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916B1 - Indoor crops grow system and tray for indoor crops grow applied at the indoor crops grow system - Google Patents

Indoor crops grow system and tray for indoor crops grow applied at the indoor crops grow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916B1
KR102059916B1 KR1020180036830A KR20180036830A KR102059916B1 KR 102059916 B1 KR102059916 B1 KR 102059916B1 KR 1020180036830 A KR1020180036830 A KR 1020180036830A KR 20180036830 A KR20180036830 A KR 20180036830A KR 102059916 B1 KR102059916 B1 KR 10205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tray
balance sensing
connecting ro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4314A (en
Inventor
김현석
구미숙
Original Assignee
김현석
구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석, 구미숙 filed Critical 김현석
Priority to KR102018003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916B1/en
Publication of KR2019011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A01C23/005Nozzles, valves, splash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에 의하면,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이 지지대와, 연결대와, 보조대와,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를 포함함에 따라, 작물을 실내에서 간편하게 재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disclosed and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s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includes a support, a connecting rod, a support base, and a tray for indoor crop cultiv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grown.

Description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Indoor crops grow system and tray for indoor crops grow applied at the indoor crops grow system}Indoor crops grow system and tray for indoor crops grow applied at the indoor crops grow system}

본 발명은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nd a tray for indoor crop cultivation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작물(crops)은 인류가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각종 식물을 말하는데, 이러한 작물의 예로 고구마를 들 수 있다.Crops refers to a variety of plants that are cultivated by human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food and feed. Examples of such crops include sweet potatoes.

고구마는 메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의 땅속 뿌리를 말하는데, 이러한 고구마는 식용이나 공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Sweet potatoes refer to the roots of perennial herbaceous perilla, which are used for food and industrial purposes.

이러한 고구마 등의 작물을 식용으로 실외의 밭이 아닌 가정 내 등의 실내에서 기르고자 하는 경우, 현재까지 마땅한 방법이 없고,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관상용 고구마 재배 방법 정도가 개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If you want to grow such crops, such as sweet potatoes in the interior of the home, such as not in the field outside, there is no method to date, the reality is that the method of cultivating the ornamental sweet potato of the patent document presented below.

따라서, 이러한 고구마 등의 작물을 실내에서 간편하게 재배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에 부수되는 부재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ystem capable of easily cultivating such crops of sweet potatoes and the like, and accompanying members thereof.

공개특허 제 10-2012-0078114호, 공개일자: 2012.07.10., 발명의 명칭: 관상용 고구마 재배 방법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8114, Publication Date: July 10, 2012, Title of the invention: Method for cultivating ornamental sweet potatoes

