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204B1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segment based on multiple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segment based on multiple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204B1
KR102066204B1 KR1020130014550A KR20130014550A KR102066204B1 KR 102066204 B1 KR102066204 B1 KR 102066204B1 KR 1020130014550 A KR1020130014550 A KR 1020130014550A KR 20130014550 A KR20130014550 A KR 20130014550A KR 102066204 B1 KR102066204 B1 KR 102066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pplication service
application
category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1500A (en
Inventor
한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204B1/en
Priority to PCT/KR2013/012206 priority patent/WO2014112729A1/en
Publication of KR2014010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5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2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이용자들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상기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생성된 세그먼트를 관련도가 높은 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공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ulti-application service 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That is, a segment corresponding to a service category of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generated based on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user. Determining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a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a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age-related information of a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dentifying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mong a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a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By determining all segments as common segments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segments genera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can be shared with other highly related application services.

Description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SEGMENT BASED ON MULTIPLE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Multi-Application Service TECHNICAL TECHNICAL TECHNICAL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수집되는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각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그먼트(Segment)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그먼트를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간에 상호 공유 가능한 공통세그먼트로서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segment corresponding to a service category of each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user's usage-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and to determine the generated segment as a common segment that can be shared between application services. It is about a method.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장치의 경우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음성 호 서비스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In the case of a user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n order to meet various needs of users, in addition to basic functions such as a voice call service, a function for using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is provided together.

이와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카테고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이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관심분야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이용뿐만이 아니라, 관심분야 중에서도 자신이 보다 선호하는 서비스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is regard,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es a variety of service categories, which enables service users not only to use the applic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their interests but also to select and use their preferred service category among the interests. Doing.

이에, 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서비스이용자의 다양한 이용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의 서비스이용자의 관심사[이하, 세그먼트(Segment)]를 정의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application service, an interest of the service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gment) i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ice may be defined based on various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하여 정의된 세그먼트는 다양한 타겟팅 서비스(예: 광고 서비스, 추천 서비스)에서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타겟팅 정보로서 활용이 가능하다.As such, the segment defined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service may be used as targeting information for the service user in various targeting services (eg, an advertisement service and a recommendation service).

