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424B1 -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 - Google Patents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424B1
KR102065424B1 KR1020180106196A KR20180106196A KR102065424B1 KR 102065424 B1 KR102065424 B1 KR 102065424B1 KR 1020180106196 A KR1020180106196 A KR 1020180106196A KR 20180106196 A KR20180106196 A KR 20180106196A KR 102065424 B1 KR102065424 B1 KR 102065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learning
information
cloth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목
김진옥
박윤식
한다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424B1/en
Priority to EP19193241.7A priority patent/EP3572573B1/en
Priority to US16/557,689 priority patent/US1123080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4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06F2210/00
    • D06F2212/02
    • D06F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clothing treatment machine which is a home applia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pplied thereto for receiving and treating an object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 clothing treatment machine in which clothing is hung and tre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 clothing treatment machine comprises: a cabinet; a clothing reception unit disposed in the cabinet to hold clothing to be treated thereon; a door disposed in the cabinet to open/close the clothing reception unit; a camera disposed in the cabinet or the door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of the clothing held in the clothing reception unit; a user interfac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receiving information (treatment information) about clothing treatment from a user; and a main processor controlling treatment of the object based on current treatment information set through the acquired current image information, and a result of a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acquired treatment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optimal treatment information.

Description

인공지능 의류관리기{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

본 발명은 대상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대상물을 처리하는 가전기기로서 인공지능이 구현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를 걸어 놓고 처리하는 인공지능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is implemented as a home appliance for accommodating an object and processing the received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tificial intelligent clothing manager for hanging and processing clothes.

대상물을 수용하고 대상물을 처리하는 가전기기는 많은 종류가 있다. 즉, 대상물에 따라 그리고 대상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There are many types of home appliances that accept and process objects. That is, various kinds of home appliance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object and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object.

의류를 수용하고 의류를 처리하는 가전기기는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의류처리기 또는 의류관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옷뿐만 아니라 침구류, 섬유 인형, 신발 등 다양한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Appliances that receive clothing and process the clothing may include a washing machine, a dryer, and a styler (clothing processor or clothing manager). The clothing may include various objects such as bedding, textile dolls, shoes as well as clothes worn by the user.

의류의 처리는 세탁, 건조, 리프레시, 살균 등 다양한 처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처리 과정들 중 특정 처리 과정에 특화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처리 과정들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treatment of clothes may include various treatments such as washing, drying, refreshing, and sterilization, and any one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es may be provided to be specific to a specific treatment among various treatments, and to perform a plurality of treatments. Can be provided.

세탁기의 경우에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 헹굼이 수행되고 탈수가 수행되는 세탁 코스가 수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washing and rinsing using the washing water may be performed, and a washing course in which dehydration is performed may be provided.

건조기의 경우에는,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 내지는 리프레시가 수행되는 건조 또는 리프레시 코스가 제공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dryer, a drying or refreshing course may be provided in which drying or refreshing is performed using hot air.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처리 코스가 제공되며, 각각의 처리 코스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uch clothes treating apparatuses are provided with various treatment courses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ub-information in each treatment course.

이러한 가전기기는 식기를 처리하는 식기세척기나 식재료를 통해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기기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나 식재료 또한 처리하는 대상물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처리 코스를 통해 대상물이 처리될 수 있다. Such home appliances may be extended to a dishwasher for processing tableware or a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food through ingredients. The dishwasher or the ingredients may also be processed through various treatment courses depending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or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종래의 가전기기에서는 사용자가 대상물 수용부에 대상물을 투입한 후 처리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처리 정보에 따라 대상물이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a conventional home appliance, it is common for a user to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after inputting an object to an object receiving unit, and the object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세탁기의 경우,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의류를 드럼과 같은 대상물 수용부에 투입한 후, 다양한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를 사용자가 선택한 후, 선택된 세탁 코스에 따라 세탁이 수행됨이 일반적이다.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after putting clothes for performing washing into an object receiving unit such as a drum, a user selects a specific washing course among various washing courses, and washing is gener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lected washing course.

일례로, 사용자가 이불과 같은 침구류를 세탁하는 경우 "이불 코스"를 선택하거나 울 소재의 의류를 세탁하는 경우 "울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 "quilt course" when washing bedding, such as a blanket, or "wool course" when washing clothes of wool material.

가전기기에서 제공되는 대상물에 대한 처리 정보는 복수 개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일례로, 가전기기의 종류에 따라 세탁 코스, 건조 코스, 리프레시 코스, 세척 코스, 쿠킹 코스 등 특정 코스 형태들로 처리 정보가 제공되며, 각각의 처리 정보들은 복수 개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세탁기의 경우, 일례로, 표준(일반) 코스, 아기옷 코스, 이불 코스, 기능성 의류 코스 등 단일 가전기기에서 복수 개의 처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t is common to provide a plurality of processing information for the object provided by the home appliance. For example, process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 specific course types such as a washing course, a drying course, a refreshing course, a washing course, and a cooking course according to the type of home appliances, and a plurality of processing informations are generally provided.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a single household appliance such as a standard (general) course, a baby clothes course, a duvet course, and a functional clothes course.

각각의 처리 정보 내지는 코스 정보는 처리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처리가 수행되도록 마련된다. 즉, 처리 대상물의 손상이나 훼손을 방지하면서도 최적의 처리 결과를 만족할 수 있도록, 일련의 대상물 처리 과정과 처리 조건들이 기설정된다고 할 수 있다. Each of the processing information or the course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optimum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processing object. That is, it can be said that a series of object treatment procedures and treatment conditions are set in advance so as to satisfy an optimum treatment result while preventing damage or damage to the object to be treated.

세탁기의 경우, 처리 대상이 되는 의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처리 정보가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디폴트로 선택되는 처리 정보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세탁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the washing machine, although various processing inform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clothes to be processed, the user often uses only the processing information selected by defaul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shing machine cannot be used efficiently.

또한, 사용자가 세탁기를 통해 세탁을 하고자 하는 경우마다 처리 정보를 선택하고 입력하여야 하는 수고가 뒤따른다. In addition, whenever the user wants to wash through the washing machine, a lot of effort is required to select and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최근에는 캐비닛 내부에 의류를 걸어 놓고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처리기 또는 의류관리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의류관리기는 세탁수를 통한 세탁과는 달리 열풍, 냉풍 또는 스팀 등을 의류에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시 하거나 살균하는 가전기기라 할 수 있다. 미세 먼저 제거 또는 비에 젖은 옷을 건조하는 경우에도 의류관리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의류관리기를 리프레셔, 스타일러, 의류청정기 등 다양한 용어로 칭할 수 있다.Recently, a clothes processor or a clothes manager that hangs clothes inside a cabinet and processes clothes is widely used. Unlike washing with washing water, the clothing manager may be a home appliance that refreshes or sterilizes clothes by supplying hot air, cold air, or steam to the clothes. Clothing managers can also be used to remove fine first or dry clothes wet with rain. For this reason, such a clothing manager may be referred to in various terms such as a refresher, a styler, and a clothing cleaner.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소량의 의류를 처리하도록 구비된다. 일례로, 1벌 내지는 3벌 정도의 의류를 처리하도록 구비되며, 의류는 옷걸이에 걸린 상태로 대상물 수용부 내부에 위치된다. 물론, 수건 등과 같은 의류가 잘 개진 상태로 수용부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This clothing manager is provided to process a small amount of clothing. For example, it is provided to process one to three pieces of clothing, the clothing is located inside the object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caught on the hanger. Of course, clothing such as a towel may be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in a well-opened state.

의류관리기를 통해 관리되는 의류는 대부분 물 세탁이 어려운 의류이며 상대적으로 고가의 의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에 따라 최적의 관리 코스가 설정되어야 한다. Most of the clothes managed through the clothes manager are clothes that are difficult to wash with water and are relatively expensive clothes. Therefore, the optimal management course should be set according to the clothing.

최근 가전기기에서는 인공지능이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가전기기에서 인공지능은 가전기기에서 누적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 정도에 그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인공지능이 아닌 데이터 처리에 불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come a hot topic in home appliances. However, in the current home appliances, artificial intelligence is only about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in the home appliances. Strictly speaking, it's not just artificial intelligence but data processing.

따라서, 단순한 누적 데이터 처리가 아닌 학습(learing)이 수행되어 진화하는 형태를 갖는 인공지능이 적용된 의류관리기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일일이 처리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최적의 처리 정보를 세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to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form in which learning is performed rather than simple cumulative data processing. Through this, the garment manager may automatically provide the optimal processing information without the user inpu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one by one.