본 발명은 작물을 실내에서 간편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for easily cultivating crops indoors and an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은 작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설치면에 세워지는 지지대; 상기 설치면에 대면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상기 설치면에 대해 대면되는 보조대; 및 상기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이 수용되는 트레이 본체 부재와,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상기 연결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하는 걸이 부재와,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수직도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를 포함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 부재가 상기 연결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대에서 상기 보조대 쪽으로 갈수록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형태가 되도록, 상기 보조대는 상기 연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면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를 받쳐주고,
상기 균형 감지 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에 부착되고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 내부의 상단에서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회동 연결 링과, 상기 회동 연결 링에 회동 가능하게 걸려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고 상기 회동 연결 링과 멀어지는 말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회동 마그넷과,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홀 센서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균형 감지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와 상기 회동 마그넷은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 연결 링에 연결된 상태로 중력 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는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 상의 중앙과 그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회동 마그넷은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 중 중앙의 것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임의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기울어지는 정도만큼 상기 회동체가 중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기울어지기 시작함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최대값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 변동에 따른 자력 변화 최대값이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됨과 함께, 상기 회동 마그넷이 상기 균형 감지 접촉 센서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최대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growing a crop indoors,
A support erected on its mounting surface; A connecting table connected to the support so as to face the installation surface; A support stand facing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ab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tray body member in which soil for cultivating the crop is accommodated, a hook member for detachably hooking the tray body member to the connecting rod, and a balance sensing member for sensing verticality of the tray body member. It includes;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In the state where the hook member is caught by the connecting rod, the supporting rod is arranged relatively lower than the connecting rod so that the tray main body member is inclined so that the tray main body member is relatively lower from the connecting rod toward the supporting rod. Supporting,
The balanc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tray body member and has a balance sensing member case formed in an empty circular cylinder shape, a rotation connection ring projecting in a hemispherical shape from an upper end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nd the rotation connection ring. A pivoting body which can be pivotally hooked to fac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formed to become relatively larger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away from the rotatable connection ring, a rotatable magnet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tatable body, and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 balance sensing hall sensor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an inner side of the rotating magnet and detect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rotating magnet rotated on the rotating body, and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alancing sensing member case and suspended on the rotating body; Balanced touch sensor to detect the contact of the rotating magnet Including,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magnet are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 state connected to the rotating connecting ring by their own weight, and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lural number is installed,
While the tray body member maintains a normal posture, the rotating magnet is kept in a state detected by the center of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s,
When the tray body member starts to be tilted arbitrarily,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is changed as the rotational body is rotated by gravity as much as the inclination of the tray body member is changed. Can be detected that the tray body member starts to tilt,
When the tray body member is inclined to the maximum value, the maximum value of the magnetic force ch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rotation magnet is detected by the balance detection hall sensor, and the rotation magnet is in contact with the balance detection contact sensor, thereby The maximum inclination of the body member can be det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는 그 설치면에 세워지는 지지대 및 상기 설치면에 대면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연결대로 구성되고, 작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한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이 수용되고, 그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 트레이 본체 부재;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상기 연결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하는 걸이 부재; 및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수직도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 감지 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에 부착되고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 내부의 상단에서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회동 연결 링과, 상기 회동 연결 링에 회동 가능하게 걸려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고 상기 회동 연결 링과 멀어지는 말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회동 마그넷과,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홀 센서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균형 감지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와 상기 회동 마그넷은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 연결 링에 연결된 상태로 중력 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는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 상의 중앙과 그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회동 마그넷은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 중 중앙의 것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임의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기울어지는 정도만큼 상기 회동체가 중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기울어지기 시작함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최대값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 변동에 따른 자력 변화 최대값이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됨과 함께, 상기 회동 마그넷이 상기 균형 감지 접촉 센서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최대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that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 connec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so as to face the installation surface, is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for cultivating the crop indoors As,
A tray body member accommodating soil for cultivating the crop and having an open top surface thereof; A hook member for detachably hooking the tray body member to the connecting rod; And a balance sensing member configured to sense a perpendicularity of the tray body member.
The balanc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tray body member and has a balance sensing member case formed in an empty circular cylinder shape, a rotation connection ring projecting in a hemispherical shape from an upper end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nd the rotation connection ring. A pivoting body which can be pivotally hooked to fac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formed to become relatively larger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away from the rotatable connection ring, a rotatable magnet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tatable body, and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 balance sensing hall sensor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an inner side of the rotating magnet and detect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rotating magnet rotated on the rotating body, and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alancing sensing member case and suspended on the rotating body; Balanced touch sensor to detect the contact of the rotating magnet Including,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magnet are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 state connected to the rotating connecting ring by their own weight, and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lural number is installed,
While the tray body member maintains a normal posture, the rotating magnet is kept in a state detected by the center of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s,
When the tray body member starts to be tilted arbitrarily,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is changed as the rotational body is rotated by gravity as much as the inclination of the tray body member is changed. Can be detected that the tray body member starts to tilt,
When the tray body member is inclined to the maximum value, the maximum value of the magnetic force ch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rotation magnet is detected by the balance detection hall sensor, and the rotation magnet is in contact with the balance detection contact sensor, thereby The maximum inclination of the body member can be detected.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에 의하면,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이 지지대와, 연결대와, 보조대와,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를 포함함에 따라, 작물을 실내에서 간편하게 재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nd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includes a support, a connecting rod, a support base, and a tray for indoor crop cultiv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grown crops indoo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균형 감지 부재의 내부를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의 일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가 걸려 있는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가 외력에 의해 밀린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가 외력에 의해 회전된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ray for indoor crop cultivation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hanging in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shown in Figure 4 is pushed by an external force.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ior crop cultivation tray shown in Figure 5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nd an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에 적용되는 균형 감지 부재의 내부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의 일부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가 걸려 있는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가 외력에 의해 밀린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가 외력에 의해 회전된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alance sensing member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tray for indoor crop cultivation in an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hanging state,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shown in Figure 4 is pushed by an external force, Figure 6 is a view of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shown in Figure 5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Side view.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100)는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15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트레이 본체 부재(110)와, 걸이 부재(130)를 포함한다.1 to 6 together,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150, and includes a tray body member 110 and a hook member 130. d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150)은 지지대(180)와, 연결대(185)와, 보조대(175)와, 상기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100)를 포함하고, 고구마 등의 작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180, a connecting table 185, a support 175, and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100, the crop such as sweet potatoes It is for growing indoors.

