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738B1 -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738B1
KR102066738B1 KR1020130111061A KR20130111061A KR102066738B1 KR 102066738 B1 KR102066738 B1 KR 102066738B1 KR 1020130111061 A KR1020130111061 A KR 1020130111061A KR 20130111061 A KR20130111061 A KR 20130111061A KR 102066738 B1 KR102066738 B1 KR 102066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formation
mobile device
displ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627A (ko
Inventor
방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7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방법으로, e-ink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를 읽으며 모바일 기기에 차량 내부로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내부 표출용 정보를 e-ink를 통해 표출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User information dipslay device of using E-ink, and the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자 등록 번호판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전자 등록 번호판은 번호판 무선 전자 운송 수단 내의 어느 구역에 설치될 수 있는 중앙 무선 모듈로 이루어지며, 중앙 무선 모듈은 전기 에너지원과 유선 연결 가능하며, 전자 등록 번호판은 태양 전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번호판 무선 전자 등록 시스템에 있어서, 번호판은 내장형 무선 통신 칩을 가짐으로써 데이터를 데이터원(휴대용 컴퓨터, 또는 다른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 가능한 유사 전자 장치)에 대해 수신, 업데이트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 무선 모듈과 번호판 내에 위치된 위성 무선 모듈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전자 종이, 즉, 전자 잉크 기술은 데이터를 번호판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전자잉크(electronic ink)는 잉크가 아니라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이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e Ink Corporation에서 개발한 전자종이(electronic paper)의 상품명인 e-Ink에서 유래됐다. 따라서 전자잉크를 전자종이라고 불러도 크게 상관은 없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와 달리 어느 정도 구부려도 될 정도로 유연하며, 주로 전자책 리더기, 휴대폰, 시계 등의 휴대용 기기에 사용된다.
전자잉크는 두 개의 전극 층 사이에 머리카락 직경 만큼 작은 마이크로캡슐 수백만 개를 넣어 만든 것이다. 이 마이크로캡슐 안에는 투명한 기름과 함께 양전하를 띠는 흰색 입자와 음전하를 띠는 검정색 입자가 들어 있다. 여기에 마이너스 전기를 가하면 흰색 입자는 마이크로캡슐 위쪽으로 이동해 디스플레이에 흰색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검정색 입자는 아래로 이동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는다. 반대의 경우에는 검정색 입자가 위로 올라와 디스플레이에 검정색이 표시된다. 이를 통해 흑백 그림이나 글자를 표현할 수 있다
전자잉크의 장점은 한 번 입자가 이동하고 나면 전기가 통하지 않아도 화면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페이지를 넘길 때 빼고는 배터리가 거의 소모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장착한 휴대 기기의 사용량을 시간으로 가늠하는 반면, 전자책 리더기의 사용량을 페이지 수로 표기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또한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고 일반 종이처럼 빛의 반사를 통해 읽는 방식이라 눈의 피로가 적고, 밝은 야외에서 보기에 편하다. 전자잉크가 종이책과 비슷한 느낌을 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사용자에 따라 호불호가 갈린다. 일반 LCD 디스플레이에 익숙한 사람들 중 일부는 전자잉크가 너무 어둡다고 불평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밖에 시야각이 넓어 어느 각도에서나 같은 화상을 볼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전자잉크의 단점은 디스플레이와 정지된 화면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사실 최근까지 대부분의 전자책은 흑백으로 출력되는 종이책을 그대로 옮겨오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크게 무리는 없었다. 하지만 태블릿 PC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나타나면서 전자잉크에도 변화가 필요해졌다. 2009년 후지쯔가 세계 최초로 컬러로 표시되는 전자잉크 단말기‘플레피아’를 선보이면서, 전자잉크에도 컬러 시대가 도래했다. 다만 아직까지 컬러 전자잉크는 풀컬러를 보여주는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발명은 단순히 번호판 상에만 e-ink를 이용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범위와 그 수단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유용한 정보를 무선 연결을 통하여 차량 대쉬 보드나 차량 후면 유리에 e-ink 유닛을 통해 표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는 e-ink를 생성하는 e-ink 유닛부; 상기 e-ink 유닛부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를 읽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차량 내부로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차량 내부로 상기 내부 표출용 정보를 표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e-link 유닛부를 통해 차량 대쉬 보드, 차량 