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919B1 - 해양방제장치 - Google Patents

해양방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919B1
KR102060919B1 KR1020190063063A KR20190063063A KR102060919B1 KR 102060919 B1 KR102060919 B1 KR 102060919B1 KR 1020190063063 A KR1020190063063 A KR 1020190063063A KR 20190063063 A KR20190063063 A KR 20190063063A KR 102060919 B1 KR102060919 B1 KR 102060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main body
take
adsorption cloth
supply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훈
권기성
심규철
김인제
김경윤
Original Assignee
한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훈 filed Critical 한상훈
Priority to KR102019006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1Means floating loosely on the water absorbing the 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해양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는 본체(10)에 구비된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를 권취롤(30)로 감으면서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수거함으로, 오일을 수거하는 방제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오일 또는 오일에서 발생되는 유증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양방제장치{sea contamination prevent apparatus}
본 발명은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해양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 오일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방제작업을 하여 오일이 넓게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방제작업을 할 때는 오일이 유출된 부위의 둘레부에 오일펜스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오일펜스의 내부에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사각형의 흡착포를 던져서 흡착포가 오일을 흡수하도록 한 후, 수작업으로 흡착포를 수거하는 방법을 통해 오일을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방제작업을 할 경우, 오일이 유출된 부위에 정확히 흡착포를 던져 넣어야 함으로, 넓은 면적에 분포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오일을 흡수한 흡착포를 작업자가 수거하야 함으로, 수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이와 같이, 작업자가 흡착포를 수작업으로 수거할 때, 작업자가 오일에 노출되며, 특히, 작업자가 오일에서 증발된 유증기를 흡입하여 건강에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양방제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해양방제장치는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0655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해양방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양의 수면에 떠있도록 구성된 본체(10)와, 둘레면에 흡착포(21)가 권취되며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흡착포공급롤(2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구동모터(47)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를 감는 권취롤(30)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는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흡착한 후,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11)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은 상기 본체(10)에 측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가 상기 가이드로울러(11)의 둘레부를 경유한 후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착포공급롤(20)을 지지하는 제1 지지축(41,42)과, 상기 권취롤(30)을 지지하는 제2 지지축(43,44)이 구비되고, 제1 및 제2 지지축(41,42,43,44)은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으로 분할되어, 상기 좌측 지지축(41,43) 또는 우측 지지축(42,44)은 상기 본체(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구동수단(46)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배출가이드(51)와, 상기 권취롤(30)의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53)에 의해 승강되며 상승시 상기 배출가이드(51)와 연결되는 승강가이드(5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지지축(43,44)을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제2 지지축(43,44)에 의해 지지된 권취롤(30)이 상기 승강가이드(52)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53)을 이용하여 승강가이드(52)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강가이드(52)에 올려진 권취롤(30)이 상기 배출가이드(51)로 이동된 후 배출가이드(51)의 경사를 따라 상기 본체(10)의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는 지지부(16)와, 상기 지지부(16)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회동구동수단(18)에 의해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되는 한 쌍의 회동바(17)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6)와 회동바(17)의 단부에는 가이드로울러(11)가 분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은 상기 지지부(16)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는 상기 회동바(1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로울러(11)의 둘레부를 경유하여 오일을 흡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는 본체(10)에 구비된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를 권취롤(30)로 감으면서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수거함으로, 오일을 수거하는 방제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오일 또는 오일에서 발생되는 유증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해양의 수면에 떠있도록 구성된 본체(10)와, 둘레면에 흡착포(21)가 권취되며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흡착포공급롤(2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구동모터(47)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를 감는 권취롤(3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금속재질의 바부재를 절단하여 사각 프레임형태로 상호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중앙부 상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5)가 구비되며, 양측에는 부력체(14)가 구비되어, 부력체(14)의 부력에 의해 해양의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14)는 상기 돌출부(15)가 해양의 수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와 부력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11)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로울러(11)는 상기 돌출부(15)의 전방 하측과 상기 본체(10)의 중앙부 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중앙 하측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11)는 상기 본체(10)가 수면에 부상된 상태에서, 수면의 아래로 가라앉도록 위치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착포공급롤(20)을 지지하는 제1 지지축(41,42)과, 상기 권취롤(30)을 지지하는 제2 지지축(43,44)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축(41,42)과 제2 지지축(43,4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으로 분할되어,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5)에 회전 및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의 인접단에는 상기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의 양단에 삽입결합되는 콘형상의 결합부(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에는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을 측방향, 즉, 인접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46)과,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7)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6)을 작동시켜 상기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을 상호 인접 및 이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47)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지지축(41,42)과 제2 지지축(43,4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추진장치(6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가 추진장치(60)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추진장치(60)는 일반적인 스크류가 구비된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본체(10)가 전후진되거나, 방향전환될 수 있다.
상기 흡착포공급롤(2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합성수지재질의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둘레면에 흡착포(21)가 권취된다.
상기 흡착포(21)는 종래의 흡착포(21)와 동일하게 오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부직포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길이가 100m 이상으로 길게 구성되어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 권취된다.
상기 권취롤(3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합성수지재질의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착포공급롤(20)은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권취롤(30)은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포(21)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는 상기 가이드로울러(11)의 둘레면, 즉, 상기 돌출부(15)의 전방 하측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11)의 전방 둘레면과 상기 본체(10)의 중앙부 하측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11)의 하측 둘레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되도록 연장된다.
