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834B1 -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 Google Patents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834B1
KR101510834B1 KR20140106749A KR20140106749A KR101510834B1 KR 101510834 B1 KR101510834 B1 KR 101510834B1 KR 20140106749 A KR20140106749 A KR 20140106749A KR 20140106749 A KR20140106749 A KR 20140106749A KR 101510834 B1 KR101510834 B1 KR 10151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version
switching
modul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환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엘
Priority to KR2014010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은 스위칭 블록 및 변환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블록은 전원으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으며, 복수의 스위칭 단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공급받은 교류전원을 상기 스위칭 단자들을 통해 외부로 제공한다. 상기 변환블록은 상기 스위칭 블록의 스위칭 단자로부터 스위칭 전원을 공급받으며, 복수의 변환단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공급받은 스위칭 전원을 상기 변환단자들을 통해 외부로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 블록과 상기 변환블록은 조립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POWER SUPPLY MODULE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와 같은 조명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한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에 관한 것이다.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란 교환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의 한 방식으로 스위칭 회로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를 말한다. 이는 종래에 사용하던 리니어방식의 전원공급장치에 비해 효율이 높고 내구성이 강하며, 소형 및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특히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조명기기의 전원 공급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SMPS는 LED 등의 조명기기의 전원 공급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주로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조명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 등과 함께 하나의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는 하나의 기판에 SMPS와 DC-DC 컨버터가 동시에 실장되어 하나의 조명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의 전원 공급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조명기기의 용량이나 구조 등의 변화하는 경우, 해당 조명기기에 부합하는 SMPS와 DC-DC 컨버터의 회로 구성을 변경하여 다시 생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비록,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07098호에서와 같이, 최근에는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하여 복수의 LED 조명기기를 블록형태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명기기를 제작하는 기술이 개시되고는 있으나, 현재까지 조명기기의 용량이나 구조 등에 따라 전원 공급장치를 블록의 형태로 결합하는 기술은 개발되고 있지 않아서, 조명기기에 따라 전원 공급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조명기기 및 모듈 블록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다양한 구조의 조명기기를 구성할 수 있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은 스위칭 블록 및 변환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블록은 전원으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으며, 복수의 스위칭 단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공급받은 교류전원을 상기 스위칭 단자들을 통해 외부로 제공한다. 상기 변환블록은 상기 스위칭 블록의 스위칭 단자로부터 스위칭 전원을 공급받으며, 복수의 변환단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공급받은 스위칭 전원을 상기 변환단자들을 통해 외부로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 블록과 상기 변환블록은 조립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블록은 직육면체의 블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위칭 단자들은 상기 스위칭 블록의 측면부들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블록은 상면에 돌출되어 다이얼의 형태로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블록은 직육면체의 블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변환단자들은 상기 변환블록의 측면부들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블록은 상면에 돌출되어 다이얼의 형태로 입출력 전압, 디밍 및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변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블록은 조명블록 또는 모듈블록과 조립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블록은 상기 변환블록의 컨트롤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블록은 유무선 통신모듈, 동작센서 모듈, 조도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블록은 상기 변환블록의 일 면에 조립되며, 상기 모듈블록은 상기 변환블록의 다른 면에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블록의 일 면에는 모듈블록이 조립되며, 상기 스위칭 블록, 상기 변환블록 및 상기 모듈블록이 결합된 일면에는 기판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기판블록은 기판 전원단자를 통해 상기 변환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변환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블록의 일 면에는 기판 변환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 변환단자를 통해 상기 기판블록의 일 면에 모듈블록, 조명블록, 또 다른 기판블록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위칭 블록과 변환블록이 서로 조립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므로, 필요한 스위칭 블록과 변환블록을 연결하여 전원 공급모듈을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상의 효용성이 향상된다.
특히, 스위칭 블록이 복수의 스위칭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블록은 상기 스위칭 단자에 필요한 개수만큼 연결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환블록에도 복수의 조명블록이 필요한 개수만큼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스위칭 블록과 복수의 조명블록들을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변환블록에는 조명블록 외에, 통신모듈이나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모듈블록도 필요한 개수만큼 조립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조명블록과 동기화된 통신모듈 또는 센서모듈이 필요한 경우 편리하게 연결이 가능하여, 확장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다.
