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879B1 -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879B1
KR102064879B1 KR1020170019479A KR20170019479A KR102064879B1 KR 102064879 B1 KR102064879 B1 KR 102064879B1 KR 1020170019479 A KR1020170019479 A KR 1020170019479A KR 20170019479 A KR20170019479 A KR 20170019479A KR 102064879 B1 KR102064879 B1 KR 102064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romic
layer
solar cell
quantum dot
electrochrom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422A (ko
Inventor
최영우
전윤기
권대훈
유현우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1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8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01L31/03520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 H01L31/03521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the quantum structure being quantum do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F2001/1536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ditional, e.g. protective, layer inside the ce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작업 전극; 상대 전극; 상기 상대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작업 전극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전기변색층; 상기 상대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광흡수 나노 와이어; 상기 작업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상대 전극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카운터 물질층;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QUANTUM DOT SOLAR CELL INTEGRATED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RANSMISSIVITY CHANGEABLE DEVICE}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 소자 (Electrochromic Device: ECD)는 전압 인가 시 전기적인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착색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광 투과도를 변화시키는 전기변색 현상을 이용한 장치이다. 상기 전기변색 소자를 활용한 응용 제품 중 가장 성공적인 제품으로는 야간에 후면에서의 빛의 눈부심을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자동차용 후사경, 빛의 강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창문인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가 있다. 스마트 윈도우는 일사량이 많을 경우 빛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더 어두운 색조로 변하게 되며, 흐린 날에는 밝은 색조로 변화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효율이 뛰어난 특성이 있다. 또한 전광판 또는 전자북 (e-book) 등의 디스플레이 등에 응용하고자 하는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추가 전력 공급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사용 가능한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작업 전극; 상대 전극; 상기 상대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작업 전극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전기변색층; 상기 상대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광흡수 나노 와이어; 상기 작업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상대 전극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카운터 물질층;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작업 전극으로서 준비된 제1 투명 전도성 금속 산화물 기판 상에 전기변색 물질을 증착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 상에 광흡수 물질로 광흡수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 상대 전극으로서 준비된 제2 투명 전도성 금속 산화물 기판 상에 카운터 물질을 증착하여 카운터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 및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상기 작업 전극과 상기 카운터 물질층이 형성된 상기 상대 전극 사이에 전해질을 개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는 추가 전력 공급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의 변색 시 작동 매커니즘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의 탈색 시 작동 매커니즘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작업 전극;
상대 전극;
상기 상대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작업 전극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전기변색층;
상기 상대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광흡수 나노 와이어;
상기 작업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상대 전극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카운터 물질층; 및
전해질;
을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변색 소자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구조가 통합된 구조로서, 양자점 태양전지의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전기변색 소자의 작동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 소자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 후, 이를 이용해 전기변색 소자를 작동시켜 광 투과율을 변화시킨다.
상기 전기변색 소자는 통합된 양자점 태양전지의 구조에 의해 전력 공급을 충족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전력 공급원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 소자는 별도의 추가적인 전력 공급원 장착시에 함께 요구되는 전기 배선 또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기변색 소자는 복잡한 전기 배선을 제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 전기변색 소자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구조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이 가능하다.
도 1은 상기 전기변색 소자(100)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서, 상기 전기변색 소자(100)은 작업 전극(10); 전기변색층(30), 광흡수 나노 와이어(40), 카운터 물질층(50), 전해질(60) 및 상대 전극(20)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 전극(10) 및 상기 상대 전극(20)은 각각 독립적으로 투명 전도성 금속 산화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전도성 금속 산화물이 인듐 틴 옥사이드(ITO), 인듐 아연 옥사이드(IZO), 플로린 도핑된 틴 옥사이드(FTO), 알루미늄 도핑된 아연 옥사이드(AZ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30)은 WO3, Nb2O5, V2O5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30)의 두께가 1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30)의 두께에 따라 변색되는 색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3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어두운 청색을 얻을 수 있으나 너무 두꺼우면 탈색 시 투명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상기 범위의 두께에서는 상기 전기변색층(30)이 탈색 시 