상기 지지대(180)는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150)의 설치면에 세워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180)는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지지대(180)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세워진다.The support 180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150, preferably the support 180 is erected vertically. The support 180 is composed of a plurality, it is establish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연결대(185)는 상기 설치면에 대면되도록 상기 지지대(180)에 연결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대(185)는 상기 설치면 상공의 일정 높이 상에서 상기 설치면에 대해 수평이 되도록 상기 지지대(180)에 수직으로 연결된다.The support 185 is connected to the support 180 to face the mounting surface, preferably, the support 185 is horizontal to the mounting surface on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mounting surface (supporting the support ( 180 vertically connected.

상기 보조대(175)는 상기 연결대(185)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상기 설치면에 대해 대면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대(175)는 상기 연결대(185)와 평행을 이루되, 상기 연결대(185)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상기 연결대(18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다.The support 175 faces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able 185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upport 175 is parallel to the connection table 185, but is relatively relative to the connection table 185. The lower height is to be installed one each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connecting table 185.

상기 걸이 부재(130)가 상기 연결대(185)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대(185)에서 상기 보조대(175) 쪽으로 갈수록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형태가 되도록, 상기 보조대(175)는 상기 연결대(185)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면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를 받쳐준다.In the state where the hook member 130 is caught by the connecting rod 185, the tray body member 110 is inclined so that the tray body member 110 is relatively lowered from the connecting rod 185 toward the supporting base 175. 175 supports the tray body member 110 while being disposed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connecting table 185.

도면 번호 170은 상기 설치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기 지지대(18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상기 지지대(18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보조대(175)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대(185)를 지지해주는 연결 지지대(180)이다.Reference numeral 170 is set up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verticall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180 by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180, the support 17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It is a connection support 180 for supporting (185).

상기 지지대(180)와 상기 연결대(185)가 상기 설치면 상에 수직으로 격자 형태로 세워지고, 상기 연결 지지대(180)와 상기 보조대(175)도 상기 설치면 상에 수직으로 격자 형태로 세워지되, 상기 지지대(180)와 상기 연결대(185)의 결합체의 전방 및 후방 쪽으로 일정 간격 각각 이격된 위치에 상기 연결 지지대(180)와 상기 보조대(175)의 결합체가 세워지게 된다.The support 180 and the connecting table 185 is erected vertically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the form of a grid, the connecting support 180 and the support 175 is also erected in a vertical gri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180 and the support 175 is erected at position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ward the front and rear of the assembly of the support 180 and the connector 185, respectively.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는 그 내부 공간(111)에 상기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이 수용되고, 그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tray body member 110 is to accommodate the soil for cultivating the crop in the inner space 111, the upper surface is to form an open, for example, it is made of a rectangular box, the upper surface is It is in an open form.

