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664B1 -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664B1
KR102060664B1 KR1020190051667A KR20190051667A KR102060664B1 KR 102060664 B1 KR102060664 B1 KR 102060664B1 KR 1020190051667 A KR1020190051667 A KR 1020190051667A KR 20190051667 A KR20190051667 A KR 20190051667A KR 102060664 B1 KR102060664 B1 KR 10206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operation
bending
display apparatus
communication link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944A (ko
Inventor
이근호
정상근
서준규
손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6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Abstract

제 1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AND DISPLAY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벤딩 동작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Panel) 등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뜻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 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다. 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유리기판 기반의 디스플레이로는 적용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했던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 제품 분야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용분야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입고다닐 수 있는 의류용 패션, 의료용 진단 분야에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간단한 벤딩 동작에 의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통신 링크를 형성하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 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제 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를 더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차를 더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더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및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및 UWB(ultra wideband)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 형성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통신 링크 형성에 대한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한 제 1 벤딩 동작을 가이드 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NFC 태그 및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1 벤딩 동작과 제2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밴딩 속도, 밴딩 횟수 및 벤딩 동작 발생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마스터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3 벤딩 동작을 감지하거나,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4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3 벤딩 동작 또는 제4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제3 벤딩 동작 및 제4 벤딩 동작 중 하나와 제1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제3 벤딩 동작 및 제4 벤딩 동작 중 하나와 제1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1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제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상기 제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에 기초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제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제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를 더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차를 더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1 벤딩 동작과 제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더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벤딩 동작을 획득하는 단계,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벤딩 동작을 획득하는 단계, 제1 벤딩 동작 및 제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해 필요한 통신 연결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벤딩 동작 및 제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밴딩 속도, 밴딩 횟수 및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벤딩 동작 및 제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는, 무선 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및 UWB(ultra wideband)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 형성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한 제1 벤딩 동작을 가이드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센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NFC 태그 및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제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해 필요한 통신 연결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제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를 더 고려하여,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차를 더 고려하여,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벤딩 동작 및 제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더 고려하여,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방식 정보 및 제1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방식 정보 및 제2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벤딩 동작 과 제2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밴딩 속도, 밴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및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마스터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또 다른 여러 종류의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이용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또 다른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서버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서버를 통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가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벤딩(bending)"이란 외부의 힘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벤딩 동작(bending motion)"이란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지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동작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동작은, 사용자의 폴딩 제스처, 롤링 제스처, 쉐이킹 제스처, 벤딩 제스처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지는 움직임 모두를 통칭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정 콘텐트를 표시하며,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한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호 유,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도 가능하다. 근거리 통신의 예로, 무선 랜(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루투스(Bluetooth)는 무선 통신 기기 간에 근거리(short range)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이다. UWB (ultra wideband)란 단거리 구간에서 저전력으로 넓은 스펙트럼 주파수를 통해 다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기술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근접한 기기 간에 자기장 유도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접속 방식에 관한 것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통신이 가능하다. WFD(Wi-Fi Directi)란 와이파이 기술의 새 버전으로, 가장 큰 특징은 기기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핫스팟, 라우터, AP(Access Point)가 없이도 와이파이 다이렉트가 설치된 기기만 있다면 기기끼리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WFD(Wi-Fi Directi)는 블루투스와 같이 pairing 절차를 진행할 필요가 없고, 최대 약 200m 정도까지의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여러 기기와 1: N 통신이 가능하다.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를 말한다. 지그비(ZigBee)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이다.
