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965B1 -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965B1
KR102059965B1 KR1020170081639A KR20170081639A KR102059965B1 KR 102059965 B1 KR102059965 B1 KR 102059965B1 KR 1020170081639 A KR1020170081639 A KR 1020170081639A KR 20170081639 A KR20170081639 A KR 20170081639A KR 102059965 B1 KR102059965 B1 KR 102059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composite polymer
porou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1702A (en
Inventor
김진영
이경아
이소영
유성종
장종현
김형준
한종희
임태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965B1/en
Publication of KR2019000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e.g. polyarylenes, polystyrenes or polybutadiene-sty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H01M8/106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rous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porosity, ionic conductivity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6

Abstract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다공성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이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열풍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Impregnating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nto the porous support; And applying hot air to two or mor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impregnat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Description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 방법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EMFC)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연료전지의 한 종류로서, 수소 이온 교환 특성을 갖는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이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는 초기 성능 향상 및 장기 성능 확보를 위해, 전기 절연성뿐 아니라 높은 수소 이온 전도성, 낮은 전자 전도성 및 기체 투과성,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갖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할 것이 요구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PEMFCs) are a type of fuel cell that is in the spotlight as a next-generation energy source, and a fuel cell using a polymer membrane having hydrogen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as an electrolyte. Th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EMFC) include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hydrogen ion conductivity, low electron conductivity and gas permeability,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as well as electrical insulation, for initial performance and long term performance. It is required to do

한편,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용 고분자 전해질막으로서, 듀폰 社의 나피온 단일막과 같은 순수 과불소계 술폰화 고분자 전해질막이 현재 상용화되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순수 과불소계 술폰화 고분자 전해질막은 우수한 내화학성, 내산화성 및 이온 전도성에도 불구하고 단가가 높고 기계적 및 형태적 안정성이 낮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특성들을 가지면서도 해당 단점들이 보완된 그리고 경제적으로 제조법이 가능한 새로운 고분자 전해질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Meanwhile, a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EMFC), a pure perfluorinated sulfonat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such as a Nafion monolayer manufactured by DuPont is currently commercialized and is most widely used. However, pure perfluorinated sulfonat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have high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unit cost and low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stability despite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oxidation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new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that are both conventional and economically viable.

그에 대한 한 가지 방안으로서, 다공성 지지체에 전해질 용액이 함침된 형태의 강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다공성 지지체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사용하여 박막화가 가능하여 연료전지 작동 시 막의 두께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고, 기계적 및 형태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특성들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어, 기존의 고분자 전해질막들이 갖던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최근 연료전지 자동차 등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상용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기술현안 중의 하나로 제기되고 있다. As one solution to this, research on the reinforced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 which the porous support is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is actively conducted. This can be thinned by using the porous support as a material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due to the thickness of the fuel cell when operating the fuel cell, and ensuring the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stability, and can be implemented to have the excellent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exist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and has recently been rais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ical issues for commercializing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such as fuel cell vehicles.

하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다공성 지지체 기공 내부에 고분자 전해질을 균일하고 촘촘하게, 즉 완전히 함침시키는 것이 상당히 어려우므로 실질적으로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현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researches of the present inventors,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uniformly and tightly impregnate the polymer electrolyte inside the porous support pores, it may be practically limited to implement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78153호Korean Unexamined Patent No. 10-2013-0078153 한국 등록 특허 제10-0746339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46339 한국 출원 특허 제10-2008-0015338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5338 유럽 출원 특허 제2848620호European Application Patent No. 2848620

Xing, Danmin, et 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Nafion/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e membrane fabricated by a solution-spra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8.20 (2013): 8400-8408.Xing, Danmin, et 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Nafion /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e membrane fabricated by a solution-spra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8.20 (2013): 8400-8408.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강화 복합 박막형 전해질을 제조시 높은 수소 이온 교환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낮은 기체 투과성을 갖고, 두께 대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경제적이고, 물리적 손상의 발생 없이 제조가 용이한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pare a reinforced composite thin film electrolyte including a porous support, not only has high hydrogen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but also has low gas permeability,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to thickness, and is economical and free from physical damage.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vided.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다공성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이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열풍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을 제공한다.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mpregnating a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nto a porous support; And applying hot air to two or mor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impregnat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cell compris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함칭 공정 및 열풍 공정을 거쳐,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박막형 복합체의 형태로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다.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composite including a porous support through a quenching process and a hot air process.

특히, 함침 공정 이후에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이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열풍을 가함으로써, 3차원 그물 구조 형태의 기공을 갖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내부를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보다 균일하고 촘촘하게, 즉 실질적으로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에는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충분히 채워지지 않은 잔여 기공이나 보이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손상이나 열화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기존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에 준하거나 그 이상으로 향상된 수소 이온 교환 특성, 전자 전도성,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특히 낮은 기체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Particularly, after the impregnation process, hot air is applied in two or mor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impregnat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thereby hydrogen-conducting the inside of the porous support having pores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The polymer electrolyte can be filled more uniformly and densely, ie substantially completely. Accordingly,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substantially free of residual pores or voids that are not sufficiently filled with a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and may not cause physical and / or chemical damage or deterioration. As a result,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have improved hydrogen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electron conductivity, mechanical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which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conventiona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and may have particularly low gas permeability.

또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고가의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와 같은 수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을 최소로 사용하여 제조가 가능하므로, 기존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대비 가격 경쟁력의 측면에서 추가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inimum of a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such as an expensiv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and thus may have an additional advantage in terms of pric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a conventiona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통해 우수한 성능을 갖는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Therefore, through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and a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를 위한 다공정 지지체의 열풍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은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 기공 내부에 전해질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충진 전(a)과 열풍 공정 조건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b)수직 (c)수평 (d) 수직+수평인 경우에 따른 단면을 비교 도시한 SEM 사진들이다.
도 3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에 있어서, 충진 전 다공성 과불소계 지지체(a)와 열풍 공정 조건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b)수직 (c)수평 (d) 수직+수평인 경우에 따른 상면들을 비교 도시한 SEM 사진들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복합 고분자 전해질 막을 포함하는 단전지의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순환전류전압법(Cyclic Voltammetry, CV)을 통해 측정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선형주사전위법(Linear Sweep Voltammetry, LSV)을 통해 측정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단전지의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H2 crossover current density)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hot air process of a multi-process support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preparation of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 which an electrolyt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is filled in a porous support pore before (a) and hot air process conditions (b) perpendicular to a top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c) horizontal ( d) SEM photographs showing the cross-sections of the vertical + horizontal cases.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porous perfluorine-based support (a) and hot air processing conditions prior to filling (b) vertical (c) horizontal (d) vertical +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prior to filling SEM images showing the upper surfaces are compared.
4 is a graph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unit cell including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unit cell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measured by cyclic voltammetry (CV).
6 is a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H 2 crossover current density) of a unit cell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measured by Linear Sweep Voltammetry (LSV) Is a graph showing comparis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are only illustra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본 명세서에서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은 다공성 지지체의 가장 넓은 면 중 윗부분의 면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means the top surface of the widest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본 명세서에서 “복합화된다”, 또는 “복합화가 일어난다”는 것은, 수소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전해질인 과불소계 술폰화 고분자 전해질(이오노머)가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에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보다 유효한 기능을 갖도록 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complexed” or “complexed” is more effective because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polymer electrolyte (ionomer), a polymer electrolyte having hydrogen ion conductivity, is physically and / or chemically bonded to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It means to be combined to have a function.

