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649B1 -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649B1
KR102066649B1 KR1020180053745A KR20180053745A KR102066649B1 KR 102066649 B1 KR102066649 B1 KR 102066649B1 KR 1020180053745 A KR1020180053745 A KR 1020180053745A KR 20180053745 A KR20180053745 A KR 20180053745A KR 102066649 B1 KR102066649 B1 KR 10206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smart headphone
correction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핑 자오
에이-에우 창
Original Assignee
핑 자오
에이-에우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핑 자오, 에이-에우 창 filed Critical 핑 자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04S3/004F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05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of digital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5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 H04S7/306For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7Use of position data from wide-area or local-area positioning systems in hearing devices, e.g. program or information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은, 사용자가 서버 장치에 의해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를 다운로드해 휴대 장치에 인스톨시키고, 휴대 장치와 스마트 헤드폰 장치가 페어링되어 사용자가 휴대 장치의 등록 모듈을 사용해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착용하면, 휴대 장치의 청력 검사 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좌우측 귀에 대한 청력 검사를 행하고 검사 결과가 생성되어,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자동 보정 유니트에 의해 검사 결과에 대한 자동 보정이 행해지고, 그 후에 휴대 장치의 수동 보정 모듈에 의한 보정을 행하고,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휴대 장치의 취향 설정 모듈에 의해 음향 효과 모드를 조정해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가 완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PERSONALIZED SYSTEM OF SMART HEADPHON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personalized system)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서버 장치,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 휴대 장치 및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사용 방법을 사용자의 청력 및 취향에 맞추어 사용자 전용으로 개인화 가능한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의 부단한 발전에 따라, 더욱 많은 사람들이 개인용 휴대 장치를 이용해 온라인으로 직접 음악을 듣거나 음악 파일을 개인용 휴대 장치에 다운로드해 듣고 있다. 이와 함께,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헤드폰 장치가 개인용 휴대 장치의 필수품이 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음악을 깨끗하고 기분 좋게 듣기 위해 헤드폰 장치의 재생 음량을 조정하는데, 종래의 헤드폰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좌우측 귀에 대한 재생 음량을 일률적으로 조정할 수 밖에 없었다. 양쪽 눈의 시력이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좌우측 귀의 청력에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좌우 서로 다른 청력에 대해 재생 음량을 조정함으로써 청력 장애가 일어나지 않게 할 필요가 있지만, 사용시에 매번 좌우측 귀의 헤드폰의 재생 음량을 다시 조정하는 것은 사용자에 있어서 매우 불편했다.
또한, 개인에 따라 청각의 감수성도 달라, 고음을 좋아하는 사람이나 중저음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종래의 헤드폰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결점이 개선 가능하다고 생각하여,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을 사용자의 청력 및 취향에 맞추어 사용자 전용으로 개인화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합리적 설계로 상기 과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즉, 서버 장치,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 휴대 장치 및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사용 방법을 사용자의 청력 및 취향에 맞추어 사용자 전용으로 개인화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개인화한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착용하고 음악이나 방송을 청취함으로써 사용자의 양쪽 귀의 청력 차이의 문제를 해결한다. 음량을 매번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 외에, 사용자의 양쪽 귀에 부적당한 음량으로 음악을 듣는 것에 의한 청력 장애의 발생도 막고, 또한 음악을 듣는 주파수를 사용자 취향의 설정에 기초해 조정하여 사용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음악을 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외부 환경의 노이즈에 대한 샘플링, 분석 및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분석 결과에 기초해 헤드폰 유니트의 음량을 조정하여, 이지리스닝(Easy-Listening) 기능을 제공한다. 또는, 분석 결과에 기초해 외부 환경의 노이즈를 억제하는 신호를 헤드폰 유니트로 전송하여, 능동적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ling) 기능을 제공한다. 모든 기능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깨끗하게 음악을 듣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가장 좋은 리스닝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정기 검사 기능을 구비해, 사용자의 청력 변화를 검사함과 함께, 그 변화에 기초해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설정을 조정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은,
내부에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가 저장되고,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는, 사용자로부터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등록하기 위해 이용되는 등록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청력 검사를 행하고 검사 결과를 생성시키기 위한 청력 검사 모듈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해 수동 보정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동 보정 모듈과, 상기 사용자가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음향 효과 모드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설정 완료 후에 상기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한 개인화 설정을 형성하는 취향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장치와,
