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470B1 - Remote meter reading system,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remote meter reading method - Google Patents

Remote meter reading system,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remote meter read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470B1
KR102064470B1 KR1020170170722A KR20170170722A KR102064470B1 KR 102064470 B1 KR102064470 B1 KR 102064470B1 KR 1020170170722 A KR1020170170722 A KR 1020170170722A KR 20170170722 A KR20170170722 A KR 20170170722A KR 102064470 B1 KR102064470 B1 KR 10206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packet
data
remote
meter
centr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7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8677A (en
Inventor
임승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470B1/en
Publication of KR20190078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6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4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기의 개수 증가 대비 원격으로의 보고 및 제어명령 수신을 위한 시그널(패킷)의 개수 증가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이로 인해 야기될 수도 있는 서비스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는 줄이면서 고성능의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기술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for remotely reporting and receiving control commands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ters, while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service that may be caused by the Internet of Things (IoT). By realizing the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the technology, a technology that guarantees high performance and stable service quality while reducing the network load is disclosed.

Description

원격 검침 시스템,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원격검침단말장치 및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REMOTE METER READING SYSTEM,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REMOTE METER READING METHOD}REMOTE METER READING SYSTEM,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REMOTE METER READING METHOD}

본 발명은, 원격 검침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하되 네트워크 부하는 줄이면서 고성능의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eter read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capable of realizing a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hile reducing network load while ensuring high performance and stable service quality.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등의 공동주택의 경우, 각 세대의 디지털 계량기(이하, 계량기)들이 실외에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In the case of multi-family houses, townhouses, and the like, multi-unit digital me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ters") are often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utdoors.

이러한 계량기를 대상으로 원격에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을 확인/점검할 수 있는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는 각 계량기 마다 원격에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을 보고하고 필요 시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내장하거나, 또는 각 계량기 마다 원격에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을 보고하고 필요 시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원격 검침용 기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If you want to realize a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that can check and check the weighing value and status, etc. for such a meter remotely, it is necessary to report the weighing value and status to each meter remotely an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if necessary. Wireless metering module should be built in, or remote meter reading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report meter value and status and receive control command if necessary for each meter should be installed separately.

그리고, 전술과 같은 방식의 종래 원격 검침 환경에서는, 각 계량기(무선통신 모듈 내장) 또는 원격 검침용 기기에 상시 전원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배터리를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remote meter reading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difficult to always supply power to each met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in) or a remote meter reading device, the battery is used as a power source.

헌데, 종래의 원격 검침 환경에서는, 계량기의 개수가 증가하면, 이에 비례하여 내장되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별도 설치되는 원격 검침용 기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시그널(패킷)의 개수도 증가 및 네트워크의 부하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mote meter reading environment, as the number of meters increases,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transmitted / received wirelessly also increases as th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or separately installed remote metering devices increases in proportion thereto. And there is a problem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network.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생활 속의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등장하여 주목 받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각 계량기(무선통신 모듈 내장) 또는 원격 검침용 기기의 배터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도 등장 하였다.Recently,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hich connects things in everyday life through wired / wireless networks and shares information,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nd as a part, each met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remote meter reading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hat can minimize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devices has also appeared.

하지만, 현재의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는, 여전히 계량기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이에 비례하여 네트워크의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urrent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twork load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ters.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계량기의 개수 증가 대비 네트워크 부하 증가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도 고성능의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원격 검침 서비스 방안(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ype of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method (technolog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hich can guarantee a high performance and stable service quality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network load increase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ters. I would like to suggest.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하되, 네트워크 부하는 줄이면서 고성능의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b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hile ensuring a high performance and stable service quality while reducing network load. It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다수의 계량기; 다수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의 계량기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고,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상기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는 원격검침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계량기 각각의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 형태의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상기 원격검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네트워크장치를 포함한다.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meters; A remote metering terminal for generating one uplink packet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and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at a reporting time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And transmitting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to a central server, and selecting a downlink packet in response form to the uplink packet from among the at least one base station. It includes a network device for transmitting to a specific base st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검침단말은,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업링크패킷에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상기 특정 식별자의 업링크패킷 수신 시,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 및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recognizes a specific meter in which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a central server is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identifies a specific identifier in an uplink packet generated using the alarm data. Including, the network apparatus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for the specific meter from the central server and to transmit a downlink packet including the control command when the uplink packet of the specific identifier is received.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검침단말은,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직전의 보고주기 보다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여,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송신하는 보고시점이 보고주기의 변경 전보다 빨라지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recognizes a specific meter that collects the alarm data required to control from the central serv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by changing the reporting period to a shorter time than the previous reporting period The reporting time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next uplink packet can be faster than before changing the reporting peri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원격검침단말장치는,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라, 다수의 통신포트에 각기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업링크패킷을 송신하여 네트워크장치를 통해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계량기 각각의 데이터가 중앙서버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업링크패킷 송신 후 특정 횟수로 제한된 일정 시간 단위의 다운링크 시간구간에서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여, 상기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상기 업링크패킷이 송신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mote reading terminal device, the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meters,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Transmitting an uplink packet to transmit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to a central server through a network device, and downlink time interval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of times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downlink packet in th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nd transmit one uplink packet to the communication unit by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so that the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at the reporting time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업링크패킷에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상기 특정 식별자의 업링크패킷 수신 시,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 및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specific identifier in an uplink packet generated using the alarm data when the specific meter in which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the central server is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s recognized. Thus, when the network device receives the uplink packet of the specific identifier, the network apparatus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for the specific meter from the central server and transmit a downlink packet including the control command.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직전의 보고주기 보다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여,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송신하는 보고시점이 보고주기의 변경 전보다 빨라지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specific meter on which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the central server is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ontroller changes the reporting period to a time shorter than the previous reporting period, Reporting time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uplink packets can be faster than before changing the reporting period.

구체적으로, 상기 다음 업링크패킷에는,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응답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ext uplink packet may include response data according to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ntrol comman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meter.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복원시킬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ler may restore the report period when the specific meter is not recogni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의 전원 온(On) 또는 리셋(Reset) 이후 기 정의된 특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다수의 통신포트 중 특정 통신포트를 통한 제어신호 인가 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특정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when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a specific communication port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ower-on (On) or reset (Reset)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for updating the firmware You can switch to a specific mode.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 주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센싱한 온도 데이터를 업링크패킷에 포함하여,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온도 데이터를 전달 받은 중앙서버가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계량기에 대해 동파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Specifically, the remote sensor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device; The control unit includes temperature data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n an uplink packet, and whether a central server receiving the temperature data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is freeze dangerous for a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To jud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라, 다수의 통신포트에 각기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상기 생성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여, 네트워크장치를 통해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계량기 각각의 데이터가 중앙서버로 전달되도록 하는 송신단계; 및 상기 업링크패킷 송신 후 특정 횟수로 제한된 일정 시간 단위의 다운링크 시간구간에서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remote reading terminal device, the collecting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meters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one uplink packet using the collected data; 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uplink packet at a reporting time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so that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to a central server through a network device; And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downlink packet in a downlink time interval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업링크패킷에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상기 특정 식별자의 업링크패킷 수신 시,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 및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in the generating step, when the specific meter that collects the alarm data required to control from the central serv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s recognized, the specific identifier is assigned to the uplink packet generated using the alarm data. The network apparatus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for the specific meter from the central server and transmit a downlink packet including the control command when the network device receives the uplink packet having the specific identifier.

구체적으로,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직전의 보고주기 보다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여,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송신하는 보고시점이 보고주기의 변경 전보다 빨라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specific meter in which the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the central server is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s recognized, the reporting cycle is changed to a time shorter than the previous reporting cycle to generate the next uplink packet. And causing the reporting time point to be transmitted to be faster than before the change in the reporting period.

구체적으로, 상기 다음 업링크패킷에는,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응답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ext uplink packet may include response data according to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ntrol comman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meter.

구체적으로,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pecific meter is not recogni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storing the reporting period.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의 전원 온(On) 또는 리셋(Reset) 이후 기 정의된 특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다수의 통신포트 중 특정 통신포트를 통한 제어신호 인가 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특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a specific communication port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a power-on or reset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it switches to a specific mode for firmware update.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 주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를 업링크패킷에 포함하여,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온도 데이터를 전달 받은 중앙서버가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계량기에 대해 동파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Specifically, in the generating step, by including the temperature data from the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in the uplink packet, the central server receiving the temperature data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is remot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isk of freezing of the multiple meters connected to the meter terminal device.

이에, 본 발명의 원격 검침 시스템,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원격검침단말장치 및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계량기의 개수 증가 대비 원격으로의 보고 및 제어명령 수신을 위한 시그널(패킷)의 개수 증가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이로 인해 야기될 수도 있는 서비스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는 줄이면서 고성능의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the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pplied to the system,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for the remote report and control command reception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ters By realizing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increase and prevents the degradation of service quality that may be caused by it, the network load is reduced and high performance and stable service quality are ensured. Can be deri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원격 검침이 수행되는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low of performing a remote meter reading in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등의 공동주택의 경우, 각 세대의 디지털 계량기(이하, 계량기)들이 실외에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in the case of multi-family housing, townhouses, such as multi-family houses, digital meters (hereinafter, meters) of each generation are often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utdoors.