본 명세서에서 “수소 크로스오버(H2 crossover)”란, 애노드(anode) 전극에서 반응하지 못한 수소가 고분자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캐소드(cathode) 전극으로 넘어가면서 생기는 수소 투과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소 크로스오버 현상, 즉 애노드 전극에서 캐소드 전극으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기체 확산은 과불소계 전해질막 열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해당 전해질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또는 고분자 전해질이 지지체 내부에 함침이 완전히 안 되어 있을수록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소 크로스오버 현상의 발생 여부 및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애노드 전극에 수소, 캐소드 전극에 질소를 공급하면서 선형 주사 전위법(LSV)을 이용해 0V~0.6V(vs. 애노드) 구간에서 해당 전지의 전류를 측정하였다. In this specification means a hydrogen permeable phenomenon occurs going beyond the cathode (cathode) electrode the "cross-over hydrogen (H 2 crossover)" is hydrogen, did not react in the anode (anode) electrode through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is hydrogen crossover phenomenon, that is, undesired gas diffusion from the anode electrode to the cathode electrode is known as a major cause of perfluorinated electrolyte membrane deterioration. Generally, the thinner the electrolyte membrane or the polymer electrolyte is impregnated into the support. If not completely, it can happen easi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firm the occurrence of hydrogen crossover phenomenon and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0V to 0.6V (vs. anode) using linear scanning potential method (LSV) while supplying hydrogen to the anode electrode and nitrogen to the cathode electrode. ), The current of the battery was measured.

본 명세서에서 “열풍 공정”이란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열풍을 가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hot air process" refers to a process of applying hot air in two or mor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본 발명의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으로서, 구체적으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의 막 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를 구성할 수 있는 전해질막이다.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다공성 지지체 및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는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균일하고 촘촘하게, 즉 실질적으로 완전히 채워져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에는 실질적으로 잔여 기공이나 보이드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수소 투과 전류 밀도 기준으로 약 2.0 mA/cm2 이하의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H2 crossover current density)를 가져, 기체 투과성이 상당히 우수하다.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specifically, an electrolyte membrane capable of form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of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EMFC).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es a porous support and a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At this time,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may be uniformly and densely fill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that is, substantially completely filled, so that there may be substantially no residual pores or voids in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us, the composite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ased hydrogen permeation current density brought about 2.0 mA / cm 2 of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H 2 crossover current density) or less, is extremely excellent in gas permeability.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내부에 3차원 그물 구조로 다수의 기공들을 가져,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기계적 강도 및 형태적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지지체로서, 예컨대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지지체와 같은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는 탄소-불소 간의 강한 결합력과 불소 원자의 특징인 가림 효과로 인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기계적 특성 및 전해질과의 화학적 친화성이 모두 우수하여 본 발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porous support may have a plurality of pores in a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therein,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ing mechanical strength and morphological stability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s such a porous support, for example, a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such as a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support can be used.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is chemically stable due to the strong bonding force between carbon and fluorine and the screening effect characteristic of the fluorine atom, and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affinity with the electrolyte, and thus may be useful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과산화수소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지지체와 같은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는 소수성을 가지므로, 친수성인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보다 공기와 더 친숙하여 낮은 젖음성을 갖게 된다.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잔여 기공이나 보이드(void) 없이 균일하고 촘촘한 내부 구조를 갖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porous support may be treated with acetone, methanol, ethanol, propanol or hydrogen peroxid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s, such as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supports, have hydrophobicity, and are therefore more familiar with air than the hydrophilic hydrogen-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s and thus have low wettability. Therefore, despite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a uniform and dense internal structure without using residual pores or voids.

그러나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과산화수소로 처리됨으로써 상기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는 향상된 젖음성을 가질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 및/또는 표면 상에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by treatment with acetone, methanol, ethanol, propanol or hydrogen peroxide,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may have improved wettability and may further contain no impurities on the interior and / or surface.

