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849B1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849B1
KR102059849B1 KR1020180055476A KR20180055476A KR102059849B1 KR 102059849 B1 KR102059849 B1 KR 102059849B1 KR 1020180055476 A KR1020180055476 A KR 1020180055476A KR 20180055476 A KR20180055476 A KR 20180055476A KR 102059849 B1 KR102059849 B1 KR 10205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path
spac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0836A (en
Inventor
권장우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849B1/en
Publication of KR20190130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8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에 입차하려는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주차장 내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IoT 센서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인식된 상기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안내할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주차장 입구부터 결정된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상기 차량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상기 주차 경로,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주차장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에서 이탈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경로 이탈 여부와 함께,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re disclosed.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photographing a vehicle to be entered into a parking lot,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and model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vehicle based on a photographed vehicle image, and based on IoT sensors installed for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Determining a parking space to be guided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type information among the determined parking spaces, and setting a parking path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to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to at least one of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provided parking pat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determina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t may comprise the step of re-guiding the primary path.

Figure R1020180055476
Figure R1020180055476

Description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주차장으로 입차하려는 차량을 대상으로 빈 주차 공간을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echnology for guiding an empty parking space for a vehicle to be entered into a parking lot based on the IoT.

최근 들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사용자에게 수준 높은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첨단 주차장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advanced parking lots have been developed to efficiently use parking lots and provide high quality parking services to users.

이러한 첨단 주차장이 개발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주차 사업장이 증가하고 있으며, 빈 주차 공간 인식, 안내, 주차 요금 정산까지 무인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As these advanced parking lots are developed, more and more parking lots are adopting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formation to vehicle drivers smoothly by unmanned parking space recognition, guidance, and parking fee settlement. have.

한국등록특허 제10-1373854호는 센서 기반 영상 개선방법을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센서가 적용된 디블러링(Debluring) 기법과 영상밝기 조정 기법을 통해 개선된 영상을 이용하는 주차유도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1373854 relates to a parking induction system using a sensor-based image enhancement method, and discloses a parking induction technology using an improved image through a debluring technique and an image brightness adjustment technique using a sensor. Doing.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인공지능 기반의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기반으로 첨단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dvanced park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ep learning technology.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에 입차하려는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주차장 내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IoT 센서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인식된 상기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안내할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주차장 입구부터 결정된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상기 차량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상기 주차 경로,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주차장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에서 이탈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경로 이탈 여부와 함께,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photographing a vehicle to be entered into a parking lot,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and model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vehicle based on a photographed vehicle image, and based on IoT sensors installed for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Determining a parking space to be guided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type information among the determined parking spaces, and setting a parking path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to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to at least one of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provided parking pat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determina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t may comprise the step of re-guiding the primary path.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에서 이탈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을 기반으로 이동하고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연관된 주차 경로 상에 해당 차량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주차 경로 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차량이 주차 경로로 올바르게 주행 중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주차 경로 상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as the vehicle enters and moves into the parking lot, the vehicle moving on the basis of a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included in the parking path associated with the vehicle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and the current location is included on the parking path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driving correctly on the parking path as determined to be, and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as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not included on the parking path. It may include.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대상으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 가능 공간으로의 방향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re-guiding the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the display device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guiding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parking spac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the determined display devic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로부터 차량이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할 때마다 주차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주차 완료 정보 및 해당 IoT 센서관련 주차 공간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 전체 주차 공간 중 주차 완료된 공간을 제외한 주차 가능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을 대상으로,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의 크기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차종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관련하여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상기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외한 주차 가능 공간 중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을 상기 안내할 주차 가능 공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etermining of the available parking space may include receiving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each time a vehicle parks in a corresponding parking space from at least one IoT sensor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Checki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excluding the completed parking spaces among all the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completion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parking sensor identifi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oT sensor, and targeting the confirmed available parking spaces, Excluding a parking non-parking spac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ased on size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model information, and among the parking spaces except for the non-parking space among the identified parking spaces Parking available space to guide the parking available space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t can include determining a.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을 대상으로 할당된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이 주차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을 재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재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재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re-guiding the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s the other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pace allocated for the vehicle, the vehicl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Re-determining the closest available parking spac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and positioning a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re-determined parking available space arou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re-guiding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pparatus, the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정된 주차 공간 주변에 위치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을 기반으로 획득한 차량 번호 및 상기 결정된 주차 공간의 IoT 센서로부터 수신된 주차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 공간에 지정된 차량이 주차 완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vehicle assigned to a parking space based on a vehicle number acquired based on a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located around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and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of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parking is completed.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에 입차하려는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는 정보 인식부, 주차장 내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IoT 센서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인식된 상기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안내할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하는 주차 공간 결정부, 및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주차장 입구부터 결정된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상기 차량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경로 제공부, 및 제공된 상기 주차 경로,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주차장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에서 이탈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경로 이탈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제공부는,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경로 이탈 여부와 함께,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재안내할 수 있다.In the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vehicle to be entered into a parking lot, a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and model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vehicle from a photographed vehicle image, and an IoT sensor install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A parking spac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parking space to be guided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model information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determined based on the parking space, and a parking path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to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And a path providing unit provided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s, and a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provided parking pat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the route providing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vehicle. The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may be re-introduced along with whether the parking path deviates.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탈 결정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을 기반으로 이동하고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연관된 주차 경로 상에 해당 차량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주차 경로 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차량이 주차 경로로 올바르게 주행 중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주차 경로 상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departure determining unit, based on the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s the vehicle enters and moves into the parking lot,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included in the parking path associated with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travels correctly on the parking path as it is confirm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included in the parking path.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out of the parking path,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not included in the parking path.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로 제공부는, 상기 주차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대상으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 가능 공간으로의 방향 정보가 안내되도록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ath providing unit may determine a display device closest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for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the park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determined display device. The determined display apparatus may be controlled to guide the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spac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정된 주차 공간 주변에 위치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을 기반으로 획득한 차량 번호 및 상기 결정된 주차 공간의 IoT 센서로부터 수신된 주차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 공간에 지정된 차량이 주차 완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주차 완료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vehicle assigned to a parking space based on a vehicle number acquired based on a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located around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and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of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parking completion check unit for checking whether parking is completed.

