하는 부양수납부; 및 내부에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며 유체가 유동되도록 복수개의 추출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부양수납부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중첩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추출공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되 단부가 상기 부양수납부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승강조작로드가 구비된 승강식 여과부를 포함하는 차 여과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 여과기{tea strainer}
본 발명은 차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휴대성이 개선된 차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는 식물의 잎이나 뿌리, 과실 등과 같은 추출대상물을 물과 함께 달이거나 우려서 마실 수 있는 음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들어서 건강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차를 음용하는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차를 음용하는 방법은 추출대상물을 티백에 넣어 1회용으로 판매되는 티백을 이용하는 방법과, 추출대상물을 직접 다기를 이용하여 우려 음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상세히, 1회용 티백의 경우 여과지의 내부에 기설정된 분량의 추출대상물이 개별 수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1회용 티백은 휴대가 간편하고 차를 우려낸 후 추출대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각 티백을 개별 제조함에 따른 단가 인상으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1회용 티백을 밀봉시 사용되는 접착제 성분이 함께 침출되므로 유해성분이 혼합된 차를 음용함으로 인하여 건강에 해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를 우려낸 후 건져낸 1회용 티백을 주변에 방치함으로 인해 지저분해지며, 차를 음용시마다 1회용 티백 및 티백을 포장한 포장지 등의 쓰레기 배출량이 많아 처리가 불편하다. 더불어, 여과지와 추출대상물을 분리 배출하기 번거로워 환경 오염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1회용 티백을 장시간 물에 우려내는 경우 차 맛이 떨어지므로 음용시 만족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다기를 이용하여 차를 우려내는 경우, 추출대상물을 수납하는 거름망 및 거름망을 지지하는 용기 등과 같은 다수개의 다기용품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망을 지지하는 용기 규격에 적합한 찻잔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차를 우려내는 과정이 복잡하고, 다기용품을 구비 및 보관하기 위해 큰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손쉽게 차를 음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다수개의 다기용품을 실질적으로 휴대하기가 어려우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차를 음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18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휴대성이 개선된 차 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부를 수면 위측으로 부양시키는 부력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도록 수납홈이 함몰 형성되며 하단부가 개구되되, 상기 수납홈의 내측 내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관통된 안내관부를 포함하는 부양수납부; 및 내부에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며 유체가 유동되도록 복수개의 추출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부양수납부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중첩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추출공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되 단부가 상기 부양수납부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승강조작로드가 구비된 승강식 여과부를 포함하는 차 여과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양수납부와 상기 승강식 여과부가 체결된 하단부측이 수면 아래로 침수되되 상단부측이 수면 위로 부양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식 여과부는 물보다 큰 비중으로 구비되며, 상기 부양수납부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환산 무게중심이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의 상단부측이 밀폐되어 상기 부력공간의 부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안내관부는 수면 아래로 침수되는 상기 부양수납부의 개구된 하단부와 대응하는 길이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부양수납부의 개구된 하단부 테두리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외면에는 상호 걸림되어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승강 이동된 위치를 구속하는 걸림단턱이 대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양수납부는 개구된 하단부측의 제1몸체부의 단면적이 상단부측의 제2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되,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는 상기 제2몸체부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승강식 여과부가 노출되도록 다중 접철되는 접철가변연장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 여과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부양수납부의 상단부가 수면 위로 항시 부양된 상태에서 승강조작로드를 조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승강식 여과부에 형성된 추출공이 개폐되면서 차를 우리거나 차 우림을 중단할 수 있으며, 용기를 찻잔 외부로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변이 지저분해짐을 방지하여 사용편의성 및 청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승강조작로드의 상단을 손잡이로 취부하여 승강 조작함으로써 승강식 여과부와 부양수납부가 중첩되는 간격을 조절하여 차의 추출속도 및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최적화된 맛과 향을 갖는 차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음용시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부양수납부에 상하방향으로 다중 접철되는 접철가변연장부가 형성됨에 따라 이를 접철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승강식 여과부가 노출되어 차 우림이 조절될 수 있으며, 접철가변연장부를 접철하면서 부력공간의 용적을 조절하여 차 여과기의 침수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이용하여 차를 추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부양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부양상태에서 음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에서 접철가변연장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에서 접철가변연장부가 상향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에서 접철가변연장부가 하향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이용하여 차를 추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부양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부양상태에서 음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200)는 부양수납부(210) 및 승강식 여과부(2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부양수납부(210)는 소정의 부피를 갖되 하단부가 개구되어 개구부(211)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함몰되어 내부에 수납홈(213)이 형성되는 용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213)의 내측 내면으로부터 안내관부(216)가 하향 돌설되되, 상기 안내관부(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216a)이 관통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부(216)는 하단부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와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안내관부(216)의 하단부는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211)와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관부(216)는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가 수면(w) 아래에 침수되는 간격에 대응하여 돌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양수납부(210)는 상기 개구부(211)를 제외한 상기 수납홈(213)의 내면 및 상기 안내관부(216)의 외면 사이가 실질적으로 밀폐된 상태로 수면(w) 위측에 부양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이 실질적으로 