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331B1 - Smart solar-tree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solar-tre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331B1
KR102062331B1 KR1020180065407A KR20180065407A KR102062331B1 KR 102062331 B1 KR102062331 B1 KR 102062331B1 KR 1020180065407 A KR1020180065407 A KR 1020180065407A KR 20180065407 A KR20180065407 A KR 20180065407A KR 102062331 B1 KR102062331 B1 KR 102062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ir purification
ground structure
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4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8983A (en
Inventor
송재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65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331B1/en
Priority to PCT/KR2018/010299 priority patent/WO2019235689A1/en
Publication of KR2019013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9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3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24F2003/1653
    • F24F2003/165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6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 F24F2005/006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with photovoltaic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지상구조물을 일정 길이 이상의 폭으로 둘러싸면서 부착되는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에서 상기 지상구조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제1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지상구조물 주변의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제1공기정화블럭; 상기 지상구조물을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와 대칭되는 제2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의 하중과 일정 크기 이내의 하중 차이를 가지는 대칭블럭; 및 상기 지상구조물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으로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솔라트리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the support block is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ground structure in a width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A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at a first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tructur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air around the ground structure; A symmetric block attached to a second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structure, the symmetric block having a load difference within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load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a solar cell coupl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ground structure and supplying power produced using sunlight 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Description

스마트 솔라트리 시스템{SMART SOLAR-TREE SYSTEM}Smart Solar System {SMART SOLAR-TREE SYSTEM}

본 실시예는 지상구조물에 부착되고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솔라트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solar tree technology attached to the ground structure and purifies the air by us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cell.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정화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As social interest in fine dust increases, research on air purification technology for removing fine dus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그런데, 대부분의 공기정화기술은 실내에서의 공기를 정화하는 것에 관련된 것으로 실외에서의 공기를 정화는 것에 관련된 기술은 많지 않다. 일부 실외에서의 공기를 정화하는 제품이 제시되고 있으나, 실내에 사용되는 제품의 크기 혹은 용량만 증가시킨 형태에 지나지 않고 있어, 실외 환경과 실내 환경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most of the air purification techniques are related to the purification of air in the room, and there are not many techniques related to the purification of the air in the open air. Some products for purifying air in the open air have been proposed, but only the size or capacity of the product used in the room is increased, so that it does not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environment and the indoor environment.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실외에서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an object of this embodiment to provide a technique for purifying air outdoor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지상구조물을 일정 길이 이상의 폭으로 둘러싸면서 부착되는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에서 상기 지상구조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제1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지상구조물 주변의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제1공기정화블럭; 상기 지상구조물을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와 대칭되는 제2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의 하중과 일정 크기 이내의 하중 차이를 가지는 대칭블럭; 및 상기 지상구조물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으로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솔라트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embodiment, the support block is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ground structure in a width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A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at a first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tructur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air around the ground structure; A symmetric block attached to a second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structure, the symmetric block having a load difference within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load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a solar cell coupl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ground structure and supplying power produced using sunlight 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상기 지지블럭은 복수의 서브지지블럭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지지블럭을 결합시키는 결합부품은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보다 상기 지상구조물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품이 지렛대의 받침점으로 기능하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 및 상기 대칭블럭의 하중에 비례하는 힘이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지상구조물의 접촉면 중 하측에서 상기 지상구조물 방향으로 상기 지지블럭을 밀어내도록 가해지면서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지상구조물 사이의 결합력이 상승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ub support blocks, and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sub support blocks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ground structure than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The coupling part functions as a support point of the lever, and a force proportional to the load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ymmetrical block is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structure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pport block and the ground structur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block and the ground structure may be increased while being pushed out.

상기 지지블럭에서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는 하측이 막혀 있고 상측이 열려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는 및 상기 대칭블럭은 결합부품없이 상기 안착홈을 통해 상기 지지블럭에 안착될 수 있다.In the support block,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have a seating groove having a lower side closed and an open upper side, wherein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ymmetrical block are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without the coupling part. Can be seated on

상기 대칭블럭은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공기정화블럭이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 및 상기 제2공기정화블럭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ymmetric block is a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store some or all of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cell. It may include an energy storage device.

상기 대칭블럭은 에너지저장블럭이고, 상기 에너지저장블럭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저장블럭의 하중이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의 하중과 일정 크기 이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무게 혹은 용량이 결정될 수 있다.The symmetric block is an energy storage block, the energy storage block includes an energy storage device for storing some or all of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the load of the energy storage block is the load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The weight or capac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may be determined to fall within a predetermined size.

상기 지지블럭은 상하측으로 개방되는 4개의 개구부 및 각각의 상기 개구부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 및 상기 대칭블럭의 몸체는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된 안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블럭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4개의 개구부 중 제1개구부에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이 위치하고, 제2개구부에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는 제1에너지저장블럭이 위치하고, 상기 제1개구부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3개구부에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과 동일한 구성의 제2공기정화블럭이 위치하고, 상기 제2개구부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4개구부에 상기 제1에너지저장블럭과 동일한 구성의 제2에너지저장블럭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과 상기 안착돌기에 위치하는 전기커넥터를 통해 상기 지지블럭 내의 배선과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블럭 내의 배선으로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includes four openings that open upward and downward and seating grooves formed in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of the openings, and the body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ymmetrical block is positioned in the opening and protrudes from the body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 seating protrusion may be seated on the support block while being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is located at a first opening of the four openings, and a first energy storage block is located at a second opening to store some or all of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cell. The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is located at the third opening located opposite to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nergy storage block is located at the fourth opening located opposite the second opening. The second energy storage block of the configuration may be located. The wiring in the support block and the wiring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ed at the seating recess and the seating protrusion, and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is connected to the wiring in the support block. Can be supplied.

상기 솔라트리 시스템은, 상기 지상구조물을 둘러싸면서 부착되고, 상기 태양전지를 지지하는 지지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전지삽입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olar tre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olar cell insertion block attached to the ground structure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upporting rod for supporting the solar cell is inserted.

