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158B1 -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158B1
KR102063158B1 KR1020180096681A KR20180096681A KR102063158B1 KR 102063158 B1 KR102063158 B1 KR 102063158B1 KR 1020180096681 A KR1020180096681 A KR 1020180096681A KR 20180096681 A KR20180096681 A KR 20180096681A KR 102063158 B1 KR102063158 B1 KR 102063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terface card
monitoring
air traffic
communication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텍
Priority to KR102018009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3Traffic management of multiple aircrafts from the 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항공관제시설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하며 그 결과를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항공관제시설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링 대상시스템과 이더넷 통신프로토콜,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과 이더넷 통신프로토콜,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가 삽입되는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와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Ai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항공관제시설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하며 그 결과를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공항에 설치되는 항공관제시설은 항공기의 위치 및 속도를 감시하고, 공항 지상 내의 이동물체를 감시하고, 항공기 비행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항공관제시설은 공항 지상 감시 레이더(ASDE) 시스템, 항공기 감시 레이더(ASR/SSR) 시스템, ADS-B(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시스템, 다변 측정 항공 감시(MLAT, Multilateration) 시스템, 비행 계획(Flight Plan)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다.
공항 지상 감시 레이더(ASDE) 시스템은 KU-Band 또는 X-Band 주파수의 전파신호를 송신하고 물체표면에 반사되는 전파신호(Radar video)를 수신하는 지상 감시 레이더 장비로서 관제탑에 설치된다.
항공기 감시 레이더(ASR/SSR) 시스템은 공항에서 60마일(약 110km), 고도 약 8,000m 이내의 공역에 있는 항공기의 위치를 탐지하여 공항에서 이륙할 항공기나 공항으로 진입하고 있는 항공기를 유도하거나, 이착륙 간격을 설정해주는 등 터미널레이더 관제에 사용된다. 통상 1차 감시레이더를 ASR(Airport Surveillance Radar), 2차 감시레이더를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이라고 한다.
항공기에서 송신되는 ADS-B 자료는 무선 통신으로 ADS-B 지상 스테이션에 전달되며, 이 데이터는 국제 표준 데이터 전송 포맷인 ASTERIX Cat. 021 포맷으로 변환되어 항공관제시스템의 감시자료처리시스템(SDP)으로 전송된다. SDP는 ASTERIX Cat. 021의 포맷으로 전달된 ADS-B 데이터를, 레이더에서 항공기를 감지하여 생성하는 레이더 자료와 연동하여 항공기의 위치 및 속도를 추정하고 이를 관제사들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항공기의 위치 및 속도를 추정한 데이터를 시스템 항적이라고 한다.
다변 측정 항공 감시(MLAT, Multilateration) 시스템은 쌍곡선(hyperbola) 또는 쌍곡면(hyperboloid) 위치 측정법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트랜스폰더(transponder)에 출력되는 신호를 4개(만약 3개일 경우 2차원 위치 계산 가능) 이상의 수신기에서 상호 간의 도래시간차(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측정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구한다. MLAT 시스템에 속하는 복수의 수신기들은 항공기 트랜스폰더가 제공한 신호를 수신한 시간(TOA, Time of Arrival)을 중앙처리장치(CPS, Central Processing System)에 제공하고 중앙처리장치(CPS)는 이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위치 및 속도를 연산한다.
이처럼 현재 공항과 항공기에는 우천, 안개 등 다양한 기상상황에서도 항공기의 시스템 항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항공관제시설들이 설치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항공관제시설을 동시에 사용하다보니 어떤 장비들이 고장이 났는지 그리고 데이터 품질이 정상인지를 관제사들은 전혀 알지 못한 채 관제업무를 보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예컨대 MLAT 시스템에 속하는 복수의 수신기 중 일부 수신기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관제업무는 가능하다. 그러나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품질이 미흡하여 저장된 항적 데이터를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시뮬레이션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1556호(등록일 2012.10.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항공관제시설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하며 그 결과를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항공관제시설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항공관제시설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편리하게 배포할 수 있는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은, 모니터링 대상시스템과 이더넷 통신프로토콜,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과 이더넷 통신프로토콜,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가 삽입되는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와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인터페이스 매니저와;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로부터 입력되는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 그리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품질을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데이터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으로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은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의 데이터 정상 수신 여부와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감시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은, 사용자 조작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 연결해제, 또는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의 감시에 관한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인터페이스 매니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연결조작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은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저장 및 재생하는 저장 및 재생(Recording & Playback)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로부터 입력되는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분석하여 데이터 정상 수신 여부와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상태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둘째, 사용자 조작입력에 따라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 및 연결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항공관제시설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편리하게 배포할 수 있다.