특히, 스위칭 블록 및 변환블록들은 모두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각각 스위칭 단자 및 변환단자가 측면에 형성되므로, 레고 블록과 같은 조립식 블록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종래 하나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모듈에 비하여, 사용성이 향상되고, 확장성 및 다양한 용도에의 활용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 블록 또는 변환블록을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유닛을 준비하여, 서로 조립한다면, 조명블록이나 모듈 블록의 사양에 맞도록 다양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듈블록은 스위칭 블록 또는 변환블록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블록 형태로 상기 변환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변환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변환블록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조명블록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모듈블록이 결합된 스위칭 블록 또는 변환블록에, 기판블록이 추가로 결합되고 상기 기판블록에 조명블록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블록, 변환블록, 모듈블록, 기판블록 및 조명블록이 블록의 형태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구성을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및 전원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스위칭 블록에 복수의 변환블록들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의 변환블록에 복수의 조명블록들 및 복수의 모듈블록들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10)은 스위칭 블록(200) 및 변환블록(300)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블록(200)은 전원(100)으로부터 교류전원(AC)을 입력받아 이를 직류전원(DC)으로 변환하는 블록으로, 상기 스위칭 블록(200)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블록(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는 스위칭 단자들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스위칭 블록(200)의 측면 중 하나에는 상기 전원(100)으로부터의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단자(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 블록(200)의 나머지 측면들에는 각각 스위칭 단자들(220, 2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 블록(200)의 상면에는 스위칭 제어부(210)가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스위칭 블록(200)은 복수의 면들을 포함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면들에는 스위칭 단자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칭 블록(200)에는 스위칭 단자들이 복수개가 형성되므로, 하나의 스위칭 단자에 연결되는 변환블록이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변환블록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스위칭 블록(200)과 상기 변환블록(300)은 조립식 블록의 형태로 서로 결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 단자들(220, 230) 각각은 양(+)의 스위칭 단자와 음(-)의 스위칭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변환블록(300)의 입력 단자와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 단자들(220, 230)과 상기 변환블록(300)의 입력 단자는 서로 결합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칭 블록(200)과 상기 변환블록(300)의 결합만으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210)는 제1 및 제2 스위칭 다이얼들(211, 21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다이얼들(211, 212)은 각각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조절 다이얼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다이얼들(211, 212)을 조절하여 상기 스위칭 블록(2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연결되는 조명블록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용량의 조명블록을 상기 하나의 스위칭 블록(2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환블록(300)은 상기 스위칭 블록(200)으로부터 스위칭 전원, 즉 SMPS 출력 또는 직류전원(DC)을 공급받아 이를 변환하여 외부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변환블록(300)은 DC-DC 컨버터(converter)일 수 있다.
상기 변환블록(300)도 상기 스위칭 블록(200)과 동일하게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변환블록(300)의 일 측면에는 입력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칭 블록(200)의 스위칭 단자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변환블록(300)의 다른 측면들에는 복수의 변환단자들(320, 330)이 형성된다. 상기 변환단자들에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명블록(400)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변환블록(300)이 직육면체인 경우 상기 변환단자들은 3개의 세트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명블록(400)은 1개 내지 3개의 범위에 동시에 상기 변환블록(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환블록(300)은 상기 스위칭 블록(20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스위칭 블록(200)과 상기 변환블록(300)이 조립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 최적의 형상 및 배열을 가질 수 있어, 전원공급모듈의 최적화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변환 단자들(320, 330) 각각은 양(+)의 변환 단자, 음(-)의 변환 단자, 및 컨트롤 단자(Ctrl)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양/음의 변환 단자들은 상기 조명블록(400)에 연결되어, 상기 조명블록(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컨트롤 단자(Ctrl)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변환블록(300)의 상면에는 변환 제어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변환 제어부(310)는 제1 내지 제4 변환 다이얼들(311, 312, 313, 314)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변환 다이얼들(311, 312, 313, 314)은 각각 입력 전압 조절 다이얼, 출력 전압 조절 다이얼, 디밍 조절 다이얼 및 출력 전류 조절 다이얼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변환 다이얼들(311, 312, 313, 314)을 조절하여, 상기 스위칭 블록(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조절하거나, 상기 변환블록(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조절하거나, 상기 변환블록(300)에 연결되는 조명블록(400)이 LED를 포함한 LED 조명인 경우 LED 조명의 디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변환블록(300)은 상기 스위칭 블록(200)과 동일하게 다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명블록(400)은 다양한 형태의 조명기기일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405)에 복수의 LED들(410)이 배열된 LED 조명기기일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블록(400)은 상기 변환 단자들 각각에 하나씩 연결되어 하나의 변환블록(300)에 복수의 조명블록(400)이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칭 블록(200)과 상기 변환블록(300)이 조립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블록(400)이 상기 변환블록(300)에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변환블록(300)이 생략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블록(400)은 상기 스위칭 블록(2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 블록(200)의 복수의 스위칭 단자들(220, 230) 각각에는 조명블록들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스위칭 블록(200)에 조립식의 구성으로 복수의 조명블록들(400)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위칭 블록(200)에 상기 조명블록(400)들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 상기 조명블록으로는 직류전원이 직접 공급되는 것으로, 별도의 디밍 제어는 불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변환블록(300)의 컨트롤 단자에 모듈블록(500)이 추가로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서 설명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1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변환블록(300)의 변환단자들(320, 330)은 각각 컨트롤 단자(Ctrl)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단자에는 모듈블록(500)이 연결된다. 