투명도를 잘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는 광을 흡수하여 전자와 정공을 생성하는 광흡수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는 코어, 내층 및 외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는 ZnO, TiO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CdS, Zn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외층은 CdSe, CdTe, Pb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의 코어는 수열합성법으로 나노 와이어를 합성하여 형성될 수 있고, 다층 구조의 광흡수 나노 와이어의 기본적인 뼈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 소자(100)는 나노 와이어 구조를 가짐으로써 평평한 구조에 비해 넓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더 많은 양자점을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수 nm 내지 수십 nm 정도의 짧은 나노 와이어는 굴절율의 구배를 주어 빛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어서 투명한 상태에서 더 높은 투과율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의 내층은 코어층 위에 형성되고, 외층에 대하여 시드층으로 작용하여 외층이 코팅되는 양을 늘릴 수 있으며, 외층과 코어층 간의 밴드갭 위치 (Band gap position)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계단구조의 밴드 (band) 구조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층 자체도 빛을 흡수하여 전자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나 밴드갭이 커 자외선 영역대의 빛만 흡수 할 수 있어 전자 생성량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외층의 도움이 필요하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의 외층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층 만으로는 전자 생성량이 작기 때문에, 외층을 함께 형성하여 전자 생성량을 증가시킨다. 즉, 외층은 자외선 영역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을 흡수하여 전자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의 길이는 1㎛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의 길이가 길어지면 광투과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길이의 나노와이어 생성이 중요하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는 상기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경우, 태양광 조사 시 효율적으로 전자와 정공을 생성할 수 있으면서도 투과율이 광투과율을 적절한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다층 구조의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에서, 상기 코어의 직경은 50nm 내지 150nm 일 수 있고, 상기 내층의 두께는 1nm 내지 10nm 일 수 있고, 상기 외층의 두께는 1nm 내지 10nm 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는 상기 범위의 코어의 직경, 내층 및 외층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태양광 조사 시 효율적으로 전자와 정공을 생성할 수 있으면서도 투과율이 광투과율을 적절한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40)은 액체형, 용융염 형 또는 고체형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해질(40)은 리튬폴리설파이드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카운터 물질층(50)은 상기 작업 전극(10)과 대향하는 상대 전극(20)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카운터 물질층(50)에 포함되는 상기 카운터 물질은 전자의 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전기화학적으로 산화, 환원 반응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게 하며, 그에 따라 광 투과율 변화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운터 물질은 금, 백금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전극(10)과 상기 상대 전극(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 및 개폐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수단은 도선이고, 상기 개폐 스위치를 연결하거나 분리하여 상기 작업 전극(10)과 상기 상대 전극(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가 변색하는 작동 매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가 탈색하는 작동 매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200)에서, 상기 개폐 스위치(70)를 분리하고(off) 태양광 조사 시, 태양광에 의해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40)가 전자와 정공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는 상기 전기변색층(30)으로 이동하여 전기변색 물질이 음전하로 대전되어 전하를 저장한다. 생성된 정공은 전해질과 산화환원 반응한다. 전해질의 양이온은 음전하로 대전된 전기변색층(30)으로 확산 이동하고, 상기 전기변색 물질과 반응하여, 상기 전기변색 물질이 변색된다. 예를 들어, 전해액이 리튬폴리설파이드 수용액이고, 전기변색층(30)이 WO3 박막인 경우, 리튬 이온이 WO3 박막으로 확산 이동하여 WO3 와 반응하여 진한 푸른 색의 LixW(V) yW(IV)1- yO3 를 생성하여 변색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200)에서, 상기 개폐 스위치(70)를 연결하고(on) 암전되면, 전기변색층(30)에 저장된 전자가 도선(연결 수단, 80)을 타고 상대 전극(20)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해질 양이온과 전기변색 물질의 반응의 역반응이 일어나, 전해질 양이온이 다시 전해질로 분리되고 전기변색 물질은 탈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생성된 LixW(V) yW(IV)1- yO3은 다시 WO3가 되면서 탈색된다. 상대 전극(20)으로 이동해 온 전자는 전해질과 다시 산화환원 반응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작업 전극으로서 준비된 제1 투명 전도성 금속 산화물 기판 상에 전기변색 물질을 증착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 상에 광흡수 물질로 광흡수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
상대 전극으로서 준비된 제2 투명 전도성 금속 산화물 기판 상에 카운터 물질을 증착하여 카운터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 및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상기 작업 전극과 상기 카운터 물질층이 형성된 상기 상대 전극 사이에 전해질을 개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서 전술한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의 각 구성 요소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전기변색 물질을 스퍼터링법, 화학증기증착법, 원자층증착법에 의해 증착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는 수열합성법, 화학증기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작업 전극
20: 상대 전극
30: 전기변색층
40: 광흡수 나노 와이어
50: 카운터 물질층
60: 전해질
70: 연결 수단
80: 개폐 스위치
100, 200: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Claims (19)

  1. 작업 전극;
    상대 전극;
    상기 상대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작업 전극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전기변색층;
    상기 상대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광흡수 나노 와이어;
    상기 작업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상대 전극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카운터 물질층; 및
    전해질;
