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469B1 -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469B1
KR102062469B1 KR1020180146052A KR20180146052A KR102062469B1 KR 102062469 B1 KR102062469 B1 KR 102062469B1 KR 1020180146052 A KR1020180146052 A KR 1020180146052A KR 20180146052 A KR20180146052 A KR 20180146052A KR 102062469 B1 KR102062469 B1 KR 102062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p
water cup
pe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식
Original Assignee
신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식 filed Critical 신대식
Priority to KR1020180146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469B1/ko
Priority to PCT/KR2019/004276 priority patent/WO202010581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6Cages, e.g. for singing bi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2Drinking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이 생활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방에 상기 애완동물의 머리가 출입하는 머리출입구(111)가 형성된 케이지본체(110)와; 상기 케이지본체(110)의 머리출입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컵(132)과, 물컵(132)을 회전시키는 물컵구동부(133)가 구비되는 물공급부(130)와; 상기 물공급부(1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140)과; 상기 물컵구동부(133)를 구동시켜 상기 물컵(132)이 회전되어 상기 물컵(132) 내부의 오염된 물이 버려지도록 제어하고, 빈 물컵(132)에 상기 물공급노즐(140)이 깨끗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CA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WATER SUPPLIER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애완동물에게 물을 청결하게 공급할 수 있는 애완동물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을 키우게 되었다. 특히, 개와 고양이 외에 다양한 종류의 새를 키우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애완용으로 사육되는 새들은 대부분 케이지 내에서 생활하게 된다. 이 때, 사육자는 새의 먹이와 물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케이지의 문을 열고 물통에 물을 붓고 사료통에 사료를 공급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케이지 내부에 물통과 사료통이 함께 있는 경우에 물통에 사료가 섞여 물통이 지저분해지고, 케이지 내부도 물과 사료 및 분뇨가 뒤섞여 더러워지게 된다.
이렇게 케이지 내부가 더러워지면 사육자가 케이지 내부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10646호 "애완동물용 물공급통"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에게 관리자의 노동력 투입없이 물을 정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지 내부를 오염시키지 않고 청결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료와 물이 섞이지 않게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컵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물컵을 세척하여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 케이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는, 애완동물이 생활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방에 상기 애완동물의 머리가 출입하는 머리출입구(111)가 형성된 케이지본체(110)와; 상기 케이지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되고, 사료가 저장되는 상부공간(121)과, 상기 케이지본체(110)를 향해 개방되어 애완동물의 머리가 삽입되면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공간(123)과, 상기 상부공간(121) 및 하부공간(123) 사이에 구성되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공간(121)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하부공간(123)측으로 공급하는 개폐판(125)으로 구성된 사료공급부(120)와; 상기 케이지본체(110)의 머리출입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컵(132)과, 물컵(132)을 회전시키는 물컵구동부(133)가 구비되는 물공급부(130)와; 상기 물공급부(1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140)과; 상기 물컵구동부(133)를 구동시켜 상기 물컵(132)이 회전되어 상기 물컵(132) 내부의 오염된 물이 버려지도록 제어하고, 빈 물컵(132)에 상기 물공급노즐(140)이 깨끗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공급부(130)는 물이 수용되고, 벽면에 오염센서(150)가 연결되는 물컵(132)과, 상기 머리출입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애완동물의 머리가 출입될 수 있는 개구(131a)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공(131b)이 형성되며, 바닥면이 상기 물배출공(131b)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물컵(132)을 수용하는 물공급케이싱(131)과, 상기 물공급케이싱(131)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131a)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결합고리(137)와, 상기 상기 물공급케이싱(131)의 외벽에 결합되고, 구동축이 형성된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물컵(13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물컵(132)을 270°~360°범위로 회전시키는 물컵구동부(133)로 구성되고, 상기 사료공급부(120)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상기 물컵(132)에 저장된 물을 섭취할 수 있는 시간과, 상기 물컵(132)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시간과, 상기 물컵(132)에 물을 공급하는 시간을 각각 설정하는 타이머(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타이머(170)에 