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851B1 -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851B1
KR102059851B1 KR1020190063763A KR20190063763A KR102059851B1 KR 102059851 B1 KR102059851 B1 KR 102059851B1 KR 1020190063763 A KR1020190063763 A KR 1020190063763A KR 20190063763 A KR20190063763 A KR 20190063763A KR 102059851 B1 KR102059851 B1 KR 102059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gear
storage
main body
power generat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능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진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진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진그린텍
Priority to KR1020190063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22Provisions for temporary connection of DC sources of essentially the same voltage, e.g. jumpstart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 또는 본체에 구비된 입력수단의 신호시 본체에 설치되는 랜딩기어가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랜딩기어의 착지휠이 지면과 접촉 회전하여 발전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본체는 탈착수단에 의해 이동수단과 탈부착이 가능토록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Landing gear type power generation system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 또는 본체에 구비된 입력수단의 신호시 본체에 설치되는 랜딩기어가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랜딩기어의 착지휠이 지면과 접촉 회전하여 발전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본체는 탈착수단에 의해 이동수단과 탈부착이 가능토록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전기모터 등 구동방식에 상관없이 내,외부에 조명, 에어컨, 오디오 등의 전기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필요로 하며 전력 수급을 위한 방법으로써 보닛 내측 엔진룸에 배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터리는 상시 방전이 되고, 방전된 배터리는 엔진의 구동 또는 외부 전력으로 충전시키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나 충전량은 한정적이고 충전시간이 소비되는 등의 단점이 있어 배터리의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각종 장치, 방법 등이 대두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0457835호의 자동차 배터리 충전전원장치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충전전원장치(1)를 한개 이상으로 블록을 구성하여 자동차 차체(13)에 부착하되 노면(15)에 접지되는 충전전원장치바퀴(5)에는 자동차차체(13)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자동차타이어(14) 접지부 변형만큼 스프링(6)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충전전원장치(1)를 자동차차체(13)에 고정하고, 충전전원장치바퀴(5)의 직경은 자동차타이어(14) 직경의 1/3보다 작게 하고, 충전전원장치바퀴(5) 원주에 돌기(5a)를형성하여, 노면(15)의 작은 굴곡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스프링(6)에 의하여 충전전원장치바퀴(5)가 신속히 노면(15)에 접지 되도록 하여 진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고, 충전전원장치바퀴(5)가 노면(15)에 충격을 받을 때 베어링(5b)에 의하여 충전전원장치바퀴(5)가 회전하도록 하여 미끄럼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충전전원장치바퀴(5)와 발전기(3) 축(4)의 연결부분은 탄성소재(7)를 사용하여 노면(15)의 파손부위나 큰 요철을 지날때 축(4)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고, 발전기(3)의 계자자극(8)은 외부자극(8a)과 내부자극(8b)을 소정의 간격으로 구성하여 축(4)에 고정하고, 발전기(3)의 전기자(10)는 외부자극(8a)과 내부자극(8b) 사이에 유지되도록 발전기(3) 전기자지지대(9)에 고정하여, 축(4)에 형성된 계자자극(8)이 상하로 진동을 하면 전기자(10)에 전류가 발생 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차 배터리 충전전원장치는, 자동차 차체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용이한 탈부착이 어렵고, 충전전원장치바퀴(5)가 항상 지면과 닿도록 노출되어 있어 주행시 부하를 가중시켜 연비를 저하시키면서 내부로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고,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충격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상시 존재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수단으로부터 용이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파워서플라이 및 보조배터리로 사용 가능토록 하고, 일정속도 이하 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발전이 가능토록 하여 소음발생을 최소화토록 하며, 파손 및 소음을 방지토록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 이륜차 등의 이동수단 일측에 본체가 일체 또는 탈,착 가능토록 연결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부에 입력신호시 하기 랜딩기어를 지면과 접촉하여 마찰력 또는 회전력으로 발전토록 하고, 해제신호시 랜딩기어를 지면과 일정거리로 이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입력수단이 이동수단 또는 본체에 구비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본체 내측에 수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가변되는 랜딩기어 및 상기 랜딩기어에 연결되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랜딩기어는, 본체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리지에 일측이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레그,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해제신호를 받아 레그를 가변토록 하는 가변수단 및 상기 레그의 다른 일측에 발전기와 동력전달 와이어로 연결되는 착지휠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하우징은, 이동수단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자석 또는 브라켓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탈착수단이 구비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탈착수단 및 분리 가능한 축전지의 구비로 원하는 때에 자동차에 부착 가능하고, 보조배터리 또는 파워서플라이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토록 하며, 입력수단의 구비로 일정속도 이하 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발전이 가능토록 하여 소음발생을 최소화토록 하고, 쇽업소버 및 발전시 레그의 각도조절로 파손 및 소음을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자동차 배터리 충전전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 본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 본체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이다.