그러나, 이러한 타겟팅 정보는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가 수집되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자체에서만 활용 가능한 정보로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타겟팅 정보로서는 활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targeting information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as targeting information of other application services as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only in the application service itself, in which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 is collected.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상기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세그먼트를 상호 관련도가 높은 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공유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usage information of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respectively. A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generating a segment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age-related information of the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determined to determine a relevance between service categories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wherein the relevance of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higher than a preset value; Identifying the pairs and determining all segments of the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as common segments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reby correlating the segments creat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application services. Is to share with other high-level application servi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세그먼트생성장치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서비스이용자들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상기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gment growth growth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ased on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respectively, based on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ategory of a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mong the service users.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d identifying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mong a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a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all segments of the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And a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a common segment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이용자들의 상기 이용관련정보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based on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that is duplicated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among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for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generating a segme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상기 다중서비스이용자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갖는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의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련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the service object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determination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having the use-related information overlapp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mong the multi-service users And determining the relevance based on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multiple target user of the determination objec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특정 서비스카테고리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상기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가 다수인 경우,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카테고리 중에서 상기 다수의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가 기 설정된 이용횟수 이상으로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상기 특정 서비스카테고리와의 상기 관련도를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determining uni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identified in relation to a specific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the plurality of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i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The service category u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use may be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relation to the specific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방법은 사용자장치가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을 실행하여 서비스이용자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를 이용하도록 하는 실행단계; 세그먼트생성장치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세그먼트생성장치가 상기 서비스이용자들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세그먼트생성장치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상기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ulti-application service-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ser equipment executes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so that a service user can use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 execution step of using a service category of each of the two application services;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generates a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Generating step;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mong the service users.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degree of relevance between service categories; And the segment generation apparatus identifies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mong a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a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wherein the at least one service And determining all of the segments of the category pair as common segments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세그먼트생성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서비스이용자들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상기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ased on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use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the Generating a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ategory of each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mong the service users.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nd identifying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mong a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a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all segments of the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ing the common segment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이용자들의 상기 이용관련정보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generating step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that is duplicated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among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for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generating the segme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상기 다중서비스이용자 중에서 상기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갖는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의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련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determining step, the determination target multiple services having the use-related information overlapping the service category of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more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mong the multi-service users. The user may be identified, and the relatednes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determination target multiple service us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특정 서비스카테고리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상기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가 다수인 경우,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카테고리 중에서 상기 다수의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가 기 설정된 이용횟수 이상으로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해, 상기 특정 서비스카테고리와의 상기 관련도를 상기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determining step,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identified in relation to a specific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the plurality of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i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The service category may be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the preset value for the service category used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of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서비스이용자들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상기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mputer-readable medium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ased on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Generating a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application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mong the service users.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nd identifying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mong a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a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all segments of the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And performing a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 common segment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은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을 실행하여 서비스이용자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를 이용하도록 하는 사용자장치; 및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정의하고, 상기 서비스이용자들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상기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상기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lti-application service-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executes a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a second application service so that a service user can perform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 user device for using each service category; And a segment corresponding to a service category of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on the basis of usage-related information of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Determining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a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a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age-related information of a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mong users;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dentify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The both of re-pair segment of the first service provider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common segment for both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이에, 본 발명의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생성된 세그먼트를 관련도가 높은 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multi-application service-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service categories of each application service is determined based on usag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Thus, the segment genera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can be shared with other highly related application ser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서비스메뉴를 판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application service 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preferred servic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in a multi-application service 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application service-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실행하는 사용자장치(100), 및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세그먼트생성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multi-application service-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device 100 that executes an application service, and a segment generation device that generates a segment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200).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서비스는 사용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이거나, 세그먼트생성장치(200) 내지는 외부 서버(도시안됨)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웹 서비스일 수 있다.Here, the application service may be a service available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device 100, or may be various web services provided by the segment generation device 200 or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상기 사용자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 및 테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자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실행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device 100 refers to a user device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service. For example, the user device 100 may correspond to a smart phon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nd a tablet PC. Any device capable of executing its own application service may be included.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그먼트(Segment)를 생성하기 위한 서버를 지칭한다.The segment generation apparatus 200 refers to a server for generating a segment corresponding to a service category of an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user's usage related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이러한,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와는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으로서 동작하게 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한 가질 수 있다.The segment generation device 200 may operate as an independent configuration separate from the user device 100, but may also have a form of a software module that operates in connection with an application service in the user device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수집되는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각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gment corresponding to a service category of each application service is generated based on the service user's usage 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생성된 세그먼트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자체에서 이루지는 타겟팅 서비스(예: 광고 서비스)에서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타겟팅 정보로서 활용되게 된다.The segment genera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is used as targeting information for a service user in a targeting service (for example, an advertising service) that is formed in each application service itself.

이렇듯,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생성된 세그먼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자체에서만 활용 가능한 정보로서, 이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공유하여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As such, the segment genera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is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only i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ice itself, which ha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be shared and used with other application services.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수집되는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각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그먼트를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간에 상호 공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u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segment corresponding to a service category of each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service users collec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and sharing the generated segments with each other among the application services. To propos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로부터 이용관련정보를 수집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생성하여 이를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간에 상호 공유시키게 되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두개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 대한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이를 공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the use-relate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application services to generate a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application service and to share them between the application services, b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will be described as a segment for creating two application services and sharing them.

여기서,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는 사용자장치(100)에 설치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다양한 서비스카테고리의 제공하여 다양한 상품의 구매가 가능하도록 한 구매서비스, 멀티미디어 재생서비스, 게임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가 해당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refers to a service available through execution of each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100. For example, various service categories may be provided to purchase various products. Various services such as a purchase service, a multimedia playback service, and a game service may correspond.

