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856B1 - 드럼식 탄창 - Google Patents

드럼식 탄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856B1
KR102065856B1 KR1020180109412A KR20180109412A KR102065856B1 KR 102065856 B1 KR102065856 B1 KR 102065856B1 KR 1020180109412 A KR1020180109412 A KR 1020180109412A KR 20180109412 A KR20180109412 A KR 20180109412A KR 102065856 B1 KR102065856 B1 KR 10206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coupled
loading
main bod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교환
Original Assignee
배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교환 filed Critical 배교환
Priority to KR102018010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1Magazines
    • F41A9/64Magazines for unbelted ammunition
    • F41A9/73Drum magazines
    • F41A9/75Drum magazines having a spiral cartridge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2Reloading or unloading of magazines
    • F41A9/83Apparatus or tools for reloading magazines with unbelted ammunition, e.g. cartridge clips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의 일면에 핸들조작부와 이를 소정 각도씩 회동 조작할 수 있는 레버조작부를 구비하여 한 번에 소정 개수의 탄환을 장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환을 적은 힘으로도 수월하게 장전할 수 있으며, 장전되는 탄환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드럼식 탄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럼식 탄창{A drum magazine}
본 발명은 드럼식 탄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탄환을 용이하게 장전할 수 있는 드럼식 탄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환을 장전하여 사용하는 개인화기는 군인, 경찰 등이 임무 수행을 위해 휴대 및 사용하거나, 허가받은 민간인이 취미생활로 실내 연습장 등에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개인화기에 장전되는 탄환은 실탄, 공포탄, 모의탄으로 불리는 가상탄환으로 나뉠 수 있으며, 상기 탄환은 탄창에 장전되어 개인화기에 장착되거나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게 된다.
이러한 탄창은 내부에 탄환이 일자형으로 장전되는 박스식 탄창과, 드럼 내부에 나선형으로 탄환이 장전되는 드럼식 탄창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드럼식 탄창은 박스식 탄창에 비해 탄환을 대량으로 수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드럼식 탄창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6380호(공고일: 2015.10.01)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드럼식 탄창은 탄환의 장전 시 탄창의 탄환출구를 통해 복수의 탄환을 순차적으로 밀어 넣어 나선형으로 장전해야 함에 따라 힘이 많이 들게 된다. 아울러 장전되는 탄환이 탄창의 드럼 내부에서 엉키게 됨에 따라 탄환 장전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체부의 일면에 핸들조작부와 이를 소정 각도씩 회동 조작할 수 있는 레버조작부를 구비하여 한 번에 소정 개수의 탄환을 장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환을 적은 힘으로도 수월하게 장전할 수 있으며, 장전되는 탄환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드럼식 탄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의 장전공을 통해 내부로 투입되는 복수의 탄환을 일렬로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 대향면에 나선형 장전홈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의 축공에 일단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길이조절봉을 매개로 상기 나선형 장전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환안내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장전공을 통해 투입되는 복수의 탄환을 지지 및 안내해주는 탄환안내부; 상기 본체부의 축공을 통해 상기 본체부 일면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태엽스프링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탄환안내부재를 상기 장전공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는 핸들조작부; 및 상기 핸들조작부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탄환 장전 시 상기 핸들조작부를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켜 상기 탄환안내부재를 탄환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탄환 장전공간을 마련해주는 레버조작부;를 포함하는 드럼식 탄창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본체부의 일면에 핸들조작부와 이를 소정 각도씩 회동조작할 수 있는 레버조작부를 구비하여 한 번에 소정 개수의 탄환을 장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수월하게 탄환을 장전할 수 있으며, 장전되는 탄환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탄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탄창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탄창의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환안내부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조작부 및 레버조작부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탄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탄창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드럼식 탄창(100)은, 본체부(110), 탄환안내부(120), 핸들조작부(130), 레버조작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드럼식 탄창(100)의 주된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 쌍이 대향되게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는 상부의 장전공(111)을 통해 내부로 투입되는 복수의 탄환(1)을 일렬로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 대향면에 나선형 장전홈(113)이 구비된다.