도6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시스템 본체의 탈부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랜딩기어 고정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이륜차 등의 이동수단(T)의 일측에 본체(100)가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토록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수단(T) 또는 본체(100)에는 상기 본체에 입력신호 및 해제신호를 송신하는 입력수단(500)이 구비되고, 상기 입력수단은, 이동수단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센터페시아의 버튼(미도시), 이동수단 또는 본체에 구비되는 속도센서(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에 제어부(C), 발전기(390) 및 랜딩기어(30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수단(500)으로부터 수신받은 입력,해제신호를 상기 랜딩기어로 송신토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랜딩기어(300)는,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스토리지(S)에 일측이 힌지축(333)으로 연결되는 레그(330), 제어부(C)로부터 입력,해제신호를 받아 레그를 수납/노출하는 가변수단(350) 및 상기 레그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착지휠(370)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착지휠(370)은, 그 축상에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발전기(390)와 연결되는 동력전달 와이어(39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레그(330)와 스토리지(S)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하향방지홈(332) 및 탄성설치되는 하향방지턱(334)이 구비되고, 상기 하향방지턱은 솔레노이드 등의 지지수단(336)과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가변수단(350)은, 중앙부가 조인트 연결되고, 양끝단이 레그(330)와 스토리지(S)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스트럿(353) 및 상기 스트럿에 연결되면서 레그의 가변을 수행하는 동력장치인 실린더(357)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동력장치는 실린더를 제거하고 상기 힌지축(333)에 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기어에 치합되는 기어드모터(359)를 설치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스트럿의 일측에는, 상기 레그와 연결되는 쇽업소버(355)(shock absorber)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이동수단의 일측에 연결되는데 도2와 같이 이동수단의 하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3과 같이 측면에 부착할 수도 있으며, 이동수단에 연결될 때 상기 이동수단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토록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본체는, 이동수단과 일체로 연결될 때 볼팅 또는 용접으로 연결되며 발전기(390)가 이동수단에 구비되는 배터리(B)에 전력을 공급토록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본체는, 이동수단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때 탈착수단(15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입력수단(500)과 연결되는 입력단자(113)및 상기 발전기(390)와 연결되면서 출력단자(175)가 연결되는 축전지(1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탈착수단(150)은, 하우징 내측에 좌우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고정영구자석과 그 상부에 원통형상의 자성체의 중앙에 좌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이 결합된 회전영구자석이 및 상기 회전영구자석 일측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레버로 구성되는 마그네틱리프트(157)로 이루어지거나, 이동수단에 기설치 되는 브래킷(151)및 상기 브래킷에 대응되는 후크(153)가 하우징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입력단자(113)는, 하우징(110)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접촉면에 각각 단자로 접촉토록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축전지는, 하우징에 일체로 내장되거나 분리가 가능토록 구비되고, 상기 출력단자(175)는, 유에스비(USB)포트 및 점퍼선단자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가 이동수단(T)에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는 이동수단 또는 본체에 구비되는 입력수단(500)과 연결되어 상기 입력수단의 입력,해제신호에 따라 본체가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도2와 같이 이동수단의 하측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측면에 설치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500)은,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센터페시아아의 버튼(미도시) 및 이동수단 또는 본체에 구비되는 속도감지센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는, 사용자가 브레이크를 밟아 제동할 때는 본체에 입력신호를, 발을때어 제동을 풀었을 때는 해제신호를 본체(1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미도시)은,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을 때는 본체에 입력신호를 누름을 해제시켰을 때는 해제신호를 본체에 송신한다.
계속하여, 속도감지센서(미도시)는,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이 기준속도 이하가 되면 본체에 입력신호를 기준속도 이상이 되면 해제신호를 본체에 송신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스토리지(S)와 상기 스토리지에 연결되는 랜딩기어(300) 및 입력,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랜딩기어로 신호를 랜딩기어에 전송하는 제어부(C) 및 하우징에 구비되는 발전기로 이루어져 입력,해제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의 의해 랜딩기어가 가변된다.