의해 설정된 물을 섭취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물컵구동부(133)를 구동시켜 상기 물컵(132)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시간 동안 상기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물공급노즐(140)을 구동시켜 물컵(132)에 물을 공급하는 시간 동안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물을 공급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170)가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컵(13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컵(132)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센서(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오염센서(150)에서 측정한 오염도가 기준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물컵구동부(133)와 상기 물공급부(130)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컵(132)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오염센서(150)로부터 물의 오염을 감지하면, 세척액을 상기 물컵(132)으로 공급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척액공급관(1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오염센서(150)에서 측정한 오염도가 기준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세척액공급관(160)이 세척액을 상기 물컵(132)을 공급하고 상기 물공급부(130)와 상기 물컵구동부(133)가 기준횟수만큼 반복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는 물공급부가 케이지본체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물공급부가 사료공급부와도 별도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애완동물의 배설물이나 사료에 의해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물과 사료를 케이지본체의 밖에서 각각 공급하므로, 케이지본체 내부의 오염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지본체를 청소하는 주기도 줄어들어 관리자가 애완동물 케이지 관리에 쏟는 체력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는 타이머에 의해 오염된 물의 배출과 깨끗한 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관리자의 관리 없이 애완동물의 물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물컵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물컵의 오염될 물을 버리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항상 애완동물이 깨끗한 물을 먹을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오염도에 따라 또는 시간별로 물컵을 세척할 수 있어 항상 물공급부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의 물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물공급부의 물공급케이싱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의 애완동물이 물을 먹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의 물공급부의 물통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케이지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 케이지장치(100)는 애완동물이 생활하는 케이지본체(110)와, 케이지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부(120)와, 케이지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애완동물에게 물을 공급하는 물컵(132)을 수용하는 물공급부(130)와, 물공급부(130)의 물컵(132)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140)과, 물컵(132)을 회전시켜 물컵(132)의 물이 버려지게 하는 물컵구동부(133)와, 입력신호에 따라 물공급노즐(140)와 물컵구동부(133)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물공급부(130), 물공급노즐(140), 물컵구동부(133) 및 제어부(180)로 구성된 장치는 동물자동급수기라고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조류를 위한 것이나, 경우에 따라 조류 외의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케이지본체(110)는 애완동물이 생활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지본체(110)는 금속소재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결합한 함체 형태로 구비된다. 케이지본체(110)의 전방에는 애완동물이 출입되는 도어(미도시)가 구비된다.
케이지본체(110)의 전방에는 물공급부(130)를 향해 머리출입구(111)가 일정 크게 형성된다. 머리출입구(111)는 애완동물의 머리가 물공급부(13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케이지본체(110)의 바닥에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떨어지는 배설물수거판(미도시)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료공급부(120)는 케이지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한다. 사료공급부(120)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로 두 개의 공간(121,123)으로 구획된다. 상부공간(121)에는 사료가 저장되고, 하부공간(123)에는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한다.
하부공간(123)은 케이지본체(110)를 향해 개방되어 애완동물의 머리가 하부공간으로 들어와 사료를 먹게 된다. 사료공급부(120)의 상부공간(121)과 하부공간(123)은 개폐판(125)에 의해 개폐되며, 상부공간(121)의 사료가 하부공간(123)으로 공급된다. 이 때, 개폐판(125)의 개폐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공급부(130)는 케이지본체(110)의 전방에 사료공급부(120)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애완동물에게 자동으로 깨끗한 물을 공급한다.
도 2는 물공급부(13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물공급케이싱(13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130)는 물공급케이싱(131)과, 물공급케이싱(131) 내부에 구비된 물컵(132)과, 물컵(132)을 회전되도록 물컵(132)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물컵구동부(133)를 포함한다.
