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660B1 -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660B1
KR102062660B1 KR1020180036275A KR20180036275A KR102062660B1 KR 102062660 B1 KR102062660 B1 KR 102062660B1 KR 1020180036275 A KR1020180036275 A KR 1020180036275A KR 20180036275 A KR20180036275 A KR 20180036275A KR 102062660 B1 KR102062660 B1 KR 102062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control unit
contro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103A (ko
Inventor
김기현
최진수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66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구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천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구부를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으로서, 상기 레일부에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상기 기구부에 설치된 기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무선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제어유닛에서 발생한 신호를 상기 기구부에 전달하기 위한 제어 신호 트랙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으로 기구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레일 시스템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RAIL SYSTEM WITH WIRELESS CONTROL}
본 발명은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레일에 설치된 기구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을 비롯하여 할로겐램프, 냉음극형광램프. LED 등을 광원으로 하는 조명기구는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로 천장이나 벽 등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종래의 조명기구는 실내를 밝게 조명할 수는 있겠지만, 가구 배치 또는 개인 취향에 따른 사용자의 조명기구 이동 및 재배치가 어려우며, 나아가 상품을 취급하는 매장에서는 상품의 진열상태에 따라 조명기구의 불빛을 어느 한 곳으로 집중시켜서 밝게 조명하거나 또는 어느 한 곳의 밝기를 어두운 상태가 되도록 조명하는 것을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인테리어 또는 매장용 조명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시공 상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명 등의 기구 장치가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을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하고, 조명 등의 기구장치를 레일에 설치하여 레일에 길게 매설된 전원 트랙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여, 레일을 따라서 기구장치의 위치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 레일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현재 사용 중인 레일 시스템은 조명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정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활용에 제약이 많은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79919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 시스템에 설치된 기구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은, 천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구부를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으로서, 상기 레일부에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상기 기구부에 설치된 기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무선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제어유닛에서 발생한 신호를 상기 기구부에 전달하기 위한 제어 신호 트랙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일 시스템은 기구부에 설치된 조명이나 음향 장치 등과 같은 기구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무선제어부를 레일부에 연결하여 설치하고, 무선제어부에 포함된 제어유닛의 신호를 레일부에 설치된 제어 신호 트랙을 통해서 기구부에 전달하여 기구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구부 각각에는 기구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장치가 구비되고, 제어유닛이 기구장치와 함께 이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기구장치의 위치를 무선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부의 위치 변경이 매우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은, 천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구부를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구부 각각에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기구부에 설치된 기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무선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구부 각각에는 기구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은 기구장치와 함께 이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형태는 기구부가 개별적으로 무선제어부를 구비하되, 기구부 자체에 모터 등의 이동장치를 설치하여 무선제어부를 통해서 이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무선제어부에 사용되는 무선통신 모듈은 WiFi 모듈이고,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수행하는 것이 좋다. WiFi 방식은 기본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 방식인 랜을 무선화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 거리에 제한이 있지만, 복수의 장치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고 데이터 전송속도가 계속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널리 보급된 스마트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접속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 시스템은 제어유닛과는 무선통신에 의해서 신호를 주고받지만, 레일부와 기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접촉단자 방식이며, 기구부의 연결단자부는, 레일부의 트랙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단자; 상기 접촉단자의 하부에 위치하여 기구부의 진동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외주면을 감싸며 위치하여 스프링의 이탈과 휨을 방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접촉단자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며 스프링이 안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는 원통형 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단자 방식은 무선전원공급방식으로 잘 알려진 자기유도방식 및 자기공명방식과 달리 제작이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레일 시스템에서는 기구부가 이동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서 접촉이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동에 따른 진동 등의 영향 없이 접촉이 유지될 수 있는 연결단자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무선으로 기구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레일 시스템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레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의 레일 시스템에서 스마트폰 단말기를 사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하드웨어 블록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레일 시스템에 다양한 기구장치를 동시에 구비하는 경우에 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부와 레일부의 전원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기구부의 연결단자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레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레일 시스템은 레일부(200)와 기구부(미도시) 및 무선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중 기구부를 제외하고 첫 번째 실시예에서 중요한 레일부(200)와 그에 연결된 무선제어부(100)를 도시하였다.