탄환안내부(120)는 장전공(111)을 통해 투입되는 복수의 탄환(1)을 지지 및 안내해주는 것으로, 이러한 탄환안내부(120)는 본체부(110) 내의 축공(115)에 일단의 회전축(121)이 너트(12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길이조절봉(123)을 매개로 상기 나선형 장전홈(11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환안내부재(125)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길이조절봉(123)은 회전축(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공(121a) 내에 복수의 부재(123a)(123b)가 슬라이딩 돌출 가능하게 다단으로 결합된다.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봉(123)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탄환안내부재(125)가 나선형 장전홈(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주게 된다.
또한 상기 탄환안내부재(125)는 나선형 장전홈(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링크(125a)를 매개로 복수 개가 연이어 결합된다. 즉 탄환안내부재(125)는 마지막 남은 탄환(1)까지 장전공(111) 측으로 안내해줄 수 있도록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핸들조작부(130)는 본체부(110)의 축공(115)을 통해 본체부 일면(110a)으로 돌출된 회전축(121)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본체부(110)의 일면(110a)에 태엽스프링(133)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탄환안내부재(125)를 장전공(111)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조작부(130)는 회전축(121)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핸들부재(131)와, 본체부(110)의 일면(110a)에 일단(133a)이 고정되고 타단(133b)이 핸들부재(131)의 대향면 끼움홈(131b)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133)이 구비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의 핸들조작부(130)는 탄환(1)의 장전 시 핸들부재(131)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주게 되면, 이와 연동되는 탄환안내부재(125)가 탄환(1)이 투입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전공(111)의 초입부에 복수의 탄환(1)을 장전할 수 있는 공간(S)(도 4a 참조)을 마련해주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탄환(1)의 장전이 완료된 후 핸들부재(131)를 회전시켜주던 외력을 제거해주게 되면, 태엽스프링(1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환안내부재(125)가 장전된 탄환(1)을 장전공(111)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게 된다(도 4b 참조).
또한 상기 핸들조작부(130)는 핸들부재(131)의 결합위치에 따라 태엽스프링(133)의 텐션을 조절해줄 수 있다.
레버조작부(140)는 핸들조작부(130)의 일측에 회전축(121)을 회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탄환(1) 장전 시 핸들조작부(130)를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켜 탄환안내부재(125)를 탄환(1)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상기 장전공(111)을 통해 탄환(1)을 수월하게 장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조작부(140)는, 본체부 일면(110a)의 고정프레임(143)에 상기 회전축(121)을 회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스프링(145)을 매개로 타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레버부재(141)와, 레버부재(141)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2스프링(149)을 매개로 탄성지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부재(141)를 일방향으로 조작 시 본체부 일면(110a)의 돌기(146)로부터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2스프링(149)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의 걸림턱(147a)이 돌출되는 래치기어(14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레버조작부(140)는 레버부재(141)의 조작 시 돌출되는 래치기어(147)의 걸림턱(147a)이 핸들부재(131)의 내주면에 형성된 톱니(131a)에 걸리면서 핸들부재(131)를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켜주게 된다(도 5b 참조).
이와 동시에 상기 핸들부재(131)와 연동되는 탄환안내부재(125)가 탄환(1)이 투입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전공(111)의 초입부에 적어도 두세 발의 탄환 장전공간(S)을 마련(도 4a 참조)해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상기 핸들조작부(130)와 레버조작부(140)는 둘 다 모두 탄환 장전공간(S)을 마련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핸들조작부(130)와 레버조작부(140)는 조작방법과 한 번에 장전할 수 있는 탄환(1)의 개수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조작부(130)는 탄환(1) 장전 시 핸들부재(131)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사용자의 감각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 후 장전공(111)의 초입부에 마련된 장전공간 내에 탄환(1)을 장전해줄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레버조작부(140)는 구조상 레버부재(141)를 정해진 각도만큼 정확하게 회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한 번에 장전할 수 있는 탄환(1)의 개수(2 ~ 4발, 바람직하게는 3발)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탄환(1) 장전 시 상기 레버조작부(140)를 이용하는 경우 투입되는 탄환(1)이 장전공(111) 내에서 서로 엉키지 않고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장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탄창(10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기로 한다.