제한되면서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상단부(210b) 내측에 형성되는 부력공간(215)의 부력이 확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 여과기(200)는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개구부(211) 및 상기 안내관부(216)의 하단부가 수면(w) 아래로 침수되되 상단부(210b)가 찻잔(c) 내에 수용되는 유체 위에 부양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라 함은 차를 우릴 때 사용하는 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하에서 물과 유체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바닥면부(222) 및 상기 바닥면부(222)의 외곽을 따라 상향 연장되는 측면부(223)를 포함하는 용기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승강식 여과부(220)는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상기 개구부(211)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부양수납부(210)와의 중첩간격이 조절되도록 상호 중첩 체결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측면부 내측으로 상기 부양수납부의 하단부측이 삽입 및 중첩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상기 측면부(223)의 하단부측이 상기 바닥면부(222)에 의해 커버되되 상측은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개구된 일측, 즉 상단부측이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211)와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중첩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가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바닥면부(2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210)가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바닥면부(222)에 의해 커버된다 함은 상기 바닥면부(222)에 후술되는 추출공(221)이 형성되어 외부와 부분적으로 연통됨과, 상기 추출공(221)이 형성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폐쇄됨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상기 추출공(221)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부(222) 및 상기 측면부(223)에 전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닥면부(222)측으로 부분적인 연통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추출공(221)이 상기 측면부(223)에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가 완전히 막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내부에는 식물의 잎이나 뿌리, 과실 등을 건조 또는 가공하여 구비되는 추출대상물(b)이 수용 및 유입된 상기 유체를 통해 추출되는 추출공간(2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상기 바닥면부(222) 및 상기 측면부(223)에는 상기 유체가 상기 추출공간(226)측으로 유동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에는 상기 안내관부(216)의 내측에 삽입 체결되되 상기 부양수납부(210)와의 중첩간격을 조절하도록 승강 조작되는 승강조작로드(2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내관부(216)에 삽입된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상기 추출공(221)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상기 유체가 상기 차 여과기(200)의 내외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는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부(222)의 내측 내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결합공(216a)에 관통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는 상기 바닥면부(222)의 내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설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바(bar)부재로 준비되되 상기 바닥면부(222)의 중앙부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는 상기 안내관부(216)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부(224a)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상단부(210b)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조작로드(224)의 단부(224a)를 취부하여 승강 조작하거나 찻잔(c)의 내외부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로써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승강조작로드(224)의 단부(224a)를 취부한 상태에서 휘저으면서 차의 농도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머들러(muddler)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부양수납부(210)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스테인리스 스틸, 플라스틱, 실리콘, 유리, 도자기 또는 내수성을 갖는 종이,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부양수납부(210)와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동일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호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부양수납부(2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고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양수납부(210)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모두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양수납부(210)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타원, 다각형 및 비정형적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내면측 단면 프로파일과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외면측 단면 프로파일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다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조작로드(224)의 단부(224a)를 취부하여 상기 차 여과기(200)의 하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연동되어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로부터 하향 돌출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21)이 형성된 상기 부양수납부(220)의 측면부(223)가 노출된다. 이를 통해, 찻잔(c)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추출공(221)을 통해 상기 추출공간으로 유입 및 상기 추출대상물(b)과 혼합되면서 상기 추출대상물(b)에 포함된 수용성 물질이 추출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성 물질이 추출 및 혼합된 상기 유체가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21)을 통해 상기 차 여과기(200)의 내외측으로 유동됨에 따라 독특한 맛과 향을 갖는 차를 우려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대상물(b)은 상기 추출공(221)의 테두리에 걸려 유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차 여과기(200)의 외측으로는 상기 수용성 물질이 추출 및 희석된 유체만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우려낸 차를 음용시 상기 추출대상물(b)의 찌꺼기가 함께 음용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찌꺼기로 인한 구강 내 이물감이 최소화되므로 깔끔한 음용감을 통한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 여과기(200)는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를 분리하거나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개구된 상단부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개구된 하단부가 이격되도록 승강 조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 여과기(200)로부터 상기 추출대상물(b)을 손쉽게 제거 및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양수납부(210)와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를 분리하여 세척 후 실질적으로 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더불어, 차를 음용 후 실질적으로 천연 소재인 상기 추출대상물(b)의 찌꺼기만 배출 처리하면 되므로 환경 오염요소가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를 상기 차 여과기(200)의 상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연동되어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에 의해 상기 측면부(223)가 커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측면부(223)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21)이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에 의해 차폐되면서 유체의 유동이 제한된다.