상기 모듈블록(500)도 상기 변환단자들 각각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육면체의 변환블록(300)에는 1개 내지 3개의 모듈블록들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 블록(500)은 상기 조명블록(400)과 동기화되어, 하나의 세트로 하나의 변환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듈블록(500)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IrDA 통신 모듈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모듈이거나, 모션센서나 조도센서와 같은 센싱 모듈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모듈블록(500)은 상기 통신모듈과 센싱 모듈이 결합된 형태의 모듈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환단자(320)의 양/음 변환단자들(321, 322)에는 조명블록(400)이 결합되고, 상기 변환단자(320)의 컨트롤 단자(Ctrl)(323)에는 모듈블록(500)이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모듈블록(500)으로부터의 입력 정보는 상기 컨트롤 단자(Ctrl)(323)을 통해 상기 변환블록(300)으로 제공되고, 이렇게 입력된 입력 정보는 상기 변환블록(300)을 통해 상기 조명블록(400)으로 제공된다.
그리하여, 상기 모듈블록(500)이 통신모듈이라면, 외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조명블록(400)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모듈블록(500)이 센싱모듈이라면 모션센싱 또는 조도센싱 등의 센싱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조명블록(400)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명블록(400)과 모듈블록(500)의 동기화에 따른 통신 제어 또는 센싱 제어는, 각각의 변환단자들에 연결되는 각각의 조명블록 및 모듈블록 별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제어 시스템이 하나의 변환블록(300)에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스위칭 블록에 복수의 변환블록들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칭 블록(2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변환 블록들(300, 301, 302)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변환 블록들(300, 301, 302)은 상기 스위칭 블록(20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스위칭 단자들(220, 230, 240)과 각각 연결된다.
그리하여, 하나의 전원(100)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은 상기 스위칭 블록(200)에서 직류전원 또는 SMPS 출력으로 스위칭되어 상기 변환블록들(300, 301, 302) 각각으로 입력된다.
이 경우, 상기 변환 블록들(300, 301, 302)은 조립식 블록과 같이 상기 스위칭 블록(200)의 각각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변환블록과 상기 스위칭 블록의 선택적 결합으로 상기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10)이 완성된다. 이 경우, 상기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10)은 최종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의 크기나 종류, 디밍의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변환블록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완성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사양에 따른 선택적 조립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의 변환블록에 복수의 조명블록들 및 복수의 모듈블록들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변환블록(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명블록들(400, 401, 402) 및 모듈블록들(500, 501, 502)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명블록들(400, 401, 402) 및 모듈블록들(500, 501, 502)은 상기 변환블록(30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변환단자들(320, 330, 340)과 각각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조명블록들(400, 401, 402)은 양/음의 변환단자들(321, 322, ...)과 연결되며, 상기 모듈블록들(500, 501, 502)은 컨트롤 단자(323, 333, 343)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하나의 변환블록(300)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은 상기 조명블록들(400, 401, 402)에 입력되며, 상기 모듈블록들(500, 501, 502)로부터 제공되는 컨트롤 신호는 하나의 변환블록(300)으로 입력된다.
이 경우, 상기 조명블록들(400, 401, 402) 및 상기 모듈블록들(500, 501, 502)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한 개수 만큼 하나의 변환블록(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모듈블록들(500, 501, 502)은 각각의 조명블록들(400, 401, 402)과 관련하여 필요한 모듈, 예를 들어, 통신 모듈 또는 센싱 모듈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각각의 모듈블록은 각각의 조명블록을 통신 또는 센싱 신호와 연결하여 각각의 조명블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에서는 모듈블록(600)이 별도의 블록형태로 상기 변환블록(300)에 직접 결합되어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완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블록(600)은 상기 변환블록(300)의 제2 변환단자(33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블록(600)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변환단자(330)의 양/음 변환단자들(331, 332)과 결합되어 상기 양/음 변환단자들(331, 33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2 변환단자(330)의 컨트롤 단자(Ctrl)(333)과 결합되어 상기 모듈블록(600)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변환블록(3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듈블록(600)은 다양한 기능의 블록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모듈이라면, 외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조명블록(400)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센싱모듈이라면 모션센싱 또는 조도센싱 등의 센싱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조명블록(400)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블록(600)은 상기 변환블록(300)과 유사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변환블록(300)에 조립된 경우 전체적으로 블록이 연장된 형태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에서는 기판블록(700)이 결합되며, 상기 기판블록(700)에 조명블록(400)이 결합된다.
