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376B1 -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 Google Patents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376B1
KR102062376B1 KR1020170147370A KR20170147370A KR102062376B1 KR 102062376 B1 KR102062376 B1 KR 102062376B1 KR 1020170147370 A KR1020170147370 A KR 1020170147370A KR 20170147370 A KR20170147370 A KR 20170147370A KR 102062376 B1 KR102062376 B1 KR 102062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inlet
housing
fluid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558A (ko
Inventor
김창순
김승평
김승국
김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월드
Priority to KR102017014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3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passing through porou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5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a central core throttling gas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유입되는 유체가 디퓨저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을 방지함에 따라 소음 감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소음기의 하우징 일측 유입구에 구비되는 디퓨저는 유입되는 유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그 유입된 유체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분산시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측면과 유입구의 반대 측의 말단 면이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각 망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디퓨저에 의해 분산된 소음을 흡음하도록 마련되는 흡음재;를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소음 감쇄 효율성을 향상시켜 주변 환경을 더욱더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Silencer with open diffuser}
본 발명은 소음과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오픈식 디퓨저를 구비한 소음기에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유체가 오픈식 디퓨저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을 방지함에 따라 소음 감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은 공기 조화설비에 있어, 냉동기, 보일러, 엔진, 스팀, 팬, 냉각탑 등의 기기류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덕트 내, 배출구, 흡입구 등의 기류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은 물론 배관 내의 유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으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덕트 등과 같이 유체를 외부로 배출 또는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서는 그 덕트 상에 소음기를 장착하여 소음을 감쇠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덕트 사이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소음기는 케이싱의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감쇄시키는 흡음재와, 유체 이동시 와류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와류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스플리터가 구비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하우징의 유입구 측에 유입되는 유체의 소음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감쇄시키기 위해 통 형태의 디퓨저를 구비하기도 한다. 이때, 통상적인 통 형태의 디퓨저는 측면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고 유입구의 반대 측 말단은 막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말단이 막힌 디퓨저는 유입되는 유체가 막힌 부분과의 충돌에 의해 압력 손실과 충격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한 말단이 막힌 디퓨저에서의 소음을 측정한 데이터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
Figure 112017110373254-pat00001
Figure 112017110373254-pat00002
[표 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소음이 109.9dB이며, 정압 조건은 31m/s - 60mmAq이고, 주파수 영역이 고주파인 200Hz 일 때 감쇠음이 77.3dB로 대략 25.8db로 감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원소음이 94.2dB이며, 정압- 44m/s - 120mmAq이고, 주파수 영역이 저주파인 63Hz 일 때 감쇠음은 54.8dB로 대략 39.4db 감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덕트에 설치되는 소음기는 그 사용용도, 즉 공기조화 시스템, 산업용 특수환기 시스템 등 그 용도에 따라 크기와 형상 그리고 내부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덕트에 사용되는 소음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스플리터가 적용되는 종래의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495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0440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이라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874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089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이라 한다)에 디퓨저와 같은 제1 소음저감부재를 구비한 소음기와 같은 기술이 게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49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044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87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0896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은 스플리터 형태로,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은 물론 소음 효율성이 그리 높지 않은 단점과 함께 소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 또한 가진다.
아울러,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에서는 내부로 유체에 포함된 분진이나 혹은 작은 크기의 금속물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에는 이를 걸러 내지 못하고, 배출시키지 못하는 단점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4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1 소음저감부재의 말단이 막힌 형태로 말단이 막힌 디퓨저에서와 같이 유입되는 유체가 막힌 부분과의 충돌에 의해 충격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4 역시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과 같이 유체에 포함된 분진이나 혹은 작은 크기의 금속물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에는 이를 제대로 걸러 내지 못하고, 배출시키지 못하는 단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유입되는 유체가 오픈식 디퓨저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을 방지함에 따라 소음 감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소음 감쇄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유체에 포함된 일부의 스파크 더스트를 원활하게 걸러 낸 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유체에 포함된 먼지 등과 같은 분진도 용이하게 걸러 낸 후 배출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분진 제거와 함께 세정 또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일측에 유입구가, 상기 유입구의 반대 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의 하우징 내측에 마련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소음기로서, 상기 디퓨저는 유입되는 유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그 유입된 유체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분산시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측면과 유입구의 반대 측의 말단 면이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각 망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디퓨저에 의해 분산된 소음을 흡음하도록 마련되는 흡음재;를 포함한다.
