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262B1 -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262B1
KR102063262B1 KR1020190106497A KR20190106497A KR102063262B1 KR 102063262 B1 KR102063262 B1 KR 102063262B1 KR 1020190106497 A KR1020190106497 A KR 1020190106497A KR 20190106497 A KR20190106497 A KR 20190106497A KR 102063262 B1 KR102063262 B1 KR 10206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container
blister
tube
packag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도아
김태은
양동민
Original Assignee
노도아
김태은
양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도아, 김태은, 양동민 filed Critical 노도아
Priority to KR102019010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제형의 물질을 용이하게 섞이도록 하여 혼합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포장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는, 서로 다른 두 용액을 수용하고,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제1용액용기(10) 및 제2용액용기(20)와, 상기 제1용액용기(10) 및 제2용액용기(20)를 상호 연결하는 튜브(30)와, 상기 제1용액용기(1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제1용액을 수용하는 제1용액블리스터(40) 및 상기 제2용액용기(2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제2용액을 수용하는 제2용액블리스터(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PACKING CONTAINER FOR MIXED USE OF DIFFERENT CONTENTS}
본 개시내용은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제형의 물질을 용이하게 섞이도록 하여 혼합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포장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등을 수용하는 포장재 용기는 다양한 제형의 물질들을 내부에 담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식의 포장재 용기가 존재한다. 각 포장재 용기는 하나의 화장품 용액을 담기 위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에서 두 가지 제형의 화장품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세안하고 난 이후에 스킨과 로션, 로션과 아이크림, 로션과 수분크림 등 하나의 화장품을 바르는 것이 아니라 최소 두 개 이상의 화장품을 바르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렇게 복수의 화장품을 각각 사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장품 용기를 별도로 개폐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여행과 같은 장시간 이동시에 큰 용량의 화장품 용기를 휴대하는 것은 다소 불편함이 따르므로 이를 위하여 작은 용기의 여행용 화장품 포장재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여러 개의 화장품 용기를 개별적으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휴대성을 강조한 일회용 화장품 포장재 용기가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화장품이 각각의 화장품 포장재 안에 들어가 있으므로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포장재는 짜는 방식을 여러 번 반복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피로를 증가시키게 되고 절취선이 존재하더라도 잘 못 뜯는 경우가 많아 사용 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점도를 가진 두가지 제형은 둘의 소모 밸런스를 맞출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일회성 제품이지만 한 번에 모두 사용하기에는 많은 양이다. 이러한 기존의 포장재 구조는 일회성에 한정되어 여러 번 사용을 위해 보관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3993호(화장품 용기)
기존의 포장재 구조에서 여러 번의 동작을 반복하여 짜는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포장재가 잘 안 뜯겨져 내용물이 흐르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며 묽은 제형과 된 제형이 적절한 비율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며 일정기간 내에는 일회성에 한정 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는, 서로 다른 두 용액을 수용하고,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제1용액용기(10) 및 제2용액용기(20)와, 상기 제1용액용기(10) 및 제2용액용기(20)를 상호 연결하는 튜브(30)와, 상기 제1용액용기(1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제1용액을 수용하는 제1용액블리스터(40) 및 상기 제2용액용기(2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제2용액을 수용하는 제2용액블리스터(50)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면서, 상기 튜브(30)를 통해 서로 다른 두 용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튜브(30)는, 상기 제1용액용기(10)에 수용된 제1용액을 토출하는 제1용액토출구(60)와, 상기 제2용액용기(20)에 수용된 제2용액을 토출하는 제2용액토출구(7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1용액토출구(60)의 직경과 제2용액토출구(70)의 직경은 상이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용액용기(10)와 제2용액용기(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게 되면, 상기 제2용액용기(20)에서 이탈되어 제1용액용기(10)에 연장 형성되는 받침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튜브(3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며, 상기 튜브(30)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제1용액토출구(60)와 제2용액토출구(70)의 상호 연결을 차단하는 구체(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체(90)는,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면서, 상기 튜브(30)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튜브(30)는 상기 구체(90)가 중앙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체홈(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용액용기(10)와 제2용액용기(20)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홈(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80)의 상부에 부착되어 용액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용액을 한 번의 터치로 동시에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어 기존의 포장재의 여러 번의 동작을 통해 짜는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잘 못 뜯어 내용물이 흐르거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묽은 제형과 된 제형의 적절한 비율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고 일정기간 내에는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므로 소비재 제품의 사용성 및 유용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에 있어서, 구체가 