전면 유리 및 차량 후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내부 표출 정보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방법은 e-ink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를 읽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차량 내부로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상기 내부 표출용 정보를 e-ink를 통해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e-ink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를 읽으며 모바일 기기에 차량 외부에 표출하려는 메시지가 없으면, 모바일 기기의 저장 정보를 e-ink를 통해 표출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번호판 상에 e-ink를 사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범위를 고객이 요구하는 수준까지 만족시킬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을 통해 차량 대쉬 보드에, 재난 정보, 개인 주가 정보, 날씨 정보, 개인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차량 후면 유리에 차량 외부에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여 고객 요구 수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자 등록 번호판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의 이 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는 e-ink 유닛부(110), 연결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e-ink 유닛부(110)는 e-ink를 생성한다. e-ink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도 그 전력 소모가 기존의 장치에 비하여 상당히 적고, 백라이트가 없어 반사광에 의해서 읽히기 때문에 눈의 피로도가 적고, 전원이 차단되어도 마지막에 표출한 정보를 유지하고 있어 지속적인 정보 전달에 용이하다.
연결부(120)는 e-ink 유닛부(110)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2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NFC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무선 연결이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150)를 읽고, 모바일 기기에 차량 내부로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차량 내부로 내부 표출용 정보를 표출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모바일 기기에 차량 외부로 표출하려는 메시지가 있으면 차량 후면 유리에 e-ink를 통해 메시지를 표출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의 지시에 따라 e-link 유닛부(110)를 통해 차량 대쉬 보드, 차량 전면 유리 및 차량 후면 유리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 정보를 표출한다.
내부 표출용 정보는 재난 경보 정보, 개인 설정 주가 정보, 지역 날씨 정보 및 개인 SN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e-ink가 활성화 상태인지 확인한다(S210).
구체적으로 e-ink 유닛부(110)를 통하여 활성화 상태인지 확인하며 e-ink가 ON 상태이면 활성화 상태이다.
다음으로, e-ink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S220). 구체적으로 연결부(120)는 NFC 통신,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사용자 A가 스마트폰을 가지고 탑승하면, 사용자 A의 스마트폰은 차량과 NFC 통신으로 연결된다.
이어,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150)를 읽는다(S23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150)를 읽으며, 모바일 기기의 클라우드 영역을 읽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A의 스마트폰의 저장부에는 재난 경보 정보, 개인 설정 주가 정보, 지역 날씨 정보 및 개인 SNS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A가 운전하는 지역에 번개가 동반한 강우가 예상되면, 재난 경보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재난 경보 정보를 읽는다. 또는 다른 사용자 B가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 A에게 송신하면, 송신한 문자 메시지가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읽는다.
계속하여, 모바일 기기에 차량 내부에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S24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에 차량 내부에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차량 내부에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모바일 기기의 저장 정보를 e-ink를 통해 표출한다(SS250). 예컨대 차량 내부에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사용자 A의 스마트폰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재난 경보 정보 또는 사용자 B가 송신한 문자 메시지를 e-ink 유닛부(110)를 통하여 차량 대쉬 보드에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A는 차량 대쉬 보드를 통해 번개를 동반한 강우가 곧 올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 B가 송신한 문자 메시지를 쉽게 읽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 차량 외부에 표출하려는 메시지가 있으면 메시지를 표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모바일 기기로부터 메시지를 획득한다(S260). 예컨대 사용자 A는 어린 조카를 자신의 차량을 통하여 유치원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사용자 A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지정된 앱을 통해 "아이가 타고 있어요"라는 메시지를 획득한다.