사용자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ser device 100 performs a function of accessing an application service.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장치(1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이용자가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카테고리를 이용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user device 100 executes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so that the service user uses the service category provided by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아울러, 사용자장치(100)는 예컨대, 설정주기 또는 세그먼트생성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이용관련정보를 세그먼트생성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device 100 collects and collects usage related information of a service us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for example, a setting period or a request received from the segment generation device 200. The use 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gment generation device 200.

이때, 이용관련정보에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과 관련한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자특성정보 및 서비스카테고리 이용이력이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service category usage history of service user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여기서, 이용자특성정보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여 서비스이용자가 입력한 서비스가입정보로서, 예컨대, 나이, 성별, 거주지, 취미, 등의 다양한 개인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Here,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service us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For example,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residence, hobby, and the like.

아울러, 서비스카테고리 이용이력은,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여 서비스이용자가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 서비스카테고리 이용시간, 서비스카테고리 이용횟수, 및 서비스카테고리 이용주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category usage history may correspond to a service category used by the service user, a service category using time, a service category using frequency, and a service category using perio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아울러,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egment generator 20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segment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보다 구체적으로,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수집된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gment generation apparatus 200, when the collection of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completed, the first application based on the collected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A segment corresponding to a service category of each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generated.

이때,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서비스이용자들에 대한 이용자특성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이용자특성정보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200 checks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service users for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reby overlapp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mong the identifi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segm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is confirmed.

또한,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간 관련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egment generation device 200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relevance between the application services.

보다 구체적으로,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세그먼트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간 공유를 위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gment generation device 200 is a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for sharing between application services of the segment. And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이때,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다중서비스이용자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이용자특성정보를 갖는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를 확인하고,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카테고리 이용이력을 기초로 관련도를 판단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egment generation apparatus 200 identifies the service target of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determination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having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verlapp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mong the multi-service users. In this regard, the degree of relevan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rvice category usage history of the multiple service users.

나아가,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공통 세그먼트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urthermore, the segment generator 200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a common segment between applications.

보다 구체적으로,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gment generation apparatus 200 identifies a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set value among service categories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service categories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identifies the identified service category pairs. All segments of are determined as common segments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생성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이용관련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210), 어플리케이션서비스별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부(220),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 관련도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230), 및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간의 공통세그먼트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at is,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ng unit 210 for collecting usage-related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a generating unit 220 for generating a segment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and an application service. And a determination unit 230 for determining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service categories, and a determination unit 240 for determining common segments between application services.

여기서, 전술한 수집부(210), 생성부(220), 판단부(230), 및 결정부(240)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생성장치(200)의 각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Here, each component of the segment generator 200 including the collector 210, the generator 220, the determiner 230, and the determiner 240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by a combination thereof.

수집부(21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이용관련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Collecting unit 210 performs a function for collecting the use-related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보다 구체적으로, 수집부(210)는 설정주기마다 다수의 사용자장치(100)에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별도의 요청 없이 다수의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이용관련정보를 수집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llecting unit 210 requests and receives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devices 100 at each setting cycle, or a separate request. Without collecting the use-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delivered directly from the plurality of user devices (100).

생성부(22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generation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segment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부(22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수집된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generation unit 220 when the collection of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completed,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collected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And a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ategory of each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s.

이때, 생성부(22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서비스이용자들에 대한 이용자특성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이용자특성정보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generation unit 220 checks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service users for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is duplicated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from the identifi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segm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is confirmed.

즉, 생성부(22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를 가장 선호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자특성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generation unit 220 confirms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service users who most prefer each service category provided by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generates a segment based on the identifi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t is done.

