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472B1 - 근시안용 렌즈 - Google Patents
근시안용 렌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5472B1 KR102065472B1 KR1020147028241A KR20147028241A KR102065472B1 KR 102065472 B1 KR102065472 B1 KR 102065472B1 KR 1020147028241 A KR1020147028241 A KR 1020147028241A KR 20147028241 A KR20147028241 A KR 20147028241A KR 102065472 B1 KR102065472 B1 KR 1020654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refractive power
- lens
- regions
- refract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3—Translating type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5—Sectorial configu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안과용 렌즈 요소는 상부 원거리 시역과 하부 근거리 시역을 포함한다. 상부 원거리 시역은 정확한 원거리 시력을 위해 제1 굴절력을 갖는 중심 영역 및 상기 제1 굴절력과 비교하여 굴절력이 상대적으로 양인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하부 근거리 시역은 조절형 레그를 고려하여 제1 굴절력과 비교하여 굴절력이 상대적으로 양인 중심 영역을 포함한다. 하부 근거리 시역의 주변 영역의 굴절력은: i) 하부 근거리 시역의 중심 영역의 굴절력과 동일한 것, ii) 하부 근거리 시역의 중심 영역의 굴절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양인 것 중 하나이다.
Description
본원은 호주 특허출원 제201290102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게시물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원은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는 근시 굴절 이상(myopic refractive error)의 교정 방법 및/또는 근시 발달의 제어 또는 근시 진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시(short-sightedness)라 지칭되는 근시(Myopia)는 원거리 물체로부터의 빛이 망막 앞에 집중되는 눈의 굴절 상태이다. 이 상태는 원거리 물체가 보는 사람에게 흐릿하게 인식되는 것을 유발한다. 근시는 종종 학령(school age) 아동에게 먼저 나타나서 청소년에 심각하게 발달된다. 이 현상을 근시 진행이라 하기도 한다.
근시를 가진 사람들의 원거리 시력(distance vision)은 종래의 단초점 렌즈(single-vision lens)로 교정되어 왔으며, 이 종래의 단초점 렌즈는 원거리 물체로부터 빛을 중심 망막, 중심와(fovea)에 집중하여, 원거리 물체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춘다.
최근에, 주변부 굴절 이상(peripheral refractive error)이 굴절 이상 발달과 연관있다는 연구 결과로 인해, 눈의 주변부 옵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왔다. 원숭이에 대한 연구(Smith et al.)는 주변부 망막이 정시 반응(emmetropising response)을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 결과를 사용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 US 7,503,655 B2(Smith et al.)에 기재되어 있고, 이 게시물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안경렌즈(spectacle lens) 및 콘택트렌즈를 포함하는, 이러한 몇몇 교정 디바이스가 설계되어 왔으며, 이들 중 일부는 제조되어 임상실험에서 검사되었다(Sankaridurg et al. OVS 2010). Sankaridurg 등에 의한 이 연구는 적어도 한명이 근시 부모인 6-12세의 중국 어린이가 정확한 중심 시력(central vision)을 제공하여 원시 디포커스(hyperopic defocus)를 감소하는 목적으로 설계된 안경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근시 진행의 30% 감소를 보여주었다.
근거리 물체의 초점을 맞추는 경우, 근시안은 조절형 레그(accommodative lag)를 겪을 수 있고, 예컨대 이미지가 망막 뒤에 있어서 눈이 원시 디포커스를 겪게 된다(흐릿함). 연구로 근시의 진행과 조절의 레그 간의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초점 안경(bifocal spectacle) 형태 및 애드 배율(ADD power)을 가진 누진 다초점 안경(progressive addition spectacle)의 형태인 동시 시력(simultaneous vision) 렌즈의 사용은 (원거리 포인트의 굴절력, 원거리 배율(distance power)과 비교하여 상대적 플러스) 근거리에서 조절형 수요(accommodative demand)를 줄이고, 근시 진행을 저해할 목적으로 어린이에게 처방되어 왔다. 이 동시 시력 렌즈는 중심 굴절 이상에 기초하며, 근거리에서 주변부 굴절 이상 프로파일을 고려하지 않는다.
Whatham 등에 의한 연구(JOV, 2009)는 근시 청소년에서 주변부 굴절을 측정하였으며, 예컨대 조절형 노력(accommodative effort)으로 근접 거리를 볼 때 주변부 굴절 이상(구형 등가물(spherical equivalent), M)이 중심 굴절 이상에 비해 계속해서 상당히 더 근시/덜 원시가 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Whatham 등의 근시 참가자 그룹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사이의 굴절 이상의 상대적 변화는 40도 비 망막(nasal retina)에서 약 +0.8D이고, 40도 측두 망막(temporal retina)에서 약 +0.2D 였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종래 발명의 참조는, 임의의 관할 구역에서 종래 발명이 공통의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제안 또는 이 종래 발명이 이 분야 발명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관련있다고 간주되고, 이해되고, 확신되도록 합리적으로 예상될 수 있다는 제안의 임의의 형태 또는 지식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근시 굴절 이상(myopic refractive error)의 고정 방법 및/또는 근시 발달의 제어 또는 근시 진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근시안 또는 근시의 우려가 있는 눈을 위한 안과용 렌즈 요소를 제공하며, 이것은 상부 원거리 시역(upper distance viewing zone) 및 하부 근거리 시역(lower near viewing zone)을 포함한다. 상부 원거리 시역은 정확한 원거리 시력을 위해 제공되는 제1 굴절력을 갖는 중심 영역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부 원거리 시역은 제1 굴절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양(positive)인 주변부 영역을 포함한다. 주변부 영역에서 상대적 플러스 굴절력은 비 망막 및 측두 망막에서 주변부 굴절 이상 프로파일에 대해 교정하기 위해 렌즈의 비 사분면 및 측두 사분면(quadrant)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하부 근거리 시역은 조절형 레그를 처리하기 위해 제1 굴절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양의 굴절력인 중심 영역을 가진다. 하부 근거리 시역의 주변부 영역의 굴절력들은: i) 하부 근거리 시역의 중심 영역의 굴절력과 동일한 굴절력, ii) 하부 근거리 시역의 중심 영역의 굴절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양인 굴절력 중 하나이다.
