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607B1 - 조명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607B1
KR102066607B1 KR1020120073698A KR20120073698A KR102066607B1 KR 102066607 B1 KR102066607 B1 KR 102066607B1 KR 1020120073698 A KR1020120073698 A KR 1020120073698A KR 20120073698 A KR20120073698 A KR 20120073698A KR 102066607 B1 KR102066607 B1 KR 10206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trol device
lighting
lighting control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528A (ko
Inventor
윤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60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예의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는, 조명 기구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및 조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 및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조명 제어 장치는 제어 모드보다 대기 모드에서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Description

조명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
실시예는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같은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기존의 조명 제어 장치는 조명 기구를 제어하기 위해 항상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전력 효율이 낮다.
게다가, 기존의 조명 제어 장치는 조명 기구 각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명 제어 장치의 재료, 설치 및 관리 비용이 증가한다.
게다가, 기존의 조명 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므로, 외부 구동 전원을 받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 즉,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지역에서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기구를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적인 제약도 따른다.
실시예는 절전형 셀프 구동 조명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기구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및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 및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드보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또한,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제어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어 모드로부터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킨다.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대기 모드에서 동작하거나 상기 제어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받은 밝기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기구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 모드보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고, 상기 조명 기구는 상기 밝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되거나, 빛의 세기를 조절한다.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밝기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기구로 송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RF 무선 통신 또는 지그 비(zigbee)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상기 조도 감지부는 상기 조명 기구 주위의 조도에 상응하는 레벨을 갖는 전압을 상기 감지된 결과로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도 감지부는 일출 직후 일정 기간 동안에 제1 레벨을 갖고, 일몰 직전 일정 기간 동안에 제2 레벨을 갖고, 일출 직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부터 일몰 직전 일정 기간이 도달할 때까지 제3 레벨을 갖고, 일몰 직후부터 상기 일출 직전까지 제4 레벨을 갖는 전압을 상기 감지된 결과로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3 또는 제4 레벨을 갖는 전압이 발생될 때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또는 제2 레벨을 갖는 전압이 발생될 때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상기 제어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도 감지부는 일출 직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부터 일몰 직전 일정 기간의 시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조도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를 때 제5 레벨을 갖는 전압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5 레벨을 갖는 전압이 발생될 때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상기 제어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자연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에너지 발생부; 상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 및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 전압을 상기 조명 제어 장치 각 부의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구역별로 할당되고, 상기 각 구역에는 상기 조명 기구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고, 상기 밝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각 구역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구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기 에너지의 량에 따라, 슬레이브 모드, 마스터 모드 및 동작 불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슬레이브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타 구역에 할당된 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받은 타 밝기 제어 신호를 자신의 구역에 설치된 상기 조명 기구로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모드에서, 상기 타 조명 제어 장치의 도움없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받은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밝기 제어 신호를 자신의 구역에 설치된 상기 조명 기구로 전송하고, 상기 동작 불능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마스터로 선정된 타 조명 제어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를 자신의 구역에 설치된 상기 조명 기구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기 에너지의 량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모드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모드나 상기 동작 불능 모드로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슬레이브 모드로부터 상기 마스터 모드나 상기 동작 불능 모드로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키거나, 또는 동작 불능 모드로부터 상기 마스터 모드나 슬레이브 모드로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타 구역에 배치된 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받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고유 식별 번호와 상기 밝기 제어 신호를 함께 상기 타 조명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의 조명 제어 방법은, 상기 조명 기구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명 기구 주위의 조도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때,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명 기구 주위의 조도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를 때, 상기 조명 기구를 턴 온시키거나, 턴 오프시키거나,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 모드로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드보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상기 제어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조도에 상응하는 전압의 변화량이 양의 제1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조명 기구를 턴 온시키거나 딤 업(dim up)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화량이 음의 제2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조명 