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921B1 -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 - Google Patents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921B1
KR102060921B1 KR1020190075974A KR20190075974A KR102060921B1 KR 102060921 B1 KR102060921 B1 KR 102060921B1 KR 1020190075974 A KR1020190075974 A KR 1020190075974A KR 20190075974 A KR20190075974 A KR 20190075974A KR 102060921 B1 KR102060921 B1 KR 10206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
storage space
transport vehicle
suppor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표성환
Original Assignee
표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성환 filed Critical 표성환
Priority to KR102019007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9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15Mounting of tanks to vehicles
    • B60P3/222Mounting of tanks to vehicles including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5Venti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75Prevention of electrostatic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8Measur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level, volume,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5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for reducing movement or slash noise of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 including a driving space, a storage space and a control unit. The storage space includes: a tank holding unit including an oil tank and a tank support for supporting the oil tank; a providing device including an instrument panel and a lubricator; and a ventilation device formed at an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to generate a flow of air.

Description

위험물 운반차량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Dangerous Goods Carrier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

본 발명은 위험물 운반차량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위험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위험물 운반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safely transporting dangerous goods.

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은 이동 동력에 필요한 에너지의 공급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는 연료의 유형에 따라 주유소 또는 LPG 충전소와 같이 정해진 장소에서 연료를 공급받게 된다.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a vehicle, require the supply of energy required for movement power. For example, a car may be fue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such as a gas station or LPG st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fuel.

고정된 장소에서 일정 규격의 설비를 갖춘 주유소 또는 충전소에서 주유 또는 충전을 하는 경우, 차량 운전자가 해당 주유소 또는 충전소를 직접 방문해야 하며 이에 따라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면서 비효율이 발생한다. When refueling or recharging at a gas station or charging station equipped with equipment of a certain size in a fixed place, the vehicle driver must visit the gas station or charging station directly, which wastes time and money, resulting in inefficiency.

한편, 갑작스러운 일정 변경으로 인해 주유소를 찾아가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거나 주유소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연료가 부족한 경우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양의 연료 또는 배터리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동식 배달 서비스의 수요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visit a gas station due to a sudden change of schedule or when there is insufficient fuel to travel to a gas station, there is a demand for a mobile delivery service that provides a desired amount of fuel or battery at a desired time.

이에 최근에는 고객에게 자동차 연료를 배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들이 다수 생겨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고도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도 활발하다. 미국 공개 문헌 US20180075567A1는 연료 주입구에 대한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고, 미국 공개 문헌 US20180300823A1는 연료를 채우기 위한 차량의 경로와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고, 미국 공개 문헌 US20160311410A1는 차량 연료 주입을 위한 차량의 위치 및 알람을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에너지 공급에 대한 수요를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의 연구가 요구된다. Recently, a number of startups providing services to deliver automobile fuels to customers have emerged, and technology development to advance new business models is also active. US publication US20180075567A1 relates to a control technique for a fuel inlet, US publication US20180300823A1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route and time information of a vehicle for filling fuel, and US publication US20160311410A1 relates to a vehicle for fuel injection. Relates to a system for handling locations and alarms. Considering the demand for a mobile energy supply, a study of a technology for more efficiently providing a mobile service is required.

다만 차량에 주입되는 연료 등은 발화점이 낮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기 때문에 취급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따라서 연료의 이동에 따른 안전 확보가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된다. However, since fuel injected into a vehicle has a low ignition point and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special care is required for handling, and therefore, securing safety due to the movement of fuel is the most important issue.

본 발명은 차량의 흔들림 및 진동에도 불구하고 유류탱크 내에 저장된 연료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위험물 운반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that minimizes shaking of fuel stored in an oil tank despite shaking and vibration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일부 새어나올 수 있는 연료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위험물 운반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that can easily collect some leaking fuel.

또한 본 발명은 환기구의 개폐가 용이한 위험물 운반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that is easy to open and close the ventilation port.

상술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공간, 저장공간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험물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유류탱크 및 상기 유류탱크를 지지하는 탱크지지대를 포함하는 탱크거치부, 계기판 및 주유기를 포함하는 제공장치 및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환풍장치를 포함하는 위험물 운반차량을 제공하며, 저장공간 내의 유증기 및 악취를 제거하고 저장공간 내의 온도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including a driving space, a storage space and a control unit, the storage space includes an oil tank and a tank support for supporting the oil tank. To provide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including a tank mounting portion,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lubricator and a ventilation devic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to cause the flow of air, to remove the oil vapor and odor in the storage space and It is easy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저장공간 내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및 상기 저장공간 내로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차량의 상단에는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캠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 내측의 바닥부는 정전기방지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차량을 제공하며, 저장공간 내의 화재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the heat sensor for sensing the heat in the storage space and the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into the storage space, the upper end of the transport vehicle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A cam device for sensing is provided,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provides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n antistatic pad is installed,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fire situation in the storage space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탱크거치부는, 상기 유류탱크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지지대는, 상기 유류탱크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본체, 상기 지지대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류탱크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지지대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류탱크의 이동을 가이딩하거나 상기 유류탱크를 고정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지지대는, 상기 상단지지대에 고정 연결되고 탄성을 가지는 탄성연결부재 및 상기 탄성연결부재의 끝단에 구비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류탱크는, 상기 유류탱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상단결합부, 상기 상단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재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리부재 및 상기 유류탱크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가이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차량을 제공하며, 운반차량의 급회전 및 급브레이크에도 불구하고 유류탱크 내의 연류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support unit, the tank support further comprises an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oil tank, the tank support, the support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il tank,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ain body A shock absorbing member provided on the side t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oil tank,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il tank or to fix the oil tank; The support includes a hook member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and has an elastic connection member having elasticity and a hook memb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astic connection member, wherein the oil tank includes: an upper coupling part fixed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oil tank; The lower member is provided at the upper coupling portion and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ing member and the oil tank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hook member. It provides a dangerous handling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ncluding a guider, despite spinning and sudden braking of the transport vehicl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wing of yeonryu in the oil tan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바닥부는,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바닥부, 두 개의 상기 경사바닥부 사이에 형성되어 유류 및 이물질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재 및 상기 저장부재의 양 측면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차량을 제공하며, 주유기를 통해 일부 새어나온 연료를 한 곳으로 모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ortion, the inclined bottom portion is provided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the storage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two inclined bottom portion and the oil and foreign matters stored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member It is connected to form and provides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clined groove portion that increases in the distance away from the storage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llect some leaked fuel through one gas in one pl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저장공간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도어는 하나 이상의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구는, 외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메쉬부재, 상기 환기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의 하단에 형성되는 댐핑부, 상기 개폐도어의 상단 위쪽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일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전자석부 및 상기 개폐도어의 일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차량을 제공하며, 환기구의 개폐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door constituting the side of the storage space includes one or more ventilation openings, the ventilation openings, the mesh member is formed on the outsid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opening and closing the ventilation openings An opening and closing door, a damping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 electromagnet part for controlling one direction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 guider part for guiding the one direction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t provides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asy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ilation open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류탱크 내에 저장된 연료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shaking of the fuel stored in the oil tan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류탱크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impact delivered to the oil tan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공간 내의 바닥 구조를 변형하여 주유기를 통해 일부 새어나온 연료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trapping some of the leaked fuel through the lubricator by modifying the bottom structure in the storage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단순 조작으로 환기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the ventilation openings by the user's simpl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차량의 상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거치대의 세부 구성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공간의 바닥면의 세부 구성들이 도시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어의 세부 구성들이 도시된 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ank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id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Advantages, features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text.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components,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In addition,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차량(1)의 외측 사시도가 도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차량(1)은 밴과 같은 suv 승합차에 해당할 수 있으며, 앞단 운전자석을 제외한 뒤쪽 좌석에 연료가 포함된 유류탱크 및 주유장치가 거치될 수 있다. 1 shows an outer perspective view of a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 suv van such as a van, and an oil tank and a fueling device including fuel may be mounted on a rear seat except the front driver's seat.