배출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의 저면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에 있어서,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용기는, 서로 다른 두 용액을 수용하고,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제1용액용기(10) 및 제2용액용기(20)와, 상기 제1용액용기(10) 및 제2용액용기(20)를 상호 연결하는 튜브(30)와, 상기 제1용액용기(1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제1용액을 수용하는 제1용액블리스터(40) 및 상기 제2용액용기(2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제2용액을 수용하는 제2용액블리스터(5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재 용기는 제1용액용기(10)와 제2용액용기(20)가 수평으로 배치되며 이를 상호 연결하는 튜브(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용액용기(10)는 내부에 제1용액을 수용하는 제1용액블리스터(40)를 포함하며, 제2용액용기(20)는 내부에 제2용액을 수용하는 제2용액블리스터(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는 튜브(30)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다. 상기 제1용액용기(10)와 제2용액용기(20)는 튜브(30)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그 상부에는 기재필름(130)이 부착되어 하나의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30)은 용액에 젖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면서, 상기 튜브(30)를 통해 서로 다른 두 용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체로 구성되는 두 개의 용액이 포함되는 포장재 용기는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힘으로써 각 블리스터가 모두 가압되면서 용액이 함께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튜브(30)는, 상기 제1용액용기(10)에 수용된 제1용액을 토출하는 제1용액토출구(60)와, 상기 제2용액용기(20)에 수용된 제2용액을 토출하는 제2용액토출구(7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1용액토출구(60)의 직경과 제2용액토출구(70)의 직경은 상이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용액토출구(60)와 제2용액토출구(70)은 각각 점도가 다른 용액이 배출되는 통로로서, 각 토출구는 튜브(3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 맞닿도록 접히게 되면 그 내부에 있는 용액이 서로 가압되면서 제1용액토출구(60)와 제2용액토출구(70)를 통해 각각의 용액이 흘러나오는데, 튜브(30)를 통해 섞이면서 같이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제1용액과 제2용액은 점도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용액블리스터가 동시에 가압된다고 할지라도 튜브(30)를 통해서 같은 속도로 배출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각 용액의 점도에 대응되는 용액토출구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용액보다 더 점도가 높은 제2용액은 상대적으로 더 느리게 배출될 것이므로 그에 상응하여 제1용액토출구(6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용액토출구(70)를 통해 결과적으로 동시에 튜브(30)를 통해 배출되어 용액을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용액용기(10)와 제2용액용기(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게 되면, 상기 제2용액용기(20)에서 이탈되어 제1용액용기(10)에 연장 형성되는 받침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80)는 기재필름(1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튜브(30)를 통해 제1용액과 제2용액이 섞여서 배출되는 경우, 예를 들어 받침대(80)는 제1용액용기(10)에서 이탈되어 제2용액용기(20)에 연장 형성되어 섞인 용액이 받침대(80)를 통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80)는 용액이 흐르는 것을 튀지 않고 흐르게 하기 위하여 굴곡 형태를 띄고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용액용기(10)와 제2용액용기(20)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홈(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이식홈(110)은 이후 설명하는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는 경우 각 블리스터를 용이하게 접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접이식홈(130)은 제1용액이 담긴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이 담긴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접히도록 구성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접히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이식홈(110)은 접합돌기와 접합홈이 교차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용액용기(10)의 일측에 접합돌기가 설치되면 대응되는 상기 제2용액용기(20)의 일측에 접합홈이 설치되면서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튜브(3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며, 상기 튜브(30)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제1용액토출구(60)와 제2용액토출구(70)의 상호 연결을 차단하는 구체(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체(90)는,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면서, 상기 튜브(30)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30)는 그 내부에 용액이 흐를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중앙에는 튜브(30)의 직경 또는 그 이하의 직경을 가진 구체(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체(90)는 상기 포장재 용기를 사용하기 이전, 즉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기 이전에 각 용기에 존재하는 용액이 튜브(30)를 통해 섞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액의 섞임 방지를 위한 구성이다. 상기 구체(90)는 그 형상이나 모양에 있어서 구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포장재 용기를 사용하게 되면 굴곡을 가진 받침대(80)를 통해 구체(90)가 우선적으로 받침대(80)를 타고 내려가면서 선이탈되고 난 이후 용액이 섞이면서 받침대(80)를 통해 흘러나오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튜브(30)는 상기 구체(90)가 중앙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체홈(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30)의 중앙에 설치되는 구체(9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튜브(30)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튜브(30)의 중앙에 구체(90)가 고정 거치될 수 있는 구체홈(100)을 구성함으로써 구체(90)가 고정 설치되면서 두 용액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80)의 상부에 부착되어 용액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120)는 기재필름(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80)의 상부에 부착되어 사용하기 이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하게 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을 위하여 커버(120)를 제거하고 난 이후 남은 용액을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커버(120)를 다시 원위치에 부착함으로써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커버(120)를 부착함으로써 용기가 상부가 아닌 하부, 즉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하고 그 반대 방향인 상부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포장재 용기는 한번의 터치만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용액의 혼합 시 적절한 비율로 섞어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가지 용액이 담긴 화장품 용기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하나의 제품만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용액용기