무선 랜(Wi-Fi)은, 기기의 종류, 혹은 사용 모드에 따라 무선 신호를 전달하는 AP(액세스 포인트: access point, 무선 공유기 등)가 주변의 일정한 반경 내에 있는 복수의 단말기(PC 등)들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인프라 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 그리고 AP 없이 단말기끼리 P2P(Peer to Peer)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애드 혹(ad hoc) 모드로 나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AP(access point)없이 애드 혹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인프라 스트럭쳐(infrastructure)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400)는 AP(access point)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버(300)와 유,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버(30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고, 서버(30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버(300)로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여, 콘텐트를 송신하는 송신 측 디바이스이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수신 측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신의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을 비교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에 더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 2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감지된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직접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서버(300)를 통해서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서버(30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벤딩 동작에 따라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센싱부(1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또는 근처에 복수의 벤딩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110)는 복수의 벤딩 센서로부터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10)는, 제 1 벤딩 동작과 관련하여, 벤딩 위치(좌표 값),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및 벤딩 동작 발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10)는 벤딩되는 부분의 압력과 다른 부분의 압력이 다른 특징을 이용하여, 벤딩 위치, 벤딩 방향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0)는 벤딩되는 부분의 힘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벤딩되는 각도, 반경, 횟수, 속도 등을 구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11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각 부분이 변형되는 속도를 측정하고, 속도의 변화가 큰 위치를 연결하여 벤딩 위치 및 벤딩 각도를 구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10)는 벤딩 센서(bending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등을 이용하여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0)는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촉각 센서,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 RF-ID 리더 또는 RF-ID 태그 등을 이용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포개어져 있는지 여부, 또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하 또는 좌우 등의 배치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부(110)는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터치 센서,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 면(일례로,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서의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실제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터치되는 경우,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실제로 터치되지는 않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된 경우인 “근접 터치(Proximity-touch)”를 포함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부(110)는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촉각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면(일례로,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 특정 물체가 놓여져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촉각 센서는 특정 물체(예컨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접촉을 사람이 느끼는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민감 정도로 감지할 수 있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부(110)는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방향(일례로,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방향)에 특정 물체(예컨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근접하여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근접 센서들 중에서 상기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례를 설명하자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일례로, 센싱부(110)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근접 또는 근접 패턴(예를 들어, 근접 거리, 근접 방향, 근접 속도, 근접 시간, 근접 위치, 근접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근접 패턴을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로서 제어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센싱부(110)로부터 수신한 특정 물체와 근접 센서간 근접 거리를 근접 거리에 대한 임계치와 비교하여, 특정 물체와 근접 센서간 근접 거리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센싱 방향에 특정 물체가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부(110)는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방향(일례로,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방향)에 특정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조도 센서는 주변의 조도(즉, 빛의 강도 또는 밝고 어두운 정도)에 따라 다양한 레벨의 조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조도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방향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의 상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센싱부(11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조도 값, 측정 시각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싱부(110)로부터 수신된 조도 값을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조도 값과 비교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방향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 모듈(121), 무선 인터넷 모듈(123), 유선 인터넷 모듈(125), 근거리 통신 모듈(1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2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2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모듈(125)은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2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무선 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에는, 제 2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좌표 값),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벤딩 패턴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통신 링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 링크와, 콘텐트를 전송하는 통신 링크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무선 인터넷 통신을 통해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통신부(120)는 서버(300)로 제 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소정 콘텐트, 또는 제 1 디스프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버(300)로부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관한 정보 및 콘텐트(공유 대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120)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콘텐트를 송수신할 수 있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에서 정의된 디바이스들에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DMS(Digital Media Server), 콘텐트를 렌더링하는 DMR(Digital Media Renderer), DMS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트를 DMR의 렌더링 능력에 매칭시켜, DMS와 DMR간의 연결을 설정(set up)하는 DMC(Digital Media Controller) 등이 있다.
DLNA 규격은 디바이스의 발견(discovery) 및 제어(control)를 위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규격을 채택하고 있다. UPnP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및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인터넷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PC가 주변 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기능을 전체 네트워크로까지 확장시켜, 여러 가전 제품, 네트워크 프린터, 인터넷 게이트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네트워킹 특히, 홈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UPnP 네트워크는 IP 기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기기인 UPnP 컨트롤 장치(control device: CD)와 UPnP 컨트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PnP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 CP)로 구성된다. UPnP 컨트롤 장치와 UPnP 컨트롤 포인트간에는 TCP/IP, HTTP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들과 XML,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과 같은 기술을 포함하는 UPnP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한다. UPnP 컨트롤 포인트는 UPnP 컨트롤 장치로 UPnP 컨트롤 요청을 전송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UPnP Vendor(510)는 UPnP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UPnP Forum(520)은 장치 제어 프로토콜(Device Control Protocol: DCP)을 제공한다. UPnP Device Architecture(530)는 UPnP의 핵심(core)이 되는 부분이다.
