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480B1 - 유아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유아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480B1
KR102061480B1 KR1020180013658A KR20180013658A KR102061480B1 KR 102061480 B1 KR102061480 B1 KR 102061480B1 KR 1020180013658 A KR1020180013658 A KR 1020180013658A KR 20180013658 A KR20180013658 A KR 20180013658A KR 102061480 B1 KR102061480 B1 KR 10206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infant
back plate
body support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058A (ko
Inventor
박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꼼바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꼼바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꼼바꼼
Priority to KR102018001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4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유아용 캐리어는 등판부, 하체 받침부, 어깨끈 그리고 몸통끈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간격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등판부는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체 받침부는 상기 등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깨끈은 사용자가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를 맬 수 있도록 상기 등판부 및 상기 하체 받침부와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양쪽 어깨에 매여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통끈은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양쪽으로 감싸도록 매여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하체 받침부를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캐리어{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판부 및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받침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캐리어는 보호자가 유아를 동반하여 외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주로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판부 및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받침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유아용 캐리어는 등판부 및 하체 받침부의 크기가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하루가 다르게 신체가 커져가는 유아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유아가 어는 정도 자랐을 경우에는 아주 어릴 때 사용하던 유아용 캐리어는 너무 작아서 사용하지 못할 것이고, 어느 정도 자랐을 때 사용하기 위하여 미리 준비해 둔 유아용 캐리어를 아주 어릴 때 사용할 경우에는 너무 커서 사용하는데 불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판부 및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받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아용 캐리어는 등판부, 하체 받침부, 어깨끈 그리고 몸통끈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간격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등판부는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체 받침부는 상기 등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깨끈은 사용자가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를 맬 수 있도록 상기 등판부 및 상기 하체 받침부와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양쪽 어깨에 매여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통끈은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양쪽으로 감싸도록 매여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하체 받침부를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부는 조정부 및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정부는 상기 등판부 상부 양쪽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체 받침부 양쪽 각각을 연결하면서 상기 등판부 내부를 경유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등판부 상부 양쪽에 위치하는 단부는 노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등판부 상부 아래쪽 각각에 상기 조정부를 걸어서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 및 상기 몸통끈을 연결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몸통 뒤쪽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때 상기 몸통끈은 Y자 구조를 갖도록 상기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어깨끈은 U자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의 상부에 상기 유아의 목과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머리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등판부 및 하체 받침부 사이의 간격 조정을 통하여 하루가 다르게 신체가 커져가는 유아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아주 어려서 신체가 상대적으로 작은 유아를 대상으로 할 때에는 등판부 및 하체 받침부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혀서 사용하고, 어느 정도 자라서 신체가 상대적으로 커진 유아를 대상으로 할 때에는 등판부 및 하체 받침부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혀서 사용할 경우 유아의 신체 변화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등판부 및 하체 받침부 사이의 간격 조정을 통하여 서로 다른 신체 크기를 갖는 유아들에 대해서도 아무렇지 않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유아용 캐리어에 구비되는 어깨끈 및 몸통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유아용 캐리어에 구비되는 어깨끈 및 몸통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는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어께끈(11), 몸통끈(19), 간격 조정부(21), 머리 받침부(27), 연결부(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는 백팩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언급한 백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에 포함될 수 있는 어께끈(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2712호에 개시된 백팩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와 관련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언급한 백팩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언급한 백팩은 기저귀, 젖병, 보온병 등과 같은 외출시 필요한 물품들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언급한 바와 같이 어께끈(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어께끈(11)과의 분리시에는 일반적인 가방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언급한 백팩에는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이 수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백팩으로부터 등받이, 하체 받침부(15) 등을 인출하여 어께끈(11) 및 몸통끈(19)에 고정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 구조(23)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이 백팩에 수납되지 않고 별도 구성품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을 어께끈(11) 및 몸통끈(19)에 고정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 구조(23)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을 어께끈(11) 및 몸통끈(19)에 고정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 구조(23)는 어께끈(11) 및 몸통끈(19)의 일부분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에 수용부를 구비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고, 반대로 어께끈(11) 및 몸통끈(19)의 일부분에 수용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을 어께끈(11) 및 몸통끈(19)에 고정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 구조(23)를 돌출부 및 수용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께끈(11) 및 몸통끈(19)의 일부분에 고리를 구비하고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에 고리에 걸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고, 반대로 어께끈(11) 및 몸통끈(19)의 일부분에 고리에 걸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고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에 고리를 구비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등판부(13), 하체 받침부(15) 등을 어께끈(11) 및 몸통끈(19)에 고정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을 경우에는 다양한 연결 구조를 갖도록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언급한 백팩의 경우에도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등쪽에 위치하는 어께끈(11)에 돌출부(25)를 구비하고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백팩에 수용부를 구비하여 서로 끼워지게 함으로써 백팩을 어께끈(11)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백팩을 어께끈(11)에 결합 및 분리시키는 구조의 경우에도 돌출부 및 수용부 이외에도 고리 및 고리에 걸 수 있는 부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고, 마찬가지로 백팩을 어께끈(11)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을 경우에는 다양한 연결 구조를 갖도록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판부(13)는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아를 앞쪽으로 위치시킬 경우 등판부(13)는 유아의 가슴 쪽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고, 사용자가 유아를 마주하게 위치시킬 경우 등판부(13)는 유아의 등 쪽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등판부(13)는 어께끈(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등판부(13)는 어께끈(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등판부(13)는 어께끈(11)과의 연결 구조(23)를 이용하여 어께끈(11)에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어께끈(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등판부(13)는 언급한 백팩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고, 이 경우 백팩의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하여 어께끈(11)에 결합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등판부(13)가 별도 구성품일 경우 분리된 구성을 갖는 등판부(13)를 어깨근에 결합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머리 받침부(27)가 등판부(13)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등판부(13)를 사용하여 유아의 상체를 지지할 때 머리 받침부(27)를 사용하여 유아의 목과 머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등판부(13)만으로는 유아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머리 받침부(27)를 구비하여 유아의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것이다.