특히, 사용자의 의류들 중 의류관리기를 통해 처리되는 의류의 종류와 양이 한정된다는 점에서, 사용자 개인 특성을 학습하고 이를 반영하여 사용이 편리한 의류관리기가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particular, since the type and amount of the clothing processed through the clothing manager of the user's clothing is limited,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that is easy to use by learning and reflecting user person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학습이 수행되어 사용자가 일일이 처리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최적의 처리 정보를 세팅하거나 세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arning is performed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et or set the optimal processing information without the user inpu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처리 정보를 입력하는 것과 의류관리기에서 자동으로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user to manually input the processing information and to automatically set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clothing manag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학습이 수행되어 진화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만족 여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by informing the user that learning is being performed and evolv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가전제품이 올바른 학습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승인이 수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한 주입 내지 강제 학습이 가능한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home appliance to learn the correct, it is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the user's approval or the injection or forced learning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특정 의류관리기를 통해 획득된 정보만을 통해서 학습이 수행되어, 사용자 맞춤 학습이 가능한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최소화하여 학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학습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is performed only through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specific clothing manager used by the user, to provide a user-customized clothing manager and its control method. In addition, to minimize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learning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learning, and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its control method that can simplify the learning proc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팅된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처리가 수행되는 도중 또는 수행 완료 중, 처리 정보의 하위 정보 내지는 서브 정보를 변경하는 보정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ing manager and the control thereof may be performed during the object processing based on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or during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 a correction process for changing the sub information or sub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대상물 처리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이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처리 정보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automatically set the processing information for the object, but affects the object proces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대상물 수용부에 수용된 대상물을 자동으로 촬영하여 형성되는 이미지 정보를 통한 학습을 통하여, 처리 정보를 세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learning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formed by automatically photographing the object accommodated in the object receiving unit,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its control method that can set the process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자동으로 학습이 수행되고, 학습 결과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learning result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 특유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자신에게만 특화된 코스 세팅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ovide a course setting only for them by learning a user-specific usage patter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의류관리기에서 학습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또는 학습이 가능한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learning and whether the learning is possible and / or learning is possible.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처리 대상 의류가 거치되는 의류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또는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에 거치되는 의류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며,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에 대한 정보(처리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기획득된 이미지 정보 및 기획득된 처리 정보를 통한 학습 과정의 결과와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통하여 세팅되는 현재의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의류관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A clothes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 the cabinet to accommodate clothes to be treated; A door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A camera provided in the cabinet or door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of the garment mounted inside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A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clothes processing from a user; And an artificial garment manager including a main process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an object based on the result of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acquired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acquired acquired processing information and the current processed information set through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상기 인공지능 의류관리기는 카메라를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학습하는 의류관리기이다. 따라서, 비전 기반 인공지능 의류관리기라 할 수 있다. The AI clothing manager is a clothing manager that learns through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a camera. Therefore, it can be called a vision-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lothing manager.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디스플레이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 접촉 또는 가압을 입력받는 버튼 또는 터치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a display, and a button or a touch panel for receiving physical contact or pressurization by a user may be included.

상기 도어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도어 센서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가 감지된 후,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doo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closed, and the camera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image information after the power of the clothing manager is applied and the door sensor is closed.

상기 학습 과정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입력 인자로 하고 상기 처리 정보를 출력 인자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lear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the image information as an input factor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as an output factor.

상기 학습 과정은, 상기 의류관리기에 내장된 학습 프로세서 또는 상기 의류관리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의 학습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The lear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a learning processor embedded in the clothing manager or a learning processor of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clothing manager.

세팅된 처리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세팅된 처리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수행되는 처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잔여 시간 정보, 현재 수행중이 서브 프로세서(일례로, 리프레시, 건조 그리고 탈취 중 어느 하나가 수행 중인지) 등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can be inform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user interface may inform the user of currently performed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The user may be informed of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the subprocessor currently being executed (eg, whether refresh, drying or deodorization is being performed).

상기 학습 과정은,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 결과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수 있다. The learning proces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learning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is present.

상기 판단 단계에서 대응되는 학습 결과가 있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처리 정보가 출력되어 세팅될 수 있다. If there is a corresponding learning result in the determining step,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output and set.

상기 처리 정보 세팅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세팅된 처리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이 수행되는 승인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After se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an approval step in which the user's approval of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may be performed.

상기 승인 단계에서 사용자의 승인이 없는 경우,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사용자가 허용하는 처리 정보를 대응시키는 강제 학습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If there is no user's approval in the approval step, a forced learning step of matching processing information allow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상기 판단 단계에서 대응되는 학습 결과가 없는 경우,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사용자가 허용하는 처리 정보를 대응시키는 강제 학습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learning result in the determining step, a forced learning step of matching processing information allow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상기 학습 과정을 통하여, 서로 구별되는 이미지 정보 및 각각의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어 출력되는 처리 정보에 대한 조합의 개수가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combinations of image information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processing information output corresponding to each image information is expanded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세팅된 처리 정보를 통해 대상물 처리가 시작되도록 사용자가 승인하는 시작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start input unit which the user approves to start the object processing through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상기 의류관리기에서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복수 개의 코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provided to be performed in the clothing manager.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는 복수 개의 코스 항목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코스 항목마다 복수 개의 서브 코스가 구비될 수 있다. 특정 코스 정보에는 해당되는 서브 코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rse items, and a plurality of sub courses may be provided for each course item. The corresponding sub course may not be provided in the specific course information.

상기 복수 개의 코스 항목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의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는 학습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코스 항목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만 세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 items may include a learning course for automatically setting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 items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is set only manually. Can be.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코스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의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는 학습 코스일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course selector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by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May be a learning course.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하여, 직전에 상기 학습 코스가 선택되면 현재 상기 학습 코스가 디폴트로 선택될 수 있다. If the learning course is selected immediately before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unit, the learning course may be currently selected by default.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중 상기 학습 코스를 제외한 코스가 선택되는 경우,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가 상기 선택된 코스를 통한 학습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If a course other than the learning course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the AI garment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a learning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selected course with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코스 정보에 대한 학습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현재의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될 수 있다. When there is a learning result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set.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각각에 대한 학습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현재의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는 의류관리기에서 제공하는 모든 코스 정보들 중 일부분에 해당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When there is a learning resul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set.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may be preset to correspond to a part of all cours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lothes manager.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세팅하는 대상물 처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대상물 처리 정보를 통해 학습하는 단계; 그리고 학습된 결과와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통하여 세팅되는 현재의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ing and obtaining image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Obtaining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Learning through the planned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n addition, a control method of a clothing manager including a step of processing an object based on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learned result and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상기 제어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이미지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may include a correction step as described above. It may also include an additional image generation step.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배타적이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Features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unless they are exclusive or inconsistent in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학습이 수행되어 사용자가 일일이 처리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최적의 처리 정보를 세팅하거나 세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learning is performed so that the user can set or set the optimal processing information without inpu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처리 정보를 입력하는 것과 의류관리기에서 자동으로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 user may manually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set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clothing manag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학습이 수행되어 진화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만족 여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by informing the user that learning is being performed and evolv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가전제품이 올바른 학습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승인이 수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한 주입 내지 강제 학습이 가능한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home appliance to learn the corr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the user's approval or injection or forced learning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특정 의류관리기를 통해 획득된 정보만을 통해서 학습이 수행되어, 사용자 맞춤 학습이 가능한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최소화하여 학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학습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is performed only through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specific clothing manager us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be customized.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learning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lear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implify the learning proc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팅된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처리가 수행되는 도중 또는 수행 완료 중, 처리 정보의 하위 정보 내지는 서브 정보를 변경하는 보정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object processing or during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ing based on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the clothing manager and the control that can be performed to change the lower information or sub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It may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대상물 처리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이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처리 정보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automatically set processing information for an object that is affected but not general.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대상물 수용부에 수용된 대상물을 자동으로 촬영하여 형성되는 이미지 정보를 통한 학습을 통하여, 처리 정보를 세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learning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formed by automatically photographing the object accommodated in the object receiving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et the process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자동으로 학습이 수행되고, 학습 결과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learn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learning resul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 특유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자신에게만 특화된 코스 세팅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ovide a course setting specific to itself by learning a user-specific usage patter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의류관리기에서 학습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또는 학습이 가능한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es manag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grasp whether the clothes manager performs learning and / or whether learning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학습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데이터베이스(DB)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9는 쿼리(Query)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10은 서포트(support)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11은 쿼리 이미지를 분류(classification)하여 학습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othing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user interface of the clothing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lothing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clothing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learning process shown in FIGS. 4 to 6;
8 shows an example of a database (DB) image;
9 shows an example of a query image;
10 shows an example of a support image;
11 illustrates a process of classifying and learning a query imag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rtificial intelligent clothing manage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의류관리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15),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5)는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처리 대상 의류가 거치되는 의류 수용부라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lothing manager may include a cabinet 100 forming an exterior, an inner case 15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es, and a door 300 that opens and closes the cabinet. The inner case 15 may be referred to as a clothing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 the cabinet to accommodate the clothes to be treated.

의류관리기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400,500),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표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othing manager may include a mounting unit 400 or 500 provided at the door or the inner case to mount the garment, and a support unit 540 provided below the mounting unit to support the surface of the garment.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내부의 수용공간에 의류를 거치한 상태에서, 캐비닛 하부에 위치한 공급부로 열풍/냉풍을 공급하거나, 의류를 압박하여 탈취와 동시에 구김을 제거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was capable of supplying hot air / cold air to a supply unit located under the cabinet, or pressing clothes to remove wrinkles at the same time while the clothes were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cabinet.

상기 이너케이스(15)의 하부에는 기계실이 구비되며 기계실 도어(700)에 의해서 기계실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내부에는 각종 하드웨어들이 구비될 수 있다. 스팀이나 수분(미스트) 공급을 위한 토출구(230), 열풍이나 냉풍 토출구(240) 그리고 열풍이나 냉풍 흡입구(25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 내부에는 스팀 발생기, 물통, 배수통, 히터(히트 펌프) 그리고 팬 등이 구비될 수 있다.A machine room is provided below the inner case 15, and the machine room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machine room door 700. Various hardware may be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Discharge port 230 for supplying steam or water (mist), hot air or cold air discharge port 240 and hot air or cold air suction port 250 may be provided. Therefore, a steam generator, a water tank, a water tank, a heater (heat pump) and a fan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또한, 상기 도어(300)의 전방에는 의류관리기의 작동을 입력하거나, 의류관리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00)이 구비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00) 내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어(300)와 구별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의 일부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door 3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00 for inputt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ing manager, or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othing manager. That is,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The control panel 100 to the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door 300, or may be provided as part of the door.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대상물 처리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현재 처리되는 대상물 처리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임과 동시에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이라 할 수 있다. The user may input or select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currently processed may be recogniz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refore, the user interface may be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an output means for outputting informa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카메라(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캐비닛(10) 또는 도어(300)에 구비되어, 대상물 수용부 내부 즉 의류 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는 대상물(의류)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clothing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45). The camera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10 or the door 300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clothing) provided in the object accommodating part, that is,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일례로, 이너케이스(15) 내부에 걸려있는 의류를 촬영하여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5)는 이미지 센서 및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는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는 RGB 카메라일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to photograph the clothes hanging inside the inner case 15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The camera 45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 lighting device. The illumination device may comprise an LED and the image sensor may be an RGB camera.

