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191B1 - 상세영상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상세영상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191B1
KR102067191B1 KR1020190078142A KR20190078142A KR102067191B1 KR 102067191 B1 KR102067191 B1 KR 102067191B1 KR 1020190078142 A KR1020190078142 A KR 1020190078142A KR 20190078142 A KR20190078142 A KR 20190078142A KR 102067191 B1 KR102067191 B1 KR 10206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tailed
digital signal
sign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
Original Assignee
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 filed Critical 배경
Priority to KR102019007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32Surveil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는 감시영역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부 ; 및 상기 이미지 센싱부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감시영역에 상응하는 기초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감시영역에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상세감시영역을 제외한 상기 감시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상기 기초 영상에서 잘라내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세감시영역 각각의 상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상세영상을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상세영상 생성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DETAILED IMAGE}
본 발명은 상세영상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방범 수요나 특정 시설이나 장소의 감시를 위하여 cctv와 같은 영상 생성장치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영상 생성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인하여 고성능 영상 생성장치는 UHD 이상의 해상도를 지닌 감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고화질의 감시영상은 매우 큰 영상 데이터량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전송하려면 전송 속도와 전송 대역폭이 커야 한다.
따라서 고화질의 감시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4-0011964 (공개일자 : 2014년01월29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는 고화질 감시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감시영역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부 ; 및 상기 이미지 센싱부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감시영역에 상응하는 기초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감시영역에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상세감시영역을 제외한 상기 감시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상기 기초 영상에서 잘라내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세감시영역 각각의 상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상세영상을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는 영상들의 화질을 다르게 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량의 과도한 증가없이 고화질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는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하여 다양한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시영상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원본 영상, 원본 영상의 저해상도 영상, 상세감시영역 및 상세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개별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해당 영상을 나타낸다.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는 개별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의 표시를 나타낸다.
도 7은 상세감시영역 내부의 극상세감시영역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12는 설정된 경계에 따른 영역들의 화질 차이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설정된 화면 비율에 따른 상세감시영역의 설정을 나타낸다.
도 11a는 다양한 상세감시영역 설정용 박스를 나타낸다.
도 11b 및 도 11c는 상세감시영역의 설정을 위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3는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스냅샷을 나타낸다.
도 14a는 극상세감시영역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14b는 극상세감시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는 상세감시영역을 단위 영역별로 분석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6은 엣지 컴퓨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는 이미지 센싱부(110)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싱부(110)는 감시영역의 이미지를 센싱한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센싱부(110)는 CCD나 CMOS와 같은 촬상 소자(111),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키는 렌즈(113), 촬영을 위해 빛을 제공하는 광원부(115)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이미지 센싱부(110)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감시영역에 상응하는 기초 영상을 생성한다. 기초 영상은, 원본 영상과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원본 영상을 다운스케일링(down scaling)하여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원본 영상은 FHD(Full-HD) 해상도(1920×1080)나 UHD(Ultra-HD) 해상도(3840×1260)를 지니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전기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131)와 코덱칩(codec chip)(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프로세서(131)와 코덱칩(133)이 분리되어 있으나 하나의 칩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1)는 영상 처리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과,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감시영역에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상세감시영역을 제외한 감시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기초 영상에서 잘라내어 하나 이상의 상세감시영역 각각의 상세 영상을 생성한다.