기구를 턴 오프시키거나 딤 다운(dim down)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제어 방법은 자연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전기 에너지에 상응하는 전압을 상기 조명 제어 장치 각 부를 동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제어 방법은, 상기 저장된 상기 전기 에너지의 량이 최소값보다 적을 때, 타 구역에 배치된 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받은 타 밝기 제어 신호를 자신의 구역에 설치된 상기 조명 기구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모드로 조명 제어 장치를 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량이 상기 최소값 이상일 때,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마스터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상기 슬레이브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 조명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조명 제어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와 타 밝기 제어 신호를 요청하여 받는 단계; 가장 큰 레벨의 타 밝기 제어 신호를 송출한 타 조명 제어 장치를 마스터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로 선정된 타 조명 제어 장치가 송출한 상기 타 밝기 제어 신호를 자신의 구역에 설치된 상기 조명 기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제어 방법은, 타 구역에 배치된 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들어오고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조명 제어 장치 자신의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밝기 제어 신호를 함께 상기 타 조명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조명 제어 장치는 항상 일정한 전력을 소모하는 기존의 조명 제어 장치와 비교할 때, 일출 직후 일정 기간 및 일몰 직전 일정 기간 동안 이외의 시간에 대기 상태로 진입하여 적은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적은 전력으로도 조명 기구를 제어할 수 있고,
태양, 바람 등과 같은 자연 에너지를 비축하고 이를 사용하여 구동하므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받을 필요가 없어 전기료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 에너지를 획득될 수 있으면 어느 공간에도 설치되어 조명 기구를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선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공비가 절감되고 설치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조명 기구 제어를 위한 원가를 줄일 수 있고,
복수의 조명 기구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명 기구마다 조명 제어 장치가 배치된 경우와 비교할 때, 조명 제어 장치의 재료, 설치 및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무선으로 조명 기구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통신선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공비가 절감되고 설치가 보다 용이하여 조명 기구 제어를 위한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기구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n 조명 제어 장치의 실시예에 의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시간대별 밝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기구의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어 박스의 실시예에 의한 블럭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슬레이브 모드와 마스터 모드로 제n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는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530 단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장치에서 절감되는 에너지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기구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N 조명 제어 장치(1001 내지 100N)는 제1 내지 제N 구역(2001 내지 200N)에 각각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N은 1 이상의 양의 정수이다. 각 구역(2001 ~ 200N)에는 조명 기구(200)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고, 해당하는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로부터 발생된 밝기 제어 신호(D1)에 의해 각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구(200)가 일괄적으로 제어된다.
즉, 제1 조명 제어 장치(1001)는 제1 구역(2001)에 할당되고, 제1 구역(2001)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구(200)를 밝기 제어 신호(D1)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어한다. 이와 비슷하게,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는 제n 구역(200n)에 할당되고, 제n 구역(200n)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구(200)를 일괄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1 ≤ n ≤ N 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지만,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 각각은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의 실시예(100A)에 의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선은 전력선을 나타내고, 점선은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라인이나 데이터가 전송되는 라인을 의미한다.
도 2에 예시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의 실시예(100A)는 조도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조도 감지부(110)는 제n 구역(200n)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구(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조명 기구(200)와 가깝게 위치하므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에 포함된 조도 감지부(110)의 조도와 조명 기구(200) 주위의 조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본다.
제어부(120)는 조도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대기(stand-by) 모드(mode) 및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동작시킨다.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제어 모드보다 대기 모드에서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제어 모드란,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가 조명 기구(200)의 밝기를 제어하고 대기 모드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대기 모드란,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가 조명 기구(200)의 밝기를 제어하지 않고 제어 모드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도 3은 시간대별 밝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횡축은 시간(t)을 나타내고 종축은 밝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320은 조명 기구(200)의 밝기의 변화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330은 외부 환경에 따른 조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조도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를 통해, 조명 기구(200) 주위의 조도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고 판단될 때, 제어부(120)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제어 모드로 진입시킨다. 이때, 제어부(120) 자체도 제어 모드로 진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출(303) 직후 일정 기간(304) 동안 및 일몰(309) 직전 일정 기간(308) 동안 조도(330)의 변화 속도는 다른 구간(302, 306, 310)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빠르다. 따라서, 이 구간(304, 308)에서 제어부(120)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제어 모드로 진입시킨다.
또는, 조도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를 통해, 조명 기구(200) 주위의 조도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지 않고 느리다고 판단될 때, 제어부(120)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구간(302, 306, 310) 동안 조도(330)의 변화 속도는 다른 구간(304, 308)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느리다. 따라서, 이 구간(302, 306, 310)에서 제어부(120)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킨다.