즉, 차가 일정한 농도로 우려지면,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를 당김 조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유체의 유동경로를 차단함에 따라 차 우림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개별적인 기호에 최적화된 맛과 농도를 갖는 차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음용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대상물(b)이 상기 유체에 장시간 침전됨으로 인하여 차의 맛이 변하거나 쓰고 떫은 맛이 증가됨을 방지하므로 최적화된 풍미의 차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상기 부양수납부(210)에 중첩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차 여과기(200)를 수면(w)의 외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바닥면부(222)에 형성된 상기 추출공(221)을 통해 내부에 잔존하던 유체가 배출된다. 그리고, 잔존하는 유체가 배출된 상기 차 여과기(200)를 다시 수면(w) 위에 안착시키면 내부에 부력공간(215)이 충분히 확보되어 안정적으로 부양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추출대상물(b)이 상기 유체와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차 여과기(200)를 찻잔(c)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상기 추출대상물(b)이 지속적으로 추출됨을 방지할 수 있어 차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음용 중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를 밀거나 당기는 단순한 조작으로 차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차를 우림과 상관없이 상기 차 여과기(200)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수면(w) 위측에 항시 부양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차 여과기(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추출대상물(b)이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추출대상물(b)이 공기 중의 부유 이물질과 혼합되어 오염됨을 방지하여 위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 여과기(200)를 찻잔(c) 외부로 분리함으로 인해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물이 흘러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청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 여과기(200)가 항시 부양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차 여과기(200)를 손으로 취부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체에 직접 접촉됨을 방지하므로 위생성 및 청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양수납부(210와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체결된 하단부측이 수면(w) 아래로 침수되되 상단부측이 수면(w) 위로 부양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물보다 큰 비중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가 하방 배치된 상태로 상기 차 여과기(200)를 수면(w)에 안착시키면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비중에 의해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측이 수면(w) 아래로 침수된다.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210)는 개구된 하단부측을 제외한 내면이 밀폐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내부에 상기 부력공간(215)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차 여과기(200)의 상단부측이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 여과기(200)의 상단부측이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다 함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내부에 상기 부력공간(215)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상단부(210b)측이 수면(w) 위로 돌출되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납홈(213)의 내면과 상기 안내관부(216)의 외면이 연속되면서 형성되는 밀폐면 및 상기 수면(w)에 의해 상기 부력공간(215)이 실질적으로 밀폐되면서 부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 여과기(200)가 수면(w)을 기준으로 항시 부양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차 여과기(200)를 물에 띄어놓은 후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를 승강 조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차를 우려내거나 차 우림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농도의 차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를 당기거나 미는 손쉬운 방법으로 상기 추출공(221)을 개폐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상기 부양수납부(210)보다 더 큰 비중을 갖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상기 부양수납부(210)보다 큰 비중을 갖는 소재로 제조되거나, 상호 동일한 재질로 제조되되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더 큰 비중을 갖도록 중량수단이 부가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는 상기 부양수납부(210) 및 물 보다 큰 비중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에 체결된 상태에서 수면(w) 아래로 소정의 간격으로 침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210)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조립된 상태에서 환산 무게중심(g)은 수면(w)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양수납부(210)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조립된 상태라 함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에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삽입된 상태 또는 돌출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산 무게중심(g)이라 함은 상기 부양수납부(210)와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중량이 합산되어 형성되는 무게중심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부양수납부(210)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전체 중량은 관성 모멘트를 고려한 역학적인 환산 무게중심(g)의 위치를 고려하여 산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비중은 상기 환산 무게중심(g)의 위치가 수면(w)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되, 상기 부력공간(215)의 부력이 상기 차 여과기(200)에 가해지는 중력보다 크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상단부(210b)측이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유체의 유동에 의한 상기 차 여과기(200)의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상기 부력공간(215)의 부력이 상실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비중이 물보다 큰 비중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중첩 체결된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측이 수면(w) 아래로 침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상단부(210b)가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물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 