상기 걸이 부재(130)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상기 연결대(185)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세워진 걸이 연장체(131)와, 상기 걸이 연장체(131)로부터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의 상공 쪽으로 굽혀진 형태로 연장되는 걸이 굽힘체(132)를 포함한다.The hook member 130 is such that the tray body member 110 is detachably caught by the connecting rod 185, and the hook extension body 131 erected upwardly from the tray body member 11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hook bending body 132 extending from the hook extension body 131 to be bent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body member 110.

상기 걸이 연장체(131)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에서 상기 도어 부재(120)가 연결된 면이 아닌 다른 면 상의 중앙부에 형성된다.The hook extension 1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ray body member 110 on a surface other than the surface to which the door member 120 is connected.

도면 번호 115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에서 상기 걸이 부재(130)가 형성된 면과 대면되는 면 상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손잡이이다.Reference numeral 115 is a handle which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tray body member 110 that faces the surface on which the hook member 130 is formed, and which an operator can hold by hand and apply an external force.

도면 번호 112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 내부로 유입된 물 등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로서, 상기 배출구(112)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112 i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ter such as water introduced into the tray body member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holes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body member 110. Can be formed.

한편, 상기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100)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의 수직도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16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100 includes a balance sensing member 160 for sensing the verticality of the tray body member 110.

상세히, 상기 균형 감지 부재(160)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에 부착 또는 내삽되고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 내부의 상단에서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회동 연결 링(162)과, 상기 회동 연결 링(162)에 회동 가능하게 걸려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고 상기 회동 연결 링(162)과 멀어지는 말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회동체(163)와, 상기 회동체(163)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회동 마그넷(164)과,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의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163)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164)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홀 센서(166)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의 내부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163)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164)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 센서 등의 균형 감지 접촉 센서(165)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balance sensing member 160 may be attached or interpolated to the tray body member 110, and may have a balance sensing member case 161 formed in a hollow circular cylinder shape, and an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161. Rotating connecting ring 162 protruding in a hemispherical shape from the top, and can be rotated so as to be gravitationally caught in the rotating connecting ring 162 toward the distal en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connecting ring 162 The rotating body 163 is formed to be large, the rotating magnet 164 disposed on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body 163, and the rotating body 163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161 Balanced detection hall sensor 166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orce of the rotating magnet 164, which is rot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161 is disposed on the rotating body 163 And a balance sensing contact sensor 165 such as a pressure sensing sensor capable of sensing a contact of the rotating magnet 164 to be rotated.

상기 회동체(163)와 상기 회동 마그넷(164)은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 연결 링(162)에 연결된 상태로 항상 중력 방향을 향하게 된다.The rotating body 163 and the rotating magnet 164 are always direc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 state connected to the rotating connecting ring 162 by its own weight.

감지 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166)는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의 내부의 저면 상의 중앙과 그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세 개 이상으로 설치된다.In order to enhance the sensing effect, three or more balance sensing hall sensors 166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161 and both sides thereof.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회동 마그넷(164)은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166) 중 중앙의 것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While the tray body member 110 maintains a normal posture, the rotation magnet 164 maintains a state detected by the center of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166.

그러다가,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임의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의 기울어지는 정도만큼 상기 회동체(163)가 중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 마그넷(164)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166)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의 기울어지기 시작함이 감지될 수 있다.Then, when the tray body member 110 starts to tilt arbitrarily, the rotation body 163 is rotated by gravity by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tray body member 110, and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magnet 164 is changed. As the magnetic force sensed by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166 is changed, the inclination of the tray body member 110 may be detected.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최대값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동 마그넷(164)의 위치 변동에 따른 자력 변화 최대값이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166)에 의해 감지됨과 함께, 상기 회동 마그넷(164)이 상기 균형 감지 접촉 센서(165)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의 최대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tray body member 110 is inclined to the maximum value, the maximum change in magnetic forc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rotation magnet 164 is detected by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166 and the rotation magnet 164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balance sensing contact sensor 165, the maximum inclination of the tray body member 110 can be detected.