종래의 위험물 운반차량의 경우 유류탱크가 외부에 보여지도록 설치되며 크기 또한 매우 크다. 따라서 주변 차량으로 하여금 위험한 느낌을 다소 줄 수 있으며, 복잡한 시내 교통 상황에 부적합하다. 다양한 위치에서 연료를 기다리는 수요자에게 최단 시간 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시내 교통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운송 수단이 필요하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the oil tank is installed to be visible to the outside, and its size is also very large. This can make the surrounding vehicles feel dangerous and unsuitable for crowded city traffic. To reach consumers who are waiting for fuel in various locations in the shortest time, they need a vehicle that can respond quickly to the crowded traffic condi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차량(1)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승합차를 개조하여 내부에 유류탱크를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특성 상 다양한 교통 상황에 최적화되어 있다.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vice that can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transport the oil tank inside by modifying the general vans, as well as optimized for various traffic condition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It 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차량(1)은, 양측면에 각각 측면도어(70)가 구비되고 후측에는 후측도어(8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door 70 is provided on both sides and the rear door 8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측면도어(70)에는 각각 개폐 제어가 가능한 환기구(71)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One or more ventilation openings 71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ay be installed in the side door 70, and a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운반차량 내부에 구비된 주유기(420, 도 3 참고)는 차량에 주유를 공급할 수 있는 주유공급장치(430)를 더 포함하며, 주유공급장치(430)는 측면도어(70) 또는 후측도어(8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운반차량의 내부에서부터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The lubricator 420 (see FIG. 3) provided inside the transport vehicle further includes a lubrication supply device 430 capable of supplying fuel to the vehicle, and the lubrication supply device 430 includes a side door 70 or a rear door 80. It can be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through any one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유류탱크(320)는 측면도어(70)를 통해 운반차량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주유공급장치(430)는 후측도어(80)를 통해 운반차량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류탱크(320) 및 주유기(20)의 배치에 따라 유류탱크(320)가 후측도어(80)를 통해 운반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tank 320 may be inserted into the transport vehicle through the side door 70 and the oil supply device 430 may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transport vehicle through the rear door 80. Can b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il tank 3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ransport vehicle through the rear door 8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oil tank 320 and the lubricator 20.

한편 위험물 운반차량(1)의 외측면에는 운반차량(1)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장치(500)와 운반차량(1)의 주변부를 탐지할 수 있는 캠장치(5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ventilator 500 for ventilating the air inside the transport vehicle 1 and the cam device 50 for detecting the periphery of the transport vehicle 1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환풍장치(500)는 위험물 운반차량(1)의 상단에 설치되며 이는 위험물 운반차량(1)의 앞뒤좌우에 위치되는 차량으로 유해한 물질이 직접적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device 50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to prevent the harmful substances are not directly supplied to the vehicle locat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to be.

또한 환풍장치(500)는 위험물 운반차량(1)의 상단 중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환기구(71)는 차량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측면도어(70)에 각각 하나 이상씩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500 may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At least one ventilation port 71 is formed at each side door 70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vehicle.

위험물 운반차량(1)의 내측 저장공간(200, 도 3)의 공기의 환기 효율을 높이려면, 환풍장치(500)는 차량의 앞뒤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환기구(71)보다 후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풍장치(500)와 환기구(71)의 구조적인 위치로 인해 저장공간(200) 내의 공기 유동 흐름이 대각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 유동 흐름을 통해 저장공간(200) 내의 환기 효율이 더욱 높아진다. In order to increase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air in the inner storage space 200 (FIG. 3) of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the ventilation device 500 may be located at a rear end portion of the ventilator 71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desirable. Due to the structural position of the ventilator 500 and the ventilation port 71, the air flow flow in the storage space 200 may form a diagonal line, and the ventilation efficiency in the storage space 200 is further increased through the air flow flow. Increases.

