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829B1 -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829B1
KR102064829B1 KR1020170147059A KR20170147059A KR102064829B1 KR 102064829 B1 KR102064829 B1 KR 102064829B1 KR 1020170147059 A KR1020170147059 A KR 1020170147059A KR 20170147059 A KR20170147059 A KR 20170147059A KR 102064829 B1 KR102064829 B1 KR 10206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measuring
endo file
endo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420A (ko
Inventor
강부환
한상희
Original Assignee
강부환
한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부환, 한상희 filed Critical 강부환
Priority to KR102017014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8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되는 엔도 파일의 길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스토퍼의 위치까지 상기 엔도 파일이 삽입되는 측정어댑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측정어댑터에 삽입되는 상기 엔도 파일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되어 근관치료에 이용되는 엔도 파일의 길이를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측정한다.

Description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LENGTH MEASURING APPARATUS OF ENDO FILE}
본 발명은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근관치료에 이용되는 엔도 파일의 길이를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측정하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수염 치료를 근관치료(신경치료)라고 한다. 근관치료는 감염된 치수조직을 특수한 기구를 사용하여 완전히 제거하고, 근관을 소독하여 무균상태로 만든 후에 생체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서 치수가 차지하고 있던 공간을 채워주는 시술법이다.
여기서, 근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근관의 길이 측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환자마다 치신경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우선 환자의 치신경 길이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길이로 엔도 파일을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파일에는 스토퍼가 구성되며, 근관장 측정 시 상기 스토퍼를 측정 지점으로 이동시켜서 근관장을 표시한다. 스토퍼의 이동으로 상기 파일에 근관장이 표시되면, 엔도 파일을 측정 자에 대고 눈금을 읽는 방식으로 엔도 파일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종래는 측정 자에 대고 눈금을 읽는 방식이기 때문에 개인마다 측정치가 다를 수 있고, 개인에 따라서는 미세한 눈금을 읽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는 신경치료 시 잘못된 측정치로 인하여 너무 긴 엔도 파일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거나, 너무 짧은 엔도 파일로 치료가 적절치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3542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엔도 파일 길이를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는 측정되는 엔도 파일의 길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스토퍼의 위치까지 상기 엔도 파일이 삽입되는 측정어댑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측정어댑터에 삽입되는 상기 엔도 파일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는 엔도 파일의 길이를 디지털 숫자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 또는 광학적 센서를 이용하여 엔도 파일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엔도 파일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신경 치료를 하는데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 효율적으로 신경치료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는 환자의 치신경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S)가 배치된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스토퍼(S)가 배치된 위치까지의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치신경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는 본체(100), 측정어댑터(130) 및 측정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면에는 측정되는 엔도 파일(F)의 길이가 표시되는 표시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10)는 측정되는 엔도 파일(F)의 길이가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10)는 디지털 방식으로 숫자가 표시되는 것으로, 세그먼트, LED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되는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엔도 파일(F)의 길이를 디지털 숫자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종래에 눈금으로 엔도 파일(F)의 길이를 확인하는 것에 비하여,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쉽게 수치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인성을 향상키실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입력부(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20)는 본체(100)의 상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며,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엔도 파일(F)의 길이 측정시 초기화 및 최초 영점을 선택하거나, 부가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표시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120)는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측정하기 전에 버튼을 눌러 최초 영점을 설정하거나, 옵셋(Offset)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엔도 파일(F)의 길이 측정시 측정되는 엔도 파일(F)이 측정부(140)에 구비된 메모리(143)에 저장되게 되는데, 입력부(120)의 조작을 통하여 저장된 엔도 파일(F)의 길이를 확인하거나, 메모리(143)를 초기화하여 저장된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의 부가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머, 시계 등의 부가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측정어댑터(130)는 