레일부(200)는 천장이나 벽 등에 고정되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을 따라서 기구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레일부(200)는 레일에 설치된 기구부에 포함되는 조명장치나 스피커 등의 기구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트랙(미도시)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매설된다. 이러한 전원 트랙은 전원 공급을 위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접지를 위한 전원 트랙이 더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본실시예의 레일 시스템에서는 레일부(200)의 내부에 전원 트랙 이외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매설된 제어 신호 트랙(미도시)이 설치된다.
무선제어부(100)는 레일부(200)의 일단에 연결되며, 하우징(110)의 내부에 전원장치(120), 제어유닛(130), 무선통신 모듈(140), 작동기(150) 및 커넥터(160)가 설치된다.
전원장치(120)는 레일부(200)가 설치되는 천장이나 벽 등의 전원에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제어유닛(130)과 무선통신 모듈(140) 및 작동기(15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교류전원을 5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적용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유닛(130)은 레일부(200)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기구부의 기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 또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된다.
기구부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기구로는 전등과 같은 조명장치가 있으며, 이때 제어유닛(130)은 조명장치의 밝기와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회로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예를 들면 LED 조명의 1024bit 디밍(dimming) 제어를 위한 회로 또는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조명장치에서 색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색변환 필터를 구비하거나 다양한 색상의 광원을 구비한 경우에, 필터의 변경 또는 복수의 광원의 색상 조합 등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구부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기구로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장치가 있으며, 음향장치의 경우에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나아가 기구부의 종류에 상관없이, 기구부가 레일부를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모터 등의 이동장치를 설치하고,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회로 또는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140)은 제어유닛(130)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발신하기 위한 부분이며,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WiFi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 방식인 랜(LAN)을 무선화한 규격인 WiFi(wireless fidelity)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 신호를 통해서 제어유닛(13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WiFi 모듈은 별도의 AP(access point) 없이 단말기끼리 P2P형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애드혹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AP 장치를 중심으로 복수의 레일부에 연결된 WiFi 모듈을 연결하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모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WiFi 방식은 기본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 방식인 랜을 무선화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 거리에 제한이 있지만, 복수의 장치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고 데이터 전송속도가 계속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무선통신 모듈(140)과 신호를 주고받는 단말기는 레일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겠지만,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피씨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일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작동기(150)는 제어유닛(130)의 신호를 받아서 기구장치를 구체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조명장치의 경우는 전류 증폭기(current amplifier)를 적용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음향장치의 경우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모듈일 수 있으며, 이동장치의 경우는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커넥터(160)는 제어유닛(130)을 거친 작동기(150)의 신호가 레일부(200) 내부에 길게 연장되어 설치된 제어 신호 트랙을 따라 전달될 수 있도록, 레일부(200)와 무선제어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인 레일 시스템에서는, 레일부(200)가 설치되는 천장이나 벽 등의 전원 단자를 레일부(200)에 형성된 전원 트랙과 연결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전원 커넥터는 상기한 무선제어부(100)의 커넥터(160)와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전원 커넥터와 무선제어부(100)의 커넥터(160)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부(2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기구부는 레일부(200)에 매설된 전원 트랙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동시에, 레일부(200)에 매설된 제어 신호 트랙을 통해서 제어유닛(130)의 신호를 받아서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하나의 제어 신호 트랙에 복수의 기구부를 연결하여 복수의 기구부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레일부(200)에 복수의 제어 신호 트랙을 매설하고 복수의 기구부를 각 제어 신호 트랙과 연결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레일부(200)에 설치되는 기구부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제어 신호 트랙을 매설한 뒤에, 복수의 기구부를 그룹화하여 제어 신호 트랙에 연결함으로써 기구부들을 그룹으로 나누어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의 레일 시스템에서 스마트폰 단말기를 사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이는 제어 과정에 대한 하나의 예시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레일부와 기구부 및 무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무선제어부가 레일부가 아닌 기구부에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하드웨어 블록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에서는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을 진행한다.