상기와 같은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의 기울어짐과 그 기울어지는 정도에 대한 정보는 외부의 제어 부재(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The inclination of the tray body member 110 as described above and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inclin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control member (not shown).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의 기울어짐과 그 기울어지는 정도가 신속하게 감지될 수 있게 된다.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ation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tray body member 110 can be quickly detecte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150)에서는, 상기 연결대(185)에 복수 개의 상기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100)가 걸리되, 상기 각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100)는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in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150, the plurality of indoor crop cultivation trays 100 are caught by the connecting rod 185, and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s 100 are It can b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towards the front and rear.

이러한 상기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100)의 걸이 해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상기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100)의 걸이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걸이 해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The hook release process of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1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and the hook process of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100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hook release process described below.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185)에서 상기 보조대(175)와 마주보는 쪽의 타 측에서 상기 걸이 부재(130)가 상기 연결대(185)로 접근되어 상기 연결대(185)에 걸린 형태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상기 연결대(185)에 연결되어 있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밀림으로써 상기 걸이 부재(130)와 상기 연결대(185)의 걸림이 해제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hook member 130 approaches the connecting rod 185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table 185 facing the supporting table 175 to the connecting table 185. The tray main body member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185 in a hooked shape, and as shown in FIG. 5, the tray main body member 110 is pushed by the external force of an operator, thereby causing the hook member ( 130 and the engaging of the connecting table 185 is released.

그런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이 부재(130)가 상기 연결대(185)와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보조대(175)를 중심으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일정 각도 회전된 다음,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당겨짐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상기 보조대(175)와 분리되고, 그에 따라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150)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6, the tray body member 110 is fixed about the support 175 such that the hook member 130 is gradually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table 185 in such a state of being released. After the angular rotation, the tray body member 110 is pulled to separate the tray body member 110 from the support 175, whereby the tray body member 110 causes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150.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대(185) 내부는 관 형태로 비어 있어서, 상기 작물 재배를 위한 물과 양액(nutrient) 중 적어도 하나인 재배액이 상기 연결대(185)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ior of the connecting rod 185 is empty in the form of a tube, so that the cultivation liquid of at least one of water and nutrients for the crop cultivation may flow through the connecting rod 185.

물론, 상기 연결대(185)와 연결된 상기 지지대(180) 내부도 관 형태로 비어 있어서, 상기 연결대(185)와 상기 지지대(180)는 연통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재배액이 상기 지지대(180)를 거쳐 상기 연결대(185)로 유동될 수 있다.Of course, the inside of the support 18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185 is also empty in the form of a tube, the connecting rod 185 and the support 180 is in communication, the cultivation solu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the support 180 It may flow through the connecting rod 185 through.

상기 연결대(185)에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를 향하는 부분인 하부에 분사 노즐(18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대(185)를 통해 유동된 상기 재배액이 상기 분사 노즐(186)을 통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에 수용된 상기 토양으로 분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재배액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 배관의 설치없이도 상기 재배액을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 쪽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spray nozzle 186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185 toward the tray main body member 110, so that the cultivation liquid flowing through the connecting rod 185 is transferred through the spray nozzle 186. It can be sprayed into the soil accommodated in the tray body member 110, and thus can be supplied to the tray body member 110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pipe for supplying the culture liqui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대(185)와 상기 보조대(175)에 의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가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토양으로 분사된 상기 재배액은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 내부를 따라 중력에 의해 유동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y body member 110 is installed in an inclined form by the connecting rod 185 and the support 175, so that the cultivation solution injected into the soil is inside the tray body member 110. Can be flowed by gravity along.