상기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의 향상된 젖음성은 상기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의 기공 내부를 더 균일하고 촘촘하게, 즉 실질적으로 완전히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로 채우는 데 유리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높은 막 밀도를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더욱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의 내부에서 친수성 이온 도메인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증가된 이온 전도도 및 치수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The improved wettability of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is advantageous for filling the pores of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more uniformly and densely, ie substantially completely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Accordingly,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have a high membrane density, and as a result, may have an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In addition, since the space between the hydrophilic ion domains is narrowed therein,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have increased ion conductiv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은, 예컨대 나피온 이오노머(Nafion ionomer)와 같은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 PFSA ionomer)일 수 있다.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FSA)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주 사슬과 동일한 형태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에 대하여 높은 화학적 친화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FSA ionomer) 및 상기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는 서로 강하게 결합되어 복합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화는 최종적으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향상된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may be, for example, a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 (PFSA ionomer) such as a Nafion ionomer.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PFSA) may have a high chemical affinity for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because i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main chain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Therefore,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PFSA ionomer) and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may be strongly bonded to each other, and the composite may finally contribute to improved stability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전해질 부족으로 인한 낮은 수소 이온 교환 특성, 높은 기체 투과성 등과 같은 열화된 특성들을 갖지 않으면서도 박막 형태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의 모든 기공 내부를 충분히 채울 수 있는 적절한 함량으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의 함량에 비례하여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지만, 고가의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를 과량 함유할 경우 제조 단가가 증가될 수 있어 전해질 함량 및 두께 대비 효율적인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sufficiently fill all the pores of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so that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implemented in a thin film form without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low hydrogen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and high gas permeability due to electrolyte shortage. It may includ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in an appropriate content.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improved in proportion to the content of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the production cost may be increased when an excessive amount of the expensiv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is included, so that it is an effective composite of electrolyte content and thickness.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후술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 방법에 따라서, 함침 공정 이후에 열풍 공정을 2 이상의 방향에서 수행하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도에서 열풍을 가하여 상기 다공성 지지체 내의 고분자 사슬의 배열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최종 생성된 전해질 막의 기체투과도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70 내지 90도에서 열풍을 가하여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다공성 지지체가 결합되어 복합화되어 기계적 내구성이 향상된 전해질 막을 얻을 수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to be described later, after the impregnation process, the hot air process is carried out in two or more directions, preferably by applying hot air at 0 to 20 degrees to the polymer in the porous support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of the chai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lowering the gas permeability of the resulting electrolyte membrane, the hot air is applied at 70 to 90 degrees by combining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and the porous support to combine the mechanical durability An improved electrolyte membrane can be obtained.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예를 들어 약 5μm 내지 25μm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기존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들, 예컨대 나피온 전해질막과 같이 순수 과불소계 술폰화 고분자 전해질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막들은 강화된 기계적 특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약 25um 이상의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전해질막의 두께 증가는 기계적 특성뿐 아니라 막의 저항 또한 증가시키므로 전해질막이 두꺼운 두께를 가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전해질막의 이온 전도도가 낮아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막 밀도 및 기계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약 5μm 내지 25μm 미만의 두께, 구체적으로 약 20μm의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더라도 기존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 및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두께 대비 매우 우수한 수소 이온 교환 특성 및 기계적 강도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have, for example, a thickness of about 5 μm to less than 25 μm. Exist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s, for exampl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made of pure perfluorinated sulfonated polymer electrolytes, such as Nafion electrolyte membranes, generally have a thick thickness of about 25 μm or more for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ncreases not only the mechanical properties but also the resistance of the membrane, the thicker the electrolyte membrane, the lower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membran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membrane dens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even if the thickness of about 5μm to less than 25μm, specifically about 20μm relatively thin thickness for conventional fuel cells It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or higher ionic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tha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That is,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have very good hydrogen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strength to thicknes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균일 복합 박막 형태로 구현되어 두께 대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뿐 아니라, 높은 수소 이온 교환 특성 및 낮은 전자 전도성을 갖고, 특히 향상된 기체 투과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높은 단가의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예컨대, 나피온 이오노머)를 상대적으로 적은 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기존의 고분자 전해질막에 준하거나 그 이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특성들을 가지므로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추가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omogeneous composite thin film including a porous support, which not only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to thickness, but also has high hydrogen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and low electronic conductivity, and particularly has improved gas permeability. Has In addition,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ntains a relatively low content of a high cost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eg, Nafion ionomer), but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or above the conventiona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t may have additional advantages in terms of price competitiveness.

따라서, 이를 통해 우수한 성능의 막 전극 접합체(MEA)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기계적 강도가 높기 때문에, 이를 통해 전해질막의 손상 없이 연료전지 스택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Therefor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of excellent performance and a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In particular, since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s high mechanical strength,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an be easily manufactured without damaging the electrolyte membrane.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본 발명의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도 1을 참조로 하여,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다공성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이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열풍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step of impregnating a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n a porous support; And applying hot air to two or mor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impregnat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다공성 지지체를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과산화수소로 처리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shown, the porous support as described above may be treated with acetone, methanol, ethanol, propanol or hydrogen peroxide.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로서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를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과산화수소로 세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는 이의 내부 및/또는 표면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으며, 향상된 젖음성을 가질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may be washed with acetone, methanol, ethanol, propanol or hydrogen peroxide as the porous support. Through this,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may remove impurities from its inside and / or surface, and may have improved wettability.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프레이 또는 데탈(decal) 공정을 통하여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다공성 지지체에 함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spray) 공정을 통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과산화수소로 처리된 다공성 지지체에 수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 용액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 용액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수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을 포함하는 용액으로서, 예를 들어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FSA ionomer)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공정을 통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 내부에 3차원 그물 구조로 분포하는 다수의 기공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 용액(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으로 채워질 수 있다.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the hydrogen-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may be impregnated into the porous support through a spray or decal process. Preferably, the spray ion process may spray the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solution onto the porous support treated with acetone, methanol, ethanol, propanol or hydrogen peroxide. The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solution is a solution containing the same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PFSA ionomer) solution can be used. Through the spraying process, a plurality of pores distributed in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inside the porous support may be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solution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공정은, 처리된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를 일정한 모양으로 제작된 틀에 평평하게 고정시키고, 가스 봄베에 연결된 스프레이 건(spray gun)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을 분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praying process, the treated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is fixed flat to a mold made in a uniform shape, the spray gun (spray gun) connected to the gas cylinder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his can be done by spraying a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이때,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은 상기 다공성 불소계 지지체가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약 2 내지 4 bar의 압력 하에서 약 2 내지 6 ml/min의 유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may be injected at a flow rate of about 2 to 6 ml / min under a pressure of about 2 to 4 bar so that the porous fluorine-based support can be evenly sprayed without damage.

특히,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은 중력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되는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의 수직 방향으로의 분사력 및 중력이 동일 방향으로 함께 작용하여, 중력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이 분사되는 경우보다 상기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의 기공 내부는 보다 효과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may be injec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this case, the blowing force and grav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to be sprayed together act in the same direction,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than when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is injec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gravity direction The pore interior of the support can be filled more effectively.

한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공정 수행 시,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은 분산성을 고려하여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0 wt%의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 내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의 함량이 약 15 wt%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의 점도가 서서히 증가하게 되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함량이 약 20 wt%를 초과할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해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이 고르게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in exemplary embodiments, when the spray process is performed,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may be about 1 to about 2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in consideration of dispersibility. It may include a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When the content of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in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exceeds about 15 wt%, the viscosity of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content is about 20 wt%. In case of exceeding,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may not be evenly sprayed due to the high viscosity.

