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173B1 - 트랙 없는 푸셔 기구를 갖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랙 없는 푸셔 기구를 갖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173B1
KR102062173B1 KR1020177020605A KR20177020605A KR102062173B1 KR 102062173 B1 KR102062173 B1 KR 102062173B1 KR 1020177020605 A KR1020177020605 A KR 1020177020605A KR 20177020605 A KR20177020605 A KR 20177020605A KR 102062173 B1 KR102062173 B1 KR 10206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product
display system
tray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990A (ko
Inventor
스티븐 엔. 하디
존 파이론
Original Assignee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579,604 external-priority patent/US9232864B2/en
Application filed by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9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47F1/12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with an article-pushing device
    • A47F1/126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with an article-pushing device the pushing device being urged by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A47F7/283Show stands or the like having a compartment for each container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Display Rack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선반 또는 트레이 상의 제품 판매를 위한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품이 배치된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트랙 없는 푸셔 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트레이 또는 선반은 제품들이 트레이에서 떨어지는 것(push off)을 방지하는 제 1 제품 리테이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푸셔 기구는 푸셔 표면,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 및 푸셔 표면의 전방으로 그리고 푸셔 표면과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는 푸셔 바닥부를 포함한다. 편평한 코일형 스프링 또는 다른 편향 요소는 푸셔 기구 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중에, 판매될 제품은 푸셔 바닥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푸셔 표면은 마지막 제품이 선반에서 그리고 바닥부에서 떨어뜨리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트랙 없는 푸셔 기구를 갖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01] 본 출원은 2014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제 14/579,604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출원은 또한, 2013년 8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제 14/012,715호에 관한 것이며, 이는 2011년 9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530,736호, 2011년 10월 3일자로 출원된 제 61/542,473호 그리고 2011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제 61/553,54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2012년 7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3/542,419호(지금은 미국 특허 제 8,739,984호)의 계속 출원이면서 그리고 또한, 2005년 9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716,362호 및 2005년 11월 8일자로 출원된 제 60/734,692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는 2006년 4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1/411,761호(지금은 미국 특허 제 7,823,734호)의 부분 계속 출원인 2007년 6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1/760,196호(지금은 미국 특허 제 8,312,999호)의 부분 계속 출원인 2009년 1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2/357,860호(지금은 미국 특허 제 8,453,850호임)의 부분 계속 출원인 2009년 12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제 12/639,656호(지금은 미국 특허 제 8,322,544호)의 부분 계속 출원이며, 상기 열거된 출원들 모두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완전히 포함된다.
[02]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제품을 판매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선반 조립체 및 보다 구체적으로 선반들 위 제품을 디스플레이 및 밀기 위한 개선된 기구들을 가진 선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03] 편의점들, 드러그 스토어(drug store)들, 식품점들, 할인점들 등과 같은 소매점들 및 도매점들이 제품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고객들에게 제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다량의 선반을 요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제품을 디스플레이할 때, 제품이 고객들에게 보이고 액세스 가능하도록 선반들 상의 제품이 선반의 전면 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량 음료들(soft drinks), 에너지 음료들, 병에든 생수, 및 다른 병에 들거나 캔에든 음료들과 같은 그런 제품들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냉각기들 또는 냉장기(refrigerator)들의 경우, 이들 제품들이 또한 선반의 전면 쪽에 위치되고 고객들에 보이고 접근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04] 이런 제품 배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지된 시스템들은, 중력을 통하여 제품이 선반의 전면 쪽으로 이동하게 할 경사진 트레이(tray)들 또는 바닥부(floor)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이들 시스템들은, 그의 낮은 마찰 계수(coefficient of friction)로 인해 제품이 경사진 바닥부 또는 표면을 따라 쉽게 미끄러지게하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바닥부들 또는 선반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 표면들은, 제품이 적당하게 미끌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잔해(debris) 또는 끈적거리는 물질들로 방해받게 될 수 있고, 때때로 몇몇 제품들은 뒤집어지고 따라서 부가적인 제품이 선반의 전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05] 다른 시스템들은 선반의 전면에 있는 제품이 제거될 때 제품을 선반의 전면 쪽으로 밀기 위한 푸셔(pusher) 시스템의 사용을 포함한다. 알려진 푸셔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트랙(track)에 장착되고 제품을 전방으로 강제할 푸셔 패들(paddle) 및 코일형 스프링을 포함한다. 때때로, 시스템이 사용될 때,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트랙은 트랙 내 푸셔 시스템의 적당한 동작을 저해하는 먼지 또는 끈적거리는 물질들로 방해받게 된다. 게다가, 판매될 제품의 사이즈, 형상 및 무게에 따라, 알려진 푸셔 패들들은 때때로 넘어지거나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트랙 내 푸셔 기구의 바인딩(binding)을 유발한다. 이런 상황들에서, 푸셔 기구는 제품을 선반의 전면을 쪽으로 적당하게 밀수 없다.
[06] 본원에 논의된 특정 예들은 중력식 판매 시스템들(gravity-fed merchandise systems)(즉, 기울어진 선반들 또는 트레이들) 및 비중력식 판매 시스템들과 함께 작동하는 트랙 없는 푸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다.
[07]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는 선반 상 판매 제품에 대한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련된다. 이 실시예는, 제품이 배치되는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트랙 없는 푸셔 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트랙 없는 시스템은 알려진 푸셔 기구들을 유지 및 안내하기 위하여, 트랙들의 이용에 관한 알려진 문제들을 해결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교시들이 푸셔 기구 등을 장착하기 위한 트랙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08] 푸셔 기구는 푸셔 패들 및 푸셔 패들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편평한 코일형 스프링 또는 다른 편향 요소는 푸셔 패들 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푸셔 기구의 바닥부를 가로질러 선반의 전면으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편평한 코일형 스프링 또는 편향 요소는 디바이더(divider)을 가로질러 선반 조립체의 전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푸셔 패들은 동작 동안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09]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수평인 또는 경사지지 않은 선반들 또는 표면들 상의 제품을 판매하는 것뿐만 아니라, 중력식 시스템들, 또는 제품을 선반의 전면 쪽으로 강제하기 위한 기구로서 중력을 이용하는 시스템들을 가진 푸싱 기구의 사용을 포함한다.
[10] 본 발명의 예시적 예시 실시예에 따라, 푸셔 패들은 청량 음료 병들 또는 캔(can)들과 같은 원통형 제품들을 밀기 위한 오목한 푸싱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푸셔 패들은, 또한 원통형 제품들을 밀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만곡된 리브(rib) 또는 유사한 구조를 그 상부 에지에 더 포함할 수 있는 편평한 푸싱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예시 실시예에 따라, 푸셔 기구의 바닥부는 푸셔 기구를 코일형 스프링에 관하여 정렬하기 위하여 노치형(notched) 또는 컷-아웃(cut-out)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바닥부는 또한 코일형 스프링의 편평한 단부를 수용하고 바닥부에 장착하기 위한 노치 또는 컷-아웃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팁(tip)은 코일형 스프링을 시스템의 바닥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는 조립체의 디바이더에 장착될 수 있다.
[12]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어댑터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바닥부 표면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어댑터는 평면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평면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리브들을 가진 평면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은 평행한 연장 리브들 사이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판매될 제품은 음료 캔들과 같은 특정 타입들의 제품의 전방 이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직접 코일형 스프링 상이 아닌 리브들 상에 놓일 수 있다.
[13] 또 다른 대안적인 양상에서, 장착 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를 시스템의 바닥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리브들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결합되는 이격된 미끄러짐 레일(glide rail)들을 포함하는 이들 시스템들에 대해, 장착 부재는 스냅-피트(snap-fit)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바닥부 상에 그리고 미끄러짐 레일들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14] 또 다른 대안적인 양상에서, 트랙 없는 푸셔 시스템은 기존 선반 조립체에 새로 장착된다(retrofit). 이것은 전체 트랙 없는 푸셔 조립체를 구매하는 것에 대한 저 비용 대안으로서 기존 선반 시스템에 트랙 없는 푸셔 시스템의 배치를 허용한다.
[15]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은 리테이너(retainer)에 장착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의 단부는 리테이너에 직접 장착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단부는 어댑터를 통하여 리테이너에 장착될 수 있다. 어댑터는 스프링의 단부를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리테이너 내 대응 형상의 만곡된 슬롯에 수용되는 만곡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16]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레이들은 선반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더브테일(dovetail) 연결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디바이더들은, 제품 열들의 폭이 상이한 사이즈 제품들을 수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게 조절될 수 있다.