제1 송신 유니트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서버 장치에 의해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가 다운로드되어 인스톨되는 휴대 장치와,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송신 유니트와 페어링되어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신함과 함께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전송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명령이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제2 송신 유니트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대응하는 신호를 발신해 상기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하는 헤드폰 유니트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청력 검사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검사 결과에 기초해 자동 보정을 행하는 자동 보정 유니트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개인화 설정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유니트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유니트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는, 외부 환경의 노이즈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샘플링 유니트와, 상기 샘플링 유니트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외부 환경의 노이즈 변화를 분석해 분석 신호를 발신하고, 또한 상기 분석 신호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중앙 처리 장치가 상기 분석 신호에 기초해 상기 헤드폰 유니트의 재생 음량을 조정하도록 하는 샘플링 신호 처리 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니트는 상기 분석 신호에 기초해 상기 헤드폰 유니트의 재생 음량 및 주파수의 조정을 실시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헤드폰 유니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헤드폰 유니트로부터 재생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앰프 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성 위치측정 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성 위치측정 유니트에 의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현재 위치가 취득되어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출력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등록 모듈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데이터란이 설정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란은 사용자명,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성별, 연령, 직업 및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일련번호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기능 선택 모듈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서버 장치로부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가 다운로드되어 휴대 장치에 인스톨되고, 상기 휴대 장치와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페어링시켜 페어링 프로세스를 완성하는 제1 공정과,
등록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 장치의 등록 모듈을 이용해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공정과,
청력 검사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장치의 청력 검사 모듈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귀의 청력을 검사해 검사 결과가 생성되는 제3 공정과,
청각 보정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우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자동 보정 유니트에 의해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한 자동 보정이 행해지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계속해서 상기 휴대 장치의 수동 보정 모듈에 의한 보정이 행해지는 제4 공정과,
취향 설정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상기 휴대 장치의 취향 설정 모듈에 의한 음향 효과 모드의 조정이 행해지고, 설정 완료 후에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가 완성되는 제5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등록 모듈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데이터란이 설정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란은 사용자명,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성별, 연령, 직업 및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일련번호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청력 검사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 및 검사 상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준비 상태에서는,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음량을 최저까지 낮추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샘플링 유니트를 소정 위치로 조정해 환경의 노이즈를 검사하여, 검출된 상기 환경의 노이즈가 규정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검사 상태로 전환하고, 검출된 상기 환경의 노이즈가 상기 규정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검사 상태로 전환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검사 상태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사용해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발신된 음성 신호를 듣고, 상기 사용자는 매회 한쪽 귀로 상기 음성 신호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신호를 들었을 경우, 상기 휴대 장치의 확인 버튼을 눌러 확인 메시지를 발신하게 하고, 또한 상기 휴대 장치는 상기 음성 신호와 다른 주파수 또는 음량의 음성 신호를 다시 발신해 복수 회 검사를 행한 후에 상기 휴대 장치에 상기 검사 결과가 표시되고, 동시에 상기 검사 결과가 상기 스토리지 유니트에 저장되고, 상기 휴대 장치에 의해 상기 서버 장치에 업로드되어 저장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양쪽 귀의 검사가 완료되어 상기 검사 결과가 생성된 후에 상기 청각 보정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상기 청각 보정 프로세스는 청각 곡선 보정, 청각 역치 감도 보정, 평형 보정 및 음원 위치 보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청각 곡선 보정 및 상기 청각 역치 감도 보정은 상기 자동 보정 유니트에 의해 자동 보정이 행해지고, 상기 평형 보정 및 상기 음원 위치 보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동 보정 모듈을 사용해 보정이 행해진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음향 효과 모드는 뉴스 모드, 클래식 모드, 팝 음악 모드, 로큰롤 모드 및 중저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기능 선택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모듈을 사용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받는 프로세스인 제6 공정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능은 능동적 노이즈 캔슬링 기능 및 이지리스닝 기능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의 기능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등록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나타낸 청력 검사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b는 도 2에 나타낸 청력 검사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c는 도 2에 나타낸 청력 검사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d는 도 2에 나타낸 청력 검사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나타낸 수동 보정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 2에 나타낸 수동 보정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c는 도 2에 나타낸 수동 보정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취향 설정 모듈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이 기능 선택 모듈을 실행하는 경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각 실시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버 장치(100) 내에는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200)가 저장되고,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200)는 등록 모듈(21), 청력 검사 모듈(22), 수동 보정 모듈(23) 및 취향 설정 모듈(24)을 구비한다. 