본원발명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인공지능 기반의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기반으로 첨단 주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차장에 입차한 차랑의 운전자가 자신의 차종에 알맞으면서 가장 가까운 주차 공간을 신속하게 찾아 주차 완료를 하도록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dvanced park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ep learning technology, so that a driver of a car in a parking lot is suitable for his vehicle model. It can help you find the nearest parking space quickly and complete the parking.

또한, 주차장 내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통해 특정 차량과 관련하여 지정/제공된 주차 공간까지 올바르게 주행하여 가고 있는지 여부를 해당 차량의 주차가 완료될 때까지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주차 경로를 이탈하여 잘못된 경로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 이탈 사실을 알리면서 주차 경로를 재안내함으로써, 길치, 방향치이거나 지도의 가독력이 낮은 운전자라 할지라도 자신의 차종에 알맞은 비어 있는 주차 공간 손쉽게 주차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display devic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to monitor whether the vehicle is driving properly to the designated / provided parking space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vehicle until the parking of the vehicle is completed, and the monitoring path is released If you're driving on the wrong route, help guide you through the parking path by alerting you of departures so that you can easily park an empty parking space for your vehicle, even if you're on a road, direction, or map with low readability.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에 지정할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operation of determining a parking available space to designate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re-guiding a parking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IoT), 영상 처리 및 딥러닝(deep learning)을 기반으로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과 관련하여 주차 가능 공간을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장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 번호 및 차종을 인식하여 해당 차량에 알맞는 주차 공간을 안내하고, 주차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해당 차량이 안내된 주차 공간으로 올바르게 주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주차가 완료될 때까지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echnology for guiding a parking space with respect to a vehicle entering a parking lo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image processing, and deep learning. And a technology for guiding a parking space suitable for a corresponding vehicle by recognizing a vehicle type and monitoring whether the vehicle is correctly driven to the guided parking space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until the parking is completed. .

본 실시예들에서, "IoT 센서"는 주차장 내에 구획되어 구분되는 주차 영역인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를 완료하거나, 주차된 차량이 해당 주차 영역(즉, 주차 공간)을 벗어나 이탈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예컨대, IoT 센서는 주차 영역 내 바닥, 주차 영역 내 차량 정지석 등에 설치되어 주차 영역으로 주차를 시도하는 차량 및 주차된 차량이 주차 영역을 떠날 때 등을 센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IoT sensor" senses whether a vehicle completes parking in a parking space, which is a parking area partitioned and divided within the parking lot, or whether the parked vehicle leaves the parking area (ie, the parking space). can do. For example, the IoT sensor may be installed on a floor in a parking area, a vehicle stop seat in a parking area, and sense a vehicle that attempts to park in the parking area, and when the parked vehicle leaves the parking area.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등을 나타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user terminal"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possessed by a driver driving a vehicle, and may represent,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IoT 모듈(101), 복수의 촬영 장치(102, 103), 영상 처리 장치(104), IoT 서버(105), 데이터 푸시 서버(106), 차량(107) 및 사용자 단말(10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영상 처리 장치(104), IoT 서버(105), 데이터 푸시 서버(106)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해당되며, 영상 처리 장치(104), IoT 서버(105), 데이터 푸시 서버(106)가 IoT 서버(105)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영상 처리 장치(104)가 IoT 서버(105)에 포함되거나, 데이터 푸시 서버(106)가 IoT 서버(105)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IoT modules 101,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devices 102 and 103, an image processing device 104, an IoT server 105, and a data push server 106. ), The vehicle 107, and the user terminal 108. In FIG. 1,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4, the IoT server 105, and the data push server 106 are illustrated as being separately present. Howeve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4, the IoT server 105, The data push server 10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being included in the IoT server 105,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4 is included in the IoT server 105, or the data push server 106 is the IoT server 105.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IoT 모듈(101)은 주차장 내 차량의 주차를 위해 복수개로 나뉘어 구획되어져있는 주차 공간에 설치된 IoT 센서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주차 공간마다 설치된 정지석, 주차공간의 바닥 등에 설치되어 차량(107)의 주차 및 주차 공간에서의 이탈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The IoT module 101 may represent an IoT sensor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for parking of a vehicle in a parking lot. For example, the vehicle may be installed in a stop seat installed at each parking space, a floor of the parking space, or the like to sense whether the vehicle 107 is parked or is separated from the parking space.