이러한 계량기를 대상으로 원격에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을 확인/점검할 수 있는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는 각 계량기 마다 원격에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을 보고하고 필요 시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내장하거나, 또는 각 계량기 마다 원격에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을 보고하고 필요 시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원격 검침용 기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If you want to realize a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that can check and check the weighing value and status, etc. for such a meter remotely, it is necessary to report the weighing value and status to each meter remotely an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if necessary. Wireless metering module should be built in, or remote meter reading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report meter value and status and receive control command if necessary for each meter should be installed separately.

그리고, 전술과 같은 방식의 종래 원격 검침 환경에서는, 각 계량기(무선통신 모듈 내장) 또는 원격 검침용 기기에 상시 전원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배터리를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remote meter reading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difficult to always supply power to each met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in) or a remote meter reading device, the battery is used as a power source.

헌데, 종래의 원격 검침 환경에서는, 계량기의 개수가 증가하면, 이에 비례하여 내장되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별도 설치되는 원격 검침용 기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시그널(패킷)의 개수도 증가 및 네트워크의 부하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mote meter reading environment, as the number of meters increases,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transmitted / received wirelessly also increases as th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or separately installed remote metering devices increases in proportion thereto. And there is a problem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network.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생활 속의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등장하여 주목 받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각 계량기(무선통신 모듈 내장) 또는 원격 검침용 기기의 배터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도 등장 하였다. Recently,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hich connects things in everyday life through wired / wireless networks and shares information,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nd as a part, each met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remote meter reading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hat can minimize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devices has also appeared.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단말(IoT 단말), IoT 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IoT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IoT앱이 설치된 고객단말(미도시)과, IoT 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200), IoT 단말 및 네트워크장치(200)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의 IoT 기지국(10,20,...60)으로 구성된다.Briefly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an IoT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IoT terminal), a customer terminal (not shown) installed with an IoT app for checking the data of the IoT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IoT terminal, IoT base station (10,20, ..) that performs a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network device 200, the IoT terminal and the network device 200 for connecting between the IoT terminal and the customer terminal (IoT app)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60).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 IoT 단말은, 기 설정된 보고주기 마다, 패킷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다수의 채널 중 랜덤하게 선택한 임의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업링크패킷)를 전송(송신)하는, 비교적 단순한 업링크패킷 송신 방식으로 동작한다.In the IoT technology, the IoT terminal relatively transmits (transmits) data (uplink packets) through a randomly selected channel among a plurality of channels used for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t predetermined reporting cycles. It works with a simple uplink packet transmission scheme.

반면, IoT 단말은, 배터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업링크패킷 송신) 후 특정 횟수로 제한된 일정 시간 단위의 다운링크 시간구간에서만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비교적 제한된 다운링크패킷 수신 방식으로 동작한다.On the other hand, the IoT terminal, in order to minimize battery power consumption, a relatively limited downlink packet, which can receive the downlink packet only in a certain time unit downlink time period limited to a certain number of times after data transmission (uplink packet transmission). It works by the reception method.

예를 들어, 일정 시간을 1초, 특정 횟수를 2회로, 시간구간 사이의 시간 간격을 1초로 가정하면, IoT 단말은, 기 설정된 보고주기가 도래하면 데이터(업링크패킷)을 전송(송신)하고, 업링크패킷 송신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1초 이후의 첫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1)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가능하고, 다운링크 미 수신 시 DL1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1초 이후 즉 업링크패킷 송신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3초 이후의 두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2)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certain time is 1 second, a specific number of times is 2, and a time interval between time intervals is 1 second, the IoT terminal transmits (transmits) data (uplink packet) when a preset reporting period arrives. In addition, the downlink packet can be received in the first downlink time interval DL1 1 second after the uplink packet transmission completion time, and up to 1 second after the downlink DL1 when the downlink is not received. The downlink packet can be received in the second downlink time interval DL2 three seconds after the link packet transmission completion time.

이러한 IoT 단말은, 업링크패킷 송신 후 DL1 또는 DL2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성공하면, 다음 보고주기가 도래하여 다음 데이터(업링크패킷)을 전송(송신)할 때까지 Sleep상태로 대기하며, DL1 및 DL2 모두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실패하면 금번 보고주기가 경과하기 전에 정해진 규칙에 따른 업링크패킷(데이터) 재전송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downlink packet is successfully received in DL1 or DL2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the IoT terminal waits in the sleep state until the next report period arrives and transmits (transmits) the next data (uplink packet). If the downlink packet reception fails in both the and DL2, the uplink packet (data) retransmiss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before this reporting period elapses.

전술의 제한된 다운링크패킷 수신 방식은, 사물인터넷(IoT) 기술 중에서도 광역 커버리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속 전송(<1kbps) 및 저 전력을 지원하는 소량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IoT 기술(LoRa: Long Range)에서 사용되는 IoT 단말이 주로 채택/동작한다.The above-described limited downlink packet reception method is used in IoT technology (LoRa: Long Range), which is specialized in low-speed transmission (<1kbps) and small data transmission supporting low power for wide area coverage among IoT technologies. IoT terminal is mainly adopted / operated.

전술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의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는, 각 계량기(무선통신 모듈 내장) 또는 원격 검침용 기기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보고주기 마다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업링크패킷)를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제한된 다운링크패킷 수신에 기인하여 배터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지만, 여전히 계량기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이에 비례하여 네트워크의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the current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each met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in) or remote meter reading devices based on the IoT (IoT) technology based on the metering value per report cycle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plink packets) such as status, which can minimize battery power consumption due to limited downlink packet reception. However, as the number of meters increases, the load of the network increases proportionally. there is a problem.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계량기의 개수 증가 대비 네트워크 부하 증가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도 고성능의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원격 검침 서비스 방안(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ype of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method (technolog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hich can guarantee a high performance and stable service quality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network load increase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ters. I would like to suggest.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다수의 계량기와, 원격검침단말(100a,100b,...)와, 다수의 IoT 기지국(10,20,...60), 네트워크장치(200) 및 중앙서버(300)으로 구성될 수 잇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1,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eters,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s (100a, 100b, ...) and a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10, 20,... 60), the network device 200 and the central server 300.

다수의 계량기는, 각 세대의 디지털 계량기들을 의미하며,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의 경우 주택 단위로 다수의 계량기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The plurality of meters refers to digital meters of each generation, and in the case of a multi-family house / rowhouse, such as a multi-unit house, a plurality of meters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units of houses.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다수의 계량기1a,2a,.. .Na를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공동주택의 계량기들로 가정하여 도시하였고, 다수의 계량기1b,2b,.. .Nb를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공동주택의 계량기들로 가정하여 도시하였다.In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lurality of meters 1a, 2a, .. .Na are assumed to be meters of a multi-unit hous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meters 1b, 2b, ... It is shown assuming the meters of the multi-unit housing adjacently installed.

원격검침단말(100a,100b,...)은, 본 발명에서 계량기 개수 대비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시그널(패킷)을 N:1로 실현하기 위한, IoT 단말(LoRa 단말)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remote metering terminals 100a, 100b, ... serve as IoT terminals (LoRa terminals) for realizing a signal (packet) transmitted / received wirelessly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meters in N: 1.

원격검침단말(100a,100b,...) 중 하나(예: 100a)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원격검침단말(100a)은, 다수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1a,2a,.. .Na 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고,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상기 업링크패킷을 송신한다.Referring to one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s 100a, 100b, ... (for example, 100a),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a includes a plurality of meters 1a, 2a,...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One uplink packet is genera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Na, and the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at a reporting time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구체적으로, 원격검침단말(100a)은, 계량기가 유선 연결될 수 있는 통신포트를 다수 개로 구비하며, 다수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1a,2a,.. .Na 로부터 요청/응답을 통해 데이터 예컨대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a), the met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that can be wired connection, the data through a request / response from a plurality of meters 1a, 2a, .... Na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For example, data such as metering and status can be collected.

그리고, 원격검침단말(100a)은, 다수의 계량기1a,2a,.. .Na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고,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다수의 채널 중 랜덤하게 선택한 임의의 채널을 통해서 송신한다.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a generates one uplink packet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Na, and randomly among the plurality of channels at the time of reporting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Transmit through any channel selected.

이렇게 되면, 원격검침단말(100a)에서 송신되는 업링크패킷은, 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기지국(예: 기지국10,30)을 통해서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된다.In this case, the uplink packet transmitted from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a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apparatus 200 through at least one IoT base station (for example, base stations 10 and 30) receiving the uplink packet.