상기 등록 모듈(21)은 사용자로부터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등록하기 위해 사용된다(도 3 참조, 상기 등록 모듈(21)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데이터란이 설정되고, 상기 데이터란은 사용자명,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성별, 연령, 직업 및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의 일련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청력 검사 모듈(22)은 상기 사용자의 청력 검사를 행하고 검사 결과를 생성시키기 위해 이용된다(도 4a 내지 도 4d 참조). 상기 수동 보정 모듈(23)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해 수동 보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상기 취향 설정 모듈(24)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음향 효과 모드를 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도 6 참조). 설정 완료 후에 상기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한 개인화 설정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는 기능 선택 모듈(25)을 더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휴대 장치(300)(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장치)는 제1 송신 유니트(31)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서버 장치(100)로부터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200)가 다운로드되어 상기 휴대 장치(300)에 인스톨된다.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는, 중앙 처리 장치(41);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송신 유니트(31)와 페어링되어 상기 휴대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신함과 함께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로 전송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에 의해 상기 명령이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제2 송신 유니트(42);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대응하는 신호를 발신해 상기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하는 헤드폰 유니트(43);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청력 검사 모듈에 의해 생성된 검사 결과에 기초해 자동 보정을 행하는 자동 보정 유니트(44);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개인화 설정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유니트(45);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유니트(46)를 구비한다.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는 오버이어(over-ear) 형태의 블루투스(Bluetooth) 헤드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을 이용해 개인 전용의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개인화된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착용하고, 휴대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휴대 음악 플레이어 등의 음성 신호를 재생 가능한 모든 장치에 접속해 음악이나 방송을 청취할 때, 사용자의 양쪽 귀의 청력차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매번 음량을 다시 조정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의 양쪽 귀가 부적당한 음량으로 음악을 듣는 것에 의해 청력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도 없어진다. 또한, 음악의 주파수가 사용자의 취향 설정에 기초해 조정됨으로써, 사용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는, 외부 환경의 노이즈를 수집하기 위한 집음 마이크인 적어도 1개의 샘플링 유니트(47); 상기 샘플링 유니트(47)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외부 환경의 노이즈 변화를 분석해 분석 신호를 발신하는 샘플링 신호 처리 유니트(48)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석 신호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로 전송되어,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가 상기 분석 신호에 기초해 상기 헤드폰 유니트(43)의 재생 음량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리가 너무 크거나 혹은 너무 작다고 느껴 음악을 쾌적하게 들을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니트(49)를 더 구비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니트(49)는 상기 분석 신호에 기초해 상당한 비율의 반대 방향 신호를 상기 헤드폰 유니트(43)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샘플링 유니트(47)가 외부 환경의 노이즈 샘플링을 실시한 후, 상기 샘플링 신호 처리 유니트(48)로 전송해 분석함과 함께 상기 분석 신호를 발신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니트(49)에 의해 반대 방향 신호가 상기 헤드폰 유니트(43)에 제공됨으로써, 헤드폰 유니트의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실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을 듣고 있는 도중에 외부 환경의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음악을 깨끗하게 들을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성 위치측정 유니트(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위성 위치측정 유니트(50)에 의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의 현재 위치가 취득되어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400)를 착용했을 때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하의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 서버 장치로부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가 다운로드되어 휴대 장치에 인스톨되고(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장치), 상기 휴대 장치와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페어링시켜 페어링 프로세스를 완성하는 제1 공정(S1). 등록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 장치의 등록 모듈을 이용해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공정(S2). 청력 검사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장치의 청력 검사 모듈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귀의 청력을 검사해 검사 결과가 생성되는 제3 공정(S3). 청각 보정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우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자동 보정 유니트에 의해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한 자동 보정이 행해지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계속해서 상기 휴대 장치의 수동 보정 모듈에 의한 보정이 행해지는 제4 공정(S4). 취향 설정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상기 휴대 장치의 취향 설정 모듈에 의한 음향 효과 모드의 조정이 행해지고, 설정 완료 후에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가 완성되는 제5 공정(S5).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휴대 장치 및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페어링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상기 등록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등록 모듈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데이터란이 설정된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데이터란은 사용자명,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성별, 연령, 직업 및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일련번호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전술한 각 데이터란의 입력을 완료하면 등록도 완료한다.