눈은 운전 및 운동 등과 같은 원거리 활동을 위해 정확한 시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부 중심 시역에서의 굴절력이 시역 전체에 걸쳐 일정하고 균일할 수 있다. 안경 렌즈를 위해, 시역은 약 10mm 전체에 걸쳐서부터 약 30mm 전체에 걸친 크기로 변화할 수 있다. 원거리 시역에서 주변부 구역은 중심 시역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 주변부 영역은 중심 원거리 시역에 비하여 양의 굴절력을 제공한다. 상대적인 양의 굴절력은 0.25D 내지 4.0D로 변화할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는 근시를 막거나 근시의 진행을 저지하거나 늦추기 위해 근시가 발달하거나 근시 발달의 위험이 있는 눈에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원거리 구역의 제1 굴절률이 원거리 시력에 대한 사용자의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며, 굴절력의 범위(+1.00D 내지 -9.00D)에 걸쳐 변화할 것임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주변부 구역에서 제2, 제3, 제5 및 제6 굴절력과 근거리 시력을 위한 제4 굴절력은 모두 근시의 우려가 있는 눈의 근시를 막거나, 이미 근시인 눈에서 근시의 진행을 늦추거나 저지하기 위하여 신호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본원의 추가 양상 및 그 양상의 추가 구현예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주어지고 수반하는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조절을 이용한 주변부 굴절 상태의 변화에 대한 추가 연구에서, 발명자들은 눈이 원거리에서 근거리까지 시선(gaze)을 변경하는 경우에(이 연구에서 근거리 측정은 20 내지 33센티미터 범위에서 이루어짐) 최대의 특이성으로 주변부 원시의 감소가 존재하며 그 변화는 평균적으로 40도 비 망막에서 약 +1.2D 및 40도 측두 망막에서 약 +2.0D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 연구는 또한 (특이성을 갖는 플래터 변화(flatter change)를 보여주는) Whatham 등에 의한 연구로부터 조절과 주변부 굴절 상태의 변화 사이의 일반적 관계를 나타낸다.
본원은 굴절 상태의 증가된 범위를 위해 설계되고 근시의 우려가 있는 눈 또는 근시안을 위한 안과용 렌즈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변부의 굴절 이상과 조절형 상태 사이의 관계를 이용한다. 이것은 특히 근시이거나 근시가 될 우려가 있고, 실내에서 실질적인 시간을 소비하는 개개인의 어린이(약 16세 이상 및 이하)에 있어서, 그들의 눈이 근거리(예컨대 독서의 경우), 또는 중간 거리(예컨대 실내에서 벽 및 다른 물체와 1-10미터 멀리 떨어진 경우)에서 포커스를 맞추는 경우에 중요하다. 안과용 렌즈 요소는, 사용시, 눈이 앞쪽을 바로 보는 시야(눈이 원거리에서 더 자주 응시하는 경우)와 아래로 보는 시야(눈이 근거리에서 더 자주 응시하는 경우) 사이를 움직이기 때문에 눈에 대해 고정되거나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 및 방향에 남아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안과용 렌즈 요소는 밸러스트(ballast) 또는 프리즘과 같은 적합한 지향 기구(orienting mechanism)를 갖는 안경 렌즈 또는 변이형(translating) 콘택트렌즈일 수 있다. 안과용 렌즈 요소는 수용자에게 함께 제공되도록 한 쌍일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는 US 7,503,655 B2(Smith et al.)에 기재된 안과용 렌즈 요소의 광학적 특성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며, 이것은 원거리에서 주변부 원시 디포커스를 감소시키거나 교정하거나 과교정하도록(over correct) 근시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구현예는 근접 시야에 대하여, 상대적인 원시 디포커스의 교정이 요구되지 않거나 더 낮은 정도으로만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본원의 구현예는 또한 대응하여 선택되고 비 경락 및 측두 경락(meridian)에서 굴절 이상의 비대칭을 고려하는 비대칭을 포함한다.
본원의 구현예는 다수의 구역 또는 영역을 갖는 안과용 렌즈를 포함하며, 각 구역 또는 영역은 굴절력을 갖는다.
원거리 시야를 위해, 안과용 렌즈 요소는, 상부 시역에서, 중심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굴절력의 중심 구역 및 원거리 주변부 원시 디포커스를 교정하는 중심 구역과 비교하여 비교적 플러스인 주변부 구역을 포함한다. 주변부 구역에서 비교적 플러스 굴절력은 0.25D 내지 4.00D로 변화할 수 있고, 비 및 측두 사분면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근거리 시야를 위해, 안과용 렌즈 요소는, 근거리 시역에서, 조절형 레그를 교정하는 중심 원거리 구역과 비교하여 비교적 플러스인 중심 구역을 요구한다. 근거리 구역에서 비교적 플러스는, 1.0 내지 2.5D인 전형적인 애드 배율로, 0.5D 내지 4.00D로 변화할 수 있다. 근거리에 대하여, 중심과 비교하여 주변부 망막 원시에는 최소이지 않기 때문에, 근거리 시야에서 주변부 구역은 추가의 근거리 주변부 망막 원시의 교정이 덜 요구되거나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근거리 주변부 구역에서 상대적 플러스는 근거리 시역과 비교하여 0.0D 내지 3.00D로 변화할 수 있다. 근거리 주변부 구역의 상대적 플러스는 원거리 주변부 원시 디포커스를 위한 상대적 플러스 이하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근거리 주변부의 시역은 필드 앵글의 전 범위에 걸쳐 원거리 주변부 시역의 애드 배율의 절반 이하인 애드 배율을 갖는 굴절력을 갖는다. 이 필드 앵글의 범위는 약 10-40도, 약 20-40도 또는 약 30-40도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약 5도 내지 이 범위의 하위 경계 사이의 선택이 굴절력의 순조로운 변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안과용 렌즈 요소의 시력 구역(optic zone)의 구현예를 제시하고 있다. 시력 구역은 거의 유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안경 렌즈에 전형적이고, 또는 렌즈의 일부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프트 컨텍트 렌즈에 전형적이다. 설명의 목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시력 구역이 점선에 의해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각 영역은 시력적으로 효과적이도록 렌즈에 적합한 영역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영역 1 및 4는 허용가능한 원거리 시력 및 근거리 시력을 각각 제공하기에 충분히 크다. 이것은 안과용 렌즈 요소의 시력 구역의 적어도 10퍼센트를 점유하는 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한 것처럼, 일부 구현예에서 선택된 인접하는 영역들이 동일한 굴절 속성을 가질 수 있고, 또는 동일한 굴절 프로파일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영역들은 공통 굴절 프로파일이 연속되지 않는 상이한 굴절 속성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에 점선은 두 영역 사이의 변이부 또는 영역들 사이의 블렌딩 구역(blending zone)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점선의 위치는 예시적일 뿐이며 이 선에 의해 나타나는 변이부/중간-포인트의 안과용 렌즈 요소 상의 위치는 다른 실시예에서 변화할 수 있다.