촬영장치(102, 103)는 카메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 입구, 주차장 내 차량(107)이 이동하는 통로의 천장, 기둥, 주차 공간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촬영장치(102, 103)은 주차장으로 입차하려는 차량, 출차하려는 차량, 주차 공간에 주차하려는 차량, 주차장 내에서 이동 중인 차량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차량영상을 영상처리장치(103)로 전송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es 102 and 103 represent a camera and may be installed around at least one parking entrance, a ceiling of a passageway through which the vehicle 107 in the parking lot moves, a pillar, and a parking spac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2 or 103 may photograph a vehicle to be entered into a parking lot, a vehicle to be released to a parking lot, a vehicle to be parked in a parking space, a vehicle moving in a parking lot,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vehicle image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3. have.

영상처리장치(103)는 촬영장치(102, 103)로부터 수신된 차량영상을 대상으로 차량 번호, 차종 등을 인식하는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IoT 서버(105)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IoT 서버(105)와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별도로 구현된 경우, 영상처리장치(103)는 인식된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를 IoT 서버(105)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3 i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for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a vehicle type, etc., on a vehicle image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2 or 103, and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the IoT server 105. Alternatively, the IoT server 105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When implemented separatel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3 may transmit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nd vehicle model information to the IoT server 105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IoT 서버(104)는 인식된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 주차장 내 설치된 복수의 IoT 모듈(즉, IoT 센서, 101)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 내에서 입차된 특정 차량의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서버(104)는 차량(107)이 입차한 주차장 입구부터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까지 존재하는 복수의 주차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주차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The IoT server 104 determines a parking space of a specific vehicle entered in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nd vehicle model information and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IoT modules (ie, IoT sensors) 101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Can be. In addition, the IoT server 104 may determin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arking paths existing from the parking lot entrance where the vehicle 107 enters to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데이터 푸시 서버(106)는 결정된 상기 주차 경로를 차량 및 차량 운전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경로는, 상기 주차장 입구부터 주차 가능 공간까지 최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107)에 탑재된 네비게이션(navigation) 및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108)을 통해 상기 주차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안내되는 주차 경로에 따라 차량과 연관하여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에 해당 차량이 주차를 완료할 때까지, 주차장 내 설치된 카메라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의 주차장 내 주행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The data push server 106 may provide the determined parking path to at least one of a vehicle and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vehicle driver. Here, the parking path may include the shortest path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Then, the parking path may be guided through the navigation mounted on the vehicle 107 and the user terminal 108 of the driver. The driving in the parking lot of the vehicle may be monitored based on a camera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until the vehicle completes parking in the designated parking available space associated with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guided parking path.

이때, 해당 차량이 주차 경로를 이탈한 경우, 주차장 내 기둥 등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해당 차량의 주차 가능 공간까지 올바른 이동 경로를 재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경로를 차량(107)의 네비게이션 및 사용자 단말(108)을 통해 안내되기 위해서는, 네비게이션은 상기 IoT 서버(105)로부터 상기 주차 경로를 수신하고, 차량(107)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8)은 상기 IoT 서버(105)로부터 상기 주차 경로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즉, 서비스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설치된 서비스앱이 구동되어 주차 경로, 주차 가능 공간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 주차경로 이탈여부 등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푸시알림(push notifi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deviates from the parking path, the correct moving path may be guided to the parking sp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pillar in the parking lot. In order to guide the parking path through the navigation of the vehicle 107 and the user terminal 108, the navigation program for receiving the parking path from the IoT server 105 and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107. You may be downloading and installing. Similarly, the user terminal 108 may receive the parking path from the IoT server 105 and download and install a service application (ie, a service app) for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n, the installed service app is driven to provide a push notification (push notific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whether the parking path,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 whether to leave the parking path.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300)은 촬영부(310), 정보 인식부(320), 주차 공간 결정부(330), 경로 제공부(340), 경로 이탈 결정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300)은 차량이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에 주차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주차 완료 확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300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310, an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320, a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330, a path providing unit 340, and a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It may include. The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300 may further include a parking completion checking unit (not shown) for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vailable space.