복수의 상세감시영역이 설정될 경우, 복수의 상세감시영역은 서로 중복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세감시영역 각각에 대한 상세 영상이 생성된 경우, 각 상세 영상은 상기 중복된 영역에 대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원본 영상에서의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상기 상세 영상을 생성하거나,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에서의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상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원본 영상 또는 원본 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세감시영역(region of interest)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잘라냄으로써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상세 영상을 생성한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원본 영상 및 원본 영상의 저해상도 영상 중 하나의 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은 원본 영상에 비하여 해상도가 낮은 영상으로서, 예를 들어, 원본 영상이 UHD 해상도를 지닐 경우,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은 UHD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예를 들어, FHD 해상도, HD 해상도, VGA 해상도 등)를 지닐 수 있다.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은 원본 영상에 비하여 전송 데이터량이 작으므로 전송 대역폭이나 전송 속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원본 영상의 전송없이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을 전송하는 채널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세 영상과 더불어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이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은 원본 영상에 비하여 데이터량이 작기 때문에 전송 속도의 과도한 저하나 전송 대역폭의 확장없이도 사용자는 감시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감시와 하나 이상의 상세영상을 통한 상세감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는 감시영역에 대한 기초 영상을 사용자의 영상표시장치로 스트리밍(streaming)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초 영상은 원본 영상 및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영상표시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P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에 의한 상세감시영역의 선택은 영상표시장치의 입력부(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터치펜 등)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하면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는 원본 영상이나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에서 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세감시영역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지역을 자유롭고 편하게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 영상, 원본 영상 및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channel)을 형성한다. 즉, 하나 이상의 영상 각각은 개별 채널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영상이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므로 도 5a와 같이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에 각각의 영상이 개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영상과 감시영역 전체에 대한 영상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하나 이상의 상세 영상을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상세감시영역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4개의 상세감시영역 각각에 대해 상세 영상 1 내지 상세 영상 4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채널 1 내지 채널 4를 생성하여 상세 영상 1 내지 상세 영상 4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에 상세 영상 1 내지 상세 영상 4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복수의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상세 영상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a와 같이,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에 상세 영상, 원본 영상 및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 중 일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도 6b와 같이,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에 복수의 상세 영상 중 일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감시영역에서 극상세감시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기초영상에서 설정된 상세감시영역에서 극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원본 영상의 상세감시영역에서 극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하거나,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의 상세감시영역에서 극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설정조건을 충족하는 극상세감시영역을 자동 설정하여 극상세감시영역이 상세감시영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설정 조건은 움직임이 발생한 피사체, 사람의 얼굴, 차량의 번호판, 및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피사체 중 하나 이상의 유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사람, 번호판 또는 특정 피사체에 대한 패턴 인식이나 계조값의 변화 등을 통하여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상세감시영역은 움직임이 발생한 이미지의 영역, 사람의 얼굴 이미지의 영역,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의 영역, 및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이미지의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세감시영역에서 피사체의 움직임, 얼굴이나 번호판 또는 특정 피사체의 식별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극상세감시영역의 극상세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극상세영상을 원본 영상, 원본 영상의 상세 영상, 저해상도 영상 및 저해상도 영상의 상세 영상을 전송하는 채널과 다른 별개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극상세감시영역의 화질을 상세영상에서 상기 극상세감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질보다 고화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극상세감시영역의 영상을 고화질로 변환시킬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에 의한 화질의 변화는 비트 레이트(bit rate)의 조절이나 샤프니스(sharpness)의 조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같은 화질 변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극상세영상은 사용자가 집중해서 감시하려는 사람이나 물체이므로 상세영상에 비하여 고화질의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량의 증가로 인한 전송 속도 및 대역폭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원본 영상 및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 중 하나 이상에서 설정되는 경계에 의하여 나뉘어지는 영역들의 화질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원본 영상 또는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에서 차로와 인도가 만나는 영역을 경계로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경계에 따라 인도 영역과 차도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로수가 있는 인도 영역보다는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 영역에 보다 관심을 둘 수 있으므로 차도 영역의 화질을 인도 영역보다 좋게 하여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감시영역 또는 극상세감시영역이 초기 선택되면, 초기 선택된 상세감시영역 또는 극상세감시영역을 최소 확대하여 설정된 화면 비율에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점선 영역과 같은 상세감시영역을 영상표시장치의 입력부를 통하여 초기에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 설정된 상세감시영역의 좌표 정보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초기 설정된 상세감시영역이 설정된 화면 비율에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설정된 화면 비율은 16:9 또는 2: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기 설정된 상세감시영역이 설정된 화면 비율과 맞지 않을 경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초기 설정된 상세감시영역을 최소 확대하여 설정된 화면 비율에 맞도록 상세감시영역을 최종 설정할 수 있다.