영역 1, 2 및 3은 원거리 시력을 위해 설계되고, 영역 4, 5 및 6은 근거리 시력을 위해 설계된다. 렌즈는 따라서 이초점 렌즈 또는 누진 다초점 렌즈의 변형된 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
영역 1은 영역에서 안과용 렌즈 요소에 의해 수용되는 동축 광 선에 대한 실질적으로 일정한 굴절력을 가질 수 있는 상부 시야 영역이다. 이러한 제1 굴절력은 교정되지 않은 눈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굴절력은 실질적으로 정확한 원거리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렌즈의 근시 수용자의 원거리 시력을 교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굴절력은 온-축(on-axis) 원시 디포커스(myopic defocus)를 감소하도록 선택될 수 있으나, 여전히 허용가능한 원거리 시력을 제공하는 일정 양에 의해, 예컨대 0.25D 이하로 원시 디포커스를 고정함으로써 근시를 교정할 수 있다. 영역 1 내에 원거리 포인트(distance point, DP)가 있고, 이것은 수용자가 원거리 물체를 앞쪽으로 바로 보는 경우 안과용 렌즈 요소를 통해 연장하는 눈의 광축(optical axis)을 통한 예상 위치에 대응한다. 이 예상 위치는 특정 수용자 및 다른 인자, 예컨대 렌즈가 안경 렌즈인 경우에 렌즈의 캐리어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거나, 경험, 예컨대 군집 평균(population average)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DP는 영역 2와 3 사이에 형성되는 굴절력 프로파일의 쓰로트(throat)에 가깝게 위치한다. 영역 1은, 영역 2 및 3 위의 렌즈의 영역을 점유하기 위해, 이 쓰로트 위의 렌즈에 걸쳐 측면으로 연장한다.
영역 2 및 3은 영역 1에 추가 굴절력을 제공한다(애드 배율). 설명을 쉽고 명확히 하기 위해, 영역 2가 '제2 굴절력'을 가지고, 영역 3이 '제3 굴절력'을 가지는 것으로 기재한다. 제2 및 제3 굴절력은 대칭 설계로 동일할 수 있거나, 비대칭 설계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영역 2 및 3의 굴절력은 주변부 시력에 대한 수용자 눈의 굴절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된다(중심와의 외부에 있는 망막에 의해 수용되도록 충분히 높은 필드 앵글의 광선). 영역 2 및 3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대물렌즈(objective)는 실질적으로 망막 상에 주변부 이미지를 위치시킴으로써 원시 디포커스를 피하고, 또는 주변부 시력, 예컨대 1.0D 내지 3.5D에 대한 일부 원시 디포커스가 시작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영역 2 및 3의 굴절력은 군집 평균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또한, 렌즈의 범위는, 의사가 환자에 대해 적절한 렌즈를 선택하게 하도록, 개인 간의 예상 편차를 고려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영역 2 및 3은 각각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굴절력을 가진다. 이 굴절력은 제1 굴절력에 비하여 +0.25D 내지 +4.0D 애드 배율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0D 내지 +3.0D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는 적어도 +2.0D 이다. 이 구현예에서, 점선은 실질적인 단계 변화 또는 블렌딩 영역의 중간-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다. 안경 렌즈에 대하여, 블렌딩 영역은 예를 들어, 1 내지 5mm 일 수 있다. 변이형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블렌딩 영역은 약 0.2mm 내지 1.5mm 일 수 있다. 블렌딩 영역은 제공시, 영역 1 및 영역 2와 3 사이의 변이를 순조롭게 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영역 2와 3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영역에 걸쳐 변화하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2 및 3의 굴절력은 DP로부터의 간격의 증가에 따라, 약 +0.25D 에서부터 변이부/블렌딩 구역을 벗어나 40도 필드 앵글에서의 +4.00D로 증가할 수 있다. 증가율은 실질적으로 지속되거나, 또한 DP로부터 거리의 증가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특히 DP를 참조하는 한편, 다른 렌즈 설계가 영역 2 및 3의 굴절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참조 포인트, 예컨대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이 사용되거나, 렌즈 상의 임의의 특정 포인트를 참조하지 않고 설계된 안과용 렌즈 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굴절력 프로파일의 증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영역 2 및 3은 필드 앵글의 증가에 따른 눈의 굴절력의 변화를 포함하여, 수용자 눈의 측정된 주변부 굴절 상태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근시 진행의 감소 또는 제거를 위해 대물렌즈에 주변부 시력에 대한 애드 배율을 제공하는 추가의 정보가 미국 특허인 US 7,503,655 B2에 기재된다.
대안의 구현예에서, 영역 1은 또한, 영역 2 및 3에 의해 제공되는 측면 주변부 시력 애드 배율에 더하여, 주변부 시력에 대해 수직으로 애드 배율을 제공하기 위하여 렌즈의 수직 상부를 향해 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영역 2 및 3은 영역 1 위에 연결된다(여전히 시력적으로 효과적인 영역, 예컨대 시력 구역의 적어도 10%를 점유할 것이며, 측정된 영역 1은 정확한 원거리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타겟 굴절률의 ±0.25D로 한정됨). 그러나, 플러스 굴절력의 정도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사이에 변화할 수 있다.
영역 4는 영역 1에 비하여 또한 애드 배율을 갖는 제4 굴절력을 가진다. 영역 4는 근시 수용자(또는 근시 발달의 우려가 있는 수용자)의 근거리 시력을 교정하도록 선택되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조절(accommodation)의 레그로 알려진 근시 현상 때문에 원거리 시력에서 요구되는 교정에 비해 영역 4 애드 배율이 요구된다.
영역 4는 그 영역에서 안과용 렌즈 요소에 의해 수용되는 동축 광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영역 4는 근거리 포인트(near point, NP)를 포함하며, 근거리 포인트는 예컨대 독서와 같이 수용자가 근거리 물체를 보는 경우에 눈의 광축이 안과용 렌즈 요소를 통해 연장하는 예상 위치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물체를 보는 사람은 시선을 하향으로(gaze downward) 변경하며, NP가 DP 아래에 있기 때문이다. NP의 굴절력은 환자의 조절형 레그 또는 군집 평균을 고려하여 선택되고, 예를 들어 +0.5D부터 + 4.0D까지의 DP에 대하여 애드 배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처럼, DP는 렌즈의 중심 수평 경락 위에 위치하고, NP는 렌즈의 중심 수평 경락 아래에 위치하며, NP는 DP보다 중심 수평 경락으로부터 멀리 위치한다. 또한, 영역 2 및 3은 렌즈의 중심 수평 경락을 가로지르고 중심 수평 경락 아래에 연장하여, 영역 5 및 6 보다 렌즈의 더 많은 곳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영역 2 및 3(영역 1과 결합하여)은 렌즈의 수직 치수의 55 내지 70퍼센트를 점유할 수 있으나, 영역 5 및 6(영역 4와 결합하여)은 남아있는 45 내지 30퍼센트를 점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NP는 DP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사용지 렌즈의 예상 방향을 고려하여). 이 구현예는 독서의 경우에, 약간 비쪽으로(nasally) 움직이는 사람의 광축을 위한 임의의 공급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구현예에서, NP는, 눈 컨버전스(eye convergence) 또는 광축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안경 렌즈 상의 약 5mm까지, 비쪽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영역 1 및 4 사이는 채널 7이다. 채널을 따라 굴절력이 영역 1의 원거리 시력 굴절력 내지 영역 4의 근거리 시력 굴절력으로 변화한다. 다른 구현예가 채널 7을 따른 경사도(gradient)의 변화 또는 순조로운 변이를 위해 블렌딩으로 계단식 변화를 포함하는 굴절력의 계단식의 변화로 상이한 굴절력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할지라도, 일 구현예에서 이러한 굴절력의 변화는 실질적으로 선형이다. 영역 1 내지 6의 정의로 인해 채널이 도 1에서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는 반면, 실제로는 정확히 정의된 채널이 없고, 단지 DP와 NP 간의 굴절 상태의 변화 및 DP와 NP로부터 먼 굴절 상태에서의 변화일 뿐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영역 5 및 6은 영역 4에 의해 차지되는 렌즈의 하부를 점유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영역 5 및 6의 굴절력, 즉 제5 및 제6 굴절력은 각각 제4 굴절력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구현예에서, 렌즈의 전체 하부는 NP에 대하여 선택되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눈이 조절되고 프로파일이 플래터되는 경우에 자연적인 주변부 굴절의 변화를 반영한다(눈이 원거리 물체를 응시하는 경우보다 눈이 조절되는 경우의 온-축에 비해 주변부에서 원시가 더 약함).