예를 들어,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경우 구매관련서비스로서, 브랜드패션/의류/잡화/건강/자동차/레저/디지털/가전 등의 서비스카테고리가 존재하며, 여기서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해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카테고리를 이용한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자특성정보(예: 나이/직업/성별) 별 분포를 아래 [표 1]과 같이 도식화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there are service categories such as brand fashion / clothing / miscellaneous / health / car / leisure / digital / home appliances as a purchase-related service, where a segment is generated for a car-related service category. In this case, the distribution of user characteristics information (eg, age / occupation / gender) of service users us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category may be illustra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20대/학생/남성20s / Student / Male 30대/직장인/남성30s / Worker / Male 30대/직장인/여성30s / Worker / Woman 40대/직장인/남성40s / Worker / Male 이용자 수Number of users 250명250 guests 500명500 guests 180명180 people 400명400 persons

이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중복 횟수가 300명인 경우, 구매관련서비스의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에서 그 중복횟수가 300명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30대/직장인/남성", 그리고 "40대/직장인/남성이"을 세그먼트를 정의하기 위한 이용자특성정보로서 확인할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preset number of duplications is 300, "30s / workers / men" and "40s / workers /" whose duplications are found to exceed 300 in the automobile-related service category of purchase-related services. Male can be identified as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defining a segment.

이에, 구매관련서비스의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의 경우, 예컨대, ① 30대의/직장인/남성은/자동차관련/구매/선호 ② 40대의/직장인/남성은/자동차관련/구매/선호 의 형태로 세그먼트가 생성될 수 있다.Thus, in the case of the automobile-related service category of the purchase-related service, for example, ① thirty / worker / male / car-related / purchasing / preferred ② forty-worker / male / car-related / purchasing / preferred Can be generated.

판단부(230)는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간 관련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etermination unit 230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relation between application services.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30)는 세그먼트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간 공유를 위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230 is based o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for sharing between the application services of the segment.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ervice categories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determined.

이때, 판단부(23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다중서비스이용자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이용자특성정보를 갖는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를 확인하고,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카테고리 이용이력을 기초로 관련도를 판단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230 confirms the service target of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determination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having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verlapp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mong the multi-service users, Judgment is made based on the service category usage history of multiple service users.

즉, 판단부(23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서 세그먼트의 생성에 사용된 이용자특성을 갖는 다중서비스이용자만을 선별하고, 선별된 다중서비스이용자들이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를 모두 확인함으로써,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230 selects only the multi-service users having the user characteristics used to generate the segments in each service category provided by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lected multi-service users are selected. By checking both the service category used in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used in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determined.

예를 들어,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경우 구매관련서비스로서,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에서 확인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자특성정보는 "20대/학생/남성", "30대/직장인/남성", "30대/직장인/여성", 및 "40대/직장인/남성"인 경우, 각각의 이용자특성정보를 갖는 서비스이용자의 구성은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만을 이용한 단일서비스이용자와 전술한 다중서비스이용자로 아래 [표 2]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s a purchase related servic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service users identified in the automobile related service category is "20s / students / males", "30s / workers / males", "30s". / Worker / female ", and" 40s / worker / male ",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user having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user is a single service user using only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above-described multi-service user as shown in Table 2 below. ] Can be distinguished.

20대/학생/남성20s / Student / Male 30대/직장인/남성30s / Worker / Male 30대/직장인/여성30s / Worker / Woman 40대/직장인/남성40s / Worker / Male 이용자 구분User division 단일서비스이용자Single service user 다중서비스이용자Multiservice User 단일서비스이용자Single service user 다중서비스이용자Multiservice User 단일서비스이용자Single service user 다중서비스이용자Multiservice User 단일서비스이용자Single service user 다중서비스이용자Multiservice User 이용자 수Number of users 5050 200200 300300 200200 150150 3030 250250 150150

여기서, 세그먼트의 생성과 관련된 이용자특성정보가 "30대/직장인/남성" 하나인 경우,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의 다중서비스이용자 중에서 "30대/직장인/남성"의 이용자특성정보를 갖는 다중서비스이용자 200명을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로서 선별하고,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를 확인하게 된다.Here, whe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the segment is one of "30s / worker / male", the multi-service user having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30s / worker / male" among the multi-service users of the vehicle-related service category 200 The names are selected as the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and the service category used by the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in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identified.