네트워크장치(200)는, 앞서 언급한 바 잇듯이,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에서 IoT 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The network device 200, as mentioned above, serves to connect between the IoT terminal and the customer terminal (IoT app)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이때, 본 발명의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장치(200)가 IoT 단말로서의 원격검침단말(100a,100b,...) 및 고객단말(IoT앱)로서의 중앙서버(300) 간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device 200 serves to connect between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s (100a, 100b, ...) as an IoT terminal and the central server 300 as a customer terminal (IoT app). Will be done.

앞선 설명과 같이 원격검침단말(100a,100b,...) 중 하나(예: 100a)를 언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즉 기지국10,30을 통해 원격검침단말(100a)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이 수신되면,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의 데이터를 중앙서버(300)로 전달한다.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one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s 100a, 100b, ... (for example, 100a) in detail, the network apparatus 200 is remotely connected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that is, base stations 10,30. When the uplink packet from the metering terminal 100a is received,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Na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is transferred to the central server 300.

이렇게 되면, 중앙서버(300)에서는,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원격에서 필요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entral server 300 may store / manage data such as weighing values and st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Na, and perform necessary processing remotely based on the data.

그리고, 네트워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즉 기지국10,30을 통해 원격검침단말(100a)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이 수신되면, 후술의 특정 식별자가 인지되지 않는 한, 별도의 대기 없이 금번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 형태의 다운링크패킷(Ack)을 기지국10,30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으로 즉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100a)에 전송되도록 한다.When the uplink packet from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a is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that is, the base stations 10 and 30, the network apparatus 200 does not wait for a separate time unless a specific identifier described below is recognized. A downlink packet (Ack) in the form of a response to the uplink packet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a specific base station selected from the base stations 10 and 30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a.

이때, 특정 기지국은, 업링크패킷 수신 시 이용된 기지국10,30 중에서 업링크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의미하여, 예를 들면 기지국30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pecific base station means a base station having the highest uplink reception quality among the base stations 10 and 30 used when the uplink packet is received, and may be,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현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는, 계량기의 개수 대비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시그널(패킷) 개수를 N:1로 실현함으로써, N:N인 기존의 원격 검침 서비스와 비교할 때 계량기의 개수 증가 대비 시그널(패킷)의 개수 증가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rea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N: 1 by transmitting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transmitted / received wirelessly to the number of meters. Compared to the existing remote metering service of N,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number of meters.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원격검침단말(100a,100b,...)은,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300)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이하, 장애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업링크패킷에 특정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s (100a, 100b, ...),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pecific meter (hereinafter, failure meter) in which the alarm data required to control from the central server 300 is collected If is recognized, the uplink packet generated using the alarm data may include a specific identifier.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0,30을 통해 원격검침단말(100a)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이 수신하고, 업링크패킷에서 특정 식별자 인지 시 다운링크패킷(Ack)을 즉시 송신하는 대신 중앙서버(300)로부터 특정 계량기 즉 장애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을 대기한 후,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10,30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0으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100a)에 전송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n uplink packet from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a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example, base stations 10 and 30, and recognizes the downlink packet when the specific identifier is recognized in the uplink packet. After waiting for the control command to the specific meter, that is, the failure meter from the central server 300, instead of transmitting immediately, and transmits the downlink packet contain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selected base station, e.g. It is to be transmitted to the meter reading terminal (100a).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원격검침단말(100a,100b,...)은,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300)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이하, 장애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보고주기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직전의 보고주기 보다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여,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송신하는 보고시점이 보고주기의 변경 전보다 빨라지도록 한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s (100a, 100b, ...),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pecific meter (hereinafter, failure meter) in which the alarm data required to control from the central server 300 is collected If is recognized, change the reporting period to a time shorter than the previous reporting period so that the reporting time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next uplink packet is faster than before changing the reporting period.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단말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100)는,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라, 다수의 통신포트에 각기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110)와, 업링크패킷을 송신하여 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계량기 각각의 데이터가 중앙서버(300)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업링크패킷 송신 후 특정 횟수로 제한된 일정 시간 단위의 다운링크 시간구간에서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하는 통신부(120)와,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통신부(120)로 전달하여, 상기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상기 업링크패킷이 송신되도록 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remote reading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ng unit 110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respectively,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By transmitting an uplink packet, the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apparatus 200, and a predetermined time limited to a certain number of times after the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The reporting period is genera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at receives the downlink packet in the downlink time interval of the unit,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uplink packet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30 fo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at the reporting time.

이러한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원격검침단말(100a,100b,...) 각각일 수 있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격검침단말(100a)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ch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s (100a, 100b, ...) shown in Figure 1, in the following assumes a remote metering terminal (100a)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 will explain.

수집부(110)는, 계량기가 유선 연결될 수 있는 통신포트를 다수 개로 구비하며, 도 1에서는 다수의 통신포트1,2,...N로서 도시하고 있다.The collecting unit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through which the meter can be wired, and are illustrated a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 2,... In FIG. 1.

원격검침단말장치(100)의 수집부(110)에 구비된 각 통신포트1,2,...N에는 각기 계량기가 유선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의 통신포트1,2,...N 중 하나 또는 일부의 통신포트에 계량기가 연결될 수도 있고, 모든 통신포트에 계량기가 최대 N개까지 연결될 수도 있다.Each communication port 1, 2, ... N provided in the collection unit 110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can be connected to each meter wire, one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 2, ... N Alternatively, the meter may be connected to some communication ports, and up to N meters may be connected to all communication ports.

그리고, 수집부(110)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라, 다수의 통신포트1,2,...N에 각기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1a,2a,.. .Na로부터 요청/응답을 통해 데이터 예컨대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And, the collection unit 110, according to a preset report period i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a plurality of meters 1a, 2a, ...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 2, ... N ... Request / response from Na may collect data such as metering and status.

통신부(120)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가 IoT 단말(LoRa 단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IoT 통신(LoRa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Communication unit 120,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IoT communication (LoRa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so that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can perform a role as an IoT terminal (LoRa terminal) It can be configured as.

이러한 통신부(120)는, 후술의 제어부(130)으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패킷을,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다수의 채널 중 랜덤하게 선택한 임의의 채널을 통해서 송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through the random channel selected randomly among a plurality of channels at the time of reporting the uplink packet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preset. Send.

이렇게 되면,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서 송신되는 업링크패킷은, 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기지국(예: 기지국10,30)을 통해서 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되며, 네트워크장치(200)는 수신한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의 데이터를 중앙서버(300)로 전달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uplink packet transmitted from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device 200 through at least one IoT base station (for example, base station 10,30) receiving the network device 200. Will deliver the data of each of the meter 1a, 2a, ... Na contained in the received uplink packet to the central server (300).

이에, 중앙서버(300)에서는,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원격에서 필요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us, in the central server 300, data such as metering values and statu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 Na can be stored / managed, and based on this, the necessary processing can be performed remotely.

통신부(120)는, 전술의 업링크패킷 송신 후, 특정 횟수로 제한된 일정 시간 단위의 다운링크 시간구간에서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receives the downlink packet in the downlink time interval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of times after the aforementioned uplink packet transmission.

예를 들어, 일정 시간을 1초, 특정 횟수를 2회로, 시간구간 사이의 시간 간격을 1초로 가정하면, 통신부(120)는, 앞서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업링크패킷 송신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1초 이후의 첫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1)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가능하고, 다운링크 미 수신 시 DL1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1초 이후 즉 업링크패킷 송신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3초 이후의 두번째 다운링크 시간구간(DL2)에서 다운링크패킷 수신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predetermined time is 1 second, a specific number of times is 2, and a time interval between time intervals is 1 seco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an uplink packet at a reporting time according to the previous reporting period, The downlink packet can be received in the first downlink time interval (DL1) 1 seco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link packet transmission time, and when the downlink is not received, the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1 second after the DL1 ends. Based on the completion time, the downlink packet can be received in the second downlink time interval DL2 after 3 seconds.

이러한 통신부(120)는, 2 이상의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도 2에서는 일 예로서 통신모둘1,2를 도시하고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and in FIG. 2, the communication modules 1 and 2 are illustrated as an example.

예를 들면, 통신부(120)에서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의 전원 온(On) 또는 리셋(Reset) 시, 기본 설정된 하나의 통신모듈(예: 통신모듈1)을 이용하여 업링크패킷 송신 및 다운링크패킷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an uplink packet using one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communication module 1) that is basically set whe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is turned on or reset. And downlink packet reception.

그리고, 통신부(120)는, 제어부(130)에 의한 모니터링 및 제어에 따라, 예를 들면 이용 중인 통신모듈1을 통한 패킷 전송의 실패가 반복되는지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또는 SNR(Signal to Noise Ratio)가 임계값 보다 낮은지 등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반한 제어에 따라, 다른 하나의 통신모듈2를 이용하여 업링크패킷 송신 및 다운링크패킷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monitoring and control by the control unit 130, for example, whether the failure of the packet transmiss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 being used is repeated or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nd / or SNR ( According to the control based on the result of monitoring whether the Signal to Noise Ratio) is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uplink packet transmission and the downlink packet recep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other communication module 2.