본체(100)에 결합되며, 스토퍼(S)의 위치까지 엔도 파일(F)이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측정어댑터(130)는 본체(100)의 측면에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엔도 파일(F)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구는 스토퍼(S)를 제외한 엔도 파일(F)만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엔도 파일(F)을 측정어댑터(130)에 일단부부터 삽입하는 경우, 스토퍼(S)가 측정어댑터(130)에 접하는 위치까지 엔도 파일(F)이 삽입되고, 삽입된 길이를 엔도 파일(F)의 길이로 측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측정어댑터(130)는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측정어댑터(130)는 일단부가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본체(1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어댑터(130)는 사용자가 돌출된 부분을 손으로 잡고 본체(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측정어댑터(130)는 엔도 파일(F)이 삽입되는 것이므로, 엔도 파일(F)과 접촉될 수밖에 없는데 여러 개의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측정하는 경우, 세균 등에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는 엔도 파일(F)이 삽입되는 측정어댑터(1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측정어댑터(130)를 분리하여 다른 측정어댑터(130)로 교체할 수 있으며, 측정어댑터(130)를 분리하여 소독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40)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측정어댑터(130)에 삽입되는 엔도 파일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센서부(141) 및 연산부(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41)는 측정어댑터(130)에 삽입되는 엔도 파일(F)의 길이에 따라 측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측정값은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산부(142)는 측정값을 연산하여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연산부(142)는 기설정된 측정값과 비교하여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산출하거나, 기설정된 수학식을 통하여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부(140)는 측정되는 엔도 파일(F) 별 길이가 누적되어 저장되며,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110)에 저장된 엔도 파일(F)의 길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부(140)는 하기와 같이 두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측정장치의 측정부(140)는 일측이 측정어댑터(13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에 센서부(142)에 연결되는 측정로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로드(150)는 측정어댑터(130)에 삽입되는 엔도 파일(F)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센서부(142)는 측정로드(150)의 이동 길이에 따라 측정값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로드(150)의 타측에는 패턴(도면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부(142)에는 측정로드(150)의 패턴에 대응되도록 패턴(도면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로드(150)가 이동함에 따라, 측정로드(150)의 패턴이 이동하여 캐패시턴스가 변화되는데, 센서부(142)는 변화되는 캐패시턴스의 차이를 통해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펄스형태로 생성하고, 이 펄스의 수를 연산하여 엔도 길이를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산부(142)는 아래의 수학식 1를 통하여 엔도 길이(EL)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0144126-pat00001
여기서, P는 펄스의 수이고, PL은 1개 펄스에 따른 길이이며, OS는 옵셋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의 측정어댑터(13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센서부(141)는 광학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41)는 투명 재질의 측정어댑터(130)에 직접 결합되어 측정어댑터(13)를 통과해 수광되는 광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되는 광량을 측정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측정어댑터(130)에 삽입되는 엔도 파일(F)의 길이에 따라 투명 재질의 측정어댑터(130)를 가리게 되므로, 센서부(141)에 수광되는 광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광량의 차이에 따라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측정어댑터(130)에 엔도 파일(F)이 삽입되면, 삽입되는 엔도 파일(F)의 길이에 따라 센서부(141)에 수광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측정값을 기설정된 측정값과 비교하여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어댑터(130)에 삽입되는 엔도 파일(F)의 길이가 긴 경우, 광학센서인 센서부(141)에서 출력되는 측정값의 전압레벨이 상대적으로 작고, 측정어댑터(130)에 삽입되는 엔도 파일(F)의 길이가 짧은 경우, 광학센서인 센서부(141)에서 출력되는 측정값의 전압레벨이 상대적으로 크다.
예를 들어, 이는 Linear Optical Sensor Array IC 등을 사용하면 길이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엔도 길이로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산부(142)는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하여 엔도 길이(EL)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7110144126-pat00002
여기서, V는 전압변화이고, VL은 전압에 따른 길이이며, OS는 옵셋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는 전자 또는 광학적 센서를 이용하여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신경 치료를 하는데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 효율적으로 신경치료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벨트(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200)는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목, 손가락, 팔 등의 신체에 체결됨으로써, 본체(100)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는 벨트(200)를 통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엔도 파일(F)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표시부
120 : 입력부 140 : 측정부
141 : 센서부 142 : 연산부
150 : 측정로드

Claims (7)