다른 구현예에서, 영역 5 및 6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영역 4의 굴절력에 비해 애드 배율을 가진다. 영역 5 애드 배율은 대칭 설계에서 영역 6 애드 배율과 동일할 수 있고, 또는 비대칭 설계에서 영역 5 및 6 애드 배율은 상이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영역 5 및 6 애드 배율은 조절형 눈의 자연적인 주변부 굴절 상태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고 따라서, 감소된 규모가 아닌, 적어도 가장 멀리 떨어진 주변부 필드에서, 필드 앵글을 증가시키면서 플래터 프로파일을 반영하기 위하여, 위에서 언급된 영역 2 및 3에 대해 기재된 임의의 선택예와 유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역 2가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굴절력을 가진다면, 영역 5는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굴절력을 가질 것이며, 영역 2가 렌즈의 주변부를 향하여 굴절력이 증가된다면, 그 후 영역 5도 역시 주변부를 향하여 굴절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영역 3 및 6은 유사한 관계(like relationship)를 가질 수 있다. 제5 및 제6 영역의 애드 배율(제4 굴절력에 상대적) 제2 및 제3 영역의 애드 배율(제1 굴절력에 상대적)의 절반 이하일 것이고, 또는 제2 및 제3 영역 각각의 애드 배율보다 작은 1.00D 내지 2.00D일 것이다.
구현예의 다음 설명은 렌즈의 특정 실시예, 특히 위에서 언급한 영역 1 내지 6을 갖는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반적 구조, 목적 및 효과를 유지하면서 렌즈의 다수의 추가 변이가 설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문에 의해 지시되거나 요구되지 않으면 점선에 의해 렌즈의 영역을 도시하는 도 1과 비교하여, 도 2 내지 4의 선은 근축(paraxial) 광선에 대한 동일한 굴절력의 선을 나타낸다. 이 구현예들은 또한 변이되는 콘택트렌즈의 시력 구역에 적용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할 것이다.
도 2는 안과용 렌즈 요소(100)의 간략도를 도시한다. 안과용 렌즈 요소는 상부 시야 영역(102)(도 1의 영역 1), 하부 시야 영역(104)(도 1의 영역 4) 및 상부 시야 영역(102)의 양 측면에 위치되는 주변부 영역(106A, 106B)(도 1의 각각의 영역 2 및 3)를 포함한다.
상부 시야 영역(102)은, 수용자를 위해 정확한 원거리 시력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제1 굴절력을 제공하는, 렌즈에 대한 원거리 포인트(DP)를 포함하는 중심와의 시역(foveal vision zone)(108)을 포함한다. 상부 시야 영역(102)의 굴절력은 실질적으로 지속적이거나 작은 애드 배율(단일의 +로 나타냄)을 가진다. 중심와의 시역(108)을 나타내는 원형 및 원형 내의 십자가형 +는 구역의 위치 및 DP를 나타내려는 의도이며, 원거리 시력을 교정하도록 선택되는 굴절력을 넘는 애드 배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십자가형 + 및 ++ 및 +++는 DP에서 굴절력을 넘도록 애드 배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여주며, 추가의 십자가형은 더 큰 애드 배율을 지시한다.
중심와의 시역(108)의 양 측면 상의 주변부 영역(106A, 106B)은 측두 굴절력 램프(temporal power ramp)(110) 및 비 굴절력 램프(nasal power ramp)(112)를 포함한다. 굴절력 램프(110 및 112)는 렌즈의 주변부 에지 쪽으로 양의 굴절력을 증가시킨다. 양의 굴절력의 증가는 미국특허 US 7,503,655 B2(Smith et al)에 기대된 유형의 DP를 통하여 연장하는 수평 경락에 걸쳐, 그리고 수평 경락 주위로의 시력 교정을 제공한다. 렌즈의 굴절력 프로파일은 상부 시역(102)의 굴절력으로부터 렌즈 요소(100)의 에지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주변부 영역(106A, 106B)의 최대 굴절력까지 순조롭고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주변부 영역(106A, 106B)에서의 양의 굴절력의 증가는 측두 굴절력 램프 구역(110) 및 비 굴절력 램프 구역(112) 둘다에 대해 동일하여, 렌즈는 중심 수직 경락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대안으로, 양인 굴절력의 증가는, 예컨대 환자 개인의 시각 필드의 비대칭 또는 군집 평균으로부터 결정된 비대칭을 반영하기 위하여, 측면 시각 필드 경락을 따라 비대칭일 수 있다.
하부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104)은 제1 굴절력에 비하여 애드 배율을 제공한다. 애드 배율은 근거리 포인트(NP)(116)에서 그것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NP 아래에서 지속되게 남아 있어서, 도 1의 영역 4에 대응하는 영역이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굴절력을 갖는다. 도 2에서처럼, NP는 상부 시역(102)과 렌즈의 최하위 중심 주변부 에지 사이의 중간-포인트에 위치할 수 있다. 앞쪽의 원거리 시야 위치로부터 근거리 시야 위치까지 움직이기 위해 눈이 요구하는 거리를 줄이기 위해, NP는 대안으로 이 중간-포인트 위, 예컨대 DP로부터 렌즈의 최하위 중심 주변부 에지까지의 거리의 25% 내지 40%까지에 위치할 수도 있다. NP가 더 높게 위치되는 이 대안은 원거리에서부터 근거리까지 포커스가 더 빨리 변화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상부 시야 영역(102)에서부터 하부 시야 영역(104)까지의 변화는 렌즈의 굴절력 프로파일이 중심와의 시역(108)의 굴절력에서 근거리 시야 영역(104)의 굴절력 사이로 점진적이고 순조롭게 변이되는 굴절력 변화의 통로(corridor)(118)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는 이 통로를 따라 일반적으로 누진 다초점 렌즈라 불리는 것과 유사한 굴절력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통로(118)는 원거리 포인트에서 근거리 포인트로 연장한다. 통로(118)는 도 2에서 수직 파선으로 표시되며, 또한 근접 물체를 보는 경우에 눈의 컨버전스를 위해 조정되도록 기울어지거나 경사질 수도 있다. 애드 배율의 선택은 근거리 시야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군집 평균 또는 수용자의 조절형 레그를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굴절력은 상부 시야 영역(102)에 있는 중심와의 시역(108)의 굴절력으로부터 근거리 포인트의 근거리 시야 영역(104)의 굴절력까지 변이될 수 있고, 그 후 근거리 포인트에서 렌즈의 주변부 에지까지 실질적으로 지속된다.