테두리가 수면(w) 위측으로 노출되면서 부력이 상실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상단부측이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차를 음용하기 위해 찻잔(c)을 기울이더라도 상기 환산 무게중심(g)이 수면(w) 아래에 설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찻잔(c)의 기울어짐에 상관없이 상기 차 여과기(200)가 상기 수면(w)과 실질적으로 직교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양된 상태가 항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양수납부(210)는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측면부(223)와 중첩 대응하는 하단부(210a)측을 제1몸체부로, 내측에 상기 부력공간(215)이 형성되는 상단부(210b)측을 제2몸체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상하단부 위치에 대응하여 구분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양수납부(210)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가 일체로 연결되는 용기 형상으로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동일한 단면적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구부(211)측 단면적과 상기 제2몸체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동일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는 최상단측의 단면적이 상기 제1몸체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양수납부(210)는 상기 제1몸체부의 단면적이 상기 제2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유체의 유동에도 상기 차 여과기(200)가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부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부의 단면적이 상기 제2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넓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몸체부의 외면 프로파일 단면적이 상기 제2몸체부의 외면 프로파일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개구된 하단부(210a) 테두리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외면에는 상호 걸림되어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승강 이동된 위치를 구속하는 걸림단턱(218,225)이 대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개구부(211) 테두리를 따라 제1걸림단턱(218)이 내측방향으로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외면, 즉 상기 측면부(223)의 외면에는 상기 제1걸림단턱(218)과 상호 걸림 구속되는 제2걸림단턱(225)이 외측방향으로 돌설된다.
이때, 상기 제2걸림단턱(225)은 상기 측면부(223)의 상측 테두리 및 하측 테두리를 따라 다단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측 제2걸림단턱(225b)과 상기 제1걸림단턱(218)이 상호 걸림 구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개구부(211)로부터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상단부 테두리가 이격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추출공(221)을 통한 유체의 유동은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추출대상물(b)이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측 제2걸림단턱(225a)과 상기 제1걸림단턱(218)이 상호 걸림 구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의 하중에 의해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 하측으로 임의로 돌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 우림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대상물(b)이 유체에 임의로 침전됨을 방지하므로 차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걸림단턱(225)은 상기 하측 제2걸림단턱(225a) 및 상기 상측 제2걸림단턱(225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단턱이 다단으로 더 돌설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하단부(210a)가 상호 중첩된 중첩간격을 다단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추출대상물(b)이 추출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추출대상물(b)의 종류에 따라 차 우림 속도 및 농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의 맛과 풍미가 더욱 향상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의 하단부가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단턱은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개구된 상단부 테두리 내측방향으로 돌설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걸림단턱은 상기 부양수납부의 하단부 외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설되되 상기 부양수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돌설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안내관부(216) 및 승강조작로드(224)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부(216) 및 상기 승강조작로드(224)의 상호 대향면 중 일면에는 밀폐돌기(224b)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밀폐돌기(224b)가 끼움 결합되는 밀폐홈(216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조작로드(224)의 외면과 상기 결합공(216a)의 내면 사이에 발생할 수도 있는 간극이 상기 밀폐돌기(224b) 및 상기 밀폐홈(216b) 간의 끼움 결합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관부(216)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개구부(211) 위치보다 짧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안내관부(216)와 상기 승강조작로드(224) 사이로 공기의 유동이 제한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차 여과기 내의 부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제품이 찻잔 바닥으로 침강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밀폐돌기(224b)가 상기 승강조작로드(224)의 외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폐홈(216b)이 상기 안내관부(216)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안내관부(216)의 내면에 상기 밀폐돌기가 돌설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밀폐홈이 생략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관부의 내면 또는 상기 승강조작로드의 외면에 상기 밀폐돌기가 억지 끼움되도록 돌출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밀폐돌기(224b) 및 상기 밀폐홈(216b)은 상기 승강조작로드(224) 및 상기 안내관부(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밀폐돌기(224b)는 단일로 형성되되 상기 밀폐홈(216b)은 다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홈(216b)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술한 걸림단턱(218,225)을 대신하여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와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중첩간격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밀폐돌기 및 상기 밀폐홈은 상기 승강조작로드(224)의 외면 및 상기 결합공(216a)의 