다른 실시예는, 지상구조물을 둘러싸면서 부착되는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에 안착되고, 상기 지상구조물 주변의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정화블럭; 및 상기 지상구조물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으로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블럭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흡입로, 상기 흡입로와 벗어난 경로에 위치하면서 상기 흡입로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로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로를 통해 낙하하는 고중량먼지가 적층되는 먼지적층부를 포함하는 솔라트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block is attached to surround the ground structure; At least one air purification block seated on the support block and configured to purify and discharge air around the ground structure; And a solar cell coupl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ground structure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produced using sunlight 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wherein the air purification block is an intake formed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A solar tree system including a suction fan positioned in a path away from the suction path and inducing air to flow into the suction path, and a dust lamination part disposed under the suction path and having heavy dust falling through the suction path. To provide.

상기 흡입팬은 상기 흡입로의 배치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The suction fan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uction path.

상기 흡입로의 내벽으로 플라즈마 방식의 전기집진기가 배치될 수 있다.A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passage.

상기 먼지적층부에 탈착형의 먼지수납기가 위치하고, 상기 고중량먼지는 상기 먼지수납기에 적층될 수 있다.A detachable dust storage unit is located in the dust stacking unit, and the heavy dust may be stacked in the dust storage unit.

상기 흡입팬의 상측으로 에너지저장장치를 수납하는 수납칸이 위치하고, 상기 수납칸이 상기 흡입팬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A storage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an energy storage device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fan, and the storage compartment may cover an upper side of the suction fan.

상기 흡입팬은 정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흡입로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먼지적층부 혹은 상기 흡입로로 공기의 흐름을 일으켜 상기 먼지적층부 혹은 상기 흡입로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suction fan introduces air into the suction passage through the forward rotation, and causes air flow to the dust stacking portion or the suction passage through the reverse rotation, there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dust stacking portion or the suction passage to the outside. Can be discharged.

상기 솔라트리 시스템은 상기 공기정화블럭, 상기 흡입로, 상기 먼지적층부 혹은 상기 전기집진기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olar tre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air purifying block, the suction passage, the dust stacking unit, or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외 환경에 적합하게 작동하는 스마트 솔라트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실외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정화된 공기를 최적의 효율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a smart solar system that operates properly in an outdoor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upply purified air to people who operate outdoors at optimum efficienc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트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럭과 기능블럭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럭과 기능블럭이 결합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태양전지삽입블럭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트리 시스템의 전기 배선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블럭의 구성도이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트리 시스템이 도로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트리 시스템이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lar tre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block and a functional block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4 is a top view of a state in which a support block and a functional block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lar cell and a solar cell insertion block coup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6 is an electrical diagram of a solar tre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c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lar tree system installed at a roadsi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solar tree system is installed at a bus sto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이하에서는 솔라트리 시스템으로 호칭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이러한 호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호칭을 사용하고자 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escribed below as a solar tre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names, but such names are intended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솔라트리는 태양전지(solar cell)와 나무(tree)의 합성어로 이해될 수 있다. 나무는 태양광으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고, 그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람들에게 유익한 공기-예를 들어, 산소가 많이 포함된 공기나 정화된 공기 등-를 제공하는데, 후술하는 솔라트리 시스템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으로부터 에너지-예를 들어, 전력-를 획득하고, 그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람들에게 유익한 공기-예를 들어, 미세먼지 등을 정화한 공기 등-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나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상의 유사점에 착안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솔라트리 시스템으로 호칭할 수 있다.Solar tree can be understood as a compound word of solar cell and tree. Trees obtain energy from sunlight and use that energy to provide beneficial air to people, such as oxygen-rich air or purified air, etc. The solar system described below uses solar cells. Perform energy similar to trees in terms of obtaining energy—for example, power—from sunlight, and using that energy to provide beneficial air to people, for example, air that purifies fine dust, etc. It can be said that. In view of these functional similarities,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olar tree system.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트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lar tre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지지블럭(110), 기능블럭(120), 태양전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상구조물(10)이 솔라트리 시스템(100)과 함께 도시되고 있는데, 지상구조물(10)은 솔라트리 시스템(100)의 일 구성이 될 수도 있고, 솔라트리 시스템(100)에 포함되지 않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include a support block 110, a function block 120, a solar cell 130, and the lik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ground structure 10 is shown together with the solar tree system 100, and the ground structure 10 may be a configuration of the solar tree system 100, and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is not included.

지상구조물(10)은 지상에 기립하여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예를 들어, 가로등, 교통안내시설물 등과 같이 기둥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The ground structure 10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standing on the ground, for example,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a pillar-shaped body, such as a street lamp, traffic guide facilities.

지지블럭(110)은 지상구조물(10)에 부착되면서 기능블럭(12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블럭(110)은 지상구조물(10)의 기둥형태의 몸체를 둘러싸면서 부착되고, 기능블럭(120)이 지상구조물(10)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도록 기능블럭(120)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110 may be attached to the ground structure 10 to support the functional block 120. For example, the support block 110 is attached surrounding the columnar body of the ground structure 10, and supports the functional block 120 so that the functional block 12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ground structure 10. can do.

기능블럭(120)은 솔라트리 시스템(100)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구성의 일부를 포함하는 블럭으로, 예를 들어, 공기정화블럭, 에너지저장블럭, 대칭블럭 등이 기능블럭(120)에 해당될 수 있다. 기능적으로, 공기정화블럭은 지상구조물(10)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에너지저장블럭은 태양전지(130)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대칭블럭은 지지블럭(110)에 부착되는 블럭에 의한 하중의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unction block 120 is a block including a part of a configuration requi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olar tree system 100. For example, the air purification block, the energy storage block, and the symmetric block may correspond to the function block 120. Can be. Functionally, the air purification block performs a function of purifying and discharging the polluted air around the ground structure 10, and the energy storage block stores a part or all of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130. And, the symmetric block may perform a function of balancing the load by the block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110.

기능블럭(120)은 지지블럭(110)에 부착되면서 지지블럭(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function block 12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lock 110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110.

지지블럭(110)은 일정 길이 이상의 폭으로 지상구조물(10)을 둘러쌀 수 있다-여기서, 폭은 상하측 폭을 의미하며, 상하측은 지상구조물(10)의 길이방향 혹은 중력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음-.The support block 110 may surround the ground structure 10 in a width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wherein, the width means an upper and lower width,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understoo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ground structure 10. has exist-.