UPnP 컨트롤 포인트와 UPnP 컨트롤 장치는 심플 오브젝트 접근 프로토콜(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540)이라는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즉,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 장치를 발견(discovery)하고, 컨트롤 장치로부터 디바이스 및 서비스에 관한 자세한 명세(description)를 제공받으면, 컨트롤 장치를 제어(control)하기 위한 준비가 끝난다. 이때, 제어 포인트는 컨트롤 장치의 특정 서비스를 실행하는 액션(action)을 호출함으로써 컨트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UPnP 환경 하에서 이러한 액션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표현되어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이라는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포인트가 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컨트롤 장치(control device: CD)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어 포인트가 되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트롤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61에서, DMP(Digital Media Player)는 UPnP DA(Device Architecture)의 단계를 통해서 UPnP 장치들을 검색하여 DMS를 발견할 수 있다.
단계 62에서, DMP는 발견된 DMS에 명세(description)를 요청하고, DMS로부터 명세(description)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DMP는 CDS:Browse/Search()를 통해, DMS의 콘텐츠 목록과 콘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에는 콘텐트 ID, 제목, 생성일자, 종류, 접근 UR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MP는 수신한 콘텐츠 목록을 UI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단계 63에서, DMP는 DMS의 Connection Manager의 PrepareForConnection 액션을 사용하여 관련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 메시지는 XML로 기술되며, 설정 메시지에는, SOAP 형식에 맞춰 구성된 프로토콜 정보, Connection Manager ID, Connection ID, 컨텐츠의 전달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DMS의 Response는 ConnectionManager 서비스 인스턴스 ID, AV Transport 서비스 인스턴스 ID, RCS 서비스 ID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MS는 전송 프로토콜로는 HTTP-GET 프로토콜을, 콘텐트 포맷은 MPEG2-TS 형식을, 연결 시 Connection Manager 서비스의 ID는 0, 전달 방향은 INPUT임을 PrepareForConnection 액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단계 64에서, DMP는 DMS에 재생할 콘텐트를 통보할 수 있다. DMP는 DMS의 AV Transport 서비스의 SetAVTransportURI 액션을 통해 재생할 콘텐트를 통보할 수 있다.
SetAVTransportURI는 PrepareForConnection과 마찬가지로 XML로 기술되며, SOAP 형식에 맞춰 구성된다. 즉, SetAVTransportURI는 AV Transport 서비스의 가상 인스턴스 ID, 콘텐트의 URI, 콘텐트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XML 문서의 URI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5에서, DMP는 PrepareForConnection, SetAVTransportURI 두 액션을 사용하여 콘텐트 재생을 준비한 후 DMS로 Play 액션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6에서, DMP는 콘텐트를 획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재생 방식이 푸쉬 방식일 경우, DMS는 선택된 콘텐트를 DMP로 전송하고, DMP는 콘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재생 방식이 풀 방식일 경우, DMP가 DMS로 접근하여 콘텐트를 요구하고, 해당 콘텐트를 DMS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가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소정 콘텐트 또는 콘텐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pointer)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일 수 있다. 그 일례로, 포인터는 전자 펜, 손가락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3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제 2 디스플레이(200) 장치 간의 통신 링크 형성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벤딩 동작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되거나 데이터가 공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30)는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한 제 1 벤딩 동작을 가이드 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벤딩 동작을 가이드 하는 영상은 벤딩 위치(라인)를 표시하거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횟수 등을 표시하는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40)는, 제 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제 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의 일치 여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차,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벤딩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하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및 벤딩 동작 발생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마스터 장치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벤딩 횟수가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할 수도 있고, 벤딩 동작 발생 시점이 빠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할 수도 있고, 벤딩 방향이 소정 방향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할 수도 있고, 벤딩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할 수도 있고, 벤딩 위치가 소정 위치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할 수도 있다. .