[17]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쌓을 수 있는 배열체로 배열될 수 있다. 조립체에는 제 1 벽 및 제 2 벽을 각각 가지는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트레이들은 푸셔 기구, 및 리테이너 기구에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스페이서들은 서로의 상부에 제 1 및 제 2 트레이들을 쌓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트레이들에 장착된다. 제 1 및 제 2 스페이서에는 복수의 멈춤쇠(detent)들이 제공될 수 있고,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에는 복수의 멈춤쇠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대응 형상 소켓들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18] 표면을 갖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다른 예시적인 푸셔 기구는 푸셔 표면, 푸셔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품 리테이너, 푸셔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푸셔 바닥부 ― 푸셔 바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이 푸셔 바닥부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푸셔 바닥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설정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이동 가능함 ― , 및 코일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푸셔 기구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 상부에 놓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 아래로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 상에 위치설정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장착되고,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유지된다. 코일형 스프링은 푸셔 표면 뒤에 위치설정된 코일형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바닥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푸셔 표면 및 제품 리테이너는 푸셔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품 리테이너는 푸셔 표면, 제품 리테이너 및 푸셔 바닥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푸셔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품은 병(bottle)일 수 있고, 병은 푸셔 표면과 제품 리테이너 사이에 맞도록(fit) 구성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병이 푸셔 표면과 제품 리테이너 사이에 맞도록 허용될 수 있다. 푸셔 표면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푸셔 바닥부는 코일형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은 푸셔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 가능하고, 푸셔 표면 뒤에 동작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푸셔 기구는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서만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19] 다른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품들의 열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형성하는 트레이(tray), 제품이 트레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 1 제품 리테이너, 푸셔 표면을 갖는 푸셔 기구, 푸셔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제품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기구는 트레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미끄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푸셔 표면 및 전방 단부 뒤에 위치설정된 코일형 단부를 갖는 코일형 스프링, 및 제품들을 일렬로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더(divider)를 가질 수 있다. 푸셔 기구는 트레이의 표면의 상부에 놓이고, 트레이의 표면 아래로는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셔 기구는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푸셔 표면 및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푸셔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품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해 푸셔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푸셔 표면 및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열을 이루는 제품들 중 마지막 제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품은 병이고, 푸셔 표면 및 제 2 리테이너는 단지 하나의 병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복수의 제품들 중 마지막 제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0] 푸셔 표면 및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제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품은 병이고, 공간은 단지 하나의 병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셔 기구는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서만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 디바이더 및 제 2 디바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제품 리테이너 및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제 1 디바이더와 제 2 디바이더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는 트레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트레이의 전방 부분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은 수평일 수 있다. 제 1 제품 리테이너 및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투명할 수 있다.
[21] 다른 예시적인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표면을 형성하는 트레이, 제품들이 트레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 1 제품 리테이너, 및 푸셔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기구는 푸셔 표면, 제 2 제품 리테이너, 및 푸셔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푸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바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이 푸셔 표면과 제 2 제품 리테이너 사이의 푸셔 바닥부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푸셔 바닥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 상에서 위치설정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푸셔 기구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의 상부에 놓이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 아래로는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장착되고,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장착되고,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서만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유지될 수 있다.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복수의 제품들 중 마지막 제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셔 표면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푸셔 바닥부는 복수의 구멍들을 형성할 수 있다. 푸셔 바닥부 및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단일 병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2] 도 1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 분해도를 도시한다.
[23]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트레이 또는 제품 채널에 장착된 예시적 푸셔 기구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24] 도 3은 시스템에 배치된 제품을 가진 도 2의 시스템의 다른 등축도를 도시한다.
[25] 도 4는 시스템에 배치된 다수의 제품을 가진 도 2의 시스템의 다른 등축도를 도시한다.
[26] 도 5는 도 4의 시스템의 등축 후면도를 도시한다.
[27] 도 6은 본 발명의 트레이 또는 제품 채널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28] 도 7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에 대한 예시적 팁을 도시한다.
[29] 도 8은 트레이 또는 제품 채널의 표면에 장착되는 도 7의 예시적 팁을 도시한다.
[30] 도 9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에 장착되는 도 7의 예시적 팁을 도시한다.
[31] 도 10은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에 장착되는 도 7의 예시적 팁을 도시한다.
[32] 도 11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대안적인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33] 도 12는 도 11의 시스템의 다른 등축도를 도시한다.
[34] 도 13은 도 11의 시스템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35] 도 14는 도 11의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36] 도 15는 도 11의 시스템의 후면도를 도시한다.
[37] 도 16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어댑터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38] 도 17은 도 16의 어댑터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39] 도 18은 본 발명의 어댑터의 예시적 설비를 도시한다.
[40] 도 19는 본 발명의 설비된 어댑터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41] 도 20은 본 발명의 설비된 어댑터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42] 도 21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대안적인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43] 도 22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를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바닥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장착 부재의 등축 저면도를 도시한다.
[44] 도 23은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의 등축 평면도를 도시한다.
[45] 도 24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에 장착된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를 도시하고, 코일형 스프링은 예시적 푸셔 패들에 장착된다.
[46] 도 25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에 장착된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의 다른 도면을 도시하고, 코일형 스프링은 예시적 푸셔 패들에 장착된다.
[47] 도 26은 시스템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코일형 스프링이 부착된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를 도시한다.
[48] 도 27은 시스템의 바닥부 상에 설비된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를 도시한다.
[49] 도 28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대안적인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50] 도 29는 도 28의 예시적 실시예의 트레이의 확대 등축도를 도시한다.
[51] 도 29a는 제 1 고정 방법을 예시하는, 도 28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52] 도 29b는 제 2 고정 방법을 예시하는, 도 28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53] 도 30은 스프링을 트레이에 부착되는 리벳(rivet)을 예시하는, 도 28의 실시예의 확대 등축도를 도시한다.
[54] 도 31은 기존의 와이어 선반에 조립되는 도 28의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55] 도 32는 기존의 와이어 선반에 조립된 도 28의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56] 도 33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57] 도 34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58] 도 35는 어댑터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59] 도 36은 리테이너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60] 도 37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61] 도 38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62] 도 39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63] 도 40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64] 도 41a는 디바이더의 예시적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65] 도 41b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66] 도 41c는 도 41b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67] 도 41d는 디바이더의 예시적 실시예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68] 도 42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69] 도 43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70] 도 44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71] 도 45는 시스템에서 제품을 가진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등축도를 도시한다.
[72] 도 46은 시스템에서 제품을 가진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73] 도 47은 시스템에서 제품을 가진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 후면도를 도시한다.
[74] 도 48은 디바이더에 장착된 푸셔 기구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75] 도 49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조립되는 푸셔 기구 및 디바이더의 다른 등축도를 도시한다.
[76] 도 50은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77] 도 51은 제품이 없는 도 50의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등축도를 도시한다.
[78] 도 52는 도 50의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축 분해도를 도시한다.
[79] 도 53-55는 다른 예시적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8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응용예에 있어, 하기의 설명에 개시된 또는 도면들에 예시된 부품들의 구성 및 배열의 상세사항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들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어법 및 용어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제한으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포함하는(including)" 및 "포함하는(comprising)" 및 이의 변형들의 사용은, 이후 리스트된 아이템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아이템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게다가, 용어 "장착하다", "장착된" 또는 "장착하는"의 사용은 직접이든 간접이든 하나의 파트(part)를 다른 파트에 장착, 부착, 결합 또는 커플링하는 임의의 기술 또는 방법을 넓게 포함하도록 의미된다.
[81]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동일한 번호들이 동일한 요소들을 가리키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1에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축 분해도가 도시된다. 예시적 판매 시스템(10)은 제품 분배 트레이(12)를 포함하고 제품 분배 트레이(12)에 예시적인 트랙 없는 푸셔 기구(14)가 장착된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푸셔 기구(14)는 트레이(12) 내에 끼워질(fit in) 것이고 트레이 또는 트레이의 바닥부에 통상적인 푸셔 기구를 유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트랙들, 레일들, 또는 안내부들의 사용 없이 트레이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질 것이다. 푸셔 기구는 푸셔 패들 및 푸셔 패들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푸셔 바닥부를 형성한다. 코일형 스프링은 푸셔 바닥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트레이 상 전방 위치에서 트레이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판매될 제품은 푸셔 패들의 전면에서 트레이에 배치될 수 있고 푸셔 바닥부뿐만 아니라 코일형 스프링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제품의 무게는, 제품의 적당한 푸싱을 보장하기 위하여 푸셔 패들이 넘어지는(tipping) 것을 방지할 것이다. 게다가, 트랙들, 레일들 또는 안내부들을 사용하는 알려진 푸셔 시스템들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잔해 또는 끈적거리는 재료들과 연관된 문제들은 제거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 실시예들 및 피처들 및 이의 교시들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진술된다.