초기 선택된 상세감시영역이 최소 확대되므로 화면 비율을 맞추기 위한 상세감시영역의 확대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초기 선택된 상세감시영역 또는 극상세감시영역과 확대된 상세감시영역 또는 극상세감시영역 사이의 차이 영역의 화질을 초기 선택된 상세감시영역의 화질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초기 선택된 상세감시영역은 사용자가 관심을 기울이는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화면 비율을 맞추기 위한 상세감시영역의 확대는 사용자가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영역까지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이 영역은 사용자가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세 영상은 상기 차이 영역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는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차이 영역에 해당되는 영상 데이터량의 과도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초기 선택된 상세감시영역의 화질에 비하여 상기 차이 영역의 화질을 낮춤으로써 영상 데이터량의 과도한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는 다양한 상세감시영역 설정용 박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들 상세감시영역 설정용 박스 각각은 미리 설정된 화면 비율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 비율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화면 비율의 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화면 비율의 상세감시영역 설정용 박스를 선택한 후 영상표시장치의 입력부 조작을 통하여 상기 선택한 상세감시영역 설정용 박스를 확대하거나 축소함으로써 선택한 화면 비율에 맞게 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세감시영역 설정용 박스와 이에 따른 상세감시영역의 설정 정보가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로 전송되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화면비율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세감시영역 설정용 박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세감시영역 설정용 박스를 통하여 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감시영역의 설정을 위하여 상세감시영역의 크기가 정해진 2개 이상의 이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는 ID 2에 해당되는 상세감시영역의 크기 설정을 위하여 마우스와 같은 입력부를 조작하여 4개의 이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중 1280x720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크기는 상세감시영역의 크기로서 화면에는 상세감시영역 설정용 박스로 표시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선택된 이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세감시영역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D 2에 해당되는 상세감시영역의 크기는 1280x72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2개 이상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원본 영상 또는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 내에 상세감시영역이 박스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선택된 인터페이스의 크기 1280x720(도 11b의 A 참조 )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박스 형태의 상세감시영역을 원본 영상 또는 원본영상의 저해상도 영상 내에서 이동시켜 상세관심영역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세감시영역 내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전송된 경계 및 상세감시영역의 좌표 정보에 따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감시영역에서 설정되는 경계에 의하여 나뉘어지는 영역들(예를 들어, 도 12의 영역 1 및 영역 2)의 화질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관심이 영역 1에 맞춰질 경우, 영상표시장치에서 영역 1의 화질이 영역 2의 화질에 비하여 좋도록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영역 1의 화질이 영역 2에 비하여 좋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경계에 의하여 상세감시영역이 서로 다른 화질을 지닌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 영상의 전송에 따른 영상 데이터량은 동일한 화질은 지닌 상세 영상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한편, 상세감시영역 내에 움직임이 발생한 이미지, 사람의 얼굴 이미지,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및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이 있을 수 경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스냅샷이나 상기 하나 이상에 대한 스냅샷을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움직여 상세감시영역 내로 이동하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감시영역을 분석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확인한 후 움직이는 사람이 있는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스냅샷(snapshot)을 생성할 수 있다.
스냅샷의 경우 동영상이 아닌 정지 영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영상 데이터량의 부담없이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설정조건을 충족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따라 극상세감시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설정조건 및 극상세감시영역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예를 들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를 감시하기 위한 극상세감시영역이 설정될 경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자동차를 오토 트랙킹(auto tracking)하여 자동차의 이동에 따라 극상세감시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움직이는 자동차의 고화질 영상 역시 영상표시장치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이동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4a에서는 하나의 극상세감시영역이 설정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극상세감시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극상세감시영역을 드레그(drag)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용자는 영상표시장치의 마우스와 같은 입력부를 드래그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극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상세감시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을 설정된 시간마다 이동하고, 설정조건을 충족하는 단위 영역을 극상세감시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선택된 상세감시영역은 8개의 단위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각 단위 영역을 설정된 시간마다 이동하면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중 앞서 설명된 설정조건을 만족하는 단위 영역이 극상세감시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의 기능 일부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131a)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의 나머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 프로세서(131a)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는 외부에 위치하는 제2 프로세서(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프로세서(131b)는 엣지 컴퓨터(edge compuper)(135)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세서(131)는 별도의 코덱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엣지 컴퓨터(135)는 펌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능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예를 들어, 롬, 디스크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엣지 컴퓨터(135)는 제1 프로세서(131a)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설계에 따라 다른 컴퓨팅 소자가 구비되거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31a)가 기존 영상장치에 포함된 것일 경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성능이나 기능이 부족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의 기능 수행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완전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기존 영상장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전부 교체하는 것은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엣지 컴퓨터(135)가 기존 영상장치에 연결될 경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교체없이 기존 영상장치의 리소스를 일부 이용하고 엣지 컴퓨터(135)의 성능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영상 생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제1 프로세서(131a)와 엣지 컴퓨터(135)의 제2 프로세서(133b)가 UHD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분담하여 처리함으로써 고속으로 UHD 해상도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엣지 컴퓨터(135)의 관점에서 제2 프로세서(133b)를 설명하였으나 엣지 컴퓨터(13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싱부(110)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130)