머리 받침부(27)는 등판부(13)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등판부(13)만으로 유아의 목과 머리까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경우에는 머리 받침부(27)를 등판부(13)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 받침부(15)는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체 받침부(15)는 유아의 엉덩이가 앉혀지도록 하여 유아의 하체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하체 받침부(15)는 방석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받침부(15)는 유아의 다리가 ‘M’자 형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체 받침부(15)는 유아의 다리가 ‘M’자를 취할 수 있게 엉덩이가 앉혀지는 방석 구조가 다소 넓은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용 캐리어(100)가 하체 받침부(15)가 없이 등판부(13)로만 이루어질 경우 등판부(13)에 지지되는 유아의 다리는 ‘11’자 형으로 매달리는 자세가 되는데, 국제고관절협회에 따르면 유아가 ‘11’ 형태로 매달리는 자세는 유아의 고관절에 상당한 무리를 주거나 심지어 골격 발달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받침부(15)는 언급한 바와 같이 유아의 다리가 ‘M’자를 취할 수 있게 엉덩이가 앉혀지는 방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체 받침부(15)는 어께끈(11) 및/또는 몸통끈(19)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체 받침부(15)는 어께끈(11) 및/또는 몸통끈(19)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체 받침부(15)는 어께끈(11) 및/또는 몸통끈(19)과의 연결 구조(23)를 이용하여 어께끈(11) 및/또는 몸통끈(19)에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어께끈(11) 및/또는 몸통끈(19)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체 받침부(15)는 언급한 백팩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고, 이 경우 백팩의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하여 어께끈(11) 및/또는 몸통끈(19)에 결합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체 받침부(15)가 별도 구성품일 경우 분리된 구성을 갖는 하체 받침부(15)를 어께끈(11) 및/또는 몸통끈(19)에 결합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는 유아의 하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면서 하체 받침부(15)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허리띠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허리띠의 경우에는 백팩에 수납되어 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고, 백팩에 수납되지 않고 별도 구성품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어께끈(11)은 사용자의 양쪽 어깨에 매여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도 1 및 도 2에서는 어께끈(11)이 등판부(13)에만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어께끈(11)은 언급한 바와 같이 등판부(13) 및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양쪽 어깨에 어께끈(11)을 맴으로써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를 맬 수 있을 것이고, 유아용 캐리어(100)에 유아가 안겨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쪽에 위치하는 어께끈(11)에 돌출부(25)를 구비하여 백팩을 어께끈(11)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의 경우 사용자가 양쪽 어깨에 어께끈(11)을 맴으로써 유아를 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팩도 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의 경우 어께끈(11)으로부터 백팩을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쪽 어깨에 어께끈(11)을 맴으로써 유아를 안을 수 있을 것이고, 백팩은 가방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몸통끈(19)은 사용자의 몸통을 양쪽으로 감싸도록 매여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통끈(19)은 어께끈(11)의 아래쪽고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몸통을 양쪽으로 감싸도록 매여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통끈(19)의 경우에도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몸통끈(19)이 등판부(13)에만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몸통끈(19)은 언급한 바와 같이 등판부(13) 및 하체 받침부(15)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양쪽 어깨에 어께끈(11)을 맴과 아울러 몸통끈(19)으로 사용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맴으로써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를 보다 안정적으로 맬 수 있을 것이고, 유아용 캐리어(100)에 유아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겨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허리띠를 사용하여 하체 받침부(15)와 결합시킴에 의해서도 하체 받침부(15)를 보다 안정적으로 맬 수 있을 것이다.