상기 카메라(45)는 도어(30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의류가 걸려있기 때문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의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300)의 배면 상부에 카메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camera 45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0. Since the garment is hanging, it is desirable to create an image of the garment from top to bottom.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camera is provided on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door 300.

대상물 수용부 내부는 대상물 처리를 위한 환경이 조성되며 이러한 환경은 외부 환경과 다르다. 특히 온도 내지는 습도가 다르다. 내부의 온도와 습도는 의도된 것이므로 이러한 온도와 습도는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이러한 대상물 처리가 수행됨이 일반적이다. The inside of the object receiving part is provided with an environment for object process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emperature and humidity differ. Sinc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are intended, it is desirable that such temperature and humidity be maintained. Therefore, such object treatment is generally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300 is closed.

이를 위해서, 도어(300)의 닫힌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 센서(50)는 도어 내지는 도어에 대응되는 캐비닛(1)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도어 센서(50)를 통해서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감지하는 경우 대상물 처리가 수행되게 된다. 상기 도어 센서(50)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To this end, a door sensor 50 for detecting a closed state of the door 300 may be provided, and the door sensor 50 may be provided in the door 1 or the cabinet 1 corresponding to the door. For example, when detecting that the door is closed through the door sensor 50, the object processing is performed. The door sensor 5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witch.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도어 센서(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도어 센서(50)는 단순히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카메라(45)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door sensor 50 may be provided. However, the door sensor 50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not only for detecting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but also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amera 45.

즉, 카메라(45)를 통한 이미지 정보의 생성 시점이 상기 도어 센서(50)에 의한 도어 닫힘 감지 시점과 연관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센서(50)에서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45)가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generation time of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45 may be associated with the door closing detection time by the door sensor 50. For example, when the door sensor 50 detects a closed state of the door, the camera 45 may generate image information.

카메라(45)와 도어 센서(50)의 작동을 위해서는 이들 구성들에 전원이 인가되어야 한다. 냉장고와 같은 가전기기는 상시 전원이 인가되지만, 일반적으로 의류관리기는 상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가전기기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operate the camera 45 and the door sensor 50, power must be applied to these components.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re always supplied with power, but in general, the clothing manager may be referred to as home appliances that are not always powered.

따라서, 전원 인가, 도어 센서의 작동 그리고 카메라 작동 사이에는 순차적인 로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로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us, sequential logic may be required between powering up, door sensor operation and camera operation. This logic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user interface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는 의류관리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2 shows a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clothing manager.

의류관리기의 경우, 대상물 처리 정보는 코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스 정보는 의류 처리를 위한 일련의 과정, 예를 들어 스팀, 리프레시, 건조 그리고 살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기설정된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각각의 코스마다 해당 과정들에 대한 제어 인자들이 상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lothing manager,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may include course information. Such course information may include a series of processes for treating clothes, for example, steam, refre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and these processes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That is, it means a predetermined algorithm so that this process is performed sequentially. Each course may have different control factors for the courses.

스팀 준비 과정에서는 공기가 강제로 송풍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 과정에서는 의류는 물론 대상물 수용부 내부의 미세먼지와 냄새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In the steam preparation process, air may be forcibly blown. And during the steriliz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ine dust and odor inside the object receiving unit as well as the clothing at the same time.

또한, 의류관리기의 특성 상, 건조나 살균은 독자적인 코스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스팀이나 리프레시 과정이 생략되는 독자적인 코스일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clothing manager, drying or sterilization can be performed in its own course. That is, it may be an original course in which the steam or refresh process is omitted.

따라서, 코스 정보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코스 정보는 대상물의 종류나 특별한 기능에 따라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코스 정보 내에는 서브 코스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대상물 처리 정보는 코스 정보뿐만 아니라 서브 코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특정 코스 정보는 해당 서브 코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us, a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e cour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plural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 or a special function. In addition, sub-cour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each course information. Therefore,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course information but also sub course information. Of course, the specific course information may not include corresponding sub course information.

상기 코스 정보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코스 정보에는 복수 개의 서브 코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위 코스 정보마다 복수 개의 서브 코스가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The cours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each of the course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 course information. That is, it can be said that a plurality of sub courses are provided for each higher course information.

의류관리기의 특성상, 코스 정보는 대상물 처리 목적과 처리 대상 의류에 따라 복수 개의 상위 코스 정보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4 개의 상위 코스 정보가 구비된 일례이다.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thes manager, the course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igher cour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bject processing purpose and the clothes to be processed. 2 is an example provided with four higher course information.

제1 코스 선택부 내지 제4 코스 선택부(120 내지 123)을 포함하는 코스 선택부(11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해서 특정 서브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상위 코스 내의 서브 코스는 서로 배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특정 상위 코스 내의 서브 코스와 다른 상위 코스 내의 서브 코스는 함께 선택될 수 없으며, 어느 하나만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A course selector 110 including first to fourth course selectors 120 to 123 is provided.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ub course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unit. The sub courses in the upper course may be provided exclusively to each other. That is, a sub course in a specific upper course and a sub course in another upper course may not be selected together, and only one of them may be selected.

상기 상위 코스 정보는 문자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상위 코스에 해당되는 하위 코스는 일정 영역에 모여 있어서 다른 상위 코스 및 이의 하위 코스와 구분될 수 있다.The upper course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letters or may be divided into areas. That is, the lower courses corresponding to each upper course may be gathered in a certain area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upper courses and lower courses thereof.

스타일링 코스는 제1 코스 선택부(120)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즉, 스타일링 코스 중 세부적으로 일례로 3 가지의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스타일링 코스는 스팀을 이용하여 구김 제거, 냄새 제거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준비 단계, 스팀을 의류에 공급하는 리프레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건조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The styling course may be selected through the first course selector 120. That is, one of three courses can be selected as an example of the styling course in detail. The styling course may be used to remove wrinkles, remove odors using steam. Therefore, it may include a steam preparation step, a refresh step of supplying steam to the clothes. Thereafter, a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이러한 스타일링 코스는 일반적인 의류에 적합할 수 있다. 남방이나 드레스 셔츠 등에 적합할 수 있다. Such a styling course may be suitable for general clothing. It may be suitable for southern or dress shirts.

고급 의류 코스는 제2 코스 선택부(121)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즉, 고급 의류 코스 중 세부적으로 일례로 3가지의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부가적으로 새로운 코스를 다운로드 받아서 선택할 수도 있다. The luxury clothing course may be selected through the second course selection unit 121. That is, one of three courses may be selected as an example of the high-end clothing course in detail. In addition, you can download and select new courses.

고급 의류 코스는 열에 민감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스타일링 코스에 비해서 온도 제어가 더욱 중요하다. High-end clothing courses are typically made of heat-sensitive materials. Thus, temperature control is more important than styling courses.

위생 살균 코스는 제3 코스 선택부(122)를 통해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위생 살균 코스 중 세부적으로 일례로 4가지의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위생살균 코스는 의류에서 먼지, 바이러스 그리고 냄새 제거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코스라 할 수 있다. The sanitary sterilization course may be selected through the third course selector 122. That is, one of four courses can be selected as an example of the sanitary sterilization course in detail. The sanitizing course is a more effective way to remove dust, viruses and odors from clothing.

맞춤 건조 코스는 제4 코스 선택부(123)를 통해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젖어있는 의류 등을 건조시키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맞춤 건조 코스는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므로 실내 제습을 위한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 건조 코스를 통해서 세부적으로 일례로 3가지의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The custom drying course may be selected through the fourth course selector 123. That is, it may be selected to dry wet clothing or the like. The customized drying course may include a course for indoor dehumidification because it removes moisture. Custom built courses allow you to choose one of three courses in detail.

전술한 스타일링 코스, 고급 의류 코스 그리고 위생 살균 코스는 처리 대상이 되는 의류의 종류나 재질에 따라 최적의 처리를 위해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스타일링 코스는 일반 재질의 의류, 고급 의류 코스는 정장, 울, 니트 또는 스포츠웨어나 등산복과 같은 기능성 의류 그리고 위생살균 코스는 침구, 수건, 아기 옷 등에 최적의 코스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tyling course, high-grade clothing course and sanitary sterilization course can be said to be prepared for optim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type or material of clothing to be treated. The styling course may be general clothing, the luxury apparel course may be suit, wool, knit or functional clothing such as sportswear or mountaineering, and the sanitizing course may be optimal for bedding, towels and baby clothes.

특정 코스 선택부(120 내지 123)을 누를 때마다 순차적으로 특정 코스의 하위 코스가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되는 하위 코스가 선택되었음을 LED 점등으로 표시할 수 잇다. Each time the specific course selection unit 120 to 123 is pressed, the lower course of the specific course may be sequentially selected.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sub course can be indicated by the LED lighting.

그러므로, 이러한 코스들은 이미지를 통해서 대상 의류의 확인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이러한 코스들에 의해 한 번에 처리되는 의류의 수는 소량이며 상대적으로 크기도 크다. 따라서, 대상 의류의 확인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이러한 코스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의류, 즉 사용자가 갖고 있는 의류의 수와 종류는 한정적이다. 따라서, 학습이 매우 용이하고 매우 정확한 학습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즉, 학습에 의해서 처리 정보가 자동적으로 세팅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se courses are very easy to identify the target clothing through the image. And, the number of garments processed at one time by these courses is small and relatively large. Therefore, identification of the target garment is very easy. In addition, the number and types of clothes that can be processed by these courses, that is, the user has a limited number. Thus, learning is very easy and can result in very accurate learning results. That is, the processing information can be set automatically by learning.