위험물 운반차량(1)의 내부는 크게 사용자가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해 운전을 하는 운전공간(100, 도 3)과 유류탱크(320), 주유기(420) 및 각종 센서 등이 설치되는 저장공간(200)으로 구성된다. 제어부(700)를 제외한 대부분의 세부 구성들은 저장공간(200) 내에 설치된다. 제어부(700)는 운전공간(100)과 저장공간(200)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차량 내의 각종 장치들을 직접 제어하거나 자동 제어를 설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The inside of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is a storage space 200 in which a driving space 100, FIG. It is composed of Most of the detailed components except the control unit 700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200. The controller 700 may be installed in both the driving space 100 and the storage space 200, and serves to directly control various devices in the vehicle or set automatic contro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세부 구성들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700)는, 저장공간(200) 내의 열과 공기 압력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0), 저장공간(200) 및/또는 운전공간(100) 내부로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분사장치(20), 운반차량의 주변부의 영상, 온도, 기상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는 캠장치(50), 개폐도어(71b)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석부(71d), 운전공간(100) 및/또는 저장공간(200)의 온도를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250), 주유기(42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의 양, 공급 시간 및 가격 등을 표시하는 계기판(420), 유류탱크(320) 내의 연료를 공급하는 주유기(420), 및 저장공간(200) 내의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환풍장치(50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The control unit 700, the thermal sensor 10 for detecting the heat and air pressure in the storage space 200, the injection device 20 for inject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into the storage space 200 and / or the operating space 100 , A cam device 50 capable of collecting the image, temperature, weather information, etc. of the periphery of the transport vehicle,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the driving space 100 and / or the storage space. Air conditioner 25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200, instrument panel 420 indicating the amount of fuel supplied from the lubricator 420, supply time and price, etc., lubricator for supplying fuel in the oil tank 320 420, and a ventilator 500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in the storage space 200.

열감지센서(10)는 저장공간(200) 내의 온도가 최고기준치를 넘었는지 및 저장공간(200) 내의 온도가 최저기준치 아래로 내려갔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열감지센서(10)는 저장공간(200) 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The heat sensor 1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space 200 exceeds the maximum reference value and whether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space 200 falls below the minimum reference value. In addition, the heat sensor 10 may measure the pressure in the storage space 200.

저장공간(200) 내의 온도가 최고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최저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 제어부(700)는 전자석부(71d)와 환풍장치(500)를 동시에 작동시켜 저장공간(200) 내의 공기 온도를 외부 온도와 일치시킬 수 있다. 다만 이 때 캠장치(50)에 의해 운반차량(1)의 외부 공기 온도가 최고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최저기준치 미만인 경우 또는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전자석부(71d)와 환풍장치(500)는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 때는 공기조화장치(250)를 통해 저장공간(200) 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space 200 exceeds the maximum reference value or falls below the minimum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electromagnet unit 71d and the ventilator 500 simultaneously to externally control the air temperature in the storage space 200. Can be matched to temperature. However, at this time,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f the transport vehicle 1 exceeds or exceeds the minimum reference value or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by the cam device 50,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and the ventilation device 500 operate. Don't let that happen.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space 20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air conditioner 250.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감지센서(1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었다면 캠장치(50)에 의해 측정된 측정치에 무관하게 전자석부(71d)와 환풍장치(500)는 작동되며 더불어 분사장치(20)도 함께 작동된다. Nevertheless, if a fire is detected by the heat sensor 10,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and the ventilator 500 are operated regardless of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cam device 50, and the injection device 20 is also provided. It works.

분사장치(20)는 열감지센서(10)에 의해 화제가 감지되거나 화재가 발생할만한 기준온도가 감지되는 경우에 예방적으로 저장공간(200) 내부로 소화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분말, 소화액, 이산화탄소 가스 및/또는 물 등과 같은 소화물질을 분사 및 공급할 수 있다. 분사장치(20)는 저장공간(200) 내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작동 시에 저장공간(200) 내에 골고루 소화물질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저장공간(200)의 천장과 각 측면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The injection device 20 is a solid aerosol for extinguishing the fire into the storage space 200 when the fire is detected by the heat sensor 10 or a reference temperature at which a fire may be generated. Extinguishing media such as gas and / or water may be injected and supplied. The injection device 20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age space 200 and may be appropriately arranged to supply the extinguishing material evenly in the storage space 200 dur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ceiling and one of each side of the storage space 200 may be installed.

한편, 열감지센서(10)는 저장공간(200) 내부의 압력 또한 측정한다. 저장공간(200) 내의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넘어선 경우, 유류탱크(320)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200) 내의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넘어선 경우, 제어부(700)는 전자석부(71d)와 환풍장치(500)를 동시에 작동시켜 운반차량의 외부 대기압과 저장공간(200) 내의 기압을 일치시킨다. Meanwhile, the heat sensor 10 also measures the pressure inside the storage space 200. When the pressure in the storage space 200 exceeds a preset range, an abnormality may occur in the oil tank 320. Therefore, when the pressure in the storage space 200 exceeds the preset range,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electromagnet unit 71d and the ventilator 500 at the same time to control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of the transport vehicle and the air pressure in the storage space 200. Match.

캠장치(50)는 운반차량의 상면 및/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며 외부로부터의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캠장치(50)는, 차량 주변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성이며 획득한 영상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운반차량(1)으로 일정 범위 내로 차량이 접근한다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Cam device 50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 or side of the vehicle and is a sensor that can detect the danger from the outside. In more detail, the cam device 50 is configured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of a vehicle periphery and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to a user. In addition,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to the carrying vehicle 1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위험물 운반차량(1)은 사고가 발생할 경우 유류탱크(320)의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교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캠장치(50)는 이러한 예방 시스템 중 하나이며, 위험물 운반차량(1)으로 빠른 속도로 접근하는 물체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of the oil tank 320 when an accident occurs because a system that can prevent traffic accidents is essential. Cam device 50 is one of such a preventive system, it can inform the user of the object information that is approaching a high speed to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캠장치(50)는 외부 공간의 온도, 습도, 대기압 및 미세먼지 농도 등 또한 함께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유류탱크(320)의 안전 확보를 위해 저장공간(200) 내의 온도 및 기압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The cam device 50 may also measure the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external space, and the like, and this information may be adjust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air pressure in the storage space 200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il tank 320. It is used to

한편,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와 연동된다. 사용자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위험물 운반차량(1) 내에 제어부(700)가 제어하는 다양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각종 센서로부터의 위험 신호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직접 전달받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700 is linked with the smart device of the user. The user may control various component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700 in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through the smart device, and may directly receive a danger signal from various sensors through the smart device.