복수의 기구부 각각에 무선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제어유닛(430)과 무선통신 모듈(440) 등이 기구부(300)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레일부(200)의 전원 장치는 외부로 공급된 교류 전원을 기구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구부(300)에 구비된 제어유닛(430)과 무선통신 모듈(440)에 적합한 5V 전원과 기구부(300)의 기구 장치에 적합한 24V 전원을 구분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유닛(430)과 무선통신 모듈(440)에 적합하도록 전압을 변경하는 구성을 각 기구부에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구부(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레일부(200)의 전원 트랙으로부터 기구장치 동작에 필요한 전원과 무선제어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모두 공급받을 수 있으며, 레일부(200)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전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레일부에 제어 신호 트랙을 매설할 필요가 없다.
제어유닛(430)은 기구부(300)의 기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 또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제어유닛(430)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내용은 앞서 살펴본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이때, 본 실시예는 각 기구부가 개별적으로 제어신호를 받아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부(300)를 움직이기 위하여 설치된 이동장치(330)를 제어하는 것이 훨씬 용이해진다.
무선통신 모듈(440)은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며, 무선통신 모듈(440)과 신호를 주고받는 단말기도 첫 번째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지만, 각 기구부에 개별적으로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여 제어 단말기 또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한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기구부 각각에 무선제어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 기구부에 대한 개별적인 조절만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무선제어를 수행하는 단말기에서 복수의 기구부를 선택하여 동시에 제어하거나 복수의 기구부를 그룹화하여 동시에 제어하는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구부에 개별적으로 무선제어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어유닛의 종류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레일 시스템에 설치된 복수의 기구부에 조명장치(340)와 음향장치(350)와 같은 서로 다른 기구장치를 적용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기구장치 별로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각 기구부(300)가 레일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모터 등의 이동장치(330)를 구비하고, 무선제어부가 기구장치의 제어 및 각 기구부의 이동장치(33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레일 시스템에 다양한 기구장치를 동시에 구비하는 경우에 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이는 제어 과정에 대한 하나의 예시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한 두 번째 실시예에서 기구부 자체에 구비된 이동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하여 기구부의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에, 기구부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레일부의 전원 트랙에 안정적으로 접촉하고 있어야 하며, 이동 중에 전원 트랙과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 동작이 멈추고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기구부와 레일부의 전원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부와 레일부의 전원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기구부의 연결단자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레일부(200)에는 3개의 트랙이 매설되며, 기구부(300)는 일단이 레일부(200)에 걸쳐져서 위치되고 타단에는 기구장치가 부착되는 소켓(320)을 포함하고, 소켓(320)에는 레일부(200)의 트랙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부(3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단자부(310)는 접촉단자(312), 원통형 심(314), 스프링(316) 및 서포터(3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촉단자(312)는 레일부(200)의 트랙에 직접 접촉하여 기구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무선전원공급방식으로 잘 알려진 자기유도방식 및 자기공명방식과 달리 제작이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다.
이때, 모터에 의한 미세 진동 등에 의해서 접촉단자(312)가 트랙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진동이 발생하는 y축 방향으로 접촉단자(312)의 하부에 스프링(316)을 위치시켰다. 스프링(316)은 기구부(300)가 진동하는 방향에 맞추어 동시에 움직이면서 접촉단자(312)가 트랙에 계속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기구부(300)는 이동장치에 의해서 z축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스프링(316)은 z축 방향으로도 힘을 받게 되며 z축 방향으로 힘을 받은 스프링(316)이 외부로 휘어 이탈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포터(318)가 스프링(316)의 외부를 감싸듯이 위치한다.