도 2의 렌즈 설계의 일 구현예에서, NP의 양측 상의 주변부 영역들(도 1의 영역 5 및 6)은 NP에서의 굴절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력을 가진다. 렌즈는 영역 4 내지 6(도 1)에서 주변부 영역(106A 및 106B)의 굴절력 프로파일로의 순조로운 변이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영역 5 및 6에서 굴절력이 증가하나, DP를 통해 경락을 가로지르는 경우보다 느린 속도로 이루어진다. 이 구현예들은 일반적으로 반전된 U 형상을 형성하는 두 개의 파선에 의해 도 2에 각각 도시된다.
DP를 통해 수평 경락을 따른 굴절력 프로파일의 실시예는 '원거리' 프로파일로서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NP를 통해 수평 경락을 따른 가변의 굴절력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이하 좀 더 자세히 설명될 상기 제2 구현예를 도시한다. 제1 구현예에 대하여 NP를 통해 수평 경락을 따른 굴절력 프로파일이, 주변부 영역(106A 및 106B)로의 순조로운 변이를 제공하는 변형을 조건으로, 실질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은 이전 기재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영역 5 및 6이 영역 4 굴절력에 비해 증가된 굴절력을 가지는 경우의 구현예에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의 굴절력 프로파일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독립 변수는 렌즈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거리이며, 이는 DP를 통해 도 3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독립 변수는 굴절력이며, 렌즈 전면의 성형으로부터의 일례를 위한 것이며, 그래프는 굴절력의 두 개의 플롯, 즉 DP를 통해 수평 경락을 따른 것(원거리)과 NP를 통해 수평 경락을 따른 것(근거리)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렌즈는 3D 근시를 위한 안경 렌즈이다. 변이형 콘택트렌즈는 유사한 굴절력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나, 안경 렌즈를 위한 각막 앞의 원거리 대신에, 각막(cornea) 앞에 콘택트렌즈를 위치시키고, 실질적으로 각막 상에 콘택트렌즈를 위치시키는 것을 반영하기 위하여 감소된 치수를 가진다. 도 2에 수직 파선으로 나타낸 통로(118)는 DP 주위에 비 및 측두 방향으로 대략 5 mm 연장하고, NP에서 비쪽으로 연장하고 변경된다. NP는 DP의 제1 굴절력에 비하여 1D의 애드 배율의 NP 굴절력을 가진다. 도 3의 렌즈에 적용되는 도 1의 영역들을 참조하여, 영역 2는 10mm에서의 약 0.4D, 20mm에서의 약 1.0D 및 30mm에서의 약 1.5D의 제1 굴절력에 비하여 점진적인 애드 배율을 갖는다. 영역 3은 10mm에서의 약 0.25D, 20mm에서의 약 0.75D 및 30mm에서의 약 1.25D의 제1 굴절력에 비하여 점진적인 애드 배율을 갖는다. 영역 5는, 30mm에서의 약 0.65D까지, (제1 굴절력에 상대적인) 영역 2의 애드 배율보다 작은 NP 굴절력에 비하여 점진적인 애드 배율을 갖는다. 영역 6은, 30mm에서의 약 0.4D까지, (역시 제1 굴절력에 상대적인) 영역 3의 애드 배율보다 작은 NP 굴절력에 비하여 점진적인 애드 배율을 가진다. 이 렌즈는 따라서 그것의 수직 중심에 대해 비대칭이다.
따라서, 영역 2 및 3이 DP에서의 굴절력 이상을 제공하는 것보다 영역 5 및 6은 NP에서의 굴절력 이상의 애드 배율의 약 절반을 제공한다. 근접 물체를 보는 경우에 근시안의 플래트닝(flattening) 굴절 프로파일로 인해, 영역 5 및 6이 영역 2 및 3의 애드 배율의 절반 이상을 요구하는 것이 예상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에서, 영역 5 및 6은 영역 2 및 3과 비교하여 애드 배율의 절반 미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고급 방식(Executive style) 렌즈 설계에 기초한, 안과용 렌즈 요소(200)의 실시예의 간략도를 도시한다. 고급 방식 렌즈는 원거리와 근거리 시야 둘 다에 대한 교정을 제공한다. 안과용 렌즈 요소(200)는 상부 시야 영역(202)(도 1의 영역 1), 하부 시야 영역(204)(도 1의 영역 4, 5 및 6) 및 주변부 영역(206A, 206B)(도 1의 영역 2 및 3 각각).
상부 시야 영역(202)은 참조로 원거리 포인트(DP)를 갖는 중심와의 시역(208)을 포함한다. 이 구역은 정확한 원거리 시력을 위한 제1 굴절력을 제공한다. 상부 시야 영역(202)의 위치 및 굴절력의 선택의 공정이 구현예 1에 기재되었다. 정확한 원거리 시력을 위한 제1 굴절력은 DP 위 뿐만 아니라 아래에도 제공되고, 하부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204)이 시작되는 굴절력 프로파일의 절단부까지 아래로 계속된다.
중심와의 시역(208)의 양 측면 상의 주변부 영역(206A, 206B)은 측두 굴절력 램프(210) 및 비 굴절력 램프(212)를 포함한다. 양인 굴절력의 증가는 구현예 1을 위해 기재된 주변부 영역(106A 및 106B)과 유사한 시력 교정을 제공한다. 구현예 1에 대하여, 주변부 영역(206A, 206B)은 대칭 또는 비대칭의 굴절력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하부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204)은 제1 굴절력에 비하여 애드 배율을 제공한다. 이 구현예에서, 하부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204)은 측면 경락을 따른 렌즈의 전체에 걸쳐 또는 실질적으로 걸쳐 연장하고 측면 경락을 따라서 그리고 아래로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굴절력을 가진다. 굴절력이 DP와 NP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현예 1 및 2의 누진 다초점 방식 렌즈 설계와 다르게, 고급 렌즈 설계의 상부 및 하부 시역은 서로 구별되고, 굴절력 프로파일에서 단절부(205)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기재된 고급 렌즈 설계 및 누진 다초점에 더하여, 이초점 렌즈 설계가 또한 비정시안(ametropia), 조절형 레그 및 노안(presbyopia)의 동시 교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이초점 안경 렌즈 설계를 기초로 하는 안과용 렌즈 요소(300)의 실시예의 간략도를 도시한다. 안과용 렌즈 요소는 상부 시야 영역(302)(도 1의 영역 1)을 포함한다. 상부 시야 영역(302)은 참조로 원거리 포인트(DP)를 갖는 중심와의 시역(308)을 포함한다. 이 구역은 정확한 원거리 시력을 위해 제1 굴절력을 제공한다.