주유기(420) 및 주유공급장치(430)는 연료가 외부로 직접 토출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유류탱크(320) 내의 유증기가 주유공급장치(430)를 통해 저장공간(200) 내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주유 중에 일부 새어나온 연료가 저장공간(200)의 바닥부(210)에 떨어지면서 유증기를 발생시킨다. The lubricator 420 and the lubrication supply device 430 are configured to directly discharge fuel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oil vapor in the oil tank 320 may be discharged into the storage space 200 through the oil supply device 430. In addition, some of the fuel leaked out during the refrigeration falls on the bottom portion 210 of the storage space 200 to generate oil vapor.

열감지센서(10)는 저장공간(200) 내의 유증기를 감지하는 역할 또한 한다. 따라서 열감지센서(10)에 의해 저장공간(200) 내의 유증기 수치가 일정 수치를 초과함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700)는 전자석부(71d)와 환풍장치(500)를 동시에 작동시켜 저장공간(200) 내의 유증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증기 수치가 일정 수치를 초과함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The heat sensor 10 also serves to detect vapor in the storage space 200. Therefore, when it is detected by the heat sensor 10 that the steam value in the storage space 200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electromagnet unit 71d and the ventilation device 500 simultaneously to store the storage space. Oil vapor in 200 can be remov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vapor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700 may notify the user of the fact through the smart device of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차량(1)의 내부 구조를 단순하게 도식화한 것이다. 3 is a simplified diagram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운전공간(100)과 저장공간(200)이 차량의 앞 뒤로 구분이 되어 있다. 저장공간(200) 내부에는 유류탱크(320)가 설치되는 탱크거치부(300), 계기판(410)과 주유기(420)를 포함하는 제공장치(400)가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pace 100 and the storage space 200 are divided into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he storage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 supply unit 400 including a tank mounting unit 300, an instrument panel 410, and an lubricator 420 on which an oil tank 320 is installed.

구체적으로, 유류탱크(320)는 저장공간(200)의 앞쪽, 즉, 운반차량의 전체 기준으로 보았을 때 중간 부분에 설치된다. 따라서 유류탱크(320)는 운반차량의 양 측에 구비된 측면도어(70)를 통해 저장공간(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il tank 32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of the storage space 200, that is, the overall reference of the transport vehicle. Therefore, the oil tank 320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200 through side doors 7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ort vehicle.

유류탱크(320)는 연료를 포함하는 탱크로써 가장 무거운 무게를 차지하며 운반차량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운반차량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안전에 더욱 유리하다. The oil tank 320 is a tank containing fuel and occupies the heaviest weight, and it is more advantageous for safety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ransport vehicle to mee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ansport vehicle.

탱크거치부(300)의 배치에 따라 계기판(410)과 주유기(420)는 운반차량의 후단부(저장공간(200)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주유기(420)의 주유공급장치(430)는 운반차량의 후측도어(80)를 통해 외부로 이동된다. 다만, 위와 같은 배치일 경우라도,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주유공급장치(430)는 측면도어(70)를 통해 주유를 시도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tank mounting unit 300, the instrument panel 410 and the lubricator 420 ar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port vehicle (rear end of the storage space 200).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supply device 430 of the lubricator 420 is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door 80 of the transport vehicle. However, even in the above arrangement, depending on the road traffic situation, the fuel supply device 430 may attempt to refuel through the side door 70.

탱크거치부(300), 제공장치(400)는 모두 저장공간(200)의 바닥부(210)에 설치된다. 바닥부(210)는 정전기방지패드(40)가 모두 부착된다. 사소한 정전기에도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장공간(200) 내에 유증기 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 작은 스파크에도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The tank mounting unit 300 and the providing device 400 are all installed at the bottom 210 of the storage space 200. The bottom 210 is attached to the antistatic pad 40 all. This is because sparks can occur even in the case of minor static electricity, which can cause a fire. When the vapor concentration is very high in the storage space 200, even a small spark may cause a large accid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저장공간(200) 내의 환기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만 정전기 발생까지도 방지함으로 인해 화재 위험의 가능성을 더욱 현저하게 낮추는 효과가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system in the storage space 200 is provided, but also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fire risk due to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바닥부(210)의 후단 즉, 후측도어(80)와 인접한 바닥부(210)는 일부가 지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바닥부(220)로 구성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The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210, that is, the bottom portion 210 adjacent to the rear door 80 is composed of an inclined bottom portion 220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거치부(300)의 사시도가 도시된 것이다. 탱크거치부(300)는 유류탱크(320)를 포함하여 유류탱크(320)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구조물들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nk mounting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mounting unit 300 is a concept for collectively supporting structures including the oil tank 320 to safely support the oil tank 320.

구체적으로 탱크거치부(300)는, 바닥부(210)에 직접 연결되고 유류탱크(320)를 하단에서 지지하는 탱크지지대(310), 연료를 저장하는 유류탱크(320), 및 유류탱크(320)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상단지지대(330)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tank mounting unit 3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210 and supports the oil tank 320 at the lower end of the tank support 310, the oil tank 320 for storing fuel, and the oil tank 320 It includes a top support 330 for supporting from the top.