셋째,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저장 및 재생하는 저장 및 재생(Recording & Playback)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항공기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항적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의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의 인터페이스 상태 감시제어부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일예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의 동작화면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착 관리장치(AMAN)(110)와 출발 관리장치(DMAN)(120)와 지상이동유도관제시스템(A-SMGCS)(130)와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200)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항공관제시설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하며 그 결과를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영상 또는 소리로 출력한다.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200)은 항공관제시설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로 분류하여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으로 전송한다.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200)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모니터링 대상시스템과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과의 데이터 배포 연결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은 일례로, 공항 지상 감시 레이더(ASDE) 시스템, 항공기 감시 레이더(ASR/SSR) 시스템, ADS-B(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시스템, 다변 측정 항공 감시(MLAT, Multilateration) 시스템, 비행 계획(Flight Plan) 제공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공항 지상 감시 레이더(ASDE) 시스템은 KU-Band 또는 X-Band 주파수의 전파신호를 송신하고 물체표면에 반사되는 전파신호(Radar video)를 수신하는 지상 감시 레이더 장비로서 관제탑에 설치된다. 2015년 기준으로, 인천공항, 김포공항, 제주공항, 김해공항 4곳에 설치되어 운영중이다. 공항 지상 감시 레이더(ASDE) 시스템은 악천후에서도 전천후로 운영할 수 있는 최신 기종으로 공항반경 5㎞ 이내에 있는 지상의 항공기나 이동물체를 탐지하는 기능 외에도 항공기의 편명,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지역내를 이동하는 항공기와 항공기간, 항공기와 차량간 충돌을 사전 경보하는 이동지역 안전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항공기 감시 레이더(ASR/SSR) 시스템은 공항에서 60마일(약 110km), 고도 약 8,000m 이내의 공역에 있는 항공기의 위치를 탐지하여 공항에서 이륙할 항공기나 공항으로 진입하고 있는 항공기를 유도하거나, 이착륙 간격을 설정해주는 등 터미널레이더 관제에 사용된다. 통상 1차 감시레이더를 ASR(Airport Surveillance Radar), 2차 감시레이더를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이라고 한다.
ASR에서 공항으로 접근하고 있는 항공기의 기체에 전파를 쏘아서 반사되어오는 시간차이와, 레이더의 회전각도에 의해 해당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 감시레이더(SSR)에서 항공기에 설치돼있는 응답장치(ATC Transponder)에 질문전파(1,030MHz)를 내보내고 그로부터 응답전파(1,090MHz)를 받아 해독하여 해당 항공기의 식별기호, 비행고도, 거리, 방향, 비상신호 등 항공관제에 필요한 데이터를 알아낸다.
ADS-B(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시스템은 최근 들어 항공기에 적용된 시스템으로, ADS-B 장치를 구비한 항공기는 위성으로부터 얻는 자신의 위치를 개량형 모드 S 트랜스폰더를 통해 1090MHz로 계속 송출하고, 또한 다른 항공기로부터도 신호를 수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로 250~350km 범위에 있는 항공기를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지상의 관제/ATC도 항공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SAMM(Surface Area Movement Management) 기능을 통해 공항 내에서 자신의 위치와 다른 항공기의 위치와 움직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ADS-B 시스템이 적용되면 공항 내에서의 충돌사고도 현저하게 줄어들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다변 측정 항공 감시(MLAT, Multilateration) 시스템은 쌍곡선(hyperbola) 또는 쌍곡면(hyperboloid) 위치 측정법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트랜스폰더(transponder)에 출력되는 신호를 4개(만약 3개일 경우 2차원 위치 계산 가능) 이상의 수신기에서 상호 간의 도래시간차(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측정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구한다.
MLAT 시스템에 속하는 복수의 수신기들은 항공기 트랜스폰더가 제공한 신호를 수신한 시간(TOA, Time of Arrival)을 중앙처리장치(CPS, Central Processing System)에 제공하고 중앙처리장치(CPS)는 이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현재 위치, 항적을 연산한다. 따라서, 복수의 수신기들이 동일한 클록에 동기화되어 동작될 것이 요청되며, MLAT 수신기들의 클록을 동기화하는 데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등의 인공위성이 제공하는 시간정보가 사용된다.