한편, 전술한 맞춤 건조 코스는 자주 사용되는 코스가 아닐 수 있다. 즉,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되는 코스라 할 수 있다. 또한, 처리 대상 의류가 특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맞춤 건조 코스는 대상물인 의류에 따라 학습에 의해서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custom drying course may not be a frequently used course. In other words, the course is used only in special cases. In addition, the garment to be treated may not be specified. Therefore, the customized drying course can prevent the processing information from being automatically set by learning according to the clothing which is the object.

물론, 카메라를 통해서 의류의 모양, 색, 재질, 보풀 그리고 형상 뿐만 아니라 의류 표면의 물방울이나 젖어 있는 무늬 등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종류뿐만 아니라 건조 등과 같은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스에서도 학습에 의해 처리 정보가 자동적으로 세팅되도록 할 수 있다. Of course, the camera can generate images of the clothes's shape, color, material, fluff and shape, as well as water droplets or wet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clothes. Therefore,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set by learning in a course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drying as well as the type of clothing.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의류관리기의 복수 개의 코스 정보들 중 어느 하나의 코스 정보는 학습에 의해서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코스 정보는 학습에 의한 자동 세팅이 배제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if necessary, any one of the cours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of the clothing manager can be set automatically by learning, and any one course information can be set to exclude the automatic setting by learning.

또한, 필요에 따라 특정 하위 코스 정보들 중 어느 하나의 코스 정보는 학습에 의해서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코스 정보는 학습에 의한 자동 세팅이 배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necessary, any one of the cours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ub-course information can be set automatically by learning and one of the course information can be set to exclude the automatic setting by the learning.

일례로, 실내 제습 코스는 의류 처리와 무관한 코스이다. 상기 코스는 캐비닛 내부의 대상물 수용부 자체의 제습 또는 캐비닛이 놓인 공간인 실내의 제습을 위한 코스일 수 있다. 즉, 의류관리기가 별도의 제습기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코스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학습이 수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indoor dehumidification course is a course that is not related to clothing processing. The course may be a course for dehumidification of the object receiving unit itself inside the cabinet, or a dehumidification of an indoor space where the cabinet is placed. In other words, the clothing manager may function as a separate dehumidifi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learning is not performed when such a course is select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경우 도어가 닫히고 코스가 선택되면 카메라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실내 제습 코스는 학습이 배제되므로, 획득된 이미지와 대응되는 처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알람을 통해서 사용자가 의류를 대상물 수용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vertheless, in this case the camera can generate an image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course is selected. Since the indoor dehumidification course is excluded from learning, there is no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image.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is guided through the alarm so that the clothing can be taken out from the object receiving unit.

도 2에는 디스플레이부(130)가 도시되어 있다. 잔여 시간, 현재 진행 사이클 내지는 과정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례로, 스팀준비, 리프레시, 건조, 살균 중, 보관중 그리고 예약중이 도시되어 있다.2 illustrates the display 130. The display unit 130 may be provided to display the remaining time, the current progress cycle, or the process. As an example of the display unit 130, steam preparation, refreshing, drying, sterilization, storage and reservation are shown.

각각의 상위 코스와 하위 코스가 선택되는 경우, 후방에 구비되는 LED가 점등됨으로써 선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When each of the upper course and the lower course is selected, the LED provided behind the back is turned on to display the selected information.

한편, 컨트롤 패널(100)에는 의류관리기의 전원을 인가하고 해제시키는 전원 입력부(140)와 의류관리기의 동작을 실행시키거나 일시정지를 위한 동작/일시정지 선택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동작/일시정지 선택부를 편의상 시작 입력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panel 10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input unit 140 for applying and releasing the power of the clothing manager and the operation / pause selection unit 150 for executing or paus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ing manager. The operation / pause selection unit may be referred to as a start input unit for convenience.

따라서, 사용자는 코스 선택부(110)을 통해서 대상물 처리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처리 정보에 따라 대상물 처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동 세팅 모드라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inputs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unit 110, and object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put process information. This series of processes can be referred to as manual setting mode.

수동 세팅 모드의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the manual setting mode is as follows.

사용자는 도어(300)를 개방하고 대상물을 투입한 후 도어(300)를 닫는다. 전원 입력부(140)를 통해서 전원을 인가시킨 후, 코스 선택부(110)를 통해서 스타일링 코스(120)에서 강력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The user opens the door 300 and closes the door 300 after inserting the object. After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140, the intensive course may be selected in the styling course 120 through the course selector 110.

이러한 대상물 처리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시작 입력부(150)을 입력하게 되며, 이후 의류관리기는 입력된 처리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물을 자동으로 처리한 후 종료하게 된다. 강력 코스에서는 강력한 스팀(스팀에 의한 온도, 스팀량 등이 최대)에 의한 리프레시와 건조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input of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s finished, the user inputs the start input unit 150, and the clothing manager automatically processes the object based on th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and then ends. In the intensive course, refreshing and drying by strong steam (maximum temperature of steam, amount of steam, etc.)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수동 세팅 모드뿐만 아니라 자동 세팅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대상물 처리를 원할 때마다 대상물 처리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대상물 처리 정보가 세팅되도록 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es manager capable of providing an automatic setting mode as well as the manual setting mode described above. That is, each time the user wants to process the obj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without inputting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을 수행하면서 진화하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러한 학습의 수행 및 진화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 clothing manager that evolves while performing learning. In addition, the user may be able to recognize whether the learning is performed or evolved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that may increase user satisfaction.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대상물 수용부에 투입한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통해 학습하여 대상물 처리 정보를 세팅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처리 정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학습 결과를 반영하여 처리 정보를 세팅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ser may learn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put into the object receiving unit to set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That is,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input the process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thing manager that can set the processing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learning result.

사용자가 수동 세팅 모드를 통해서 의류관리기를 사용하는 도중, 상기 의류관리기는 지속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카메라(45)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되는 처리 정보를 통해 학습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 과정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While the user uses the clothing manager through the manual setting mode, the clothing manager can continuously perform the learning. That is, the lear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amera 45 and proces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Details of the learn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학습 과정의 결과를 반영하여 세팅되는 코스를 학습 코스라 할 수 있다. 학습 코스를 사용하여 처리 정보가 세팅되는 모드를 학습 세팅 모드라 할 수 있다. 상기 학습 세팅 모드는 전술한 수동 세팅 모드와 달리 사용자가 수동으로 처리 정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course set by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learning process may be called a learning course. The mode in which the processing information is set using the learning course may be referred to as a learning setting mode. Unlike the manual setting mode described above, the learning setting mode may mean automatically se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input the processing information.

일례로, 사용자가 일례로 제2 코스 선택부인 고급의류 선택부(121)을 통해서 학습 코스를 선택하는 경우, 이후에는 디폴트로 학습 세팅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learning course through the advanced clothing selection unit 121, which is, for example, the second course selection unit, the learning setting mode may be used as a default.

학습 세팅 모드의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the learning setting mode is as follows.

사용자는 도어(300)를 개방하고 대상물을 투입한 후 도어(300)를 닫는다. 전원 입력부(140)를 통해서 전원을 인가시킨 후, 학습 코스를 입력할 수 있다. 도어(300)를 닫고 전원을 인가하면 카메라(45)는 자동으로 현재 투입된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한다. The user opens the door 300 and closes the door 300 after inserting the object. After applying power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140, a learning course may be input. When the door 300 is closed and the power is applied, the camera 45 automatically generates image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input object.

학습 코스가 입력되면, 현재의 학습 과정 결과와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통해서 현재의 처리 정보가 세팅된다. 즉, 사용자가 처리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다. When the learning course is input,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is set through the current learning process result and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That is, the processing information can be set without the user inpu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이때, 세팅되는 처리 정보는 학습을 반영한 처리 정보임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미지 정보를 토대로 학습한 결과를 현재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처리 정보가 세팅됨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processing information to be set is processing information reflecting learning.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image is set based on the result of the learning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이를 위해서, 대략 1초 내지 2초 가량 학습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디스플레이(130)를 통한 표시, 복수 개의 LED들이 가변적으로 점등되다가 세팅된 처리 정보들에 대응되는 LED만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한 음성이 안내될 수 있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indicate that the user recognizes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learning result for about 1 second to 2 seconds. For example, the display through the display 130, the plurality of LEDs are variably lit, only the LED corresponding to the set process information may be lit. In addition, voice through the speaker may be guided.

사용자는 세팅된 처리 정보를 시작 입력부(150)를 통해서 승인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을 통해서 승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user may approve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through the start input unit 150. You may also approve it via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승인 단계가 완료되면, 세팅된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대상물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approval step is completed, the processing of the object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한편, 사용자는 승인 단계에서 승인하지 않고 새로운 처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새로 입력된 처리 정보를 통해서 강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주입 학습 내지는 강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 학습 내지는 강제 학습의 결과는 다른 과정에서의 학습 결과에 우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동 세팅 모드를 통해서 학습한 결과보다는 강제 학습을 통한 학습 결과를 우선으로 할 수 있다. 학습 결과의 우선 순위를 의류관리기에서 반영함으로써, 사용자는 학습에 의해서 의류관리기가 진화함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enter new processing information without approval in the approval step. In this case, forced learning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newly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That is, injection learning or forced learning by a user may be performed. The results of such injection learning or forced learning may be prioritized over the learning results of other processes. That is, the learning result through the forced learning may be given priority over the learning result through the manual setting mode. By reflecting the priority of the learning result in the clothing manager,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clothing manager evolves by learning.

직전에 학습 코스가 입력된 후 학습 세팅 모드가 수행되면, 이후에는 디폴트로 학습 코스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학습 코스를 재차 입력하지 않는 한, 학습 코스 선택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학습 코스를 이용한 대상물 처리가 종료한 후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이후 전원이 인가되면 디폴트로 학습 코스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learning setting mode is performed after the learning course is input immediately before, the learning course may be selected by default. That is, the learning course selection may be maintained continuously unless the user inputs the learning course again. Even if the power is turned off after the object processing using the learning course is finished, the learning course may be selected by default when the power is subsequently applied.