그리고, 기능블럭(120)은 지지블럭(110)에서 지상구조물(10)과의 접촉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기능블럭(120)이 지지블럭(110)을 누르는 힘-예를 들어, 하중-은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지지블럭(110)을 지상구조물(10)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는데, 이러한 힘에 의해 지지블럭(110)과 지상구조물(10)의 결합력이 상승하게 된다.The function block 120 may be attach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ground structure 10 in the support block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force that the function block 120 presses the support block 110-for example, the load-acts as a force for pushing the support block 110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 coupling force of the support block 110 and the ground structure 10 is increased by the force.

기능블럭(120)은 결합부품없이 지지블럭(110)에 안착될 수 있다. 결합부품은 예를 들어, 볼트/너트와 같은 것일 수 있다. 기능블럭(120)은 이러한 결합부품없이 일부 외곽면이 지지블럭(120)에 의해 지지되면서 지지블럭(110)에 안착될 수 있다. 기능블럭(120)은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지지블럭(120)에 안착될 수 있고, 지지블럭(110)은 전술한 것과 같이 기능블럭(120)이 지지블럭(110)을 누르는 힘에 의해 지상구조물(10)의 결합력이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기능블럭(120)이 지상구조물(10)의 일정 높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The function block 120 may be seated on the support block 110 without a coupling part. The coupling part can be, for example, a bolt / nut. The function block 120 may be seated on the support block 110 while some outer surface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lock 120 without such a coupling part. The functional block 120 may be seated on the support block 120 by such a structure, and the support block 110 may be ground-structured by the force that the functional block 120 presses on the support block 110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force of 10) may increase. And, accordingly, the functional block 120 can be stably dispos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ground structure (10).

태양전지(130)는 지상구조물(10)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The solar cell 130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ground structure 10, and may generate power using solar light.

태양전지(130)는 지상구조물(10)에 직접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태양전지삽입블럭(140)을 통해 지상구조물(1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solar cell 13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ground structure 10, and may be indirectly coupled to the ground structure 10 through the solar cell insertion block 140 as shown in FIG. 1.

태양전지삽입블럭(140)은 지상구조물10)을 둘러싸면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삽입블럭(1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태양전지(130)를 지지하는 지지봉이 이러한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태양전지(130)가 태양전지삽입블럭(14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olar cell insertion block 140 may be attached to surround the ground structure 10. At least one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solar cell insertion block 140. The support rod for supporting the solar cell 1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o that the solar cell 130 is inserted into the solar cell insertion block 140. Can be coupled to.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실외에 설치되면서 실외의 공기를 정화하여 사람들에게 공급하기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The solar tree system 100 is installed outdoors to purify the outdoor air and has a feature that is easy to supply to people.

먼저, 실외에서는 전력의 수급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데,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태양전지(130)를 이용하여 전력을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물론, 지상구조물(10)이 가로등과 같은 구조물인 경우,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할 수 있으나, 지상구조물(10)의 관리 주체와 솔라트리 시스템(100)의 관리 주체가 서로 다른 경우, 지상구조물(10)에 공급되는 전력을 함부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지상구조물(10)과 솔라트리 시스템(100)이 전력을 공유하는 것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 있다.First, outdoor supply and demand of power may not be easy, and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produce power by itself using the solar cell 130 held therein. Of course, when the ground structure 10 is a structure such as a street light, the power supplied to the street light may be used, but when the management of the ground structure 10 and the management of the solar tree system 1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ground structure Since the power supplied to 10 may not be used indiscriminately, there may be a certain limit in sharing power between the ground structure 10 and the solar tree system 100.

그리고,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럭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조와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각 구성 사이의 별도의 결합부품없이 각 구성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블럭(120)은 별도의 결합부품없이 지지블럭(110)에 부착될 수 있고, 태양전지(130)도 별도의 결합부품없이 태양전지삽입블럭(14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결합력을 더 강화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결합부품을 이용하여 각 구성을 결합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결합력의 강화가 필요없는 경우에서는 결합부품없이 각 구성을 결합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트리 시스템(100)의 특징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lar tree system 100 has a block shap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be easi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combine each component without a separate coupling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 120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110 without a separate coupling part, and the solar cell 130 may also be coupled to the solar cell insertion block 140 without a separate coupling part. Of course, each component can be combined using additional coupling parts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coupling force, but in the case where it is not necessary to reinforce the coupling force, it is possible to combine each component without the coupling component. It may be a feature of 100.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럭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블럭(110)은 둘 이상의 개구부(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20a, 220b)는 상하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데, 여기서, 상하측은 지상구조물(10)의 길이방향 혹은 중력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upport block 110 may include two or more openings 220a and 220b. The openings 220a and 220b have a form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understoo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ground structure 10.

지지블럭(110)에서 개구부(220a, 220b)의 좌우측으로 안착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30)은 하측이 막혀 있고, 상측이 열려 있으며, 지상구조물(10)의 길이방향과 수직된 평면에서 볼 때, 개구부(220a, 220b)를 향하는 방향은 열려 있고, 다른 방향은 막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좌우측은 상하측에 수직된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Mounting grooves 230 may b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s 220a and 220b in the support block 110. The seating recess 230 has a lower side closed, an upper side opened, and when view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und structure 10, the direction toward the openings 220a and 220b is open and the other direction is blocked. Can be. 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기능블럭(120)의 몸체(121)는 개구부(220a, 220b)에 위치하고, 기능블럭(120)의 몸체(121)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된 안착돌기(122)가 안착홈(230)에 위치하면서 기능블럭(120)이 지지블럭(110)에 안착될 수 있다.The body 121 of the function block 120 is located in the openings 220a and 220b, and the seating protrusion 122 protruding from the body 121 of the function block 120 to the left and right is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 230. The block 120 may be seated on the support block 110.