대기 모드 및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가 진입된 후, 조도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어부(120)는 대기 모드로부터 제어 모드로 또는 제어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동작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조도 감지부(110)는 조명 기구(200) 주위의 조도에 상응하는 레벨을 갖는 전압을 감지된 결과로서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조도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는 전압 형태(SV)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감지된 결과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도 감지부(11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된 결과인 전압(SV)은 일출(303) 직후 일정 기간(304) 동안에 제1 레벨(V1)을 가질 수 있다. 또는, 감지된 결과인 전압(SV)은 일몰(309) 직전 일정 기간(308) 동안에 제2 레벨(V2)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전압(SV)은 일출(303) 직후 일정 기간(304)이 경과한 후(t2)부터 일몰(309) 직전 일정 기간(308)의 시점(t3)에 도달할 때까지 즉, 구간(306) 동안에 제3 레벨(V3)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전압(SV)은 일몰(309) 직후부터 일출(303) 직전까지 즉, 구간(302 및 310)에서 제4 레벨(V4)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조도 감지부(110)로부터 제3 레벨(V3) 또는 제4 레벨(V4)을 갖는 전압(SV)이 발생될 때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대기 모드로 동작시킨다. 또는, 제어부(120)는 조도 감지부(110)로부터 제1 레벨(V1) 또는 제2 레벨(V2)을 갖는 전압(SV)이 발생될 때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제어 모드로 동작시킨다.
또는, 조도 감지부(110)는 일출(303) 직후 일정 기간(304)이 경과한 후(t2)부터 일몰(309) 직전 일정 기간(308)의 시점(t3)에 도달할 때까지 즉, 구간(306)에서 조도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를 때 제5 레벨(V5)을 갖는 전압(SV)을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조도 감지부(110)에서 제5 레벨(V5)을 갖는 전압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 시간(306) 동안 갑자기 천재 지변에 의해 조도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클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조도 감지부(110)로부터 제5 레벨(V5)을 갖는 전압이 발생될 때, 대기 모드에 있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제어 모드로 전환 동작시켜 조명 기구(200)를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통신부(130) 및 안테나(132)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통신부(130) 및 안테나(132)를 포함하는 대신에, 제n 구역(200n)에 설치된 조명 기구(20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어, 대기 모드에서 동작하거나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어 모드에서 통신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받은 밝기 제어 신호(D1)를 안테나(132)를 통해 제n 구역(200n)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구(200)로 전송한다. 제어부(120)와 마찬가지로 통신부(130) 역시 제어 모드보다 대기 모드에서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밝기 제어 신호를 조명 기구(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RF 무선 통신 또는 지그 비(zigbee)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제n 구역(200n)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구(200)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로부터 송출한 밝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밝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턴 온(turn-on)되거나, 턴 오프(turn-off)되거나,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 기구(20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제어 모드의 구간(304)에서 조명 기구(200)를 딤 다운(dim down)한 후 시점(t2)부터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제어 모드의 구간(308)에서 조명 기구(200)를 딤 업(dim up)한 후 시점(t4)부터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기구(200)의 주위의 빛의 밝기는 레벨(L1)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조명 기구(200)의 실시예(200A)의 외관,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조명 기구(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기구(200)의 실시예(200A)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어 박스(210)의 실시예(210A)에 의한 블럭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명 기구(200A)는 가로등일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조명 기구(200A)는 지주(226), 지주(226)의 상단부에서 그 상부면 상에 설치된 다수 개의 솔라 셀 모듈(224),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로부터 송출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조명 기구(200A)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박스(210) 및 지면을 향하도록 끼워져 고정 설치된 가로등 헤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등 헤드(220)의 저면 내측으로는 별도의 LED모듈(미도시)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조명 기구(200A)의 제어 박스(210A)는 안테나(212), 제어 신호 수신부(214) 및 밝기 제어부(216)를 포함한다.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로부터 송출된 밝기 제어 신호는 안테나(212)를 통해 제어 신호 수신부(214)로 수신된다. 제어 신호 수신부(214)는 수신된 밝기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잡음을 제거하거나 신호의 레벨을 증폭시켜 밝기 제어부(216)로 출력한다. 밝기 제어부(216)는 제어 신호 수신부(214)의 출력을 LED 모듈을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자 OUT를 통해 LED 모듈로 출력한다.