물공급케이싱(131)은 물컵(132)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함체형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물공급케이싱(131)이 사각함체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일예일 뿐이며 원통형 또는 특정 물건의 형상 또는 동물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공급케이싱(131)의 케이지본체(110)를 향한 후방에는 개구(131a)가 형성된다. 개구(131a)는 머리출입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머리가 물공급케이싱(131) 내부로 들어와 물컵(132)에서 물을 먹을 수 있게 한다.
개구(131a)와 머리출입구(111)는 애완동물의 머리영역만 들어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물공급케이싱(131)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는데 바람직하다.
물공급케이싱(131)의 바닥면에는 물컵(132)에서 버려진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물배출공(131b)이 관통형성된다. 물배출공(131b)에는 물배출관(135)이 연결되어 오염된 물을 폐수저장조(미도시)로 안내한다.
물공급케이싱(131)의 바닥은 물배출공(131b)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31c)으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물컵(132)에서 버려진 물이 물공급케이싱(131)의 바닥에 오래 잔류하지 않고 빠르게 물배출공(131b)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닥에 오염된 물이 잔류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물컵(132)은 물공급케이싱(131) 내부에 구비되어 물공급노즐(140)로부터 물을 받아 애완동물이 물을 먹을 수 있게 한다. 물컵(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케이싱(13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높이에 위치된다. 물컵(132)은 물컵구동부(133)와 회전축(134)에 의해 결합되어 개구(131a)의 전방에 위치된다.
물컵(132)은 애완동물이 개구(131a)로 머리를 넣었을 때, 애완동물이 물을 먹기 좋은 위치에 위치된다.
물컵구동부(133)는 물컵(132)을 회전하여 물컵(132)의 물이 버려지도록 한다. 물컵구동부(133)는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구동되는 구동모터로 구비된다. 구동모터의 구동축에는 회전축(134)에 연결되고, 회전축(134)에는 물컵(132)이 고정결합된다.
이에 의해 물컵구동부(133)가 구동되어 구동축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하여 물컵(132)이 회전되고 내부의 물이 쏟아진다. 물컵구동부(133)는 물컵(132) 내부의 물이 온전히 쏟아질 수 있도록 270°~360°범위로 구동된다.
한편, 물공급케이싱(131)의 후방에는 본체결합고리(137)가 구비된다. 본체결합고리(13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31a)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케이지본체(110)에 걸림결합된다.
이에 의해 물공급부(130)를 케이지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물공급노즐(140)은 물컵(132)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컵(132)으로의 물 공급을 단속한다. 물공급노즐(140)은 상수도와 연결되거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물저장조(미도시)와 연결된다.
제어부(180)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인가되는 입력신호 또는 자동으로 입력된 설정신호에 따라 물컵(132)으로의 물의 공급과, 물컵(132)에 수용된 오염된 물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관리자는 리모콘 또는 입력패널(미도시)을 통해 수동으로 물컵구동부(133)를 구동하거나, 물공급노즐(140)을 구동하여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컵구동부(133)가 구동되면 물컵(132)이 회전되며 내부의 오염된 물이 쏟아지게 된다. 이어서 물공급노즐(140)을 구동하면, 오염된 물이 버려진 물컵(132)에 신선한 물을 채울 수 있다.
자동으로 물의 공급과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애완동물 케이지장치(100)는 타이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타이머(170)로 물공급주기를 설정하고, 타이머(170)에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오염된 물의 배수와 신선한 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일례로, 타이머(170)를 세 시간으로 설정하면, 세 시간 마다 물컵구동부(133)가 구동되어 물컵(132)의 물이 버려지고, 물공급노즐(140)이 신선한 물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170)로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에 설정된 시간이 긴 경우, 물컵(132)의 물이 심하게 오염될 수 있다. 이렇게 오염된 물을 애완동물이 마시게 되면 애완동물의 건강에 해를 미칠 수 있다.