기능블럭(120)은 별도의 결합부품없이 지지블럭(1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기능블럭(120)과 지지블럭(11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전기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커넥터는 안착홈(230)과 안착돌기(122)에 위치할 수 있는데, 기능블럭(120) 내의 배선과 지지블럭(110) 내의 배선은 이러한 전기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은 지지블럭(110) 내의 배선으로 공급될 수 있는데, 기능블럭(120)은 전술한 전기커넥터를 통해 지지블럭(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이러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 12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110 without a separate coupling component, but an electrical connector may be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unctional block 120 and the support block 110. The electrical connector may be located in the seating recess 230 and the seating protrusion 122. The wiring in the functional block 120 and the wiring in the support block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may be supplied to the wiring in the support block 110. The function block 120 may be supplied with the power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110 through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onnector.

지지블럭(110)의 가운데에는 지상구조물(10)이 관통하는 관통부(240)가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240)의 형상은 지상구조물(10)의 외곽 형상과 동일 혹은 유사할 수 있다.A through part 240 through which the ground structure 10 penetrates may be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block 110. The shape of the through part 240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outer shape of the ground structure 10.

지지블럭(110)은 복수의 서브지지블럭(210a, 210b)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110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ub support blocks 210a and 210b.

각각의 서브지지블럭(210a, 210b)은 결합부품(25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품(250)은 예를 들어, 볼트 및/혹은 너트일 수 있다.Each of the sub support blocks 210a and 210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component 250. Coupling component 250 may be, for example, a bolt and / or a nut.

개구부(220a, 220b)는 각각의 서브지지블럭(210a, 210b) 내에 형성되거나 두 개의 서브지지블럭(210a, 210b)이 결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개구부(220a)는 제1서브지지블럭(210a) 내에 형성되고, 제2개구부(220b)는 제1서브지지블럭(210a)과 제2서브지지블럭(2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서브지지블럭(210a, 210b) 내에 각각 하나의 개구부(220a)가 형성되고, 각각의 서브지지블럭(210a, 210b)의 결합에 의해 두 개의 개구부(220b)가 형성되는 경우, 지지블럭(110)에는 총 4개의 개구부(220a, 220b)가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s 220a and 220b may be formed in the respective sub support blocks 210a and 210b or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two sub support blocks 210a and 210b. For example, the first opening 220a is formed in the first sub support block 210a, and the second opening 220b is coupled to the first sub support block 210a and the second sub support block 210b. It can be formed by. As shown in FIG. 2, one opening 220a is formed in each of the sub support blocks 210a and 210b, and two openings 220b ar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respective sub support blocks 210a and 210b. When formed, a total of four openings 220a and 220b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block 110.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럭과 기능블럭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block and a functional block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제1기능블럭(120a)은 지상구조물(10)로부터 제1거리(D1)로 이격된 제1위치에서 제1서브지지블럭(210a)에 부착될 수 있고, 제2기능블럭(120b)은 지상구조물(10)로부터 제2거리(D2)로 이격된 제2위치에서 제2서브지지블럭(210b)에 부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sub support block 210a at a first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tructure 10 by a first distance D1, and a second function may be performed. The block 120b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sub support block 210b at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tructure 10 by a second distance D2.

제1기능블럭(120a)의 하중(F1)과 제2기능블럭(120b)의 하중(F2)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혹은 제1기능블럭(120a)의 하중(F1)과 제2기능블럭(120b)의 하중(F2)은 일정 크기 이내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제1위치와 제2위치는 지상구조물(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일 수 있는데, 제1기능블럭(120a)의 하중(F1)과 제2기능블럭(120b)의 하중(F2)이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함으로써 지상구조물(10)에 부착되는 솔라트리 시스템의 하중이 균등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load F1 of 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and the load F2 of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lternatively, the load F1 of 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and the load F2 of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may have a difference within a predetermined size.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ay be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structure 10. The load F1 of 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and the load F2 of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are By the same or similar to each other, the load of the solar tree system attached to the ground structure 10 can be evenly disposed.

제1기능블럭(120a)은 지상구조물(10) 주변의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공기정화블럭으로서 내부에 공기정화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일정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제2기능블럭(120b)이 제1기능블럭(120a)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 예를 들어, 제2기능블럭(120b) 또한 공기정화블럭인 경우, 제1기능블럭(120a)과 제2기능블럭(120b)의 하중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may include an air purifying device therein as an air purifying block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air around the ground structure 10, and the air purifying device may have a constant weight. When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for example, when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is also an air purification block, 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and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are the same. The load of the functional block 120b may be maintained substantially the same.

제1기능블럭(120a)은 공기정화블럭이고, 제2기능블럭(120b)은 대칭블럭일 수 있다. 여기서, 대칭블럭은 지상구조물(10)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있는 기능블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중을 가지는 기능블럭으로서, 하중의 균형을 위해 일정한 하중만 가지고 있는 블럭일 수도 있고, 공기정화블럭 혹은 에너지저장블럭과 같이 일정한 하중을 가지면서 다른 기능을 더 수행하는 블럭일 수도 있다.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may be an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may be a symmetric block. Here, the symmetric block is a functional block having a load tha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unctional block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structure 10, and may be a block having only a constant load for balancing the load, or an air purifying block or Like an energy storage block, it may be a block having a constant load and performing other functions.

제1기능블럭(120a)은 제1공기정화블럭이고 대칭블럭으로서의 제2기능블럭(120b)은 제1공기정화블럭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공기정화블럭일 수 있다. 이때, 제1공기정화블럭 및 제2공기정화블럭은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공기정화블럭 내에 에너지저장블럭의 기능이 합쳐져 있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may be a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as a symmetric block may be a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In this case,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may include an energy storage device that stores some or all of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This type can be considered to be a form in which the functions of the energy storage block are combined in the air purification block.

제1기능블럭(120a)은 공기정화블럭이고 대칭블럭으로서의 제2기능블럭(120b)은 에너지저장블럭일 수 있다. 에너지저장블럭은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에너지저장블럭의 하중은 에너지저장장치의 무게 혹은 용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저장블럭의 하중은 공기정화블럭의 하중과 일정 크기 이내에 해당되도록 에너지저장장치의 무게 혹은 용량이 결정될 수 있다. 에너지저장장치에 포함되는 배터리는 일정한 에너지밀도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면 그에 비례하여 배터리의 무게가 증가하고, 배터리의 용량을 감소시키면 그에 비례하여 배터리의 무게가 감소할 수 있다.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may be an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as a symmetric block may be an energy storage block. The energy storage block may include an energy storage device that stores some or all of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In this form, the load of the energy storage block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r capac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For example, the weight or capac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load of the energy storage block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size with the load of the air purification block. Batteries includ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may have a constant energy density. Increasing the capacity of such a battery increases the weight of the battery in proportion to it, and decreas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reduces the weight of the battery in proportion. .