탱크지지대(310)는 차량의 급커브나 급브레이크 및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유류탱크(320)로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탱크지지대(310)는 유류탱크(320)를 안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대본체(314), 일단은 지지대본체(314)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닥부(210)에 연결되어 각종 힘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311), 및 지지대본체(314)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유류탱크(320)를 고정 안착시키거나 유류탱크(320)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딩하는 개폐부재(312)를 포함한다. Tank support 310 is a configuration that can minimize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oil tank 320 by absorbing a sudden curve or a brake and an external shock of the vehicle. Specifically, the tank support 310 is a support main body 314 providing a space for seating the oil tank 32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main body 314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210 The shock absorbing member 311 that absorbs the for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se body 314 to securely seat the oil tank 320 or to guide the smooth movement of the oil tank 320. It includes.

충격흡수부재(311)는 바닥부(210) 및 지지대본체(314)와 고정결합되는 지지부재(311a) 및 두 개의 지지부재(311a)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311b)를 포함한다. The shock absorbing member 311 includes a support member 311a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10 and the support base body 314 and an elastic member 311b formed between the two support members 311a.

탄성부재(311b)는 스프링 구조 또는 내진설계에 적용되는 방진패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전후, 좌우 및 상하로의 충격 흡수가 용이한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은 급브레이크로 인한 흔들림, 좌우는 급회전으로 인한 흔들림, 상하는 운반차량이 방직턱을 빠른 속도로 지나갈 때의 흔들림에 해당한다.The elastic member 311b may be applied to a dustproof pad or the like applied to a spring structure or a seismic design, and it is preferable to apply a material that is easy to absorb shocks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orrespond to shaking due to rapid brake, left and right shaking due to rapid rotation, and shaking when the upper and lower transportation vehicles pass through the chin at high speed.

지지대본체(314)는 유류탱크(320)와 직접 접촉하는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높이방향으로 유류탱크(320)를 고정하기 위한 둘레부가 형성된다. 다만 지지대본체(314)의 일 측면에는 상기 둘레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개폐부재(312)가 이를 대신한다. The support main body 314 is formed with a circumference for fixing the oil tank 320 in the height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oil tank 320. However, one side of the support main body 314 is not formed in the circumferen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2 replaces it.

한편 지지대본체(314)는 하단에 가이더홈(314a)이 더 형성된다. 가이더홈(314a)은 유류탱크(32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가이더부(미도시)와 정합되는 구성이며 유류탱크(320)가 지지대본체(314)에 안착될 때 유류탱크(320)의 일방향 이동을 가이딩하고 유류탱크(320)와 지지대본체(314)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을 돕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support main body 314 is further formed with a guider groove 314a at the bottom. The guider groove 314a is configured to mate with a lower guider portion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il tank 320, and is one direction of the oil tank 320 when the oil tank 320 is seated on the support body 314. It guides the movement and serves to help ensure a stable coupling between the oil tank 320 and the support main body 314.

개폐부재(312)는 지지대본체(314)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구조이며, 개방되었을 때는 유류탱크(320)를 지지하여 지지대본체(314) 내부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도울 수 있고, 폐쇄된 경우 안착된 유류탱크(320)를 지지대본체(314) 내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지지대본체(314)에 대한 유류탱크(320)의 원활한 결합 및 고정을 돕는 구성이다.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2 is a structu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314, when opened can support the oil tank 320 to help smoothly slide into the support body 314, when closed By acting to press the seated oil tank 320 in the support body 314 in the inner direction is a configuration that helps the smooth coupling and fixing of the oil tank 320 to the support body (314).

구체적으로 개폐부재(312)는, 폐쇄되었을 때 외곽면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312a), 제1플레이트(312a)와 힌지 결합되고 폐쇄되었을 때 유류탱크(320)와 직접 접촉하는 제2플레이트(312b), 제1플레이트(312a)와 제2플레이트(312b)의 표면 형성되어 유류탱크(320)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더홈(312c), 및 제2플레이트(312b)의 표면에 형성되고 폐쇄되었을 때 유류탱크(320)와 직접 접촉하여 유류탱크(320)의 고정 및 충격 일부 흡수 기능을 담당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지지부재(312d)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2 is hinged with the first plate 312a, the first plate 312a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when closed, and the second plate directly contacting the oil tank 320 when closed ( 312b), the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2a and the second plate 312b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uider groove 312c, which guides the movement of the oil tank 320,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12b and closed. And at least one side support member 312d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il tank 320 to serve as a fixed and shock absorbing function of the oil tank 320.

도 4는 개폐부재(312)가 폐쇄되었을 때(위) 및 개폐부재(312)가 개방되었을 때(아래) 모습이 모두 도시되어 있다. 개폐부재(312)가 폐쇄되었을 때는 제1플레이트(312a)의 하면과 제2플레이트(312b)의 하면이 서로 접촉하여 지지대본체(314)의 둘레부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다만 폐쇄되었을 때 제2플레이트(312b)의 표면에 형성된 측면지지부재(312d)가 유류탱크(320)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측면지지부재(312d)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류탱크(320)를 일방향으로 강하게 가압하여 고정시킴과 동시에 유류탱크(320)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4 is shown both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2 is closed (top)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2 is opened (bottom).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2 is close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2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12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unction the same as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base body 314. However, when closed, the side support member 312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12b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il tank 320. Since the side support member 312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oil tank 320 may be strongly pressed in one direction to be fixed, and at the same time, the shock applied to the oil tank 320 may be absorbed.

개폐부재(312)가 개방되었을 때는 제1플레이트(312a)와 제2플레이트(312b)가 힌지 회전하여 두 표면이 모두 지지대본체(314)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그 결과 지지대본체(314)의 가이더홈(314a)과 제1플레이트(312a) 및 제2플레이트(312b)에 형성된 가이더홈(312c)이 하나의 긴 가이드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유류탱크(320)는 형성된 하나의 긴 가이드라인을 따라 지지대본체(314)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유류탱크(320)가 지지대본체(314)의 내측으로 안착될 때 측면지지부재(312d)는 제2플레이트(312b)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유류탱크(320)의 안착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2 is opened, the first plate 312a and the second plate 312b are hinged so that both surfaces are coplana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ase body 314. As a result, the guider groove 314a of the support base body 314 and the guider groove 312c formed in the first plate 312a and the second plate 312b form one long guide line. The oil tank 320 may be seated inside the support body 314 along one long guide line formed. Meanwhile, the side support member 312d may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12b when the oil tank 320 is seated inside the support body 314. This is to avoid disturbing the seating of the oil tank 320.