여기서,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경우 게임 서비스이며, 액션/시뮬레이션/소셜/스포츠 등으로 구분되는 서비스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경우,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 200명이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는 아래 [표 3]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a game service, and if there is a service category classified as action / simulation / social / sports, the service category used by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y 200 users of the multi-objective subject to be determined is shown in [Table 3]. ] Can be plotted as

액션action 시뮬레이션simulation 소셜Social 스포츠sports 다중서비스이용자 수Multiservice Users 15명15 people 5명5 people 30명30 persons 105명105 people

이와 관련하여, 구매관련서비스인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의 해당하는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 200명이 게임 서비스인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 중 스포츠와 관련한 서비스카테고리를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구매관련서비스인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의 관련도의 경우 스포츠 관련 서비스카테고리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그 다음으로 소셜, 액션 순으로 관련도를 판단하게 된다.In this regard, the service category related to sports among the service categories used by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which is the most-recognized multiple service users of the vehicle-related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which is a purchase-related service, was used the mos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related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which is a purchase-related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sports-related service category is determine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and action. The relevance will be judged.

여기서, 관련도의 경우, 각 서비스카테고리별 다중서비스이용자마다 기본점수 예컨대, 0.5점을 부여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액션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의 관련도는 7.5점, 시뮬레이션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의 관련도는 2.5점, 소셜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의 관련도는 15점, 그리고 스포츠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의 관련도는 51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relevance, it can be determined by assigning a basic score, for example, 0.5 point for each multi-service user for each service category, so that the relevance of the action-related service category is 7.5 points, the relevance of the simulation-related service category is 2.5 points, 15 points for the social-related service category, and 51 points for the sports-related service category.

결정부(240)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공통 세그먼트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eterminer 240 determines a common segment between applications.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24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240 identifies a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mong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determines the identified service category pair. All segments are determined as common segments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예를 들어, [표 3]과 관련하여, 구매관련서비스인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와의 관련도는 게임 서비스인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스포츠 관련 서비스카테고리가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소셜, 액션 순으로 관련도가 판단되는 경우, 관련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스포츠 관련 서비스카테고리만을 선정하여 서비스카테고리 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relation to [Table 3], the relationship with the car-related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which is a purchase-related service, is the highest in the sports-related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which is a game service, and then social. For example, when the degree of relevance is determined in order of action, only the vehicle-related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ports-related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may be selected and configured into service category pairs in the order of high relevance.

이와 관련하여, 구매관련서비스인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자동차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는 "30대의/직장인/남성은/자동차관련/구매/선호"이며, 게임 서비스인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스포츠 관련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는 "30대의/직장인/남성은/스포츠/게임/선호"인 경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공통세그먼트는, "30대의/직장인/남성은/자동차관련/구매/스포츠/게임/선호"로 결정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segment created corresponding to the automobile-related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which is a purchase-related service, is "30 / worker / male / car-related / purchasing / preferred" and is a game service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When the segment created corresponding to the sports-related service category is "30 / worker / male / sport / game / preferred", the common segment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30 / worker / Men may be determined as "Car-related / Purchasing / Sports / Games / Preferences."

이와 같이, 결정된 공통세그먼트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서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생성된 세그먼트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자체에서만 활용 가능한 정보가 아닌,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적용 가능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determined common segment is not the information available only in the application service itself, such as a segment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category in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ut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t can be used as information applicable to.