그 후,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이 채워진 건조되지 않은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를 유리틀에 고정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이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열풍을 가하여, 상기 다공성 지지체에 분사된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액 내 용매는 휘발되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 기공들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예를 들어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만이 남을 수 있다. Then, the non-dried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filled with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was fixed to the glass frame, and as shown in FIG. 1, two kinds of the porous support was impregnat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By applying hot air in the above direction,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sprayed on the porous support may be dried. Accordingly, the solvent in the solution may be volatilized and only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may remain inside the porous support pores.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정은 이전에 스프레이 함침 공정에 의해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 내부에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 함침에 의해 내부의 기공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으로 채워진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hot air process may be performed in which the pores therein are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by impregnation of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into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by a spray impregnation process. It may be performed on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0 내지 90도 사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0 내지 20도 및 70 내지 90도의 방향일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direction may be between 0 an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op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preferably in the directions of 0 to 20 degrees and 70 to 90 degrees, respectively.

열풍을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0도 내지 20도인 방향으로 가하는 경우, 함침 공정 후, 다공성 지지체 내의 고분자 사슬의 배열을 수평으로 만들어 내부에 전해질을 균일하게 채우므로, 기체 투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When hot air is applied in a direction of 0 to 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after the impregnation process,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polymer chains in the porous support is horizontally filled to uniformly fill the electrolyte therein, gas permeation can be minimized.

열풍을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70 내지 90도인 방향으로 가하는 경우, 상기 0 내지 20도 방향 건조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함침을 균일하게 하게 함과 동시에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특히, 소수성인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와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의 소수성기가 붙게 되며 접착성이 생기는데, 상기 70 내지 90도인 방향으로 열풍을 가하게 되면 열과 함께 중력 방향으로의 압력이 발생하여,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가 유연하게 다공성 불소계 지지체에 접착된다. 또한, 빈 공간은 과불소계 이오노머의 친수성기끼리 접착이 되고, 유리전이온도의 열을 가하면서 강도가 향상되게 된다. When hot air is applied in a direction of 70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the drying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ith the 0 to 20 degrees direction drying to make the impregnation uniform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drying speed. In particular, the hydrophobic groups of the hydrophobic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and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are adhered to each other, and adhesiveness is generated. The ionomer is flexibly bonded to the porous fluorine-based support. In addition, the empty space is bonded to the hydrophilic groups of the perfluorinated ionomer, and the strength is improved while applying the hea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따라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열풍을 가하는 경우 기체 투과와 좋은 성능 두 가지 이점을 모두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통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들 내부는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Therefore, when hot air is applied in two or mor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both of gas permeation and good performanc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may be completely filled with a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풍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각각 1회 이상 가해질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hot air may be applied one or more times in two or mor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top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풍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 약 30cm 내지 70cm 거리에서 가해질 수 있다. 상기 거리가 30 cm 미만인 경우 과열로 인해 다공성 지지체가 변형될 수 있고, 70cm 초과인 경우 상기 열풍에 의해 전해질을 균일하게 채우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건조가 완전하지 않을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hot air may be applied at a distance of about 30 cm to 70 cm from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porous support. When the distance is less than 30 cm, the porous support may be deformed due to overheating, and when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70 cm, the effect of uniformly filling the electrolyte by the hot air may be insignificant, and drying may not be complete.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풍의 온도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열풍의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 건조가 충분히 되지 않을 수 있고,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채워지지 않은 잔여 기공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may be 100 to 200 ° C.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is less than 100 ° C., drying may not be sufficient, and it may be difficult to remove residual pores not fill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풍의 풍속은 10 내지 15L/min일 수 있고, 균일하게 가할 수 있다. 상기 풍속이 10L/min 미만인 경우 다공성 지지체 상의 고분자 사슬의 배열을 수평으로 만들기 어렵고 건조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15L/min 초과인 경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채워지지 않은 잔여 기공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wind speed of the hot air may be 10 to 15L / min, it may be added uniformly. When the wind speed is less than 10L / min, it is difficult to horizontally arrange the chain of the polymer chain on the porous support, and the drying rate may be slow, and when it is more than 15L / min, it may be difficult to remove residual pores not fill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풍은 10초 내지 50초 동안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시간이 10초 미만인 경우 건조가 충분히 되지 않을 수 있고, 50초 초과인 경우 과열로 인해 다공성 지지체가 변형될 수 있고, 전체 공정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hot air may be applied for 10 to 50 seconds. If the time is less than 10 seconds, the drying may not be sufficient, if over 50 seconds the overheating may deform the porous support, the overall process speed may be slow.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열풍이 가해진 다공성 지지체를 오븐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풍 공정 이후 추가로 오븐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통하여 잔여 기공들이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rying the porous support to which the hot air is applied in an oven. Further drying in the oven after the hot air process can minimize the possibility of residual pores.

상기 오븐 내의 온도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 건조가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고, 200℃ 초과인 경우 화학적 손상이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20 내지 50분간 진행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in the oven may be 100 to 200 ℃. If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100 ℃ may not be enough to dry, if it is above 200 ℃ may cause chemical damage or deterioration.
The drying may proceed for 20 to 50 minutes.

종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특히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시, 기존에는 통상적으로 침지 공정(dipping process), 캐스팅 공정(casting process), 코팅 공정(coating process) 등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들로는 다공성 지지체, 특히 소수성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를 친수성인 고분자 전해질(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채우기 어려울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 기공 내부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아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에 잔여 기공이 존재하게 되면, 이를 통해 연료가 투과되어 막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해당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장기 운전 시 라디칼이 형성되어 막을 열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In the manufacture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in particular,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nventionally, a dipping process, a casting process, a coating process, and the like are used. However, these processes can be difficult to fill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especially the porous support including a hydrophobic polytetrafluoroethylene with a hydrophilic polymer electrolyt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If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are not sufficiently filled and residual pores are present in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permeates through the membrane to deteriorate the performance of the membrane, and radicals are released during long-term operation of the fuel cell including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an form and act as a cause of deterioration of the film.