[82] 예시적인 트레이(12)는 제품의 배치를 위하여 트레이를 다수의 열들로 분리하기 위하여 표면(16)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딩 패널들 또는 디바이더들(18)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양상에서, 트레이(12)는 제품들이 판매를 위하여 배치될 수 있는 선반 또는 임의의 다른 표면일 수 있다. 표면(16)은 중실(solid) 표면, 또는 복수의 지지 리브들(22)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의 이격된 구멍들(20)을 형성하는 표면일 수 있다. 구멍들(20) 및 리브들(22)은 이 표면상에 배치된 제품의 미끄러짐 가능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액체들 및 먼지가 표면(16) 상에 쌓이지 않도록 상기 액체들 및 먼지가 구멍들(20)을 통해 통과하게 허용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표면(16)은 표면(16) 상에서 제품의 미끄러짐 가능 이동을 허용하는 임의의 적당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표면 또는 바닥부 구성들은 알리어지고 본 발명의 원리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83]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16)은 노치 또는 컷-아웃 부분(26)을 포함하는 둥근 단부 부분(24)을 형성할 수 있다. 단부 부분(24)은 트레이 상에 배치된 제품의 형상에 매칭하도록 둥글게 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단부 부분(24)은 트레이 및 단부 부분(24)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병 또는 캔의 윤곽에 매칭하도록 둥글어지거나 반원 형상을 형성한다. 단부 부분의 다른 형상들은 판매될 제품에 따라 본 개시에 사용될 수 있다.
[84] 노치(26)는 코일형 스프링(30) 또는 유사한 편향 요소의 단부(29)를 수용 및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노치(26)는 에지(34)에 의해 결합되는 대향하는 각진 에지 표면들(32)을 형성할 수 있다. 에지(34)는 바람직하게 트레이(12)에 형성된 제품 열의 폭에 걸쳐 중심이 주어지고 트레이의 길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런 구성은 트레이(12)에 관하여 코일형 스프링(30)을 중심에 둘 것이고 스프링이 트레이의 길이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허용할 것이다. 다른 말로, 노치(26)의 도시된 에지(34)는 스프링(30)이 트레이에 의해 형성된 제품 열의 중심에 또는 그 가까이에서 트레이(12)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당업자는, 노치의 위치 및 구성이 스프링의 원하는 배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85] 코일형 스프링(30)은 노치(26)를 가로질러 그리고 에지(34)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단부(29)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는 V-형상일 수 있고, 단부(29)가 표면(16)의 단부 부분(24) 아래로 연장되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의 부분으로 에지(34)를 둘러싸도록 후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구성은 트레이에 코일형 스프링의 쉬운 설비를 허용한다.
[86] 다른 양상에서,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스프링 팁(60)은 시스템에 스프링의 장착을 돕기 위하여 스프링(30)의 단부(29)에 부가될 수 있다. 스프링 팁(60)은, 트레이의 구성 및 스프링 단부가 부착할 필요가 있는 표면에 따라 다수의 형상들 및 구성들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 팁(60)은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스프링 팁(60)의 교환 또는 교체를 허용하도록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스프링 팁(60)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멍들을 형성할 수 있다. 구멍(61)은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를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2 구멍(63)은 하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트레이(12)의 표면(16)으로부터 연장되는 장착 부재(65)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부재(65)는 상기 제 2 구멍(63)으로 맞춰지는(mate with) 텅(tongu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트레이(12)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87] 다른 양상에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는 표면(16)에 형성된 구멍에 스냅-피트(snanp-fit)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트레이의 구멍 또는 개구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고, 이로써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를 정위치에 고정한다.
[88]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디바이더들(18)은 또한 제품을 열들로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더들(18)은 표면(16)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16)의 대향 측들 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더들(18)은 트레이(12) 상 원하는 위치에 또는 표면(16)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더들(18)은 표면(16)과 통합(unitary)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디바이더들(18)은 부가된 유연성을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하여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디바이더들은 시스템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레일에 부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들(18)은 다수의 구성들을 형성할 수 있고 판매될 제품의 열들 사이에서 디바이더들의 원하는 높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임의의 원하는 거리fh 상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 높이는 디바이더 연장기(extender)들 등을 부가함으로써 조절 가능할 수 있다.
[89]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제품-리테이닝(retaining) 부재들(44)이 트레이(12)의 전면에 위치되고 디바이더들(1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품-리테이닝 부재들(44)은 트레이(12)에 제품을 유지하고 제품이 트레이(12)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 리테이닝 벽 또는 바(bar)로서 역할을 한다. 이들 부재들은 또한 트레이(12)에 위치설정된 최전방 제품의 쉬운 제거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품-리테이닝 부재(44)는 도 1에 도시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곡선-형상 리테이닝 리브들일 수 있다. 이들 예시된 리테이닝 리브들은 하나의 디바이더로부터 다른 디바이더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디바이더들을 결합한다. 리테이닝 리브들은, 또한 트레이에 제품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리브(46)로서 도 1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더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part-way) 또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리테이닝 부재(44)는 디바이더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곡선-형상 중실 리테이닝 벽(48)일 수 있다. 리테이닝 벽(48)은 선반 상 제품의 시각화를 허용하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리테이닝 벽(48)은 또한 디바이더들(18)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1-도 1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벽(100)은 트레이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디바이더들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벽(100)은 상부 부재(104), 추가로 각진 에지(108)를 형성하는 대향하는 만곡된 측벽들(106), 및 바닥부 부재(110)에 의해 형성된 개구(102)를 형성할 수 있다. 측벽들(106)은 또한 시스템에 따라 곡선이 아닌 직선일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는 또한 바닥부(110)에 스냅-피트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본원에 설명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트레이에 부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제품-리테이닝 부재(44)에 대해 가능한 다수의 형상들 및 구성들이 있고 도시된 구성들이 이들 다수의 구성들의 단지 예시적 실시예들인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90]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예시적 트랙 없는 푸셔 기구(14)는 푸셔 패들(50) 및 푸셔 바닥부(52)를 형성한다. 푸셔 패들(50) 및 푸셔 바닥부(52)는 단일 통합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알려진 기술들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 별도의 구조들일 수 있다. 게다가, 푸셔 패들(50) 및 푸셔 바닥부(52)는 임의의 알려진 적당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푸셔 패들 및 푸셔 바닥부는 임의의 알려진 강화 기술들을 사용하여 강화될 수 있다.
[91] 일 양상에서, 푸셔 패들(50)은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병들 또는 캔들과 같은, 판매될 제품의 형상에 매칭하도록 구성된 곡선 형상 푸셔 표면 또는 면(54)을 형성한다. 곡선 형상 푸셔 표면(54)은 푸셔가 트레이의 마지막 제품과 중앙에 정렬되어 있도록 허용한다. 이 구성은 푸셔와 디바이더 벽들 사이의 마찰 및 공기 저항(drag)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인 양상에서, 푸셔 표면 또는 면은 편평한 표면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편평한 푸셔 표면은, 도 1에 도시된 곡선 형상 푸셔 표면(54)과 유사한 방식으로, 푸셔 패들의 상단 가까이 또는 그 상에 위치설정되고 트레이의 제품을 중심에 두고 정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만곡된 형상 리브를 동반할 수 있다. 곡선 형상 리브는 실린더 또는 유사한 형상 제품들이 트레이에서 적당하게 밀리도록 허용하는 다른 형상들 및 구성들을 형성할 수 있다. 광고, 제품 식별 또는 다른 제품 정보는 푸셔 표면(5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92] 푸셔 표면 또는 면(54) 뒤에는 리브들, 벽들, 또는 거싯(gusset)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지 부재들(58)이 위치설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들(58)은 푸셔 표면(54)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추가로 푸셔 패들(50)을 푸셔 바닥부(52)에 연결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들(58) 사이에는 코일형 스프링(30), 및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12) 전방으로 및 트레이(12)를 따라 푸셔 패들(50)을 강제하기 위하여 사용된 코일형 단부(57)가 위치설정된다. 푸셔 패들(50)에 코일형 스프링을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 임의의 기술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9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바닥부(52)는 푸셔 패들(50) 아래에 위치설정될 수 있고 푸셔 패들의 푸셔 표면(54)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푸셔 바닥부(52)는 임의의 미리 결정된 거리 및 임의의 미리 결정된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푸셔 바닥부(52)는 푸셔 표면(5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푸셔 바닥부(52)는 단일 병 또는 캔과 같은 하나의 제품이 푸셔 바닥부 상에 배치되게 하도록 충분한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푸셔 바닥부(52)는 하나보다 많은 제품이 푸셔 바닥부 상에 배치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셔 바닥부(52)는 도시된 둥근 형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푸셔 바닥부 상에 제품을 추가로 유지하도록, 리브들, 벽들 등과 같은 임의의 제품 리테이닝 피처들을 푸셔 바닥부의 표면 상에 형성할 수 있다.
[94]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셔 바닥부(52)는 코일형 스프링(30)을 놓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이 형성되고 그리고 구성된 세장형 채널, 홈 또는 들어간 부분(59)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채널 또는 홈(59)은 바닥부(52)를 가로지르고 푸셔 패들(50)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인 양상에서, 홈 또는 채널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푸셔 바닥부(52)를 가로질러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런 구성은 트레이의 푸셔 패들(50)의 적당한 정렬 및 위치설정을 허용한다. 홈(59)은 코일형 스프링(30)의 두께에 매칭하거나 초과하는 깊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코일형 스프링(30)은, 제품이 코일형 스프링 상에 직접 놓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런 제품이 푸셔 바닥부 표면 상에 놓도록 푸셔 바닥부 표면에 또는 그 아래에 놓일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바닥부는 잔해 또는 다른 아이템들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들 및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닥부는 중실 표면일 수 있다.
