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610B1 - 안전 커터칼 - Google Patents

안전 커터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610B1
KR102065610B1 KR1020190106180A KR20190106180A KR102065610B1 KR 102065610 B1 KR102065610 B1 KR 102065610B1 KR 1020190106180 A KR1020190106180 A KR 1020190106180A KR 20190106180 A KR20190106180 A KR 20190106180A KR 102065610 B1 KR102065610 B1 KR 102065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blade
cutter
knife core
cor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이지은
Original Assignee
김영욱
이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욱, 이지은 filed Critical 김영욱
Priority to KR102019010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2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segmented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3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comprising retraction means for the blade or the blade hol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안전 커터칼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칼은,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커터칼 본체; 상기 커터칼 본체의 가이드레일에 따라 슬라이딩하게 결합되고, 다수의 칼심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커터칼날; 상기 커터칼날이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된 연결대; 상기 칼심부재 중 최후방 칼심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칼심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칼심부재의 일부를 분리시키는 칼날분리 슬라이더; 상기 연결대의 후방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커터칼날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커터 칼 마디의 절단과정이 보다 용이하면서 간결해질 수 있고, 무뎌진 칼날 마디를 절단할 때 절삭된 칼날 조각이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불규칙하게 절단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커터칼{Safety Cutter Knife}
개시되는 내용은 안전 커터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칼날을 순차적으로 인출하고, 절단하여 새 칼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커터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인 커터칼은 톱이나 기존의 칼과 달리 강도가 높은 재료가 아닌 종이, 천 등을 자르는 데 사용된다.
커터칼은 다단걸림턱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칼심에 부착된 슬라이더가 칼심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 칼날 부분의 돌출정도를 조절하여 사용 시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개방된 전방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칼심을 돌출시키고 비사용 시에는 마개에 의해 폐쇄된 후방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칼심이 본체 내부에 위치한다.
마개는 상기 칼심이 무뎌질 경우 칼심을 절개하여 사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개를 분리시킨 후 전방에 돌출된 칼심을 홈에 결합한 후 칼심 길이방향의 수직하는 방향으로 하중을 주어 무뎌진 칼심 부분을 절개한다.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10-2017-0086193호에는 상기 마개와 달리 절개가 아닌 칼날을 갈아 사용하여 절개를 횟수를 감소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10-1924398호에는 상기 마개를 사용한 절개방식과 달리 전방에 칼심 절개 장치를 장착시켜 칼심이 절개 된후 본체 내부를 통해 절개된 칼심부재 보관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커터칼은 안정성을 강화하였지만 결국 칼심을 절단하여야 하므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칼날이 튀게 되어 부상의 위험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개시되는 내용은 칼날의 마디를 힘들게 가압하여 절단시켜야 하는 과정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칼날 마디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칼날의 튐이나 부정확한 절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과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안전 커터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커터칼 본체; 상기 커터칼 본체의 가이드레일에 따라 슬라이딩하게 결합되고, 다수의 칼심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커터칼날; 상기 커터칼날이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된 연결대; 상기 칼심부재 중 최후방 칼심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칼심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칼심부재의 일부를 분리시키는 칼날분리 슬라이더; 상기 연결대의 후방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커터칼날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안전 커터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커터 칼 마디의 절단과정이 보다 용이하면서 간결해질 수 있고, 무뎌진 칼날 마디를 절단할 때 절삭된 칼날 조각이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불규칙하게 절단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칼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칼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에 대한 상세 확대도,