안과용 렌즈 요소는 또한 하부 시야 영역(304)(도 1의 영역 4) 및 DP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주변부 영역(306A, 306B)(도 2의 영역 2 및 3 각각)을 포함한다. 이초점 렌즈는 상부 시야 영역(302)에서 정확한 원거리 시력을 위한 제1 굴절력 및 근거리 시력 작업을 위한 하부 시야 영역(304)에서의 제2 굴절력을 제공한다. 제2 굴절력은 제1 굴절력에 대하여 애드 배율을 가진다.
하부 시야 영역을 통해 제2 굴절력을 제공하는 고급 방식 렌즈 설계와 다르게, 이초점 렌즈 설계는 제1 굴절력의 렌즈 내의 더 작은 세그먼트에 있는 하부 시야 영역 (304)를 제공한다. 대안의 구현예에서 하부 시야 영역(304)은 근접 물체를 보는 경우에 눈의 컨버전스를 위해 조정하도록 전위될 수 있다. 하부 시야 영역(304)의 외부(하부 시야 영역(304)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도 1의 영역 4, 5 및 6)에서, 렌즈는 DP를 위해 선택되는 굴절력과 동일한 굴절력을 가진다.
중심와의 시역(308)의 양 측면 상의 측면의 주변부 영역(306A, 306B)은, 대칭이거나 비대칭일 수 있고 구현예 1 내지 3을 참조하여 기재된 굴절력 램프와 유사한, 양인 굴절력에서 증가하는 측두 굴절력 램프(310) 및 비 굴절력 램프(312)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영역 1에서의 굴절력(도 1)이 실질적으로 지속되지 않을 수 있으나, 구현예 1과 관련하여 위에 기재된 영역 2 및 3과 유사한 방식으로 증가할 수는 있다. 이는 중심와의 왼쪽 및 오른쪽으로 수용되는 이미지에 대한 영역 2 및 3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에 더하여, 중심와 아래에서 수용되는 이미지에 대한 초점 포인트의 제어를 위해 제공된다. 이 구현예의 실행에서, 렌즈는 영역 1 내지 3 전체에서 회전하여 대칭이어서, 영역 4 내지 6의 외부에서 렌즈가 DP(또는, DP가 아니라면,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과 같은 다른 중심 참조 포인트)로부터 증가하는 반경으로 유사하게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굴절력 프로파일을 가진다. 게다가, 일 선택예에서 영역 2 및 3은, 추가의 회전 대칭을 갖는 구현예를 고안하여, DP로부터 NP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면 거리에서, 영역 2 및 3 애드 배율이 NP와 DP 사이의 차이와 동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회전 비대칭은 영역 2 및 3에서의 애드 배율에 비하여 영역 5 및 6에서 감소되는 애드 배율을 제공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다. 회전 비대칭은 또한 NP 아래의 굴절력 프로파일의 플래트닝으로 이해 나타날 수 있다.
위의 구현예 및 추가의 구현예에서 기재되는 임의의 구현예는 안경 렌즈 또는 변이되는 콘택트렌즈와 같은 렌즈 기반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렌즈의 제조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구현예의 굴절력 프로파일은 먼저 컴퓨터 지원형 제조에 입력을 위해 렌즈 두께 프로파일로 변이될 수 있다. 관련된 렌즈 굴절력 프로파일이 렌즈 재료의 굴절 인덱스를 고려하여, 렌즈에 대한 축의 두께 프로파일로 변환된다. 굴절력/두께 프로파일의 특징이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전면과 후면의 결합 상에 반영될 수 있다. 모든 파라미터, 예컨대 두께 프로파일, 굴절력 프로파일, 후면 형상, 직경 및 재료의 굴절 인덱스가 결정되어지면, 그 후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컴퓨터 지원형 선반(lathe)에 입력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광학 기판(예컨대 완성된 또는 미완성의 렌즈 블랭크(blank)) 또는 종래의 렌즈 중의 하나에 삽입되는 전지-활성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활성(electro-active) 안경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전압이 전기-활성 광학 요소에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요소의 굴절력이 기판의 굴절력에 대하여 변화할 수 있다. 액정은 전기-활성 요소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고, 굴절 인덱스는 그 후 액정 전반에 전계를 생성함으로써 변화된다. 전계는 액정에 연결된 전극에 하나 이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전기-활성 매트릭스를 사용함으로써, 렌즈 전체에 걸쳐 다수의 상이한 영역들에 대해 굴절력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기-활성 기술의 다양한 서로 다른 유형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원의 양상들에 따라 렌즈를 구현하기에 적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 예컨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별개의 특징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며, 순서 또는 상대적인 것임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고 한정된 본원은 본문 또는 도면으로부터 언급되거나 명백한 하나 이상의 개별 특징들의 대안의 조합으로 연장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모든 상이한 조합들은 본원의 다양한 대안의 측면들을 구성한다.