상기 디퓨저의 유입구가 형성된 반대 측 면은 토출구 측을 향하여 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의 외측에는 그 디퓨저의 외측을 감싸도록 측면과 유입구의 반대 측의 면이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는 이중 형태의 외측 디퓨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퓨저의 후단 측에는 그 디퓨저의 말단에서 분산된 소음을 재차 흡음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음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음부재는 선단에 상기 디퓨저 측으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콘 형태의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의 끝단에 흡음재가 내장되고 상기 유입부재 측만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판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막힌 흡음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부재의 주변 하우징의 내측에는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고 외측면은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스플리터부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흡음부재는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고 외측면은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플리터로 구성된다.
상기 디퓨저의 외측면에는 메쉬 망이 덧씌워지되, 그 디퓨저의 말단에 걸러진 유체에 포함된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배출되는 제1 배출관, 및 상기 제1 배출관과 연결되어 걸러진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포집되도록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 포집통을 더 포함한다.
일측에 유입구가, 상기 유입구의 반대 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의 하우징 내측에 마련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소음기로서, 상기 디퓨저는 유입되는 유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그 유입된 유체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분산시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측면과 유입구의 반대 측의 말단 면이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디퓨저의 외측에는 그 디퓨저와 대응되는 형태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이중 타공 하우징 사이에 유체에 포함된 소음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공성 부재가 내장되게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각 망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디퓨저와 이물질 제거부를 거친 유체에 포함된 소음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외측에는 그 이물질 제거부와 동일한 구조로 소정 간격을 두고 외측 이물질 제거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후단 측에는 그 이물질 제거부를 거친 소음과 이물질을 재차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여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잔여 이물질 제거부는 선단에 상기 이물질 제거부 측으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콘 형태의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의 끝단에 다공성 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유입부재 측만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판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막힌 제거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디퓨저의 끝단에 유체에 포함된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를 걸러진 후 배출되는 제2 배출관, 및 상기 제2 배출관과 연결되어 걸러진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포집되도록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 포집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 측에는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유입되어 상기 다공성 부재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 분무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유체가 오픈식 디퓨저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을 방지함에 따라 소음 감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압력 손실을 최소?과 아울러 소음 감쇄 효율성을 향상시켜 주변 환경을 더욱더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소음 감쇄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킴에 따라 주변 환경을 더욱더 안락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유체에 포함된 일부의 스파크 더스트를 원활하게 걸러 낸 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유체에 포함된 미세 먼지나 유해한 성분 등과 같은 분진도 용이하게 걸러 낸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음은 물론 분지까지 제거하여 주변 환경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대기 오염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분진 제거와 함께 세정 또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지 제거 효율성을 높힘은 물론 사용기간을 더욱더 오랜기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은 공기 조화설비에 있어, 냉동기, 보일러, 엔진, 스팀, 팬, 냉각탑 등의 기기류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덕트 내, 배출구, 흡입구 등의 기류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은 물론 배관 내의 유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으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덕트 등과 같이 유체를 외부로 배출 또는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서는 그 덕트 상에 소음기를 장착하여 소음을 감쇠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아울러, 덕트 상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소음기(100)는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2)가, 상기 유입구(112)의 반대 측에 소음이 제거되어 토출되는 토출구(114)가 형성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유입구(112)의 하우징(110) 내측에 유입되는 유체를 분산시키도록 마련되는 디퓨저(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원형이나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유체가 디퓨저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을 방지함에 따라 소음 감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100)에 구비되는 상기 디퓨저(1)는 유입되는 유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그 유입된 유체를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분산시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측면과 유입구(112)의 반대 측의 말단 면이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망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디퓨저는 원형이나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종래와 같이 디퓨저의 말단이 막혀 유체의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한 충격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측면과 유입구의 반대 측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을 통하여 충돌되지 않고 하우징의 내부로 방사된다.