그러므로, 학습 코스는 제1 코스 선택부 내지는 제3 코스 선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스 선택부들을 함께 아우르는 별도의 선택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별도의 코스 선택부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코스 선택부를 선택하면, 해당하는 의류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코스 선택부 내의 특정 코스가 자동으로 세팅될 수 있다. Therefore, the learning course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urse selector and the third course selector.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selection unit encompassing the course selection unit together. When provided as a separate course selection unit, when a user selects a separate course selection unit, specific courses in the first to third course selection units may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lothing.

한편, 제4 코스 선택부는 수동 선택만을 위한 코스 선택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코스 선택부는 학습 코스와 무관하며 학습 및 이미지 생성과도 무관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4 코스 선택부를 통해서 코스가 선택되면 이미지 생성이 수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학습을 위한 전제 자체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The fourth course selector may be a course selector for manual selection only. Therefore, the fourth course selection unit may be regarded as having nothing to do with the learning course and with regard to learning and image genera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image generation is not performed when a course is selected through the fourth course selection unit. That is, the premise itself for learning may not be performed.

한편, 의류관리기를 많이 사용하지 않은 초기의 경우, 학습 결과의 수 내지는 종류가 다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결과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nitial case of not using a lot of clothing manager, the number or type of learning results does not vary. Therefore, there may not be a learning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따라서, 학습 세팅 모드에서 학습 결과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earning result in the learning setting mode may be performed.

학습 결과가 있는 경우, 해당하는 처리 정보가 출력되어 세팅될 수 있다. 반면에 학습 결과가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이전에 세탁하지 않았던 새로운 의류를 세탁하는 경우, 해당하는 학습 결과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는 의류관리기가 학습을 위한 새로운 정보를 입력받기 원하는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통해서도 사용자는 의류관리기가 진화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If there is a learning result, corresponding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output and set.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learning result, the user can be notified. If the user washes new clothing that has not been washed before, there will be no corresponding learning result. Therefore, in this case,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clothing manager wants to receive new information for learning. Therefore, the user can also recognize that the clothing manager is evolving.

학습 결과가 없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과 함께 사용자에게 처리 정보를 입력하도록 안내하거나 유사한 처리 정보를 제안할 수 있다. 즉,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부합하는 처리 정보가 없더라도 가장 유사한 처리 정보를 제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승인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강제 학습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If there is no learning result, the user may be informed of this, and the user may be inputted with processing information or suggested similar processing information. That is, even if there is no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the most similar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proposed. In this case, the approval step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orced learning step may also be performed.

상기 학습 코스는 코스 입력부(110)와 별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코스 입력부(110)의 일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도, 학습 코스를 선택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The learning cours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urse input unit 110. Alternatively, the learning course may be provided as a part of the course input unit 110. Even in the latter case, it is as described above to select and reflect the learning course.

상기 학습 코스의 선택은 어느 경우든 구비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수동 세팅 모드와 학습 세팅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의 사용초기부터 수동 세팅 모드를 사용을 기피하고 자동 세팅 모드를 선호하는 경우, 이러한 학습 코스 선택부는 생략될 수 있다. The reason why the selection of the learning course is provided in any case may be that the user selects and uses the manual setting mode and the learning setting mode. If the user avoids the use of the manual setting mode from the beginning of the clothes manager and prefers the automatic setting mode, this learning course selection part may be omitted.

즉, 충분한 양의 학습 결과가 마련되거나 현재 획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학습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학습 세팅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충분한 양의 학습 결과가 마련되지 않거나 현재 획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학습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술한 강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when a sufficient amount of learning results is provided or there are learning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the learning setting mode may be performed. On the contrary, if a sufficient amount of learning results is not provided or there is no learning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the aforementioned forced learning may be performed.

강제 학습의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처리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학습 세팅 모드 수행을 위하여 의류관리기가 학습하고 진화하려 함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의류관리기를 통한 대상물 처리뿐만 아니라, 사용자 본인은 자신의 의류관리기의 진화 과정에 일조하고 이를 목도할 수 있는 유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희는 음성을 통해서 더욱 증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이크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the case of forced learning, the user must enter the processing information manually. However, in this case, the user can recognize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at the clothing manager is trying to learn and evolve to perform the learning setting mode. Therefore, in addition to simply processing the object through the clothing manager, the user himself can obtain a play that can contribute to and witness the evolution of his clothing manager. This amusement can be further enhanced through voice.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user interface to include a microphone and / or a speaker.

이하에서는, 도 3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clothing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의류관리기는 대상물 처리의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내지는 메인 프로세서(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세팅된 처리 정보를 수행하도록 하드웨어(31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하드웨어(310)는 의류관리기마다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팀발생기(70)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 또는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의 수위 또는 배수통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12), 히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50)는 히트펌프(86)로 대체될 수도 있다. The clothing manager may include a main controller or main processor 160 that controls a series of processes of object processing. The main controller 16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hardware 310 to perform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The hardware 3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ach clothing manager. Steam generator 70 may be included. And it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12, the heater 50 for sensing the water level in the steam generator or the water level of the bucket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or the water level of the drain box. The heater 50 may be replaced with a heat pump 86.

배수통이 없는 경우 별도의 배수펌프(2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건조를 위한 별도의 히터(50)나 팬(60)도 상기 하드웨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If there is no drain box, it may include a separate drain pump 24. A separate heater 50 or fan 60 for drying may also be included in the hardware.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학습 제어부 내지는 학습 프로세서(1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학습 프로세서(166)는 메인 프로세서와 개별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학습 프로세서(166)에는 후술하는 학습 알고리즘 내지는 학습 로직이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A learning controller or learning processor 166 may be provided to perform learning and output a learning result. The learning processor 166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processor or embedded in the main processor. In the learning processor 166, a learning algorithm or learning logi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grammed.

카메라(45)를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처리 정보가 상기 메인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60)에 전달된 이미지 정보와 처리 정보는 상기 학습 제어부(166)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이미지 정보와 처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직접 상기 학습 제어부(166)로 전달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amera 45 and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60. Image inform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transferred to the main controller 160 may be transferred to the learning controller 166. Of course, at least one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earning controller 166.

상기 학습 과정은 상기 학습 프로세서(166)에서 수행되며, 이미지 정보를 입력 인자로 하고 처리 정보를 출력 정보로 할 수 있다. The lear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the learning processor 166, and may use image information as an input factor and process information as output information.

한편, 최근에는 서버와 통신하는 스마트 가전기기가 많이 제공되고 있다. 즉, 가전기기에는 미도시된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서버와 통신하게 된다. 따라서, 의류관리기에서 학습 프로세서(166)가 생략되고 대신 서버 제어부(200)에 서버 학습 제어부 내지는 프로세서(21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lot of smart home appliances that communicate with the server has been provided. That is, the home appliance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erefore, the learning processor 166 may be omitted from the clothes manager, and the server learning controller or the processor 210 may be provided in the server controller 200.

즉, 의류관리기에서 학습 과정의 입력 인자를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는 학습을 수행하여 학습 결과를 의류관리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류관리기에서 별도의 학습 프로세서를 요하지 않으므로, 제품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clothing manager delivers the input factor of the learning process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may perform the learning to deliver the learning result to the clothing manager. In this case, since the clothing manager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earning processor,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roduct cost.

반면에, 사용자가 본인만의 의류관리기 또는 본인에 특화된 의류관리기를 원하는 경우, 의류관리기에 별도의 학습 프로세서(16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다른 사용자와는 다른 사용자 본인만의 특화되고 개인화된 의류관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his own clothing manager or a clothing manager specialized for himself, it may be desirable to have a separate learning processor 166 in the clothing manager. That is, a specialized and personalized clothing manager of the user different from other users may be provided.

상기 의류관리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통해서 처리 정보의 입력과 출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의 구체적인 구성들은 도 2를 통해 그 일례를 설명한 바 있다. The clothing manager includes a user interface 100. Input and output of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00.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user interfac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에서의 각종 입력부 내지는 선택부(140, 150, 110)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선택 내지는 입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리적 접촉이나 가압을 통해 입력받는 버튼 또는 터치 패널 중 어느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메뉴를 통해서 이러한 입력 내지는 선택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Various input units or selectors 140, 150, and 110 in the user interface 100 may be provided so that a user may physically select or input the same. It may be provided in any form of a button or a touch panel that is input through physical contact or pressing. The input or selection unit may be provided through a touch menu in the touch display.

그러나, 전원 입력부의 경우에는 사용자 경험이나 대기 전력 감소를 이유로 다른 입력부들과는 별개로 물리적 버튼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전원 인가 스위치 형태로 전원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원 입력부(140)와 대향되는 시작 입력부(150) 또한 마찬가지로 물리적 버튼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ower input unit,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power input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hysical button separately from the other input units due to a decrease in user experience or standby power. In other words, the power input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ower applying switch.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tart input unit 150 facing the power input unit 140 is also provided in the form of a physical button.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의류관리기에 전원이 인가(S10)되고 도어 닫힘이 감지(S20)되면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정보가 생성되고 획득되는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lothes manager (S10) and door closing is detected (S20), step S30 of generating and obtaining image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may be performed.

상기 카메라를 통한 생성되는 이미지 정보는 대상물 처리를 위해 투입된 현재의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 정보여야 한다.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amera should be image information on the current object input for object processing.

사용자는 전원을 먼저 인가한 후 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대상물 투입이 완료되면 도어를 닫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는 대상물을 투입 완료하고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The user may apply power first and then input the object. The door is closed when the object is added. On the contrary, the user may apply power in a state where the object has been added and the door is closed.