Claims (19)
- 수용자(recipient)의 눈 앞에 사용되는 안과용 렌즈로서,
시력 구역(optic zone)에,
앞쪽 원거리 시력(distance vision)에서 눈의 광축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한 원거리 포인트(distance point)를 포함하는 제1 영역;
상기 원거리 포인트의 일 측에 측면으로 위치한 제2 영역;
상기 원거리 포인트의 다른 측에 측면으로 위치한 제3 영역;
상기 원거리 포인트 아래에 위치한 제4 영역;
상기 제4 영역의 일 측에 측면으로 위치한 제5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의 다른 측에 측면으로 위치한 제6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안과용 렌즈는 상기 원거리 포인트에 제1 굴절력(refractive power)을 갖고,
상기 제2 및 제3 영역은 상기 제1 굴절력에 비해 각각 영역 2 및 영역 3 애드 배율(ADD power)을 갖는 제2 및 제3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1 굴절력에 비해 영역 4 애드 배율을 갖는 제4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5 및 제6 영역은 제5 및 제6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5 및 제6 굴절력은 각각:
상기 제4 굴절력과 동일한 굴절력, 및
상기 제4 굴절력에 비해 각각 영역 5 또는 영역 6 애드 배율의 굴절력
중 하나이고,
상기 영역 5 또는 영역 6 애드 배율은 상기 제1 굴절력에 대한 상기 영역 2 또는 영역 3 애드 배율 이하이고, 상기 제4, 제5 및 제6 영역의 굴절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4, 제5 및 제6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며,
눈이 앞쪽을 보는 시야와 아래를 향한 시야 사이에 움직이는 경우에, 눈과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영역은 각각 상기 안과용 렌즈의 시력 구역의 범위의 적어도 10분의 1을 점유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굴절력은 0.25D 내지 4.0D의 제1 굴절력에 비해 애드 배율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굴절력은 1.0D 내지 2.5D의 제1 굴절력에 비해 애드 배율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굴절력은 각각 상기 제1 굴절력에 비해 적어도 2.0 D의 애드 배율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굴절력에 대한 상기 제5 및 제6 영역의 애드 배율은 각각 상기 제1 굴절력에 대한 상기 제2 및 제3 영역의 애드 배율 미만인 1.00D 내지 2.00D인 것인, 안과용 렌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및 제6 영역의 애드 배율은 상기 제2 및 제3 영역의 애드 배율의 절반 이하인,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굴절력은 필드 앵글(field angle)의 증가에 따라, 상기 제5 및 제6 굴절력을 갖는 컨버전스(convergence) 쪽으로 증가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제1 영역은 상기 원거리 포인트에서 상기 렌즈의 상부 주변부 쪽으로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굴절력을 가지는,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및 제3 영역 위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원거리 포인트 위의 위치 및 상기 제2 및 제3 영역 위의 위치에, 상기 제1 굴절력에 비해 애드 배율을 갖는 굴절력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굴절력과 상기 제4 영역의 굴절력 간에 점진적으로 변이되는 굴절력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된,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굴절력과 상기 제2 및 제3 영역의 굴절력 간에 점진적으로 변이되는 굴절력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된,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은 그것의 범위에 걸쳐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굴절력을 갖는, 안과용 렌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안경 렌즈인 것인, 안과용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변이형(translating) 콘택트렌즈인 것인, 안과용 렌즈. - 삭제
- 삭제
- 눈 앞에 사용되고 시력 구역을 갖는 렌즈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렌즈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영역이 앞쪽 원거리 시력에서 눈의 광축의 예상되는 위치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한 원거리 포인트를 포함하고;
제2 영역이 상기 원거리 포인트의 일 측에 측면으로 위치하고;
제3 영역이 상기 원거리 포인트의 또 다른 측에 측면으로 위치하고;
제4 영역이 상기 원거리 포인트 아래에 위치하고;
제5 영역이 상기 제4 영역의 일 측에 측면으로 위치하고;
제6 영역이 상기 제4 영역의 또 다른 측에 측면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시력 구역에 6개의 영역을 갖도록 렌즈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기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굴절력을 갖는 각각의 6개의 영역이,
상기 안과용 렌즈가 상기 원거리 포인트에서 제1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및 제3 영역이 상기 제1 굴절력에 비해 영역 2 및 3 애드 배율을 갖는 제2 및 제3 굴절력을 각각 갖고;
상기 제4 영역이 상기 제1 굴절력에 비해 영역 4 애드 배율을 갖는 제4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5 및 제6 영역이 제5 및 제6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5 및 제6 굴절력 각각은 상기 제4 영역의 제4 굴절력과 동일한 굴절력, 상기 원거리 포인트의 제1 굴절력과 동일한 굴절력, 및 상기 제4 굴절력에 대하여 각각 영역 5 또는 영역 6 애드 배율인 굴절력 중 하나이고, 상기 영역 5 또는 영역 6 애드 배율은 각각 상기 제2 및 제3 영역의 제1 굴절력에 대한 영역 2 또는 영역 3 애드 배율 이하이고, 상기 제4, 제5 및 제6 영역의 굴절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4, 제5 및 제6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도록,
렌즈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U2012901026 | 2012-03-14 | ||
AU2012901026A AU2012901026A0 (en) | 2012-03-14 | Lens for myopic eye | |
PCT/AU2013/000252 WO2013134825A1 (en) | 2012-03-14 | 2013-03-14 | Lens for myopic ey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5536A KR20150005536A (ko) | 2015-01-14 |
KR102065472B1 true KR102065472B1 (ko) | 2020-01-13 |
Family
ID=4916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28241A KR102065472B1 (ko) | 2012-03-14 | 2013-03-14 | 근시안용 렌즈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3) | US10247964B2 (ko) |
EP (1) | EP2825910B1 (ko) |
JP (1) | JP6228145B2 (ko) |
KR (1) | KR102065472B1 (ko) |
CN (1) | CN104272173B (ko) |
AU (6) | AU2013201501B2 (ko) |
CA (1) | CA2867189C (ko) |
ES (1) | ES2927468T3 (ko) |
HK (1) | HK1201933A1 (ko) |
MY (1) | MY170384A (ko) |
SG (1) | SG11201405687QA (ko) |
TW (1) | TWI589952B (ko) |
WO (1) | WO20131348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47964B2 (en) * | 2012-03-14 | 2019-04-02 |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 Lens for correction of myopic refractive error |
TWI588560B (zh) | 2012-04-05 | 2017-06-21 | 布萊恩荷登視覺協會 | 用於屈光不正之鏡片、裝置、方法及系統 |
US9201250B2 (en) | 2012-10-17 | 2015-12-01 |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
US9541773B2 (en) | 2012-10-17 | 2017-01-10 |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
WO2016050613A1 (en) * | 2014-09-30 | 2016-04-07 |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 A spectacle ophthalmic lens, method for determining a spectacle ophthalmic lens |
CN106610536A (zh) * | 2015-10-23 | 2017-05-03 | 四川华信诚泰信息技术有限公司 | 矫正近视弱视训练眼镜 |
CN106646914A (zh) * | 2015-11-02 | 2017-05-10 | 四川目道科技有限公司 | 矫正近视弱视训练眼镜 |
WO2017083774A1 (en) * | 2015-11-11 | 2017-05-18 | Onefocus Vision, Inc. | Accommodating lens with cavity |
CN105785589A (zh) * | 2016-05-10 | 2016-07-20 | 段亚东 | 四象限区周边离焦框架眼镜片 |
RU2644283C1 (ru) * | 2016-06-22 | 2018-02-08 | Рашид Адыгамович Ибатулин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или лечения рефракционных нарушений зрения |
EP3276399A1 (en) * | 2016-07-29 | 2018-01-31 | Essilor International | Method for determining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for myopic wearers |
SG11201900867UA (en) | 2016-08-01 | 2019-02-27 | Jay Neitz | Ophthalmic lenses for treating myopia |