여기서, 제어부(140)가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를 결정하는 과정은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동작의 대응 여부의 판단 주체,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신호 전송 순서, 또는 컨텐트를 전송 및 수신하는 주체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40)가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경우, 별도의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의 결정 과정 없이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 발명에 따라 통신 링크를 형성하거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센싱부(11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조도 값, 근접 패턴, 근접 값 등)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센싱 데이터(조도 값, 근접 패턴, 근접 값 등)를 비교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배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방향(상층부)에 존재하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아래에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겹쳐서 놓여진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센싱된 조도 값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센싱된 조도 값보다는 클 것이므로, 제어부(14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조도 값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조도 값을 비교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위에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싱부(110)에 의해 감지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 3 벤딩 동작, 및 통신부(120)에서 획득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4 벤딩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40)는, 제 3 벤딩 동작 및 제 4 벤딩 동작 중 하나와, 제 1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40)는, 제 3 벤딩 동작 및 제 4 벤딩 동작 중 하나와, 제 1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다시 들어오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벤딩 상태를 확인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를 재 연결할 수도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재 부팅 시,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통신 링크를 재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4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다시 가까워지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를 재 연결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경우에만 통신 링크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거리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근접 거리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통신 링크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동일한 WiFi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비스되는 경우 통신 링크를 유지하다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하나의 장치가 이동하여 인접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비스되는 경우, 통신 링크가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간단하게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7의 통신 링크 형성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S710].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휘거나 원형으로 말릴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함으로써,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계 10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센싱부(100)는 벤딩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센싱부(110)는 벤딩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센서 또는 벤딩 센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채널이 위치한 센싱 포인트의 값 또는 시간에 따른 수치 변화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센서는 센싱 포인트에서의 벤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벤딩 센서는 +180도에서 -180도까지의 벤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벤딩 센서 또는 벤딩 센서에 포함된 복수의 센싱 채널은, 각각의 센싱 포인트에서의 벤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벤딩 센서 또는 벤딩 센서에 포함된 복수의 센싱 채널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포인트를 통해 수집되는 벤딩 각도에 관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평면의 변형 상태를 분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0(c)는 복수의 벤딩 센서 또는 벤딩 센서에 포함된 복수의 센싱 채널을 통해 수집된 각 센싱 포인트에서의 벤딩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10)는 복수의 벤딩 센서 또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통해 벤딩 각도에 대한 로데이터(raw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S1)를 통해 수집된 제 1 센싱 포인트의 벤딩 각도는 ‘0도’이고, 제 2 센서(S2)를 통해 수집된 제 2 센싱 포인트의 벤딩 각도는 ‘10도’이고, 제 3 센서(S3)를 통해 수집된 제 3 센싱 포인트의 벤딩 각도는 ‘15도’라는 로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센싱부(110)는 수집된 벤딩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 값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10)는, 각 벤딩 센서의 공간상의 위치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평면의 변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센싱부(110)는 디스플레이 평면을 기준으로 앞 또는 뒤 방향으로 변형된 정도를 나타내는 z축 좌표 값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10)는 각각의 벤딩 센서에서 감지된 벤딩 각도를 기초로, 각 센서 포인트에서의 3차원 좌표 값(x축, y축, z축)을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센싱부(110)에서 도출된 제 1 센싱 포인트의 3차원 좌표 값은 (10, 4, 2)이고, 제 2 센싱 포인트의 3차원 좌표 값은 (11, 14, 2)이고, 제 3 센싱 포인트의 3차원 좌표 값은 (5, 4, 20) 등일 수 있다. 이때, 각 센싱 포인트의 3차원 좌표 값을 연결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평면의 변형 상태를 알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40)는 센싱부(11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또는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평면의 변형 상태를 분석하고, 제 1 벤딩 동작이 기 정의된 이벤트와 맵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센싱 데이터(또는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1 벤딩 동작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된 후 다시 원래 형태로 복귀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벤딩 동작을 플래핑(Flappling)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 1 벤딩 동작을 벤딩 홀딩(Bending holding)으로 인식할 수 있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라인이 일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벤딩 동작을 모션 벤딩(Motion bending)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벤딩 동작이 감지된 센싱 포인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 1 벤딩 동작을 기 정의된 이벤트로 맵핑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평면의 중앙 부분이 볼록한 상태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 1 벤딩 동작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휜 동작으로 맵핑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 자리가 벤딩된 경우, 제 1 벤딩 동작을 가장 자리의 벤딩 동작으로 매핑하여 중앙 부분의 휜 동작과 다른 이벤트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벤딩 센서(1100)는 선 형태일 수 있다. 벤딩 센서(110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센서(1100)는, 코일을 지나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벤딩 인식 모듈(111)은 인덕턴스의 변화가 일어난 벤딩 센서의 위치 및 인덕턴스의 변화 값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 센서의 위치를 기초로, 벤딩 라인을 도출하고, 인덕턴스의 변화 값을 기초로 벤딩 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상기 도출된 벤딩 라인과 벤딩 각도, 인덕턴스의 변화 값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벤딩 동작을 기 정의된 이벤트로 맵핑하여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속성에 따라 벤딩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벤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해야 벤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을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 값은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패턴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벤딩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위치, 벤딩 순서, 벤딩 형태에 관한 패턴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직접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서버(300)를 통해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에는 제 2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벤딩 패턴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임계치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S730].