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702B1 -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702B1
KR102065702B1 KR1020180009707A KR20180009707A KR102065702B1 KR 102065702 B1 KR102065702 B1 KR 102065702B1 KR 1020180009707 A KR1020180009707 A KR 1020180009707A KR 20180009707 A KR20180009707 A KR 20180009707A KR 102065702 B1 KR102065702 B1 KR 10206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virtual
site
model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926A (ko
Inventor
김성훈
주철범
Original Assignee
(주)태성에스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에스엔아이 filed Critical (주)태성에스엔아이
Priority to KR102018000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7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건설 현장에 대한 레이저 스캐닝을 통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설 현장의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생성하고,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건설 현장의 현장 상황이 반영된 사진 이미지를 결합하며, 건설 현장에 적용되는 안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생성하고, 건설 현장에 사용되는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임시 시설물 등과 건설 현장 상황 이미지가 반영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현장 조건(site condition)이 고려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Vitual Construction Simulation Method}
본 발명은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의 임시 시설물 등과 건설 현장 상황 이미지가 반영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현장 조건(site condition)이 고려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토목시설물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도입이 활발해 지면서 다양한 분야로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 건설 프로젝트가 대형화되고 고도의 기술과 함께 효율적인 사업관리가 필요함에 따라 대형 건설장비에의 의존도가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 장비가 작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건설 장비에 대한 작업정보 제공의 부족, 장비 운전자의 부주의 등의 문제점이 오히려 건설 시공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작업 중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2016년 국내 산업재해 현황분석에 따르면, 건설기계 관련 사망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27.2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건설 현장 내의 건설 장비와 관련된 사고 예방 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가상건설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상현장 구축은 설계단계나 시공단계에서 작성되어 활용되는 BIM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현장에서 활용되는 BIM 데이터는 주로 영구 구조물 등에 국한되어 구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대상 현장의 일시적인 지형 변화나 임시 시설물, 그리고 도면 등의 정보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 지장물에 대해서는 추가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 현장의 임시 시설물 등과 건설 현장 상황 이미지가 반영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현장 조건(site condition)이 고려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은, (a)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건설 현장에 대한 레이저 스캐닝을 통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설 현장의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상기 건설 현장의 현장 상황이 반영된 사진 이미지를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건설 현장에 적용되는 안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건설 현장에 사용되는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e)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작업자 아바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의 가상 시뮬레이션 과정에서의 물리적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박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에는, 상기 건설 장비를 구성하는 구동 부재 사이의 절점에서의 수직 변형, 수평 변형, 및 회전에 대한 구속 조건 및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시의 제한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f)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작업자 아바타가 배치된 위치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아바타의 1인칭 시점에서의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임시 시설물 등과 건설 현장 상황 이미지가 반영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현장 조건(site condition)이 고려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을 통해 건설 장비의 운영계획을 검토하고, 시공시의 복수의 장비 조합 및 대안 공법을 검토할 수 있게 되며, 건설 공법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안전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플랫폼의 각 구성 요소 및 체계를 정리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건설 현장의 정확한 상태를 가상 건설 현장에 3D로 구성하기 위해 레이저 스캐닝을 적용한 사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건설 현장 상황이 반영되지 않은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건설 현장 상황이 반영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가상 현장 모델에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안전 시설물들의 3차원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배치되는 작업자 아바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에서의 각 구동 부재별 움직임과 주요 변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충돌박스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건설 장비의 3차원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건설 장비의 허용 하중 산정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의 실행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의 실행을 위해서는 실제 건설 현장과 같은 형상과 좌표, 거리를 가지는 가상현장 및 가상 현장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사용자가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는 가상 건설 장비 모델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플랫폼의 각 구성 요소 및 체계를 정리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컨트롤에 따른 가상 건설 장비 모델의 다양한 3차원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상용화된 게임엔진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상 건설 장비 모델과 가상 현장에 배치되는 작업자 아바타(avatar), 및 시공 안전을 위한 다양한 가상 안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다양한 3차원 모델을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는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가상 건설 구성요소들에 대한 다양한 동적 컨트롤과 뷰잉(viewing)을 위해 개발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다양한 웹, 모바일 환경에서 이용하기 위해서 기존의 상용 게임개발 플랫폼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가상 현장 모델은 설계 단계나 시공 단계에서 작성되어 활용되는 BIM을 기반으로 하여 구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현장에서 활용되는 BIM 데이터는 사용 목적이나 활용도를 고려하여 주로 영구 구조물 등에 국한되어 구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대상 현장의 일시적인 지형 변화나 임시 시설물, 및 도면 등의 정보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 지장물에 대해서는 추가 보완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계 도만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대상 현장의 3D 정보를 역설계하는 방안으로 레이저 스캐닝을 통한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는 실제 건설 현장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 장비를 통해 획득한 현장 스캐닝 데이터를 통해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3D 캐드(CAD) 툴을 이용하여 기존의 BIM 데이터를 통해 구축된 가상 현장 모델에 맵핑함으로써, 대상 현장의 일시적인 지형 변화, 임시 시설물 등이 보완된 가상 현장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S110).