등록 프로세스의 완료 후, 사용자의 청력 검사를 위해 청력 검사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상기 청력 검사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 및 검사 상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준비 상태에서는(도 4a 참조), 우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음량을 최저까지 낮추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샘플링 유니트가 소정의 위치로 조정되어 환경의 노이즈를 검사한다. 검출된 상기 환경의 노이즈가 낮은 경우는 상기 검사 상태로 전환되고, 검출된 상기 환경의 노이즈가 높은 경우는 상기 검사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다. 상기 검사 상태로 전환된 경우(도 4b 및 도 4c 참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사용해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발신된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다. 상기 음성 신호간의 주파수 또는 음량의 차이에 의해, 상기 사용자는 매회 한쪽 귀로 상기 음성 신호를 듣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신호를 들었을 경우에는 상기 휴대 장치의 확인 버튼을 눌러(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는 "들림") 확인 메시지를 발신시킨다. 그 후, 상기 휴대 장치에 의해 상기 음성 신호와 다른 주파수 또는 음량의 음성 신호가 발신되어, 여러 차례 검사가 행해진 후, 상기 휴대 장치에 상기 검사 결과가 표시되고(도 4d에 나타낸 좌우측 귀의 청각 곡선), 동시에 상기 검사 결과가 상기 스토리지 유니트에 저장되고 상기 휴대 장치에 의해 상기 서버 장치에 업로드되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양쪽 귀의 검사가 완료되어 상기 검사 결과가 생성된 후, 계속해서 청각 보정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우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자동 보정 유니트에 의해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한 자동 보정이 행해지고, 또한 청취 음량이 설정되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 장치의 수동 보정 모듈을 이용해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청각 보정 프로세스는 청각 곡선 보정, 청각 역치 감도 보정, 평형 보정(도 5a 참조) 및 음원 위치 보정(도 5b 참조)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청각 곡선 보정 및 상기 청각 역치 감도 보정에서는 상기 자동 보정 유니트에 의해 자동 보정이 실행되어, 예를 들면, 트랜드에 맞추어 미세 조정됨과 함께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에 의해 어느 쪽 귀를 기준으로 할 것인지 자동적으로 판단된다. 검사 결과가 오른쪽 귀의 고음역 및 왼쪽 귀의 저음역이 정상인 경우, 오른쪽 귀에 대한 저음 및 왼쪽 귀에 대한 고음의 보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상기 평형 보정 및 상기 음원 위치 보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동 보정 모듈을 사용해 보정을 행하고, 사용자가 음성을 머리 중앙 위치에서 발신되도록 미세 조정을 행한 후, 보정된 음악 및 보정되지 않은 음악을 각각 재생해 사용자가 듣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정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도 5c 참조).