연결부(18)는 어께끈(11) 및 몸통끈(19)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부(18)는 사용자의 몸통 뒤쪽에서 어께끈(11) 및 몸통끈(19)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부(18)를 사용하여 어께끈(11) 및 몸통끈(19)을 연결함으로써 어께끈(11) 및 몸통끈(19)에 연결되는 등판부(13) 및 하체 받침부(15)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몸통끈(19)은 Y자 구조를 갖도록 연결부(18)에 연결되고, 어께끈(11)은 U자 구조를 가지면서 연결부(18)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18)는 몸통끈(19) 및 어께끈(11)을 3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언급한 바와 같이 어께끈(11) 및 몸통끈(19)에 연결되는 등판부(13) 및 하체 받침부(15)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간격 조정부(21)는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정부(21)는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간격 조정부(21)는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 사이에서 하체 받침부(15)를 상,하로 움직여서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정부(21)는 조정부 및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조정부는 등판부(13) 상부 양쪽 각각으로부터 하체 받침부(15) 양쪽 각각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 조정부(21)는 등판부(13) 내부를 경유하면서 사용자가 잡고 당길 수 있게 등판부(13) 상부 양쪽에 위치하는 단부가 노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조정부는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를 연결하면서 등판부(13) 상부에 노출되는 끈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는 등판부(13) 상부 아래쪽 각각에 조정부를 걸어서 고정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언급한 바와 같이 조정부가 끈 구조를 가질 경우 고정부는 사용자가 잡아당긴 끈을 걸어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정부(21)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정부는 끈 구조가 아닌 판 구조로 구비되어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 사이를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조정부는 간격 조정시 판 구조가 등판부(13) 내부로부터 등판부(13) 아래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정부가 판 구조를 가질 경우 판 구조 양쪽이 활주할 수 있는 활주부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판 구조의 조정부가 활주부를 따라 활주함으로써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는 활주부를 따라 움직이는 판 구조의 조정부를 걸 수 있는 걸림 구조를 갖도록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00)는 간격 조정부(21)를 구비하여 등판부(13)와 하체 받침부(1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신체 크기를 달리하는 유아들 모두가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아가 아주 어릴 때부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성장한 후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는 유아 산업 분야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어깨끈 13 : 등판부
15 : 하체 받침부 18 : 연결부
19 : 몸통끈 21 : 간격 조정부
23 : 연결 구조 25 : 돌출부
27 : 머리 받침부 100 : 유아용 캐리어

Claims (4)

  1.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받침부, 및 사용자가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를 맬 수 있도록 상기 등판부 및 상기 하체 받침부와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양쪽 어깨에 매여지는 어깨끈,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양쪽으로 감싸도록 매여지는 몸통끈을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하체 받침부를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등판부와 상기 하체 받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비되는 간격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등판부 상부 양쪽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체 받침부 양쪽 각각을 연결하면서 상기 등판부 내부를 경유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등판부 상부 양쪽에 위치하는 단부는 노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조정부; 및
    상기 등판부 상부 아래쪽 각각에 상기 조정부를 걸어서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캐리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 및 상기 몸통끈을 연결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몸통 뒤쪽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통끈은 Y자 구조를 갖도록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어깨끈은 U자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캐리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의 상부에 상기 유아의 목과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머리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캐리어.
KR1020180013658A 2018-02-02 2018-02-02 유아용 캐리어 KR102061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658A KR102061480B1 (ko) 2018-02-02 2018-02-02 유아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658A KR102061480B1 (ko) 2018-02-02 2018-02-02 유아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058A KR20190094058A (ko) 2019-08-12
KR102061480B1 true KR102061480B1 (ko) 2020-01-02

Family

ID=6762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658A KR102061480B1 (ko) 2018-02-02 2018-02-02 유아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4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058A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949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8424732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7530635B2 (en) Child safety seat
CA2757731C (en) Child carrier
US8028871B2 (en) Baby carrier
US20110240693A1 (en) Baby carrier with tie straps
US20160120334A1 (en) Child carrier
US9038868B2 (en) Twin baby carrier
US20150196133A1 (en) Convertible infant carrier
US20090026235A1 (en) Baby Carrier
US20120061429A1 (en) Baby carri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lifting of a child into and out of the same
JP4170894B2 (ja) サポート部材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
WO2016161111A1 (en) Hip seat device and system
JP2016528091A (ja) 子供キャリア合体ベビーカー
US20220015552A1 (en) Child carrier sling
US20190125100A1 (en) Hybrid baby wrap and carrier
US20220024360A1 (en) Baby carrier
KR102061480B1 (ko) 유아용 캐리어
JP2013000561A (ja) バッグ兼抱っこ補助具
JP6525604B2 (ja) 座席付き育児器具
KR20190107798A (ko) 수유 및 이동이 편리한 다기능 포대기 구조
JP3029567B2 (ja)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JP6778078B2 (ja) 子守帯
JP2007089883A (ja) ベビースリング
JP2023075896A (ja) 子守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