KR101870142B1 (ko) | 2016-08-12 | 2018-06-25 | 이성준 | 노안용 콘택트렌즈 |
US10048512B2 (en) * | 2016-10-08 | 2018-08-14 | eyeBrain, Medical, Inc. | Low-convergence spectacles |
WO2018089699A1 (en) | 2016-11-11 | 2018-05-17 | Onefocus Vision, Inc. | Accommodating cavity lens shaped with photocleavable insert |
WO2018100012A1 (en) * | 2016-12-01 | 2018-06-07 |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 Progressive spectacle lens,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
CN110785149B (zh) * | 2017-04-28 | 2022-10-04 | 华柏恩视觉研究中心有限公司 | 用于控制近视进展的系统、方法和装置 |
AU2018261072A1 (en) | 2017-05-01 | 2019-12-19 | Pres-By Vision Ltd. | Dynamic tear lenses |
TWI685692B (zh) | 2017-05-08 | 2020-02-21 | 美商賽特眼鏡視光有限公司 | 用於降低近視之隱形眼鏡及製造彼之方法 |
US10884264B2 (en) | 2018-01-30 | 2021-01-05 | Sightglass Vision, Inc. | Ophthalmic lenses with light scattering for treating myopia |
EP3821291A4 (en) | 2018-07-12 | 2022-04-13 | Sightglass Vision, Inc. | METHODS AND DEVICES TO REDUCE MYOPIA IN CHILDREN |
AU2019336973A1 (en) * | 2018-09-04 | 2021-04-08 | Pres-By Vision Ltd. | Mechanisms for inducing transitions in dynamic contact lenses |
US12111518B2 (en) | 2019-04-23 | 2024-10-08 | Sightglass Vision, Inc. | Ophthalmic lenses with dynamic optical properties for reducing development of myopia |
US11762220B2 (en) * | 2020-04-30 | 2023-09-19 |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and related methods |
WO2022231624A1 (en) * | 2021-04-30 | 2022-11-03 | Carl Zeiss Vision Inc. |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
WO2024003940A1 (en) * | 2022-06-27 | 2024-01-04 | Bhale Vikrant | Multifocal intraocular lens |
DE102022210894B4 (de) | 2022-10-14 | 2024-07-25 | Rodenstock Gmbh | Brillenglas zum myopie management mittels peripherem wirkungsanstie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43136A (ja) * | 2006-06-29 | 2009-12-03 |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平行移動型多焦点眼用レンズ |
WO2011054058A1 (en) * | 2009-11-09 | 2011-05-12 |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imited | Ophthalmic lens element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09749A (en) * | 1997-11-04 | 2000-08-29 | Bernstein; Paul R. | Soft bifocal contact lenses |
JP4959087B2 (ja) * | 2000-04-25 | 2012-06-20 | ローデンストッ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プログレッシブ眼鏡レンズの計算方法と、この種の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
JP4030814B2 (ja) | 2002-07-10 | 2008-01-09 |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 多焦点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6871953B1 (en) | 2003-09-29 | 2005-03-29 | Softfocal Company, Inc. | Contact lens with transition |
US7503655B2 (en) | 2003-11-19 | 2009-03-17 | Vision Crc Limited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tering relative curvature of field and positions of peripheral, off-axis focal positions |
FR2888344B1 (fr) | 2005-07-11 | 2007-09-14 | Essilor Int | Lentille ophtalmique |
JP2010503877A (ja) * | 2006-09-15 | 2010-02-04 | カール ツァイス ビジョン オーストラリア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 眼科用レンズ素子 |
US7883206B2 (en) | 2007-03-07 | 2011-02-08 | Pixeloptics, Inc. | Multifocal lens having a progressive optical power region and a discontinuity |
DE102009053467B4 (de) * | 2008-11-14 | 2018-01-18 | Rodenstock Gmbh | Ophthalmische Linse mit peripherer Brechkraftvariation |
CN101639575B (zh) | 2009-07-31 | 2011-04-20 | 广州市天文光学科技有限公司 | 多功能老视镜 |
JP2013501963A (ja) * | 2009-10-22 | 2013-01-17 | クーパーヴィ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ホウル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 近視または遠視の進行を阻止または遅鈍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セットおよびその方法 |
CN101968575B (zh) | 2010-08-31 | 2012-06-27 | 苏州科技学院 | 一种渐进多焦点眼用镜片及其制备方法 |
EP2506063A1 (en) * | 2011-03-31 | 2012-10-03 |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 Progressive ophthalmic lens |
US10247964B2 (en) * | 2012-03-14 | 2019-04-02 |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 Lens for correction of myopic refractive error |
-
2013
- 2013-03-14 US US14/385,028 patent/US10247964B2/en active Active
- 2013-03-14 SG SG11201405687QA patent/SG11201405687QA/en unknown
- 2013-03-14 KR KR1020147028241A patent/KR10206547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3-14 CA CA2867189A patent/CA2867189C/en active Active
- 2013-03-14 AU AU2013201501A patent/AU2013201501B2/en active Active
- 2013-03-14 MY MYPI2014702603A patent/MY170384A/en unknown
- 2013-03-14 WO PCT/AU2013/000252 patent/WO201313482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3-14 CN CN201380023684.0A patent/CN104272173B/zh active Active
- 2013-03-14 TW TW102109037A patent/TWI589952B/zh active
- 2013-03-14 AU AU2013232736A patent/AU2013232736B2/en active Active
- 2013-03-14 EP EP13761341.0A patent/EP2825910B1/en active Active
- 2013-03-14 JP JP2014561236A patent/JP622814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3-14 ES ES13761341T patent/ES2927468T3/es active Active
-
2015
- 2015-03-09 HK HK15102339.9A patent/HK1201933A1/xx unknown
-
2017
- 2017-01-12 AU AU2017200195A patent/AU2017200195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2-11 US US16/272,587 patent/US10845624B2/en active Active
- 2019-04-17 AU AU2019202732A patent/AU2019202732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10-20 US US17/075,151 patent/US12019313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6-10 AU AU2021203837A patent/AU2021203837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10-11 AU AU2023248115A patent/AU2023248115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43136A (ja) * | 2006-06-29 | 2009-12-03 |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平行移動型多焦点眼用レンズ |
WO2011054058A1 (en) * | 2009-11-09 | 2011-05-12 |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imited | Ophthalmic lens element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5472B1 (ko) | 근시안용 렌즈 | |
US11796839B2 (en) | Contact lenses for myopic eyes and methods of treating myopia | |
KR101627476B1 (ko) | 안경 렌즈 요소 | |
JP7013123B2 (ja) | 最適化性能を有する先端を切った並進型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設計方法 | |
WO2015106375A1 (zh) | 一种宽视场近视周边离焦眼镜片 | |
TWI494637B (zh) | 在具有動態光學之光學傳遞內之靜態增進表面區域 | |
TW201229615A (en) | Translating presbyopic contact lens | |
WO2011149975A1 (en) | Reduction of image jump | |
CN207817337U (zh) | 无形双圆周边离焦眼镜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