마지막으로, 취향 설정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는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상기 휴대 장치의 취향 설정 모듈을 사용해 음향 효과 모드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음향 효과 모드는 뉴스 모드, 클래식 모드, 팝 음악 모드, 로큰롤 모드 및 중저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다. 설정 완료 후에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가 완료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 방법에 의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청력에 대한 교정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개인화된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휴대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휴대 음악 플레이어 등의 음성 신호가 재생 가능한 모든 장치에 접속시켜 음악이나 방송을 들을 때, 사용자의 양쪽 귀의 청력차이의 문제가 해결되기 때문에, 매회 음량을 다시 조정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의 양쪽 귀가 부적당한 음량으로 음악을 듣는 것에 의한 청각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도 없어지며, 또한 음악의 주파수도 사용자의 취향 설정에 기초해 조정되어, 사용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한 리스닝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은, 기능 선택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능 선택 모듈을 사용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받는 프로세스인 제6 공정(S6)을 더 포함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능은 능동적 노이즈 캔슬링 기능 및 이지리스닝 기능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절환 가능하다. 능동적 노이즈 캔슬링 기능에서는, 샘플링 유니트가 외부 환경의 노이즈에 대한 샘플링을 행한 후, 상기 샘플링 신호 처리 유니트로 전송해 분석하여 상기 분석 신호가 발신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니트가 제공하는 반대 방향 신호가 상기 헤드폰 유니트로 송신되어, 사용자가 음악을 듣고 있는 도중에 외부 환경의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음악을 깨끗하게 들을 수 있다. 이지리스닝 기능에서는, 샘플링 유니트에 의해 외부 환경의 노이즈의 샘플링을 행한 후, 상기 샘플링 신호 처리 유니트로 전송해 분석하여 상기 분석 신호가 발신되고,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분석 신호에 기초해 상기 헤드폰 유니트의 재생 음량의 조정을 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을 듣는 도중에 환경의 노이즈가 변화한 경우(노이즈가 커지거나 혹은 작아지는 경우),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는 즉시 상기 헤드폰 유니트의 재생 음량을 조정하여(음량을 높이거나 혹은 낮춘다), 사용자가 음악을 깨끗하고 쾌적하게 들을 수 있게 된다.
그 외, 사용자가 음악을 제1 소정 시간(예를 들면, 60분) 계속해서 들었을 경우, 휴대 장치에 저장된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가 자동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발신한다. 예를 들면, 휴대 장치의 스크린에 "귀를 10분간 쉬게 해 주세요" 등의 문자가 표시되고, 동시에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헤드폰 유니트에 의해 특별한 경고음이 발신된다. 또한, 제2 소정 시간(예를 들면, 120분)을 넘게 계속해서 들었을 경우, 휴대 장치에 저장되는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가 자동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발신한다. 휴대 장치의 스크린에는 "귀를 10분간 쉬게 해 주세요" 등의 문자가 표시되고,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헤드폰 유니트에 의해 특별한 경고음이 발신된다. 제3 소정 시간(예를 들면, 5분)을 넘게 더 들었을 경우에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가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이와 같이, 귀의 건강을 지키는 경고 기능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일정 날짜(예를 들면, 90일) 사용했을 경우, 기동시에 휴대 장치의 스크린에 경고문이 표시되어, 예를 들면 "청력 검사를 해 주세요"라고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공정(S2) 내지 제5 공정(S5)의 검사나 조정 등의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하고, 매회의 검사 및 조정 결과가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스토리지 유니트 및 서버 장치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청력 변화의 정기 검사를 행함과 함께 그 변화에 따라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설정이 조정되어 스마트 헤드폰 장치가 가장 좋은 리스닝 상태로 유지된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은, 서버 장치,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 휴대 장치 및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사용 방법(페어링, 등록, 청력 검사, 청각 보정, 취향 설정)이 사용자의 청력 및 취향에 맞추어 사용자 전용으로 개인화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로서, 사용자가 개인화된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착용해 음악이나 방송을 청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양쪽 귀의 청력차이의 문제가 해결되기 때문에 매회 음량을 조정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의 양쪽 귀가 부적당한 음량으로 음악을 듣는 것에 의해 청각 장애를 일으키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음악의 주파수는 사용자의 취향 설정에 기초해 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을 더 제공하고, 외부 환경의 노이즈에 대한 샘플링, 분석 및 처리를 행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해 헤드폰 유니트의 음량이 조정되어 이지리스닝 기능이 제공된다. 또는, 분석 결과에 기초해 외부 환경의 노이즈를 억제시키는 신호가 헤드폰 유니트로 전송되어, 능동적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제공된다. 모두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쾌적하게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가장 좋은 리스닝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정기 검사 기능을 구비해, 사용자의 청력 변화를 검사함과 함께, 그 변화에 기초해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설정을 조정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당해 기술 분야를 숙지하는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시킴과 동시에 이를 실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실시하는 각종 같은 효과를 갖는 개량 또는 변경은, 후술하는 청구항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00: 서버 장치