상기 보조대(175) 내부도 상기 재배액이 유동될 수 있는 관 형태로 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대(175)의 하부에도 별도 노즐(17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조대(175)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110)에 상기 보조대(175)를 통해서도 상기 재배액이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The inside of the support 175 is also made of a hollow form in the form of a tube through which the cultivation fluid can flow, and a separate nozzle 176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175, thereby being disposed below the support 175. The cultivation solution may be additionally supplied to the tray body member 110 through the support 175.

상기와 같이,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150)이 상기 지지대(180)와, 상기 연결대(185)와, 상기 보조대(175)와, 상기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10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작물을 실내에서 간편하게 재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150 includes the support 180, the connecting table 185, the support 175, and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100. It is easy to grow indoors.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that it can be changed. Nevertheless,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at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에 의하면, 작물을 실내에서 간편하게 재배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According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nd the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applied to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rop can be easily grown indoors, its industrial applicability is high.

100 :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
110 : 트레이 본체 부재
130 : 걸이 부재
150 :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175 : 보조대
180 : 지지대
185 : 연결대
100: indoor crop growing tray
110: tray body member
130: hook member
150: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175: brace
180: support
185: connecting rod

Claims (4)

그 설치면에 세워지는 지지대 및 상기 설치면에 대면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연결대로 구성되고, 작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한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이 수용되고, 그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 트레이 본체 부재;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상기 연결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하는 걸이 부재; 및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수직도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 감지 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에 부착되고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 내부의 상단에서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회동 연결 링과,
상기 회동 연결 링에 회동 가능하게 걸려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고 상기 회동 연결 링과 멀어지는 말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회동 마그넷과,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홀 센서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균형 감지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와 상기 회동 마그넷은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 연결 링에 연결된 상태로 중력 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는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 상의 중앙과 그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회동 마그넷은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 중 중앙의 것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임의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기울어지는 정도만큼 상기 회동체가 중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기울어지기 시작함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최대값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 변동에 따른 자력 변화 최대값이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됨과 함께, 상기 회동 마그넷이 상기 균형 감지 접촉 센서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최대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
It is composed of a support that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 connec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so as to face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is applied to an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for cultivating crops indoors,
A tray body member accommodating soil for cultivating the crop and having an open top surface thereof;
A hook member for detachably hooking the tray body member to the connecting rod; And
And a balance sensing member configured to sense a vertical degree of the tray body member.
The balance sensing member
A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ttached to the tray body member and formed into a hollow circular cylinder;
A rotation connection ring projecting in a hemispherical shape from an upper end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Rotating body which can be rotated so as to be gravitationally caught in the rotational connection ring and directed toward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distal end away from the rotational connection ring,
A rotating magnet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body;
A balance sensing hall sensor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nd detect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rotating magnet which is suspended by the rotating body;
A balance sensing contact sensor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nd configured to sense a contact of the pivoting magnet which is suspended by the pivoting body,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magnet are directed toward the gravity in a state connected to the rotating connecting ring by its own weight,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is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While the tray body member maintains a normal posture, the rotating magnet is kept in a state detected by the center of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s,
When the tray main body member starts to tilt arbitrarily, as the tilting body rotates by gravity, the magnetic force sensed by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changes as the rotation magnet is moved. Can be detected that the tray body member starts to tilt,
When the tray body member is inclined to the maximum value, the maximum magnetic force change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rotation magnet is detected by the balance detection hall sensor, and the rotation magnet is in contact with the balance detection contact sensor, thereby Indoor crop cultivat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inclination of the body member can be detected.
작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설치면에 세워지는 지지대;
상기 설치면에 대면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상기 설치면에 대해 대면되는 보조대; 및
상기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이 수용되는 트레이 본체 부재와,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상기 연결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하는 걸이 부재와,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수직도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를 포함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 부재가 상기 연결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대에서 상기 보조대 쪽으로 갈수록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형태가 되도록, 상기 보조대는 상기 연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면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를 받쳐주고,
상기 균형 감지 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에 부착되고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 내부의 상단에서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회동 연결 링과,