더욱이, 침지 공정(dipping process), 캐스팅 공정(casting process), 코팅 공정(coating process) 등은 일반적으로 수회에 걸쳐 반복 수행될 것이 요구되어 제조 시에 복잡성을 야기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분자 전해질로 충분히 채워지지 않는 잔여 기공들이 존재할 수 있어 해당 공정들의 수행 이후에 열 압착 공정(hot pressing process)과 같은 후처리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Moreover, the dipping process, casting process, coating process, etc. are generally required to be repeated several times, which may cause complexity in manufacturing, and nevertheless polymer electrolyte There may be residual pores that are not sufficiently filled, so that after treatment, additional workup processes such as hot pressing processes should be performed.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처리 공정, 전해질 함침 공정, 열풍 공정, 오븐 건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균일 복합 박막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However,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uniform composite thin film including a porous support through a method of sequentially performing the pretreatment process, the electrolyte impregnation process, the hot air process, and the oven dry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함침 공정 이후에 상기 열풍 공정을 2 이상의 각도에서 수행함으로써 3차원 그물 구조로 분포하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 기공들의 내부를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보다 균일하고 촘촘하게, 즉 실질적으로 완전히 채울 수 있다.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by performing the hot air process after the impregnation process at two or more angles, the inside of the porous support pores distributed in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is more uniform and tighter, that is, substantially completely, with a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I can fill it.

그러므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에는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충분히 채워지지 않은 잔여 기공이나 보이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손상이나 열화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기존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에 준하거나 그 이상으로 향상된 수소 이온 교환 특성, 전자 전도성,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특히 낮은 기체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Therefore,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substantially free of residual pores or voids that are not sufficiently filled with a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and may not cause physical and / or chemical damage or deterioration. As a result,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have improved hydrogen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electron conductivity, mechanical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which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conventiona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and may have particularly low gas permeability.

또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고가의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와 같은 수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을 최소로 사용하여 제조가 가능하므로, 기존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대비 가격 경쟁력의 측면에서 추가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inimum of a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such as an expensiv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and thus may have an additional advantage in terms of pric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a conventiona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이는 적은 양의 수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을 사용하더라도 열풍 공정시,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70 내지 90도 방향으로 주는 열풍의 압력에 의해 다공성 지지체의 내부까지 함침시키기 쉽고, 0 내지 20도 방향으로 가하는 열풍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의 함침이 가능하며, 상기 0 내지 20도 방향의 열풍이 다공성 지지체 내의 고분자 사슬의 배열을 수평하게 만드므로 높은 전도도를 가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Even when a small amount of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is used, it is easy to impregnate the inside of the porous support by the pressure of the hot air in the 70-90 degre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during the hot air process, and the hot air is applied in the 0-20 degre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mpregnate a large area by the, because the hot air in the 0 to 20 degrees direction makes the arrangement of the polymer chain in the porous support to have a high conductivity.

한편, 지금까지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구성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든 연료전지, 예를 들어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가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당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Meanwhile, only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so far, but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mposed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s described above, and all fuel cells including the same, for example,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PEMFC)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implementation. However, the examples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examples.

[[ 실시예Example 1-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수평방향으로 열풍 가함] Hot air is applied in the vertical-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1-porous support body]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지체(GORE PTFE, GMM-405)를 아세톤(Sigma Aldrich)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젖음성을 향상시켰다.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supports (GORE PTFE, GMM-405) were washed with acetone (Sigma Aldrich) to remove impurities and improve wettability.

아세톤으로 세척된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지체를 일정한 모양을 갖도록 제작된 틀에 테플론 테이프를 이용하여 평평하고 단단하게 고정시킨 후, 질소 가스 봄베에 연결된 스프레이 건(EWATA spray gun, W-300-101G)을 이용하여 나피온 수지 용액(Nafion perfluorinated resin solution 5wt%, Sigma Aldrich)을 일정 거리를 두고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지체에 고르게 분사하였다. 이때, 나피온 수지 용액은 중력 방향으로 2 내지 4 bar 압력 하에서 2 내지 6 ml/min의 유량으로 분사되었다. Acetone-washed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scaffold is fixed flat and firmly with a teflon tape to a mold made to have a uniform shape, and then a spray gun connected to a nitrogen gas cylinder (EWATA spray gun, W-300-101G). Nafion resin solution (Nafion perfluorinated resin solution 5wt%, Sigma Aldrich) was evenly sprayed on the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support at a certain distance. At this time, the Nafion resin solution was injected at a flow rate of 2 to 6 ml / min under 2 to 4 bar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이어, 내부의 기공들이 나피온 이오노머로 채워진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지체를 유리 틀에 고정 시킨 후, 온도 150℃, 풍속 13L의 열풍을 30cm-70cm 거리에서 10초간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하고, 20초간 수평방향으로 가한다. 이 공정을 3번 반복하여 복합 전해질막이 열과 압력을 고르게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After fixing the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support filled with Nafion ionomer to the glass frame, the pores inside wer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or 10 seconds at a temperature of 150 ° C. and a wind speed of 13 L at a distance of 30 cm-70 cm. And horizontally for 20 seconds. This process was repeated three times so that the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was evenly subjected to heat and pressure.

상기 열풍 건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복합 전해질 막 제조 후 오븐 안에서 150℃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After the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was prepared using the hot air drying, the mixture was dried at 150 ° C. for 30 minutes in an oven.

전술한 공정들을 거치며 최종적으로 20μm 두께의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이 제조되었고, 이후 이를 이용하여 다음의 공정들을 수행함으로써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단전지를 제작하였다. Finally, a 20 μm-thick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s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and then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a single cell including the same were manufactured by performing the following processes.

나피온 이오노머와 이소프로필 알코올(Sigma Aldrich) 용매에 46.5wt% Pt/C 촉매를 녹여 촉매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펴서 고정시킨 후, 촉매 분사용 스프레이 건(spray gun)을 이용하여 상기 촉매 용액을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에 뿌려주었다. 이때, 애노드(anode)의 촉매 로딩양은 0.2 mgpt/cm2이 되고 캐소드(cathode)의 촉매 로딩양은 0.4 mgpt/cm2이 되도록 하였으며, 활성 면적(active area)은 1cm2이 되도록 하였다. 이후, 촉매 용액의 용매가 모두 증발할 때까지 자연 건조 시킴으로써,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애노드(anode) 전극과 캐소드(cathode) 전극,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가 제작되었다. A catalyst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46.5 wt% Pt / C catalyst in Nafion ionomer and isopropyl alcohol (Sigma Aldrich) solvent. After spreading and fixing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e catalyst solution was sprayed onto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ing a spray gun for catalyst injection. At this time, the catalyst loading amount of the anode (anode) was 0.2 mg pt / cm 2 and the catalyst loading amount of the cathode (cathode) was 0.4 mg pt / cm 2 , the active area (active area) was 1 cm 2 . Thereafter, the solvent is naturally dried until all of the solvent in the catalyst solution evaporates, and thu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ositioned therebetween. electrode assembly, MEA).