이에 물컵(132)에 물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오염센서(150)를 부착하여 물의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오염센서(150)에서 전송되는 오염도가 설정된 기준수치의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타이머(170)에 설정된 시간 간격이 아니더라도 물컵구동부(133)와 물공급노즐(140)을 구동하여 오염된 물을 버리고 신선한 물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물컵(132) 내벽면이 오염된 경우 물컵(132)에 물을 새로 받더라도 물의 오염된 상태가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물컵(132)의 상부에 세척액공급관(160)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오염센서(150)로부터 전송된 오염도가 기준수치의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세척액공급관(160)을 구동하여 물컵(132)으로 세척액이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물공급노즐(140)을 구동하여 깨끗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곧바로 물컵구동부(133)를 구동하여 물이 버려지게 한다. 이러한 방식을 2-3회 반복하여 물컵(132)의 세척이 진행되도록 한다.
물컵(132)의 세척이 완료된 후, 물공급노즐(140)을 구동하여 깨끗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100)의 물공급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관리자는 케이지본체(110)의 전방에 머리출입구(111)를 형성하고, 머리출입구(111)에 개구(131a)가 연통되도록 물공급부(130)를 케이지본체(110)에 결합시킨다. 이 때, 물공급부(130)의 본체결합고리(137)를 케이지본체(110)에 걸어 물공급케이싱(13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물공급케이싱(131)의 전방에는 물컵구동부(133)가 고정되고, 물컵구동부(133)의 구동축에는 회전축(134)이 연결된다. 회전축(134)은 물공급케이싱(131)을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고, 회전축(134)의 단부에는 물컵(132)이 고정된다. 회전축(134)은 물컵(132)에 수용된 물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물공급케이싱(131)의 결합이 완료되면, 물공급케이싱(131)의 삽입공(131e)으로 물공급노즐(140)을 삽입하고, 바닥면의 물배출공(131b)에는 물배출관(135)을 연결한다.
물컵(132)의 벽면에는 오염센서(150)가 연결되고, 오염센서(150)는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80)는 타이머(170) 및 물컵구동부(133), 물공급노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170)에 설정된 시간이 되면, 제어부(180)는 물공급노즐(140)을 구동한다. 물공급노즐(140)은 물컵(132)으로 물(W)을 공급한다. 물공급노즐(140)은 설정된 시간 동안 물(W)을 공급한 후 멈춘다. 설정된 시간은 물컵(132)에 2/3 정도의 물이 채워질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애완동물(A)은 머리출입구(111)와 개구(131a)를 통해 머리를 물공급케이싱(131) 내부로 들이밀고 물컵(132)에 수용된 물을 먹는다.
타이머(170)에 설정된 시간동안 애완동물(A)은 수시로 물컵(132)의 물을 먹는다. 이 때, 물컵(132)은 케이지본체(110)와 독립된 물공급케이싱(131)에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발 등과 접촉되지 않아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물공급부(130)는 사료공급부(120)와도 독립적으로 배치되므로, 사료가 섞이지 않아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타이머(170)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애완동물의 입과 물컵(132)의 물이 접촉되면서 물이 오염될 수 있다. 타이머(170)의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80)는 물컵구동부(133)를 구동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4)이 회전되면서 물컵(132)이 쏟아져 내부의 오염된 물(W')이 물배출공(13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180)는 물컵구동부(133)로 구동신호를 인가한 후, 물컵(132)의 물이 배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카운팅한다. 이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80)는 물컵구동부(133)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물컵(132)을 수직한 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물공급노즐(140)을 구동하여 깨끗한 물이 물컵(13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물컵(132)에 물이 받아지는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80)는 물공급노즐(140)을 차단한다. 물공급노즐(140)이 차단되면 다시 타이머(170)가 동작한다.