[95] 본 발명의 대안적인 양상에서, 도 16-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80)는 표면(16) 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어댑터(180)는, 제품이 놓일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상승된 리브들(1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된 리브들(182)은 어댑터(180)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댑터(180)는 평면 표면(18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리브들(182)을 가진 평면 표면(184)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재료)의 편평한 압출일 수 있다. 어댑터(180)는 둥근 단부(185)를 형성할 수 있고, 노치 또는 잘린 부분(186)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또는 이를 가로질러 코일형 스프링이 연장될 수 있다. 둥근 단부(185)는 트레이 상에 배치된 제품의 형상에 매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부(185), 노치(186) 및 어댑터(180)의 다른 형상들은 판매될 제품에 따라 본 개시에 사용될 수 있다. 어댑터(180)는 별도의 삽입 가능한 피스 또는 대안적으로 표면(16)과 통합형으로 형성된 피스일 수 있다.
[96] 도 18을 참조하여, 어댑터(180)는 표면(16) 상에 그리고 디바이더들(18) 사이에 쉽게 삽입 가능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어댑터(180)가 설치되면, 푸셔 기구(14)는 어댑터(180)의 상단 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고 어댑터(180)의 리브들(182)을 가로질러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30)은 도 20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들(182) 사이에서 평행한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브들(182)의 상단 표면에 또는 그 아래에 놓일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판매될 제품은 코일형 스프링(30) 상이 아닌, 리브들(182) 상에 놓이고, 리브들(182)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97] 대안적인 양상에서, 리브들(182)은 상승된 비드(bead) 또는 상승된 비드들, 또는 표면(16) 상에서 제품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손가락부(finger)들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리브들(182)은 제품이 롤링(rolling) 부재들을 가로지르고 제품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면 쪽으로 롤링하도록 허용하는 러너(runner)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롤러들 또는 롤링 부재들과 같은 제품 이동 부재들일 수 있다. 예시적인 롤러 조립체들은 2005년 10월 25일 출원되고 RTC Industries, Inc,에 양도된 미국 출원 일련 번호 제 11/257,718 호에 개시 및 설명된 것들을 포함하고, 이 출원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선반 또는 바닥부 상에서 제품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설명된 푸셔 기구들과 함게 사용될 수 있는 많은 가능한 기술들이 있다.
[98] 푸셔 바닥부(52)의 아래 측은 표면(16)을 따라 자유롭게 미끄러질 부드러운 평면 표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상기와 유사하게, 푸셔 바닥부(52)는 푸셔 바닥부가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하지만, 푸셔 바닥부가 표면(16)에서 상승되어 떨어지지 않게 할 비드들, 러너들, 롤러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푸셔 바닥부의 아래 측은 해당 기술에서 이해된 바와 같이, 트랙 또는 레일에 푸셔의 장착을 허용하도록 레일 장착 부재들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99] 푸셔 바닥부는 코일형 스프링(30)이 통과할 노치 또는 컷-아웃 부분(62)을 추가로 형성한다.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표면(16)의 노치(26)를 통해 그리고 노치(62)를 통해 통과할 것이고 상기 설명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트레이에 장착될 것이다.
[100] 사용시, 푸셔 기구(14)가 트레이(12)에서 뒤쪽으로 강제되면,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정위치에 유지될 것이고 스프링(30)의 코일형 단부(57)는 푸셔 패들(50) 뒤에서 풀리기 시작할 것이다. 제품이 트레이의 전면으로부터 제거될 때와 같이, 푸셔(14)가 트레이(12)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허용되면, 스프링(30)의 코일형 단부(57)는 감기고(coil) 트레이(12)에서 푸셔 패들(50)을 전방으로 강제할 것이고, 이에 의해 제품이 트레이의 전면 쪽으로 강제된다.
[101]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바닥부 위에서 이를 가로지르는 것과 반대로 푸셔 바닥부(52) 아래에서 아래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홈(59) 및 노치(62)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102] 코일형 스프링(30)은 제한 없이, 푸셔 시스템들과 함께 공통으로 사용된 편평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임의의 편향 요소일 수 있다. 본 개시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푸셔 기구(14)를 전방으로 강제하도록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코일형 스프링들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30)의 코일 장력(tension)은 또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103] 도 2를 참조하여, 트랙 없는 푸셔 기구(14)는 트레이(12)에 장착된 상태로 도시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푸셔 기구(14)는 디바이더들(18) 사이에서 트레이(12) 내에 끼워진다.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푸셔 바닥부의 노치를 통해 연장되고 트레이에 장착된다. 사용시, 푸셔 기구(14)는 트랙들, 레일들, 또는 안내부들의 사용 없이 트레이(12)의 표면(16)을 따라 미끄러질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기구(14)는 전방 위치가 도시된다.
[104] 도 3을 참조하여, 푸셔 기구(14)는 판매 시스템(10)에서 하나의 제품(70)을 판매하는 것이 도시된다. 제품은 제품-리테이닝 부재(44)에 의해 트레이에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품(70)은 도시된 청량 음료 병을 포함하는 판매될 임의의 제품일 수 있다. 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70)은 제품 아래로 연장되는 코일형 스프링(30) 및 푸셔 바닥부(52) 상에 놓인다. 바닥부(52) 상 제품의 무게 및 스프링(30)을 가로질러 제품의 위치설정은 패들(50)이 트레이(12)에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105] 도 4를 참조하여, 푸셔 기구(14)는 판매 시스템(10)에서 다수의 제품들(70)을 판매하는 것이 도시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패들(50) 바로 옆 제품은 제품 아래로 연장되는 코일형 스프링(30) 및 푸셔 바닥부(52) 상에 놓인다. 다른 제품들은 이들 제품들 아래에서 연장할 코일형 스프링(30) 상에 놓일 것이다. 대안적으로, 어댑터(180)는 시스템에 위치설정될 수 있고 상기 경우 제품은 코일형 스프링에 대향되는 어댑터의 리브들(182) 상에 놓일 수 있다. 다시, 푸셔 바닥부(52) 상 제품의 무게 및 스프링(30)을 가로질러 제품의 위치설정은 패들(50)이 트레이에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시, 하나의 제품이 제품-리테이닝 부재(44) 근처의 트레이의 전면으로부터 제거될 때, 푸셔 기구(14)(코일형 스프링(30)의 강제를 통해)는, 최전방 제품이 제품-리테이닝 부재(44)와 접촉할 때까지 트레이(12)에서 나머지 제품을 전방으로 밀것이다. 부가적인 제품들이 제거될 때, 푸셔 기구(14)는 나머지 제품을 제품-리테이닝 부재(44) 쪽으로 계속 밀것이다.
[106] 도 5를 참조하여, 푸셔 기구(14)의 후면도는 판매 시스템(10)에서 다수의 제품들(70)을 판매하는 푸셔 기구(14)를 도시한다. 다시, 푸셔 패들(50) 바로 옆 제품은 제품 아래로 연장되는 코일형 스프링(30) 및 푸셔 바닥부(52) 상에 놓인다. 다른 제품들은 이들 제품들 아래에서 연장될 코일형 스프링 상에 놓일 것이다. 대안적으로, 어댑터(180)는 시스템에 위치설정될 수 있고 상기 경우 제품은 코일형 스프링에 대향되는 어댑터의 리브들(182) 상에 놓일 수 있다. 하나의 제품이 제품-리테이닝 부재(44) 근처의 트레이의 전면으로부터 제거될 때, 스프링(30)의 코일형 단부(57)는, 최전방 제품이 제품-리테이닝 부재(44)에 접촉할 때까지 푸셔 기구(14)의 푸셔 패들(50)을 트레이(12)에서 전방으로 강제할 것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일형 단부(57)는 2개의 지지 부재들(58) 사이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들은 이들 부재들 사이에 코일형 스프링을 유지할 것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셔 바닥부(52)는 또한 지지 부재들(58)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다.