어느 경우나, 전원 인가(S10), 도어 닫힘 감지(S20) 그리고 이미지 정보 획득(S30)가 순차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미지 정보 획득(S30) 단계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후속 단계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되어 종료(S8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이미지 정보는 당연히 학습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In any case, it is preferable that power is applied (S10), door closing detection (S20) and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S30) sequentially. If a subsequent step is not performed within a preset time after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30, the power may be automatically turned off to terminate the step S80. At this time,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will not be used for learning.

이미지 정보가 생성되거 획득(S40)되면, 사용자가 세팅하는 처리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학습에 의한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generated or acquired (S40),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process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r setting process information by learning (S40) may be performed.

전술한 수동 세팅 모드인 경우, 본 단계(S40)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처리 정보를 메인 제어부에서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처리 정보는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함께 학습(S50)에 이용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 세팅 모드가 지속되는 한 학습은 수행하되 학습 결과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manual setting mode described above, in the step S40, processing information manually input by the user is acquired by the main controller. This processing information is used in the learning S50 together with the currently obtained image information. However, as long as the manual setting mode is maintained, the learning may be performed but the learning result may not be reflected.

사용자가 음성이나 시작 입력부를 통해 수동 세팅한 처리 정보를 승인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160)는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처리를 수행한다. 메인 제어부는 대상물 처리가 완료된 경우 전원 오프를 수행하여 대상물 처리를 종료(S80)할 수 있다. When the user approves the processing information set manually by the voice or the start input unit, the main controller 160 performs object processing based on the processing information. When the object processing is completed, the main controller may perform power off to end the object processing (S80).

대상물 처리 도중 상기 대상물 처리와 병행하여 학습(S50)이 수행될 수 있다. During the object processing, learning (S50)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object processing.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관리기의 경우 대상물 처리 정보는 상위 코스 정보뿐만 아니라 이의 하위 코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설명한 바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lothing manager,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upper course information but also lower course information thereof.

볼륨이 상대적으로 큰 코트나 정장 등은 동일 종류의 의류로 구분할 수 있어서, 정장/코트 코스를 통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A coat or a suit with a relatively large volume can be classified into the same kind of clothing, so that the treat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a suit / coat course.

학습을 통해서, 코트나 정장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고 코트/정장 코스가 자동으로 세팅될 수 있다. 모피 등에 특화된 코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다운로드 코스 등에 의한 강제 학습을 통해서 모피 의류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고 다운로드 코스가 자동으로 세팅될 수 있다. Through learning, various image information about a coat or a suit is input and a coat / suit course can be set automatically. If a course specialized in fur is not provided, various image information about the fur garment may be input through forced learning by a download course, and the download course may be automatically set.

한편, 모피 등의 코스는 코트/정장 코스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풍 온도, 스팀 여부, 바람 세기, 흔들기 세기 등에 대한 하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코트/정장 코스 선택과 함께 모피에 최적화된 하위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urse such as fur may be performed as a coat / suit course.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2,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lower information on the hot air temperature, steam or not, wind strength, shaking strength, etc. may be further provided. In other words, learning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selecting sub-optimal information optimized for fur along with coat / dress course selection.

학습을 통해서, 모피 의류에 대한 처리를 이불 코스로 수행하는 경우, 열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의류 주변의 온도의 변화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학습에 의해 세팅되는 처리 정보의 보정이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상물 처리 도중 또는 대상물 처리 완료 전에 학습에 의한 처리 정보의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Through learning, thermal damage may occur when the treatment for fur garments is performed as a futon course. This can be seen by chang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garment. Therefore, in this case, it can be said that correction of the processing information set by learning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step S70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correction of processing information by learning is necessary during object processing or before completion of object processing.

이러한 보정은 상위 정보인 코스 정보 자체를 보정 및 변경하거나, 다양한 하위 코스 정보 또는 하위 옵션 정보를 보정 및 변경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Such correction may be performed to correct and change course information itself, which is higher information, or to correct and change various lower course information or lower option information.

보정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보정 정보(일례로, 현재 학습에 의해 세팅된 처리 정보 중 기설정된 낮은 열풍 온도, 스팀 미사용)를 학습 과정(S50)에서 반영할 수 있다. When the correction is necessary, such correc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predetermined low hot air temperature among the process information set by the current learning and no steam use) may be reflected in the learning process S50.

이러한 보정 여부 및 보정 반영 여부는 대상물 처리 도중 내지는 종료 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Whether the correction and whether the correction is reflected may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during object processing or before termination.

그러므로, 대상물 처리의 종료(S80)는 대상물 처리 과정, 학습 과정 그리고 사용자 알림 과정 등이 모두 완료된 후 비로소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end of the object processing (S80) is preferably performed only after the object processing process,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user notification process are all completed.

전술한 학습 세팅 모드인 경우, 상기 단계(S40)에서는 학습 결과와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통하여 처리 정보를 자동으로 세팅하게 된다. In the learning setting mode described above, in step S40, processing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and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종전의 학습 결과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일치하는 학습 결과가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처리 정보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될 수 있다. Previous learning result If there is a learning result that matches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information is outputted, and the outputted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set.

이러한 처리 정보의 세팅은 학습에 기반한 것임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LED 표시부들의 가변 점등 후 세팅된 LED 표시부만 점등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한 표시, 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 출력을 통해서 학습에 의해 처리 정보가 세팅됨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at such setting of processing information is based on learning. The user interface can be used to make the user awar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only the LED display set after the variable lighting of the LED displays is turned on, or the processing information is set by learning through the display through the display or the audio output through the speaker.

세팅된 처리 정보에 따라 대상물 처리(S60), 보정 여부 판단 단계(S70), 학습 단계(S50) 등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the object processing (S60), whether to correct or not (S70), the learning step (S50), etc.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40)에서 수동 세팅 모드와 학습 세팅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리 수행되거나 학습 결과의 수에 따라 달리 수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tep S40, the manual setting mode and the learning setting mod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learning results.

수동 세팅 모드 수행 중 학습은 지속되되 학습 결과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학습 세팅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학습 결과를 반영하여 학습 세팅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While the manual setting mode is performed, learning may be continued but the learning result may not be reflected. 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the learning setting mode, the learning setting mode may be used to reflect the learning result.

학습 세팅 모드가 디폴트로 수행되는 경우, 학습 결과가 충분하지 않은 의류관리기 초기에는 강제 학습에 의해 학습이 수행되고, 학습 결과가 충분한 경우 비로서 자동으로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다. 제공하는 처리 정보들 각각에 대한 이미지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비로서 이미지 확장을 통한 진정한 의미의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When the learning setting mode is performed by default, the learning is performed by the forced learning in the early stage of the clothing manager in which the learning result is not sufficient,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set when the learning result is sufficient. When image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provided processing information is obtain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true meaning learning through image expans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물론, 학습 세팅 모드의 경우에도 사용자 승인 과정/단계나 강제 학습 내지는 주입 학습 단계가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Of course, in the learning setting mode, the user approval process / step, the forced learning, or the injection learning step may be similarly performed.

본 실시예에서의 학습 과정은, 서로 구별되는 이미지 정보 및 각각의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어 출력되는 처리 정보에 대한 조합의 개수가 확장되도록 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The learning process in this embodiment may be a process of expanding the number of combinations of image information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processing information output in correspondence with each image information.

의류관리기에서, 특정 사용자가 의류관리기를 통해 처리할 수 있는 의류의 종류와 수는 일정 수준에서 가변된다. 새로 의류를 구입하더라도 의류를 폐기할 수도 있으므로, 의류의 종류와 수의 한계는 예측 가능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세탁기와는 달리 물 세탁이 바람직하지 않은 의류를 의류관리기를 통해서 관리하므로, 그 종류와 수는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 In the garment manager, the type and number of garments that a particular user can process through the garment manager are varied at a certain level. Even if new clothes are purchased, the clothes can be discarded, so the limits of types and number of clothes are predictable. In particular, unlike the washing machine, since the clothes washing is not desirable to manage clothes through the clothes manager, the type and number will be relatively small.

따라서, 특정 사용자의 의류관리기에서 예측 가능한 이미지 정보의 개수 및 이에 대응되는 처리 정보에 대한 조합의 개수는 점차 확장될 수 있지만 예측 가능한 수준까지 확장될 것이다. 즉, 의류관리기 자체의 프로세서에서 성능 확장 없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일 것이다. Therefore, the number of image information predictable in the clothing manager of a specific user and the number of combinations of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gradually expanded to a predictable level. In other words, it will be able to endure the processor of the clothing manager itself without any performance expansion.

반대로,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의류에 대한 이미지 정보와 이에 대한 처리 정보에 대한 조합들을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경우, 학습에 의해 확장되어 진화될 여지가 매우 작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화에 매우 큰 어려움이 따르며, 의류관리기 자체에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가 내장된 경우 자체 프로세서의 과부하를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에 데이터 베이스가 내장된 경우라 하더라도 정보의 전달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 image information of all the garments that can be processed and the combinations of the processing information thereof are databased in advance, there is little room for expansion and evolution by learning. 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a database, and if such a database is embedded in the clothing manager itself, it may cause an overload of its own processor. In addition, even when a database is embedded in the server, excessive time may be require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그러므로, 초기 데이터 베이스 없이, 특정 사용자에게만 해당되는 데이터 베이스가 학습에 의해 확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학습 자체는 의류관리기 또는 서버에서 수행하되, 의류관리기 자체에서 학습 결과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refore, without an initial database,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a database that is specific to a particular user to be extended by learning. In addition, while the learning itself is performed in the clothing manager or server, it may be desirable to manage the database for the learning results in the clothing manager itself.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 세팅 모드와 수동 세팅 모드가 명확히 구분될 수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is embodiment, the learning setting mode and the manual setting mode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먼저, 전원 인가(S110), 도어 닫힘 감지(S120) 그리고 이미지 정보 획득(S130)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First, the step of applying power (S110), door closing detection (S120) and obtaining image information (S130) may be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이미지 정보 획득 단계가 수행된 후 학습 세팅 모드를 진행할지 아니면 수동 세팅 모드를 진행할지 판단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물론, 판단 단계(S140)가 수행된 후 도어 닫힘 감지 및/또는 이미지 정보 획득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After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is perfo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proceed with the learning setting mode or the manual setting mode (S140). Of course, the door closing detection and / or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determination step S140 is performed.