내면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 및 나사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승강조작로드(224)가 상기 안내관부(216)에 나사 회전되면서 승강 조작될 수 있으며, 각 나사산과 나사홈이 맞물림에 따라 상기 승강조작로드(224) 및 상기 안내관부(216)의 대향면 사이가 실링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에서 접철가변연장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에서 접철가변연장부가 상향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에서 접철가변연장부가 하향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철가변연장부(317)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양수납부(310)의 하단부(310a) 즉,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부양수납부(310)의 상단부(310b) 즉,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는 다중 접철되는 접철가변연장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접철가변연장부(31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부(317a,317b)를 포함하며, 각 상기 접철부(317a,317b)가 접혀 상호 중첩되거나 이격되어 펼쳐지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차 여과기(300)가 수면(w) 위측에 부양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가변연장부(317)의 각 상기 접철부(317a,317b)가 펼쳐진 상태로 구비되면, 상기 부양수납부(310)의 하단부(310a)가 상기 승강식 여과부(320)의 측면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추출공(321)이 차폐되면서 상기 차 여과기(3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추출대상물이 상기 유체와 분리되며 차 우림이 중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조작로드(324)가 상기 안내관부(316)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부양수납부(310)의 하단부(310a)를 쥐고 상측으로 견인하면 상기 접철가변연장부(317)의 각 상기 접철부(317a,317b)가 상측방향으로 접철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몸체부가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식 여과부(320)에 형성된 상기 추출공(321)이 노출되므로 유체가 상기 추출공(321)을 통해 유동되면서 차가 우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조작로드(324)와 상기 안내관부(316)가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을 정도의 끼움 상태를 유지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간극이 제거되므로 상기 부력공간(315b)의 부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상기 접철부(317a,317b)가 단계적으로 접철됨에 따라 상기 승강식 여과부(320)가 상기 부양수납부(310)의 하단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추출공(321)이 노출되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의 추출시간 및 추출농도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차 여과기(300)는 상기 부양수납부(310)의 하단부(310a)를 쥐고 하측으로 밀면 상기 접철가변연장부(317)의 각 상기 접철부(317a,317b)가 하측방향으로 접철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안내관부(316)는 상기 부양수납부(310)의 상단부(310b)와 연동되면서 상기 승강조작로드(324)를 통해 하향 이동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철부(317a,317b)가 상호 중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는 내부의 부력공간(315c)이 최소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접철가변연장부(317)의 각 상기 접철부(317a,317b)를 접철함에 따라 부력공간의 용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 여과기(300)의 하단부가 수면(w) 아래로 침수되는 간격이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부양수납부의 외면에는 기설정된 패턴의 장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양수납부는 외면이 동물, 식물, 과일, 기하학적인 형상 등의 다양한 디자인으로 3차원 입체화되도록 사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양수납부의 외면에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 프린팅 또는 도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부양수납부의 상단부가 수면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외적으로 독특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인 심미적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 여과기를 휴대하거나 찬장 또는 테이블 등에 올려놓고 보관시에도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하는 장식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를 음용시에도 찻잔 내부에 부양된 상태에서 독특한 디자인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구매욕구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부양수납부의 개구된 하단부측을 밀폐하는 외부커버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추출대상물이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부양수납부와 중첩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부는 상기 부양수납부의 하단부측으로 삽입된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바닥면부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부양수납부의 하단부에 체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대상물의 휴대가 용이하며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손쉽게 차를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커버부를 탈부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부양수납부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추출대상물을 보관시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바닥면부에 형성된 상기 추출공을 통해 상기 추출대상물이 배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차 여과기의 내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승강식 여과부는 상기 측면부에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부는 실질적으로 차폐된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식 여과부가 상기 부양수납부의 하단부측으로 하향 돌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추출공을 통해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식 여과부가 상기 부양수납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부양수납부에 의해 내부가 실질적으로 밀폐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 여과기(200)는 상기 부양수납부(210)의 상단부(210b)가 수면 위로 항시 부양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조작로드(224)를 조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에 형성된 상기 추출공(221)이 개폐된다. 