이때, 상기 디퓨저(1)의 유입구(112)가 형성된 반대 측 말단 면은 토출구(114) 측을 향하여 콘 형태로 형성된다. 즉, 콘 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해 디퓨저 내로 유입된 유체가 하우징의 내부 측면 측으로 더욱더 원활하게 방사될 수 있다. 아울러, 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 예에서 유체에 포함된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원활하게 포집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겸한다.
그에 따라 디퓨저는 유입되는 유체와 종래와 같이 충돌되는 부분이 생략됨으로 인한 충돌에 따른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각 망 플레이트(12) 사이에 상기 디퓨저(1)에 의해 분산된 소음을 흡음하도록 마련되는 흡음재(10);를 포함한다. 상기 흡음재는 흡음 효율성이 높은 통상적인 유리섬유 등을 포함한다.
그로 인해 디퓨저를 거쳐 방사되는 소음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음재에 의해 흡음 됨으로써, 흡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측면과 토출구 방향의 콘 형태로 형성된 면을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 측면으로 더욱더 효율적으로 방사됨으로 인해 흡음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흡음 효율성은 하기 [표 2]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표 2]
Figure 112017110373254-pat00003
Figure 112017110373254-pat00004
[표 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소음이 107.6dB이며, 정압 조건은 20m/s - 10mmAq이고, 주파수 영역이 고주파인 200Hz 일 때 감쇠음이 72.0dB로 대략 35.0db로 감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원소음이 88.9dB이며, 정압- 32m/s - 40mmAq이고, 주파수 영역이 저주파인 63Hz 일 때 감쇠음은 53.3dB로 대략 35.6db 감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 치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디퓨저의 말단이 막힌 것에 비하여 월등하게 소음을 감쇄시키는 조건을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디퓨저 말단이 막힌 것이 아니라 유체를 분산시키도록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소음의 감쇄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서, 디퓨저에 1차적으로 유입된 유체를 분산시킨 후 재차 유체를 더 잘게 분사시켜 하우징의 내부에서의 흡음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디퓨저(1)의 외측에는 그 디퓨저(1)의 외측을 감싸도록 측면과 유입구의 반대 측의 면이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는 이중 형태의 외측 디퓨저(1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측 디퓨저는 내부의 디퓨저와 동일한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그로 인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디퓨저에서 1차적으로 분산된 후 그 외측에 형성된 외측 디퓨저에 의하여 재차 잘게 분산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 측면에 마련된 흡음재에 의해 흡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소음을 더욱 감쇄시키는 높은 효율성을 가질 수 있는 하나의 요소이다.
즉, 유체를 외측 디퓨저에 의해 재차 잘게 분산시킴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측면으로의 흡음이 더욱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높은 감쇄 효율성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디퓨저에 의해 유입된 유체를 분산시켜 하우징의 내부 측면에서 흡음하여 소음을 감쇄시키는 과정에서, 그 디퓨저의 말단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을 거친 일부 유체에 포함된 소음을 재차 감쇄시키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디퓨저(1)의 후단 측에는 그 디퓨저(1)의 말단, 즉 복수의 타공에서 분산된 소음을 재차 흡음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음부재(20)를 더 포함한다.