이처럼,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100)는, 통신모듈의 이중화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more stable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through duplica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검침단말장치(100)는, 방수효과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전원 스위치나 리셋 스위치를 제공하지 않고, 자석스위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 magnet switch 140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power switch or reset switch in order to increase the waterproof effect.

자석스위치(140)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의 전원 온(On) 및 원격검침단말장치(100)의 리셋(Reset) 시에 사용될 수 있다.The magnet switch 140 may be used at the time of power-on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and reset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제어부(130)는,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고 통신부(120)로 전달하여, 통신부(120)에서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업링크패킷이 송신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one uplink packet by using data such as measurement values and st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 .N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unit 1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uplink packet at the reporting time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의 전원 온(On) 또는 리셋(Reset) 시, 수집부(110)의 각 통신포트에 연결된 각 계량기의 고유번호를 전달받아 통신포트 및 계량기의 고유번호를 맵핑하여 내부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해당 계량기의 수집한 데이터를 일정 시간동안 함께 맵핑하여 저장/관리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power on (On) or reset (Reset)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delivers the unique number of each meter connected to each communication port of the collecting unit 110 Receives the communication port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meter to map and store in the internal storage (not shown), according to the set conditions can also be stored / managed by mapping the collected data of the meter together for a certain time.

이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의 전원 온(On) 또는 리셋(Reset) 시, 전달받은 계량기의 고유번호가 기존에 저장/관리하던 고유번호와 동일하다면 기존에 저장/관리하던 데이터를 로딩하여 이용할 수고, 전달받은 계량기의 고유번호가 신규의 고유번호라면 NULL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power on (On) or reset (Reset) of the meter reading device 100, if the unique number of the received meter is the same as the unique number that was previously stored / managed previously stored It is possible to load and use the data that was being managed and to load NULL data if the unique number of the received meter is a new unique number.

아울러, 이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만약 중앙서버(300)에 의해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연결되어야 하는 계량기(고유번호)가 지정되는 경우라면, 전달받은 계량기의 고유번호가 지정된 고유번호와 상이한 경우 다양한 형태의 경고(예: LED 점등, 등록된 단말로의 메시지 전송, 등록된 단말 내 검침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등)를 발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in this process, if the meter (unique number) to be connec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by the central server 300 is specified, the unique number of the meter received If different from the number, various types of warnings (eg, LED lighting, sending a message to a registered terminal, activating a metering application in a registered terminal, etc.) may be generated.

이러한 제어부(130)는, 수집부(110)에서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가 수집/전달되면, 이들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한다.The control unit 130 collects / transmits data such as measurement values and st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 .Na in the collecting unit 110, and uses one uplink packet using these data. Create

이때, 제어부(130)는,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에 대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다수의 계량기1a,2a,.. .Na 중 중앙서버(300)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 Na, control from the central server 300 of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 Na It can be recognized whether there is a particular meter for which the required alarm data has been collected.

즉, 제어부(130)는, 다수의 계량기1a,2a,.. .Na 중 원격 제어가 필요한 특정 계량기(이하, 장애 계량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whether there is a specific meter (hereinafter, a failure meter) that requires remote control among a plurality of meters 1a, 2a, .. .Na.

이에, 제어부(130)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장애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장애 계량기의 알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금번 업링크패킷에 특정 식별자를 포함한다.Thus, when the failure meter is recogni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ontroller 130 includes a specific identifier in this uplink packet generated using the alarm data of the failure meter.

그리고 제어부(130)는, 생성한 업링크패킷을 통신부(120)로 전달하여, 통신부(120)에서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업링크패킷이 송신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generated uplink packet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uplink packet at the reporting time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0,30을 통해 원격검침단말장치(100)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이 수신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n uplink packet from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apparatus 100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example, base stations 10 and 30.

그리고, 네트워크장치(200)는,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의 데이터를 중앙서버(300)로 전달하되, 업링크패킷에서 특정 식별자가 인지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대기 없이 금번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 형태의 다운링크패킷(Ack)을 기지국10,30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0으로 즉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하며, 업링크패킷에서 특정 식별자가 인지되는 경우 다운링크패킷(Ack)을 즉시 송신하는 대신 중앙서버(300)로부터 장애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을 대기한 후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0으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100a)에 전송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network apparatus 200 transmits a plurality of meters 1a, 2a,... Na of each data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to the central server 300, but the specific identifier is not recognized in the uplink packet. Immediately transmits the downlink packet (Ack) in response to the uplink packet this time to a specific base station selected from the base station 10,30, such as the base station 30, without being waited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the uplink packet If a specific identifier is recognized in the network, instead of immediately transmitting a downlink packet (Ack), the downlink packet containing the control command is waited for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central server 300 to the specific base station such as the base station 30. Transmit to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a.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의하면, 계량기의 개수 대비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시그널(패킷) 개수를 N:1로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alizing a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to N: 1 compared to the number of meters, Network load can be reduced.

통신부(120)에서 업링크패킷 송신 후 DL1 또는 DL2에서의 다운링크패킷 수신에 성공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로부터 다운링크패킷을 전달받게 되며 다운링크패킷에 장애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경우라면 이를 인지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succeeds in receiving the downlink packet in DL1 or DL2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downlink packe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controls the downlink packet to the downlink packet. If a command is included, it can be recognized.

이에, 제어부(130)는, 장애 계량기에 대하여 중앙서버(300)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그 수행결과에 따른 응답데이터(Ack)를 장애 계량기로부터 회신받아 해당 계량기의 데이터로서 내부 저장소(미도시)에 맵핑하여 저장할 것이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execut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central server 300 to the fault meter, receives the response data Ack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ecution from the fault meter, and stores the data as an internal storage (not shown). Will be mapped and saved.

한편, 제어부(130)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장애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보고주기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직전의 보고주기 보다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여,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송신하는 보고시점이 보고주기의 변경 전보다 빨라지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ault meter is recogni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ontrol unit 130 changes the reporting period to a time shorter than the previous reporting period, and generates and transmits the next uplink packet. You can make this report cycle faster than befor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장애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전술과 같이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여 생성한 업링크패킷을 통신부(120)로 전달하는 한편, 보고주기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직전의 보고주기 보다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이다.In detail, when the failure meter is recogni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uplink packet generated by including the specific identifier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as described above, and reports the report period. Change to a shorter time than the previous reporting period.

이에,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서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보고주기를 T1으로 가정할 때, 장애 계량기가 인지된 시점에 보고주기가 T1 보다 짧은 시간의 T2로 변경될 수 있다.Thus, in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assuming that the currently set reporting period is T1, the reporting period may be changed to T2 of a time shorter than T1 at the time when the fault meter is recognized.

이렇게 되면, 보고주기가 T1에서 T2로 짧아짐에 따라, 다음 업링크패킷 송신을 위해, 수집부(110)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점 및 제어부(130)에서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시점 및 통신부(120)에서 (다음)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는 보고시점이, 보고주기가 T1일 때보다 빨라지게 된다.In this case, as the reporting period is shortened from T1 to T2, a point in time of collecting data in the collecting unit 110 and a point in time of generating (next) uplink packet in the control unit 130 for the next uplink packet transmission and The reporting time point at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next) uplink packet is faster than when the reporting period is T1.

이때, 제어부(130)는, (다음) 업링크패킷 생성 시, 앞서 장애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로서 내부 저장소(미도시)에 맵핑/저장한 응답데이터(Ack)를 포함시켜 생성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nd includes the response data (Ack) mapped /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not shown) as a result of the control command for the failure meter when generating the next uplink packet. .

이에, 통신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패킷(Ack 포함)을 보고주기 변경에 빨라진 보고시점에 송신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120 will transmit the uplink packet (including the Ack)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30 to the report time faster to change the report period.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장애 계량기에 대하여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Ack)가 포함된 업링크패킷을 변경된 보고주기로 인한 빠른 시점에 수신하여,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의 데이터 및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Ack)를 빠른 시점에 중앙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n uplink packet including a result (Ack) of performing a control command to the fault meter at an early time due to the changed reporting cycle, and thus,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 The result of performing each data and control command (Ack)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at a quick time.

아울러, 제어부(130)는, 다음 업링크패킷 송신을 위해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앞서 인지한 장애 계량기가 더 이상 인지되지 않는 경우, 보고주기를 복원시켜 T1에서 T2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unit 110 for the next uplink packet transmission, if the previously recognized failure meter is no longer recognized, restores the reporting period from T1 to T2 You can change it.

이때, 원격검침단말장치(100) 즉 제어부(130)는, 기 저장되어 있는 보고주기제어정보에 따라서, 보고주기를 T1에서 T2로 변경 또는 T2에서 T1으로 복원시키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reading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reporting period from T1 to T2 or restores from T2 to T1 according to previously stored reporting period control information.

즉,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는 보고주기를 변경/복원하기 위한 설정값이 정의된 보고주기제어정보가 기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중앙서버(300)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That is,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preferably stores report period control information in which setting values for changing / restore a report period are defined in advance, for example, by the central server 300.