사용자가 학습 코스 입력 등을 통하여 학습 세팅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학습 세팅 모드가 진행될 수 있다. 학습 코스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학습 코스가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학습 세팅 모드가 진행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의 직전 사용 형태가 학습 세팅 모드인 경우 학습 세팅 모드가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학습 세팅 모드가 선택되지 않거나 디폴트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수동 세팅 모드가 진행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learning setting mode through a learning course input or the like, the learning setting mode may be performed. Learning course input may be variously performed through a user interface. In addition, the learning course may be set as a default. In this case, the learning setting mode may also proceed. The learning setting mode may be set as a default when the immediately used form of the clothing manager is the learning setting mode. If the learning setting mode is not selected or not set as the default, the manual setting mode may be performed.

학습 세팅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학습 결과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43)가 수행될 수 있다. 즉,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물 처리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학습 결과가 있는 경우,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물 처리 정보가 자동적으로 세팅된다(S144). 세팅된 대상물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대상물 처리(S160)가 수행된다. When the learning setting mode is performed, step S143 of determining whether a learning result is present may be performed.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obtained image information may be output. If there is a learning result,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S144). Object processing (S160) is performed based on the set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한편, 세팅된 대상물 처리 정보를 사용자가 승인하는 단계(S145)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세팅된 대상물 처리 정보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가 승인할 수 있다. 시작 입력부를 선택하거나, 음성으로 승인하거나 또는 기설정 시간동안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이나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승인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approves the set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S145) may be performed. The user can grasp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he user can approve it. The user's approval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such as selecting a start input, approving by voice, or not presenting a separate input or response for a predetermined time.

물론, 사용자는 세팅된 대상물 처리 정보를 불승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성으로 불승인하거나 새로운 대상물 처리 정보를 입력함(S146)으로써 불승인할 수 있다. 세팅된 대상물 처리 정보를 불승인하고 새로운 대상물 처리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 학습이 수행(S147)될 수 있다. 이 경우의 학습은 강제 학습이라 할 수 있다. Of course, the user can disapprove the set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Similarly, disapproval by voice or by inputting new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S146) can be disapproved. When disapproval of the set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and a user inputs new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learning may be performed (S147). Learning in this case can be called forced learning.

즉,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기존에 학습된 결과에 따라 세팅된 대상물 처리 정보를 무시하고, 새로운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강제 학습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대상물 처리 정보는 일반적인 학습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대상물 처리 정보보다 우선한다고 할 수 있다. That is, it may be said that new learning is performed while ignoring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set according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learned result. In the forced learning,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y be said to take precedence over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general learning.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대상물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처리가 수행(S160)된다.Thereafter, the object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S160).

학습 결과가 없는 경우, 알림(S148)이 수행될 수 있다. 음성이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학습 결과가 없음을 알릴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대상물 처리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도록 알릴 수 있다. If there is no learning result, notification S148 may be performed. The voice or display may indicate that there is no learning result, and the user may be requested to input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사용자가 대상물 처리 정보를 입력(S149) 하는 경우 학습(S150)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의 학습은 강제 학습이라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s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S149), learning (S150) may be performed. Learning in this case can be called forced learning.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대상물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처리가 수행(S160)된다.Thereafter, the object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S160).

판단 단계(S140)에서 수동 세팅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대상물 처리 정보를 입력(S141)하게 된다. 이때,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대상물 처리 정보를 통한 학습이 수행된다(S142). 여기서의 학습 또한 강제 학습이 아닌 일반적인 학습이라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대상물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처리가 수행된다.In the manual setting mode in the determination step (S140), the user inputs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S141). At this time, 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S142). Learning here is also general learning, not forced learning. Thereafter, the object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라 할 수 있다. FIG. 6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사용자가 학습 세팅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대상물 처리 정보를 입력하지 않겠다는 의미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복수 개 또는 다양한 조합을 갖는 대상물 처리 정보 중 특정 대상물 처리 정보를 선택하는 수고를 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일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learning setting mode, it may mean that the user does not manually input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That is, it may be an expression of the intention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trouble selecting specific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among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having a plurality or various combinations.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학습 결과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대상물 처리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S152)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이미지 정보와 가장 유사한 출력인 대상물 처리 정보를 추천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추천하는 것을 알리거나 출력 결과물이 없다는 것을 알리는 단계(S151)가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unlike in FIG. 5, if there is no learning result, step S152 of automatically recommending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This may be per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recommending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which is an output most similar to current image information. Of course, step S151 for notifying the recommendation or not indicating that there is no output result may be performed.

추천하는 대상물 처리 정보를 사용자가 승인하거나 불승인할 수 있다. 승인과 불승인 절차나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The user may approve or disapprove the recommended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Approval and disapproval procedures or methods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사용자가 승인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학습(S154)가 수행되어 승인된 대상물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처리(S160)가 수행될 수 있다. If the user approves, similarly, learning S154 may be performed to perform object processing S160 based on the approved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대상물 처리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S155)받고 학습(S156)가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한 대상물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처리(S160)가 수행될 수 있다. If the user does not approve, the user may manually input new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S155) and learn (S156). Similarly, the object processing (S16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이하에서는 도 7을 통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학습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서의 학습은 기획득된 이미지 정보 및 기획득된 처리 정보를 매칭하여 조합의 수를 확장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arning in the embodiments may be a process of expanding the number of combinations by matching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acquired processing information.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학습 알고리즘 내지는 로직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As learning is performed using image information, a known learning algorithm or logic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의 학습은 강제 학습이 아닌 이미지 확장 내지는 데이터 확장(data augmentation) 단계(S51)가 수행됨으로써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데이터 확장은, 획득된 이미지들을 회전(rotation), 흐리게 하기(blur) 그리고 밝게 하기(brightness) 등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Learning in this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process of performing learning by performing image expansion or data augmentation step S51 instead of forced learning. Data expansion may be performed through rotation, blurring, and brightness of the obtained images.

데이터 확장 후, 알려진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를 사용하여 특징 벡터(Feature Vector)를 추출(S52)할 수 있다.After data expansion, a feature vector may be extracted (S52) using a know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특징 벡터가 추출된 후, 의류관리기의 내부에 내장된 학습 프로세서 또는 서버의 학습 프로세서를 통해, 알려진 원샷 러닝/퓨샷 러닝(One/Few shot learing) 학습을 수행(S53)한다. 학습을 통해 얻어진 학습 결과를 출력(S54)한다. 즉, 학습 결과에 대응하는 해당 처리 정보를 출력하여 세팅하도록 하게 된다. After the feature vector is extracted, a known one shot learning / fue shot learing 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learning processor embedded in the clothes manager or the learning processor of the server (S53). The learning result obtained through learning is output (S54). That is,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result is output and set.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된 처리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이를 반영하지 않거나, 강제 학습을 통해 학습된 결과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output processing information as it is, not to reflect it, or to change the learned result through forced learn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샷 러닝/퓨샷 러닝에 의한 학습 수행(S53)과 학습 결과 출력(S54) 사이에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대상물 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처리 정보의 보정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학습 수행(S53)과 학습 결과 출력(S54)은 대상물 처리가 수행되는 도중 또는 대상물 처리의 종료 전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step (S55) of determining whether to correct is performed between the learning performed by one-shot running / fueshot running (S53) and the learning result output (S54) may be further performed. As object processing is perform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correction of processing information is required. Since the learning performance S53 and the learning result output S54 may be performed while the object processing is performed or before the end of the object processing, the step S55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ction is performed may be smoothly performed.

보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학습된 결과를 그대로 출력하고, 보정이 필요한 경우, 보정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correction is not necessary, the learned result may be output as it is, and when the correction is necessary, the learned result may be output by reflecting the correction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통해서 대상물 이미지를 통한 학습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데이터베이스(DB)의 이미지들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9는 쿼리 이미지 그리고 도 10은 서포트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RGB 센서, RGB 카메라 또는 그레이 카메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컬러 이미지를 편의상 흑백 이미지로 변환하여 나타내었다. 각각의 이미지는 남방(셔츠), 니트, 정장 바지 그리고 모피 의류의 일례들이다.Hereinafter,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object ima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 8 shows an example of images of a database DB, FIG. 9 shows an example of a query image and FIG. 10 an example of a support image. Such an image can be generated with an RGB sensor, an RGB camera or a gray camera. 8 to 10 illustrate converting a color image into a black and white image for convenience. Each image is an example of a southern shirt, knit, dress pants and fur clothing.

도시된 바와 같이, 쿼리 이미지와 서포트 이미지는 데이터베이스 이미지의 일부분임을 알 수 있다.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query image and the support image are part of the database image.

기획득된 이미지와 현재 획득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DB) 이미지에서 쿼리 이미지와 서포트 이미지를 각각 일정량의 개수만큼 랜덤으로 분류한다. In the database image including the acquired image and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the query image and the support image are randomly classified by a predetermined number.

쿼리 이미지는 확장(classification)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따라서, 현재 획득된 이미지 내지는 확장되기 전 이미지라 할 수 있다. 즉, 학습 전 이미지이므로 해당하는 출력 값을 갖지 않은 이미지라 할 수 있다. 서포트 이미지는 동일 엔코더(encoder)에서 얻어진 특징 도메인(feature domain)끼리 클러스터링(clustering) 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The query image is an image to classify. Therefore, it may be referred to as an image that is currently acquired or before being expanded. In other words, it is an image before learning, and thus may not be an image having a corresponding output value. The support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 part necessary for obtaining information for clustering feature domains obtained from the same encoder.