여기서, 해제신호는, 상기 랜딩기어(300)가 스토리지(S) 내측에 수납되어 지면과 일정거리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신호를 의미하고, 입력신호는, 랜딩기어가 스토리지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일부가 지면과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랜딩기어(300)는, 스토리지(S)에 일측이 힌지축(333)으로 연결되는 레그, 제어부(C)로부터 입력,해제신호를 받아 레그(330)를 수납/노출하는 가변수단(350) 및 상기 레그의 다른 일측은 발전기(390)와 동력전달 와이어로 연결되는 착지휠(370)로 이루어져 입력,해제신호시 상기 힌지축(33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납/노출 상태가 되고, 노출 상태시 착지휠(370)이 지면과 닿아 회전함으로써 회전력에 의한 발전이 가능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가변수단(350)은, 도3과 같이 중앙부가 조인트 연결되고, 양끝단이 레그(330)와 스토리지(S)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스트럿(353) 및 상기 스트럿에 연결되면서 레그의 가변을 수행하는 동력장치인 실린더(357)로 이루어져 신호에 따라 실린더로드가 신축/연장되어 이에 연결되는 스트럿이 레그를 밀거나 당겨 가변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상기 레그(330)와 스토리지(S)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하향방지홈(332) 및 탄성설치되는 하향방지턱(334)이 구비되고, 상기 하향방지턱은 솔레노이드 등의 지지수단(336)과 연결되어 차량의 이동시 진동과 충격 등에서 랜딩기어가 하우징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입력신호시 지지수단이 풀려 노출이 가능토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스트럿(353)은, 일측에 상기 레그와 연결되는 쇽업소버(355)가 구비되어 고르지 못한 지면에 대응하여 충격을 흡수 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 가변수단(350)은, 상기 실린더(357)를 제거하고, 힌지축(333)에 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기어에 치합되는 기어드모터(359)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랜딩기어(300)를 가변 가능토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100)는, 볼팅 또는 용접으로 결합하여 이동수단과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거나 탈착수단(150)을 구비하여 이동수단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탈착수단(150)은, 하우징 내측에 좌우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고정영구자석과 그 상부에 원통형상의 자성체의 중앙에 좌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이 결합된 회전영구자석이 및 상기 회전영구자석 일측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레버로 구성되는 마그네틱리프트(157)로 이루어져 레버의 회전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이동수단에 부착하거나, 이동수단에 기설치 되는 브래킷(151)과 이에 대응되는 후크(153)가 하우징에 설치되어 이루어져 슬라이드 타입으로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탈부착 되는 본체는, 이동수단과 일체로 연결될 때, 발전기(390)가 이동수단에 구비되는 배터리(B)와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 가능토록 한다.
즉, 상기 본체가 일체로 연결될 때는 주행중에는 엔진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제동시에는 상기 발전시스템이 배터리를 충전가능토록 하는 보조발전기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가 이동수단과 분리가능토록 연결될 때, 상기 하우징에 입력수단과 연결되는 입력단자(113), 발전기와 연결되면서 출력단자(175)가 설치되는 축전지(170)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단자는 유에스비(USB)포트 및 점퍼선단자로 이루어져 본체의 분리시 보조배터리 및 배터리의 방전시 점퍼 가능한 파워서플라이 역할을 수행 가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입력단자(113)는, 하우징(110)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접촉면에 각각 단자로 구비되어 본체의 부착시 자동으로 입력수단(500)과 연결토록 한다.