한편, 제1서브지지블럭(210a)과 제2서브지지블럭(210b)은 결합부품(250)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결합부품(250)은 기능블럭(120a, 120b)보다 지상구조물(10)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부품(250)은 지렛대의 받침점으로 기능할 수 있는데, 제1기능블럭(120a) 및 제2기능블럭(120b)의 하중(F1, F2)에 비례하는 힘(F3, F4)이 서브지지블럭(210a, 210b)과 지상구조물(10)의 접촉면 중 하측에서 지상구조물(10) 방향으로 서브지지블럭(210a, 210b)을 밀어내도록 가해지면서 서브지지블럭(210a, 210b)과 지상구조물(10) 사이의 결합력, 그리고, 서브지지블럭(210a, 210b) 사이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sub support block 210a and the second sub support block 210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part 250.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250 is more ground than the functional blocks 120a and 120b. I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tructure 10.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250 may function as a support point of the lever, and the forces F3 and F4 proportional to the loads F1 and F2 of the first functional block 120a and the second functional block 120b are The sub support blocks 210a and 210b are applied to push the sub support blocks 210a and 210b toward the ground structure 10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 support blocks 210a and 210b and the ground structure 10. Coupling force between the (10),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ub support blocks (210a, 210b) can be raised.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럭과 기능블럭이 결합된 상태의 상면도이다.4 is a top view of a state in which a support block and a functional block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블럭(110)에는 4개의 기능블럭(120a, 120b, 120c, 120d)이 4방으로 부착될 수 있다. 지지블럭(110)에는 4개의 개구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4개의 개구부 중 제1개구부에 제1공기정화블럭이 위치하고, 제2개구부에 제1에너지저장블럭이 위치하고, 제1개구부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3개구부에 제1공기정화블럭과 동일한 구성의 제2공기정화블럭이 위치하고, 제2개구부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4개구부에 제1에너지저장블럭과 동일한 구성의 제2에너지저장블럭이 위치하면서 하중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four functional blocks 120a, 120b, 120c, and 120d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110 in four directions. The support block 110 may include four openings, wherein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is located at the first opening of the four openings, the first energy storage block is located at the second opening, and is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is located at the third opening, and the second energy storage block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nergy storage block is disposed at the fourth opening locat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opening. Positioning can balance the load.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와 태양전지삽입블럭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lar cell and a solar cell insertion block coup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태양전지삽입블럭(140)에는 삽입홀(520), 관통홀(530), 결합홀(540) 등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insertion hole 520, a through hole 530, a coupling hole 540, and the like may be formed in the solar cell insertion block 140.

태양전지삽입블럭(1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52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삽입홀(520)에는 태양전지(130)를 지지하는 지지봉(132)이 삽입될 수 있다.At least one insertion hole 520 may be formed in the solar cell insertion block 140, and the support rod 132 supporting the solar cell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20.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봉(132)이 삽입되는 삽입홀(520)과 지상구조물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삽입홀(520)에는 태양전지(130)의 하중과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다른 구조물이 삽입될 수 있다. 다른 구조물은 예를 들어, 하중만 가지는 구조물일 수도 있고, 전등, 교통안내표지판 등 태양전지(130)와 유사한 하중을 가지는 구조물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sertion hole 520 in which the support rod 132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hole 520 symmetric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structure have another structure that can be balanced with the load of the solar cell 130. Can be inserted. The other structure may be, for example, a structure having only a load, or a structure having a load similar to that of the solar cell 130 such as a light or a traffic sign.

관통홀(530)에는 지상구조물이 삽입되고, 관통홀(530)의 형상은 지상구조물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The ground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30, and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530 may be similar to that of the ground structure.

태양전지삽입블럭(140)은 복수의 서브삽입블럭(510a, 510b)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서브삽입블럭(510a, 510b)을 결합시키기 위해 각각의 서브삽입블럭(510a, 510b)에는 결합홀(54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540)에는 결합부품-예를 들어, 볼트-이 삽입되면서 두 개의 서브삽입블럭(510a, 510b)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solar cell insertion block 14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insertion blocks 510a and 510b. Each of the sub-insertion blocks 510a and 510b has a coupling hole in order to couple the sub-insertion blocks 510a and 510b. 540 may be formed. Two sub-insertion blocks 510a and 510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a coupling part, for example, a bol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40.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트리 시스템의 전기 배선도이다.6 is an electrical diagram of a solar tre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직류형태의 전력이 내부 배선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direct current type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an internal wiring.

태양전지(130)에서 생산된 전력은 (+)배선과 (-)배선을 통해 각각 지지블럭(1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지지블럭(110)이 서브지지블럭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태양전지(130)에서 생산된 전력은 (+)배선과 (-)배선을 통해 각각의 서브지지블럭으로 모두 공급될 수 있다.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130 may be supplied to the support block 110 through the (+) wiring and the (-) wiring, respectively. When the support block 110 is divided into sub support blocks,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cell 130 may be supplied to each sub support block through the positive wiring and the negative wiring.

지지블럭(110)의 안착홈에는 제1전기커넥터(118a, 118b)가 위치할 수 있고, 기능블럭(120)의 안착돌기에는 제2전기커넥터(128a, 128b)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전기커넥터(118a, 118b)는 암커넥터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전기커넥터(128a, 128b)는 수커넥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1전기커넥터(118a, 118b)는 수커넥터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전기커넥터(128a, 128b)는 암커넥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혹은 제1전기커넥터(118a, 118b)와 제2전기커넥터(128a, 128b)는 모두 돌출되지 않는 평평한 형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ical connectors 118a and 118b may be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s of the support block 110,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s 128a and 128b may be located in the seating protrusions of the functional block 120. The first electrical connectors 118a and 118b may have the shape of a female connector,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s 128a and 128b may have the shape of a male connector. On the contrary, the first electrical connectors 118a and 118b may have the shape of a male connector,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s 128a and 128b may have the shape of a female connector. Alternatively, both the first electrical connectors 118a and 118b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s 128a and 128b may be configured as flat electrodes that do not protrude.

