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682B1 -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682B1
KR102061682B1 KR1020180039185A KR20180039185A KR102061682B1 KR 102061682 B1 KR102061682 B1 KR 102061682B1 KR 1020180039185 A KR1020180039185 A KR 1020180039185A KR 20180039185 A KR20180039185 A KR 20180039185A KR 102061682 B1 KR102061682 B1 KR 10206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tivity
cloud
streaming server
cloud stream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228A (ko
Inventor
김정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6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은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INJECTION)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기존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 사용자 활동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FOR ANALYZING USER ACTIVITY BASED ON CLOUD BROWSE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사용자 활동 분석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의 클라우드 브라우저 상에서 사용자 활동을 직접 감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개인의 통신 속도를 급격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통신 속도의 향상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하거나, 원격지 컴퓨터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마치 원격지 컴퓨터에 로컬 로그인한 것과 같이 원격지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비교적 낮은 성능의 사용자 단말에서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가상화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Cloud Streaming) 기술은 고사양의 시스템 자원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구동하고, 렌더링된 결과만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하는 솔루션에 해당한다. 따라서,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비디오를 재생하거나 또는 3D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에서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활동을 클라이언트 단에서만 수집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070403호, 2012년 6월 29일 공개 (명칭: 웹브라우징 액션 탐지 및 접근 차단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서 사용자 활동을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은,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INJECTION)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을 검색하고, 상기 문서 객체 모델에서 상기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을 기반으로 상기 HTML 엘리먼트를 수집하여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실행 시,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여 인젝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되어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INJECTION)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을 검색하고, 상기 문서 객체 모델에서 상기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을 기반으로 상기 HTML 엘리먼트를 수집하여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실행 시,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여 인젝션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되어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서 사용자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종래 클라우드 스트리밍 환경에서의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클라우드 브라우저(111), 클라이언트(120-1~120-3) 및 분석 서버(1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로컬 스토리지가 아닌, 인터넷상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해놓고,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이언트(120-1~120-3)로부터 요청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1에서는 클라이언트를 3개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해당할 뿐 클라이언트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이 실행되는 시점에 기 정의된 수만큼 클라우드 브라우저(111)를 생성할 수 있는데, 클라우드 브라우저(111)는 HTML, CSS 및 JavaScript등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여 화면에 렌더링해줄 수 있다.
이 때,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는 웹 페이지의 큰 뼈대를 제공하고,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색깔이나 글씨체와 같은 디자인 요소를 관리하며, 자바스크립트(Javascritp)는 크로스 플랫폼, 객체지향 스크립트 언어로 웹페이지의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우드 브라우저(111)에 인젝션(Injection)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 내에서 구동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내의 클라우드 브라우저(111)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 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로직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브라우저(111)에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112)를 인젝션하여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112)가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112)는 클라우드 브라우저(111)에 인젝션되어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가 실행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생성된 클라우드 브라우저(111)가 웹 서버에게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111)는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인젝션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111)는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112)를 제공하는 분석 서버(130)에게 자바스크립트 코드 더미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하는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112)를 요청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111)는 수신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112)를 인젝션하여 실행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HTML 엘리먼트(element)는 HTML 문서나 웹 페이지를 이루는 개별적인 요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로 파싱될 수 있다.
이 때, 문서 객체 모델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확장성 생성 언어 문서의 상호 연동을 위한 객체 기반의 문서 모델에 해당하는 것으로, 프로그램과 스크립트에 의한 문서의 내용, 구조 종류 등의 동적인 접근과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립트나 프로그램 언어에 웹 페이지를 연결해줄 수 있다. 이 때, 웹 페이지를 조작 및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 방법 및 이벤트가 객체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객체들은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립트 언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브라우저(111)가 HTML 문서를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을 검색하고, 문서 객체 모델에서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문서 객체 모델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키 이벤트 발생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111)가 HTML 문서를 새롭게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에 문서 객체 모델을 검색함으로써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실행 시에 클라우드 브라우저(111)가 분석 서버(130)로부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여 인젝션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112)는 분석 서버(130)에 의해 관리 및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이 실행되면, 클라우드 브라우저(111)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클라우드 브라우저(111)는 우선 웹 서버에게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요청하여 인젝션한 뒤 분석 서버(130)에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112)를 요청하여 인젝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20-1~120-3)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요청에 따른 실행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치 요청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동영상이나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120-1~120-3)는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통신 가능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20-1~120-3)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이동통신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20-1~120-3)는 휴대폰,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입력부는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클라이언트(120-1~120-3)에 상응하는 단말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및 클라이언트(120-1~120-3)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 서버(130)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분석하는 서버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서버(130)는 웹 기반의 분석 서버에 상응하는 것으로, 종래의 클라이언트 기반의 분석 서버와는 상이한 서버일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기반의 분석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용자 활동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활동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서버(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실행되는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을 기반으로 HTML 엘리먼트를 수집하여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른 통계 정보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의 통계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서버(130)에서 수집한 HTML 엘리먼트를 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활동이 활발한 순서에 따른 웹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분석 서버(130)에서 수집한 HTML 엘리먼트 중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HTML 엘리먼트만을 수집한 뒤 통계내어,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순서에 따른 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분석 서버(130)는 통계 정보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이용률을 그래프로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의 관리자는 이용률에 대한 그래프를 참고하여 서비스될 웹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거나 제외시키는 등 효율적으로 시스템 관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서 사용자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은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Injection)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한다(S210).
