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909B1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909B1
KR102061909B1 KR1020130084997A KR20130084997A KR102061909B1 KR 102061909 B1 KR102061909 B1 KR 102061909B1 KR 1020130084997 A KR1020130084997 A KR 1020130084997A KR 20130084997 A KR20130084997 A KR 20130084997A KR 102061909 B1 KR102061909 B1 KR 10206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
parking brake
driven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257A (ko
Inventor
박창훈
이우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동아하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동아하이테크(주)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9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2Pre-actuation of braking systems without significant braking effect; Optimizing brake performance by reduction of play between brake pads and brake dis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의 일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구동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기어부와, 구동기어의 타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구동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기어부와, 제1연결기어부와 제2연결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 및 종동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종동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ACTUATOR FOR ELECTRONIC PARKING BRAKE}
본 발명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사이즈 대비 높은 감속비를 구현할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정지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주차레버를 운전자가 조작함에 따라 작동된다.
종래는 운전자가 주차레버를 회전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므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에게는 그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구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수동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차량이 정차한경우나 언덕 출발시에 차량이 뒤로 밀릴 우려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여 차의 주차 상태 또는 정차 상태를 유지시킨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주차스위치와, 주차스위치의 작동신호에 따라 주차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과,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제공받아 주차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주차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차 브레이크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양측에 배치되는 마찰패드와, 마찰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피스톤과, 피스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핀들과,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면서 피스톤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 하도록 피스톤의 내측에 설치되는 너트와,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0069호(2012.06.11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회전토크를 증가시키는 경우,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의 설치공간이 증가하므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한다.
또한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으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며, 작동소음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의 설치공간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회전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의 일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구동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기어부와, 구동기어의 타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구동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기어부와, 제1연결기어부와 제2연결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 및 종동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종동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연결기어부와 제2연결기어부 사이의 간격은 구동기어에서 종동기어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연결기어부는, 구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회전기어와, 종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웜기어 및 제1회전기어와 제1웜기어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연결기어부는, 구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회전기어와, 종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웜기어 및 제2회전기어와 제2웜기어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기어의 직경보다 제1회전기어와 제2회전기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웜기어와 제2웜기어의 직경보다 종동기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는, 구동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는 제1회전기어와 제2회전기어에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지며, 종동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는 제1웜기어와 제2웜기어에서 2차 감속이 이루어지므로,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토크를 증가시키는 기어의 설치공간을 감소시켜 다른 부품과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속이 이루어지기 위한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도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기어부와 제2연결기어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기어부와 제2연결기어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1)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재(20)와, 구동부재(20)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30)와, 구동기어(30)의 일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구동기어(3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기어부(40)와, 구동기어(30)의 타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구동기어(3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기어부(50)와,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60)와, 종동기어(60)의 회전축(24)에 연결되어 종동기어(60)와 같이 회전하는 출력부(70)를 포함한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0)는,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 등의 기어가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스몸체(12)와, 케이스몸체(12)에 연결되는 구동케이스(18)를 포함한다.
케이스몸체(12)의 일측(도 3기준 우측)에는 구동기어(30)가 설치되며, 케이스몸체(12)의 타측(도 3기준 좌측)에는 종동기어(60)가 설치된다.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의 회전축(24)은 케이스몸체(12)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케이스몸체(12)는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의 일측에 연결된 제1베어링(80)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4)와,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의 타측에 연결된 제2베어링(85)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6)를 포함한다.
구동케이스(18)는 구동부재(20)를 감싸며 케이스몸체(12)의 외측에 고정되므로, 구동부재(20)의 동력이 구동기어(30)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재(20)는 에너지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재(20)는 전기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재(22)를 포함한다.
모터부재(22)의 외측으로 회전축(24)이 돌출되며, 모터부재(22)의 동작으로 회전축(24)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회전축(24)은 구동기어(3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므로, 회전축(24)과 함께 구동기어(30)가 회전한다.
구동기어(30)는 케이스몸체(1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수직(이하 도 2기준)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기어(3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기어(30)의 외측에는 나선 형상으로 치형이 형성된다.
구동기어(30)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케이스몸체(1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14)는 제1베어링(80)을 지지하며, 제2지지부(16)는 제2베어링(85)을 지지한다.
제1베어링(80)과 제2베어링(85)은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기어(30)의 일측(도 3 기준 상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1연결기어부(40)는, 구동기어(3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기어(30)의 동력을 종동기어(60)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기어부(40)는, 구동기어(30)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회전기어(42)와, 종동기어(60)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웜기어(44)와, 제1회전기어(42)와 제1웜기어(44)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바(46)를 포함한다.