200: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
21: 등록 모듈
22: 청력 검사 모듈
23: 수동 보정 모듈
24: 취향 설정 모듈
25: 기능 선택 모듈
300: 휴대 장치
31: 제1 송신 유니트
400: 스마트 헤드폰 장치
41: 중앙 처리 장치
42: 제2 송신 유니트
43: 헤드폰 유니트
44: 자동 보정 유니트
45: 스토리지 유니트
46: 급전 유니트
47: 샘플링 유니트
48: 샘플링 신호 처리 유니트
49: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니트
50: 위성 위치측정 유니트
S1: 제1 공정
S2: 제2 공정
S3: 제3 공정
S4: 제4 공정
S5: 제5 공정
S6: 제6 공정

Claims (17)

  1. 내부에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가 저장되고,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는, 사용자로부터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등록하기 위해 이용되는 등록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청력 검사를 행하고 검사 결과를 생성시키기 위한 청력 검사 모듈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해 수동 보정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동 보정 모듈과, 상기 사용자가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음향 효과 모드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설정 완료 후에 상기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한 개인화 설정을 형성하는 취향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장치와,
    제1 송신 유니트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서버 장치에 의해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가 다운로드되어 인스톨되는 휴대 장치와,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송신 유니트와 페어링되어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신함과 함께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전송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명령이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제2 송신 유니트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대응하는 신호를 발신해 상기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하는 헤드폰 유니트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청력 검사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검사 결과에 기초해 자동 보정을 행하는 자동 보정 유니트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개인화 설정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유니트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유니트와,
    외부 환경의 노이즈를 수집하는 적어도 1개의 샘플링 유니트와,
    상기 샘플링 유니트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외부 환경의 노이즈의 변화를 분석해 분석 신호를 발신하고, 또한 상기 분석 신호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중앙 처리 장치가 상기 분석 신호에 기초해 상기 헤드폰 유니트의 재생 음량을 조정하도록 하는 샘플링 신호 처리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니트는 상기 분석 신호에 기초해 반대 방향 신호를 상기 헤드폰 유니트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성 위치측정 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성 위치측정 유니트에 의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현재 위치가 취득되어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데이터란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란은 사용자명,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성별, 연령, 직업 및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기능 선택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8. 사용자에 의해 서버 장치로부터 헤드폰 개인화 애플리케이션 유니트가 다운로드되어 휴대 장치에 인스톨되고, 상기 휴대 장치와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페어링시켜 페어링 프로세스를 완성하는 제1 공정과,
    등록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 장치의 등록 모듈을 이용해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공정과,
    청력 검사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장치의 청력 검사 모듈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좌우측 귀의 청력을 검사해 검사 결과가 생성되는 제3 공정과,
    청각 보정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우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자동 보정 유니트에 의해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한 자동 보정이 행해지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계속해서 상기 휴대 장치의 수동 보정 모듈에 의한 보정이 행해지는 제4 공정과,