이 때, 사용자 활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 내에서 구동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의 클라우드 브라우저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 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로직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인젝션하여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가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의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활동을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우드 브라우저에서 직접 감지하거나 수집하지 않고, 클라이언트(320-1~320-3)에서만 사용자 활동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종래의 시스템은, 클라이언트(320-1~320-3)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에서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한 사용자 활동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 분석 서버(330)로 전달하여 사용자 활동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320-1~320-3)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실질적으로 사용자 활동이 발생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 활동을 감지하거나 수집하는데 있어서 정보의 정확성 또는 정보의 다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형태로 수정하여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종류가 다양하고 구성이 복잡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클라우드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사용자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서 사용자 활동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 위치하는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이외에도 추가적인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인젝션하여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인젝션한다는 의미는 프로그램의 동작을 인젝션(Injection), 즉 삽입된 코드나 파일에 상응하게 변경하여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웹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자바스크립트와는 별도로 사용자 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되어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실행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생성된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게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인젝션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제공하는 분석 서버에게 자바스크립트 코드 더미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하는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수신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인젝션하여 실행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은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한다(S220).
이 때, HTML 엘리먼트(element)는 HTML 문서나 웹 페이지를 이루는 개별적인 요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로 파싱될 수 있다.
이 때, 문서 객체 모델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확장성 생성 언어 문서의 상호 연동을 위한 객체 기반의 문서 모델에 해당하는 것으로, 프로그램과 스크립트에 의한 문서의 내용, 구조 종류 등의 동적인 접근과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립트나 프로그램 언어에 웹 페이지를 연결해줄 수 있다. 이 때, 웹 페이지를 조작 및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 방법 및 이벤트가 객체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객체들은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립트 언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ML 엘리먼트는 구문 분석 과정을 거쳐, 클라우드 브라우저 내에서 문서 객체 모델의 내부 표현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을 검색하고, 문서 객체 모델에서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문서 객체 모델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키 이벤트 발생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새롭게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에 문서 객체 모델을 검색함으로써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을 기반으로 HTML 엘리먼트를 수집하여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서버는 웹 기반의 분석 서버에 상응하는 것으로, 종래의 클라이언트 기반의 분석 서버와는 상이한 서버일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기반의 분석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용자 활동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활동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른 통계 정보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의 통계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서버에서 수집한 HTML 엘리먼트를 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통계내어, 사용자 활동이 활발한 순서에 따른 웹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분석 서버에서 수집한 HTML 엘리먼트 중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HTML 엘리먼트만을 수집한 뒤 통계내어,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순서에 따른 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분석 서버는 통계 정보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이용률을 그래프로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의 관리자는 이용률에 대한 그래프를 참고하여 서비스될 웹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거나 제외시키는 등 효율적으로 시스템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실행 시,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분석 서버로부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여 인젝션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분석 서버에 의해 관리 및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이 실행되면, 클라우드 브라우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우선 웹 서버에게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요청하여 인젝션한 뒤 분석 서버에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요청하여 인젝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은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활동 분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요청을 수신하거나, 분석 서버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을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별도의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서 사용자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 과정은 먼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이 실행될 수 있다(S410).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이 실행됨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이 후, 각각의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분석 서버에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S420).
이 때, 각각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이미 웹 서버로부터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수신 받아 인젝션한 상태일 수 있다.
이 후, 각각의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분석 서버로부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여 인젝션할 수 있다(S430).
이 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하는 로직에 해당하는 것으로,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할 수 있다.
이 후, 각각의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가 실행됨에 따라 각각의 클라우드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435).
단계(S435)의 판단결과 사용자 키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 키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단계(S435)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35)의 판단결과 사용자 키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사용자 키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된 클라우드 브라우저에서 HTML 문서를 새롭게 페인팅(Painting)한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 DOM)을 검색할 수 있다(S440).
이 때,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새로 페인팅한 시점은 이미 문서 객체 모델의 수정을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새로 페인팅한 시점을 기준으로 문서 객체 모델을 검색할 수 있다.