이때, 상기 추출공(221)의 개폐를 통해 차를 우리거나 차 우림을 중단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 여과기(200)를 찻잔(c) 외부로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변이 지저분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차 여과기(200)를 손으로 취부시에도 손가락이 유체에 접촉되지 않아 위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승강조작로드(224)의 상단부를 손잡이로 취부하여 승강 조작함으로써 상기 승강식 여과부(220)와 상기 부양수납부(21)가 중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의 추출속도 및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최적화된 맛과 향을 갖는 차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음용시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양수납부(310)에 상하방향으로 다중 접철되는 상기 접철가변연장부(317)가 형성됨에 따라 이를 접철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승강식 여과부(320)가 노출되어 차 우림 농도 및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접철가변연장부(317)를 접철하면서 상기 부력공간(315a,315b,315c)의 용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 여과기(300)의 침수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10: 부양수납부 211: 개구부
213: 수납홈 215: 부력공간
216: 안내관부 216a: 결합공
220: 승강식 여과부 221: 추출공
224: 승강조작로드 317: 접철가변연장부
b: 추출대상물 c: 찻잔
g: 환산 무게중심 200,300: 차 여과기

Claims (5)

  1. 상단부를 수면 위측으로 부양시키는 부력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도록 수납홈이 함몰 형성되며 하단부가 개구되되, 상기 수납홈의 내측 내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관통된 안내관부를 포함하는 부양수납부; 및
    내부에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며 유체가 유동되도록 복수개의 추출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부양수납부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중첩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추출공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되 단부가 상기 부양수납부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승강조작로드가 구비된 승강식 여과부를 포함하는 차 여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납부와 상기 승강식 여과부가 체결된 하단부측이 수면 아래로 침수되되 상단부측이 수면 위로 부양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식 여과부는 물보다 큰 비중으로 구비되며,
    상기 부양수납부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환산 무게중심이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여과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납부의 상단부측이 밀폐되어 상기 부력공간의 부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안내관부는 수면 아래로 침수되는 상기 부양수납부의 개구된 하단부와 대응하는 길이로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여과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납부의 개구된 하단부 테두리 및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외면에는 상호 걸림되어 상기 승강식 여과부의 승강 이동된 위치를 구속하는 걸림단턱이 대향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여과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납부는 개구된 하단부측의 제1몸체부의 단면적이 상단부측의 제2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되,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는 상기 제2몸체부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승강식 여과부가 노출되도록 다중 접철되는 접철가변연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여과기.
KR1020180091070A 2018-08-06 2018-08-06 차 여과기 KR102067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70A KR102067245B1 (ko) 2018-08-06 2018-08-06 차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70A KR102067245B1 (ko) 2018-08-06 2018-08-06 차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245B1 true KR102067245B1 (ko) 2020-01-16

Family

ID=6936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070A KR102067245B1 (ko) 2018-08-06 2018-08-06 차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2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512A (en) * 1980-10-24 1982-08-24 Moore Richard C Container for making a tea beverage
KR870002589Y1 (ko) * 1984-10-29 1987-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茶) 제조용 용기
KR20070000183U (ko) 2007-01-22 2007-02-09 최상돈 컵에 끼울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진 티백
KR20170111665A (ko) * 2016-03-29 2017-10-12 진영화 티 인퓨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512A (en) * 1980-10-24 1982-08-24 Moore Richard C Container for making a tea beverage
KR870002589Y1 (ko) * 1984-10-29 1987-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茶) 제조용 용기
KR20070000183U (ko) 2007-01-22 2007-02-09 최상돈 컵에 끼울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진 티백
KR20170111665A (ko) * 2016-03-29 2017-10-12 진영화 티 인퓨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5058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バイス
JP6386529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カプセル
US20150366395A1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JP2017500084A (ja) 飲料を浸出するための器具および方法
EP3166448B1 (en) Combined vessel lid and tea ba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MX2011001770A (es) Tapa, en particular para taza desechable.
KR10163666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US20130118358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JP5668884B2 (ja) 飲料用ポット
KR102067245B1 (ko) 차 여과기
KR200460121Y1 (ko) 거름망을 구비한 음료용기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0471638Y1 (ko) 일회용 컵용 컵뚜껑
US5799566A (en) Self-propelled moving-filter beverage maker
EP2275009A2 (en) Disposable tea set and teapot thereof
CN210697233U (zh) 茶过滤器
JP2001008809A (ja) ドリッパー付カップ
KR200448621Y1 (ko) 인퓨저를 구비한 차 포장 용기
CN106263929B (zh) 一种茶叶茶汤可分离的茶壶
CN214825117U (zh) 一种多功能食品桶
CN212574696U (zh) 过滤杯、滤纸、支撑件及手冲咖啡壶套装
KR100832672B1 (ko) 티 스틱
KR10182615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GB2403645A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KR200297236Y1 (ko)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