측면지지부재(312d)와 제2플레이트(312b)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측면지지부재(312d)는 스크류 방식으로 제2플레이트(312b)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ide support member 312d and the second plate 312b may be fixedly coupled in various way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pport member 312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312b in a screw manner.

한편, 유류탱크(320)의 상단에는 상단지지대(3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단결합부(321) 및 고리부재(322)가 더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oil tank 32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330, the upper coupling portion 321 and the ring member 322 is further formed.

상단지지대(330)는 저장공간(200)의 내측 상면에 고정결합되거나 저장공간의 내측 상면과 동일한 구성에 해당될 수 있다. 상단지지대(330)는, 일단이 상단지지대(330)에 고정결합되고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탄성연결부재(331) 및 탄성연결부재(331)의 타단에 형성되는 후크부재(332)로 구성된다. The upper support 33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200 or may correspond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e upper support 330 is composed of an elastic connection member 331,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330 and extended downward, and a hook member 33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connection member 331. do.

후크부재(332)는 고리부재(322)에 연결되는 구성이며 후크부재(332)와 고리부재(322)의 연결을 통해 유류탱크(320)는 상하단이 모두 지지되는 형태가 완성된다.Hook member 332 is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ring member 322 an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hook member 332 and the ring member 322 the oil tank 320 is completed in the form in which both upper and lower ends are supported.

이 때 탄성연결부재(331)의 탄성계수는 탄성부재(311b)의 탄성계수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연결부재(331)는 유류탱크(320)의 무게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차량의 각종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탄성부재(311b)보다 덜 흔들리도록 설계된다. At this time,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connecting member 331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member 311b. The elastic connecting member 331 serve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oil tank 320 at the upper end, but is designed to shake less than the elastic member 311b despite various shaking of the vehicle.

고리부재(322)와 후크부재(332)는 자유단 연결된다. 따라서 차량의 급회전, 급브레이크 또는 외부 충격시 유류탱크(320)는 관성에 의해 고리부재(322)가 후크부재(332)의 일부 구간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The ring member 322 and the hook member 332 are connected to the free end. Therefore, the oil tank 320 during the rapid rotation, rapid brake or external impact of the vehicle, the ring member 322 is moved within a portion of the hook member 332 by inertia.

급회전, 급브레이크 및 외부 충격시 유류탱크(320)가 후크브재(332)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씩 관성에 의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유류탱크(320) 내의 연료나 유증기의 움직임은 최소화된다. 이 때 유류탱크(320)의 하단부 움직임은 더욱 커지는데 유류탱크(320)의 하단을 지지하는 탱크지지대(310)가 유류탱크(320)의 하단부 움직임을 어느정도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oil tank 320 is rotated by an inertia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ok member 332 during rapid rotation, sudden brake, and external impact, the movement of fuel or oil vapor in the oil tank 320 is minimized.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lower end of the oil tank 320 becomes larger, and the tank support 310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il tank 32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lower end of the oil tank 320 to some extent.

즉, 급회전, 급브레이크 및 외부 충격 시 탄성연결부재(331)의 움직임보다 탄성부재(311b)의 움직임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of the elastic member 311b is greater than the movement of the elastic connecting member 331 during rapid rotation, rapid brake, and external impact.

도 5는 저장공간(200)의 바닥부(21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계기판(410)과 주유기(420) 및 후측도어(80) 사이를 살펴보면, 바닥부(210)의 경사진 모습이 선으로 표현된 것을 알 수 있다. 5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ottom portion 210 of the storage space 200. Looking at the instrument panel 410 and the lubricator 420 and the rear door 80 in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inclined shape of the bottom portion 210 is represented by a line.

구체적으로, 계기판(410)과 주유기(420)와 후측도어(80) 사이에는 주유공급장치(430)에서 새어나온 연료 등이 모일 수 있는 저장부재(240)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a storage member 24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strument panel 410, the lubricator 420, and the rear door 80 to collect fuel, etc., leaked from the lubrication supply device 430.

이 때 계기판(410)과 주유기(420) 및 저장부재(240) 사이에 경사바닥부(220)가 형성되며 저장부재(240)로 갈 수록 지면과 가까워지는 쪽으로 경사각도가 형성된다. 또한 저장부재(240)와 후측도어(80) 사이에 또 다른 경사바닥부(220)가 형성된다. 또 다른 경사바닥부(220)도 후측도어(80)에서 저장부재(240)로 갈수록 지면가 가까워지도록 경사각도가 형성된다. 즉, 새어나온 연료는 경사바닥부(220)를 따라 저장부재(240)로 흘러들어간다. At this time, the inclined bottom portion 220 is formed between the instrument panel 410, the lubricator 420, and the storage member 240, and the inclination angle is formed toward the storage member 240 toward the ground. In addition, another inclined bottom portion 220 is formed between the storage member 240 and the rear door 80. Another inclined bottom portion 220 is also formed with an inclination angle so that the ground closer to the storage member 240 from the rear door (80). That is, the leaked fuel flows into the storage member 240 along the inclined bottom portion 220.