도 3 및 도 4는 건설 현장 내 지장물의 정확한 형상과 복잡한 가설현황을 가상 건설 현장에 3D로 구성하기 위해 레이저 스캐닝을 적용한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스캐닝 장비를 통해 인접 교각 상단을 포함한 3점 이상의 위치에서 쟁점 부위를 레이저 스캐닝하고,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통해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는 도 3에서와 같이 대상체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한 다음, BIM 또는 3D CAD 툴을 이용해 도 4에서와 같이 가상 건설 현장에 대해 임시 시설물 등이 보완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BIM과 3D 모델로 구성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은 정확한 형상과 좌표, 거리를 포함하고 있으나, 시공에 대한 다양한 계획과 분석을 위해 건설 현장 상황이 충분히 반영된 이미지를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이에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는 전술한 S110 단계에서 생성된 건설 현장의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해당 건설 현장의 상황이 반영된 항공 사진 또는 위성 사진을 결합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3차원 가상 현장 구축을 완료하게 되며(S120), 필요시 주요 주변 시설물들에 대한 개략적인 3D 모델을 추가하게 된다.
한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토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인 안전 검토를 위해서는 시공 대상 시설물이나 주변 지형 이외에도 다양한 안전 시설물의 반영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는 건설 현장에 적용되는 안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전술한 S120 단계에서 생성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추가로 생성한다(S130).
도 7은 가상 현장 모델에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안전 시설물들의 3차원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건설 현장에서 대표적으로 적용되는 안전 시설물들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저장 및 관리하고, 필요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해 호출하기 위하여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접속되는 관리 서버를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는 건설 현장에 사용되는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전술한 S130 단계에서 생성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추가로 생성한다(S140).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건설 현장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건설 장비들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저장 및 관리하고 필요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해 호출하기 위하여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접속되는 관리 서버를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사용자는 관리 서버에 장비별 3D 형상과 정보가 라이브러리화되어 있는 건설 장비들에 대한 3차원 모델을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전술한 S130 단계에서 생성된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추가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건설 장비의 3차원 모델을 조작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별 문제점을 검토하기 위해 게임 엔진을 이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건설 장비의 동작을 3차원 모델 상에서 구현하기 위해 건설 장비를 구성하는 각 구동 부재별 연결과 이동 조건을 분석해야 하므로,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에는 각 건설 장비를 구성하는 구동 부재 사이의 절점에서의 수직 변형, 수평 변형, 및 회전에 대한 구속 조건 및 구동 부재 이동시의 제한값이 설정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150).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에서의 각 구동 부재별 움직임과 주요 변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다양한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 라이브러리를 관리 서버에 구축함에 있어서는 각 건설 장비에서의 다음과 같은 특성 정보가 추가로 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1) 건설 장비의 정확한 3D 형상
(2) 건설 장비의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한 각 동작 자유도
(3) 건설 장비의 물리적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박스 영역
(4) 장비의 용량 산정을 위한 해당 DB 구성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박스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건설 장비의 3차원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의 동작 시뮬레이션 과정에서의 가상 현장 내의 다른 요소와의 물리적 충돌을 감지하기 위해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에 충돌 박스 영역을 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에 설정된 충돌 박스 영역은 건설 장비의 물리적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개별 건설 장비의 충돌 박스 영역의 형상 및 면적값을 직접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16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건설 장비를 이용한 공사시 주변 시설물 등이 충돌 박스 영역 내로 들어옴으로써 건설 장비와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시공계획의 적정성과 장비운영의 안전성을 검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건설 장비의 3차원 모델에 건설 장비별로 제조회사에서 제공하는 고유의 허용 하중 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해당 건설 장비의 동작에 따른 안전율 등의 용량 관련 수치를 실시간으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도 11에와 같은 이동식 크레인의 인양 허용 하중 산정표 및 그래프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식 크레인의 붐대의 길이와 반경에 따라 인양 허용 하중이 변경되는 것을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의 실행 중에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모든 조건에 대한 인양 허용 하중값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는 도 11에서의 해당 범위 내에서 가장 작은 값이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는 이동식 크레인의 붐대의 길이가 44m고, 반경이 27m로 동작하는 경우 해당 구간의 최소값인 16.2 ton이 인양 허용 하중으로 선택하며, 이와 같이 선택된 인양 허용 하중과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내에서의 실제 인양 하중에 기초하여 산출된 안전율이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식 크레인의 작업 높이와 반경에 따른 인양 허용 하중을 동적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검토하고, 실제 인양 하중을 고려하여 안전율을 확인함으로써 건설 장비 선정의 적정성을 검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은 작업자 아바타는 실제 작업자 대신 가상 건설 현장에 배치할 수 있는 작업자를 모델화한 것으로서 신호수, 작업자 등 그 업무 역할에 맞는 다양한 안전 장구 및 기구를 갖도록 모델링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자 아바타를 선택 및 호출함으로써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자신이 선택한 작업자 아바타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배치된 작업자 아바타는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컨트롤에 따라 이동 및 방향 전환 등의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는 사용자가 작업자 아바타의 3차원 가상 현장 모델 내에서의 위치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아바타의 1인칭 시점에서의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의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자 아바타의 시선에서 현장 검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170).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의 생성, 안전 시설물의 배치, 건설 장비의 배치, 및 작업자 아바타의 배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12에서와 같은 화면 정보를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해 제공받으면서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게 된다(S180).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