지지블럭(110)에서 개구부의 일측에는 (+)제1전기커넥터(118a)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제1전기커넥터(118b)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블럭(120)에서는 (+)제1전기커넥터(118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전기커넥터(128a)가 위치하고, (-)제1전기커넥터(118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전기커넥터(128b)가 위치할 수 있다.In the support block 110, a positive first electrical connector 118a may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and a negative first electrical connector 118b may be positioned at the other side thereof. In the function block 120, a (+)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28a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 first electrical connector 118a,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 first electrical connector 118b. A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28b may be positioned at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or 128b.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블럭의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c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정화블럭(700)은 전기집진기(710), 흡입로(720), 먼지적층부(730), 흡입팬(7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air purification block 700 may include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710, a suction path 720, a dust stacking part 730, a suction fan 740, and the like.

외부에서 흡입구(7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1차적으로 흡입로(720)의 내벽에 배치되는 전기집진기(710)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전기집진기(710)는 플라즈마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나, 다른 방식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722 from the outside may be purified b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10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path 720.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10 may be operated in a plasma manner, but may also be operated in other manners.

전기집진기(710)에 부착되지 않는 고중량의 먼지는 중력에 의해 흡입로(720)의 경로를 따라 낙하하면서 흡입로(7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먼지적층부(730)에 적층될 수 있다.The heavy dust that is not attached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10 may be stacked on the dust stacking part 730 positioned below the suction path 720 while falling along the path of the suction path 720 by gravity.

먼지적층부(730)에는 탈착형의 먼지수납기(732)가 위치할 수 있는데, 고중량의 먼지는 먼지수납기(732)에 적층되고, 일정한 주기로 관리자 혹은 전자동장치에 의해 먼지수납기(732)에 적층된 고중량의 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In the dust stacking unit 730, a removable dust container 732 may be located. The heavy dust is stacked on the dust container 732, and is stacked on the dust container 732 by a manager or a fully automatic device at regular intervals. Heavy dust can be removed.

흡입팬(740)은 흡입로(720)와 벗어난 경로에 위치하면서 흡입로(720)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흡입로(720)는 중력방향과 나란한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흡입팬(740)은 이러한 상하방향의 흡입로(720)의 일측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팬(740)이 흡입로(720)의 경로상에 위치하면 흡입팬(740)에 고중량의 먼지가 적층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와 같이 흡입팬(740)이 흡입로(720)와 벗어난 경로에 위치하면 흡입로(720)로 유입되는 고중량의 먼지는 흡입로(7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먼지적층부(730)에 적층되고 흡입팬(740)으로는 유입되지 않거나 적은 양만 유입될 수 있다.The suction fan 740 may be positioned in a path away from the suction path 720 to induce air to flow into the suction path 720. The suction path 720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gravity direction, and the suction fan 740 may be located in one side direction of the suction path 720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uction fan 740 is positioned on the path of the suction path 720, heavy dust may be stacked on the suction fan 740. The suction fan 740 is separated from the suction path 720 as in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placed in the path, the heavy dust flowing into the suction path 720 may be stacked on the dust stacking part 730 located below the suction path 720 and may not flow into the suction fan 740 or only a small amount may flow into the suction path 720. have.

흡입팬(740)은 흡입로(720)의 배치 방향 혹은 중력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흡입팬(740)으로의 공기 유입 방향이 중력 방향과 나란하면 흡입팬(740)에 오염 물질이 적층되기 쉬운데, 일 실시예와 같이 흡입팬(740)이 흡입로(720)의 배치 방향 혹은 중력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기울어져 있는 경우, 흡입팬(740)에 적층되는 오염 물질의 양이 적을 수 있다.The suction fan 74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suction path 720. When the inflow direction of the air into the suction fan 740 is parallel to the gravity direction, contaminants are easily stacked on the suction fan 740. As 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fan 740 is disposed in the suction path 720 or gravity. When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the amount of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suction fan 740 may be small.

흡입팬(740)의 상측으로는 에너지저장장치(770)를 수납하는 수납칸(760)이 위치할 수 있다. 수납칸(760)은 흡입팬(74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기울어진 흡입팬(740)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수납칸(760)에 부딪친 후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An upper side of the suction fan 740 may include a storage compartment 760 for storing the energy storage device 770. The storage compartment 760 ma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fan 740, so that the air mov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y the inclined suction fan 740 may move to the lower side after hitting the storage compartment 760. .

그리고, 수납칸(760)의 하측에는 배출구(750)가 위치하면서, 수납칸(760)에 부딪친 공기가 배출구(750)를 통해 공기정화블럭(700)의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outlet 750 is positioned below the storage compartment 760, the air hit by the storage compartment 76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cation block 700 through the outlet 750.

한편, 흡입팬(740)은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흡입팬(74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흡입로를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흡입로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흡입팬(74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지적층부 및/혹은 흡입로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와 반대 방향이 되기 때문에 먼지적층부 및/혹은 흡입로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uction fan 740 may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may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suction fan 74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path, and when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path. At this time, when the suction fan 74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ir flow may occur in the dust stacking unit and / or the suction path, and since the air flow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when the air flow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dust stacking unit and / or Alternatively,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suction passag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실외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는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는데, 전술한 흡입팬(740)의 작동 방법에 따라 사람이 많은 주간 시간에서는 솔라트리 시스템이 공기정화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람이 적은 야간 시간에는 자체적으로 내부를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installed outdoors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uction fan 740 described above, the solar tree system performs the function of air purifying and the night time is low when there are many people. There is a function to clean the inside itself.