즉, 상기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에 모듈블록(60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에 상기 기판블록(700)이 결합되며, 상기 조명블록(400)은 상기 기판블록(70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블록(700)은 상면에는 기판 전원단자(710)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기판 전원단자(710)는 상기 변환블록(300)의 변환단자들 중 양/음의 변환단자들과 서로 결합되어, 상기 변환블록(3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기판블록(700)은 측면에는 기판 변환단자(720)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기판 변환단자(720) 각각은 양/음의 변환단자들(721, 722) 및 컨트롤 단자(Ctrl)(723)를 포함하고, 상기 양/음의 변환단자들(721, 722)은 상기 조명블록(400)과 결합되어 상기 조명블록(400)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컨트롤 단자(723)에는 추가적으로 모듈블록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블록의 결합은 필요에 따라 추가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기판블록(700)의 크기는 상기 스위칭 블록(200), 상기 변환 블록(300) 및 상기 모듈블록(600)이 결합된 블록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상기 기판블록(700)이 추가로 결합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블록 형태의 일정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블록의 결합시에도 일정한 형태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에서는 기판블록(800)이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기판블록들(700, 800) 각각에 조명블록들(400, 401)이 결합된다.
즉, 상기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에 모듈블록(600), 기판블록(700) 및 조명블록(4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블록(700)의 측부에 기판블록(800)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블록들(700, 800) 각각의 측부에는 기판 변환단자(730)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 변환단자(730) 중 양/음의 변환단자들(731, 732)을 통해 상기 기판블록(800)으로 전원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전원은 상기 기판블록(800)의 기판 변환단자(820)에 결합된 상기 조명블록(401)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상기 기판블록들(700, 800)에 추가적인 기판블록, 조명블록 또는 모듈블록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립식 전원 공금모듈이 블록의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위칭 블록과 변환블록이 서로 조립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므로, 필요한 스위칭 블록과 변환블록을 연결하여 전원 공급모듈을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상의 효용성이 향상된다.
특히, 스위칭 블록이 복수의 스위칭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블록은 상기 스위칭 단자에 필요한 개수만큼 연결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환블록에도 복수의 조명블록이 필요한 개수만큼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스위칭 블록과 복수의 조명블록들을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변환블록에는 조명블록 외에, 통신모듈이나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모듈블록도 필요한 개수만큼 조립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조명블록과 동기화된 통신모듈 또는 센서모듈이 필요한 경우 편리하게 연결이 가능하여, 확장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다.
특히, 스위칭 블록 및 변환블록들은 모두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각각 스위칭 단자 및 변환단자가 측면에 형성되므로, 레고 블록과 같은 조립식 블록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종래 하나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모듈에 비하여, 사용성이 향상되고, 확장성 및 다양한 용도에의 활용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 블록 또는 변환블록을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유닛을 준비하여, 서로 조립한다면, 조명블록이나 모듈 블록의 사양에 맞도록 다양한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듈블록은 스위칭 블록 또는 변환블록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블록 형태로 상기 변환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변환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변환블록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조명블록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모듈블록이 결합된 스위칭 블록 또는 변환블록에, 기판블록이 추가로 결합되고 상기 기판블록에 조명블록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블록, 변환블록, 모듈블록, 기판블록 및 조명블록이 블록의 형태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구성을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및 전원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은 LED 등의 조명기기의 전원 공급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100 : 전원
200 : 스위칭 블록 210 : 스위칭 제어부
220 : 제1 스위칭단자 230 : 제2 스위칭단자
300 : 변환 블록 310 : 변환 제어부
320 : 제1 변환단자 330 : 제2 변환단자
400 : 조명블록 410 : LED
500, 501, 502, 600 : 모듈블록
700, 800 : 기판블록 710, 810 : 기판 전원단자
720, 730, 820 : 기판 변환단자

Claims (11)

  1. 전원으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으며, 복수의 스위칭 단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공급받은 교류전원을 상기 스위칭 단자들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스위칭 블록; 및
    상기 스위칭 블록의 스위칭 단자로부터 스위칭 전원을 공급받으며, 복수의 변환단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공급받은 스위칭 전원을 상기 변환단자들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변환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블록과 상기 변환블록은 조립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변환블록은 조명블록 또는 모듈블록과 조립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블록은 직육면체의 블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위칭 단자들은 상기 스위칭 블록의 측면부들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블록은 상면에 돌출되어 다이얼의 형태로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블록은 직육면체의 블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변환단자들은 상기 변환블록의 측면부들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블록은 상면에 돌출되어 다이얼의 형태로 입출력 전압, 디밍 및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변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블록은 상기 변환블록의 컨트롤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블록은 유무선 통신모듈, 동작센서 모듈, 조도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블록은 상기 변환블록의 일 면에 조립되며, 상기 모듈블록은 상기 변환블록의 다른 면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블록의 일 면에는 모듈블록이 조립되며,
    상기 스위칭 블록, 상기 변환블록 및 상기 모듈블록이 결합된 일면에는 기판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기판블록은 기판 전원단자를 통해 상기 변환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변환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블록의 일 면에는 기판 변환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 변환단자를 통해 상기 기판블록의 일 면에 모듈블록, 조명블록, 또 다른 기판블록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원 공급모듈.