구동기어(30)는 제1회전기어(42)에 맞물려 돌아가며, 종동기어(60)는 제1웜기어(44)에 맞물려 돌아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기어(42)에는 윔휠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회전기어(42)에 맞물리는 구동기어(30)는 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종동기어(60)는 윔휠 형상으로 형성되며, 종동기어(60)에 맞물리는 제1웜기어(44)는 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연결기어부(40)에 웜 기어와 웜휠 기어가 적용되므로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큰 감속비를 얻기 위하여 구동기어(30)의 직경보다 제1회전기어(42)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1차 감속이 이루어지며, 제1웜기어(44)의 직경보다 종동기어(6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2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구동기어(30)의 타측(도 3 기준 하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2연결기어부(50)는, 구동기어(3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기어(30)의 동력을 종동기어(60)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기어부(50)는, 구동기어(30)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회전기어(52)와, 종동기어(60)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웜기어(54)와, 제2회전기어(52)와 제2웜기어(54)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바(56)를 포함한다.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가 설치된 케이스몸체(12)의 장착면이 수평으로 설치된 경우,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의 회전축(24)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의 회전축(24)은 수평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 사이의 간격은, 구동기어(30)에서 종동기어(60)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구동기어(30)는 제2회전기어(52)에 맞물려 돌아가며, 종동기어(60)는 제2웜기어(54)에 맞물려 돌아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기어(52)에는 윔휠 형상으로 형성되며, 종동기어(60)에 맞물리는 제2웜기어(54)는 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에 웜 기어와 웜휠 기어가 적용되며,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의 양측에 동시에 맞물려 회전하므로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큰 감속비를 얻기 위하여 구동기어(30)의 직경보다 제2회전기어(52)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1차 감속이 이루어지며, 제2웜기어(54)의 직경보다 종동기어(6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2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구동기어(30)의 양측에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가 동시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며, 종동기어(60)의 양측에도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가 동시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기어(30)에서 종동기어(60)로 전달되는 동력이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로 분산되므로,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60)의 회전중심축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종동기어(60)의 직경은 구동기어(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종동기어(60)의 회전축(24)을 관통하여 출력부(70)의 결합돌기(72)가 설치된다.
결합돌기(72)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돌기(72)가 삽입되는 종동기어(60)의 회전축(24)에 구비된 홀의 단면도 결합돌기(72)의 단면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종동기어(60)와 출력부(70)가 같이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70)는, 종동기어(60)의 회전축(24)에 맞물려서 종동기어(60)와 함께 회전하는 결합돌기(72)와, 결합돌기(7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출력몸체(74)를 포함한다.
출력몸체(74)는 피스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핀들과 같은 기능을 한다.
출력몸체(74)의 회전에 의해 너트가 직선 이동하면서 피스톤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모터부재(22)가 동작되어 회전축(24)이 회전하면, 회전축(24)에 연결된 구동기어(30)가 회전한다.
구동기어(30)에 제1연결기어부(40)의 제1회전기어(42)와 제2연결기어부(50)의 제2회전기어(52)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제1회전기어(42)의 회전으로 제1연결바(46)를 회전시키면, 제1연결바(46)에 고정된 제1웜기어(44)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60)를 회전시키므로, 제1웜기어(44)와 종동기어(60)의 사이에서 2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제2회전기어(52)의 회전으로 제2연결바(56)를 회전시키면, 제2연결바(56)에 고정된 제2웜기어(54)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60)를 회전시키므로, 제2웜기어(54)와 종동기어(60)의 사이에서도 2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종동기어(60)의 회전으로 종동기어(60)에 연결된 출력부(70)의 결합돌기(72)가 회전된다. 결합돌기(72)와 함께 출력몸체(74)도 회전하므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1)의 출력이 이루어진다.