비행 계획(Flight Plan) 제공 시스템은 비행 계획 리스트(FPL: Flight Plan List), 항공기출발 메시지(DEP: depature), 비행 계획 지연 메시지(DLA: Delay), 비행 계획 변경 메시지(CHG: Change)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비행 계획 정보는 항공기 출발공항, 출발예상시간, 목적지 공항, 도착예상시간, 항공기 편명, 항공기 배정고도 및 항공기 식별코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포 대상시스템은 일례로, 도착 관리장치(AMAN)(110)와 출발 관리장치(DMAN)(120)와 지상이동유도관제시스템(A-SMGCS)(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착 관리장치(AMAN)(110)는 시간 기반 미터링 기능을 갖는 관제지원도구로서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진입하는 항공기들의 도착 순서를 결정하고, 항공기들이 안전한 분리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계획 도착시간 등의 관제 조언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출발 관리장치(DMAN)(120)는 출발/도착 전용 상태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항공기의 출발 및 도착 상태를 정확하게 관리한다.
도착 관리장치(AMAN)(110)와 출발 관리장치(DMAN)(120)는 비행 계획(Flight Plan) 리스트에 포함된 비행계획 중에서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비행계획을 검출하여 출발 예정 항공기 리스트 및 도착 예정 항공기 리스트를 생성한다.
도착 관리장치(AMAN)(110)와 출발 관리장치(DMAN)(120)는 실제 출발 또는 실제 도착으로 판단한 항공기에 해당하는 비행 계획(Flight Plan)을 출발 예정 항공기 리스트 또는 도착 예정 항공기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즉, 도착 관리장치(AMAN)(110)와 출발 관리장치(DMAN)(120)는 실제 출발로 판단한 항공기에 해당하는 비행 계획(Flight Plan)을 출발 예정 항공기 리스트에서 삭제하고, 실제 도착으로 판단한 항공기에 해당하는 비행 계획(Flight Plan)을 도착 예정 항공기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지상이동유도관제시스템(A-SMGCS, Advanced-Surface Movement Guidance and Control System)은 특정 비행장에서 특정한 운용조건과 일치되는 지상교통의 안내 및 관제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된 지원시설, 설비 및 절차에 대한 체계를 의미하며, 시각보조시설, 비 시각보조시설, 무선통신시설, 절차, 관제 및 정보시설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성된다.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200)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크게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와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22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는 모니터링 대상시스템과 이더넷 통신프로토콜,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과 이더넷 통신프로토콜,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가 삽입된다.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는 일례로, 인터페이스 매니저(211)와 인터페이스 상태 감시제어부(212)와 데이터 분배기(213)와 매니저먼트 GUI(214)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매니저(211)는 물리적으로 접속된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논리적인 연결제어정보를 저장한다.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논리적인 연결제어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다.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는 Sangoma Technologies Corporation사의 Data Networking을 위한 상용화 제품인 Sangoma Interface Card, 이더넷 통신프로토콜을 지원하는 Network Interface Card,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을 지원하는 Serial Interface Card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상태 감시제어부(212)는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논리적인 연결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 그리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품질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여여 출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상태 감시제어부(212)는 데이터 수신부(2121)와 데이터 분석부(2122)와 경고 처리부(2123)와 데이터 출력부(2124)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2121)는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로부터 입력되는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수신한다.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는 공항 지상 감시 레이더(ASDE) 시스템에서 입력된 데이터이고,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는 항공기 감시 레이더(ASR/SSR)시스템과 ADS-B(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시스템, 다변 측정 항공 감시(MLAT, Multilateration) 시스템에서 입력된 데이터이고, 항공기 비행 자료는 비행 계획(Flight Plan) 제공 시스템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분석부(2122)는 데이터 수신부(2121)에서 수신된 데이터와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모니터링 대상시스템, 예컨대 공항 지상 감시 레이더(ASDE) 시스템, 항공기 감시 레이더(ASR/SSR) 시스템, ADS-B(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시스템, 다변 측정 항공 감시(MLAT, Multilateration) 시스템, 비행 계획(Flight Plan)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 그리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를 포함하는 데이터 품질을 분석한다.