KR20140106749A 2014-08-18 2014-08-18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KR10151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6749A KR101510834B1 (ko) 2014-08-18 2014-08-18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6749A KR101510834B1 (ko) 2014-08-18 2014-08-18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34B1 true KR101510834B1 (ko) 2015-04-15

Family

ID=5303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6749A KR101510834B1 (ko) 2014-08-18 2014-08-18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471B1 (ko) * 2015-08-31 2017-0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KR101755378B1 (ko) 2015-10-30 2017-07-11 파워젠 주식회사 블럭형 모듈 직류 변환기의 생성장치 및 방법
KR20200056116A (ko) * 2018-11-14 2020-05-2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블록형 SiC 인버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363A (ja) 2007-05-28 2009-01-15 Stellararts Corp 発光システム
KR20100098741A (ko) * 2009-03-02 2010-09-10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조립식 엘이디 조명장치
KR20110087603A (ko) * 2010-01-26 2011-08-03 윤종석 엘이디 조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20058159A (ko) * 2010-11-29 2012-06-07 에스이티아이(주) Led용 스텝다운 dc-dc 변환기와 이를 이용한 led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363A (ja) 2007-05-28 2009-01-15 Stellararts Corp 発光システム
KR20100098741A (ko) * 2009-03-02 2010-09-10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조립식 엘이디 조명장치
KR20110087603A (ko) * 2010-01-26 2011-08-03 윤종석 엘이디 조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20058159A (ko) * 2010-11-29 2012-06-07 에스이티아이(주) Led용 스텝다운 dc-dc 변환기와 이를 이용한 led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471B1 (ko) * 2015-08-31 2017-0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KR101755378B1 (ko) 2015-10-30 2017-07-11 파워젠 주식회사 블럭형 모듈 직류 변환기의 생성장치 및 방법
KR20200056116A (ko) * 2018-11-14 2020-05-2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블록형 SiC 인버터 장치
KR102189827B1 (ko) * 2018-11-14 2020-12-1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블록형 SiC 인버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7952B2 (en) LED light apparatus
US7969102B2 (en) Interactive LED lighting system for entertainment and network thereof
CN109644533B (zh) 用于发光装置的驱动器系统
CN103988583A (zh) 照明器具和使用该照明器具的可见光通信系统
KR101510834B1 (ko)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KR20120116201A (ko) 엘이디 조명 시스템
JP6218429B2 (ja) 照明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方法
CN103582259A (zh) 一种室内led灯光蓝牙控制系统
JP5800153B2 (ja) 照明器具を制御するための電力供給機器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6249334B2 (ja) 点灯装置及び該点灯装置を具備する照明器具
KR101826752B1 (ko) 조명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JP6665460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6665461B2 (ja) 照明器具
CN103167705A (zh) 基于无线通信的led智能照明装置的中央控制系统
KR20140132491A (ko) 통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20120134865A (ko) 교류 엘이디 조명장치
KR101956724B1 (ko) 엘이디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장치
JP6492732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CN209806125U (zh) 基于无线控制的照明系统
CN209982778U (zh) 智能化cob光引擎模组
KR101122166B1 (ko) Led 모듈 인식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컨버터
KR102109561B1 (ko) 복수의 커넥터 결합부를 통한 모듈 확장 가능한 컨버터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6729736B2 (ja) 照明器具
CN220606127U (zh) 一种语音交互式氛围灯
JP3182150U (ja) 照明器具を制御するための電力供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