이에, 제어부(130)는, 보고주기제어정보에 따라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장애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보고주기를 T1에서 T2로 변경하되, 장애 계량기의 장애가 해결되지 않아 기 설정된 특정 횟수(예: 3회) 이상 수집하는 데이터에서 알람 데이터 즉 장애 계량기가 계속해서 인지되는 경우 더 이상 변경한 짧은 보고주기 T2를 유지하지 않고 다시 T1으로 복원할 수 있다.Thus,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reporting period from T1 to T2 when the fault meter is recogni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report cycle control information, but the fault of the fault meter is not solved. If the alarm data, ie the fault meter, is continuously recognized in the data collected more than three times, it can be restored back to T1 without maintaining the changed short report period T2.

한편, 원격검침단말장치(100, 제어부(130))는, 보고주기를 변경/복원하기 위한 보고주기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대신, 중앙서버(300)의 제어에 따라서 전술과 같이 보고주기를 T1에서 T2로 변경 또는 T2에서 T1으로 복원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the control unit 130, instead of storing the report period control information for changing / restoring the report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entral server 300, the report period as described above in T1 It may also be possible to change to T2 or restore from T2 to T1.

중앙서버(300) 입장에서는, 다수의 계량기1a,2a,.. .Na 중 장애 계량기가 없는 상황이라면 원격검침단말장치(100)로부터 보고되는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관리하는 주기가 다소 긴 시간(T1)이라도 무방하지만, 장애 계량기가 있고 이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처리(제어명령 발생)를 수행한 경우라면 장애 계량기에서 제어명령이 수행된 결과의 응답데이터(Ack)를 회신받는데 걸리는 시간이 충분이 짧아야만 원격 제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For the central server 300, if there are no failure meters among the plurality of meters 1a, 2a,. T1) may be used, but if the fault meter has a remote control process (control command generation), the time required for the fault meter to return the response data (Ack) of the result of the control command should be short enough. Only remote control will be able to perform smoothly.

헌데,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계량기의 개수 대비 무선으로의 시그널(패킷) 개수를 N:1로 줄이는 새로운 형태의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하는 점, 업링크패킷이 송신된 이후에만 원격에서의 제어(제어명령 포함 다운링크패킷)가 가능한 점을 감안하면, 원격검침단말장치(100)의 보고주기가 변동 없이 고정될 경우 중앙서버(300) 입장에서 계량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원격 검침 서비스의 품질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o realize a new type of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to reduce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to the wireless compared to the number of meters to N: 1, after the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Considering that only remote control (downlink packet with control command) is possible, when the reporting period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is fixed without change, the remote control of the meter is smoothly performed from the position of the central server 300. Rather, it may caus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이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장애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다운링크패킷) 및 제어명령이 수행된 결과의 응답데이터(Ack, 업링크패킷)가 송수신되는 기간 동안, 보고주기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송수신 시점(보고시점)이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계량기의 개수 대비 무선으로의 시그널(패킷) 개수를 N:1로 줄이는 새로운 형태의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하기 때문에 우려될 수 있는 원격 검침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view of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orting period is adaptively changed during the period during which the control command (downlink packet) for the fault meter and the response data (Ack, uplink packet) of the result of the control command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mak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reporting time) faster, we realize a new type of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that reduces the number of wireless signals (packets) to N: 1 b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he quality of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can be prevent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검침단말장치(100) 주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remote reading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5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remote reading terminal device 100.

이에, 제어부(130)는, 온도센서(150)에서 센싱한 온도 데이터를 매 업링크패킷에 포함하여 통신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Thus,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the temperature data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50 in each uplink packet and transmit the temperature data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온도 데이터 역시 중앙서버(300)로 전달할 것이므로, 원격검침단말장치(100)의 온도 데이터를 전달 받은 중앙서버(300)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와 연결된 다수의 계량기1a,2a,.. .Na에 대해 동파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network device 200 will also transmit the temperature data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received from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to the central server 300, the network device 200 transmits the temperature data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Received central server 300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freezing risk for a plurality of meters 1a, 2a, ... Na connec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예를 들면, 중앙서버(300)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a,100b,...) 각각의 온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 지역 또는 위치 또는 인접한 원격검침단말장치 중 온도가 일정치 이상 낮은 원격검침단말장치가 있으면 해당 원격검침단말장치와 연결된 계량기에 대해 동파 위험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를 다양한 형태로 경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entral server 300 compares the temperature data of each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s 100a, 100b, ..., so that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a certain level among the same area or location or an adjacent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If there is a meter terminal devic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freeze hazard for the meter connected to the remote meter terminal device, and it can be alerted in various forms.

더 나아가, 제어부(130)는, 원격검침단말장치(100)의 전원 온(On) 또는 리셋(Reset) 이후 기 정의된 특정 시간(예: 15초) 이내에 다수의 통신포트1,2,...N 중 특정 통신포트 예컨대 통신포트1를 통한 제어신호 인가 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특정 모드(이하, 엔지니어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 2, ..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g, 15 seconds) after a power-on or reset of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When a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a specific communication port, for example, communication port 1 of .N, it may be switched to a specific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ngineering mode) for firmware update.

이렇게 되면, 원격검침단말장치(100)는, 엔지니어링 모드에서 통신포트1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펌웨어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00 may perform a firmware update procedur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ppl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 in the engineering mo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단말장치에 의하면, 계량기의 개수 증가 대비 원격으로의 보고 및 제어명령 수신을 위한 시그널(패킷)의 개수 증가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이로 인해 야기될 수도 있는 서비스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는 줄이면서 고성능의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for the remote report and control command reception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ters caused by this By realizing the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hat can prevent possible degradation of service quality,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network load while ensuring high performance and stable service quality.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원격 검침이 수행되는 흐름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a flow of performing remote meter reading in a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설명의 편의 상, 원격검침단말(100)에 다수의 계량기1,2,.. .N이 연결된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is connected to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원격검침단말(100)는, 기 설정된 보고주기(T1)에 따라, 다수의 통신포트1,2,...N에 각기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요청/응답을 통해 데이터 예컨대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S2,...S10).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receives a request / response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N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 2,... N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T1. Through the data, for example, data such as measurement values and status can be collected (S1, S2, ... S10).

원격검침단말(100)는,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되면,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다수의 계량기1,2,.. .N 중 중앙서버(300)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 즉 장애 계량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when data i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om the central server 300 of the plurality of meters 1, 2, .... N It knows whether there is a specific meter, that is, a fault meter, for which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is collected.

원격검침단말(100)는, 장애 계량기가 인지되지 않는 경우,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여(S20) 보고주기(T1)에 따른 보고시점에 송신한다(S30).When the meter reading is not recognized,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generates one uplink packet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meters 1, 2,... N (S20) and the reporting period (T1). Transmit at the reporting time according to (S30).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0,30을 통해 원격검침단말장치(100)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이 수신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n uplink packet from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apparatus 100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example, base stations 10 and 30.

그리고, 네트워크장치(200)는,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의 데이터를 중앙서버(300)로 전달하되(S40), 업링크패킷에서 특정 식별자가 인지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대기 없이 금번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 형태의 다운링크패킷(Ack)을 기지국10,30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0으로 즉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한다(S45).The network apparatus 200 transmits a plurality of meters 1, 2,... N of the data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to the central server 300 (S40), and recognizes a specific identifier in the uplink packet. If not, a downlink packet (Ack) in response to the uplink packet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a specific base station selected among the base stations 10 and 30, such as base station 30, without additional waiting,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 S45).

이에, 중앙서버(300)에서는,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원격에서 필요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us, the central server 300,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data, such as metering values and status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and can perform the necessary processing from the remote based on this.

그리고 원격검침단말(100)는, 보고주기(T1)에 따라,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데이터를 다시 수집할 것이다(S61,S62,...S70).The remote reading terminal 100 will collect data again from the plurality of meters 1, 2,... N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T1 (S61, S62,... S70).

이때 역시, 원격검침단말(100)는,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되면,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다수의 계량기1,2,.. .N 중 장애 계량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At this time,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when data i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re are a plurality of meters 1, 2, .... Know whether or no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2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라면, 원격검침단말(100)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알람 데이터가 수집되는 계량기2를 장애 계량기로 인지할 수 있다(S65).As shown in FIG. 3, if a failure occurs in the meter 2,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may recognize the meter 2 in which alarm data is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failure meter (S65).

원격검침단말(100)는, 장애 계량기2가 인지되는 경우,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알람 데이터 포함)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 생성 시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고(S80), 생성한 업링크패킷을 보고주기(T1)에 따른 보고시점에 송신한다(S90).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includes a specific identifier when generating one uplink packet by using data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including alarm data) when the failure meter 2 is recognized. (S80), the generated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at the reporting time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T1 (S90).

아울러 원격검침단말(100)는, S80단계에서 보고주기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직전의 보고주기(T1) 보다 짧은 시간(T2)으로 변경한다.In addition,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changes the reporting period to a time T2 shorter than the immediately preceding reporting period T1 at step S80.