[107] 도 6을 참조하여, 푸셔 트레이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로, 다수의 트레이들(12)은 단일 다수의-트레이 조립체(80)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트레이들은 다수의 트레이들 또는 열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디바이더들(18)을 가진 공통 바닥부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품-리테이닝 부재(44)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2개의 디바이더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실 부재일 수 있다. 다수의-트레이 조립체들(80)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클립들, 더브테일링(dovetailing), 패스너(fastener)들 등을 포함하여, 임의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나란한 방식으로 함께 커플링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 구성으로, 제품의 다수의 열들은 다수의 제품들의 판매를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108]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트랙 없는 푸셔 기구(14)는 중력식 시스템들, 즉 중력이 제품의 판매를 돕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경사 상에 장착된 트레이들 또는 제품 채널들을 가진 시스템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트랙 없는 푸셔 기구(14)는, 중력이 제품의 판매에 거의 도움을 주지 않거나 아예 주지 않는 경사지지 않거나 수평 방식으로 장착된 시스템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트랙 없는 푸셔 기구(14)는 또한 다양한 형상의 제품들을 밀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109] 도 7은 판매 시스템(10)에 사용될 수 있는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에 대한 예시적 팁(60)을 도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팁(60)은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61) 및 트레이의 표면(16)에 장착하기 위한 구멍(63)을 형성한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안적인 실시예의 일 양상에서, 표면(16) 아래로 연장되는 것은 구멍(63)과 짝을 이루고 텅(65) 상에 그래서 표면(16)에 팁(60)을 스냅-피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텅 또는 장착 부재(65)일 수 있다.
[110] 도 8을 참조하여, 도 7의 예시적 팁(60)은 텅 또는 장착 부재(65)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텅(65)은 텅(65) 상에 팁(60)을 스냅-피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세장형 외측으로 연장되는 리브(67)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다른 기술들이 표면(16)에 팁(60)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도시된 기술이 단지 하나의 그런 기술의 예시적 실시예인 것을 인식할 것이다.
[111] 도 9를 참조하여, 예시적 팁(60)은 표면(16)에,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이(12)의 표면(16)의 단부 부분(24)에 스냅-피트 방식으로 완전히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팁(60)의 구멍(61)에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의 장착이 도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는 구멍(61)에 삽입될 수 있다. 구멍(61)은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를 수용하고 단부(29)를 정위치에 유지하고, 그리고 또한 시스템으로부터 푸셔 기구(14)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팁으로부터 코일형 스프링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들 환경들에서 구멍(61)으로부터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112] 도 10을 참조하여, 예시적 팁(60)에 완전히 장착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가 도시된다. 이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30)은 이제 트레이(12)의 표면(16)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푸셔 기구(14)는 이제 트레이(12)에 장착된다.
[113] 도 21-도 27을 참조하여, 판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를 장착하기 위한 대안적인 기술이 도시된다. 장착 부재(130)는 시스템의 바닥부(131)에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를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리브들(134)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이격된 미끄러짐 레일들(132)을 포함하는 이들 시스템들에 대해(도 26-도 27), 장착 부재(130)는 바닥부(131) 상에 그리고 미끄러짐 레일들(132) 사이에 스냅-피트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를 정위치에 그리고 시스템의 바닥부에 유지할 것이다.
[114] 도 22-도 23을 참조하여, 장착 부재(130)는 부재(130)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측들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리부(136)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들은 레일들(132)의 아래에 스냅-피트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시스템의 바닥부에 장착 부재(130)를 유지할 수 있다. 다리부들(136)은, 레일(132)의 하부측에 접촉하고 그리고 레일(132)의 하부측으로부터 밖으로 다리부들의 의도적인 휨을 제외하고, 장착 부재(130)가 바닥부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L-형상 또는 각진 표면들을 형성하는 다리부 단부들(13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들(136)은 바닥부에 관하여 장착 부재(130)의 미끄러짐가능 이동을 방지할 연결 리브들(134)에 접촉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여, 장착 부재(130)는 시스템의 바닥부에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레일들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 27은, 푸셔 패들(141)이 시스템의 전면에서 움직이기 시작(pull away)될 때 장착 부재(130)가 정위치에 있는 것을 예시한다. 장착 부재(130)는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여 이런 타입의 시스템 바닥부(13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장착 클립,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패스너들, 접착제들, 또는 다른 기술들은 바닥부(131)에 장착 부재(130)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115] 도 22-도 23을 참조하여, 장착 부재(130)는 또한 스프링의 단부(29)를 수용할 구멍 또는 개구 또는 슬롯(13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은 본원에 설명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 또는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슬롯(138) 및 장착 부재(130)의 구성은 상기 설명된 기술과 유사하게, 장착 부재(130) 상에서 스프링을 정위치에 유지할 것이다.
[116] 장착 부재(130)는 또한, 장착 부재가 시스템의 바닥부에 설비된 후 상부 표면상에 놓인 제품이 장착 부재를 가로질러 보다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하는 상부 표면상 미끄러짐 리브들(139)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또한, 시스템의 바닥부에 장착된 후 장착 부재(130)에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리부들(136)의 위치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편평한 몸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117] 도 24, 도 25 및 도 27을 참조하여, 푸셔 패들 또는 푸셔 기구(141)는 미는 제품의 형상에 매칭하도록 구성된 푸셔 면(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푸셔 면(143)은 병 또는 다른 실린더 물체의 형상에 매칭하도록 형상화된 곡선일 수 있다. 푸셔 패들(141)은 또한 상기 설명된 푸셔 바닥부 구성들과 유사한 푸셔 바닥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바닥부(145)는 스프링을 차단(shield) 및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형 스프링(30)을 수용하는 스프링 슬리브(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슬리브(147)는 푸셔 바닥부(145)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로질러 스프링(3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프링 슬리브(147)는 제품의 상당한 넘어짐(tipping) 또는 기대기(leaning) 없이 제품이 그 위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비교적 짧은 높이 및 편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118] 푸셔 패들(141)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표면의 상단 상에서 글라이딩하도록 바닥부(131)의 상단 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푸셔 패들은 제품 리테이닝 부재(155)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2개의 제품 디바이더 벽들(153) 사이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부가적인 제품 리테이닝 부재들(157)은 제품 디바이더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119]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를 판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장착하기 위한 또 다른 대안적인 기술이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단부(29)는 트레이(216)에 리벳팅(rivet)된다.
[120] 대안적인 실시예의 도 28-도 32를 참조하여, 트랙 없는 푸셔 시스템은 이미 빌트 인(built in)된 제품 디바이더들을 가질 수 있는 기존 선반 조립체(230)에 새로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트랙 없는 푸셔 시스템은 기존 와이어 선반 조립체에 새로 장착될 수 있다. 도 30-32를 참조하여, 트레이 또는 어댑터(216)는 선반(234)의 단일 레인(lane) 사이즈이거나 전체 선반 폭 사이즈일 수 있는 미끄러짐 바닥부(222)를 가질 수 있다. 미끄러짐 바닥부(222)는 몇몇 상승된 리브들(224)을 포함할 수 있고, 리브들(224)은 트레이(216) 상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상승된 리브들(224)이 미끄러짐 바닥부(22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미끄러짐 바닥부(222)는 상승된 리브들 없이 편평한, 평면 표면일 수 있다. 트레이 또는 어댑터(216)는 도 16의 어댑터(18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121] 도 28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리벳(229)을 통해, 트레이(216)의 전면 단부(228)에 리벳팅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부착 기술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트레이(216)는 특정 선반에 적당한 임의의 부착 기술에 의해 선반에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29-도 3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16)는 선반(234) 상에 트레이(216)를 유지하기 위하여 선반(234)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개별 와이어들(232)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손가락부들 또는 스냅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부들 또는 스냅들(220)은 트레이(216)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트레이의 길이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스냅들(220)은 트레이(216)를 기존 와이어 선반에 스냅-피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들(220A 및 220B)은 트레이(216)가 선반에 스냅 피트되도록 허용하는 다수의 구성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8-도 32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체 트랙 없는 푸셔 조립체에 대한 저비용 대안으로서, 와이어 선반 시스템과 같은 기존 선반 시스템에 트랙 없는 푸셔 시스템의 배치를 허용한다. 이런 실시예로,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푸셔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122] 도 3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푸셔 기구들(286),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더들(266),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레이들(306),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리테이너들(250)을 포함한다. 푸셔 기구(286)는 푸셔 패들(287) 및 푸셔 바닥부(288)로 형성될 수 있다. 제품은 푸셔 바닥부(288) 상에 배치되고 디바이더들(266) 및 푸셔 패들(287)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관리 시스템의 전면으로 안내된다. 코일형 스프링(30)은, 제품이 시스템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푸셔 기구(286)를 리테이너(250) 쪽으로 편향시킨다.
[123] 도 33에 도시된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리테이너(250)에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일형 스프링(30)은 디바이더(266)에 장착될 수 있다(또한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됨). 코일형 스프링(30)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50)에 직접 장착될 수 있거나,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어댑터(252)를 통하여 리테이너(250)에 장착될 수 있다.