제1 프로세서(131a)
제2 프로세서(131b)
엣지 컴퓨터(135)

Claims (17)

  1. 감시영역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부 ; 및
    상기 이미지 센싱부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감시영역에 상응하는 기초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감시영역에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상세감시영역을 제외한 상기 감시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상기 기초 영상에서 잘라내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세감시영역 각각의 상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상세영상을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기초 영상은,
    원본 영상과,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가 상기 원본 영상을 다운스케일링하여 형성된 저해상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원본 영상에서 상기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상기 상세 영상을 생성하거나,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서 상기 상세감시영역에 대한 상기 상세 영상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 및 상기 저해상도 영상 중 하나에서 설정되는 경계에 의하여 나뉘어지는 영역들의 화질을 서로 다르게 하거나, 상기 상세감시영역에서 설정되는 경계에 의하여 나뉘어지는 영역들의 화질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원본 영상의 전송없이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전송하는 채널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상세 영상에서 극상세감시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상세영상에서 상기 극상세감시영역의 화질을 상기 극상세감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질보다 고화질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극상세감시영역은,
    움직임이 발생한 이미지의 영역 및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이미지의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상세감시영역 또는 상기 극상세감시영역이 초기 선택되면,
    상기 초기 선택된 상세감시영역 또는 극상세감시영역을 최소 확대하여 설정된 화면 비율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초기 선택된 상세감시영역 또는 극상세감시영역과 상기 확대된 상세감시영역 또는 극상세감시영역 사이의 차이 영역의 화질을 상기 초기 선택된 상세감시영역 또는 극상세감시영역의 화질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10. 삭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상세감시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을 설정된 시간마다 이동하고,
    설정조건을 충족하는 단위 영역을 상기 극상세감시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상세감시영역의 설정을 위하여 상기 상세감시영역의 크기가 정해진 2개 이상의 이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상세감시영역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2개 이상의 이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원본 영상 또는 상기 저해상도 영상 내에 상기 상세감시영역이 박스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박스 형태의 상세감시영역을 상기 원본 영상 또는 상기 저해상도 영상 내에서 이동시켜 상기 상세감시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2개 이상의 상기 극상세감시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극상세감시영역을 드레그(drag)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의 기능 일부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부의 나머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는 외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세영상 생성장치.
KR1020190078142A 2019-06-28 2019-06-28 상세영상 생성장치 KR10206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42A KR102067191B1 (ko) 2019-06-28 2019-06-28 상세영상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42A KR102067191B1 (ko) 2019-06-28 2019-06-28 상세영상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191B1 true KR102067191B1 (ko) 2020-02-11

Family

ID=6956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142A KR102067191B1 (ko) 2019-06-28 2019-06-28 상세영상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1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619A (ko) * 1998-07-15 2000-02-07 구자홍 화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7174568A (ja) * 2005-12-26 2007-07-05 Sanyo Electric Co Ltd 符号化方法
KR20110072846A (ko) * 2009-12-23 2011-06-29 클레어픽셀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장치 및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30140174A (ko) * 2011-05-19 2013-12-23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동화상 촬영장치, 정보처리 시스템, 정보처리장치 및 화상 데이터 처리방법
KR20140011264A (ko) * 2012-07-17 201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1964A (ko) 2012-07-18 2014-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품질, 전방위 파노라마 동영상을 이용한 감시 정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619A (ko) * 1998-07-15 2000-02-07 구자홍 화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7174568A (ja) * 2005-12-26 2007-07-05 Sanyo Electric Co Ltd 符号化方法
KR20110072846A (ko) * 2009-12-23 2011-06-29 클레어픽셀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장치 및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30140174A (ko) * 2011-05-19 2013-12-23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동화상 촬영장치, 정보처리 시스템, 정보처리장치 및 화상 데이터 처리방법
KR20140011264A (ko) * 2012-07-17 201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1964A (ko) 2012-07-18 2014-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품질, 전방위 파노라마 동영상을 이용한 감시 정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1093C2 (ru) Систем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клиентски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KR102618495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7852356B2 (en) Magnified display apparatus and magnified image control apparatus
US94598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igh-resolution image viewing
EP2926552B1 (en) Window blanking for pan/tilt/zoom camera
JP7036493B2 (ja) 監視方法及び装置
EP2887644B1 (en) Control apparatus,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964683B1 (ko) 스마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110012128A (ko)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오브젝트 탐색 장치 및 방법
JP534465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20069218A1 (en) Virtual video capture device
US9906710B2 (en) Camera pan-tilt-zoom (PTZ) control apparatus
US20190303685A1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2736846B (zh) 检测区域扩大装置、显示装置以及检测区域扩大方法
JP2008040190A (ja) 映像切り替えシステム
US201603003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067191B1 (ko) 상세영상 생성장치
US11836894B2 (en)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2989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documents with depth camera for telepresence
KR102029140B1 (ko) 감시영상 생성장치
KR102062138B1 (ko) 감시영상 처리장치
JP2019129466A (ja) 映像表示装置
JP201911400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85970A (ko) 영상 내의 객체를 시각화하는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CN111078085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设备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