  1. 측정되는 엔도 파일의 길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스토퍼의 위치까지 상기 엔도 파일이 삽입되는 측정어댑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측정어댑터에 삽입되는 상기 엔도 파일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어댑터에 삽입되는 상기 엔도 파일의 길이에 따라 측정값을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상기 측정값을 연산하여 엔도 파일의 길이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일측이 상기 측정어댑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에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측정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측정로드의 이동 길이에 따라 측정값을 생성하며,
    상기 측정어댑터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엔도 파일의 길이 측정시 초기화 및 최초 영점을 선택하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벨트를 더 포함하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4. 측정되는 엔도 파일의 길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스토퍼의 위치까지 상기 엔도 파일이 삽입되는 측정어댑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측정어댑터에 삽입되는 상기 엔도 파일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어댑터에 삽입되는 상기 엔도 파일의 길이에 따라 측정값을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상기 측정값을 연산하여 엔도 파일의 길이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어댑터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광학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측정어댑터를 통과해 상기 센서부로 입사되는 광량에 따라 측정값을 생성하며,
    상기 측정어댑터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엔도 파일의 길이 측정시 초기화 및 최초 영점을 선택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벨트를 더 포함하는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7. 삭제
KR1020170147059A 2017-11-07 2017-11-07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KR10206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59A KR102064829B1 (ko) 2017-11-07 2017-11-07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59A KR102064829B1 (ko) 2017-11-07 2017-11-07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20A KR20190051420A (ko) 2019-05-15
KR102064829B1 true KR102064829B1 (ko) 2020-01-10

Family

ID=6657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059A KR102064829B1 (ko) 2017-11-07 2017-11-07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35A1 (ko) * 2020-01-16 2021-07-22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디지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073B1 (ko) * 2019-12-10 2022-03-22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치과용 디지털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 방법
KR20210131801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바텍 전자식 길이 측정기
KR102547897B1 (ko) * 2021-06-04 2023-06-27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엔도 파일 거치용 홀더
KR102568902B1 (ko) * 2021-08-20 2023-08-18 하상윤 전자치근단공 인식기와 근관파일 디지털 측정기가 융합된 융합형 근관장 측정 장치
US11953318B1 (en) 2023-02-24 2024-04-09 King Saud University Endodontic file measur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9849A (ja) * 2010-07-13 2012-02-02 Osada Res Inst Ltd 歯科用根管長測定器
JP2015223324A (ja) * 2014-05-28 2015-12-14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根管治療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23B1 (ko) 2006-04-18 2007-07-04 임광호 엔도 게이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9849A (ja) * 2010-07-13 2012-02-02 Osada Res Inst Ltd 歯科用根管長測定器
JP2015223324A (ja) * 2014-05-28 2015-12-14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根管治療用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35A1 (ko) * 2020-01-16 2021-07-22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디지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13423361A (zh) * 2020-01-16 2021-09-21 白李生物科技有限公司 数字测定装置及测定方法
JP2022532809A (ja) * 2020-01-16 2022-07-20 ビーアンドエル バイオ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デジタル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AU2020277081B2 (en) * 2020-01-16 2022-08-18 B&L Biotech, Inc. Digital measurement apparatus and digital measurement method
CN113423361B (zh) * 2020-01-16 2022-09-16 白李生物科技有限公司 数字测定装置及测定方法
US11635292B2 (en) 2020-01-16 2023-04-25 B&L Biotech, Inc. Digital measurement apparatus and digital measureme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20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829B1 (ko) 엔도 파일 길이 측정장치
ES2600677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determinación de características estructurales de un objeto
KR102517934B1 (ko) 치과의사에게 신경 치료 기술을 훈련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EP2165674A1 (en) Optical dental device and method for periodontal pocket examination
BR112019013572B1 (pt) Sistema para determinação de características estruturais de um objeto
US8388340B2 (en) Apical position locator
KR101924314B1 (ko) 치과용 파일의 근관장 길이 측정 및 세팅장치
CN105125195A (zh) 一种使血压传感器贴紧手腕的方法及智能穿戴设备
JP2000060878A (ja) 根尖位置検出装置
KR101689738B1 (ko) 교합력 측정장치
US20070298368A1 (en) Measuring Instrument System for Endodontic Length
KR101533754B1 (ko) 개구량 측정 및 증대기
JP5426964B2 (ja) 健康測定装置
US10881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tal implant contact detection through capacitive measurements
KR100735423B1 (ko) 엔도 게이지
Sadaf et al. Accurate measurement of canal length during root canal treatment: an in vivo study
KR20130124661A (ko) 엔도파일 측정기
Golvankar et al. Comparison of accuracy in determining the root canal working length by using two generations of apex locators–an in vitro study
Soi et al. Electronic apex locators
WO2016157848A1 (ja) 口唇閉鎖力測定用プローブ
Nam et al. Root canal length measurement in teeth with electrolyte compensation
RU2555104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движности зубов
US20090130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dental measurements using a body-contacting electrode
KR20100095169A (ko) 치주낭 깊이 측정기
KR102000222B1 (ko) 개구량 측정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