예를 들어, 30대 직장인 남성이 구매관련서비스인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공통세그먼트를 활용하여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해당 서비스이용자에게 타겟화된 광고인 자동차 관련 용품을 광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게임 서비스인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스포츠 게임 관련 용품을 함께 광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 male worker in his 30s uses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which is a purchase-related service,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may use the common segment to advertise car-related items, which are targeted advertisements, to the user of the service in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vertise sports game-related goods related to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which is a game servic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생성된 세그먼트를 관련도가 높은 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공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application service-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each application servi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Thus, the segment genera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can be shared with other highly related application services.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mmon segment based on a multi-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Her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and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n operation flow in a multi-application service-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사용자장치(1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이용자가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카테고리를 이용하도록 한다(S110).First, the user device 100 executes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so that a service user uses a service category provided by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S110).

그리고 나서, 사용자장치(100)는 예컨대, 설정주기 또는 세그먼트생성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이용관련정보를 세그먼트생성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S120-S130).Then, the user device 100 collects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for example, according to a setting period or a request received from the segment generation device 200, The collected use-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gment generator 200 (S120-S130).

그런 다음,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S140).Subsequently,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200 segments the segments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categories of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ag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t will generate (S140).

이때,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서비스이용자들에 대한 이용자특성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이용자특성정보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200 checks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service users for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reby overlapp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mong the identifi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segm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is confirmed.

다음으로,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세그먼트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간 공유를 위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게 된다(S150).Subsequently,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a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for sharing between application services of the seg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ategories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determined (S150).

이때,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다중서비스이용자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이용자특성정보를 갖는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를 확인하고,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카테고리 이용이력을 기초로 관련도를 판단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egment generation apparatus 200 identifies the service target of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determination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having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verlapp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mong the multi-service users. In this regard, the degree of relevan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rvice category usage history of the multiple service users.

이후, 세그먼트생성장치(20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게 된다(S160).Subsequently,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200 identifies a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mong service categories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service categories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identifies the segment of the identified service category pair. All are determined as a common segment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S16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생성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segment genera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수집부(210)는 설정주기마다 다수의 사용자장치(100)에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별도의 요청 없이 다수의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이용관련정보를 수집한다(S210).First, the collection unit 210 requests and receives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apparatuses 100 at set intervals, or multiple requests without a separate request. Usage-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delivered directly from the user device 100 is collected (S210).

그리고 나서, 생성부(22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수집된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S220-S230).Then, the generation unit 220 when the collection of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completed, based on the collected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s and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A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ategory of each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s is generated (S220-S230).

이때, 생성부(22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서비스이용자들에 대한 이용자특성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이용자특성정보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것이 확인되는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generation unit 220 checks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service users for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is duplicated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from the identifi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segm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is confirmed.

즉, 생성부(22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를 가장 선호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자특성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세그먼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generation unit 220 confirms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service users who most prefer each service category provided by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generates a segment based on the identifi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t is done.

다음으로, 판단부(230)는 세그먼트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간 공유를 위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의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게 된다(S240-S260).Next, the determination unit 230 is based on the service category and the first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ulti-service user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for sharing between the application service of the segment.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application service is determined (S240-S260).

이때, 판단부(23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다중서비스이용자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이용자특성정보를 갖는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를 확인하고,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카테고리 이용이력을 기초로 관련도를 판단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230 confirms the service target of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determination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having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verlapp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mong the multi-service users, Judgment is made based on the service category usage history of multiple service users.

즉, 판단부(23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서 세그먼트의 생성에 사용된 이용자특성을 갖는 다중서비스이용자만을 선별하고, 선별된 다중서비스이용자들이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이용한 서비스카테고리를 모두 확인함으로써,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230 selects only the multi-service users having the user characteristics used to generate the segments in each service category provided by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lected multi-service users are selected. By checking both the service category used in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used in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s determined.

이후, 결정부(240)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중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 모두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대한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게 된다(S270-S280).Thereafter, the determination unit 240 checks a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mong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nd determines all the segments of the identified service category pair. Is determined as a common segment for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S270-S280).