이 과정에서, 물컵(132)의 오염센서(150)가 물의 오염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물컵구동부(133)를 구동하여 현재 물컵(132)의 오염된 물이 버려지게 한다. 그리고, 세척액공급관(160)을 구동하여 세척액이 물컵(132)으로 공급되게 하고, 물공급노즐(140)을 구동하여 깨끗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공급된 물은 세척액과 함께 물컵(132) 내부를 세척한다.
제어부(180)는 타이머(170)의 시간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물컵구동부(133)를 구동하여 물이 버려지게 한다. 이렇게 깨끗한 물의 공급과 배수를 2-3회 반복하여 물컵(132)이 깨끗하게 세척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물공급노즐(140)을 구동하여 깨끗한 물이 받아지도록 하고, 타이머(170)를 구동하게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한 개의 케이지본체(110)만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복수개의 케이지본체(110)가 함께 하나의 제어부(18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의해 복수개의 케이지본체(110)에 결합된 각각의 물공급부(130)의 물공급과 배수가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는 물공급부가 케이지본체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물공급부가 사료공급부와도 별도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애완동물의 배설물이나 사료에 의해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물과 사료를 케이지본체의 밖에서 각각 공급하므로, 케이지본체 내부의 오염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지본체를 청소하는 주기도 줄어들어 관리자가 애완동물 케이지 관리에 쏟는 체력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는 타이머에 의해 오염된 물의 배출과 깨끗한 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관리자의 관리 없이 애완동물의 물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물컵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물컵의 오염될 물을 버리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항상 애완동물이 깨끗한 물을 먹을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오염도에 따라 또는 시간별로 물컵을 세척할 수 있어 항상 물공급부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애완동물 케이지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애완동물 케이지장치라고 명명했으나, 애완동물 뿐 아니라, 소, 돼지, 닭 등 축사용 케이지로도 사용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110 : 케이지본체
111 : 머리출입구 120 : 사료공급부
130 : 물공급부 131 : 물공급케이싱
131a : 개구 131b : 물배출공
131c : 경사면 131d : 통공
132 : 물컵 133 : 물컵구동부
134 : 회전축 135 : 물배출관
137 : 본체결합고리 140 : 물공급노즐
150 : 오염센서 160 : 세척액공급관
170 : 타이머 180 : 제어부
A : 애완동물

Claims (5)

  1. 애완동물이 생활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방에 상기 애완동물의 머리가 출입하는 머리출입구(111)가 형성된 케이지본체(110)와;
    상기 케이지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되고, 사료가 저장되는 상부공간(121)과, 상기 케이지본체(110)를 향해 개방되어 애완동물의 머리가 삽입되면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공간(123)과, 상기 상부공간(121) 및 하부공간(123) 사이에 구성되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공간(121)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하부공간(123)측으로 공급하는 개폐판(125)으로 구성된 사료공급부(120)와;
    물이 수용되고, 벽면에 오염센서(150)가 연결되는 물컵(132)과, 상기 머리출입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애완동물의 머리가 출입될 수 있는 개구(131a)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공(131b)이 형성되며, 바닥면이 상기 물배출공(131b)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물컵(132)을 수용하는 물공급케이싱(131)과, 상기 물공급케이싱(131)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131a)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결합고리(137)와, 상기 상기 물공급케이싱(131)의 외벽에 결합되고, 구동축이 형성된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물컵(13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물컵(132)을 270°~360°범위로 회전시키는 물컵구동부(133)로 구성되고, 상기 사료공급부(120)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물공급부(130)와;
    상기 물공급부(130)로 설정된 시간 동안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140)과;
    상기 물컵(132)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오염센서(150)로부터 물의 오염을 감지하면, 세척액을 상기 물컵(132)으로 공급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척액공급관(160)과,
    애완동물이 상기 물컵(132)에 저장된 물을 섭취할 수 있는 시간과, 상기 물컵(132)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시간과, 상기 물컵(132)에 물을 공급하는 시간을 각각 설정하는 타이머(170)와;