한편, 도 2에 예시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에너지 발생부(140), 에너지 저장부(150) 및 전원 변환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에너지 발생부(140), 에너지 저장부(150) 및 전원 변환부(160)를 포함하는 대신에, 필요한 전원을 자연 에너지가 아닌 다른 형태의 외부 소스 예를 들면, 대체 에너지 또는 연료 전지 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예시된 에너지 발생부(140)는 자연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결과를 에너지 저장부(15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자연 에너지는 수력 에너지, 태양 에너지, 풍력 에너지, 파력 에너지, 조력 에너지, 해양 온도차 발전 에너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 에너지가 태양 에너지일 경우, 에너지 발생부(14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전지인 솔라셀(solar cell)(142)이 될 수 있다. 솔라셀(142)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에너지 저장부(150)는 에너지 발생부(140)로부터 받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일종의 축전지이다. 에너지 저장부(150)는 전기 에너지를 과충전하지 않도록 에너지 저장부(150)를 자체를 보호하는 퓨즈(미도시) 같은 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 변환부(160)는 에너지 저장부(150)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 각 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전압(OV:Operating Voltage)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동작 전압을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해당하는 각 부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원 변환부(160)는 에너지 저장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제1, 제2 및 제3 동작 전압(OV1, OV2, OV3)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1, 제2 및 제3 동작 전압(OV1, OV2, OV3)을 조도 감지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로 각각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원 변환부(160)는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압을 정격 전압 예컨대, 7.3 볼트의 전압 또는 5 볼트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직류(DC/DC) 변환기(16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이러한 동작을 위해 전원 변환부(160)는 직류/직류 변환기(162) 대신에 레귤레이터(regulator)(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량에 따라, 슬레이브(slave) 모드, 마스터(master) 모드 및 동작 불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 모드란,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가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의 도움을 받아 제n 구역(200n)에 배치된 조명 기구(200)를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마스터 모드란,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가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의 도움 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제n 구역(200n)에 배치된 조명 기구(200)를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동작 불능 모드란,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가 제n 구역(200n)에 배치된 조명 기구(200)를 제어할 수 없는 모드를 의미한다.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가 마스터 모드 또는 동작 불능 모드로부터 슬레이브 모드로 진입한 후, 제어부(120)는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량에 따라, 슬레이브 모드로부터 마스터 모드 또는 동작 불능 모드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또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가 슬레이브 모드 또는 동작 불능 모드로부터 마스터 모드로 진입한 후, 제어부(120)는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량에 따라, 마스터 모드로부터 슬레이브 모드 또는 동작 불능 모드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전원 변환부(160)로부터 제공받은 제2 동작 전압(OV2)의 레벨을 통해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저장량을 감지할 수 있다.
마스터 모드에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의 제어부(120)는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의 도움없이 조도 감지부(110)로부터 받은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밝기 제어 신호(D1)를 생성하고, 생성된 밝기 제어 신호(D1)를 자신의 구역(200n)에 설치된 조명 기구(200)로 전송한다.
슬레이브 모드에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의 제어부(120)는 자신의 맡은 구역(200n)을 제외한 타 구역(2001 ~ 200n-1, 200n+1 ~ 200N)에 할당된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로부터 받은 타 밝기 제어 신호(D2)를 자신의 구역(200n)에 설치된 조명 기구(200)로 전송한다. 즉, 슬레이브 모드에서는,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에너지의 량이 자체적으로 밝기 제어 신호(D1)를 발생하기에 부족하므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가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에 의존하여 얻은 밝기 제어 신호(D2)를 자신이 제어하는 제n 구역(200n)의 조명 기구(200)로 전송한다. 슬레이브 모드의 다양한 실시례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조명 제어 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동작 불능 모드에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의 제어부(120)는 마스터로 선정된 타 조명 제어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ID)를 자신의 제n 구역(200n)에 배치된 조명 기구(200)로 전송한다. 즉, 동작 불능 모드에서는,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량이 슬레이브 모드조차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부족하므로, 타 조명 제어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ID)를 수신한 제n 구역(200n)에 배치된 조명 기구(200)는 마스터로 선정된 타 조명 제어 장치가 송신한 밝기 제어 신호(D1)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타 구역(2001 ~ 200n-1, 200n+1 ~ 200N)에 배치된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로부터 받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고유 식별 번호(ID)와 밝기 제어 신호(D1)를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밝기 제어 신호를 요청한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의 마스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 제어 장치는 조도 감지부(110)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조도 감지부(110)가 조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을 때,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의 도움으로 조도를 감지한 결과를 보정하고, 보정된 값을 이용하여 조명 기구(200)를 이상없이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도(330)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구간(304, 308) 동안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제어 모드로 동작하고, 조도(330)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약한 구간(302, 306, 310) 동안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제n 조명 제어 장치의 조명 제어 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조도 감지부(110)는 조명 기구(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한다(제410 단계).