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제 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의 대응 여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 차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유지 시간 등을 비교하여,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이 일치하거나,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관계는 기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S740].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벤딩 이벤트가 거의 동시에(또는 짧은 시간 차로) 발생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제 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를 더 고려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벤딩 동작이 A 영역을 벤딩한 다음 B 영역 벤딩하고, 그 다음 C 영역을 벤딩하는 동작이고, 제 2 벤딩 동작도 A 영역을 벤딩한 다음 B 영역 벤딩하고, 그 다음 C 영역을 벤딩하는 동작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패턴 정보를 기초로 링크 형성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이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기기인 경우 패턴 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 차를 더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경우에만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더 고려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되고,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거나,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링크 형성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거의 동시에 유사한 벤딩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링크 형성(또는 데이터 공유) 전에, 사용자로부터 통신 링크 형성 (또는 데이터 공유)을 원하는지 확인을 받을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오른쪽 상단 가장자리를 접는 동작으로 공통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별도의 설정이 없더라도,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링크를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블루투스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하고, 링크키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페어링(Pairing) 절차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페어링(Pairing)"이란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간에 상호 통신 연결을 허용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스터 장치로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블루투스 어드레스(Bluetooth Device Address), 기기명(Product Name), 프로파일(Profile) 정보 등을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페어링 요청을 하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정보의 일례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가 있을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요청한 식별정보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페어링에 성공하게 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랜덤하게 연산하여, 링크키(Link Key)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링크키(Link Key)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한번 페어링(Pairing)이 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 후 연결시에는 상기 링크키(Link Key)를 통해 페어링(Pairing) 과정 없이 상호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NFC 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도 NFC 모듈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무선 랜(Wi-Fi)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 링크가 형성된 이후에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종료되더라도 통신 링크의 연결이 유지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또 다른 여러 종류의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은 우측 상단을 접는 동작이고, 제 2 벤딩 동작은 좌측 상단을 접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은 좌측 상단을 접는 동작이고, 제 2 벤딩 동작은 우측 하단을 접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을 말아 올리는 동작으로 일치할 수 있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은 좌측 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접는 동작이고, 제 2 벤딩 동작은 우측 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접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은 앞쪽으로 접는 동작이고, 제 2 벤딩 동작은 뒤쪽으로 접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은 볼록하게 휘는 동작이고, 제 2 벤딩 동작은 오목하게 휘는 동작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응되는 벤딩 동작은 다양할 수 있다.
다시 도 7로 돌아가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해 소정 콘텐트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7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된 콘텐트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소정 콘텐트는, 음악, 문서,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될 콘텐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벤딩 제스처, 터치 입력, 음성 입력 등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될 콘텐트가 먼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될 콘텐트가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가 기 형성되어 있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소정 콘텐트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콘텐트를 공유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동작을 통한 통신 링크 형성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80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단계 810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한 연결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과정만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그 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메신저 서비스, SNS(Social Network Service), 멀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81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 초기화(동기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연결 초기화(동기화)란 송신 측 디바이스 및 수신 측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점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디바이스 ID, 기기 명, 맥 어드레스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연결 초기화(동기화) 단계 이후에 제 1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구동 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815는 단계 820 및 단계 825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820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825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830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연결 초기화 후에 별도의 파일로 수신할 수도 있고, 연결 초기화 과정 중에 파일럿 또는 제어 채널을 통해서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도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정보는 GPS 정보, IP Address 정보, Domain 정보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단계 83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이 소정 시간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제 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의 대응 여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인지 여부,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820 내지 단계 835은 도 7의 단계 710 내지 단계 730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 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 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연결 조건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 840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연결 요청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방식, 무선 랜의 SSID, 채널 번호, 보안 키, 기타 보안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연결 방식에는 무선 랜(애드혹 모드 또는 인프라 스트럭쳐 모드), 블루투스, 지그비, WFD, UWB 등이 있을 수 있다.