상기 회동 연결 링에 회동 가능하게 걸려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고 상기 회동 연결 링과 멀어지는 말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회동 마그넷과,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홀 센서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균형 감지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체와 상기 회동 마그넷은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 연결 링에 연결된 상태로 중력 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는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의 내부의 저면 상의 중앙과 그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회동 마그넷은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 중 중앙의 것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임의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기울어지는 정도만큼 상기 회동체가 중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기울어지기 시작함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최대값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동 마그넷의 위치 변동에 따른 자력 변화 최대값이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됨과 함께, 상기 회동 마그넷이 상기 균형 감지 접촉 센서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최대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For growing crops indoors,
A support erected on its mounting surface;
A connecting table connected to the support so as to face the installation surface;
A support stand facing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ab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room including a tray main body member for receiving soil for cultivating the crop, a hook member for detachably hooking the tray main body member, and a balance sensing member for sensing the verticality of the tray main body member Includes a crop cultivation tray,
In the state where the hook member is caught by the connecting rod, the supporting rod is arranged relatively lower than the connecting rod so that the tray main body member is inclined so that the tray main body member is relatively lower from the connecting rod toward the supporting rod. Supporting,
The balance sensing member
A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ttached to the tray body member and formed into a hollow circular cylinder;
A rotation connection ring projecting in a hemispherical shape from an upper end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Rotating body which can be rotated so as to be gravitationally caught in the rotational connection ring and directed toward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distal end away from the rotational connection ring,
A rotating magnet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body;
A balance sensing hall sensor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nd detect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rotating magnet which is suspended by the rotating body;
A balance sensing contact sensor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and configured to sense a contact of the pivoting magnet which is suspended by the pivoting body,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magnet are directed toward the gravity in a state connected to the rotating connecting ring by its own weight,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is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balance sensing member case,
While the tray body member maintains a normal posture, the rotating magnet is kept in a state detected by the center of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s,
When the tray body member starts to be tilted arbitrarily,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balance sensing hall sensor is changed as the rotational body is rotated by gravity as much as the inclination of the tray body member is changed. Can be detected that the tray body member starts to tilt,
When the tray body member is inclined to the maximum value, the maximum value of the magnetic force ch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rotation magnet is detected by the balance detection hall sensor, and the rotation magnet is in contact with the balance detection contact sensor, thereby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inclination of the body member can be detec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 내부는 비어 있어서, 상기 작물 재배를 위한 물과 양액(nutrient) 중 적어도 하나인 재배액이 상기 연결대를 통해 유동될 수 있고,
상기 연결대에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를 향하는 부분에 분사 노즐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대를 통해 유동된 상기 재배액이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에 수용된 상기 토양으로 분사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토양으로 분사된 상기 재배액은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를 따라 중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ior of the connecting rod is empty, so that a cultivation liquid of at least one of water and nutrients for cultivating the crop may flow through the connecting rod,
An injection nozzle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that faces the tray main body member, so that the cultivation fluid flowing through the connecting rod can be sprayed into the soil contained in the tray main body member through the spray nozzle.
The tray body member is installed in an inclined form, so that the cultivation solution sprayed into the soil flows by gravity along the tray body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 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세워진 걸이 연장체와,
상기 걸이 연장체로부터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의 상공 쪽으로 굽혀진 형태로 연장되는 걸이 굽힘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에서 상기 보조대와 마주보는 쪽의 타 측에서 상기 걸이 부재가 상기 연결대로 접근되어 상기 연결대에 걸린 형태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상기 연결대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밀림으로써 상기 걸이 부재와 상기 연결대의 걸림이 해제되고, 그러한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걸이 부재가 상기 연결대와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보조대를 중심으로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된 다음,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당겨짐으로써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상기 보조대와 분리되고, 그에 따라 상기 트레이 본체 부재가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hook member is
A hook extension body set up at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tray body member;
A hook bending body extending from the hook extension body in a bent shape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body member;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facing the support, the hook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and the tray body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in a form of being caught by the connecting rod,
By the external force, the tray main body member is pushed to release the latch of the hook member and the connecting rod, and the tray main body member is constant around the support base such that the hook member gradually moves away from the connecting rod in such a state of unlocking. And after the angular rotation, the tray body member is pulled to separate the tray body member from the support, thereby separating the tray body member from the indoor crop cultivation system.
KR1020180036830A 2018-03-29 2018-03-29 Indoor crops grow system and tray for indoor crops grow applied at the indoor crops grow system KR102059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830A KR102059916B1 (en) 2018-03-29 2018-03-29 Indoor crops grow system and tray for indoor crops grow applied at the indoor crops grow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830A KR102059916B1 (en) 2018-03-29 2018-03-29 Indoor crops grow system and tray for indoor crops grow applied at the indoor crops grow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14A KR20190114314A (en) 2019-10-10
KR102059916B1 true KR102059916B1 (en) 2019-12-27