도 5는 상기 도 3에서 "B"에 대한 상세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연결대'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커터칼날'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칼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칼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에 대한 상세 확대도, 도 5는 상기 도 3에서 "B"에 대한 상세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연결대'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커터칼날'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터칼은, 크게 본체(100), 커터칼날(200), 연결대(220), 칼날분리 슬라이더(300), 길이조정 슬라이더(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커터칼날(200)과 연결대(220)가 내부에 수납하며,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고 커터 칼날(100)이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도록 전,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되며, 이동홈의 일 측면에 다단으로 걸림턱(112)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다.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전방 개구부에는 커터 칼날(200)이 인출되고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레일(114)이 좁아지도록 하여 전방 칼날 돌출부(114)가 형성된다.
커터 칼날(200)은 다수의 칼심부재(210)와 연결대(220)로 구성된다.
개별 칼심부재(210)는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연결홈(21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기(211)가 형성된다.
연결홈(212)과 돌기(211)는 동일한 형상이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여러개의 칼심부재(210)를 평면상에 다수 배열한 후 각 칼심부재(21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일측 칼심부재(210)의 돌기(211)를 타측 칼심부재(210)의 연결홈(212)에 끼우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칼심부재(210)를 결합하여 커터 칼날(200)이 조립된다.
또한 각 칼심부재(210)는 상단에 결합홈(213)이 형성된다.
이 결합홈(213)에는 후술될 연결대(220)에 형성된 칼심고정돌기(222)가 결합됨으로써 커터 칼날(200)이 이동될때 한개의 칼심부재(210) 길이 만큼만 단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결대(220)는 칼심부재(210)가 삽입되는 레일홈(23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레일홈(230)의 내측에는 각각의 칼심부재(210)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다수의 칼심고정돌기(222)가 형성된다.
연결대(220)는 일측에 제2걸림턱(1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걸림턱(112)에는 후술될 제1보스(310)의 제1탄성부(330)가 결합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심고정돌기(222)는 빗변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의 형상이며, 칼심부재(21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빗변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칼심부재(210)를 밀어서(도 4에서 좌측방향을 의미함) 레일홈(230)을 따라 이동시키면 결합홈(213)이 빗변을 타고 이동하게 되어 칼심부재(210) 한칸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시 도 2를 토대로 설명하면, 칼날분리 슬라이더(300)는 제1보스(310)와 제1노브(320)가 형성된다.
제1보스(310)는 다수의 칼심부재(210) 중 최외측의 칼심부재(210)의 제1보스홀(214)과 결합된다.
제1노브(320)는 일측에 제1탄성부(330)가 형성되고, 제1탄성부(330)가 연결대(220)의 제2걸림턱(11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탄성부(330)는 호형으로 된 판스프링이 적당하다.
한편 도 7b를 참조하면, 칼날분리 슬라이더(300)의 제1노브(320)를 밀었을 때 칼심부재(210)의 결합체가 연결대(220)의 레일홈(230)을 타고 이동하게 되며,
제1탄성부(330)가 연속적으로 걸림턱(112)을 지나면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칼날분리 슬라이더(300)를 밀었을때 본체(100)의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칼심부재(210)가 슬라이딩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고, 밀지 않을 때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길이조정 슬라이더(400)는 제2보스(410)와 제2노브(420)가 형성된다.
제2보스(410)는 연결대(220)의 길이조정 슬라이더 결합 공(224)과 결합된다.
따라서 길이조정 슬라이더(400)의 제2노브(420)를 밀었을 때 커터 칼날(200)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노브(420)는 일측에 제2탄성부(430)가 형성되고, 제2탄성부(430)가 본체(100)의 걸림턱(11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탄성부(430)는 호형으로 된 판스프링이 적당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20)의 레일홈(230)의 내부에는 각각의 칼심부재(200)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다수의 칼심고정돌기(222)가 일정간격마다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칼심고정돌기(222)는 빗변을 갖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이다.
전술한 칼심고정돌기(222)는 결합홈(213)에 결합되며, 일단이 고정된 켄틸레버형상이므로 탄성을 가질 수 있어 칼날분리 슬라이더(300)를 길이방향의 전방으로 하중을 가할 경우 커터칼날(200)이 전방으로 움직이면 칼심고정돌기(222)의 빗변을 밀게 되므로 칼심고정돌기(222)는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칼심부재(210)의 결합홈(213)으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칼심부재(210)가 인출된 후 다음 결합홈(213)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연결대'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길이조정 슬라이더(400)를 밀어서 연결대(220)가 본체(10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연결대(220)의 일단이 본체(100)의 칼날돌출부(114)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길이조정 슬라이더(400)의 제2보스(410)가 본체(100)의 걸림턱(11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므로 연결대(220)는 인출된 길이로 일시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이후 도 7a 및 도 7b는 '커터칼날'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칼날분리 슬라이더(300)를 밀어 커터칼날(200)이 전진하면서 칼심부재(210) 1개가 연결대(220) 보다 인출되어 본체(100)의 외부로 밀려 나온다.
손가락으로 인출된 칼심부재(210) 1개를 잡고 상하로 흔들어서 돌기(211)가 연결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제거할 수 있고,
칼날분리 슬라이더(300)를 더 밀어서 새 칼심부재(210)가 인출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본체 112 : 걸림턱
200 : 커터칼날 210 : 칼심부재
220 : 연결대 213 : 결합홈
222 : 칼심고정돌기 230 : 레일홈
300 : 칼날분리 슬라이더 310 : 제1보스
320 : 제1노브 330 : 제1탄성부
400 : 길이조정 슬라이더 410 : 제2보스
420 : 제2노브 430 : 제2탄성부