또한, 상기 축전지(17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용이한 휴대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T...이동수단 100...본체
110...하우징 150...탈착수단
300...랜딩기어 330...레그
350...가변수단 370...착지휠
390...발전기 500...입력수단

Claims (6)

  1. 이동수단 일측에서 본체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토록 연결되고,
    상기 본체는, 스토리지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스토리지 내측에 수납되는 랜딩기어 및 상기 랜딩기어의 수납 및 노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랜딩기어에 의한 회전력으로 발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랜딩기어는, 상기 스토리지에 일측이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레그;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해제신호를 받아 레그를 가변토록 하는 가변수단 및 상기 레그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지면과 닿아 회전하는 착지휠 및 상기 착지휠의 축상에 연결되어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발전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수단은, 중앙부에 조인트가 구비되고 양끝단이 레그와 스토리지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스트럿 및 상기 스트럿에 연결되면서 레그의 수납/노출 동작을 수행하는 동력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럿의 일측은, 상기 레그와 연결되는 쇽업소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그와 스토리지는, 레그의 수납시 진동, 충격에 의한 하향을 방지토록 각각 서로 대응되는 하향방지홈, 상기 스토리지에 탄성연결되면서 하기 입력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하향방지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입력수단의 신호에 따라 랜딩기어를 상기 스토리지 내측에 수납하거나 외부로 노출토록 설치되고,
    상기 입력수단은, 동작시 제어부에 입력신호를 송신하고 해제시 해제신호를 송신하는 브레이크 또는, 기준속도 이하시 제어부에 입력신호를 송신하고 기준속도 초과시 제어부에 해제신호를 송신하는 속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스트럿에 연결되면서 레그의 수납/노출 동작을 수행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구성 또는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는 기어드모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볼팅 또는 용접으로 이동수단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발전기는, 이동수단에 설치된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탈착수단이 구비되어 이동수단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입력수단과 연결되는 입력단자 및 상기 발전기와 연결되면서 출력단자가 설치되는 축전지가 구비되며,
    상기 축전지는, 본체와 일체형이거나 탈착이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출력단자는, 축전지가 보조배터리 역활을 수행토록 유에스비(USB)포트 및 이동수단의 배터리 방전시 점퍼선 연결가능한 파워서플라이 역활을 수행토록 점퍼선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하우징 내측에 좌우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고정영구자석과 그 상부에 원통형상의 자성체의 중앙에 좌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이 결합된 회전영구자석 및 상기 회전영구자석 일측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마그네틱리프트 또는;
    이동수단에 기설치 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대응되는 후크가 하우징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KR1020190063763A 2019-05-30 2019-05-30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KR102059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63A KR102059851B1 (ko) 2019-05-30 2019-05-30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63A KR102059851B1 (ko) 2019-05-30 2019-05-30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851B1 true KR102059851B1 (ko) 2020-02-11

Family

ID=6956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63A KR102059851B1 (ko) 2019-05-30 2019-05-30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8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0775A (ko) * 2004-03-31 2007-03-16 조아킴 피에들러 탈착가능한 마그네트 홀더
KR20100124188A (ko) * 2009-05-18 2010-11-26 백승준 잔여 동력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KR20130033257A (ko) * 2011-12-08 2013-04-03 김한중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0775A (ko) * 2004-03-31 2007-03-16 조아킴 피에들러 탈착가능한 마그네트 홀더
KR20100124188A (ko) * 2009-05-18 2010-11-26 백승준 잔여 동력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KR20130033257A (ko) * 2011-12-08 2013-04-03 김한중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8467B2 (en) Hybrid driving apparatus
CA2649151C (en) Tire actuated generator for use on cars
JP5046536B2 (ja) リニアドライブ走行システム及び自動車
US20210008971A1 (en) Hybrid driving apparatus
KR101912997B1 (ko) 전기기계식 자이로스코프 평형 외발휠
CN205326911U (zh) 设置在车轮上的光束示廓系统
CN204489055U (zh) 一种用重心控制方向的无把手双轮自平衡电动车
KR20180115963A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EP1157878A3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s
CN108515851B (zh) 一种弹射式电动汽车充电方法
CA2579943A1 (en) Battery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vehicle battery
US20100181126A1 (en) Electric car battery charging system
JP2011167008A (ja) 車両用回生装置
KR10205985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랜딩기어형 발전시스템
JP2004282986A (ja) 多数の電機子を持つ電動機を備えた新駆動装置
CN103879296A (zh) 一种带有自动平衡动能发电机的电动汽车
JPH06165309A (ja) ハイブリッド式電気自動車
US5971088A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JP2544703B2 (ja) 自動車用発電機構
CN206983759U (zh) 无人机充电装置及车载无人机
KR101792434B1 (ko) 전기 자동차의 발전기 겸용 인휠모터
CN204851552U (zh) 一种机动车发电装置
JP2015218783A (ja) ガスタービンレンジエクステンダ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等の車両
JP2006254646A (ja) 携帯電子機器用充電器
CN207291652U (zh) 一种新型助力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