먼저, 드럼식 탄창(100)의 본체부(110) 내에 탄환(1)이 전혀 장전되지 않은 경우 핸들조작부(130)는 회전축(121)을 기준으로 타방향(반시계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의 장전공(111) 초입부에는 장전되는 탄환(1)과 접촉하게 되는 탄환안내부재(125)의 선단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드럼식 탄창(100) 내에 탄환(1)을 장전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는 핸들부재(131)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이와 연동되는 탄환안내부재(125)를 탄환(1)이 장전되는 방향으로 하강시켜 장전공(111)의 초입부에 탄환 장전공간(S)을 마련해준다(도 4a 참조). 이때, 탄환 장전공간은 장전공(111)을 통해 투입되는 탄환(1)이 내부에서 서로 엉키지 않도록 대략 세발의 탄환(1)을 연속적으로 장전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들부재(131)는 사용자의 감각에 의해 회전시켜야 함에 따라, 핸들조작부(130)의 일측에 마련된 레버조작부(14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레버조작부(140)는 레버부재(141)를 일방향으로 한 번 회동 조작하는 경우 소정의 각도만큼 정확하게 회전됨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개수의 탄환(1)을 매번 똑같이 장전할 수 있다(도 5a, 도 5b 참조).
상기 레버조작부(140)를 이용하여 탄환(1)을 장전하는 경우, 핸들부재(131)는 상기 레버부재(141)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탄환안내부재(125)의 선단이 장전된 탄환(1)을 장전공(111)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게 된다.
따라서, 드럼식 탄창(100)을 총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전공(111) 맨 상측에 장전된 탄환(1)이 발사되는 경우 그 밑에 장전된 탄환(1)이 다시 장전공(111)의 맨 상측인 발사 위치에 자동으로 위치될 수 있다(도 4b 참조).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탄창(100)은, 탄환(1)이 장전되는 본체부(110)의 일면에 레버조작부(140)를 구비하여 한 번에 소정 개수의 탄환(1)을 적은 힘으로 장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환(1)을 수월하게 장전할 수 있으며, 장전되는 탄환(1)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탄환 100 : 드럼식 탄창
110 : 본체부 110a : 일면
111 : 장전공 113 : 나선형 장전홈
115 : 축공 120 : 탄환안내부
121 : 회전축 121a : 관통공
122 : 너트 123 : 길이조절봉
125 : 탄환안내부재 125a : 링크
130 : 핸들조작부 131 : 핸들부재
131a : 톱니 133 : 태엽스프링
140 : 레버조작부 141 : 레버부재
143 : 고정프레임 145 : 제1스프링
146 : 돌기 147 : 래치기어
147a : 걸림턱 149 : 제2스프링

Claims (5)

  1. 상부의 장전공(111)을 통해 내부로 투입되는 복수의 탄환(1)을 일렬로 수납
    할 수 있도록 내부 대향면에 나선형 장전홈(113)이 구비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 내의 축공(115)에 일단의 회전축(121)이 회전 가능하게 결
    합되고, 타단에는 길이조절봉(123)을 매개로 상기 나선형 장전홈(11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환안내부재(125)를 구비하여, 상기 장전공(111)을 통해 투입되는 복수의 탄환(1)을 지지 및 안내해주는 탄환안내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축공(115)을 통해 상기 본체부(110) 일면으로 돌출된 회전축(121)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태엽스프링(133)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탄환안내부재(125)를 상기 장전공(111) 측으로 탄성 지지하되, 외부에서 임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외측 둘레에 핸들부재(131)가 형성되어, 탄환(1)장전 시 상기 핸들부재(131)를 일방향으로 임의 각도 회동시켜 상기 탄환안내부재(125)를 탄환(1)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전공(111)의 초입부에 탄환(1) 장전공간을 가변적으로 마련해주는 핸들조작부(130); 및
    상기 핸들조작부(130)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121)을 회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탄환(1) 장전 시 상기 핸들조작부(130)를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켜 상기 탄환안내부재(125)를 탄환(1)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전공(111)의 초입부에 탄환(1) 장전공간을 일정하게 마련해주는 레버조작부(140);를 포함하는 드럼식 탄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봉(123)은,
    상기 회전축(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공(121a) 내에 복수의 부재(123a)(123b)가 슬라이딩 돌출 가능하게 다단으로 결합되는 것인 드럼식 탄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환안내부재(125)는,
    상기 나선형 장전홈(11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도록 링크(125a)를 매개로 복수 개가 연이어 결합되는 것인 드럼식 탄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조작부(130)는,