출력몸체(74)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피스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출력몸체(74)의 회전에 의해 너트가 직선 이동하면서 피스톤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므로 브레이크가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1)는 차륜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캘리퍼에 직접 장착되어 작동되며, 감속비가 높은 웜기어를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에 맞물리는 제1,2연결기어부(40,50)에 적용하여 종래 대비 높은 감속비를 구현할 수 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1)는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의 양측에 동력전달을 위한 제1,2연결기어부(40,50)가 설치되어 더블 웜기어를 구현하므로, 단일 웜기어 적용시 문제가 되는 웜기어 축의 비틀림과 축계 변형과 백래쉬 등에 의한 효율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스퍼기어, 헬리컬기어, 유성기어 등을 사용하는 구동장치 대비 고감속을 구현하는 웜기어와 웜휠기어가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의 양측에 설치된 제1,2연결기어부(40,50)에 적용되므로, 동일 사이즈의 구동장치에서 고감속비의 출력 구현이 가능하며, 모터부재(22)의 부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2연결기어부(40,50)를 통하여 동시에 감속이 이루어지므로 고감속비 구현과 고효율 스핀들 적용 가능에 따른 모터부재(22)의 전류 소모량이 축소된다.
또한 웜기어와 웜휠기어의 연결시 자체적인 셀프 로킹(SELF LOCKING)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셀프 로킹 구조를 종동기어(60)나 출력부(70)에 별도로 적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출력부(70)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며 출력부(70)의 출력도 높아진다.
또한 복수로 적용된 대칭의 제1,2연결기어부(40,50)를 통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축계변형과 백래쉬가 감소되어 토크의 전달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1연결기어부(40)와 제2연결기어부(50)가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60)에 조립될 때, 기어가 맞물리는 위상차 조절로 기어의 백래쉬 현상이 감소되어 소음과 진동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대비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감소되어 조립 오차와 조립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30)와 맞물려 돌아가는 제1회전기어(42)와 제2회전기어(52)에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지며, 종동기어(60)와 맞물려 돌아가는 제1웜기어(44)와 제2웜기어(54)에서 2차 감속이 이루어지므로,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토크를 증가시키는 기어의 설치공간을 감소시켜 다른 부품과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자동차가 아닌 다른 기계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10: 케이스부 12: 케이스몸체
14: 제1지지부 16: 제2지지부
18: 구동케이스 20: 구동부재
22: 모터부재 24: 회전축
30: 구동기어 40: 제1연결기어부
42: 제1회전기어 44: 제1웜기어
46: 제1연결바 50: 제2연결기어부
52: 제2회전기어 54: 제2웜기어
56: 제2연결바 60: 종동기어
70: 출력부 72: 결합돌기
74: 출력몸체 80: 제1베어링
85: 제2베어링

Claims (7)

  1.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구동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기어부;
    상기 구동기어의 타측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구동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기어부;
    상기 제1연결기어부와 상기 제2연결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기어부와 상기 제2연결기어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구동기어에서 상기 종동기어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연결기어부와 상기 제2연결기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과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기어부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회전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웜기어; 및
    상기 제1회전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기어부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회전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웜기어; 및
    상기 제2회전기어와 상기 제2웜기어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직경보다 상기 제1회전기어와 상기 제2회전기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웜기어와 상기 제2웜기어의 직경보다 상기 종동기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KR1020130084997A 2013-07-18 2013-07-18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KR102061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997A KR102061909B1 (ko) 2013-07-18 2013-07-18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997A KR102061909B1 (ko) 2013-07-18 2013-07-18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257A KR20150010257A (ko) 2015-01-28
KR102061909B1 true KR102061909B1 (ko) 2020-01-02

Family

ID=5248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997A KR102061909B1 (ko) 2013-07-18 2013-07-18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744A (ko) * 2018-05-29 2019-12-09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257A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35792B (zh) 电子盘式制动器
CN101728998B (zh) 电动机械鼓式制动器
CN101782118B (zh) 电动盘式制动器
CN104648347B (zh) 用于电子驻车制动系统的致动器
US20180238408A1 (en) Electronic disc brake
US8047339B2 (en) Caliper attaching type electrical parking brake in vehicle
CN106949169B (zh) 电子盘式制动器
US9835214B2 (en) Electronic disc brake
KR20110093061A (ko) 2단 유성기어가 모듈화되어 적용된 자동차용 캘리퍼 일체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1407468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30763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20160148660A (ko) 전기기계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 브레이크용 작동 장치
US20220297660A1 (en) Electric parking brake
KR10206190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구동장치
CN104074895B (zh) 驻车制动传动装置
KR20180133976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20110011038A (ko) 자동차용 차동유성기어 방식 캘리퍼 일체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195023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20110051384A (ko) 차량용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1950235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102672824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1165372B1 (ko)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유성기어 조립체
KR102401770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KR20100138101A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KR20200114711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