끝으로, 획득된 메시지를 e-ink를 통하여 차량 후면 유리에 표출한다(S270). 예컨대 "아이가 타고 있어요"라는 메시지는 e-ink를 통하여 차량 후면 유리에 표출되고, 뒤에 따르는 운전자는 차량 후면 유리에 표출된 메시지를 인지하고, 안전 거리를 유지하여 안전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e-ink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를 읽으며 모바일 기기에 차량 내부에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모바일 기기의 저장 정보를 e-ink를 통해 표출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번호판 상에 e-ink를 사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범위를 고객이 요구하는 수준까지 만족시킬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을 통해 차량 대쉬 보드에, 재난 정보, 개인 주가 정보, 날씨 정보, 개인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차량 후면 유리에 차량 외부에 알리려 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여 고객 요구 수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e-ink 유닛부 120 : 연결부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저장부

Claims (9)

  1. e-ink를 생성하는 e-ink 유닛부;
    상기 e-ink 유닛부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를 읽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가 내부 표출용 정보인지 외부 표출용 메시지인지 여부를 구별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차량 내부로 표출하려는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차량 대쉬 보드 또는 차량 전면 유리에 e-ink를 통해 상기 내부 표출용 정보를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상기 외부 표출용 메시지가 있으면 차량 후면 유리에 e-ink를 통해 상기 외부 표출용메시지를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출용 정보는
    재난 경보 정보, 개인 설정 주가 정보, 지역 날씨 정보 및 개인 SN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
    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NFC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5. (a) e-ink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를 읽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가 내부 표출용 정보인지 또는 외부 표출용 정보인지를 구별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차량 내부로 표출하려는 상기 내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상기 내부 표출용 정보를 e-ink를 통해 차량 전면 유리 또는 대쉬보드에 표출시키고, 상기 외부 표출용 정보가 있으면, 상기 외부 표출용 정보를 e-ink를 통해 차량 후면 유리에 표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클라우드 영역을 읽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방법.
KR1020130111061A 2013-09-16 2013-09-16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6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061A KR102066738B1 (ko) 2013-09-16 2013-09-16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061A KR102066738B1 (ko) 2013-09-16 2013-09-16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627A KR20150031627A (ko) 2015-03-25
KR102066738B1 true KR102066738B1 (ko) 2020-01-15

Family

ID=5302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061A KR102066738B1 (ko) 2013-09-16 2013-09-16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7901B (zh) * 2016-11-30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BE1024655B1 (nl) * 2017-03-23 2018-05-17 Rombit Nv Systeem, methode, inrichting en computerprogrammaproduct voor het delen van een parkeerplaats
CN112650463A (zh) * 2020-12-31 2021-04-13 安徽博大光通物联科技有限公司 基于无线方式的墨水屏远程信息投屏方法、设备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531A (ko) * 2011-04-13 2012-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KR20130002417U (ko) * 2011-10-13 2013-04-23 이미래테크 주식회사 후방 차량의 유도 및 경보를 위한 엘이디 표시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627A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9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KR20160057028A (ko)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10131094A1 (en) Adding and Displaying an Advertisement Content in an Electronic Book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1937143A (zh) 双面触摸液晶显示装置
KR102066738B1 (ko) e-ink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0278325B (zh) 通过显示器提供通知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EP3537691B1 (en) Mobile terminal and battery cover
US20150062147A1 (en) Display method for background of application program and mobile terminal
CN103064648A (zh) 通过云端更新电子纸屏幕显示的方法、装置及系统
CN103295483A (zh) 景区指示牌
CN103905623A (zh) 手机及其显示屏的显示控制方法
CN107018214A (zh) 一种具有双层显示屏的装置
CN202058423U (zh) 一种电子设备
CN205581783U (zh) 便携式电子设备
TW201303835A (zh) 顯示裝置
CN203965761U (zh) 一种双面液晶显示装置
CN206363557U (zh) 一种护眼的学习机
KR200491440Y1 (ko)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16239A5 (ko)
CN101840665B (zh) 电子阅读装置及其显示方法
CN202217489U (zh) 一种智能显示电路
CN103295482A (zh) 景区指示牌
KR20140005309U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버스운행정보 안내전광판 시스템
CN210575040U (zh) 显示装置电子纸显示系统
CN102097042A (zh) 于一电子书中放入广告与显示广告的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