후측도어(80)와 가까운 쪽에 경사바닥부(220) 및 저장부재(240)가 형성된 이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주유공급장치(430)가 주로 후측도어(80)를 통해 운반차량 외부로 토출되기 때문이다. 만약 주유공급장치(430)가 측면도어(70)를 통해서 토출되도록 저장공간(200)의 내부 배치를 변경한다면 경사바닥부(220) 및 저장부재(240)는 측면도어(70)의 주변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reason why the inclined bottom portion 220 and the storage member 240 are formed on the side closer to the rear door 80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supply device 430 is mainly outside the transport vehicle through the rear door 80. Because it is discharged. If the oil supply device 430 changes the internal arrangement of the storage space 20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oor 70, the inclined bottom portion 220 and the storage member 240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side door 70 May be

한편, 저장부재(240)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고 저장부재(24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홈부(2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경사홈부(230)의 최대 높이는 경사바닥부(220)의 최저높이와 맞닿아 있으며 경사바닥부(220) 및 경사홈부(230)에 유입된 연료는 모두 저장부재(240)로 이동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clined groove portion 23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torage member 240, the height increases as the distance away from the storage member 240 may be further formed. The maximum height of each inclined groove portion 230 is in contact with the minimum height of the inclined bottom portion 220 and the fuel flowing into the inclined bottom portion 220 and the inclined groove portion 230 are all moved to the storage member 240.

저장부재(240)의 상단에는 메쉬구조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A mesh structu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member 240.

이러한 바닥부(210)의 구조를 통해 저장공간(200) 내에 새어나온 연료의 뒷처리가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ottom portion 21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fter treatment of the fuel leaked into the storage space 200 is easi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어(70)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측면도어(7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환기구(71)의 개폐구조 매커니즘이 상세하게 도시된 도면이다. 6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ide door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one or more ventilation holes 71 formed in the side door 70 is shown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구(71)는 측면도어(7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환풍장치(500)와 환기구(71) 사이의 공기 유로가 저장공간(200) 내에서 대각선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Ventilation port 7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door 70, which is an air passage between the ventilation device 500 and the ventilation port 71 is diagonal in the storage space 200 This is to form a.

구체적으로 환기구(71)는 측면도어(70)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저장공간(2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메쉬부재(71a), 환기구(71)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할 수 있는 개폐도어(71b), 개폐도어(71b)의 하단에 형성되는 댐핑부(71c), 개폐도어(71b)의 상단 윗부분에 형성되어 개폐도어(71b)와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전기가 공급되는 전자석부(71d), 및 개폐도어(71b)의 일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더부(71e)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ventilation port 71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door 7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esh member 71a, the ventilation port 71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to the storage space 200. The damping part 71c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and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The electromagnet part 71d supplied and the guider part 71e which guide the one-way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door 71b are included.

메쉬부재(71a)는 외부 이물질 예를들면 벌래나 먼지 등이 저장공간(2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메쉬부재(71a)는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거를 수 있는 메쉬구조와 미세먼지 등을 거를 수 있는 필터(ex HEPA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환풍장치(500) 및 전자석부(71d)의 작동만으로 저장공간(200) 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The mesh member 71a serve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bedbugs or dust from entering the storage space 200. For example, the mesh member 71a may include a mesh structure capable of filtering relatively large particles and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fine dust (ex HEPA filter). In this case, only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500 and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may have an effect of purifying the air in the storage space 200.

개폐도어(71b)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적어도 상단 부분은 자유전자가 포함된 메탈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석부(71d)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자석부(71d)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a) 도면과 같이 개폐도어(71b)는 환기구를 폐쇄하지만, 전자석부(71d)가 작동하는 경우 전자석부(71d)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개폐도어(71b)가 전자석부(71d) 방향(상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환기구를 개방하게 된다.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1b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at least the upper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free electrons. This is to allow interaction with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When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does not operate (a)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closes the ventilation port, but when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is operated,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to open and close the door 71b. )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upper direction) to open the ventilation port.

개폐도어(71b)의 하단에 설치된 댐핑부(71c)는 개폐도어(71b)의 하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전자석부(71d)의 작동이 멈추었을 때 개폐도어(71b)는 하단으로 자유낙하 하게 되는데, 댐핑부(71c)가 환기구의 하단과 최초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개폐도어(71b)의 하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damping portion 71c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 / close door 71b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open / close door 71b from being damag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portion 71d stops,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freely falls to the lower end. It is effective to prevent damage.

가이더부(71e)는 개폐도어(71b)가 일방향으로만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측면도어(7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가이더부(71e)가 설치됨으로 인해 개폐도어(71b)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며, 개폐도어(71b)가 일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때 진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The guider 71e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side the side door 70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can reciprocate in only one direction. Since the guider 71e is installed, the spac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can move is limited, and vibration may be prevented when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reciprocates in one direction.

가이더부(71e)는 개폐도어(71b)가 이동되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공기가 통하는 개방구 주변부에는 가이더부(71e)가 설치되지 않거나 가이더부(71e)에 통공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r 71e may be formed over at least part or the entirety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is moved. However, the guider portion 71e may not be installed at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hrough which air flows, or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hole is provided in the guider portion 71e.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en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위험물 운반차량
10: 열감지센서 20: 분사장치 40: 정전기방지패드
50: 캠장치 70: 측면도어 80: 후측도어
100: 운전공간 200: 저장공간 210: 바닥부
220: 경사바닥부 230: 경사홈부 240: 저장부재
300: 탱크거치부 310: 탱크지지대 320: 유류탱크
330: 상단지지대 400: 제공장치 410: 계기판
420: 주유기 500: 환풍장치 700: 제어부
1: Vehicle carrying dangerous goods
10: heat sensor 20: injector 40: antistatic pad
50: cam device 70: side door 80: rear door
100: operating space 200: storage 210: bottom
220: inclined bottom 230: inclined groove 240: storage member
300: tank support 310: tank support 320: oil tank
330: upper support 400: providing device 410: instrument panel
420: Lubricator 500: Ventilation apparatus 700: Control unit

Claims (5)