경고 처리부(2123)는 데이터 분석부(2122)의 분석결과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데이터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한다. 경고 처리부(2123)는 관리자 단말기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송하는 문자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2124)는 데이터 분석부(2122)에서 수신된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출력한다. 데이터 출력부(2124)는 데이터를 암호화 하여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분배기(213)는 데이터 출력부(212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 예컨대 도착 관리장치(AMAN), 출발 관리장치(DMAN), 또는 지상이동유도관제시스템(A-SMGCS)로 분배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220)은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로부터 데이터 분석결과 및 경고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장치 또는 오디오장치로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220)은 데이터 입력부(221)와 인터페이스 감시정보 처리부(222)와 출력장치(223)와 인터페이스 연결조작 처리부(224)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데이터 입력부(221)는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인터페이스 감시정보 처리부(222)는 데이터 입력부(221)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분석결과를 기초로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의 데이터 정상 수신 여부와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장치로 출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감시정보 처리부(222)에서 생성한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정보를 통해 직관적으로 어떤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지를 확인할수 있다.
인터페이스 감시정보 처리부(222)는 데이터 분석결과를 기초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데이터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알람정보를 생성하여 출력장치(223)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장치(223)는 예컨대 표시장치와 오디오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연결조작 처리부(224)는 사용자 조작입력에 따라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 연결해제, 또는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의 감시에 관한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의 인터페이스 매니저로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는 Sangoma Technologies Corporation사의 Data Networking을 위한 상용화 제품인 Sangoma Interface Card, 이더넷 통신프로토콜을 지원하는 Network Interface Card,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을 지원하는 Serial Interface Card가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에 삽입된다.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는 물리적으로 접속된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논리적인 연결제어정보를 저장한다.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논리적인 연결제어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220)은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논리적인 연결제어정보와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의 데이터 분석결과를 이용해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의 데이터 정상 수신 여부를 포함하는 표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장치로 출력한다.
도 5에서 입력단 Serial Interface Card의 2번 입력포트에 데이터가 2018년 3월 2일 3시 10분 10초부터 수신되지 않음을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입력단 Sangoma Interface Card의 1번 포트는 출력단 Network Interface Card의 1번 포트와 연결되고, 입력단 Network Interface Card의 1번 포트는 출력단 Network Interface Card의 2번 포트와 연결되고, 입력단 Network Interface Card의 2번 포트는 출력단 Network Interface Card의 6번 포트와 연결되고, 입력단 Serial Interface Card의 1번 포트는 출력단 Network Interface Card의 7번 포트와 연결되고, 입력단 Serial Interface Card의 2번 포트는 출력단 Serial Interface Card의 2번 포트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220)은 사용자 조작입력에 따라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 연결해제, 또는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의 감시에 관한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210)에서 수신된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저장 및 재생하는 저장 및 재생(Recording & Playback) 서버(23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저장 및 재생(Recording & Playback) 시스템은 단순히 관제 영상 테이프 녹화 및 재생 수준의 Passive mode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영상 테이프 녹화 및 재생 수준의 Passive mode 서비스뿐만 아니라 관제자료 저장 및 재현 수준의 Active mode 서비스도 가능하다.
여기서 Active mode 서비스는 예컨대 저장된 레이더 자료를 재생하여 당시의 관제 화면을 그대로 재현하여 CWP의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하거나 속도 조절, 중단, 재시작 등 재생 기능이 강화되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공항 지상 감시 레이더(ASDE) 시스템, 항공기 감시 레이더(ASR/SSR) 시스템, ADS-B(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시스템, 다변 측정 항공 감시(MLAT, Multilateration) 시스템 및 비행 계획(Flight Plan)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대상시스템과; 도착 관리장치(AMAN), 출발 관리장치(DMAN), 및 지상이동유도관제시스템(A-SMGCS)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과 연동하며, 상기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하며 그 결과를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영상 또는 소리로 출력하는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으로, 상기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시스템과 이더넷 통신프로토콜,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과 이더넷 통신프로토콜, 비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 또는 동기식 직렬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가 삽입되는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와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인터페이스 매니저와;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로부터 입력되는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 그리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품질을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 모니터링 대상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데이터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데이터 배포 대상시스템으로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의 데이터 정상 수신 여부와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감시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감시정보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데이터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알람정보를 표시장치 또는 오디오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감시 콘솔은,