    상기 물컵구동부(133)를 구동시켜 상기 물컵(132)이 회전되어 상기 물컵(132) 내부의 오염된 물이 버려지도록 제어하고, 빈 물컵(132)에 상기 물공급노즐(140)이 깨끗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염센서(150)에서 측정한 오염도가 기준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세척액공급관(160)이 세척액을 상기 물컵(132)을 공급하고 상기 물공급부(130)와 상기 물컵구동부(133)가 기준횟수만큼 반복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타이머(170)에 의해 설정된 물을 섭취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물컵구동부(133)를 구동시켜 상기 물컵(132)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시간 동안 상기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물공급노즐(140)을 구동시켜 물컵(132)에 물을 공급하는 시간 동안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물을 공급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170)가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46052A 2018-11-23 2018-11-23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KR102062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052A KR102062469B1 (ko) 2018-11-23 2018-11-23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PCT/KR2019/004276 WO2020105814A1 (ko) 2018-11-23 2019-04-10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052A KR102062469B1 (ko) 2018-11-23 2018-11-23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469B1 true KR102062469B1 (ko) 2020-01-03

Family

ID=6915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052A KR102062469B1 (ko) 2018-11-23 2018-11-23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2469B1 (ko)
WO (1) WO202010581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728A (ja) * 1991-10-16 1993-04-27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洗米機
JPH10150876A (ja) * 1996-11-19 1998-06-09 Takeda Chem Ind Ltd 中形動物飼育用ケージ
KR20010114060A (ko) * 2000-06-20 2001-12-29 정병현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0410646Y1 (ko) 2005-12-14 2006-03-09 전소영 애완동물용 물공급 통
KR20150070157A (ko) * 2012-10-17 2015-06-24 드라발 홀딩 에이비 축산용 급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88Y1 (ko) * 2009-12-23 2010-08-04 김두연 급배수장치가 구비된 관상용 수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728A (ja) * 1991-10-16 1993-04-27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洗米機
JPH10150876A (ja) * 1996-11-19 1998-06-09 Takeda Chem Ind Ltd 中形動物飼育用ケージ
KR20010114060A (ko) * 2000-06-20 2001-12-29 정병현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0410646Y1 (ko) 2005-12-14 2006-03-09 전소영 애완동물용 물공급 통
KR20150070157A (ko) * 2012-10-17 2015-06-24 드라발 홀딩 에이비 축산용 급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814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29004A1 (zh) 多功能智能养殖饲育系统
KR101779304B1 (ko) 전자식 급이기의 물에 빠진 사료 해결방법
US3518971A (en) Cage for laboratory animals
CN209931198U (zh) 一种畜牧养殖专用喂料装置
CN110946081A (zh) 一种自动监控动物粪便的饲养笼
US9713318B1 (en) Automatic bird cage
KR20160076354A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US20060137617A1 (en) Regulating feeder for a horse
US20100024736A1 (en) Food house for small animals
KR200337595Y1 (ko) 액상대용유 자동급이 시스템
KR102062469B1 (ko) 동물자동 급수기를 구비한 애완동물 케이지장치
KR101413106B1 (ko) 축우용 통합 정밀 영양 상태 관리 시스템
KR101349115B1 (ko)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시스템 및 조사방법
US3779210A (en) Incubative animal confinement system
KR20090086176A (ko) 양돈용 액상 급이기
US3415226A (en) Bird feeder
KR20170060295A (ko) 반려동물 배변 훈련 및 배변 처리장치
KR20200144270A (ko) 반려동물 하우스
US20210360896A1 (en) Automatically self-cleaning pet potty
EP2801251A2 (de) Sanitäre Vorrichtung für Haustiere
EP0413319A2 (en) Apparatus for feeding piglets
CN107018912A (zh) 一种自动化奶牛舍
CN210470617U (zh) 一种具有冲洗功能的防猪蹄损伤式水泡粪养殖舍
KR102131547B1 (ko) 습식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방지장치
KR102588787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