도 3에서, 촬영부(310)는 도 1의 촬영장치(102)에 해당하고, 정보 인식부(320)는 영상처리장치(104)에 해당할 수 있다. 경로 제공부(340)는 도 1의 데이터 푸시 서버(106)에 해당할 수 있다.In FIG. 3, the photographing unit 310 may correspon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2 of FIG. 1, and the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320 may correspond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4. The path provider 340 may correspond to the data push server 106 of FIG. 1.

먼저, 주차장에 입차한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종을 인식하기 이전에 선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딥러닝(deep learning) 등의 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주차장 입구를 지나가는 차량이 입차하려는 차량인지 단순히 주차장 입구를 지나가는 차량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수집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올 때, 즉, 입차 차량의 이미지, 차량이 입차하지 않고 지나가는 거짓 차량 이미지를 구분하여 딥러닝 등의 학습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학습시킴으로써, 학습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학습 모델의 입력으로서, 촬영부(310)에서 촬영된 차량영상을 학습 모델의 입력으로 넣어 해당 차량이 입차차량인지 아니면 지나가는 차량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입차차량으로 결정되면, 해당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를 인식하는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학습 모델 이외에 주차 차단 바(bar)에 부착된 마커(marker), 태그 인식 등을 기반으로 차량이 주차장으로 입차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First, the preprocessing may be performed before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and the vehicle model of the vehicle entered in the parking lot. For example, based on a learning model generated based on a learning algorithm such as deep learning,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vehicle passing through the parking lot entrance is a vehicle to be entered or simply a vehicle passing through the parking lot entrance. For example, by learning based on a learning algorithm such as deep learning by dividing a vehicle image into a parking lot based on pre-collected big data, that is, an image of a vehicle in receipt and an image of a false vehicle passing through without entering the vehicle. You can create a model. In addition, as an input of the generated learning model, the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10 may be inserted as an input of the learning model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a parking vehicle or a passing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occupied,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and the vehicle model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vehicle. In this case,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marker attached to the parking blocking bar, a tag recognition, etc. in addition to the learning model.

210 단계에서, 차량이 주차장 입구에서 입차하려 할 때, 촬영부(310)는 입차하려는 차량을 대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In operation 210, when the vehicle tries to enter the parking lot entrance, the photographing unit 310 may photograph the vehicle to be entered.

220 단계에서, 정보 인식부(320)는 촬영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In operation 220, the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320 may recognize vehicle number and mode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based on the captured vehicle image.

일례로, 정보 인식부(320)는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특정 영역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숫자, 문자 등을 인식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정보 인식부(320)는 해당 차량의 전면부 이외에 해당 차량의 후면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후면부 차량영상에서 차량의 후면부에 주로 표기되는 차종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영상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차량영상에 포함된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문자(예컨대, 한글, 영문, 일문, 중문 등) 및 숫자 조합을 통해, 해당 차량이 SM 5인지, 그랜져인지, BMW인지, 소나타인지, K7인지 여부 등을 판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320 extracts a feature point from a specific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number with respect to the vehicle image, and recognizes a vehicl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by recognizing a number, a letter, etc.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point. Can be. The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320 may photograph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o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and recognize vehicle type information mainly display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from the photographed rear vehicle image. For example, the feature point may be extracted from the vehicle image, and letters and numbers included in the vehicle image may be recognized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point. Th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SM 5, Grandeur, BMW, Sonata, K7, etc.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recognized characters (eg, 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230 단계에서,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주차장 내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 IoT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입차된 차량으로 안내할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은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와 연관하여 해당 차량이 출차할 때까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In operation 230,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determine a parking space to be guided to the occupied vehicl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IoT sensors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may be stored and maintained in a database until the vehicle leaves the vehicle in association with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240 단계에서, 경로 제공부(340)는 차량이 위치하는 주차장 입구부터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차 경로를 차량 및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결정된 주차 경로는 해당 차량의 주차가 완료될 때까지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임시적으로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In operation 240, the path provider 340 may determine a parking path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to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and provide the determined parking path to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The determined parking path may be temporarily stored and maintained in a database in association with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until the parking of the vehicle is completed.