제작된 막 전극 접합체(MEA)를 테플론 소재의 가스켓(Gasket)과 카본 소재의 분리판(Bipolar plate)을 이용하여 30 In*lb, 50 In*lb, 70 In*lb의 압력으로 순차적으로 체결함으로써 단전지(single cell)를 제작하였다.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is sequentially tightened at 30 In * lb, 50 In * lb, 70 In * lb by using a Teflon gasket and a carbon bipolar plate. A single cell was produced.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만 열풍 가함] Hot air is a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1-porous support body]

열풍을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만 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막 전극 접합체 및 단전지를 제작하였다.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a unit cell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hot air was appli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만 열풍 가함] Hot air is applied only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2-porous support body]

열풍을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만 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막 전극 접합체 및 단전지를 제작하였다.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a unit cell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hot air was appli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상용 전해질막]  3-commercial electrolyte membrane]

상용으로 쓰이는 두께 25 μm 의 나피온 211막을 사용하여 막 전극 접합체(MEA) 및 이를 포함하는 단전지를 제작하였다.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and a unit cell including the same were fabricated using a Nafion 211 membrane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열풍 건조를 하지 않은 전해질막] 4-electrolyte membrane without hot air drying]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나피온 수지 용액이 분사된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지체 준비하였다. 상기 지지체를 60℃ 오븐에서 1시간 동안 1차 건조시키고, 동일 온도 조건의 진공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2차 건조하여 분사된 나피온 수지 용액 내 용매를 모두 휘발시켰다. 이에 따라,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지체에는 0.097g의 나피온 이오노머가 함침되었으며, 내부의 기공들이 나피온 이오노머로 채워진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지지체의 두께는 20μm이었다. A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support prepared by spraying a Nafion resin solu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support was first dried in an oven at 60 ° C. for 1 hour and secondly dried for 12 hours in a vacuum oven at the same temperature to volatilize all the solvents in the sprayed Nafion resin solution. Accordingly, the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support was impregnated with 0.097 g of Nafion ionomer, and the thickness of the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support in which the pores therein were filled with the Nafion ionomer was 20 μm.

또한,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이용하여 막 전극 접합체(MEA) 및 이를 포함하는 단전지를 제작하였다. In addition,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and a unit cell including the same were manufactured using the prepared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미세 구조 평가: Evaluation of Microstructure of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미세 구조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공성 지지체와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들의 표면 및 단면(다공성 지지체의 상면(분사된 나피온 이오노머 용액이 닿는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해 관찰하고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는 도 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다. In order to evaluate the microstructure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e surfac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porous support and the prepared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prayed Nafion ionomer solution)) are scanned. Observations and comparisons were made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result is as shown in Figs.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a) 는 다공성 과불소계 지지체, (d)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b) 및 (c)는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SEM 사진들이다.Specifically, (a) is a porous perfluorine-based support shown in Figure 2, (d) is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b) and (c) is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SEM photographs showing cross sections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respectively.

도 3에 도시된 (a)는 다공성 과불소계 지지체, (d)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b) 및 (c)는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상면을 각각 도시한 SEM 사진들이다. (A) is a porous perfluorine-based support shown in Figure 3, (d) is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b) and (c) is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SEM images showing the top surface of the film, respectively.

도 2를 참조하면, 도 2(d)의 다공성 지지체의 경우,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표면에서 모폴로지의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도 2(b)와 마찬가지로 다공성 지지체와 이오노머 간의 접착 상태가 좋은 것으로 보이며,2(c)에 비하여 잔여기공이 존재하지 않고 지지체 내에 함침이 잘 된 것으로 보였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case of the porous support of FIG. 2 (d), a large difference in morphology was not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prepared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ut as in FIG. 2 (b), the adhesion state between the porous support and the ionomer is good. Compared to 2 (c), it was shown that no residual pores existed and the impregnation in the support was better.

도 3을 참조하면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의 수직방향으로만 열풍을 가한 (b)의 경우, 고분자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수평 방향으로만 열풍을 가한 (c)의 경우 수직방향으로의 건조공정에 비해 다공성 과불소계 지지체와 나피온 이오노머의 결합이 약하게 보였다. 그러나, 실시예 1에 따른 (d)의 경우 나피온 이오노머가 수직방향의 힘에 의해 지지체와 결합이 잘 되어 다공성 불소계 지지체간의 결과 결 사이의 결합도 잘 된 것으로 보이고, 고분자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가지런함이 보이고, 지지체의 결과 결 사이의 간격이 더 두꺼운 것을 볼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case of (b) in which hot air is appli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the polymer does not appear to b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c) in which hot air is appli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mpared to the drying process, the bond between the porous perfluorine-based support and Nafion ionomer appeared weak. However, in the case of (d) according to Example 1, the Nafion ionomer was well bonded to the support by the vertical force, so that the bond between the resulting grains between the porous fluorine-based support was also well and the polymer wa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general, the horizontal alignment was observed, and as a result of the support, the gap between the grains was thicker.