즉, 상기 흡착포(2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양방제장치를 이용하여 오일을 방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본체(10)가 수면에 부상된 상태에서, 상기 추진장치(60)를 이용하여 본체(10)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47)로 제1 지지축(41,42)과 제2 지지축(43,44)을 회전시키면,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가 상기 가이드로울러(11)의 둘레부를 경유하면서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흡착한 후,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되어 수거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 권취된 흡착포(21)가 모두 풀려 나와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되면,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6)을 작동시켜 상기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을 상호 이격시키고, 상기 제1 지지축(41,42)과 제2 지지축(43,44)에 결합된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을 분리한 후, 상기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의 사이에 새로운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을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6)을 작동시켜 상기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을 상호 근접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결합부(45)가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의 양단에 결합되어,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가 상기 가이드로울러(11)를 경유한 후 상기 권취롤(30)에 고정되도록 하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양방제장치는 본체(10)에 구비된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를 권취롤(30)로 감으면서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수거함으로, 오일을 수거하는 방제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오일 또는 오일에서 발생되는 유증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10)는 둘레부에 구비된 부력체(14)에 의해 부상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본체(10)를 일반적인 선박과 같이 자체적으로 부력을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진장치(60)는 스크류가 구비된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추진장치(60)는 물을 흡입하여 후방으로 분사하는 제트추진방식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본체(10)에 별도의 추진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본체(10)를 별도의 보트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축(41,42)과 제2 지지축(43,44)에는 구동모터(47)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에는 각각 슬라이드구동수단(46)이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2 지지축(43,44)에만 구동모터(47)를 연결하고, 상기 좌측 지지축(41,43) 또는 우측 지지축(42,44)에만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6)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배출가이드(51)와, 상기 권취롤(30)의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53)에 의해 승강되며 상승시 상기 배출가이드(51)와 연결되는 승강가이드(52)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출가이드(51)는 상기 권취롤(30)의 후방에서 본체(10)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금속재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가이드(51)의 전단부는 상기 권취롤(30)에 흡착포(21)가 최대한 권취되었을 때 흡착포(21)와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조절된다.
상기 승강가이드(52)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강되었을 때의 높이가, 상기 권취롤(30)에 흡착포(21)가 최대한 권취되었을 때 상면이 흡착포(21)의 하측 둘레면에 근접되도록 위치설정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53)은 상기 승강가이드(52)의 하측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승강가이드(52)를 승강시키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착포(21)가 상기 승강가이드(52)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가이드로울러(5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상방제장치는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가 상기 권취롤(30)에 모두 권취된 상태에서,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을 교체하기 위해 상기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을 이격시키면, 둘레면에 흡착포(21)가 권취된 권취롤(30)이 상기 승강가이드(52)의 상면에 올려진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53)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가이드(52)를 상승시키면, 상기 권취롤(30)이 승강가이드(52)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려지며, 승강가이드(52)가 상기 배출가이드(51)의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권취롤(30)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권취롤(30)이 상기 배출가이드(51)를 따라 본체(1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둘레면에 흡착포(21)가 권취된 권취롤(30)을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 흡착포(21)가 권취된 상태에서, 흡착포공급롤(20)의 무게는 10~20Kg 정도임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제1 지지축(41,42)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된 흡착포(21)는 오일을 흡착함으로써, 무게가 100Kg 가까이 증가되어, 제2 지지축(43,44)에 결합된 권취롤(30)을 교체할 때 작업자가 권취롤(30)을 수작업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출가이드(51)와 승강가이드(52)를 이용하여 권취롤(30)을 배출함으로써, 권취롤(30)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출가이드(51)는 후방으로 하향연장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권취롤(30)이 흡착포공급롤(20)의 전방에 구비된 경우, 상기 배출가이드(51)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하향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는 지지부(16)와, 상기 지지부(16)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회동구동수단(18)에 의해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되는 한 쌍의 회동바(1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6)는 금속바를 사각프레임 형태로 결합하여 구성되며, 둘레부에는 부력체(14)가 구비되어 수면에 부상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6)의 양측에는 힌지브라켓(16a)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바(17)는 금속바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기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16a)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18)은 상기 회동바(17)에 연결되어 회동바(17)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기어드모터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회동바(17)의 외측단에는 보조부력체(17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6)와 회동바(17)의 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11)가 분산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은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으면서,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16)에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지지축(41,42,43,44)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41,42,43,44)에는 슬라이드구동수단(46) 및 구동모터(47)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지지축(41,42,43,44)과 슬라이드구동수단(46) 및 구동모터(47)의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는 상기 회동바(1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로울러(11)의 둘레부를 경유하여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흡착포(21)는 팽팽하지 않도록 여유있게 연장되어, 흡착포(21)의 중간부가 자체적인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되어, 수면의 오일을 흡착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17)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해양방제장치가 수면에 부상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모터(47)를 구동시키면,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가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흡착한 후,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을 분리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17)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본체(10)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양방제장치는 상기 본체(10)가 지지부(16)와, 상기 지지부(16)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회동구동수단(18)에 의해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되는 한 쌍의 회동바(17)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16)와 회동바(17)의 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11)가 분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은 상기 지지부(16)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는 상기 회동바(1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로울러(11)의 둘레부를 경유하도록 배치됨으로, 상기 흡착포(21)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한번에 넓은 면적의 오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흡착포(2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착포(21)의 측방향의 폭만큼의 면적을 방제할 수 있으나, 본 실시에의 경우, 흡착포(21)가 상기 회동바(17)의 길이방향, 즉,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동바(17)의 양단의 폭만큼의 면적을 한꺼번에 방제할 수 있음으로, 방제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회동바(17)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음으로, 해양방제장치의 운반과 보관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20. 흡착포공급롤
30. 권취롤