이 후, 문서 객체 모델에서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고(S450),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분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460).
이 후,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생성된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HTML 엘리먼트들을 이용하여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통계 정보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470).
이 때,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른 통계 정보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의 통계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서버에서 수집한 HTML 엘리먼트를 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통계내어, 사용자 활동이 활발한 순서에 따른 웹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분석 서버에서 수집한 HTML 엘리먼트 중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HTML 엘리먼트만을 수집한 뒤 통계내어,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순서에 따른 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분석 서버는 통계 정보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이용률을 그래프로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의 관리자는 이용률에 대한 그래프를 참고하여 서비스될 웹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거나 제외시키는 등 효율적으로 시스템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서 사용자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 클라이언트(520-1~520-n), 분석 서버(530) 및 네트워크(54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로컬 스토리지가 아닌, 인터넷상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해놓고,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는 클라이언트(520-1~520-n)로부터 요청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이 실행되는 시점에 기 정의된 수만큼 클라우드 브라우저를 생성할 수 있는데,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HTML, CSS 및 JavaScript등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여 화면에 렌더링해줄 수 있다.
이 때,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는 웹 페이지의 큰 뼈대를 제공하고,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색깔이나 글씨체와 같은 디자인 요소를 관리하며,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는 크로스 플랫폼, 객체지향 스크립트 언어로 웹 페이지의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는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Injection)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되어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는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을 검색하고, 문서 객체 모델에서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는, 실행 시에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분석 서버(530)로부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여 인젝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520-1~520-n)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에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로부터 요청에 따른 실행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치 요청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동영상이나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520-1~520-n)는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와 통신 가능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520-1~520-n)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이동통신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520-1~520-n)는 휴대폰,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입력부는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클라이언트(520-1~520-n)에 상응하는 단말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분석 서버(530)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분석하는 서버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서버(5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에서 실행되는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을 기반으로 HTML 엘리먼트를 수집하여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54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10) 및 클라이언트(520-1~5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서 사용자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통신부(610), 프로세서(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한다.
통신부(6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활동 분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61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요청을 수신하거나, 분석 서버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20)는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Injection)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 때, 사용자 활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 내에서 구동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의 클라우드 브라우저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 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로직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인젝션하여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가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의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활동을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우드 브라우저에서 직접 감지하거나 수집하지 않고, 클라이언트(320-1~320-3)에서만 사용자 활동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종래의 시스템은, 클라이언트(320-1~320-3)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에서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한 사용자 활동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 분석 서버(330)로 전달하여 사용자 활동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320-1~320-3)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실질적으로 사용자 활동이 발생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10)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 활동을 감지하거나 수집하는데 있어서 정보의 정확성 또는 정보의 다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형태로 수정하여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종류가 다양하고 구성이 복잡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클라우드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사용자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서 사용자 활동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 위치하는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이외에도 추가적인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인젝션하여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인젝션한다는 의미는 프로그램의 동작을 인젝션(Injection), 즉 삽입된 코드나 파일에 상응하게 변경하여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웹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자바스크립트와는 별도로 사용자 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되어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실행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생성된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게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인젝션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제공하는 분석 서버에게 자바스크립트 코드 더미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하는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수신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인젝션하여 실행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한다.
이 때, HTML 엘리먼트(element)는 HTML 문서나 웹 페이지를 이루는 개별적인 요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로 파싱될 수 있다.
이 때, 문서 객체 모델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확장성 생성 언어 문서의 상호 연동을 위한 객체 기반의 문서 모델에 해당하는 것으로, 프로그램과 스크립트에 의한 문서의 내용, 구조 종류 등의 동적인 접근과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립트나 프로그램 언어에 웹 페이지를 연결해줄 수 있다. 이 때, 웹 페이지를 조작 및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 방법 및 이벤트가 객체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객체들은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립트 언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ML 엘리먼트는 구문 분석 과정을 거쳐, 클라우드 브라우저 내에서 문서 객체 모델의 내부 표현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을 검색하고, 문서 객체 모델에서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문서 객체 모델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키 이벤트 발생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새롭게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에 문서 객체 모델을 검색함으로써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을 기반으로 HTML 엘리먼트를 수집하여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서버는 웹 기반의 분석 서버에 상응하는 것으로, 종래의 클라이언트 기반의 분석 서버와는 상이한 서버일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기반의 분석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용자 활동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활동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른 통계 정보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의 통계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서버에서 수집한 HTML 엘리먼트를 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통계내어, 사용자 활동이 활발한 순서에 따른 웹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분석 서버에서 수집한 HTML 엘리먼트 중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HTML 엘리먼트만을 수집한 뒤 통계내어,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순서에 따른 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분석 서버는 통계 정보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이용률을 그래프로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의 관리자는 이용률에 대한 그래프를 참고하여 서비스될 웹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거나 제외시키는 등 효율적으로 시스템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실행 시,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분석 서버로부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여 인젝션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분석 서버에 의해 관리 및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이 실행되면, 클라우드 브라우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우선 웹 서버에게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요청하여 인젝션한 뒤 분석 서버에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요청하여 인젝션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6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을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63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내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서 사용자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활동 분석 과정은 먼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710)이 실행될 수 있다(S702).