쿼리 이미지에서 특징(feature) 정보를 얻기 위해서 다양한 확장(classification)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기법의 일례로 CNN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Various classification techniques can be used to obtain feature information from the query image. In this embodiment, the CNN technique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extension techniqu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쿼리 이미지에서 확장 기법을 수행하는 엔코더를 통해서 특징 벡터(feature vector)가 생성되며, 이러한 특징 벡터를 임베딩 스페이스(embedding space) 즉 거리 도메인(distance domain)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동일 처리 정보의 특징들은 거리 값이 서로 가깝게 뭉쳐질 것이며, 이질적인 것은 서로 떨어져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1, a feature vector is generated through an encoder that performs an extension technique in a query image, and the feature vector is converted into an embedding space, that is, a distance domain. . In this way, the features of the same processing information will be close together in distance values, and the heterogeneous ones will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그리고, 서포트 이미지에서 나오는 특징 벡터들의 평균을 구한다. 서포트 특징 벡터의 평균과 쿼리 특징 벡터간의 거리에 따른 정도를 알려진 수식과 같이 확률적인 값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알려진 수식은 원 샷 러닝(one shot learing) 또는 퓨 샷 러닝(few shot learning)에서 알려진 확장 수식이라 할 수 있다. The average of feature vectors from the support image is obtained. The degre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verage of the support feature vector and the query feature vector is converted into a stochastic value as in the known formula. The known formula may be referred to as an extended formula known in one shot learing or few shot learning.

따라서, 해당 쿼리 이미지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즉, 해당 쿼리 이미지를 통해서 기학습된 이미지와 매칭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처리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Therefore, the query image can be extended. That is, the image may be matched with the previously learned image through the query image,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query image.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에 의한 진화가 수행되고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어서 사용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의류관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자동으로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어서, 사용자 일일이 처리 정보를 입력하는 수고를 덜어 줄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의류관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lothing manage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evolution by learning and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processing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set, so that the user can save the trouble of inpu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by himself and can be provided with a very convenient clothing manager.

10 : 캐비닛 300 : 도어
45 : 카메라 50 : 도어 센서
100 : 컨트롤패널(사용자 인터페이스)
110 : 코스 선택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전원 입력부 150 : 시작 입력부 160 : 메인 제어부 170 : 마이크 180 : 스피커
10: cabinet 300: door
45: camera 50: door sensor
100: control panel (user interface)
110: course selection unit 130: display unit 140: power input unit 150: start input unit 160: main control unit 170: microphone 180: speaker

Claims (20)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처리 대상 의류가 거치되는 의류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또는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에 거치되는 의류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며,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에 대한 처리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기획득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획득된 처리 정보의 매칭을 통한 학습 과정의 결과에, 상기 카메라를 통해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데이터 확장(data augmentation) 및 특징 벡터(feature vector) 추출을 수행하여 대응하는 현재의 처리 정보를 출력하여 세팅하며, 세팅되는 현재의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의류 수용부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의류를 수용하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통해 의류의 종류뿐만 아니라 의류 표면의 젖어 있는 상태까지 확인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의류의 종류 및 상기 의류 표면의 젖어 있는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현재의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의류관리기.
cabinet;
A clothes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 the cabinet to accommodate clothes to be treated;
A door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A camera provided in the cabinet or door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of the garment mounted inside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A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oor, the user interface being provided to receive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clothing processing from a user;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learning process by matching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image information currently acquired through the camera is converted into data augmentation and a feature vector ( feature vector) includes a main processor that performs extraction and outputs and sets corresponding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ntrols to process an object based on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that is set,
The clothing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s the clothing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main processor is configured to check not only the type of the garment but also the wet state of the garment surface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currently acquired through the camera, and considering the kind of the garment and the wet state of the garment surface. A clothing manager for setting processing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디스플레이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 접촉 또는 가압을 입력받는 버튼 또는 터치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terfac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a display and a button or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physical contact or pressure by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도어 센서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가 감지된 후,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doo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closed,
The camera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image information after the power of the clothing manager is applied and the door sensor is detected by the door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과정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입력 인자로 하고 상기 처리 정보를 출력 인자로 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rning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thing manager is performed using the image information as an input factor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as an output fa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과정은, 상기 의류관리기에 내장된 학습 프로세서 또는 상기 의류관리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의 학습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r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a learning processor embedded in the clothes manager or a learning processor of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clothes mana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과정은,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 과정의 결과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rning process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result of the learning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대응되는 학습 과정의 결과가 있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처리 정보가 출력되어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6,
If there is a result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loth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information is output and se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정보 세팅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세팅된 현재의 처리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이 수행되는 승인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fter se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the cloth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roval step of performing the user's approval of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s perform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단계에서 사용자의 승인이 없는 경우,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사용자가 허용하는 처리 정보를 대응시키는 학습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8,
If there is no user's approval in the approval step, the garment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ing step of match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allowed by the user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is performed.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대응되는 학습 과정의 결과가 없는 경우,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사용자가 허용하는 처리 정보를 대응시키는 강제 학습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If there is no result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in the determining step, the garment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a forced learning step of match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allow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is per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과정을 통하여, 서로 구별되는 이미지 정보 및 각각의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어 출력되는 처리 정보에 대한 조합의 개수가 확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the clothes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combinations for the image informa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output corresponding to each image information is expan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세팅된 현재의 처리 정보를 통해 대상물 처리가 시작되도록 사용자가 승인하는 시작 입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terface, the garment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rt input unit for accepting the user to start processing the object through the set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정보는,
상기 의류관리기에서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복수 개의 코스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ing information is
Cloth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provided to perform in the clothing manag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는 복수 개의 코스 항목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코스 항목마다 복수 개의 서브 코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rse items, each of the course item is a cloth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b-courses are provid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스 항목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학습 과정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의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는 학습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코스 항목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만 세팅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4,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 items includes a learning course for automatically setting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a result of the learning process,
Clothing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 items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is set only manuall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코스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학습 과정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의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는 학습 코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course selector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is a cloth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ing process to automatically set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earning process.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하여, 가장 최근에 상기 의류관리기를 통해 의류 처리 시에 상기 학습 코스가 선택되면 현재 상기 학습 코스가 기본 설정값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6,
If the learning course is selected at the time of processing the clothing through the clothing manager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unit, the cloth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currently selected as the default setting valu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중 상기 학습 코스를 제외한 수동 세팅 코스가 선택되는 경우, 현재 획득된 이미지 정보가 상기 선택된 수동 세팅 코스를 통한 학습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6,
When a manual setting course other than the learning course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the garment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a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selected manual setting course is performed on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informa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스 정보에 대한 학습 과정의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현재의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current process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when there is a result of a learning process for at least one or more course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스 정보 각각에 대한 학습 과정의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현재의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3,
And if there is a result of a learning proces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urse information, the current processing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KR1020180106196A 2018-09-05 2018-09-05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 KR102065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196A KR102065424B1 (en) 2018-09-05 2018-09-05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
EP19193241.7A EP3572573B1 (en) 2018-09-05 2019-08-23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lothing managing apparatus
US16/557,689 US11230802B2 (en) 2018-09-05 2019-08-30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lothing mana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196A KR102065424B1 (en) 2018-09-05 2018-09-05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424B1 true KR102065424B1 (en) 2020-01-13

Family

ID=6915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196A KR102065424B1 (en) 2018-09-05 2018-09-05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42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1439A (en) * 2020-03-31 2020-07-14 晋江市宏兴服饰织造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of breathable textile fabric for swimwear production
WO2021150034A1 (en) * 2020-01-22 2021-07-29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bject care
KR20230121359A (en) 2022-02-11 2023-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anaging fashion miscellaneous goods and controll method for the same
WO2023158161A1 (en) * 2022-02-16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085508A1 (en) * 2022-10-19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mapp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ustom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197A (en) * 2012-12-06 2014-06-16 삼성전기주식회사 Washing machine using image-dete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4217496A (en) * 2013-05-07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Washing machine
KR20170137505A (en) * 2016-06-03 201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197A (en) * 2012-12-06 2014-06-16 삼성전기주식회사 Washing machine using image-dete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4217496A (en) * 2013-05-07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Washing machine
KR20170137505A (en) * 2016-06-03 201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0034A1 (en) * 2020-01-22 2021-07-29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bject care
CN111411439A (en) * 2020-03-31 2020-07-14 晋江市宏兴服饰织造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of breathable textile fabric for swimwear production
CN111411439B (en) * 2020-03-31 2021-03-23 晋江市宏兴服饰织造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of breathable textile fabric for swimwear production
KR20230121359A (en) 2022-02-11 2023-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anaging fashion miscellaneous goods and controll method for the same
WO2023158161A1 (en) * 2022-02-16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085508A1 (en) * 2022-10-19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mapp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ustom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132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065424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
EP3572574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washing machine providing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vision
KR102000450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EP3572573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lothing managing apparatus
EP3682049B1 (en) Personalized laundry appliance
US10060063B2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108130683A (en) A kind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method for running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CN110699911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US20230091537A1 (en) Appliance having a customizable user profile
CN111172699A (en) Control method for air washing and washing equipment with control method
KR101598785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71894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69592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washing machine providing an automatic washing course based on a vision
CN111945382A (en) Display interface user-defined control method for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JP2022133343A (en) washing machine system
KR20100062703A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cycling of a washing machine
CN214831264U (en) Clothes treatment device
CN115387064A (en) 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equipment
KR20230034521A (en)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and server connected with the home appliance
TWI379928B (en) Laundry machine
KR102116374B1 (en) Method for displaying washing cycle
JP2023089508A (en) Sheets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CN117518893A (en) Iron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garment steamer,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102138377B1 (en) Method for displaying washing 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