20 : 제2용액용기
30 : 튜브
40 : 제1용액블리스터
50 : 제2용액블리스터
60 : 제1용액토출구
70 : 제2용액토출구
80 : 받침대
90 : 구체
100 : 구체홈
110 : 접이식홈
120 : 커버
130 : 기재필름

Claims (9)

  1. 서로 다른 두 용액을 수용하고,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제1용액용기(10) 및 제2용액용기(20);
    상기 제1용액용기(10) 및 제2용액용기(20)를 상호 연결하는 튜브(30);
    상기 제1용액용기(1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제1용액을 수용하는 제1용액블리스터(40); 및
    상기 제2용액용기(20)의 몸체를 구성하며 제2용액을 수용하는 제2용액블리스터(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면서, 상기 튜브(30)를 통해 서로 다른 두 용액이 흘러나오도로 하며,
    상기 튜브(30)는, 상기 제1용액용기(10)에 수용된 제1용액을 토출하는 제1용액토출구(60)와, 상기 제2용액용기(20)에 수용된 제2용액을 토출하는 제2용액토출구(7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튜브(3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며, 상기 튜브(30)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제1용액토출구(60)와 제2용액토출구(70)의 상호 연결을 차단하는 구체(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액토출구(60)의 직경과 제2용액토출구(70)의 직경은 상이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액용기(10)와 제2용액용기(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게 되면, 상기 제2용액용기(20)에서 이탈되어 제1용액용기(10)에 연장 형성되는 받침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90)는,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맞닿도록 접히면서, 상기 튜브(30)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30)는 상기 구체(90)가 중앙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체홈(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액용기(10)와 제2용액용기(20)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용액블리스터(40)와 제2용액블리스터(50)가 서로를 향해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홈(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용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80)의 상부에 부착되어 용액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용기.
KR1020190106497A 2019-08-29 2019-08-29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 KR10206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97A KR102063262B1 (ko) 2019-08-29 2019-08-29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97A KR102063262B1 (ko) 2019-08-29 2019-08-29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262B1 true KR102063262B1 (ko) 2020-01-08

Family

ID=6915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497A KR102063262B1 (ko) 2019-08-29 2019-08-29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2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993B1 (ko) 2006-03-06 2007-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90012632U (ko) * 2008-06-04 2009-12-09 안종원 동시 개봉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포장체
KR20100006256A (ko) * 2008-07-09 2010-01-19 주식회사 블리스팩 동시 개봉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포장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993B1 (ko) 2006-03-06 2007-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90012632U (ko) * 2008-06-04 2009-12-09 안종원 동시 개봉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포장체
KR20100006256A (ko) * 2008-07-09 2010-01-19 주식회사 블리스팩 동시 개봉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포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870B2 (en) Device for the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separately packaged products
RU84005U1 (ru) Упаковка
US20130134161A1 (en) Dual compartment package for dispensing fluids
US2661870A (en) Multiple liquid dispensing container
CA2352089C (en) Integral package applicator
US3521745A (en) Mixing package
US5137178A (en) Dual tube dispenser
JPH031419Y2 (ko)
US20050072442A1 (en) Self-contained hair-coloring system for touch-up, highlighting and less than full treatment applications
WO2013156808A1 (en) Reusable or one time use multi-compartment mixing and dispensing applicator tube or special spouted pouch with a sliding clamp
JP5676463B2 (ja) 化粧システム用の包装システム
CA2310470C (en) Fluid applicators
US20070278245A1 (en) Tooth care product capsules and container
KR102063262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을 위한 포장재 용기
KR20010086213A (ko) 유체 송출장치
KR100713993B1 (ko) 화장품 용기
JP2001523502A (ja) アプリケータシステム
KR102180246B1 (ko) 일회용 이액 저장용기
US201003180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use cream or liquid applicator
US10259636B2 (en) Container
KR102579065B1 (ko) 화장품 용기
KR100830410B1 (ko) 보조 캡
JP3097937U (ja) 美容液洗顔料容器
KR100840813B1 (ko) 패키지 장치
KR20230167832A (ko) 듀얼 스킨케어 패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