제410 단계 후에, 제어부(120)는 조도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조도의 변화량을 구한다(제42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조명 기구(200) 주위의 조도에 상응하는 전압의 이전 레벨로부터 현재 레벨을 감산하여, 조도의 변화량을 구할 수 있다.
제420 단계 후에, 제어부(120)는 조명 기구(200) 주위의 조도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때,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킨다(제430, 제450, 제470 단계).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302, 306, 310)에서 조도(330)의 변화 속도(또는, 변화량 또는 기울기)는 구간(304, 308)에서의 조도(330)의 변화 속도(또는, 변화량 또는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느리다.
즉, 제420 단계 후에, 제어부(120)는 조도의 변화량이 양의 제1 임계값(TH1)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제430 단계). 만일, 조도의 변화량이 양의 제1 임계값(TH1) 보다 크지 않을 경우, 제어부(120)는 조도의 변화량이 음의 제2 임계값(-TH2)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제450 단계). 만일, 조도의 변화량이 음의 제2 임계값(-TH2)보다 작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자신을 비롯하여 조도 제어 장치(100A)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킨다(제470 단계). 전술한 제1 임계값(TH1)과 제2 임계값(TH2)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값(TH1)은 구간(308)에서 조도의 최소 기울기의 절대값이 될 수 있고, 제2 임계값(TH2)은 구간(304)에서 조도의 최소 기울기가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조명 기구(200) 주위의 조도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를 때,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를 제어 모드로 진입시킨다(제430 ~ 제460 단계).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304, 308)에서 조도(330)의 변화 속도(또는, 변화량이나 기울기)는 구간(302, 306, 310)에서의 조도(330)의 변화 속도(또는, 변화량이나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빠르다.
즉, 제420 단계 후에, 제어부(120)는 조도의 변화량이 양의 제1 임계값(TH1)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제430 단계). 만일, 감지된 조도에 상응하는 전압의 변화량이 양의 제1 임계값(TH1)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밝기 제어 신호(D1)를 발생하여 조명 기구(200)를 턴 온시키거나 딤 업(dim up)시킨다(제440 단계). 그러나, 조도의 변화량이 양의 제1 임계값(TH1)보다 크지 않을 때, 조도의 변화량이 음의 제2 임계값(-TH2)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제450 단계). 만일, 조도의 변화량이 음의 제2 임계값(-TH2)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밝기 제어 신호(D1)를 발생하여 조명 기구(200)를 턴 오프시키거나 딤 다운(dim down)시킨다(제460 단계).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20)가 제n 조명 제어 장치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킬 때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통신부(130)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20)는 제1 제어 신호(C1)를 발생하여, 전원 변환부(160)가 통신부(130)로 제공하는 제3 동작 전압(OV3)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전원 변환부(160)는 제1 대기 전원과 제1 제어 전원을 통신부(130)로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 전원이 전원 변환부(160)로부터 공급될 때,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밝기 제어 신호를 안테나(132)를 통해 조명 기구(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 전원보다 낮은 제1 대기 전원이 전원 변환부(160)로부터 공급될 때, 통신부(130)는 신호를 전송하는 대신에 즉시 동작 가능한 대기 상태에 머문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조도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1 제어 신호(C1)를 발생하고, 전원 변환부(160)는 제1 제어 신호(C1)에 응답하여, 제1 대기 전원 또는 제1 제어 전원을 통신부(130)로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대기 모드에서 통신부(130) 및/또는 전원 변환부(160)를 제어하여 전력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도 있지만, 자신에서 소모되는 전력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절감할 수 있다.