    취향 설정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상기 휴대 장치의 취향 설정 모듈에 의한 음향 효과 모드의 조정이 행해지고, 설정 완료 후에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가 완성되는 제5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청력 검사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 및 검사 상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준비 상태에서는,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음량을 최저까지 낮추고,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샘플링 유니트를 소정 위치로 조정해 환경의 노이즈를 검사하여, 검출된 상기 환경의 노이즈가 규정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검사 상태로 전환하고, 검출된 상기 환경의 노이즈가 상기 규정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검사 상태로 전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데이터란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란은 사용자명,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성별, 연령, 직업 및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상태에서는,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를 사용해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발신된 음성 신호를 듣고, 상기 사용자가 매회 한쪽 귀로 상기 음성 신호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신호를 들었을 경우, 상기 휴대 장치의 확인 버튼을 눌러 확인 메시지를 발신하게 하고, 또한 상기 휴대 장치는 상기 음성 신호와 다른 주파수 또는 음량의 음성 신호를 다시 발신해 복수 회 검사를 행한 후에 상기 휴대 장치에 상기 검사 결과가 표시되고, 동시에 상기 검사 결과가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구비된 스토리지 유니트에 저장되고, 상기 휴대 장치에 의해 상기 서버 장치에 업로드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양쪽 귀의 검사가 완료되어 상기 검사 결과가 생성된 후에 상기 청각 보정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상기 청각 보정 프로세스는 청각 곡선 보정, 청각 역치 감도 보정, 평형 보정 및 음원 위치 보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청각 곡선 보정 및 상기 청각 역치 감도 보정은 상기 자동 보정 유니트에 의해 자동 보정이 행해지고, 상기 평형 보정 및 상기 음원 위치 보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동 보정 모듈을 사용해 보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효과 모드는 뉴스 모드, 클래식 모드, 팝 음악 모드, 로큰롤 모드 및 중저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기능 선택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모듈을 사용해 상기 스마트 헤드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받는 프로세스인 제6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능동적 노이즈 캔슬링 기능 및 이지리스닝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의 사용 방법.
KR1020180053745A 2017-05-10 2018-05-10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KR102066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15433 2017-05-10
TW106115433A TWI637314B (zh) 2017-05-10 2017-05-10 智慧型耳機裝置個人化系統及其使用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649B1 true KR102066649B1 (ko) 2020-01-15

Family

ID=6215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745A KR102066649B1 (ko) 2017-05-10 2018-05-10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332391A1 (ko)
EP (1) EP3402215A1 (ko)
JP (1) JP6633681B2 (ko)
KR (1) KR102066649B1 (ko)
TW (1) TWI6373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9308B2 (ja) * 2018-10-18 2021-04-14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US10959022B1 (en) 2020-02-06 2021-03-23 Disney Enterprises, Inc. Adjusting the output of headphones based on external inputs
CN111820909B (zh) * 2020-07-31 2023-02-24 山西见声科技有限公司 听力测试方法及系统
CN115209292A (zh) * 2021-04-14 2022-10-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信号补偿方法及装置、耳机、存储介质
CN117278610B (zh) * 2023-11-21 2024-01-30 深圳市鑫科美达通讯有限公司 一种智能耳机的设备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917A (ko) * 2010-08-05 2013-05-06 하스피탈 오소리티 자체 관리 소리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40334644A1 (en) * 2013-02-11 2014-11-13 Symphonic Audio Technologies Corp. Method for augmenting a listening experience
WO2015047426A1 (en) * 2013-09-26 2015-04-02 Thomson Licensing Headset with integrated parameter storage
WO2016133727A1 (en) * 2015-02-20 2016-08-2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Personalized headphones
WO2016166743A1 (en) * 2015-04-17 2016-10-20 Meq Inc. A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a self-administered hearing test
WO2017035636A1 (en) * 2015-09-01 2017-03-09 Keewave Corporation Earphon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1024B2 (en) * 2000-11-02 2007-03-13 Yamaha Coproration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apparatus and system based on such remote control
JP2003304590A (ja) * 2002-04-10 2003-10-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モコン装置と音量調整方法および音量自動調整システム
US20090047993A1 (en) * 2007-08-14 2009-02-19 Vasa Yojak H Method of using music metadata to save music listening preferences
US8290537B2 (en) * 2008-09-15 2012-10-16 Apple Inc. Sidetone adjustment based on headset or earphone type
US9069908B2 (en) * 2009-03-16 2015-06-30 Apple Inc. Accessory and mobile computing device communication using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protocol
EP2521377A1 (en) * 2011-05-06 2012-11-07 Jacoti BVB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ith hearing suppor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US9516407B2 (en) * 2012-08-13 2016-12-06 Apple Inc. Active noise control with compensation for error sensing at the eardrum