흡음부재(20)는 선단에 상기 디퓨저(1) 측으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콘 형태의 유입부재(22)와, 상기 유입부재(22)의 끝단에 통상적인 흡음재가 내장되고 상기 유입부재(22) 측만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판(23)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막힌 흡음통(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부재는 원형이나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퓨저의 말단은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타공을 유체는 하우징의 내부 측면이 아닌 일부는 토출구 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관계로, 상기 흡음부재는 디퓨저의 말단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을 거친 유체를 유입부재에 의해 재차 분산시켜 흡음통 내에서 다시 소음을 감쇄시킴에 따라 소음 자체를 원천적으로 감쇄시킨다. 이때, 상기 유입부재는 디퓨저의 말단 측으로 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일부 유체는 흡음통으로 유입되고 일부는 하우징의 내부 측면으로 유도시킴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 측면에서의 흡음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한 흡음부재를 포함할 때의 흡음 효율성은 하기 [표 3]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표 3]
Figure 112017110373254-pat00005
Figure 112017110373254-pat00006
[표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소음이 107.4dB이며, 정압 조건은 35m/s - 45mmAq이고, 주파수 영역이 고주파인 200Hz 일 때 감쇠음이 71.8dB로 대략 35.1db로 감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원소음이 88.6dB이며, 정압- 35m/s - 45mmAq이고, 주파수 영역이 저주파인 63Hz 일 때 감쇠음은 52.5dB로 대략 36.1db 감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 치는 전술한 디퓨저의 말단이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것에 비해서도 소음을 더욱더 감쇄시키는 조건을 가진다.
한편, 상기 흡음부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의 후단 측에 하나 또는 소음기의 길이나 용량에 따라 복수 개로 마련하여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유체에는 일련의 소음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흡음부재는 디퓨저에서 혹여 감쇄되지 않은 소음을 재차 감쇄시키는 것으로, 소음의 감쇄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디퓨저의 후단 측에 구비되는 흡음부재의 주변에 소음의 감쇄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흡음부재(20)의 주변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내부에 통상적인 흡음재가 내장되고 외측면은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 플레이트(12A)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스플리터부(30)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때, 흡음부재의 흡음통 또한 망판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통상적인 망 플레이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흡음부재에서 일부의 소음이 감쇄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흠읍재 뿐만 아니라 복수의 스플리터부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 전체에서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플리터부는 하우징이 원형 또는 사각이나 육각 등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음부재를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는 바 형태나 삼각형이나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복수의 스플리터부(30) 사이에는 유체가 통과되는 각각의 통로가 마련된다.
그로 인해 디퓨저를 거친 유체에 포함된 소음은 흡음부재와 그 흡음부재의 주변에 배치되는 스플리터부에 의해 최대한 감쇄됨에 따라 소음 감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디퓨저의 후단 측에 구비되는 흡음부재의 다른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음부재(20)는 내부에 통상적인 흡음재가 내장되고 외측면은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 하우징(42)에 의해 형성되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플리터(40)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디퓨저에서 분산된 유체에 포함된 소음은 하우징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흡음재와 상기 복수의 스플리터에 의해 감쇄된 후 유체만이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스플리터는 디퓨저에 의해 유체가 분산된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 측면과 각 스플리터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소음의 감쇄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유입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폭발성 물질인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 또한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여기서, 스파크 더스트는 입자 상태의 금속 입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충돌 등에 의해 불꽃 형태로 이송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스파크 더스트가 걸러지지 않고 이송되는 경우, 덕트를 통하여 다른 기기로 그대로 전달됨으로 인해 폭발 위험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므로 제거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또, 입자 형태의 이물질 또한 다른 기기로 이송될 경우, 그로 인한 고장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함에 따라 이 또한 제거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때, 통상적인 스파크 더스트를 포함하는 이물질의 입자는 0.10~2.14㎜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디퓨저(1)의 외측면에는 그 디퓨저를 거친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혹여 빠져나지가지 않도록 메쉬 망(52)이 덧씌워지되, 그 디퓨저(1)의 말단에 걸러진 유체에 포함된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배출되는 제1 배출관(54), 및 상기 제1 배출관(54)과 연결되어 걸러진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포집되도록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 포집통(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디퓨저에 형성되는 복수의 타공은 스파크 더스트가 통과하지 않은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제1 포집통에는 포집된 스파크 더스트를 배출하기 위한 통상적인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메쉬 망은 스파크 더스트가 혹여 디퓨저를 통과할 경우, 이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배출과는 디퓨저 말고 메쉬 망의 말단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디퓨저에서 걸러진 스파크 더스트는 제1 배출관을 통하여 제1 포집통으로 포집되어 짐으로써, 스파크 더스트로 인한 여러 사고나 기기 등의 이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른 제7 실시 예는 유체에 포함된 소음은 물론 그 유체에 포함된 각종 먼지나 분진, 유해물질 등과 같은 이물질 또한 걸러 낼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공한다.