전원 변환부(160)는 제2 대기 전원과 제2 제어 전원을 모두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어 전원이 전원 변환부(160)로부터 공급될 때, 제어부(120)는 조도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조도에 상응하는 밝기 제어 신호(D1)를 발생하여 통신부(130)로 출력한다. 제2 제어 전원보다 낮은 제2 대기 전원이 전원 변환부(160)로부터 공급될 때, 제어부(120)는 조도 감지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SV)이 전술한 제1 또는 제2 레벨일 때 즉시 기동(wake up)할 수 있을 정도로만 전력을 소모하며, 이 동안에는 밝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조도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1 제어 신호(C1)를 발생하고, 전원 변환부(160)는 제1 제어 신호(C1)에 응답하여 제2 대기 전원이나 제2 제어 전원을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도 6은 슬레이브 모드와 마스터 모드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동작시키는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제어부(120)는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량이 최소값보다 적은가를 판단한다(제510 단계).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전원 변환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제2 공급 전압(OV2)의 레벨을 측정하고, 측정된 제2 공급 전압(OV2)의 레벨을 통해 전기 에너지의 저장량이 최소값보다 적은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값이란, 조도 감지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공급 전압(OV1, OV2, OV3)을 발생하기에 충분한 전압 레벨값을 의미한다. 즉,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에너지의 량이 최소값보다 적으면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는 밝기 제어 신호(D1)를 발생하여 조명 기구(200)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최소값은 동작 전원을 요구하는 조도 센서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의 회로 구성에 따라 달라진다.
만일,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량이 최소값보다 적지 않을 경우, 제어부(120)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마스터 모드로 진입시킨다(제520 단계). 마스터 모드에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은 도 5에 도시된 제410 내지 제47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량이 최소값보다 적을 경우, 제어부(120)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A)를 슬레이브 모드로 진입시킨다(제530 단계). 슬레이브 모드에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는 타 구역에 배치된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로부터 받은 타 밝기 제어 신호(D2)를 자신의 구역(200n)에 설치된 조명 기구(200)로 전송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530 단계의 실시예(530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레이브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해,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로 전송한다(제532 단계).
제532 단계 후에, 인터럽트 신호를 받은 적어도 하나의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의 고유 식별 번호(ID)와 타 밝기 제어 신호(D2)를 요청하여 받는다(제534 단계).
제534 단계 후에,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로부터 받은 타 밝기 제어 신호 중 가장 큰 레벨을 갖는 타 밝기 제어 신호(D2)를 송출한 타 조명 제어 장치를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의 마스터로 선정한다(제536 단계). 여기서, 가장 큰 레벨을 갖는 타 밝기 제어 신호(D2)를 송출한 타 조명 제어 장치를 마스터로 선정하는 이유 중 하나는,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 중에서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송출된 밝기 제어 신호가 가장 큰 레벨을 가질 수 있는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제536 단계 후에, 마스터로 선정된 타 조명 제어 장치가 송출한 타 밝기 제어 신호(D2)를 자신의 구역(200n)에게 설치된 조명 기구(200)로 전송하여 조명 기구(200)의 밝기를 제어한다(제538 단계).
만일, 에너지 저장부(150)에서 구간(306) 동안 에너지를 다시 저장할 경우, 슬레이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는 마스터 모드로 복귀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들어오고,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에게 밝기 제어 신호 및 고유 식별 번호(ID)의 전송을 요청할 때, 제n 조명 제어 장치(100n)는 자신의 고유 식별 번호(ID) 및 밝기 제어 신호(D1)를 함께 인터럽트를 발생한 타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1, 100n+1 ~ 100N)로 송신한다(제538 단계).