일례로, 주차 가능 공간이 결정되면, 주차장의 입구부터 주차 가능 공간까지 안내하기 위한 다양한 주차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제공부(340)는 복수의 주차 경로들 중 거리가 가장 짧은 주차 경로를 결정하여 차량 및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arking space is determined, there may be various parking paths for guiding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the parking space. In this case, the path provider 340 may determine a parking path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among the plurality of parking paths and provide the same to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250 단계에서, 경로 이탈 결정부(350)는 제공된 주차 경로,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주차장 내 설치된 카메라를 기반으로 차량이 주차 경로에서 이탈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250,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provided parking pat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a camera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260 단계에서, 경로 제공부(340)는 주차 경로 이탈 여부 결정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경로 이탈 여부를 알리는 푸시 알림과 함께,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 재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경로 이탈 및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자세한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operation 260, the route providing unit 340 may provide the parking route re-guid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long with a push notification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leaves the parking rout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parking route is separated. have. Here, a detailed operation of deviating from the parking path and re-guiding the parking pat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에 지정할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operation of determining a parking available space to designate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각 단계들(410 내지 440 단계들)은 도 3의 주차 공간 결정부(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teps 410 to 440 of FIG. 4 may be performed by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of FIG. 3.

410 단계에서,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로부터 차량이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할 때 마다 주차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operation 410,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receive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each time a vehicle parks in a corresponding parking space from at least one IoT sensor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일례로,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 IoT 센서는 해당 주차 공간의 정지석에 차량의 바퀴가 닿거나 정지석 주변 일정 거리 이내로 차량이 진입하여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면, 주차 감지를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1등의 플래그(flag)를 IoT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출차를 위해 주차 공간에서 이탈하는 경우, 주차 공간이 비어 있음을 알리기 위해 예컨대, 0 등의 플래그를 IoT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IoT 센서의 식별자 정보와 함께 해당 IoT 센서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예컨대, 0, 1 등의 플래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완료를 나타내는 플래그 0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가 주차 완료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oT sensor installed for each parking spac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parking detection, for example, a flag such as 1 when the vehicle's wheels reach the stop seat of the parking space or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stop seat. (flag) can be sent wirelessly to the IoT server. When the vehicle leaves the parking space for leaving the vehicle, a flag such as 0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IoT server to indicate that the parking space is empty. Then,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receive sensing information (eg, a flag of 0, 1, etc.) detected by the corresponding IoT sensor along with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Here,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lag 0 indicating the parking completion may correspond to the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420 단계에서,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수신된 주차 완료 정보, 해당 IoT 센서관련 주차 공간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 전체 주차 공간 중 주차 완료된 공간을 제외한 주차 가능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In operation 420,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check the available parking space except for the completed parking space among all the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received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IoT sensor-related parking space identifier information.

일례로,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주차장 내 층 별 모든 IoT 센서의 위치(즉, IoT 센서의 식별자 정보) 및 IoT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 주차 공간들 중 주차 가능 공간과 이미 주차된 공간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면서 확인 가능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각 IoT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즉, 주차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 전체 주차 공간 중에서 주차 완료된 공간을 제외하고, 주차 가능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be configured to store all of the IoT sensors per floor in the parking lot stored in advance (i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and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You can manage your parking spaces and already parked spaces while keeping them up to date. Accordingly,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check the available parking space except for the parked space among all the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ie,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IoT sensor.

430 단계에서,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을 대상으로,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의 크기정보 및 인식된 차종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가 불가능한 공간인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시킬 수 있다. In operation 430,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not park the vehicle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parking space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model information. The non-parking space can be excluded.

일례로, IoT 센서의 식별자 정보와 함께 해당 주차 공간의 크기 정보가 연관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그러면,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입차된 차량의 차종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차종 별 차량 크기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IoT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주차장 내 주차 가능 공간 중 각 주차 가능 공간의 크기정보 및 상기 추출된 차량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가 어려운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may be associated and stored and managed. Then,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extract vehicle siz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model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based on the vehicle vehicle mode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each available parking space and the extracted vehicle size information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identifi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You can exclude difficult parking spaces.

440 단계에서,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하고 남은 나머지 주차 가능 공간 중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을 해당 차량에 안내할 최종 주차 가능 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operation 440,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provide a final parking space to guide the vehicle to the vehicle, which is the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mong the remaining parking spaces except the non-parking space among the identified parking spaces. Can be determined.

즉,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주차장 내 빈 주차 공간) 중 해당 차량의 차종(예컨대, 미니쿠퍼, 마티즈, 소나타, SM 5, 그랜져 등)을 기반으로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하고 남은 공간, 즉, 해당 차량이 주차 가능한 크기를 갖는 주차 가능 공간 중에서 최종적으로 해당 차량에 지정할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이 하나인 경우, 즉,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은 여러 개이나 해당 차종에 알맞은 주차 가능 공간이 하나인 경우, 해당 주차 가능 공간을 최종적으로 해당 차량에 지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remaining space except for the non-parking space based on the vehicle model (eg, Mini Cooper, Matiz, Sonata, SM 5, Grandeur, etc.) among the identified parking available spaces (empty parking space in the parking lot), that is, It is possible to finally determine the available parking space to be assigned to the vehicle from the available parking space having a size that the vehicle can park. In this case, when the determined parking available space is one, that is, the number of the confirmed parking available spaces, or when there is one parking available space suitable for the vehicle type, the corresponding parking available space can be finally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그리고, 해당 차량에 지정할 수 있는 주차 가능 공간이 복수개인 경우,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복수개의 주차 가능 공간 중에서 주차장의 입구(예컨대, 차량이 주차장 입구에서 입차하는 경우 주차장 입구가 차량의 현재 위치에 해당할 수 있음)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을 해당 차량에 지정할 주차 가능 공간으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that can be assigned to the vehicle, the parking space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entrance is one of the plurality of parking available spaces). May be determined as the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vehicle.