단계 84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게 된다. 연결 요청에 대한 연결 응답에는 보안 키 등의 인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840의 연결 요청 및 단계 845의 연결 응답은 구현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 850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호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805 내지 단계 850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에 대해서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90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공유 모드 또는 공유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 모드 또는 제 1 공유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공유 모드에는 송신 모드, 수신 모드, 송수신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공유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송신하고, 수신 모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2 공유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송수신 모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공유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면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 2 공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910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공유 모드 또는 제 2 공유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도 수신 모드, 송신 모드, 및 송수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915 내지 단계 945는 도 8에 도시된 단계 815 내지 단계 845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단계 950에서 단계 965까지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송신 모드로 동작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가정한다.
단계 950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데이터 공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명칭,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종류,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식별 값,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사이즈,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메타 데이터, 공유 대상(콘텐트)의 링크 정보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송신자 정보,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 연결 승인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Accept”, “Ignore” 항목 들을 포함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955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자가 “Accept”를 선택하게 되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 공유 대상(콘텐트)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960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데이터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ccept” 또는 “Ignore”의 선택은 사용자의 벤딩 제스처 또는 터치 제스처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96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공유 대상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DLNA 규격 또는 UPnP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905 내지 단계 965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이용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개어 배치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벤딩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간 통신 링크가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콘텐트가 하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콘텐트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겹쳐놓을 수 있다. 이때,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촉각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RF-ID 리더 또는 RF-ID 태그 등을 이용하여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화면 방향에 위치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에 위치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싱부(110)로부터 수신된 조도 값을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조도 값과 비교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터치 또는 접근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부에 RFID(또는 NFC) 태그가 존재하고, 하부에 RFID(또는 NFC) 리더기가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아래에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위치하게 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RFID(또는 NFC) 리더기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RFID(또는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존재, 위치, 식별 값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하부에 RFID(또는 NFC) 태그가 존재하고, 상부에 RFID(또는 NFC) 리더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아래에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위치하게 되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RFID(또는 NFC) 리더기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RFID(또는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보다 하부에 위치함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보다 하부에 위치한다는 배열 정보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식별 값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터치 (또는 접근) 및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배열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우측 상부 모퉁이를 접게 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이때,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해 콘텐트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배치 순서에 따라 송신 측 디바이스(마스터 장치) 및 수신 측 디바이스(슬레이브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보다 상부에 위치하므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마스터 장치가 되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콘텐트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콘텐트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도 똑같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들과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복수의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 3 벤딩 동작을 감지하거나,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4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3 벤딩 동작 또는 제 4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자.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에는 통신 링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 15(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감지된 제 3 벤딩 동작이 링크 형성시의 제 1 벤딩 동작과 일치하거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 통신 연결시의 벤딩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우측 상단을 접는 동작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하나의 우측 상단을 접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또 다른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에는 통신 링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 16(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감지된 제 3 벤딩 동작이 링크 형성시의 제 1 벤딩 동작과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 통신 연결시의 벤딩 동작과 상반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체를 볼록하게 벤딩하는 동작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를 오목하게 벤딩함으로써,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기존의 통신이 가능한 여러 기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환경 설정이나 통신 메뉴 등을 이용해 여러 설정 단계를 거쳐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메뉴를 통해 통신 링크를 설정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벤딩 동작만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를 빠르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이외에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Access Network 및 Internet을 통해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망은 2G/3G/4G, WCDMA, GSM, WIBRO 등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게이트웨이(400), ISP, 인터넷 망 등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서버(300)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수신부(310), 판단부(320), 전송부(330),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서버(3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서버(3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수신부(3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 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3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에는,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벤딩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겹쳐서 위치하는 경우, 서버(300)의 수신부(3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배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각각 장착된 센서 또는 NFC 태그를 통해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간의 배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1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는 GPS 정보, IP Address 정보, Domain 정보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판단부(320)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소정 시간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320)는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320)는,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벤딩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320)는,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320)는, 제 1 벤딩 동작 및 제 2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판단부(32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상기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해 필요한 통신 연결 정보를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이가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전송부(33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부(33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 연결 정보에는 장치 식별 정보, 연결 방식 정보, 채널 번호, 보안 키, 기타 보안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연결 방식)는, 무선 랜(애드 혹 모드 또는 인프라 스트럭쳐 모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및 UWB(ultra wideband)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3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콘텐트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관한 정보 및 콘텐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콘텐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콘텐트 자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콘텐트에 관한 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링크 정보란, 콘텐트가 위치한 웹 사이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의미한다. 