따라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해질 막의 경우, 수직방향으로의 열풍건조로 다공성 과불소계 지지체간의 결합 및 나피온 이오노머간의 결합, 또한 다공성 과불소계 지지체와 나피온 이오노머의 결합이 모두 좋은 것을 보아 기계적 내구성 및 성능이 우수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고, 수평방향으로의 열풍건조로 고분자 배열또한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기체투과도가 좋아질 것을 예상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the bond between the porous perfluorine-based support and the Nafion ionomer by hot air dry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lso the bond between the porous perfluorine-based support and the Nafion ionomer are good. The durability and performance could be expected to be excellent, and the polymer array is also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hot air dry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gas permeability.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 평가 Ⅰ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단전지들(sigle cells)을 운전하여 전류-전압(I-V) 변화를 측정하고, 전력밀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애노드에는 200cc/min 유량의 수소를 공급하고, 캐소드에는 600cc/min 유량의 공기를 공급하였으며, 해당 단전지들을 운전하면서 0 A부터 3 A까지 100mA/s의 속도로 전류를 변화시켰다. 그 결과는 도 4 및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도 4에는 전류-전압(I-V) 변화와 전력밀도 변화를 도시되었다. 한편, 전류-전압(I-V) 곡선에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은 OCV(open circuit voltage)에서와 0.6V에서의 전류밀도 값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single cells (sigle cells) including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operated to measure a current-voltage (IV) change, The change in power density was measured. At this time, the anode was supplied with hydrogen at a flow rate of 200 cc / min, and the air was supplied at a flow rate of 600 cc / min to the cathode. The results are as shown in Figure 4 and Table 1. Specifically, FIG. 4 illustrates a current-voltage (I-V) change and a power density change.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 the current-voltage (I-V) curve was evaluated based on the current density value at OCV (open circuit voltage) and 0.6V.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Example 1 OCV(open circuit voltage)Open circuit voltage (OCV) 0.9950.995 0.9980.998 0.9770.977 0.9780.978 0.9760.976 A/cm2 @0.6V (I-V curve)A / cm 2 @ 0.6V (IV curve) 1.41.4 1.41.4 1.11.1 0.70.7 1.51.5 Maximum power density(W/cm2)Maximum power density (W / cm 2 ) 1.0111.011 1.0111.011 0.9910.991 0.5480.548 1.0531.053 mA/cm2 @0.4V (LSV)mA / cm 2 @ 0.4V (LSV) 2.292.29 1.821.82 2.152.15 3.583.58 1.201.20 Thickness (μm)Thickness (μm) 1515 2020 2525 2020 2020 함침률Impregnation rate 7575 7373 100100 7575 7575

도 4 및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3에 비교하여 실시예 성능이 더 우수하였으며, 실시예 1에 따른 단전지는 비교예 4에 따른 단전지보다 현저하게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도 4 참조). 4 and Table 1, the performance of the Example was better than Comparative Example 3, the cell according to Example 1 showed a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ell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see Figure 4 ).

특히, 전력밀도(power density)는 전류밀도(current density)와 전압(voltage)의 곱으로 나타나며 최대전력밀도(maximum power density)를 기준으로 해당 단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게 되는데, 최대전력밀도 값이 높을수록 단전지의 성능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용을 참조로 도 4를 보면 비교예 3 뿐만 아니라 비교예 4에 비교하여 실시예 1의 전력 밀도가 월등히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In particular, power density is expressed as the product of current density and voltage, and the performance of the cell is evaluated based on the maximum power density. Higher mean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unit cell is excellent. Referring to FIG. 4, the power density of Example 1 is much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4 as well as 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 및 비교예 4에 따른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모두 동일한 함량으로 나피온 이오노머를 함유하고 두께 또한 비슷하므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단전지들 간의 성능 특성 차이는 제조 공정에 따라 달라지는 전해질막 모폴로지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Since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4 both contain Nafion ionomer in the same content and have similar thicknesse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 difference between the single cells as described above is different in the electrolyte membrane morphology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can be seen tha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 평가 II: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I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단전지들에 순환전류전압법(Cyclic Voltammetry, CV) 및 선형주사전위법(Linear Sweep Voltammetry, LSV)을 수행하였다. 이때, 애노드에는 200cc/min 유량의 수소를 공급하고, 캐소드에는 600cc/min 유량의 질소를 공급하였다. 그 결과는 도 5, 도 6 및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e cyclic voltammetry (CV) and linear scanning potential method (Linear Sweep) to the unit cells including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Voltammetry, LSV) was performed. At this time, the anode was supplied with hydrogen at a flow rate of 200 cc / min, and the cathode was supplied with nitrogen at a flow rate of 600 cc / min.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5, 6 and Table 1.

구체적으로, 도 5는 순환전류전압법(CV)을 사용하여 측정한 해당 단전지들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는 선형주사전위법(LSV)을 사용하여 측정한 해당 단전지들의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H2 crossover current density)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Specifically,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comparison of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cells measured using the cyclic voltammetry (CV), and FIG. 6 shows the corresponding cells measured using the linear scanning potential method (LSV). It is a graph comparing the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H 2 crossover current density).

도 5를 참조하면, 순환전류전압법(CV)을 통해 단전지 운전 시 공급되는 수소와 단전지의 백금 전극 사이에 일어나는 흡/탈착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촉매의 전기화학적 활성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그래프는 0.05V에서 1.2V까지 50mV/s의 전위 주사 속도로 총 5회를 측정하여 재현성을 확보한 후, 5번째 측정값을 도시한 것이다. 전기화학적 활성 표면은 0.05V부터 0.35V까지 관찰되는 수소 탈착 피크를 기초로 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 에 따른 단전지들에 대한 순환전류전압(CV) 그래프에서 백금 활성 면적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 각각에서 백금 촉매의 전기화학적 활성 영역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단전지들이 보이는 성능은 촉매가 아닌 해당 전지들에 포함된 전해질막의 특성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electrochemically active region of the catalyst was confirmed by observing the adsorption / desorption reaction occurring between hydrogen supplied during operation of the unit cell and the platinum electrode of the unit cell through cyclic voltammetry (CV). The graph shows the fifth measurement value after measuring a total of five times at a potential scanning speed of 50 mV / s from 0.05 V to 1.2 V to ensure reproducibility. The electrochemically active surface was evaluated based on hydrogen desorption peaks observed from 0.05V to 0.35V.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latinum active areas in the cyclic current voltage (CV) graphs of the cell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e electrochemically active regions of the platinum catalysts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A match was foun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unit cell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ncluded in the cells, not the catalyst.

한편, 선형주사전위법(LSV)은 0.0V부터 0.6V까지의 전압 범위에서 2mV/s의 전위 주사 속도로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애노드에서 반응하지 못한 수소가 캐소드로 투과되어 캐소드 전극층과 반응하여 생기는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H2 crossover current density)를 측정하였다. 이때,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는 0.4V의 전지 전압 기준으로 평가되었고(표 1 참조),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가 높을수록 해당 전해질막을 통해 쉽게 수소 기체가 투과될 수 있음(해당 전해질막은 높은 기체 투과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linear scanning potential (LSV) was performed at a potential scan rate of 2 mV / s in the voltage range of 0.0V to 0.6V, through which hydrogen, which did not react at the anode, was transmitted to the cathode and reacted with the cathode electrode layer. the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H 2 crossover current density) was measured. At this time, the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was evaluated based on a battery voltage of 0.4V (see Table 1), and the higher the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the more easily hydrogen gas can permeate through the electrolyte membrane (the electrolyte membrane has a high gas permeability). Means).