[124]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52)는 제 1 단부(256)에 가장 가까운 벽(254)을 가진다. 제 1 단부(256)는 상향으로 휘는 만곡된 부분(262)을 가진다. 어댑터(252)의 중간 부분에는, 만곡된 슬롯(260)이 제공되어 대응하게 형상화된 스프링 단부(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125] 하나의 단부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어댑터(252)의 중간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만곡된 슬롯(260)은 제 1 스프링 단부의 형상 및 사이즈에 대응한다. 부가적으로,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는 부가적인 고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크림핑(crimp)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충분한 패스닝 방법은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를 어댑터(252)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126]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50)는 어댑터(252)의 만곡된 부분(262)에 형상과 사이즈가 대응하는 만곡된 슬롯(284)을 가진다. 만곡된 슬롯(284)은 리테이너(250)의 길이를 따라 어댑터(252)의 제한되지 않은 위치설정을 허용하도록 리테이너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127]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를 리테이너(250)에 고정하기 위하여, 어댑터(252)의 만곡된 부분(262)은 리테이너(250)의 만곡된 슬롯(284)에 배치된다. 만곡된 슬롯(284)은 어댑터(252) 및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를 리테이너(250)에 고정하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빠르고 쉬운 조립체를 제공한다. 벽(254)은 리테이너(250)와 어댑터(252) 사이에서 연결의 부가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방법들은 어댑터(252) 및/또는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를 리테이너(250)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128] 대안적으로, 도 3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패들(287)의 코일형 스프링(30)은 트레이(306)의 전면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290)에는 만곡된 부분이 제공된다. 만곡된 부분은 푸셔 바닥부(288)로부터 하향으로 만곡되고 리테이너(250) 및 분배 트레이(306)의 전면 표면의 립(lip)(318)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316)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도 33에 도시됨). 립(318) 및 리테이너(250)의 수직으로 배향된 표면은, 간격이 립(250)의 전면 에지와 수직으로 배향된 표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이격된다. 코일형 스프링(30) 및 푸셔 기구(286)를 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 1 스프링 단부(290)는 립(318)의 전면 에지와 리테이너(250)의 수직 배향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삽입되고 리테이너(250) 및 분배 트레이(306)의 립(318)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316)에 배치된다.
[129] 도 38, 도 39,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디바이더(266)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게다가,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코일형 스프링(30)이 감겨진 축이 푸셔 바닥부(288)에 수직이도록 푸셔 바닥부(288)에 수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 1 스프링 단부(290)에는 각진 부분(292) 및 팁 부분(296)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진 부분(292)은 코일형 스프링 몸체(294)에 수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디바이더에는 제 1 스프링 단부(290)의 팁 부분(296)을 수용하도록 적응된 슬롯(298)이 제공될 수 있다.
[130] 코일형 스프링을 디바이더에 고정하기 위하여, 팁 부분(296)은 슬롯(298)에 삽입된다. 일단 팁 부분(296)이 슬롯(298)에 완전히 삽입되면, 각진 부분(292)은 제 1 스프링 단부(290)를 디바이더(266)에 고정하기 위하여 슬롯(298)에 맞물린다.
[131]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푸셔 기구 설계들은 구현될 수 있다. 푸셔 패들(287)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대응하게 형상화된 제품을 수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푸셔 패들(286)은 만곡된 제 1 단부 및 편평한 제 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상이한 사이즈 직경들을 가진 다양한 원통형 제품들을 수용하고 푸셔 기구(286)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동작 동안, 푸셔 기구(286)의 제품 및 만곡된 제 1 단부는 함께 푸셔 기구를 디바이더(266) 쪽으로 강제하여, 코일 스프링(30)은 장력을 받거나 동작 동안 제 1 스프링 단부(290)를 유지하는 디바이더(266)에 대하여 편평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푸셔 기구의 보다 부드러운 동작을 허용하고 사용자들이 시스템으로부터 제품을 제거할 때 제품이 적당하게 분배되는 것을 보장한다.
[132] 도 40-도 41d에 도시된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디바이더들(266) 사이의 거리는 상이한 사이즈의 용기들을 수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디바이더들(266)에는 연결 부분들(272)이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부분들(272)에는 제 1 세장형 각진 표면(268) 및 제 2 세장형 각진 표면(270)이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연결 부분들(272)에는 복수의 돌출부들(274)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들은 면 표면들(280) 및 플랭크 표면들(282)을 가진 치형부들(278)로 형성될 수 있다.
[133] 도 4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연결 부분들(272)은 레일들의 치형부들(278) 사이에 수용된다. 부가적으로, 세장형 각진 표면(268 및 270) 및 돌출부들(274)은 치형부들(278)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도 4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각진 표면들(268 및 270)은 면 표면들(280)과 맞물리고, 돌출부들(274)은 레일들 사이의 연결 부분들(272)을 고정시키기 위해 치형부들(278)의 플랭크 표면들(282)과 맞물린다.
[134] 도 42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레이들(306)에는 더브테일 연결부들이 제공된다. 트레이들(306)의 제 1 측(308)에는 트레이들(306)의 제 2 측(310) 상에 위치된 홈들(314) 내에 끼워지도록 적응된 텅들(312)이 제공된다.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홈들(314)은, 텅들(312)이 홈들(314) 내에서 단단히 고정되도록 텅들(312)과 정렬된다.
[135] 도 43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레이들(306)은 리테이너(250)를 전면 단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리테이너에는 직사각형 구멍들(300)이 제공될 수 있고, 리테이너에는 대응하게 형상화되고 크기가 정해진 돌출부들(302)이 제공된다. 리테이너(250)를 트레이(306)에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부들(302)은 리테이너를 트레이(306) 상의 제자리에 록킹하도록 구멍들(300)에 끼워진다.
[136] 도 45-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조립된 후, 제품은 시스템에 적재된다. 디바이더들(266)을 조절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제품 사이즈들 및 형상들이 시스템에 적재될 수 있다.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패들(287)과 함께 코일 스프링(30)은 제품을 리테이너(250) 쪽으로 민다. 사용자가 시스템에서 제품을 꺼낼 때, 푸셔 패들(287)은, 나머지 제품이 바닥부(264)를 따라 리테이너(250)로 미끄러지도록 나머지 제품을 민다. 이것은, 모든 제품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면에 남아있는 것을 보장한다.
[137] 도 50-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400)은, 트레이들(402, 404)이 서로의 상단에 쌓아질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제 1 트레이(402), 제 2 트레이(404), 제 1 스페이서(406), 및 제 2 스페이서(408)로 이루어질 수 있다.
[138] 트레이들(402, 404)은 각각, 분배될 제품을 하우징하도록 배열된다. 제 1 트레이(402) 및 제 2 트레이(404)에는 각각 투명 리테이너(410), 푸셔 기구(412), 제 1 및 제 2 가이딩 벽들, 및 코일 스프링(414)이 제공될 수 있다.
[139] 푸셔 기구(414)는 상기 논의된 실시예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열되어, 제품이 제거되는 동안 트레이들(402, 404)의 표면을 따라 제품을 미끄러지게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논의된 푸셔 기구의 대안적인 배열들 중 임의의 것은 쌓을 수 있는 트레이 배열에 구현될 수 있다.
[140] 간단한 조립체 및 디스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쌓을 수 있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에는 스냅-피트 연결, 나사-스레드 연결, 또는 리벳 연결(rivet connection)과 같은, 더브테일 연결(dovetail connection)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트레이들에는 제 1 및 제 2 스페이서들(406, 408)을 제 1 및 제 2 트레이들(402, 404)에 어셈블링하기 위하여 멈춤쇠들(416)이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트레이들(402, 404)의 각각에는 그들 개별 외측 표면들 상에 소켓들(418)이 제공되어 제 1 및 제 2 스페이서들(406, 408) 상에 위치된 대응하게 형상화된 멈춤쇠들(416)을 수용할 수 있다.
[141] 쌓을 수 있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스페이서들(406, 408) 상에 위치된 멈춤쇠들(416)은 잠금 배열체의 제 1 및 제 2 트레이들(402, 404)의 외측 표면들 상에 대응하게 형상화된 소켓들(418)에 끼워진다. 이것은 상기 논의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와 함께 구현될 수 있는 쌓을 수 있는 배열을 제공한다.
[142] 도 53-55는 본원에 논의된 예들과 유사한 다른 예시적인 판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하고,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부품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서, 제품 열에서 마지막 제품(P)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부가적인 제품-리테이닝 부재(544b)가 제공될 수 있다.
[143] 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예시적인 트레이(512)는 그 안의 제품을 안내하기 위해 표면(516)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분리 부분들, 패널들 또는 디바이더들(518)을 형성할 수 있다. 표면(516)은 중실 표면일 수 있거나, 본원에 논의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리브들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의 이격된 구멍들을 형성하는 표면일 수 있다. 표면(516)은 표면(516) 상의 제품의 미끄러짐 가능한 이동을 허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144] 이러한 예에서, 표면(516)은 복수의 제품들의 위치설정을 위한 단일 열을 제공한다. 대안적인 양상에서, 트레이(512)는 단수 또는 다수의 열들의 제품들이 판매를 위해 배치될 수 있는 선반 또는 임의의 다른 표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품들의 배치를 위해 트레이를 다수의 열들로 분리하기 위해 다수의 디바이더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표면 또는 바닥부 구성들이 알려져 있고, 본 개시의 원리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145] 이러한 예에서, 표면(516)은 코일형 스프링(530)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526)을 포함하는 둥근 단부(524)를 형성할 수 있다. 단부(524)는 트레이 상에 배치된 제품의 형상과 매칭하도록 둥글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단부(524)는 둥글게 되거나, 트레이에 그리고 단부(524)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용기, 병 또는 캔의 윤곽과 매칭하기 위해 반원 형상을 형성한다. 판매될 제품에 따라 단부의 다른 형상들이 본 개시에서 사용될 수 있다.