    을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는 코어, 내층 및 외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이고, 상기 코어는 ZnO, TiO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CdS, Zn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층은 CdSe, CdTe, Pb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직경은 50nm 내지 150nm 이고, 상기 내층의 두께는 1nm 내지 10nm 이고, 상기 외층의 두께는 1nm 내지 10nm인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WO3, Nb2O5, V2O5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는 광을 흡수하여 전자와 정공을 생성하는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물질층은 금, 백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카운터 물질을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리튬폴리설파이드를 포함하는 수용액인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 및 개폐 스위치를 더 구비한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스위치를 분리하고 태양광 조사시 상기 전기변색층이 변색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스위치가 연결시, 상기 전기변색층이 탈색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15. 작업 전극으로서 준비된 제1 투명 전도성 금속 산화물 기판 상에 전기변색 물질을 증착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 상에 광흡수 물질로 광흡수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
    상대 전극으로서 준비된 제2 투명 전도성 금속 산화물 기판 상에 카운터 물질을 증착하여 카운터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 및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상기 작업 전극과 상기 카운터 물질층이 형성된 상기 상대 전극 사이에 전해질을 개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는 코어, 내층 및 외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이고, 상기 코어는 ZnO, TiO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CdS, Zn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층은 CdSe, CdTe, Pb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직경은 50nm 내지 150nm 이고, 상기 내층의 두께는 1nm 내지 10nm 이고, 상기 외층의 두께는 1nm 내지 10nm인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전기변색 물질을 스퍼터링법, 화학증기증착법, 원자층증착법에 의해 증착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 물질은 WO3, Nb2O5, V2O5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는 수열합성법에 의해 형성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나노 와이어는 광을 흡수하여 전자와 정공을 생성하는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70019479A 2017-02-13 2017-02-13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4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79A KR102064879B1 (ko) 2017-02-13 2017-02-13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79A KR102064879B1 (ko) 2017-02-13 2017-02-13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22A KR20180093422A (ko) 2018-08-22
KR102064879B1 true KR102064879B1 (ko) 2020-02-11

Family

ID=6345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479A KR102064879B1 (ko) 2017-02-13 2017-02-13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780B1 (ko) 2019-06-12 2020-01-08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 결속작업용 안전작업도구
KR102051779B1 (ko) 2019-06-12 2019-12-03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 결속작업용 안전작업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00B1 (ko) * 2013-10-10 2015-04-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태양전지-전기변색부 일체형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19B1 (ko) * 2012-06-28 2017-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리콘 태양전지를 가지는 자가충전형 전기변색소자
KR101511206B1 (ko) * 2012-09-10 2015-04-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황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00B1 (ko) * 2013-10-10 2015-04-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태양전지-전기변색부 일체형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22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6505B1 (en) Photochromic devices
TWI384310B (zh) 光伏致變色元件及其應用
JP2004505317A (ja) 自己漂白性の光電化学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
US11988936B1 (en) Electrochromic devices having reduced switching time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CN109437241B (zh) 一种普鲁士蓝/三氧化钨电致变色薄膜及其制备方法
JP2014524055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ナノコンポジット薄膜
CN108474990B (zh) 电致变色装置
Bogati et al. Development of photochromic device with magnetron sputtered titanium dioxide and tungsten trioxide films
KR20200106019A (ko) 다채로운 전기변색 구조, 그 제조방법 및 응용
KR102064879B1 (ko)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가 통합된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3376889A (zh) 基于聚合物分散液晶的电致变色装置、制备方法及电子设备
Kumar et al. Photoelectrochromic cell with a CdS quantum dots/graphitic-nanoparticles sensitized anode and a molybdenum oxide cathode
JP2017509813A (ja) アクティブ建物窓
Mallikarjuna et al. Photonic drying/annealing: effect of oven/visible light/infrared light/flash-lamp drying/annealing on WO3 for electrochromic smart windows
Yaseen et al. State-of-the-art electrochromic thin films devices, fabrica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a review
KR20100046447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극과 그 제조방법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
Teowee et al. User controllable photochromic (UCPC) devices
KR101687991B1 (ko) 열차단형 반투명 태양전지
CN111694199A (zh) 一种可调反射率的电致变色器件及包含其的电子终端
US20190006538A1 (en) Solar cell having electrochromic portion inserted thereinto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470079B1 (ko) 변색 나노 입자, 이를 포함하는 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1997045767A1 (en) Photoelectrochemical-electrochromic device
KR20140062237A (ko) 3차원 광결정 구조를 포함하는 고효율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45215A (ja) 調光発電ハイブリッド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発電方法
KR102522644B1 (ko) 코어-쉘 구조의 변색 복합체가 분산된 광감응 변색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