도 6을 참조하면, 0.4V에서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는 비교예 3에 따른 단전지가 2.15mA/cm2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4의 경우 3.58mA/cm2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가 2.29 mA/cm2, 1.82 mA/cm2로 나타나,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의 열풍 공정이 없는 환경에서 잔여기공이 존재하는 것을 보여준다.6, the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in the unit cell was 0.4V is shown a land 2.15mA / cm 2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3,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4 exhibited a 3.58mA / cm 2. In addition, the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ie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re 2.29 mA / cm 2 and 1.82 mA / cm 2 ,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residual pores exist in an environment without a hot air process in two or more directions.

하지만 실시예 1에 따른 단전지는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가 1.20 mA/cm2 로 나타내어 비교예 4에 따른 단전지와는 확연히 다른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평방향으로의 열풍 공정을 통해 제조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표면 및 내부에 잔여 기공들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나피온 이오노머 배열 역시 수평방향으로 존재하게 하여 해당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수소 기체 투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의 열풍 공정을 통해 나피온 이오노머가 수직방향의 힘에 의해 지지체와 결합이 잘 되어 다공성 불소계 지지체간의 결과 결 사이의 결합이 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However, the unit cell according to Example 1 exhibited a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of 1.20 mA / cm 2 , which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unit cell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This is because there are substantially no residual pores on the surface and inside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prepared through the hot air proce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Nafion ionomer array is also pres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is present. This means that hydrogen gas permeation into the membrane hardly occurs. In addition, the Nafion ionomer was well bonded to the support by the vertical force through the hot air proc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난 결과를 통해 살펴본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미세 구조 평가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microstructure evaluation of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hich was examined through the results shown in FIG. 3.

Claims (25)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다공성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이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열풍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Impregnating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nto the porous support; And
And applying hot air to two or more directions with respect to an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impregnated with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0 내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irec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0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0 내지 20도 및 70 내지 90도의 방향으로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ot ai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direction of 0 to 20 degrees and 70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통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들 내부는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로 완전히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rough the method,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mpletely filled with a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t air is appli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상면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각각 1회 이상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t air is applied at least on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in at least two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로부터 30 내지 70cm 떨어진 곳에서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ot ai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of 30 to 70cm away from the porous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의 온도는 10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100 to 2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의 풍속은 10 내지 15L/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 speed of the hot ai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10 to 15L / m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은 10초 내지 50초 동안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ot ai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applied for 10 seconds to 50 seco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다공성 불소계 고분자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ous suppor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fluorine-based polymer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은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 PFSA ionomer)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 (PFSA ionomer) solu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은 상기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wt%의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solu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omprising 1 to 20 wt% perfluorinated sulfonated iono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시키는 단계에서,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은 2 내지 4 bar의 압력 하에서 2 내지 6 ml/min의 유량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impregnating step,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at a flow rate of 2 to 6 ml / min under a pressure of 2 to 4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용액은 중력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함침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과산화수소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ior to impregnating the porous support,
And treating the porous support with acetone, methanol, ethanol, propanol or hydrogen perox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이 가해진 다공성 지지체를 오븐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rying the porous support to which the hot air is applied in an oven;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further compris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 내의 온도는 10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temperature in the ove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100 to 200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20 내지 50분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drying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20 to 50 minutes.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용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20.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수소 크로스오버 전류밀도(H2 crossover current density)는 2.0 mA/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The method of claim 20,
The hydrogen crossover current dens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 2 crossover current density) is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2.0 mA / cm 2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다공성 지지체가 결합되어 복합화되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 내의 고분자 사슬의 배열은 수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The method of claim 20,
The hydroge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and the porous support are combined and complexed, and the polymer chain in the porous support has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horizontal.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5μm 내지 25μ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having a thickness of less than 5μm to 25μm.
제23항에 따른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according to claim 23.
제24항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A fuel cell compris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24.
KR1020170081639A 2017-06-28 2017-06-28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59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639A KR102059965B1 (en) 2017-06-28 2017-06-28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639A KR102059965B1 (en) 2017-06-28 2017-06-28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02A KR20190001702A (en) 2019-01-07
KR102059965B1 true KR102059965B1 (en) 2019-12-27

Family

ID=6501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639A KR102059965B1 (en) 2017-06-28 2017-06-28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9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12062D0 (en) * 2019-08-22 2019-10-09 Johnson Matthey Fuel Cells Ltd Catalysed membrane
KR102321252B1 (en) * 2021-04-07 2021-11-04 (주)상아프론테크 Complex electrolyte membra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ntain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339B1 (en) 2006-03-07 2007-08-03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of composite membrane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KR20080015338A (en) 2006-08-14 2008-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Photolabile compound and substrate for oligomer probe array with the same
CN101553491B (en) 2006-12-13 2013-05-29 Aska制药株式会社 Quinoxaline derivative
KR20110021217A (en) * 2009-08-25 2011-03-0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78153A (en) 2011-12-30 2013-07-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electrolyte reinforced membrane andpolymer electrolyte reinforced membrane
WO2015080294A1 (en) * 2013-11-29 2015-06-0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KR20150135116A (en) * 2014-05-22 2015-12-0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02A (en)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717B1 (en)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with improved power outputs
KR100897104B1 (en) Method of electrolyte reinforced composite membrane with multi layer
KR101877753B1 (en)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reof, fuel cell includ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06122A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84905B1 (en) Reinforced composite membrane for fuel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64233B2 (en) Membrane processing method
JP4822488B2 (en) Method for mak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KR20200097670A (en)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coated with nanohole graphen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818950B2 (en)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59965B1 (en)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16182B2 (en)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101877755B1 (en)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reof, fuel cell includ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124960A (en)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coated with nanohole graphen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396384B2 (en)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467184A (en) Enhanced proton exchange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30212B1 (en) A composite membrane comprising nonwoven PAI-PTM and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as hydrocarbon-based electrolyte therein and the use thereof
JP3978757B2 (en) Gas diffusion electrode-electrolyte membrane assembly for fue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827897B1 (en)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08400B1 (en) Polymer eletrolyte membrane
KR20160084182A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090044315A (en) Polymer composi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JP4893704B2 (en) Method for producing catalyst layer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nd catalyst layer-electrolyte membrane laminate
KR101877750B1 (en)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reof, fuel cell includ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Yu Polybenzimidazole/porous poly (tetrafluoro ethylene) composite membranes
JP4815651B2 (en) Gas diffusion electrode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