Claims (9)

  1. 전,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의 일 측면에 다단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커터칼 본체;
    상기 커터칼 본체의 가이드레일에 따라 슬라이딩하게 결합되고, 다수의 칼심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커터칼날;
    상기 커터칼날이 삽입되고, 내측는 각각의 칼심부재를 고정하는 다수의 칼심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레일홈이 형성된 연결대;
    상기 칼심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칼심부재 중 최후방 칼심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상기 칼심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칼심부재의 일부를 분리시키는 칼날분리 슬라이더;
    상기 연결대의 후방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커터칼날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심부재는,
    길이방향으로는 분리가 불가능하되 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동일 평면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접되어 배열되고 상호 연접되는 다수의 칼심부재는 서로 끼움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칼심부재는, 일측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분리 슬라이더는 제1보스와 제1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스는 다수의 칼심부재 중 최외측의 칼심부재의 제1보스홀과 결합되며;
    상기 제1노브는 제1탄성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일측에 제2걸림턱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턱에 상기 제1보스의 제1탄성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심고정돌기는 빗변을 갖는 이등변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슬라이더는 제2보스와 제2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스는 연결대의 길이조절 슬라이더 결합공과 결합되어 길이조절 슬라이더를 밀었을 때 커터 칼날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브는 제2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가 본체의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커터칼.
KR1020190106180A 2019-08-29 2019-08-29 안전 커터칼 KR102065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180A KR102065610B1 (ko) 2019-08-29 2019-08-29 안전 커터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180A KR102065610B1 (ko) 2019-08-29 2019-08-29 안전 커터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10B1 true KR102065610B1 (ko) 2020-03-02

Family

ID=6980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180A KR102065610B1 (ko) 2019-08-29 2019-08-29 안전 커터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627A (ko) 2020-04-07 2021-10-15 염지민 커터칼용 스토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217A (ja) * 1997-03-21 1998-10-06 Yoshiteru Takahashi 安全カッターナイ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217A (ja) * 1997-03-21 1998-10-06 Yoshiteru Takahashi 安全カッターナイ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627A (ko) 2020-04-07 2021-10-15 염지민 커터칼용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8955A1 (en) Knife having removable blade
US6886257B2 (en) Automatically loadable and blade-stabilizing utility knife
US6434839B1 (en) Safety razor
US4322885A (en) Knife apparatus
EP1671761B1 (de) Rasierapparat zum Tragen einer lösbaren Klingeneinheit
DE1728528A1 (de) Ausgabegeraet fuer rasierklingenbloecke und dazugehoeriger rasierapparat
KR102065610B1 (ko) 안전 커터칼
US4196515A (en) Cutter knife
US6164286A (en) Spring enhanced cigar cutter
US20230118410A1 (en) Everyday retractable utility cutter
WO2001001814A1 (de) Manikürkapsel
EP3498439A1 (en) Safety for assist opening knife
US2105663A (en) Blade haft
US8707565B2 (en) Blade holder
US20040000055A1 (en) Retractable knife having blade cartridge
US3266696A (en) Staplers
US11247359B2 (en) Safety knife
EP0277271A2 (de) Trockenrasierapparat
MXPA00007941A (es) Navaja utilitaria de seguridad ajustable.
KR101845293B1 (ko) 안전 커터
KR930004338Y1 (ko) 봉투개봉 겸용 테이프 컷터기
KR101876550B1 (ko) 안전 커터
JP2008018209A (ja) 吸引式電動バリカン
KR20160111755A (ko) 과일 수확 및 전정용 가위의 장대 길이 조정장치
JP7397719B2 (ja) 粘着式クリ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