[146] 슬롯(526)은 코일형 스프링(530) 또는 유사한 편향 요소의 단부(529)를 수용 및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트레이(512)에 대해 코일형 스프링(530)을 중심에 둘 것이고, 스프링이 트레이의 길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허용할 것이다. 당업자는 슬롯(526)의 위치 및 구성이 스프링의 원하는 배치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147] 코일형 스프링(530)은 슬롯(526)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단부(529)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529)는 L-형상이고, 단부(529)가 하향으로 연장되고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529)를 리테이닝하기 위해 슬롯과 맞물리도록 후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트레이로의 코일형 스프링의 용이한 설치를 허용한다.
[148] 디바이더들(518)은 그 안에 배치된 제품들을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더들(518)은 표면(516)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도 5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516)의 대향 측들 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더들(518)은 다양한 제품 타입들을 수용하기 위해 트레이(512) 상의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또는 표면(516)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더들(518)은 표면(516)과 통합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디바이더들(518)은 부가된 유연성을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하여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디바이더들(518)은 시스템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레일에 부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들(518)은 다수의 구성들을 형성할 수 있고 판매될 제품의 열들 사이에서 디바이더들의 원하는 높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임의의 원하는 거리로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높이는 디바이더 연장기(extender)들 등을 부가함으로써 조절 가능할 수 있다.
[149] 제 1 제품-리테이닝(retaining) 부재들(544a)이 트레이(512)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고 디바이더들(51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품-리테이닝 부재들(544a)은 트레이(512)에 제품을 유지하고 제품이 트레이(512)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 리테이닝 벽 또는 바(bar)로서 역할을 한다. 제품 리테이닝 부재들(544a)은 또한 트레이(512)에 위치설정된 최전방 제품의 쉬운 제거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제 1 제품-리테이닝 부재(544a)는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곡선-형상 중실 리테이닝 벽(548a) 또는 임의의 다른 리테이닝 부재일 수 있다. 리테이닝 벽(548a)은 선반 상 제품이 눈에 보이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리테이닝 벽(548a)은 또한 디바이더들(518)을 연결하지 않게 디바이더들(518)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더들(518)은 부가적인 제품 유지를 트레이의 전방 방향으로 제공하기 위해 전방에 곡선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150] 위에 논의된 예들과 마찬가지로, 판매 시스템은 본원에 개시된 푸셔 기구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본원에 개시된 푸셔 기구들 중 임의의 것의 특징들 및 기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는 트랙 없는 푸셔 기구(5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푸셔 기구(514)는 푸셔 패들 또는 푸셔 표면(550), 푸셔 바닥부(552) 및 제 2 제품-리테이닝 부재 또는 제품 리테이너(544b)를 형성한다. 푸셔 패들(550), 푸셔 바닥부(552) 및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단일, 통합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임의의 알려진 영구적인 또는 제거 가능한 연결 방법들과 같은 알려진 기술들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 별개의 구조들일 수 있다. 또한, 푸셔 패들(550), 푸셔 바닥부(552) 및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임의의 알려진 적절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푸셔 패들(550), 푸셔 바닥부(552) 및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착색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푸셔 패들(550), 푸셔 바닥부(552) 및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임의의 알려진 강화 기술들을 사용하여 강화될 수 있다.
[151] 일 양상에서, 푸셔 패들(550)은 음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병들 또는 캔들과 같은, 판매될 제품의 형상에 매칭하도록 구성된 곡선 형상 푸셔 표면 또는 면(554)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곡선 형상일 수 있고, 판매될 제품의 형상에 매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곡선 형상 푸셔 표면(554) 및 대응하게 곡선 형상 제 2 제품 리테이닝 멤버(544b)는 푸셔가 트레이의 마지막 제품과 중앙에 정렬되는 것을 허용한다. 광고, 제품 식별 또는 다른 제품 정보는 푸셔 표면(554) 또는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152] 푸셔 바닥부(552)는 푸셔 패들(550) 아래에 위치설정될 수 있고 푸셔 패들의 푸셔 표면(554)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푸셔 바닥부(552)는 임의의 미리 결정된 거리 및 임의의 미리 결정된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푸셔 바닥부(552)는 푸셔 표면(55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푸셔 바닥부(552)는 단일 병 또는 캔과 같은 하나의 제품이 푸셔 바닥부 상에 배치되게 하도록 충분한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푸셔 바닥부(552)는 하나보다 많은 제품이 푸셔 바닥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셔 바닥부(552)는 도시된 둥근 형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푸셔 바닥부 상에 제품을 추가로 유지하도록, 리브들, 벽들 등과 같은, 푸셔 바닥부의 표면 상의 임의의 제품 리테이닝 피처들을 형성할 수 있다.
[153] 푸셔 바닥부(552)는 코일형 스프링(530)을 놓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이 형성되고 그리고 구성된 세장형 채널, 홈 또는 들어간 부분(559)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채널 또는 홈(559)은 바닥부(552)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그리고 푸셔 패들(550)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트레이(512)의 푸셔 패들(550)의 적당한 정렬 및 위치설정을 허용한다. 홈(559)은 코일형 스프링(530)의 두께에 매칭하거나 초과하는 깊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코일형 스프링(530)은, 제품이 코일형 스프링 상에 직접 놓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런 제품이 푸셔 바닥부 표면 상에 놓도록 푸셔 바닥부 표면에 또는 그 아래에 놓일 것이다. 푸셔 바닥부(552)는 잔해(debris) 또는 다른 아이템들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들 및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닥부는 중실 표면일 수 있다.
[154]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곡선 형상 중실 리테이닝 벽(548)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푸셔 기구(5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푸셔 표면(554)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푸셔 표면(554) 및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푸셔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푸셔 표면(544),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 및 푸셔 바닥부(552)가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푸셔 표면(544)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155]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마지막 제품이 푸셔 표면(554)과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54b) 사이에 유지되도록, 푸셔 표면(554)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품은 병, 캔 또는 용기일 수 있고, 푸셔 표면(544)과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 사이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푸셔 표면(554)에 대해 단일 용기, 병 또는 캔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단지 하나의 용기, 병 또는 캔은 푸셔 표면(544)과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이(512)는 그 안에 다수의 제품들을 유지할 수 있고,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54b)는 푸셔 표면(554)에 대해 다수의 제품들 중 마지막 제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제 2 제품 리테이너 부재(554b)는 열을 이루는 제품들 중 마지막 제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54b)는 트레이 또는 선반 상의 마지막 제품이 푸셔 기구에 의해 제 1 리테이너(554a)를 넘어서 그리고 다른 선반 또는 바닥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54b)는 트레이 또는 선반 상의 올바른 위치에 마지막 제품을 유지한다.
[156]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디바이더들(552)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바이더들(552)에 인접할 수 있거나, 디바이더들(552) 및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54b)는 트레이(512)의 양측 상에(on either side)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54b)는, 고객들이 리테이너(554b)를 통해 제품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157] 부가적으로,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는 본원에 논의된 바와 같이 곡선-형상 중실 리테이닝 벽(548b) 또는 임의의 다른 리테이닝 부재일 수 있다. 리테이닝 벽(548b)은 선반 상의 제품의 시각화를 허용하기 위해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리테이닝 벽(548b)은 또한 디바이더들(518)을 연결하지 않기 위해 디바이더들(518) 사이에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158] 이전의 예들에서와 같이, 사용중에, 푸셔 기구(514)가 트레이(512)에서 후방으로 강제될 때, 코일형 스프링(530)의 단부(529)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자리에 유지될 것이고, 스프링(530)의 코일형 단부는 푸셔 패들(550) 뒤에서 풀리기(uncoil) 시작할 것이다. 푸셔(514)가 트레이(514)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허용되면, 가령, 제품이 트레이의 전방으로부터 제거될 때, 스프링(530)의 코일형 단부는 감기고(coil)고 트레이(512)에서 전방으로 푸셔 패들(550)을 강제할 것이고, 이로써 제품을 트레이의 전방 쪽으로 강제한다.
[159] 본원에 논의된 특정 예들에서와 같이, 트레이(512)에 장착된 트랙 없는 푸셔 기구(514)가 도시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푸셔 기구(514)는 디바이더들(518) 사이에서 트레이(512) 내에 끼워진다. 사용중에, 푸셔 기구(514)는 트랙들, 레일들 또는 안내부들의 사용 없이 트레이(512)의 표면(516)을 따라 미끄러질 것이다.