이외에,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앱을 통해 미리 등록된 선호 주차 공간, 운전자 정보(예컨대, 장애인인지, 여성 운전자인지, 나이를 기반으로 노약자인지 등)가 차량번호와 연관하여 미리 등록된 경우,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확인된 해당 차량의 차종에 알맞은 복수의 주차 가능 공간 중에서 장애인 주차 공간, 여성 운전자 전용 공간 등에 해당하는 주차 가능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조건에 맞는 주차 가능 공간을 우선적으로 해당 차량에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referred parking space and driver information (eg, disabled person, female driver, elderly person based on age, etc.) registered in advance through the service app of the user terminal are pre-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vehicle number, the parking space is determined. The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arking space corresponding to a disabled parking space, a female driver's space, and the like, among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suitable for the identified vehicle model, and determines a parking space that meets the identified conditions. Priority can be assigned to the vehicl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re-guiding a parking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각 단계들(510 내지 540 단계들)은 도 3의 경로 제공부(340) 및 경로 이탈 결정부(3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Each of the steps 510 to 540 in FIG. 5 may be performed by the path providing unit 340 and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of FIG. 3.

510 단계에서, 차량을 대상으로 주차 가능 공간이 지정되면, 경로 이탈 결정부(350)는 주차 경로에 따라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으로 올바르게 가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 이탈 결정부(350)는 주차장에 입차한 차량이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에 주차를 완료할 때까지 주차장 내에서 이동하는 차량을 주차장내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operation 510, when the parking available space is designated for the vehicle,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may monitor whether the vehicle is properly going to the designated parking available space according to the parking path. For example,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may continuously monitor a vehicle moving in the parking lot through a camera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until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completes parking in the designated parking available space.

520 단계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차량이 주차 경로를 이탈한 경우, 경로 이탈 결정부(350)는 차량이 잘못된 경로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520, when the vehicle leaves the parking path through monitoring,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moving in the wrong path.

일례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차량이 안내된 주차 경로를 따라 이동 중인 경우, 경로 이탈 결정부(350)는 올바르게 주차 가능 공간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가 안내된 주차 경로에 포함되면, 경로 이탈 결정부(350)는 해당 차량이 올바르게 주차 가능 공간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현재 위치가 주차 경로를 이탈한 경우, 경로 이탈 결정부(350)는 차량이 잘못된 경로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moving along the guided parking path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correctly moved to the parking space. That is,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continuously monitored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included in the guided parking path,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correctly moved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 this case,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deviates from the parking path,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moving in the wrong path.

530 단계에서, 경로 제공부(340)는 차량 및 사용자 단말로 해당 차량의 주차 경로 이탈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예컨대, 경로 제공부(340)는 "주차 경로를 이탈했습니다" 등의 푸시 알림을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In operation 530, the path providing unit 340 may notify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whether the vehicle leaves the parking path. For example, the route providing unit 340 may provide a push notification such as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route” to the navigation and the user terminal of the vehicle.

540 단계에서, 경로 제공부(340)는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해당 차량에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에 기초하여 주차 경로를 재안내할 수 있다.In operation 540, the path providing unit 340 may re-guide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parking space designated for the vehicle.

일례로, 경로 제공부(340)는 주차장 내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해당 차량에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에 해당하는 방향 정보(예컨대, 좌회전, 우회전 등)를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현재 위치는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지하 주차장 등으로 GPS 신호가 잘 잡히지 않는 경우, 경로 제공부(340)는 주차장 내 설치된 비콘 송신 장치에서 차량을 감지함에 따라 차량을 감지한 비콘 송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콘 송신 장치의 주차장 내 위치 정보(GPS 정보 등)는 비콘 송신 장치가 주차장 내에 설치될 때 비콘 송신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송신 장치는 주차장을 이동하는 차량이 감지될 때마다 비콘을 IoT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경로 제공부(340)는 차량을 감지한 비콘 송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즉, 비콘 송신 장치에서 감지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oute providing unit 340 may provide dir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designated for the vehicl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Turn left, turn right, etc.) He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may be received from the vehicle, or if the GPS signal is not easily captured by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route providing unit 340 detects the vehicle as the beacon transmitting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detects the vehicl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may be check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Here,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etc.) in the parking lot of the beacon transmitting apparatus may be matched with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beacon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he beacon transmitt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may be stored and maintained in a database in advance. The beacon transmitting apparatus may transmit a beacon to the IoT server whenever a vehicle moving in the parking lot is detected. Then, the path providing unit 340 may check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vehicle detected by the beacon transmitting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transmitting device that detects the vehicle.