US9129588B2 (en) * 2012-09-15 2015-09-08 Definitive Technology, Llc Configurable noise cancelling system
KR102006734B1 (ko) * 2012-09-21 2019-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신호의 처리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US9344815B2 (en) * 2013-02-11 2016-05-17 Symphonic Audio Technologies Corp. Method for augmenting hearing
CA2905330A1 (en) * 2013-03-15 2014-09-25 Thx Ltd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sound field at specified positions within a given listening space
US9107016B2 (en) * 2013-07-16 2015-08-11 iHear Medical, Inc. Interactive hearing aid fitting system and methods
US9326706B2 (en) * 2013-07-16 2016-05-03 iHear Medical, Inc. Hearing profile test system and method
US9681212B2 (en) * 2013-11-01 2017-06-13 Global Drumz, Inc. Headphones with multiple equalization presets for different genres of music
US20150382123A1 (en) * 2014-01-16 2015-12-31 Itamar Jobani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ersonalized earphone
US9420087B2 (en) * 2014-09-02 2016-08-16 Apple Inc. Notifications with custom user interface
CN107004041B (zh) * 2014-11-20 2021-06-29 唯听助听器公司 助听器用户账户管理
US9508335B2 (en) * 2014-12-05 2016-11-29 Stages Pcs, Llc Active noise control and customized audio system
US10667062B2 (en) * 2015-08-14 2020-05-26 Widex A/S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a hearing aid
US9497530B1 (en) * 2015-08-31 2016-11-15 Nura Holdings Pty Ltd Personalization of auditory stimulus
CN107172511A (zh) * 2016-03-08 2017-09-15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智能安全耳机
KR20170106047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환경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97156A1 (en) * 2016-05-11 2017-11-16 Ossi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calibrating earphon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917A (ko) * 2010-08-05 2013-05-06 하스피탈 오소리티 자체 관리 소리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40334644A1 (en) * 2013-02-11 2014-11-13 Symphonic Audio Technologies Corp. Method for augmenting a listening experience
WO2015047426A1 (en) * 2013-09-26 2015-04-02 Thomson Licensing Headset with integrated parameter storage
WO2016133727A1 (en) * 2015-02-20 2016-08-2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Personalized headphones
WO2016166743A1 (en) * 2015-04-17 2016-10-20 Meq Inc. A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a self-administered hearing test
WO2017035636A1 (en) * 2015-09-01 2017-03-09 Keewave Corporation Earphon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91296A (ja) 2018-11-29
TW201901411A (zh) 2019-01-01
US20180332391A1 (en) 2018-11-15
JP6633681B2 (ja) 2020-01-22
TWI637314B (zh) 2018-10-01
EP3402215A1 (en)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649B1 (ko)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US20230111715A1 (en) Fi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earing earphone
US84470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ometric assessment and user-specific audio enhancement
US7564979B2 (en) Listener specific audio reproduction system
US20100020988A1 (en) Individual audio receiver programmer
US11818545B2 (en) Method to acquire preferred dynamic range function for speech enhancement
US20180098720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a Self-Administered Hearing Test
JP6877919B2 (ja) 聴力の生理状況に基づいてイコライザーの設定を調整できる電子機器及び音声再生装置
US20220201404A1 (en) Self-fit hearing instruments with self-reported measures of hearing loss and listening
JP3217231U (ja) 多機能スマートヘッドフォン装置の設定システム
US11122354B2 (en) Hearing sensitivity acquisition methods and devices
KR101995670B1 (ko) 지향성 채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CN109218877B (zh) 智能型耳机装置个人化系统及其使用方法
CN109218875B (zh) 具定向交谈功能的智能型耳机装置个人化系统及使用方法
TWM552655U (zh) 供使用者定向交談之智慧型耳機裝置個人化系統
TWM552614U (zh) 智慧型耳機裝置個人化系統
TWI628652B (zh) Intelligent earphone device personalization system for users to safely go out and use method thereof
US11653137B2 (en) Method at an electronic device involving a hearing device
US11985467B2 (en) Hearing sensitivity acquisition methods and devices
TWM552656U (zh) 供使用者安全外出之智慧型耳機裝置個人化系統
US20190090057A1 (en) Audio processing device
CN115361614A (zh) 一种基于耳机的声音补偿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