Family

ID=6820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830A KR102059916B1 (en) 2018-03-29 2018-03-29 Indoor crops grow system and tray for indoor crops grow applied at the indoor crops grow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91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966A (en)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디이엔티 Tray for growing crops
KR20220085325A (en) 2020-12-15 2022-06-22 이현준 System cultivation box
KR20230036807A (en) * 2021-09-08 2023-03-15 박종철 Crop cultivation tray and it used crop cultivation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43B1 (en) * 2010-12-16 2012-01-17 배문옥 Gardening pot for 3-dimensional greening and 3-dimensional 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466546Y1 (en) * 2011-04-06 2013-04-23 유한회사 더존테크 vertical moving type apparatus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ior Assembly complex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114A (en) 2010-12-31 2012-07-10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Cultivation method of sweetpotato for deco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43B1 (en) * 2010-12-16 2012-01-17 배문옥 Gardening pot for 3-dimensional greening and 3-dimensional 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466546Y1 (en) * 2011-04-06 2013-04-23 유한회사 더존테크 vertical moving type apparatus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ior Assembly complex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966A (en)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디이엔티 Tray for growing crops
KR20220085325A (en) 2020-12-15 2022-06-22 이현준 System cultivation box
KR20230036807A (en) * 2021-09-08 2023-03-15 박종철 Crop cultivation tray and it used crop cultivation apparatus
KR102647494B1 (en) * 2021-09-08 2024-03-13 박종철 Crop cultivation tray and it used crop cultiv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14A (en)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916B1 (en) Indoor crops grow system and tray for indoor crops grow applied at the indoor crops grow system
CN202112090U (en) Planting rack
US20160066525A1 (en) Hydroponic garden system
US20080000152A1 (en) Horticultural Growing Rack
US9107518B2 (en) Apparatus for hanging plants
US4506475A (en) Hanger for potted plants
US7143543B1 (en) Self-supporting plant holder
US7997429B2 (en) Pot and pan storage unit
KR20190137201A (en) Election type garden system
EP2844058A1 (en) Hangable container
KR200480967Y1 (en) A mushroom culture medium hanger device
US6665980B2 (en) Plant stand
KR20210064969A (en) Vertical hanging bed
CN206559865U (en) A kind of wall hanging combined flower pot
KR101920061B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at ceiling with out power
JPH11243783A (en) Flowering container rack and flowering container supporter
KR102073242B1 (en) Flowerpot and Assembled Tower flowerpot Assembly
JP2010029096A (en) Multistage container-type cultivation device
KR101872339B1 (en) Multilayer flowerpot
CN206993806U (en) A kind of wall-mounted flower holder
TWM492609U (en) 3D planting device
KR102106693B1 (en) Pot
CN219108263U (en) Height-adjustable vegetable planting frame
US636632A (en) Flower-stand.
CN215650319U (en) Easily-disassembled flower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