그러면, 경로 제공부(340)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차량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경로 제공부(340)는 결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즉, 주차장 기둥 등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해당 차량에 지정된 주차 공간으로의 방향정보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안내되는 좌회전, 또는 우회전 정보를 참고하여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을 찾아갈 수 있다. 그리고,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에 주차를 완료하면, 주차 완료 확인부(미도시)는 주차 가능 공간 주변에 위치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영상을 기반으로 획득한 차량 번호, 해당 주차 가능 공간의 IoT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즉, 주차 완료 정보인 1등의 플래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이 지정된 주차 공간에 주차를 완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주차 완료가 확인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임시적으로 저장 및 유지하고 있는 특정 차량의 차량 번호와 연관된 주차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할 수 있다.Then, the path providing unit 340 may determine the display device closest to the vehicl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The path providing unit 340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to provide direction information to a parking space designated for the vehicle through the determined display device (ie,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pillar). The vehicle may go to the designated parking available space by referring to the left turn or right turn information which is re-guid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When the parking is completed in the designated parking space, the parking completion check unit (not shown) is obtained from a vehicle number acquired based on a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located near the parking space, and the IoT sensor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that is, a flag such as 1, which is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vehicle has completed parking in the designated parking space. Once the parking is confirmed, the parking path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of the specific vehicle temporarily stored and maintained in the database can be deleted from the database.

이처럼, 경로 이탈 결정부(350)는 차량이 해당 차량에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에 주차를 완료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주차장 내에서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링하고, 경로 제공부(340)는 모니터링에 따라 차량이 잘못 가고 있으면 주차 가능 공간으로의 방향정보를 재안내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차 가능 공간에 보다 쉽게 주차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As such,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350 continuously monitors the driving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lot until the vehicle completes parking in the parking space designated for the vehicle, and the path providing unit 340 monitors the driv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If you go wrong, you can help the driver to park in the parking space more easily by redirect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parking space.

이때, 차량이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으로 주행할 때, 해당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상기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에 주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travels to the designated parking space, a vehicle other than the vehicle may park in the designated parking space.

일례로, IoT 센서로부터 주차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주차 완료 확인부는 해당 주차 가능 공간 주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영상으로부터 획득한 차량번호가 상기 주차 가능 공간에 연관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일치하며 주차 완료로 결정하지만, 일치하지 않는 경우(즉, 차량번호가 다른 경우), 다른 차량이 자신에게 지정된 공간이 아닌 주차 가능 공간에 주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the parking completion checker may check whether the vehicle number acquired from the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round the parking space corresponds to the vehicle number associated with the parking space. have. At this time, if it matches and decides to complete the parking, but does not match (that is, when the vehicle number is differen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other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vailable space instead of the space designated for itself.

그러면,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차량의 차종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 중에서 다른 차량에 지정되고 남아 있는 주차 가능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공간 결정부(330)는 남아있는 주차 가능 공간 중 차량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을 해당 차량의 주차 가능 공간으로 재결정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 시 해당 차량에 지정된 주차 가능 공간이 이미 다른 차량이 무단으로 주차함에 따라, 다른 주차 가능 공간이 해당 차량에 다시 지정될 수 있다. 경로 제공부(340)는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다시 지정된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행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행 경로를 차량 및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제공부(340)는 다시 결정된 주행 경로가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n,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arking space designated and remaining in another vehicle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determined based on the vehicle model information.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re-determine the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mong the remaining parking spaces as the parking available space of the vehicle. That is, when a vehicle enters a parking lot, another parking available space may be re-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because another parking space designated by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already parked without permission. The route providing unit 340 may determine a driving rout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ignated parking available space and provide the determined driving route to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route providing unit 340 may control the display apparatus such that the determined driving route i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embodiments,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follow.