    사용자 조작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와 상기 출력단 인터페이스 카드 간의 연결, 연결해제, 또는 상기 입력단 인터페이스 카드의 감시에 관한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인터페이스 매니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연결조작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공항 지상 감시 데이터, 항공 관제 감지 데이터, 또는 항공기 비행 자료를 저장 및 재생하는 저장 및 재생(Recording & Playback)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KR1020180096681A 2018-08-20 2018-08-20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KR102063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81A KR102063158B1 (ko) 2018-08-20 2018-08-20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81A KR102063158B1 (ko) 2018-08-20 2018-08-20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158B1 true KR102063158B1 (ko) 2020-01-07

Family

ID=6915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681A KR102063158B1 (ko) 2018-08-20 2018-08-20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1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3201A (zh) * 2021-06-28 2021-08-13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广域多点定位系统数据质量监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486226B1 (ko) 2022-08-10 2023-01-06 김영식 항공관제장비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
KR20230036427A (ko) 2021-09-07 2023-03-14 인천국제공항공사 스마트 공항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6428A (ko) 2021-09-07 2023-03-14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항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6429A (ko) 2021-09-07 2023-03-14 인천국제공항공사 최종접근 경로의 항공기를 감시 및 경고하는 항공관제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418A (ko) * 2007-07-20 2009-01-23 김기종 해상 관제 시스템
KR101191556B1 (ko) 2011-10-19 2012-10-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 감시 및 관제 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한 항공 교통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515203B1 (ko) * 2013-04-05 2015-04-24 구정 항공기의 공항 par 정밀 접근 정보가 항공기 조종석에 시각적으로 전시되는 시각적 par 관제 자동화 시스템
JP2017047880A (ja) * 2015-08-31 2017-03-09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The Boeing Company 飛行管理システム・データを周辺装置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418A (ko) * 2007-07-20 2009-01-23 김기종 해상 관제 시스템
KR101191556B1 (ko) 2011-10-19 2012-10-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 감시 및 관제 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한 항공 교통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515203B1 (ko) * 2013-04-05 2015-04-24 구정 항공기의 공항 par 정밀 접근 정보가 항공기 조종석에 시각적으로 전시되는 시각적 par 관제 자동화 시스템
JP2017047880A (ja) * 2015-08-31 2017-03-09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The Boeing Company 飛行管理システム・データを周辺装置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3201A (zh) * 2021-06-28 2021-08-13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广域多点定位系统数据质量监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253201B (zh) * 2021-06-28 2022-03-04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广域多点定位系统数据质量监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30036427A (ko) 2021-09-07 2023-03-14 인천국제공항공사 스마트 공항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6428A (ko) 2021-09-07 2023-03-14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항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6429A (ko) 2021-09-07 2023-03-14 인천국제공항공사 최종접근 경로의 항공기를 감시 및 경고하는 항공관제시스템
KR102486226B1 (ko) 2022-08-10 2023-01-06 김영식 항공관제장비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158B1 (ko) 항공관제시설 감시시스템
EP3336580B1 (en) Method and ads-b base station for validating posi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a mode s extended squitter message (ads-b) from an aircraft
Schäfer et al. Bringing up OpenSky: A large-scale ADS-B sensor network for research
EP1912077B1 (en) Deployable passive broadband aircraft tracking
EP25480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rt baseline, low cost determination of airborne aircraft location
US20050156777A1 (en) Integrated traffic surveillance apparatus
Ostroumov et al. Risk assessment of mid-air collision based on positioning performance by navigational aids
US7965227B2 (en) Aircraft tracking using low cost tagging as a discriminator
US201302651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ads-b integrity of departing aircraft
CA3078254C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processing, and integrating airport ground vehicle position data into the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 broadcast (ads-b) network infrastructure
CN101793961A (zh) 具有减少等待时间的多传感器跟踪处理方法
US11869373B1 (en) Autonomous and automatic, predictive aircraft surface state event track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s
Niles et al. Wide area multilateration for alternate position, navigation, and timing (APNT)
EP3553763A1 (en) Aircraft position communication system
Kumar et al. Demand-based placement of LDACS ground stations to achieve RNP 0.3 accuracy for APNT
RU2609625C2 (ru)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воздушного движения на основе бортового глонасс/gps-оборудования и gsm/gprs сетей в воздуш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классов c, g
RU2683703C1 (ru) Логическая архитектура комплексной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системы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беспилотными авиационными системами,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их безопасную интеграцию в общее воздушное пространство
Kim Hybrid APNT architecture using DME/DME and multilateration
KR101932836B1 (ko) 항행안전무선시설의 테스트 베드 시스템
Soto et al. ADS-B integration in the SESAR surface surveillance architecture
Young Advances in UAS Ground-Based Detect and Avoid Capability
Stanzel et al. DFS ADS-B Implementation in High Density Radar Controlled Airspace-Experiences and Challenges.
Dzurovčin et al. Detection of flying objects in the vicinity of a small civil aircraft
Young et al. Establishing baseline requirements for a UAS ground-based sense and avoid system
Mitkas et al. A Data Collection Scheme to Support Applications for Capacity Enhancements at Small Air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