링크 정보의 일례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있을 수 있다.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서버(300)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콘텐트에 관한 링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서버(300)는, 상기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다운로드 받아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해 줄 수도 있고, 콘텐트에 관한 링크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제어부(340)는 수신부(310), 판단부(320), 전송부(3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4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340)는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허여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에 역할에 따라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300)의 제어부(34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동작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의 제어부(320)는, 벤딩 동작 발생 시점이 빠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300)는,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상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송신 측 디바이스이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신 측 디바이스이므로,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역할에 관한 정보(마스터 장치/슬레이브 장치)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서버(300)가 각 구성을 통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서버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도 19에 도시된 서버(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9에 도시된 서버(3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0의 통신 링크 형성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200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단계 2010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한 연결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링크 형성 과정만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그 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메신저 서비스, SNS(Social Network Service), 멀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201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2020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2005 내지 단계 2020은 도 8의 단계 805, 단계 810, 단계 820, 단계 825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2025에서,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지원 가능한 통신 연결 방식에 관한 정보, 제 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030에서, 서버(3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식별 정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지원 가능한 통신 연결 방식에 관한 정보,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에는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방식에는, 무선 랜(애드 혹 모드 또는 인프라 스트럭쳐 모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및 UWB(ultra wideband)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2035에서, 서버(300)는 제 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연결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300)는 제 1 벤딩 동작과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되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연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연결 조건이 만족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통신 연결 방식, 위치 정보 등을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연결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모두 무선 랜의 애드 혹 모드가 지원되는 경우, 서버(300)는 통신 연결 방식으로 애드 혹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2040에서,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 1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다. 제 1 연결 요청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방식 정보(예컨대, 애드 혹 모드), 제 1 인증 정보(예컨대, 보안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2050에서, 서버(3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 2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다. 제 2 연결 요청에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방식 정보(예컨대, 애드 혹 모드), 제 2 인증 정보(예컨대, 보안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인증 정보와 제 2 인증 정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방식 정보, 연결 승인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Accept”, “Ignore” 항목 들을 포함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방식 정보, 연결 승인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Accept”, “Ignore” 항목 들을 포함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04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가 “Accept”를 선택하게 되면, 서버(300)는 제 1 연결 요청에 대한 제 1 연결 응답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055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자가 “Accept”를 선택하게 되면, 서버(3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 2 연결 요청에 대한 제 2 연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060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상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방식, 인증 정보 등을 기초로, 연결 초기화(동기화) 과정을 진행하거나,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2005 내지 단계 2060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300)는, 사용자의 간단한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를 자동으로 형성해 줄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서버를 통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가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210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공유 모드 또는 제 1 공유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 모드 또는 제 1 공유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공유 모드에는 송신 모드, 수신 모드, 송수신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공유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송신하고, 수신 모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2 공유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송수신 모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공유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면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 2 공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110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공유 모드 또는 제 2 공유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도 수신 모드, 송신 모드, 및 송수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2115 및 단계 2120은 도 20의 단계 2015 및 단계 2020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2125에서,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지원 가능한 통신 연결 방식에 관한 정보, 제 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 공유 모드 정보,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공유 모드 정보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지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지 송수신 모드로 동작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명칭,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종류,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식별 값,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사이즈,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메타 데이터,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링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2130에서, 서버(3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식별 정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지원 가능한 통신 연결 방식에 관한 정보,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정보, 공유 모드 정보, 제 2 공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공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송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2 공유 대상(콘텐트)의 명칭, 제 2 공유 대상(콘텐트)의 종류, 제 2 공유 대상(콘텐트)의 식별 값, 제 2 공유 대상(콘텐트)의 사이즈, 제 2 공유 대상(콘텐트)의 메타 데이터, 제 2 공유 대상(콘텐트)의 링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단계 2140에서 단계 2165까지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송신 모드로 동작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가정한다.
단계 2135에서, 서버(300)는 제 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연결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소정 시간 미만이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연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2140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연결 조건이 만족된 경우, 서버(300)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데이터 공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예컨대, 제 1 공유 대상의 식별 값, 제 1 공유 대상의 사이즈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송신자 정보,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에 관한 정보, 연결 승인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Accept”, “Ignore” 항목 들을 포함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145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자가 “Accept”를 선택하게 되면,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 공유 대상(콘텐트)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2150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데이터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ccept” 또는 “Ignore”의 선택은 사용자의 벤딩 제스처 또는 터치 제스처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155에서,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2160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300)로 제 1 공유 대상(콘텐트)을 전송하게 된다.