디퓨저(1)의 외측에는 그 디퓨저와 대응되는 형태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이중 타공 하우징(62) 사이에 유체에 포함된 소음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재가 내장되게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부(60)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각 망 플레이트(12) 사이에 상기 디퓨저(1)와 이물질 제거부(60)를 거친 유체에 포함된 소음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재(64);를 포함한다.
다공성 부재는 통상적으로 표면에 크랙이나 틈, 미세 홈 등이 형성된 것으로, 세라믹 또는 시멘트, 알루미늄 등에 의해 가공될 수 있음은 물론 자연 화강암이나 현무암 또는 인공 화강암 또는 현무암 등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며, 비교적 기포 홀이 많은 가벼운 돌로 필터 역할을 하며, 작은 직경을 가지는 알갱이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재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됨에 따라 유체가 통과하는 데는 그리 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디퓨저에 의해 분산된 유체에 포함된 소음은 다공성 부재 사이에서 충돌에 의해 상쇄되어 감쇄됨은 물론 각종 이물질은 그 다공성 부재의 표면으로 흡착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각종 이물질은 다공성 부재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돌되면서 일부의 이물질 등이 그 표면의 틈으로 유입되면서 흡착된다. 그에 따라 지속적인 충돌에 의한 이물질이 쌓임은 물론 다공성 부재를 계속하여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이 깨끗하게 제거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는 유체에 포함된 소음은 물론 각종 이물질 또한 깨끗하게 제거함으로써, 일석 이조의 높은 효율성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디퓨저의 외측에 마련된 이물질 제거부를 하나만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소음가 이물질 제거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이물질 제거부(60)의 외측에는 그 이물질 제거부(60)와 동일한 구조로 소정 간격을 두고 외측 이물질 제거부(60A)가 더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이물질 제거부를 거쳐 일부의 소음과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혹시 제거되지 않아 이물질 제거부를 통과한 유체에 포함된 소음과 이물질은 상기 외측 이물질 제거부에서 재차 걸러짐으로써, 유체에 포함된 소음과 이물질을 더욱더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거쳐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소음 및 이물질을 재차 한번 더 걸러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이물질 제거부(60)의 후단 측에는 그 이물질 제거부(60)를 거친 소음과 이물질을 재차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여 이물질 제거부(60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잔여 이물질 제거부(60B)는 선단에 상기 이물질 제거부(60) 측으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콘 형태의 유입부재(22), 상기 유입부재(22)의 끝단에 다공성 부재(64)가 내장되고 상기 유입부재(22) 측만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판(23)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막힌 제거통(24A)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잔여 이물질 제거부는 전술한 도 8의 이물질 제거부에서 제거되지 않은 일부의 소음이나 혹은 이물질이 토출구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한 번 더 걸름으로써,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는 소음과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비교적 깨끗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잔여 이물질 제거부는 용량이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을 구비함으로써, 유체를 더욱더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한 이물질 제거부는 다공성 부재 사이에 공극이 마련됨에 따라 혹여 유체에 포함딘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토출구를 통하여 다른 곳을 공급될 수 있는 관계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디퓨저(1)의 끝단에 유체에 포함된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를 걸러진 후 배출되는 제2 배출관(54A), 및 상기 제2 배출관(54A)과 연결되어 걸러진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포집되도록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제2 포집통(50A)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포집통에는 다공성 부재가 내장되어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유체에 포함된 작은 입자를 가지는 스파크 더스트는 디퓨저에서 걸러진 후 제2 배출관을 거친 후 제2 포집통으로 포집 됨으로써, 스파크 더스트가 이송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소음과 각종 이물질을 거르는 과정에서 소음 감쇄과 이물질 제거 효율성을 높이면서 다공성 부재의 세정 효율성 또한 가질 수 있는 복합적인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유입구(112) 측에는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유입되어 상기 다공성 부재(64)를 세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세정액 분무수단(70)이 더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세정액 