도 8은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장치에서 절감되는 에너지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소모 전력을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t1, t2, t3, t4는 도 3에 도시된 t1, t2, t3, t4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기존의 조명 제어 장치는 항상 일정한 제1 전력(P1)을 소모하였다. 그러나, 실시예에 의한 각 조명 제어 장치(1001 ~ 100N)는 구간(302, 306, 310)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여, 제1 전력(P1) 보다 적은 제2 전력(P2)만을 소모한다. 그리고, 조명 제어 장치는 구간(304, 308)에서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제1 전력(P1)을 소모한다. 그러므로, 기존과 비교할 때,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장치는 빗금친 부분 만큼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1 ~ 100N: 조명 제어 장치 110: 조도 제어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32, 212: 안테나 140: 에너지 발생부
150: 에너지 저장부 160: 전원 변환부
200: 조명 기구 2001 ~ 200N: 구역
210: 제어 박스 214: 제어 신호 수신부
216: 밝기 제어부 220: 가로등 헤드
224: 솔라 셀 모듈 226: 지주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조명 제어 장치에 있어서,
    조명 기구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 및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자연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에너지 발생부;
    상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 및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출력 전압을 상기 조명 제어 장치 각 부의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 감지부는 상기 조명 기구 주위의 조도에 상응하는 레벨을 갖는 전압을 상기 감지된 결과로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제어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어 모드로부터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드보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구역별로 할당되고, 상기 각 구역에는 상기 조명 기구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발생된 밝기 제어 신호는 상기 각 구역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구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기 에너지의 량에 따라, 슬레이브 모드, 마스터 모드 및 동작 불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상기 조명 제어 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슬레이브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타 구역에 할당된 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받은 타 밝기 제어 신호를 자신의 구역에 설치된 상기 조명 기구로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모드에서, 상기 타 조명 제어 장치의 도움없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 받은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밝기 제어 신호를 자신의 구역에 설치된 상기 조명 기구로 전송하고,
    상기 동작 불능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마스터로 선정된 타 조명 제어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를 자신의 구역에 설치된 상기 조명 기구로 전송하는 조명 제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기 에너지의 량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모드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모드나 상기 동작 불능 모드로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슬레이브 모드로부터 상기 마스터 모드나 상기 동작 불능 모드로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키거나, 또는 동작 불능 모드로부터 상기 마스터 모드나 슬레이브 모드로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키는 조명 제어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구역에 배치된 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받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고유 식별 번호와 상기 밝기 제어 신호를 함께 상기 타 조명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조명 제어 장치.
KR1020120073698A 2012-07-06 2012-07-06 조명 제어 장치 KR102066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98A KR102066607B1 (ko) 2012-07-06 2012-07-06 조명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98A KR102066607B1 (ko) 2012-07-06 2012-07-06 조명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28A KR20140006528A (ko) 2014-01-16
KR102066607B1 true KR102066607B1 (ko) 2020-01-15

Family

ID=5014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698A KR102066607B1 (ko) 2012-07-06 2012-07-06 조명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224B1 (ko) * 2014-04-22 2014-12-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전원 무선 조도 조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300B1 (ko) * 2010-05-11 2010-11-09 이주연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로등 시스템
KR100997539B1 (ko) * 2010-11-04 2010-11-30 (주)신담엔지니어링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
JP2011013722A (ja) * 2009-06-30 2011-01-20 Fujitsu Ltd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8036B2 (en) * 2009-06-04 2014-01-28 Koninklijke Philips N.V. Wake-up of light sensor in a lighting system
KR101292075B1 (ko) * 2009-10-06 2013-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서비스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3722A (ja) * 2009-06-30 2011-01-20 Fujitsu Ltd 電子機器
KR100993300B1 (ko) * 2010-05-11 2010-11-09 이주연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로등 시스템
KR100997539B1 (ko) * 2010-11-04 2010-11-30 (주)신담엔지니어링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28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502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516193B1 (ko) 태양광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6238B1 (ko) 인체감지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센서 연동제어장치
KR102293330B1 (ko) 엘이디 제어 장치
CA3044482C (en) Led ligh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CN106105397B (zh) 照明系统、灯以及用于照明系统中的紧急照明操作的方法
KR102066607B1 (ko) 조명 제어 장치
KR101052823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KR100952025B1 (ko) 솔라셀을 이용한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0852505B1 (ko) 가로등 전원 공급장치
CN102883507A (zh) 程控多种传感器的太阳能led户外灯及控制系统
KR101871858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의 직류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6146295A (ja) 交通信号システム
KR20150025978A (ko) 가로등 구동장치
KR20160086588A (ko) 스마트 폰으로 원격 제어되는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
JP2018074613A (ja) 電子装置
CN103139988A (zh) 智能灯具控制系统
JP2012124991A (ja) 電力供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10320518A1 (en) Dc-dc converter for solar power-linked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81337B1 (ko) 태양광 전기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전원절감 제어장치
KR101452789B1 (ko) 조명기기의 자동 제어 장치
KR101232331B1 (ko)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및 가로등 시스템 제어 방법
CN203942670U (zh) 自适应太阳能led灯控制装置
KR100943749B1 (ko) 태양광 발전 가로등
JP6072991B1 (ja) ソーラーパネル、ソース及び負荷間の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