이 후,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이 실행되는 시점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 생성된 클라우드 브라우저(720)가 웹 서버(730)로부터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다운로드를 시작할 수 있다(S704).
이 때, 클라우드 브라우저(7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에 기정의된 수만큼 생성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720)가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자바스크립트를 다운받아 인젝션한 뒤(S706), 웹 서버에서의 다운로드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S708).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720)는 사용자 활동을 분석을 위해 분석 서버(740)에게 사용자 키 이벤트 감지를 위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S710).
이 때,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클라우드 브라우저(720)에 인젝션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720)는 분석 서버(740)로부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고(S712), 수신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인젝션할 수 있다(S714).
이 후, 클라우드 브라우저(720)에서는 인젝션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실행시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고, 키 이벤트 발생에 의해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에서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S716).
이 때, 단계(S716)은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종료되기 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분석 서버(740)에게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인코딩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하고,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기존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 사용자 활동을 감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10, 310, 5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11, 720: 클라우드 브라우저
112: 인젝션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
120-1~120-3, 320-1~320-3, 520-1~520-n: 클라이언트
130, 530, 740: 분석 서버
330: 사용자 분석 서버
540: 네트워크
610: 통신부
620: 프로세서
630: 메모리
7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
730: 웹 서버

Claims (10)

  1.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INJECTION)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을 검색하고, 상기 문서 객체 모델에서 상기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을 기반으로 상기 HTML 엘리먼트를 수집하여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실행 시,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여 인젝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되어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6.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INJECTION)된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의 실행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키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키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여 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페인팅(PAINTING)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된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F MODEL)을 검색하고, 상기 문서 객체 모델에서 상기 변경된 HTML 엘리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석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되는 복수개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을 기반으로 상기 HTML 엘리먼트를 수집하여 사용자 활동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의 사용자 활동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실행 시,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가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를 수신하여 인젝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코드는
    상기 클라우드 브라우저에 인젝션되어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또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KR1020180039185A 2018-04-04 2018-04-04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185A KR102061682B1 (ko) 2018-04-04 2018-04-04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185A KR102061682B1 (ko) 2018-04-04 2018-04-04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28A KR20190119228A (ko) 2019-10-22
KR102061682B1 true KR102061682B1 (ko) 2020-01-02

Family

ID=6842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185A KR102061682B1 (ko) 2018-04-04 2018-04-04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6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53963A1 (en) 2014-03-06 2015-09-10 re2you Inc. Cloud os and virtualized browser with user presence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44B1 (ko) 2010-12-21 2013-11-21 주식회사 케이티 웹브라우징 액션 탐지 및 접근 차단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53963A1 (en) 2014-03-06 2015-09-10 re2you Inc. Cloud os and virtualized browser with user presence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28A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0292B (zh) 网页内容提取方法以及终端设备
US201500464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arching software applications
US10152488B2 (en) Static-analysis-assisted dynamic application crawling architecture
US8539336B2 (en) System for linking to documents with associated annotations
US20170188213A1 (en) Message Based Application State and Card Sharing Methods for User Devices
TW201810071A (zh) 頁面元件動態佈局方法、裝置及客戶端
US20130031457A1 (en) System for Creating and Editing Temporal Annotations of Documents
US10726095B1 (en) Network content layout using an intermediary system
KR20130066603A (ko) 폰트 서브세트의 개시
US2015004642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arching software applications
JP7087121B2 (ja) ランディングページの処理方法、装置、機器及び媒体
EP2831697B1 (en) Client specific interactions with enterprise software systems
CN108549567B (zh) 动画显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US9684718B2 (en) System for searching for a web document
CN109804368A (zh) 用于提供上下文信息的系统和方法
US20150106692A1 (en) Dynamic guided tour for screen readers
US201402583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tegorizing and Measuring Engagement with Content
US20160191338A1 (en) Retrieving content from an application
US9292321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ynchronous script lazy loading
JP2015035216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サーチ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EP3555765A1 (en) Content search engine
US20170193119A1 (en) Add-On Module Search System
KR102061682B1 (ko) 클라우드 브라우저 기반의 사용자 활동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239452A (zh) 资源获取方法及装置
CN113515701A (zh) 信息推荐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