이와 같이, 결정된 공통세그먼트는,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서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생성된 세그먼트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자체에서만 활용 가능한 정보가 아닌,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에 적용 가능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determined common segment is not the information available only in the application service itself, such as a segment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category in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ut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It can be used as information applicable to.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방법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관련한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생성된 세그먼트를 관련도가 높은 타 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공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application service-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each application servi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elated information of the service user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Thus, the segment genera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can be shared with other highly related application services.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the steps of the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or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다중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공통 세그먼트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서비스 별로 수집되는 서비스이용자의 이용관련정보를 기초로 각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그먼트(Segment)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그먼트를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간에 상호 공유 가능한 공통세그먼트로서 결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multi-application service-based common segment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a segment corresponding to a service category of each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service user usage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application service In this regard, the generated segment is determined as a common segment that can be shared among application services, and thus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may not be sufficient as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as well as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technology. 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that is industrially applicable because it can be clearly implemented in reality.

100: 사용자장치
200: 세그먼트결정장치
210: 수집부 220: 생성부
230: 판단부 240: 결정부
100: user device
200: segment determination device
210: collector 220: generator
230: determination unit 240: determination unit

Claims (11)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서비스이용자들의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응된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모두를 이용한 다중서비스이용자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 특정 세그먼트 생성에 관여된 이용자특성정보를 가지는 다중서비스이용자를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로 선별하며,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를 별로 각 서비스카테고리를 이용한 상기 판단대상다중서비스이용자의 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서비스카테고리 간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관련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테고리 쌍의 세그먼트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에서의 공통세그먼트로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생성장치.
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category of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service us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Among the multi-service users using both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the multi-service user having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volved in generating a specific segment in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is selected as the determination target multi-service user. 2 between the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gment and the service category of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based on the number of the target multiple service users that are determined using each service category for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application servic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relevance; And
Identifying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determining a segment of the at least one service category pair as a common segment in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Segment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서비스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서비스 각각의 서비스카테고리에 대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복되는 상기 이용자특성정보를 기초로 상기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eneration unit,
And generating the segment on the basis of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verlapp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ach service category of the first application service and the second application ser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14550A 2013-01-16 2013-02-08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segment based on multiple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1020662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50A KR102066204B1 (en) 2013-02-08 2013-02-08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segment based on multiple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PCT/KR2013/012206 WO2014112729A1 (en) 2013-01-16 2013-12-26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egments and providing service men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50A KR102066204B1 (en) 2013-02-08 2013-02-08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segment based on multiple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500A KR20140101500A (en) 2014-08-20
KR102066204B1 true KR102066204B1 (en) 2020-01-15

Family

ID=5174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550A KR102066204B1 (en) 2013-01-16 2013-02-08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segment based on multiple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2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022A (en)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 싸인랩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 Floating Hologram by Depth Vide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8169B2 (en) * 2003-09-22 2008-02-05 Citicorp Credit Servi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e-based segmen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500A (en)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2394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associate transactions with media impressions
US89498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advertisements
JP60629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targeted content
KR101368440B1 (en) Method, access point,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with multiplex-assigning password of access point
JP5247720B2 (en) Network node ad targeting
JP6157506B2 (en) Group and rank ad units based on user activity
CN104919481B (en) Trending by identifying influential consumers
US20110231873A1 (en) Selecting advertisements and presentations to present based on known audience profiles
US97054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40136478A (en) Targeting stories based on influencer scores
US20130090163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customized recommendations and settings
KR101737919B1 (en) Advertisement method using algorithm of selecting user for merchandise experience through sns
US201303263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User Generated Choices and Trends
CN111885401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ata object information
CN103412932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information push effect
CN104765778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based on user behaviors
US20150019568A1 (en) Identifying word-of-mouth influencers using topic modeling and interaction and engagement analysis
KR1020662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segment based on multiple appl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JP2016500457A (en) Generate metrics based on client device ownership
US10762514B1 (en) Filtering and stratification for identification of high value participants at live events in real-time
KR2014010462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recommendat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JP2016502202A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information diffusion between communities linked by interaction similarity
KR20140099364A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advertisement,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US201401009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hannel addition
CN113934605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