또한, 접촉단자(312)와 스프링(316)의 연결부분에 원통형 심(314)을 형성하여 안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여 내,외부로 접촉단자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레일부에 무선제어부과 연결된 구성과 두 번째 실시예와 같이 기구부에 개별적인 무선제어부를 구비한 구성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레일 시스템의 기구부에 설치된 기구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함으로써, 낮 시간과 저녁시간에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여 전력낭비를 저감시키고 진열하는 제품에 맞춰 안성맞춤의 밝기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제어 기능의 추가로 인하여 종래에 조명장치에 한정되었던 기구장치를 제어가 필요한 스피커와 카메라 등의 장치까지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제어부 110: 하우징
120: 전원장치 130: 제어유닛
140: 무선통신 모듈 150: 작동기
160: 커넥터 200: 레일부
300: 기구부 310: 연결단자부
312: 접촉단자 314: 원통형 심
316: 스프링 318: 서포터
320: 소켓 330: 이동장치
340: 조명장치 350: 음향장치
430: 제어유닛 440: 무선통신 모듈

Claims (5)

  1. 천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구부를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으로서,
    상기 레일부에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상기 기구부에 설치된 기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무선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제어유닛에서 발생한 신호를 상기 기구부에 전달하기 위한 제어 신호 트랙이 설치되며,
    상기 기구부가 상기 레일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와 상기 기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접촉단자 방식이고,
    상기 기구부의 연결단자부는,
    레일부의 트랙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단자;
    상기 접촉단자의 하부에 위치하여 기구부의 진동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외주면을 감싸며 위치하여 스프링의 이탈과 휨을 방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접촉단자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며 스프링이 안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는 원통형 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 각각에는 기구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기구장치와 함께 이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3. 천장 또는 벽에 고정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구부를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구부 각각에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기구부에 설치된 기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무선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구부 각각에는 기구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은 기구장치와 함께 이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기구부가 상기 레일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와 상기 기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접촉단자 방식이고,
    상기 기구부의 연결단자부는,
    레일부의 트랙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단자;
    상기 접촉단자의 하부에 위치하여 기구부의 진동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외주면을 감싸며 위치하여 스프링의 이탈과 휨을 방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접촉단자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며 스프링이 안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는 원통형 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WiFi 모듈이고,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5. 삭제
KR1020180036275A 2018-03-29 2018-03-29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KR10206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75A KR102062660B1 (ko) 2018-03-29 2018-03-29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75A KR102062660B1 (ko) 2018-03-29 2018-03-29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03A KR20190114103A (ko) 2019-10-10
KR102062660B1 true KR102062660B1 (ko) 2020-01-06

Family

ID=6820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75A KR102062660B1 (ko) 2018-03-29 2018-03-29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6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385B1 (ko) * 2013-08-09 2014-06-27 김휘윤 Usn과 무선전력을 이용한 감성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101647331B1 (ko) * 2015-02-11 2016-08-10 양우진 트랙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195B1 (ko) 2016-04-29 2017-11-20 김종화 조명 레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385B1 (ko) * 2013-08-09 2014-06-27 김휘윤 Usn과 무선전력을 이용한 감성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101647331B1 (ko) * 2015-02-11 2016-08-10 양우진 트랙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03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709B1 (ko)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US10785838B2 (en) Indoor power line transmission control system
US9171455B1 (en) Multi-modal wireless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LED lighting system
KR101608191B1 (ko) 가시광 통신을 활용한 조명장치 제어방법 및 장치
WO2016015500A1 (en) Smart led lighting device and remote video chat system thereof
CN104165312A (zh) Led蓝牙音乐吸顶灯
US9997958B2 (en)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8591106B (zh) 一种智能风扇灯
TW201630470A (zh) 具資料橋接功能之電能供應裝置及無線照明控制系統
JP6218429B2 (ja) 照明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6352562A (ja) 可視光通信照明装置
CA2985440A1 (en) Operating of a transmission device of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an illumination device
WO2016052956A1 (ko)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US10785854B2 (en)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apparatus
JP5800153B2 (ja) 照明器具を制御するための電力供給機器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KR102062660B1 (ko) 무선제어가 가능한 레일 시스템
JP2020518866A (ja) 1つまたは複数の通信ユニットを有するled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510834B1 (ko)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KR101956724B1 (ko) 엘이디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장치
CN215682689U (zh) 一种多通道闭环照明系统
US10837631B2 (en) Utilization of lighting power infrastructure
KR101152789B1 (ko) 지그비를 이용한 led등용 조명제어장치
JP2020107560A (ja) 無線通信装置、制御装置、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182150U (ja) 照明器具を制御するための電力供給機器
CN203407054U (zh) 一种智能照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