    상기 회전축(121)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핸들부재(131); 및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일단(133a)이 고정되고, 타단(133b)이 상기 핸들부재(131)의 대향면 끼움홈(131b)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133);을 포함하는 드럼식 탄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조작부(140)는,
    상기 본체부(110) 일면의 고정프레임(143)에 상기 회전축(121)을 회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스프링(145)을 매개로 타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레버부재(141); 및
    상기 레버부재(141)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2스프링(149)을 매개로 탄성지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재(141)를 일방향으로 조작 시 상기 본체부(110) 일면의 돌기(146)로부터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2스프링(149)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의 걸림턱(147a)이 돌출되는 래치기어(147);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141)의 조작 시 돌출되는 상기 걸림턱(147a)이 상기 핸들부재(131)의 내주면에 형성된 톱니(131a)에 걸리면서 상기 핸들부재(131)를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켜주는 것인 드럼식 탄창.
KR1020180109412A 2018-09-13 2018-09-13 드럼식 탄창 KR10206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412A KR102065856B1 (ko) 2018-09-13 2018-09-13 드럼식 탄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412A KR102065856B1 (ko) 2018-09-13 2018-09-13 드럼식 탄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856B1 true KR102065856B1 (ko) 2020-01-13

Family

ID=6915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412A KR102065856B1 (ko) 2018-09-13 2018-09-13 드럼식 탄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704B1 (ko) 2020-06-09 2021-06-28 영 케이 리 드럼식 탄창용 탄알 안내장치
KR102408544B1 (ko) 2021-12-02 2022-06-13 김승호 드럼식 탄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50B1 (ko) * 2012-08-31 2013-06-11 노태종 드럼식 탄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50B1 (ko) * 2012-08-31 2013-06-11 노태종 드럼식 탄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704B1 (ko) 2020-06-09 2021-06-28 영 케이 리 드럼식 탄창용 탄알 안내장치
KR102408544B1 (ko) 2021-12-02 2022-06-13 김승호 드럼식 탄창
US11578938B1 (en) 2021-12-02 2023-02-14 Seung-Ho Kim Drum magaz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856B1 (ko) 드럼식 탄창
CN109804218B (zh) 一种用于将弹药筒装入弹匣的装置和方法
US20160202007A1 (en) Cartridge loading device
US5520171A (en) Indexing helical magazine
US20080029076A1 (en) Magazine of an airsoft gun
KR101271650B1 (ko) 드럼식 탄창
US7322347B2 (en) Adjustable capacity loader for paintball markers
US2759286A (en) Choke attachment for guns
US9759503B2 (en) Cartridge loading mechanism of toy revolver
US20160231079A1 (en) Drum Magazine for Loading Paintballs and Shaped Projectiles into a Magazine-Fed Firearm
US1480812A (en) Loader for revolvers
US20160187097A1 (en) Multiple shot spear gun
US2774143A (en) Sight mechanism for firearms
US11578938B1 (en) Drum magazine
US11009305B2 (en) Three columned magazine structure for firearms
US11280568B2 (en) Worm-type barrel-shroud bullet feeding structure of toy gun and bullet feeding mechanism thereof
KR20150062461A (ko) 포탄 정렬이 가능한 강선식 박격포
US11698237B2 (en) Removable safety selector for firearms
US20160209139A1 (en) Drive Mechanism for Launcher
KR101193205B1 (ko) 회전식 탄창부가 구비된 총
JP5678337B2 (ja) 弾球遊技機
US3526052A (en) Firing mechanism for a toy gun
US20180164068A1 (en) Toy gun bullet container structure
US3010369A (en) Dual firing trigger and gun aiming mechanism
WO2016108094A1 (en) Linear ammunition magaz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