이때, 원격검침단말(100)는, 중앙서버(300)에 의해 기 저장되어 있는 보고주기제어정보에 따라, 장애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보고주기를 T1에서 T2로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may change the reporting period from T1 to T2 when the failure meter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eport period control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central server 300.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0,30을 통해 원격검침단말장치(100)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이 수신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n uplink packet from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apparatus 100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example, base stations 10 and 30.

그리고, 네트워크장치(200)는,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의 데이터(알람 데이터 포함)를 중앙서버(300)로 전달하되(S100), 업링크패킷에서 특정 식별자가 인지되므로 중앙서버(300)로부터 장애 계량기2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을 대기한 후(S110)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10,30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0으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한다(S120).In addition, the network apparatus 200 transmits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 2,... N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including alarm data) to the central server 300 (S100). Since the specific identifier is recognized in the (300) and waits for the reception of the control command for the failure meter 2 from the central server 300 (S110) by transmitting a downlink packet containing the control command to a specific base station selected from the base station 10,30, for exampl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to be transmitted (S120).

이에, 중앙서버(300)에서는,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S115), 보고되는 데이터(알람 데이터)를 근거로 원격에서 장애 계량기2를 인지 및 제어하는 처리(제어명령 발생)를 수행할 수 있다(S110).Accordingly, in the central server 300,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data such as the meter value and statu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 2, .... N (S115), and remotely based on the reported data (alarm data) In step S110, a process of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to recognize and control the failure meter 2 may be performed.

원격검침단말(100)는, S90단계에서 업링크패킷 송신 후 DL1 또는 DL2에서의 다운링크패킷 수신에 성공하는 경우, 다운링크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장애 계량기2에 대한 제어명령을 인지할 수 있다.When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succeeds in receiving the downlink packet in DL1 or DL2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in step S90,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may recognize a control command for the failure meter 2 included in the downlink packet.

이에, 원격검침단말(100)는, 장애 계량기2에 대하여 중앙서버(300)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그 수행결과에 따른 응답데이터(Ack)를 장애 계량기로부터 회신받아 해당 계량기의 데이터로서 내부 저장소(미도시)에 맵핑하여 저장할 것이다(S130).Accordingly,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execut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central server 300 to the fault meter 2, receives a response data (Ack)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ecution from the fault meter, and internalizes it as data of the meter. It will be mapped and stored in the storage (not shown) (S130).

한편,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원격검침단말(100)는, S80단계에서 보고주기가 T1에서 T2로 짧아짐에 따라, 다음 업링크패킷 송신을 위해,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S141,142,...S150의 시점 및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S160의 시점 및 (다음)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는 S170의 보고시점이, 보고주기가 T1일 때보다 빨라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as the report period is shortened from T1 to T2 in step S80, for the next uplink packet transmission,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The time of S141, 142, ... S150 collecting data from and the time of S160 generating (up next) uplink packets, and the reporting time of S170 sending (up next) uplink packets, when the reporting period is T1. Everything will be faster.

이때, 원격검침단말(100)는, S160단계에서 (다음) 업링크패킷 생성 시, 앞서 장애 계량기2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로서 내부 저장소(미도시)에 맵핑/저장한 응답데이터(Ack)를 포함시켜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when generating the (next) uplink packet in step S160, as a result of perform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failure meter 2 earlier, the response data (Ack) mapped /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not shown) (Ack To generate).

물론, 원격검침단말(100)는,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S141,142,...S150의 시점에서 역시,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다수의 계량기1,2,.. .N 중 장애 계량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할 것이다.Of course,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at the time of S141, 142, ... S150 collecting data from the plurality of meters 1, 2, .... N, also based on the collected data, 2,... N will recognize whether there is a fault met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2에 발생된 장애가 S130단계의 제어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해결된 경우라면(S135), 원격검침단말(100)는, 앞서 인지한 장애 계량기2가 더 이상 인지되지 않을 것이므로 S160단계에서 보고주기를 복원시켜 T1에서 T2로 변경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f the fault generated in the meter 2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solv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step S130 (S135),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recognizes that the fault meter 2 previously recognized is no longer present. Since it will not be able to restore the reporting period in step S160 can be changed from T1 to T2.

이때, 원격검침단말(100)는, 중앙서버(300)에 의해 기 저장되어 있는 보고주기제어정보에 따라, 앞서 인지한 장애 계량기2가 더 이상 인지되지 않는 경우 S160단계에서 보고주기를 복원시켜 T1에서 T2로 변경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report period control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central server 300, when the previously recognized failure meter 2 is no longer recognized, restores the reporting period in step S160 T1 Can be changed to T2.

이 외에도, 원격검침단말(100)는, 중앙서버(300)에 의해 기 저장되어 있는 보고주기제어정보에 따라, 장애 계량기2의 장애가 해결되지 않아 기 설정된 특정 횟수(예: 3회) 이상 수집하는 데이터에서 장애 계량기2가 계속해서 인지되는 경우에도, 배터리 소모 최소화를 위해 더 이상 변경한 짧은 보고주기 T2를 유지하지 않고 다시 T1으로 복원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report period control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by the central server 300, the failure of the fault meter 2 is not solve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to collect Even if fault meter 2 continues to be recognized in the data, it can be restored back to T1 without retaining the shorter reporting period T2, which is no longer changed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장애 계량기에 대하여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Ack)가 포함된 업링크패킷을 변경된 보고주기(T2)로 인한 빠른 시점에 수신하여,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의 데이터 및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Ack)를 빠른 시점에 중앙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고(S180), 업링크패킷에서 특정 식별자가 인지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대기 없이 금번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 형태의 다운링크패킷(Ack)을 기지국10,30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0으로 즉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한다(S185).In this case,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n uplink packet including a result (Ack) of performing a control command to the fault meter at an early time due to the changed report period T2, and thus, the plurality of meters 1a and 2a. Na. The result of performing each data and control command (Ack) can be delivered to the central server 300 at a quick time point (S180), and if a specific identifier is not recognized in the uplink packet, there is no waiting. The downlink packet (Ack) in response to the uplink packet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a specific base station selected from the base stations 10 and 30,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30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S185).

이에, 중앙서버(300)에서는,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보고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원격에서 장애 계량기2를 제어한 결과(응답 데이터(Ack))를 인지할 수 있다(S190).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300 stores / manages data such as weighing values and st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 2, ..N, and controls the fault meter 2 remotely based on the reported data. The result (response data Ack) can be recognized (S190).

이상, 본 발명의 원격 검침 시스템에 의하면, 장애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다운링크패킷) 및 제어명령이 수행된 결과의 응답데이터(Ack, 업링크패킷)가 송수신되는 기간 동안, 보고주기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송수신 시점(보고시점)이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계량기의 개수 대비 무선으로의 시그널(패킷) 개수를 N:1로 줄이는 새로운 형태의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하기 때문에 우려될 수 있는 원격 검침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orting period is adaptively adjusted during a period in which a control command (downlink packet) and a response data (Ack, uplink packet) of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control command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order to realize a new type of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that reduces the number of wireless signals (packets) to N: 1 by the number of meters b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by mak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reporting point) faster. This can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quality of remote meter reading services that may be of concern.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n operation method of a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설명의 편의 상, 원격검침단말(100)에 다수의 계량기1,2,.. .N이 연결된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is connected to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전원 온(On) 또는 리셋(Reset) 이후 기 정의된 특정 시간(예: 15초) 이내에 다수의 통신포트1,2,...N 중 특정 통신포트 예컨대 통신포트1를 통한 제어신호 인가 시(S200 Yes),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특정 모드(이하, 엔지니어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205).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i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 2,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g, 15 seconds) after a power-on or reset. ... When a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a specific communication port, for example, communication port 1 among N (S200 Yes), it may be switched to a specific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ngineering mode) for firmware update (S205).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S200단계에서 통신포트1를 통한 제어신호 인가되지 않으면(S200 No), 원격검침 모드를 유지하여 다음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rol signal is not appl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 in step S200 (S200 No), the following steps may be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remote metering mode. have.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기 설정된 보고주기(T1)에 따라, 다수의 통신포트1,2,...N에 각기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요청/응답을 통해 데이터 예컨대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210).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 2, ... N according to a preset report period T1. 2, .... through the request / response from the data can be collected, such as data such as metering and status (S210).

이때, 원격검침단말(100)는,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되면,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다수의 계량기1,2,.. .N 중 장애 계량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S220).At this time,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if data i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whether there is a failure meter among the plurality of meters 1, 2, ... .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Recognize whether or not (S220).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장애 계량기의 존재가 인지되지 않으면(S220 No),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 및 온도센서(150)에서 센싱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여 보고주기(T1)에 따른 보고시점에 송신한다(S230).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is not recognized the presence of the fault meter (S220 No), data and temperature sensor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One uplink packet is generated using the temperature data sensed at 150 and transmitted to the reporting time point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T1 (S230).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0,30을 통해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고,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의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를 중앙서버(300)로 전달하되(S240), 업링크패킷에서 특정 식별자가 인지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대기 없이 금번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 형태의 다운링크패킷(Ack)을 기지국10,30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0으로 즉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한다(S250).In this case,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n uplink packet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example, base stations 10 and 30, and the data and tempera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 2,... N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S240), but if a specific identifier is not recognized in the uplink packet, the downlink packet (Ack) in response form to the uplink packet without a separate standby of the base station 10,30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selected specific base station, such as base station 30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S250).