한편, 공기정화블럭(700)은 공기정화블럭(700) 전체, 흡입로(720), 먼지적층부(730) 혹은 전기집진기(710) 등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각 구성에 적층되는 먼지를 좀더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솔라트리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cation block 700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not shown)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entire air purification block 700, the suction path 720, the dust stacking portion 730 or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1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move the dust stacked on each structure. And, this makes it easier to maintain the solar system.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트리 시스템이 도로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lar tree system installed at a roadsi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도로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도로변의 가로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솔라트리 시스템(100)이 가로등에 설치되는 경우, 솔라트리 시스템(100)에서 생산된 전력을 가로등의 구동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solar tree systems 100 may be installed on the roadside. At this time,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be installed in the street light of the roadside. When the solar tree system 100 is installed in the street lamp,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be used as driving power of the street lamp.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트리 시스템이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solar tree system is installed at a bus sto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버스정류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버스정류장 구조물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be installed at a bus stop. At this time,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be attached to the bus station structure.

솔라트리 시스템(100)이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경우, 솔라트리 시스템(100)에서 생산된 전력을 버스정류장 전자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솔라트리 시스템(100)은 도착시간 알림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When the solar tree system 100 is installed at the bus station,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be supplied to the bus station electronics. For example,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be an arrival time notification device. Can supply power

혹은 솔라트리 시스템(100)이 기능블럭으로서 도착시간 알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include an arrival time notification device as a function block.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솔라트리 시스템(100)의 기능블럭으로서 주로 공기정화블럭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기능블럭은 이외에도, 공기유동블럭, 냉난방블럭, 해충퇴치블럭, 휴대폰충전장치블럭, 방향블럭 등이 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block has been mainly described as a functional block of the solar tree system 100.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block, the air flow block, the air conditioning block, the pest control block,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block, the direction block, etc. This can be

공기유동블럭은 선풍기와 유사하게 사람들에게 바람을 공급해 줄 수 있는 블럭으로서 내부에 팬을 포함할 수 있고, 냉난방블럭은 온열기 혹은 냉열기와 같이 냉난방된 공기를 사람들에게 공급해 줄 수 있는 블럭으로서 내부에 온열장치 혹은 냉열장치와 팬을 포함할 수 있다. 해충퇴치블럭은 해충기피제 혹은 해충살충제의 성분이 포함된 공기를 지상구조물의 주변으로 살포할 수 있는 블럭으로 내부에 해충기피제 살포기 혹은 해충살충제 살포기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flow block is a block that can supply people with wind, similar to a fan, and can include a fan inside. An air-conditioning block is a block that can supply people with cooled and heated air such as a heater or a heater. It may include a device or a cooling device and a fan. Pest control block is a block that can spray the pest repellent or the air containing the pesticide components to the periphery of the ground structure may include a pest repellent spreader or pesticide spreader inside.

그리고, 휴대폰충전장치블럭은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휴대폰충전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해 줄 수 있는 블럭으로,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방향블럭은 피톤치드와 같이 사람에게 유익한 성분을 포함한 공기를 공급하는 블럭으로 방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charger block is a block that can be supplied by converting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into the mobile phone charging voltage, may include a power converter, the directional block contains air containing components beneficial to humans, such as phytoncide The supplying block may include a fragrance device and the like.