분무수단은 세정액을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세정액 분무수단(70)은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공급탱크로부터 공급되는 통상적인 세정수 또는 통상적인 화학물질이 포함된 세정액과,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분무하는 분무노즐(7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세정액이 배출되는 도시하지 않은 드레인 밸브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분무기에서 분무된 세정액은 그 유체와 함께 이송되면서 다공성 부재에 흡착된 일부의 이물질을 세척하여 그 다공성 부재의 오랜 사용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세정액을 분무함으로 인해 유체에 포함된 일부의 소음 또한 세정액과 충돌되면서 상쇄될 수 있음은 물론 비중이 가벼운 이물질은 세정액과 흡수되면서 중량을 가짐에 따라 이물질 제거부로 떨어진 후 다시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떨어져, 이물질 제거 효율성을 한 층 높일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진다. 이때,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수분을 포함한 이물질은 필요할 때 드레인 밸브를 통하여 배출시켜 제거한다.
이로써,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세정액 또한 같이 공급함에 따라 소음 감쇄는 물론 각종 이물질 제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한편, 도 13에서와 같이 세정액 분무수단(80)을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유입구 측에 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 탱크와 펌프 및 복수의 분무노즐을 마련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이물질 제거부()의 후방 토출구(114) 사이에는 본 발명의 도 10의 잔여이물질 제거부(60B) 또는 본 발명의 도 5의 스플리터부(30) 등을 더 포함함에 따라 일련의 소음이 소음기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디퓨저 1A : 외측 디퓨저
10 : 흡음재 12,12A : 망 플레이트
20 : 흡음부재 22 : 유입부재
23 : 망판 24 : 흡음통
24A : 제거통 30 : 스플리터부
40 : 스플리터 42 : 망 하우징
50 : 제1 포집통 50A : 제2 포집통
52 : 메쉬 망 54 : 제1 배출공
54A : 제2 배출로 60 : 이물질 제거부
60A : 외측 이물질 제거부 60B : 잔여 이물질 제거부
62 : 이중 타공하우징 64 : 다공성 부재
70 : 세정액 분무수단 72 : 분무노즐
100 : 소음기
1100 : 하우징 112 : 유입구
114 : 토출구

Claims (13)

  1. 일측에 유입구가, 상기 유입구의 반대 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의 하우징 내측에 마련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소음기로서,
    상기 디퓨저는 유입되는 유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그 유입된 유체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분산시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측면과 유입구의 반대 측의 말단 면이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각 망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디퓨저에 의해 분산된 소음을 흡음하도록 마련되는 흡음재;를 포함하되,
    상기 디퓨저의 외측에는 그 디퓨저의 외측을 감싸도록 측면과 유입구의 반대 측의 면이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는 이중 형태의 외측 디퓨저를 더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의 유입구가 형성된 반대 측 면은 토출구 측을 향하여 콘 형태로 형성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의 후단 측에는 그 디퓨저의 말단에서 분산된 소음을 재차 흡음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는 선단에 상기 디퓨저 측으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콘 형태의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의 끝단에 흡음재가 내장되고 상기 유입부재 측만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판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막힌 흡음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의 주변 하우징의 내측에는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고 외측면은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스플리터부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는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고 외측면은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플리터로 구성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의 외측면에는 메쉬 망이 덧씌워지되, 그 디퓨저의 말단에 걸러진 유체에 포함된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배출되는 제1 배출관, 및 상기 제1 배출관과 연결되어 걸러진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포집되도록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 포집통을 더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9. 일측에 유입구가, 상기 유입구의 반대 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의 하우징 내측에 마련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소음기로서,