그리고, 중앙서버(300)에서는,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 및 원격검침단말(100)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동파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45).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00 receives a plurality of meters 1, 2,... N and the like, such as weighing values and st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 2, and .N and temperature data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 .N can store / manage data such as weighing values and status for each, and determine whether a freezing hazard is present (S245).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S230단계에서 업링크패킷 송신 후, 네트워크장치(200)에서 S250단계를 통해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을 DL1 또는 DL2에서 수신할 수 있다(S260).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after receiving the uplink packet in step S230, and receives the downlink packet transmitted in step S250 by the network device 200 in DL1 or DL2 It may be (S260).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S360 No, ②), 보고주기에 따라 다수의 계량기1,2,.. .N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S210단계 및 그 이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receives data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as long as the power is not turned off (S360 No, ②). Collecting step S210 and after may be repeated.

한편,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장애 계량기 예컨대 계량기2의 존재가 인지되면(S220 Yes), 보고주기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직전의 보고주기(T1) 보다 짧은 시간(T2)으로 변경한다(S270).On the other hand,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ence of a failure meter, for example meter 2 is recognized (S220 Yes),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the report period (T1)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setting the reporting period (T1) Change to a shorter time T2 (S270).

아울러,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장애 계량기 예컨대 계량기2의 존재가 인지되면(S220 Yes),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 및 온도센서(150)에서 센싱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되 특정 식별자를 포함시키고, 이 업링크패킷을 보고주기(T1)에 따른 보고시점에 송신한다(S280).In addition,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ence of a failure meter, for example meter 2 is recognized (S220 Ye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Using the data and the temperature data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50 generates one uplink packet, including a specific identifier, and transmits the uplink packet to the reporting time point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T1) (S280).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0,30을 통해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고,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의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 및 장애 계량기2의 알람 데이터를 중앙서버(300)로 전달하되(S290), 업링크패킷에서 특정 식별자가 인지되므로 중앙서버(300)로부터 장애 계량기2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을 대기한다.In this case,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n uplink packet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example, base stations 10 and 30, and the data and tempera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 2,... N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The data and alarm data of the failure meter 2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S290), and since a specific identifier is recognized in the uplink packet, the control server waits for reception of the control command for the failure meter 2 from the central server 300.

중앙서버(300)에서는,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 및 원격검침단말(100)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동파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S295), 아울러 보고되는 알람 데이터를 근거로 원격에서 장애 계량기2를 인지 및 제어하는 처리(제어명령 발생/송신)를 수행할 수 있다(S300).The central server 300 receives a plurality of meters 1, 2,... N by receiving data such as weighing values and st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 2,... N, and temperature data of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N can store / manage data such as weighing values and status for each and determine whether a freeze hazard exists (S295), and process to recognize and control fault meter 2 remotely based on the reported alarm data. Control command generation /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S300).

네트워크장치(200)는, 중앙서버(300)로부터 장애 계량기2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10,30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0으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한다(S305).When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 control command for the failure meter 2 from the central server 300, the network apparatus 200 transmits a downlink packet including the control command to a specific base station selected among the base stations 10 and 30,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30. It is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100 (S305).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S280단계에서 업링크패킷 송신 후, 네트워크장치(200)에서 S308단계를 통해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을 DL1 또는 DL2에서 수신할 수 있다(S310).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may receive the downlink packet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apparatus 200 through step S308 in DL1 or DL2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in step S280. It may be (S310).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DL1 또는 DL2에서의 다운링크패킷 수신에 성공하는 경우, 다운링크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장애 계량기2에 대한 제어명령을 인지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successfully receives the downlink packet from DL1 or DL2,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may recognize a control command for the failure meter 2 included in the downlink packet. Can be.

이에, 원격검침단말(100)는, 장애 계량기2에 대하여 중앙서버(300)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그 수행결과에 따른 응답데이터(Ack)를 장애 계량기로부터 회신받아 해당 계량기의 데이터로서 내부 저장소(미도시)에 맵핑하여 저장할 것이다(S320).Accordingly,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execut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central server 300 to the fault meter 2, receives a response data (Ack)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ecution from the fault meter, and internalizes it as data of the meter. The storage will be mapped to a storage (not shown) (S320).

그리고, 본 발명의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S270단계에서 보고주기가 T1에서 T2로 짧아짐에 따라, 다음 업링크패킷 송신을 위해 보고주기2에 따라 보고주기가 T1일 때보다 빠른 시점에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S330).In addition,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port period is shortened from T1 to T2 in step S270, the report perio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port period 2 for the next uplink packet transmission.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at a faster time point than when T1 (S330).

이때 역시, 원격검침단말(100)는, 다수의 계량기1,2,.. .N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되면,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다수의 계량기1,2,.. .N 중 장애 계량기가 존재하는지 인지하여 장애 계량기2가 여전히 존재하는지 인지할 수 있다(S340).At this time,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when data i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meters 1, 2, .... 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re are a plurality of meters 1, 2, .... It may be recognized whether the failure meter 2 still exists (S340).

만약 계량기2에 발생된 장애가 S320단계의 제어에 따라 해결된 경우라면, 원격검침단말(100)는, 앞서 인지한 장애 계량기2가 더 이상 인지되지 않을 것이므로(S340 No), 보고주기를 복원시켜 T1에서 T2로 변경하되(S350) ①로 진입하여 S230를 수행하며, 이때 S230에서 원격검침단말(100)는, S330단계에서 수집한 데이터 및 온도센서(150)에서 센싱한 온도 데이터 및 앞서 S320단계에서 장애 계량기2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로서 내부 저장소(미도시)에 맵핑/저장한 응답데이터(Ack)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고, 복원 전 보고주기(T2)에 따른 보고시점에 송신한다.If the failure occurred in the meter 2 is resolv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step S320,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100, because the previously recognized failure meter 2 will not be recognized anymore (S340 No), restore the reporting period T1 Change to T2 at (S350) ① enters and performs S230, in which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at S230, the data collected in step S330 and the temperature data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50 and in step S320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control command for the fault meter 2, one uplink packet is generated using the response data (Ack) mapped /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not shown), and the repor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T2) before restoration. Send at the time.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장애 계량기2에 대하여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Ack)가 포함된 업링크패킷을 변경된 보고주기(T2)로 인한 빠른 시점에 수신하여, 다수의 계량기1a,2a,.. .Na 각각의 데이터 및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Ack)를 빠른 시점에 중앙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고(S240), 업링크패킷에서 특정 식별자가 인지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대기 없이 금번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 형태의 다운링크패킷(Ack)을 기지국10,30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0으로 즉시 송신하여 원격검침단말장치(100)에 전송되도록 한다(S250).In this case, the network apparatus 200 receives an uplink packet including a result (Ack) of a control command to the fault meter 2 at an early time due to the changed report period T2, and receives a plurality of meter 1a, 2a, .. .Na The result of performing each data and control command (Ack) can be delivered to the central server 300 at a fast time (S240), and if a specific identifier is not recognized in the uplink packet, a separate standby Without this, the downlink packet (Ack) in response to the uplink packet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a specific base station selected among the base stations 10 and 30, for example,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100 (S250).

그리고 중앙서버(300)에서는,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 및 원격검침단말(100)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수의 계량기1,2,.. .N 각각에 대한 계량수치 및 상태 등의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동파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보고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원격에서 장애 계량기2를 제어한 결과(응답 데이터(Ack))를 인지할 수 있다(S245).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00 receives a plurality of meters 1, 2,... N and the like, such as weighing values and st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1, 2,... N, and temperature data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100. .. .N Save / manage data such as weighing value and status for each, and determine whether freezing hazards exist, and control the fault meter 2 remotely based on the reported data (response data (Ack)) ) Can be recognized (S24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계량기의 개수 증가 대비 원격으로의 보고 및 제어명령 수신을 위한 시그널(패킷)의 개수 증가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이로 인해 야기될 수도 있는 서비스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는 줄이면서 고성능의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signals (packets) for remotely reporting and receiving control commands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ter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terioration in service quality that may be caused. By realizing the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network load while ensuring high performance and stable service quality.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and structural equivalents disclosed herein, or one or more of them. It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as one or more modules related to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program storage medium of tangible type for controlling or by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e control systems. Can be implemented.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 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 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position of materials affecting a machine readable propagated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system" or "apparatus" encompasses all the mechanisms, devices, and machines for controlling data, including, for example, programmable processors, computers, or multiple processors or computers. The control system may include, in addition to hardware, code that forms an execution environment for a computer program on demand, such as code constituting processor firmware, a protocol stack,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 operating system,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Computer programs (also known as programs,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s, scripts,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s,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s.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Computer program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files in the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in multiple interactive files (eg, a file that stores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arts of code), or part of a file that holds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one computer or on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mputer-readable media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EPROM, EEPROM and flash memory devices, for example magnetic disks such as internal hard disks or external disks, magneto-optical disks and CDs. It may include all types of nonvolatile memory, media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ROM and DVD-ROM disks. The processor and memory can be supplemented by or integrated with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for example, a backend component such as a data server, or include a middleware component such as, for example, an application server, or a web browser or graphic user, for example, where a user may interac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It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ing system that includes a front end component such as a client computer having an interface or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such back end, middleware or front end component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may be interconnected by any form or medium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such a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e specification includes numerous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thes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o any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but rather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must be understood. Likewise,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while the features may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pict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the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the claimed combination being a subcombination Or a combination of subcombina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rawings depict operations in a particular ord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in order to obtain desirable results or that all illustrated acts must be performed. Can not be done.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is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Thu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vari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의 원격 검침 시스템,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원격검침단말장치 및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부하는 줄이면서 고성능의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검침 서비스를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the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pplied to the system,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hat can ensure a high performance and stable service quality while reducing the network load In terms of realizing the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it is not only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as well as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It is an invention that can be used.