솔라트리 시스템(100)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기능블럭이 배치되면서 지상구조물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The solar tree system 100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to people located around the ground structure while a plurality of different functional blocks are arrang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외 환경에 적합하게 작동하는 스마트 솔라트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실외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정화된 공기를 최적의 효율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a smart solar system that operates properly for an outdoor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upply purified air to people who operate outdoors at optimum efficiency.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thu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지상구조물을 일정 길이 이상의 폭으로 둘러싸면서 부착되는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에서 상기 지상구조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제1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지상구조물 주변의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제1공기정화블럭;
상기 지상구조물을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와 대칭되는 제2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의 하중과 일정 크기 이내의 하중 차이를 가지는 대칭블럭; 및
상기 지상구조물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으로 공급하는 태양전지
를 포함하는 솔라트리 시스템.
A support block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ground structure with a width over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at a first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tructur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air around the ground structure;
A symmetric block attached to a second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structure, the symmetric block having a load difference within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load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A solar cell coupl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ground structure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produced using sunlight 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Solar tree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복수의 서브지지블럭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지지블럭을 결합시키는 결합부품은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보다 상기 지상구조물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block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ub support blocks,
And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sub support blocks is located closer to the ground structure than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품이 지렛대의 받침점으로 기능하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 및 상기 대칭블럭의 하중에 비례하는 힘이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지상구조물의 접촉면 중 하측에서 상기 지상구조물 방향으로 상기 지지블럭을 밀어내도록 가해지면서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지상구조물 사이의 결합력이 상승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part functions as a support point of the lever,
A force proportional to the load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ymmetric block is applied to push the support block toward the ground structure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ground structure, between the support block and the ground structure. Solar tree system to increase the bond strength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에서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는 하측이 막혀 있고 상측이 열려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는 및 상기 대칭블럭은 결합부품없이 상기 안착홈을 통해 상기 지지블럭에 안착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upport block, a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lower side of which is blocked and the upper side of which is opened.
And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ymmetric block are seated on the support block through the seating groove without coupling pa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블럭은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공기정화블럭이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 및 상기 제2공기정화블럭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ymmetric block is a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solar tree system including an energy storage device for storing some or all of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블럭은 에너지저장블럭이고,
상기 에너지저장블럭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저장블럭의 하중이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의 하중과 일정 크기 이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에너지저장장치의 무게 혹은 용량이 결정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ymmetric block is an energy storage block,
The energy storage block includes an energy storage device for storing some or all of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cell,
And a weight or capac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determined such that the load of the energy storage block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size with the load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상하측으로 개방되는 4개의 개구부 및 각각의 상기 개구부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 및 상기 대칭블럭의 몸체는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된 안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블럭에 안착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block includes four openings that are opened up and down and seating grooves formed in each of the openings left and right,
The body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nd the symmetric block is located in the opening and the mounting projection protruding left and right from the body is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 and the solar tree system is seated on the support blo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개구부 중 제1개구부에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이 위치하고, 제2개구부에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는 제1에너지저장블럭이 위치하고, 상기 제1개구부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3개구부에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과 동일한 구성의 제2공기정화블럭이 위치하고, 상기 제2개구부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4개구부에 상기 제1에너지저장블럭과 동일한 구성의 제2에너지저장블럭이 위치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is located at the first opening of the four openings, and a first energy storage block is located at the second opening to store some or all of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cell. The second air purification block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is located in the third opening located at the side, an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nergy storage block is located in the fourth opening locat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opening. Solar tree system in which the second energy storage block is loca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상기 안착돌기에 위치하는 전기커넥터를 통해 상기 지지블럭 내의 배선과 상기 제1공기정화블럭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블럭 내의 배선으로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이 공급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iring in the support block and the wiring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block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ed in the seating recess and the seating protrusion.
Solar tree system is supplied to the power produced in the solar cell by the wiring in the support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구조물을 둘러싸면서 부착되고, 상기 태양전지를 지지하는 지지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전지삽입블럭을 더 포함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olar cell insertion block attached to the ground structure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upporting rod for supporting the solar cell is inserted.
지상구조물을 둘러싸면서 부착되는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에 안착되고, 상기 지상구조물 주변의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정화블럭; 및
상기 지상구조물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상기 공기정화블럭으로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블럭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흡입로, 상기 흡입로와 벗어난 경로에 위치하면서 상기 흡입로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로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로를 통해 낙하하는 고중량먼지가 적층되는 먼지적층부를 포함하는
솔라트리 시스템.
A support block attached to surround the ground structure;
At least one air purification block seated on the support block and configured to purify and discharge air around the ground structure; And
Is coupl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ground structure, and includes a solar cell for supplying the power produced by using the sunlight to the air purification block,
The air purification block,
A suction path form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suction fan which is located on the path away from the suction path and guides the air to flow into the suction path, and the heavy dust placed below the suction path and falling through the suction path is laminated. Including dust stacking portion
Solar Tree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상기 흡입로의 배치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기울어져 있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uction fa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ath is dispos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로의 내벽으로 플라즈마 방식의 전기집진기가 배치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on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passa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적층부에 탈착형의 먼지수납기가 위치하고, 상기 고중량먼지는 상기 먼지수납기에 적층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A detachable dust storage unit is disposed in the dust stacking unit, and the heavy dust is stacked in the dust storage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의 상측으로 에너지저장장치를 수납하는 수납칸이 위치하고, 상기 수납칸이 상기 흡입팬의 상측을 커버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solar cell system is located above the suction fan, the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the energy storage device, the storage compartment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fa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정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흡입로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먼지적층부 혹은 상기 흡입로로 공기의 흐름을 일으켜 상기 먼지적층부 혹은 상기 흡입로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ction fan introduces air into the suction path through the forward rotation, and causes air to flow into the dust stacking portion or the suction path through the reverse rotation, there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dust stacking portion or the suction path to the outside. Drain solar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블럭, 상기 흡입로, 상기 먼지적층부 혹은 상기 전기집진기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솔라트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air purifying block, the suction passage, and the dust stacking unit or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0180065407A 2018-06-07 2018-06-07 Smart solar-tree system KR102062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407A KR102062331B1 (en) 2018-06-07 2018-06-07 Smart solar-tree system
PCT/KR2018/010299 WO2019235689A1 (en) 2018-06-07 2018-09-04 Solar tree, solar tree system, and solar park for removing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407A KR102062331B1 (en) 2018-06-07 2018-06-07 Smart solar-tre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983A KR20190138983A (en) 2019-12-17
KR102062331B1 true KR102062331B1 (en) 2020-01-03

Family

ID=6905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407A KR102062331B1 (en) 2018-06-07 2018-06-07 Smart solar-tre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3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839B1 (en) * 2020-02-03 2020-07-16 (주)으뜸텍 Protecter for pole installation with having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845B1 (en) * 2020-11-06 2021-09-01 주식회사 아텍스에너지 Solar panels installing device for roof
CN117578970A (en) * 2023-11-16 2024-02-20 曲靖环炬新材料科技有限公司 Novel corrosion-resistant composite material photovoltaic brack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59Y1 (en) 1999-12-16 2000-07-15 최범 Street lighting of possibility a air purify
KR200458848Y1 (en) 2010-08-30 2012-03-15 노희정 Streetlamp Support Having Function of Air Cleaning
KR101781095B1 (en) 2015-06-18 2017-09-22 메탈젠텍 주식회사 Air purification dust collector, Street lamps for air cleaning dust collector and Traffic lights for air purification dust coll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078A (en)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계영아이엔 Environment friendly street ligh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59Y1 (en) 1999-12-16 2000-07-15 최범 Street lighting of possibility a air purify
KR200458848Y1 (en) 2010-08-30 2012-03-15 노희정 Streetlamp Support Having Function of Air Cleaning
KR101781095B1 (en) 2015-06-18 2017-09-22 메탈젠텍 주식회사 Air purification dust collector, Street lamps for air cleaning dust collector and Traffic lights for air purification dust coll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839B1 (en) * 2020-02-03 2020-07-16 (주)으뜸텍 Protecter for pole installation with having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983A (en)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331B1 (en) Smart solar-tree system
CN101573808B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in coolant flux
CN101622733B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in coolant flux
KR100669414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wall of secondary battery module
CN101682005B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of coolant flux
US20220311088A1 (en) Battery module having flame arresting structure, battery pack, vehicl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WO2011040130A1 (en) Power storage module
EP1156537A3 (en) Batter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module
US20120235645A1 (en) Electricity storage system
CN102361696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uspended particle
KR20200065295A (en) Battery pack equipped with cooling tool in multi-tandem battery module
US20180102689A1 (en) Traffic barrier with integrated turbine
CN106269312A (en) There is the energy storage volume of whirlpool separator
CN106684287A (en) Battery module
KR101679938B1 (en)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spacer
JP2000280759A (en) Power supply unit
KR101624281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557415B1 (en) portable apparatus for electric charging and discharging
KR102628794B1 (en) Electrode assembly manufacfuring device having air purification
CN206531028U (en) A kind of outdoor led driving power supplies
KR101864955B1 (en) A distribution box having deck plate
CN208839337U (en) A kind of PT cabinet dehumidification device
CN114730934A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mponents thereof
US10431861B2 (en) Cooling structure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CN218858214U (en) Intelligent battery replacement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