운전공간(100), 저장공간(2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위험물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200)은,
유류탱크(320) 및 상기 유류탱크(320)를 지지하는 탱크지지대(310)를 포함하는 탱크거치부(300);
계기판(410) 및 주유기(420)를 포함하는 제공장치(400); 및,
상기 저장공간(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환풍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공간(200)은,
상기 저장공간(200) 내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0); 및,
상기 저장공간(200) 내로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분사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차량의 상단에는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캠장치(50)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200) 내측의 바닥부(210)는 정전기방지패드(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차량.
In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including a driving space 100, storage space 200 and the control unit 700,
The storage space 200,
A tank support unit 300 including an oil tank 320 and a tank support 310 supporting the oil tank 320;
Providing device 400 including the instrument panel 410 and the lubricator 420; And,
Includes; the ventilation device 500 is formed on the storage space 200 to cause the flow of air;
The storage space 200,
A heat sensor 10 for sensing heat in the storage space 200; And,
And an injector 20 for injecting extinguishing material into the storage space 200.
Cam device 50 for detect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transport vehicle, the bottom portion 210 of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200, the anti-hazard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static pad 40 is installed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거치부(300)는,
상기 유류탱크(32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대(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지지대(310)는, 상기 유류탱크(3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본체(314), 상기 지지대본체(314)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류탱크(320)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311), 및 상기 지지대본체(314)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류탱크(320)의 이동을 가이딩하거나 상기 유류탱크(320)를 고정시키는 개폐부재(3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지지대(330)는, 상기 상단지지대(330)에 고정 연결되고 탄성을 가지는 탄성연결부재(331) 및 상기 탄성연결부재(331)의 끝단에 구비되는 후크부재(332)를 포함하고,
상기 유류탱크(320)는, 상기 유류탱크(32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상단결합부(321), 상기 상단결합부(321)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재(332)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리부재(322) 및 상기 유류탱크(32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가이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tank mounting unit 300,
Further comprising a top support 330 for supporting the top of the oil tank 320,
The tank support 310, the support body 314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il tank 320, the shock provid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314 t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oil tank 320 An absorbing member 311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2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314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il tank 320 or to fix the oil tank 320.
The upper support 330,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330 includes an elastic connecting member 331 having elasticity and a hook member 332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astic connecting member 331,
The oil tank 320, the upper coupling portion 321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il tank 320, the upper coupling portion 321 is provided on the hook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hook member 332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guider portion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member (322) and the oil tank (3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10)는,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바닥부(220);
두 개의 상기 경사바닥부(220) 사이에 형성되어 유류 및 이물질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재(240); 및,
상기 저장부재(240)의 양 측면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재(240)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홈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portion 210,
An inclined bottom portion 220 inclined in the ground direction;
A storage member 240 formed between the two inclined bottom portions 220 to store oil and foreign substances; And,
It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torage member 240, the inclined groove portion 230 is increased in height away from the storage member 240;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200)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도어(70)는 하나 이상의 환기구(71)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구(71)는,
외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메쉬부재(71a);
상기 환기구(71)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도어(71b);
상기 개폐도어(71b)의 하단에 형성되는 댐핑부(71c);
상기 개폐도어(71b)의 상단 위쪽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도어(71b)의 일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전자석부(71d); 및,
상기 개폐도어(71b)의 일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더부(71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door 70 constituting the side of the storage space 200 includes one or more ventilation holes 71,
The ventilation port 71,
Mesh member (71a) formed on the outsid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Opening and closing doors (71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ntilation holes (71);
A damping part 71c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An electromagnet portion (71d) provid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to control one-way movement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71b); And,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comprising a; guider (71e) for guiding the one-way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1b).
KR1020190075974A 2019-06-25 2019-06-25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 KR102060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974A KR102060921B1 (en) 2019-06-25 2019-06-25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974A KR102060921B1 (en) 2019-06-25 2019-06-25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921B1 true KR102060921B1 (en) 2019-12-30

Family

ID=6910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74A KR102060921B1 (en) 2019-06-25 2019-06-25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9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528A (en) 2021-10-20 2023-04-27 임재경 Special Feature Vehicle for Extinguishing Fire in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7520A (en) * 1999-10-19 2001-04-27 Asuka Sekkei:Kk Tank with advertisement means
US20070062063A1 (en) * 2005-09-07 2007-03-22 Langley Vernon W Mobile mattress sanitizer
US20110126376A1 (en) * 2009-11-30 2011-06-02 Jaime Martinez Mobile mounted steam clean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7520A (en) * 1999-10-19 2001-04-27 Asuka Sekkei:Kk Tank with advertisement means
US20070062063A1 (en) * 2005-09-07 2007-03-22 Langley Vernon W Mobile mattress sanitizer
US20110126376A1 (en) * 2009-11-30 2011-06-02 Jaime Martinez Mobile mounted steam clean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528A (en) 2021-10-20 2023-04-27 임재경 Special Feature Vehicle for Extinguishing Fire in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9669B2 (en) Refuse vehicle having tailgate-mounted fuel tanks
JP6526110B2 (en) Truck fuel tank system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KR102060921B1 (en)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vehicle
US8789557B2 (en) Ventilation arrangement for a fuel tank
US6216790B1 (en) Above-ground fuel storage system
US20210023489A1 (en) Oil separator and compressed air drying system
US8950533B2 (en) Cooling arrangement for a component in a vehicle
US20030015537A1 (en) Vehicle fuel tank with fuel wave baffle
KR20190011251A (en) Gas filling device
US20200385068A1 (en) Hydrogen Discharge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08725184A (en) A kind of fuel battery passenger car overhead hydrogen storage cabin
US20200189624A1 (en) Rail vehicle
CA2891323C (en) Dispenser for compressed natural gas (cng) filling station
US4469129A (en) Above ground gasoline storage apparatus
US7854486B2 (en) Container equipped on vehicle
CN111213004B (en) Hydrogen gas discharge system for a truck and truck comprising such a system
KR102420507B1 (en) Hydrogen station of tunnel structure, and charging method for the same
JP2017088009A (en) Transpiration fuel processing device
JP2017110589A (en) Fuel returning device
CN111409461B (en) Battery protection system of electric automobile
KR20140093123A (en) Electric vehicle
CN108773498A (en) The device put is interlocked for fixing gravity oiling rifle and detecting safe parking
JP2020002876A (en) Exhaust pipe structure
CN211809048U (en) Automobile fuel tank protection structure
JP6939277B2 (en) Power gener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