  1. (a)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건설 현장에 대한 레이저 스캐닝을 통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설 현장의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상기 건설 현장의 현장 상황이 반영된 사진 이미지를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건설 현장에 적용되는 안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건설 현장에 사용되는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의 가상 시뮬레이션 과정에서의 물리적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박스를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작업자 아바타를 배치하는 단계; 및
    (g) 상기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작업자 아바타가 배치된 위치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아바타의 1인칭 시점에서의 상기 3차원 가상 현장 모델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건설 장비에 대한 3차원 모델에는, 상기 건설 장비를 구성하는 구동 부재 사이의 절점에서의 수직 변형, 수평 변형, 및 회전에 대한 구속 조건 및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시의 제한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인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2. 삭제
KR1020180009707A 2018-01-26 2018-01-26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6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07A KR102065702B1 (ko) 2018-01-26 2018-01-26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07A KR102065702B1 (ko) 2018-01-26 2018-01-26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26A KR20190090926A (ko) 2019-08-05
KR102065702B1 true KR102065702B1 (ko) 2020-01-13

Family

ID=6761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707A KR102065702B1 (ko) 2018-01-26 2018-01-26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7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194A (ko) * 2020-05-06 2021-11-17 이지스로직 주식회사 라이다와 ar을 이용한 건설 장비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9032A (ko) 2022-07-13 2024-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장치를 활용한 건설객체 점군 데이터 자동수집시스템 및 자동수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531B1 (ko) * 2019-11-25 2021-08-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위치정보를 포함한 이동체의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이동체 안전관리 시스템
CN112241793B (zh) * 2020-09-25 2024-01-26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设备检修作业的安全措施部署操作引导方法及系统
CN112417566A (zh) * 2020-11-23 2021-02-26 温岭市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房建施工统一整合监管方法
CN112950755A (zh) * 2021-03-23 2021-06-1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安全围栏布置方法及装置
KR102354870B1 (ko) * 2021-08-20 2022-01-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엔진 기반 디지털 건설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0525A (ja) * 2013-11-05 2015-05-11 隅田設計株式会社 プラント設備改造設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391A (ko) * 2011-11-04 2013-05-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행위기반의 조속 4d 건설공정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700920B1 (ko) * 2015-06-17 2017-02-13 쌍용건설 주식회사 아바타를 이용한 3차원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0525A (ja) * 2013-11-05 2015-05-11 隅田設計株式会社 プラント設備改造設計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194A (ko) * 2020-05-06 2021-11-17 이지스로직 주식회사 라이다와 ar을 이용한 건설 장비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2616B1 (ko) 2020-05-06 2021-12-01 이지스로직 주식회사 라이다와 ar을 이용한 건설 장비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9032A (ko) 2022-07-13 2024-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장치를 활용한 건설객체 점군 데이터 자동수집시스템 및 자동수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26A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702B1 (ko)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85271B1 (ko)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Cheng et al. Modeling tower crane operator visibility to minimize the risk of limited situational awareness
US1092177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lanning and/or controlling and/or simulating the operation of a construction machine
US9752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operational practices for construction machines
Moon et al. Development of workspace conflict visualization system using 4D object of work schedule
KR20180131471A (ko) 3d 스캐닝과 bim을 이용한 시공 오차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9850109B2 (en) Crane 3D workspace spatial techniques for crane operation in proximity of obstacles
Kim et al. Interactive modeler for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Cha et al. Integrated simulation framework for the process planning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20200250354A1 (e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ystem with self-configuration
Tran et al. Generative planning for construction safety surveillance camera installation in 4D BIM environment
Ren et al. Real-time anticollision system for mobile cranes during lift operations
KR20130016620A (ko) Bim 구현을 위한 3차원 공정관리방법
KR20210081971A (ko) 타워 크레인을 이용한 건축물 감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10648A (ko) 토공 작업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Ma et al. 4D-based workspace conflict detection in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s
Hu et al. Estimating and visualizing the exposure to tower crane operation hazards on construction sites
JP2022083611A (ja) 建設工事作業計画支援システム
KR102112749B1 (ko)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타워크레인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3660266B1 (en) Model generation for route planning or positioning of mobile object in underground worksite
Fang et al. A framework of lift virtual prototyping (LVP) approach for crane safety planning
Marzouk et al. A hybrid model for selecting location of mobile cranes in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JP2022145440A (ja) 測量情報管理システム、測量情報管理方法、及び測量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0580125B1 (ko) 건설 공사를 위한 프로세스/그래픽 통합연계 시뮬레이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