단계 2165에서, 서버(3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 1 공유 대상을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0에서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에 직접적인 통신 링크가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데이터가 공유되는 것이 아니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를 통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2105 내지 단계 2165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각각으로부터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각각에서 발생되는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각각과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각각으로부터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각각에서 발생되는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서버(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각각에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는 겹쳐서 놓여질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에 대한 벤딩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각각의 통신 링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간의 배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부에 위치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콘텐트가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110: 센싱부
120: 통신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제어부
20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300: 서버

Claims (49)

  1. 제 1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된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상기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벤딩 동작은, 상기 제 2 벤딩 동작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감지되는 동안, 감지되고,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차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고,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및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무선 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및 UWB(ultra wideband)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 형성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통신 링크 형성에 대한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한 제 1 벤딩 동작을 가이드 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촉각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NFC 태그, 및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및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 3 벤딩 동작을 감지하거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 4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벤딩 동작 또는 상기 제 4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벤딩 동작 및 상기 제 4 벤딩 동작 중 하나와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벤딩 동작 및 상기 제 4 벤딩 동작 중 하나와 상기 제 1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20.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된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을 비교하고,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상기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벤딩 동작은, 상기 제 2 벤딩 동작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감지되는 동안, 감지되고,
    상기 통신 링크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차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고,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21. 삭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23. 삭제
  24. 삭제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및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및 UWB(ultra wideband)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 형성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한 제 1 벤딩 동작을 가이드 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촉각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NFC 태그, 및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및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3 벤딩 동작, 및 상기 통신부에서 획득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4 벤딩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벤딩 동작 및 상기 제 4 벤딩 동작 중 하나와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벤딩 동작 및 상기 제 4 벤딩 동작 중 하나와 상기 제 1 벤딩 동작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우,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39. 서버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제 1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된 제 2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 및 상기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링크 형성을 위해 필요한 통신 연결 정보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벤딩 동작은, 상기 제 2 벤딩 동작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감지되는 동안, 감지되고,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발생 시점의 차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차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고,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40. 삭제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 및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패턴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42. 삭제
  43. 삭제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및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45.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무선 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및 UWB(ultra wideband)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46.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 통신 연결 방식 정보, 및 제 1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통신 연결 방식 정보, 및 제 2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47.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를 마스터 장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 동작과 상기 제 2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및 벤딩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링크 형성 방법.
  49. 제 1 항, 제3항, 제6항 내지 제 19 항, 제 39 항, 제41항 및 제44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의 통신 링크 형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51667A 2019-05-02 2019-05-02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667A KR102060664B1 (ko) 2019-05-02 2019-05-02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667A KR102060664B1 (ko) 2019-05-02 2019-05-02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540A Division KR20140026843A (ko) 2012-08-23 2012-08-23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944A KR20190050944A (ko) 2019-05-14
KR102060664B1 true KR102060664B1 (ko) 2019-12-30

Family

ID=6658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667A KR102060664B1 (ko) 2019-05-02 2019-05-02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159A (ko) * 2020-12-04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08911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4503A1 (en) * 2005-10-31 2007-05-31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ens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US20070188323A1 (en) * 2006-01-26 2007-08-16 Microsoft Corporation Motion Detection Notification
US20100011291A1 (en) *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4503A1 (en) * 2005-10-31 2007-05-31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ens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US20070188323A1 (en) * 2006-01-26 2007-08-16 Microsoft Corporation Motion Detection Notification
US20100011291A1 (en) *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944A (ko)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6843A (ko)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886100B2 (en)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nd display device
US9769686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AU2013263757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bluetooth low energy device
US9250847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U2013263755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EP1898598B1 (en) Smart artefact and user terminal having a short range interface and long range interface
AU2013263756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1702361B1 (ko) 디지털 기기에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
US20140373123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227331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EP2651179B1 (en) Method of reducing a waiting time when cancelling a conne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060664B1 (ko)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38382A (ko) 전기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93686A (ko) 터치 센서 및 무선 주파수 식별 장치 및 방법
KR101388148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3222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제어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N104469656B (zh) 基于nfc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KR1015490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38815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5318A (ko)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388149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5617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30059204A (ko) 근거리 네트워크 디바이스 연결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