[160] 본원에 논의된 특정 예들에서와 같이, 푸셔 바닥부(552) 상의 제품의 무게, 및 스프링(530)에 걸친 제품들의 위치설정은 패들(550)이 트레이에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중에, 하나의 제품이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 근처에서 트레이의 전방으로부터 제거될 때, 푸셔 기구(514)는 (코일형 스프링(530)의 강제를 통해), 최전방 제품이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와 접촉할 때까지, 트레이(512)에서 나머지 제품을 전방으로 밀것이다. 부가적인 제품들이 제거될 때, 푸셔 기구(514)는 나머지 제품을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a) 쪽으로 계속해서 밀것이다.
[161] 부가적으로, 제품 열 내의 마지막 제품은, 제품 열 내의 마지막 제품이 푸셔 기구(514)에서 유지되고 트레이(512)에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와 푸셔 표면(554)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특정 경우들에서, 더 큰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a)는 마지막 용기 또는 병이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a)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경우들에서, 더 작은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더 작은 제품 리테이닝 부재들을 사용할 때, 마지막 용기는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a)에 걸려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 병을 제 2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b)에 고정하는 것은, 더 작은 제품 리테이닝 부재(544a)를 사용할 수 있으면서, 마지막 용기가 제품 리테이닝 부재에 밀려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162] 상기의 변형들 및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다. 예컨대, 당업자는, 다수의 설명된 부품들이 상점들 및 다양한 구성들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단일 시스템이 본 개시의 피처들, 교시들 및 원리들을 단순 예시하기 때문에, 단일 시스템으로 제한되지도, 도면들에 도시된 업라이트 푸셔 구성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형성된 예들이 텍스트 및/또는 도면들로부터 언급되거나 명백한 개별 피처들 중 2 또는 그 초과의 모든 대안적인 결합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상이한 결합들 모두는 본 개시의 다양한 대안적인 양상들을 구성한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알려진 최상 모드들을 설명하고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이용하게 할 것이다. 청구항들은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정도로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63]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아래의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Claims (20)

  1. 표면을 갖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푸셔 기구(pusher mechanism)로서,
    오목한 형상의(concave shaped) 푸셔 표면;
    상기 푸셔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오목한 형상의 제품 리테이너(product retainer);
    상기 푸셔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푸셔 바닥부(pusher floor) ― 상기 푸셔 바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이 상기 푸셔 바닥부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푸셔 바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설정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이동 가능함 ― ; 및
    코일형 스프링(coiled spring)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 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 상부에 놓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 상에 위치설정 가능하고, 상기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장착되어 유지되고,
    상기 코일형 스프링은 상기 푸셔 표면 뒤에 위치설정된 코일형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 바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에 평행하고,
    상기 푸셔 표면 및 상기 제품 리테이너는 상기 푸셔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품 리테이너는, 상기 푸셔 표면, 상기 제품 리테이너 및 상기 푸셔 바닥부가 그 안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푸셔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푸셔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병(bottle)이고, 상기 병은 상기 푸셔 표면과 상기 제품 리테이너 사이에 맞도록(fit) 구성된,
    푸셔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병이 상기 푸셔 표면과 상기 제품 리테이너 사이에 맞도록 허용되는,
    푸셔 기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바닥부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푸셔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스프링은 상기 푸셔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 가능하고, 상기 푸셔 표면 뒤에 동작 가능하게 부착되는,
    푸셔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기구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서만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에 장착되는,
    푸셔 기구.
  8.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제품들의 열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형성하는 트레이(tray);
    제품이 상기 트레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형상의 제 1 제품 리테이너;
    오목한 형상의 푸셔 표면, 및 상기 푸셔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오목한 형상의 제 2 제품 리테이너를 갖는 푸셔 기구 ― 상기 푸셔 기구는 상기 트레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미끄러지도록 구성됨 ― ;
    상기 푸셔 표면 및 전방 단부의 뒤에 위치설정된 코일형 단부를 갖는 코일형 스프링;
    상기 제품들을 일렬로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더(divider)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 기구는 상기 트레이의 표면의 상부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푸셔 기구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에 장착되고,
    상기 푸셔 표면 및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상기 푸셔 바닥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그 안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푸셔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표면 및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열을 이루는 제품들 중 마지막 제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병이고, 상기 공간은 단지 하나의 병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기구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서만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표면에 장착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 디바이더 및 제 2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품 리테이너 및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상기 제 1 디바이더와 상기 제 2 디바이더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트레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상기 트레이의 전방 부분으로 연장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품 리테이너 및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투명한,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제품들을 유지하기 위한 표면을 형성하는 트레이;
    상기 복수의 제품들이 상기 트레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형상의 제 1 제품 리테이너;
    오목한 형상의 푸셔 표면, 오목한 형상의 제 2 제품 리테이너, 코일형 스프링 및 상기 푸셔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푸셔 바닥부를 포함하는 푸셔 기구 ― 상기 푸셔 바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이 상기 푸셔 표면과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 사이에서 상기 푸셔 바닥부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푸셔 바닥부는 상기 트레이의 표면 상에서 위치설정 가능하고 상기 트레이의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 가능함 ― 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 기구는 상기 트레이의 표면의 상부에 놓이고, 상기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서만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어 유지되고,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상기 복수의 제품들 중 마지막 제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바닥부는 복수의 구멍들(apertures)을 형성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표면, 상기 푸셔 바닥부, 및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단일 병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 1 디바이더 및 제 2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품 리테이너 및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상기 제 1 디바이더와 상기 제 2 디바이더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품 리테이너 및 상기 제 2 제품 리테이너는 투명한,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77020605A 2014-12-22 2015-12-22 트랙 없는 푸셔 기구를 갖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62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79,604 2014-12-22
US14/579,604 US9232864B2 (en) 2005-09-12 2014-12-22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PCT/US2015/067494 WO2016106375A1 (en) 2014-12-22 2015-12-22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990A KR20170099990A (ko) 2017-09-01
KR102062173B1 true KR102062173B1 (ko) 2020-01-02

Family

ID=5507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605A KR102062173B1 (ko) 2014-12-22 2015-12-22 트랙 없는 푸셔 기구를 갖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236809B1 (ko)
KR (1) KR102062173B1 (ko)
CN (1) CN107249399B (ko)
AU (1) AU2015369659B2 (ko)
BR (1) BR112017013529B1 (ko)
WO (1) WO2016106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5802B2 (en) 2015-04-08 2018-05-01 Fasteners For Retail, Inc. Divider with selectively securable track assembly
KR102423847B1 (ko) * 2022-02-11 2022-07-20 정준기 담배 보관용 서랍
KR102423838B1 (ko) * 2022-02-11 2022-07-20 정준기 담배 보관용 이종 서랍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7871A1 (ja) * 2004-09-03 2006-03-16 Kawajun Co., Ltd. 商品自動前出し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5051A (en) * 1997-08-28 2000-01-18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Shelf assembly with pusher having memory characteristic and method of use
DE69833810T2 (de) * 1997-11-28 2006-08-31 Kawajun Co. Ltd. Schaugestell für Waren
US8938396B2 (en) * 2004-02-03 2015-01-20 Rtc Industries, Inc.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US7478731B1 (en) * 2006-01-10 2009-01-20 New Dimensions Research Corporation Product display partition and biasing device
US20070272634A1 (en) * 2006-05-23 2007-11-29 Richter Gary M Well Merchandiser
ES2374494T3 (es) * 2008-01-25 2012-02-17 Rtc Industries, Inc. Sistema de presentación de gestión de productos con mecanismo empujador sin ra�?l.
CN201564092U (zh) * 2009-11-04 2010-09-01 朱旻寅 双层商品滚动货架
EP2598001B1 (en) * 2010-07-30 2017-07-19 RTC Industries, Inc. Product sec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9016483B2 (en) * 2010-11-12 2015-04-28 Frito-Lay North America, Inc. Dual plane self-adjusting shelf
EP2750554B1 (en) * 2011-09-02 2016-11-23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7871A1 (ja) * 2004-09-03 2006-03-16 Kawajun Co., Ltd. 商品自動前出し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13529A2 (pt) 2018-03-06
AU2015369659A1 (en) 2017-07-13
EP3236809B1 (en) 2020-02-05
AU2015369659B2 (en) 2018-06-14
CN107249399B (zh) 2020-05-12
EP3236809A1 (en) 2017-11-01
BR112017013529B1 (pt) 2022-04-26
CN107249399A (zh) 2017-10-13
KR20170099990A (ko) 2017-09-01
WO2016106375A1 (en)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864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8453850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EP2242401B1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8322544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AU2012301697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8863963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9820585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8312999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JP4955004B2 (ja) トラックレスプッシャ機構を有する製品管理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062173B1 (ko) 트랙 없는 푸셔 기구를 갖는 제품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AU2013359375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