    상기 디퓨저는 유입되는 유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그 유입된 유체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분사시키도록 측면과 유입구의 반대 측의 말단 면이 막히지 않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디퓨저의 외측에는 그 디퓨저와 대응되는 형태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이중 타공 하우징 사이에 유체에 포함된 소음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공성 부재가 내장되게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각 망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디퓨저와 이물질 제거부를 거친 유체에 포함된 소음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외측에는 그 이물질 제거부와 동일한 구조로 소정 간격을 두고 외측 이물질 제거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후단 측에는 그 이물질 제거부를 거친 소음과 이물질을 재차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여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잔여 이물질 제거부는 선단에 상기 이물질 제거부 측으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콘 형태의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의 끝단에 다공성 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유입부재 측만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망판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막힌 제거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의 끝단에 유체에 포함된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를 걸러진 후 배출되는 제2 배출관, 및 상기 제2 배출관과 연결되어 걸러진 입자 형태의 스파크 더스트가 포집되도록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 포집통을 더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측에는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유입되어 상기 다공성 부재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 분무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KR1020170147370A 2017-11-07 2017-11-07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KR102062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70A KR102062376B1 (ko) 2017-11-07 2017-11-07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70A KR102062376B1 (ko) 2017-11-07 2017-11-07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58A KR20190051558A (ko) 2019-05-15
KR102062376B1 true KR102062376B1 (ko) 2020-01-03

Family

ID=6657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370A KR102062376B1 (ko) 2017-11-07 2017-11-07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601B1 (ko) * 2020-06-04 2022-02-11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방산탑 소음기
CN113846727B (zh) * 2021-08-18 2022-12-13 箭牌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节约空间的冲刷装置及坐便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922U (ja) * 1984-03-29 1985-10-2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尾管端消音器
KR19990037427U (ko) * 1998-03-05 1999-10-05 이해규 소음기
KR20100008742U (ko) 2009-02-25 2010-09-02 윤호식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친환경 공조 덕트 소음기
KR100924958B1 (ko) 2009-06-04 2009-11-06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공명형 스플릿터를 구비한 공조용 덕트 소음기
KR101030440B1 (ko) 2009-06-15 2011-04-25 (주)엔에스브이 음파의 흡음과 팽창에 의하여 감음이 일어나는 공조용 흡음팽창형 덕트소음기
KR101937343B1 (ko) 2016-02-26 2019-01-11 김승평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58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6272B1 (de) Geräuschreduzierte Dunstabzugshaube
US9770690B2 (en) Exhaust gas processing apparatus
CN101564631B (zh) 一种烟雾净化设备及系统
JP2771522B2 (ja) 液体気体熱交換型強制通風式冷却装置用減音アセンブリ
KR102062376B1 (ko) 오픈식 디퓨저 구비형 소음기
CN106731266A (zh) 以中空纤维膜为主滤材的大风量净化新风机
JP2017072132A (ja) 防音材を有する翼分離器
KR100864005B1 (ko) 친환경 도로 파도형 탄소 방음판
KR20190008732A (ko) 산업용 멀티형 소음기
KR102257711B1 (ko) 와류형 세정식 집진기
CN107945781A (zh) 一种消声器
CN206950819U (zh) 一种以中空纤维膜为主滤材的大风量净化新风机
CN203812558U (zh) 微孔复合盘式消声器
CN210373630U (zh) 油烟机用外置油烟净化装置
CN209129940U (zh) 一种过滤消声器
CN214307566U (zh) 暖通空调通风系统用消声装置
CN210325191U (zh) 一种无卤素清洗剂生产系统的降噪装置
JP3507103B2 (ja) 排気除害システム
CN215634012U (zh) 一种轴流式消防排烟风机
CN207554441U (zh) 风机进口防尘消声器
KR200225151Y1 (ko) 저소음형 공기 청정장치
KR102030366B1 (ko) 공기 처리 시스템의 흡입 공기의 여과 장치
RU2280171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пуска пневмоклапанов
CN219462855U (zh) 一种带消声的过滤式油雾净化器
CN214936056U (zh) 一种医用制氧机废氮排放消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