100 : 원격검침단말장치
110 : 수집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자석스위치
150 : 온도센서
100: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110: collecting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magnet switch
150: temperature sensor

Claims (17)

다수의 계량기;
다수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다수의 계량기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고,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상기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는 원격검침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계량기 각각의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 형태의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 선택한 특정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상기 원격검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네트워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검침단말은,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직전의 보고주기 보다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여,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송신하는 보고시점이 보고주기의 변경 전보다 빨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Multiple meters;
A remote reading terminal for generating one uplink packet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and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at a reporting time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And
Delivers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to a central server, and selects a downlink packet in response form to the uplink packet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base station A network device for transmitting to a base station for transmission to said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hen a specific meter that collects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a central server is recognized, the reporting period is changed to a time shorter than the previous reporting period, there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next uplink packet. A remote meter rea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orting point is faster than before changing the reporting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검침단말은,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업링크패킷에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상기 특정 식별자의 업링크패킷 수신 시,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 및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When the specific meter which collects the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the central serv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s recognized, the specific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generated using the alarm data.
And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for the specific meter from the central server and transmitting a downlink packet including the control command when the network device receives the uplink packet having the specific identifier.
삭제delete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라, 다수의 통신포트에 각기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업링크패킷을 송신하여 네트워크장치를 통해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계량기 각각의 데이터가 중앙서버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업링크패킷 송신 후 특정 횟수로 제한된 일정 시간 단위의 다운링크 시간구간에서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여, 상기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상기 업링크패킷이 송신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직전의 보고주기 보다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여,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송신하는 보고시점이 보고주기의 변경 전보다 빨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
A collection unit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respectively,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Transmitting an uplink packet to transmit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to a central server through a network device, and downlink time interval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of times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downlink packet in the;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ne uplink packet to the communication unit by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so that the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at the reporting time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hen a specific meter that collects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a central server is recognized, the reporting period is changed to a time shorter than the previous reporting period, there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next uplink packet.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orting time is faster than before the change of the reporting peri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업링크패킷에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상기 특정 식별자의 업링크패킷 수신 시,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 및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a specific meter that collects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a central serv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s recognized, a specific identifier is included in an uplink packet generated using the alarm data.
When the network device receives the uplink packet of the specific identifier,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central server and to transmit a downlink packet including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central server. .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업링크패킷에는,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응답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next uplink packet,
And a response data according to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ntrol comman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met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specific meter is not recogni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mote reading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storing the reporting peri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의 전원 온(On) 또는 리셋(Reset) 이후 기 정의된 특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다수의 통신포트 중 특정 통신포트를 통한 제어신호 인가 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특정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a specific communication port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ower-on (On) or reset (Reset) of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it is switched to a specific mode for the firmware updat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 주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센싱한 온도 데이터를 업링크패킷에 포함하여,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온도 데이터를 전달 받은 중앙서버가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계량기에 대해 동파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around the remote reading terminal device;
The control unit,
Including the temperature data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uplink packet, the central server receiving the temperature data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can determine whether the freezing risk for the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기 설정된 보고주기에 따라, 다수의 통신포트에 각기 연결되는 다수의 계량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업링크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보고주기에 따른 보고시점에 상기 생성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여, 네트워크장치를 통해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계량기 각각의 데이터가 중앙서버로 전달되도록 하는 송신단계;
상기 업링크패킷 송신 후 특정 횟수로 제한된 일정 시간 단위의 다운링크 시간구간에서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직전의 보고주기 보다 짧은 시간으로 변경하여, 다음 업링크패킷을 생성 및 송신하는 보고시점이 보고주기의 변경 전보다 빨라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A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met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one uplink packet using the collected data;
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uplink packet at a reporting time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so that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ters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is transmitted to a central server through a network device;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downlink packet in a downlink time interval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hen a specific meter that collects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a central server is recognized, the reporting period is changed to a time shorter than the previous reporting period, there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next uplink packet. A method of operating a remote reading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orting time is faster than before the change of the reporting peri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앙서버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되는 알람 데이터가 수집된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업링크패킷에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상기 특정 식별자의 업링크패킷 수신 시,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한 제어명령 수신 및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generating step,
When a specific meter that collects alarm data requiring control from a central serv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s recognized, a specific identifier is included in an uplink packet generated using the alarm data.
When the network device receives the uplink packet of the specific identifier,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for the specific meter from the central server and to transmit a downlink packet including the control command Method of operation.
삭제delete 제 12 항에 있어서,
다음 업링크패킷에는,
상기 특정 계량기에 대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응답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next uplink packet,
And the response data according to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ntrol comman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met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계량기가 인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고주기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restoring the reporting period when the specific meter is not recogni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의 전원 온(On) 또는 리셋(Reset) 이후 기 정의된 특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다수의 통신포트 중 특정 통신포트를 통한 제어신호 인가 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특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Switching to a specific mode for firmware update when a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a specific communication port amo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power-on or reset of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meter reading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 주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를 업링크패킷에 포함하여, 상기 업링크패킷에 포함된 온도 데이터를 전달 받은 중앙서버가 상기 원격검침단말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계량기에 대해 동파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generating step,
A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by a central server receiving temperature data included in the uplink packet by including temperature data from a temperature sensor sensing a temperature around the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in an uplink packet Method for operating a remote metering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risk of freezing.
KR1020170170722A 2017-12-12 2017-12-12 Remote meter reading system,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remote meter reading method KR1020644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722A KR102064470B1 (en) 2017-12-12 2017-12-12 Remote meter reading system,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remote meter rea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722A KR102064470B1 (en) 2017-12-12 2017-12-12 Remote meter reading system,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remote meter read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677A KR20190078677A (en) 2019-07-05
KR102064470B1 true KR102064470B1 (en) 2020-01-09

Family

ID=6722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722A KR102064470B1 (en) 2017-12-12 2017-12-12 Remote meter reading system,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remote meter read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4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3428B (en) * 2020-05-29 2020-09-11 成都千嘉科技有限公司 Online meter stat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method
KR102338931B1 (en) * 2020-06-02 2021-12-14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IoT device auto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08540B1 (en) * 2021-02-24 2021-10-06 (주)엔티모아 Remote automatic water meter read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741B1 (en) * 2011-11-04 2012-07-0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Auto metering system using real-time protoc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741B1 (en) * 2011-11-04 2012-07-0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Auto metering system using real-time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677A (en)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9092B2 (en) Asynchronous reporting system
US10187139B2 (en) Relay residential gateway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server
KR102064470B1 (en) Remote meter reading system, remote meter reading device and remote meter reading method
CN103209439B (en) The method of a kind of data traffic monitoring, device and equipment
US20180248968A1 (en) Remote access gateway configurable control system
CN106453648B (en) Equipment stat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KR102410469B1 (en) Internet of things ev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9291357B1 (en) Redundant and selectable gateway and control elements for remote connected thermostats
US8874738B2 (en) Gateway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pparatus co-operation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co-operation method
JP6342915B2 (en) Intelligent network operation
CN110557327A (en) Independent IoT gateway capable of directly linking with user terminal by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US20140082068A1 (en) Mailbox data storage system
CN104125590A (en) Link fault diagnosis device and method thereof
EP1623533A1 (en) An ad-hoc network, a network device and a method of configuration management therefor
JPWO2014050493A1 (en) Standby system apparatus, operational system apparatus, redundant configuration system, and load distribution method
TWI737015B (en) Communication method of wireless sensing network
CN104639459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al energy metering terminal
CN107612719B (en) Data backup method and device for Internet of things access point
KR101051121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sensor network
TWI727519B (e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4933570B2 (en) Wireless ta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wireless tag system
CN107612715B (en) Data backup method and device for Internet of things repeater
KR102052481B1 (en) Controlling apparatus for access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5434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storing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KR20100003285A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