Claims (4)

  1. 해양의 수면에 떠있도록 구성된 본체(10)와,
    둘레면에 흡착포(21)가 권취되며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흡착포공급롤(2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구동모터(47)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를 감는 권취롤(30)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는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흡착한 후,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착포공급롤(20)을 지지하는 제1 지지축(41,42)과, 상기 권취롤(30)을 지지하는 제2 지지축(43,44)이 구비되고,
    제1 및 제2 지지축(41,42,43,44)은 좌측 지지축(41,43)과 우측 지지축(42,44)으로 분할되며,
    상기 좌측 지지축(41,43) 또는 우측 지지축(42,44)은 상기 본체(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구동수단(46)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배출가이드(51)와,
    상기 권취롤(30)의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53)에 의해 승강되며 상승시 상기 배출가이드(51)와 연결되는 승강가이드(5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지지축(43,44)을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제2 지지축(43,44)에 의해 지지된 권취롤(30)이 상기 승강가이드(52)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53)을 이용하여 승강가이드(52)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강가이드(52)에 올려진 권취롤(30)이 상기 배출가이드(51)로 이동된 후 배출가이드(51)의 경사를 따라 상기 본체(10)의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11)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은 상기 본체(10)에 측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가 상기 가이드로울러(11)의 둘레부를 경유한 후 상기 권취롤(30)에 권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지지부(16)와,
    상기 지지부(16)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회동구동수단(18)에 의해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되는 한 쌍의 회동바(17)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6)와 회동바(17)의 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11)가 분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착포공급롤(20)과 권취롤(30)은 상기 지지부(16)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흡착포공급롤(20)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1)는 상기 회동바(1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로울러(11)의 둘레부를 경유하여 오일을 흡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
KR1020190063063A 2019-05-29 2019-05-29 해양방제장치 KR102060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063A KR102060919B1 (ko) 2019-05-29 2019-05-29 해양방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063A KR102060919B1 (ko) 2019-05-29 2019-05-29 해양방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919B1 true KR102060919B1 (ko) 2019-12-30

Family

ID=6910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063A KR102060919B1 (ko) 2019-05-29 2019-05-29 해양방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9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5743A1 (en) Automatic maintenance apparatus for cleanliness of river surface
US20200148316A1 (en) Automatic maintenance apparatus for cleanliness of river surface
US20200148315A1 (en) Garbage incinerator with cleaning function
CN211498791U (zh) 一种用于水生植物的打捞设备
US4052313A (en) Material recovery systems
CN1709050A (zh) 起网辅助滚筒装置以及起网方法
US20200148314A1 (en) Forming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lass water cup
CN215669404U (zh) 一种内河新型打捞装置
KR102060919B1 (ko) 해양방제장치
CN207606931U (zh) 一种电子截断锯
US20210009238A1 (en) Automatic maintenance apparatus for cleanliness of river surface
CN113119236B (zh) 一种用于扶梯拐角处扶手的木料斜面切割设备
KR20170081917A (ko) 부력채염기
US20140319039A1 (en) Oil Spill Containment and Clean-Up Apparatus and Method
CN111717344B (zh) 一种水利工程用河流沿岸垃圾打捞设备
KR20200144206A (ko) 해양방제장치
CN115030121B (zh) 一种水域垃圾清理船
CN117005374A (zh) 一种水面污染物处理装置
CN110080323B (zh) 一种污泥处理用具有破拱筛选功能的挖掘装置
CN110206000A (zh) 一种用于河道溢油的吸附处理装置
JP4778743B2 (ja) 水底の堆積土砂に対する浚渫システム
CN105332365B (zh) 一种水面清洁船的前舱收集装置
CN109018219B (zh) 一种浮体清理机
WO2015018976A1 (en) A device for removal of oil under ice
CN206717156U (zh) 一种环保高效钢管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