Claims (10)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에 입차하려는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주차장 내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IoT 센서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인식된 상기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안내할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주차장 입구부터 결정된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상기 차량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상기 주차 경로,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주차장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에서 이탈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경로 이탈 여부와 함께,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에 입차하려는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에 입차한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기 전에 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주차장 입구를 지나가는 차량이 입차하려는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 입구를 지나가는 차량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특정 영역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숫자,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숫자 및 문자의 조합을 통해 상기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차량 영상은, 상기 해당 차량의 전면부 및 상기 해당 차량의 후면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로부터 차량이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할 때마다 주차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차 완료 정보 및 해당 IoT 센서관련 주차 공간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 전체 주차 공간 중 주차 완료된 공간을 제외한 주차 가능 공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을 대상으로,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의 크기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차종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관련하여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시키고,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상기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한 주차 가능 공간 중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을 상기 안내할 주차 가능 공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을 대상으로 할당된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이 주차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을 재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재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재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
In the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Photographing a vehicle to be entered in a parking lot;
Recognizing vehicle number and vehicle model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vehicle based on the captured vehicle image;
Determining a parking available space to be guided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type information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determined based on an IoT sensor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with a parking path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to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provided parking pat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Re-guiding the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long with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determination
Including,
Photographing the vehicle to enter the parking lot,
Before recognizing vehicle number and vehicl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based on a learning model generated based on a learning algorith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passing the parking lot entrance is the vehicle to be entered or the vehicle passing the parking lot entrance. step
Including,
Recognizing vehicle number and vehicle mode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based on the captured vehicle image,
A feature point is extracted from a specific area corresponding to a vehicle number based on the captured vehicle image, a number and a letter are recognized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point, and the vehicl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recognized number and letter. Recognizing number and model information
Including,
The photographed vehicle image may include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Determini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
Receive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each time the vehicle parks in the parking space from the at least one IoT sensor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and based on the received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parking sensor identifier parking information, The parking spaces of the entire parking spaces are checked except for the parked spaces, and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s are checked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parking spaces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model information. Excluding the non-parking spac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nd determining a parking space that is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except the non-parking space among the identified parking spaces as the guideable parking space.
Including,
Re-guiding the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s another vehicle parks in the parking space allocated for the vehicle, the closest parking available space is re-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determined based on the vehicle mode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Re-guiding the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re-determined parking space through at least one of a display device, a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positioned arou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에서 이탈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을 기반으로 이동하고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연관된 주차 경로 상에 해당 차량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주차 경로 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차량이 주차 경로로 올바르게 주행 중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주차 경로 상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of a moving vehicle based on a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s the vehicle enters and moves to a parking lot;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included in the parking path associated with the vehicle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driving correctly along the parking path as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included on the parking path; And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as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not included on the parking path.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대상으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 가능 공간으로의 방향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Re-guiding the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Determining a display device closest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for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Guiding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parking spac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the determined display device;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주차 공간 주변에 위치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을 기반으로 획득한 차량 번호 및 상기 결정된 주차 공간의 IoT 센서로부터 수신된 주차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 공간에 지정된 차량이 주차 완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basis of a vehicle number acquired based on a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located around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and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of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whether a vehicle specifi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has completed parking. Step to verify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more.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에 입차하려는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는 정보 인식부;
주차장 내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IoT 센서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인식된 상기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안내할 주차 가능 공간을 결정하는 주차 공간 결정부;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주차장 입구부터 결정된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상기 차량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경로 제공부; 및
제공된 상기 주차 경로,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주차장 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에서 이탈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경로 이탈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제공부는,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경로 이탈 여부와 함께,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상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재안내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주차장에 입차한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기 전에 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생성된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주차장 입구를 지나가는 차량이 입차하려는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 입구를 지나가는 차량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인식부는,
상기 촬영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특정 영역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숫자,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숫자 및 문자의 조합을 통해 상기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및 차종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차량 영상은, 상기 해당 차량의 전면부 및 상기 해당 차량의 후면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 공간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로부터 차량이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할 때마다 주차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차 완료 정보 및 해당 IoT 센서관련 주차 공간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 전체 주차 공간 중 주차 완료된 공간을 제외한 주차 가능 공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을 대상으로,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의 크기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차종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관련하여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시키고, 확인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상기 주차 불가 공간을 제외한 주차 가능 공간 중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을 상기 안내할 주차 가능 공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 제공부는,
상기 차량을 대상으로 할당된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이 주차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을 재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부터 재결정된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주차 경로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재안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In the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to enter the parking lot;
An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vehicle number and model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vehicle based on the captured vehicle image;
A parking spac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parking space to be guided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model information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determined based on an IoT sensor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n the parking lot;
A path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with a parking path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to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And
A path departure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provided parking pat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Including,
The route providing unit,
Re-guiding the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long with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based on the determination
Including,
The photographing unit,
Before recognizing vehicle number and vehicl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based on a learning model generated based on a learning algorith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passing the parking lot entrance is the vehicle to be entered or the vehicle passing the parking lot entrance. That includes,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 feature point is extracted from a specific area corresponding to a vehicle number based on the captured vehicle image, a number and a letter are recognized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point, and the vehicl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recognized number and letter. Including recognizing number and model information,
The photographed vehicle image includes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and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The parking space determination unit,
Receive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each time the vehicle parks in the parking space from the at least one IoT sensor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and based on the received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parking sensor identifier parking information, The parking spaces of the entire parking spaces are checked except the parked spaces, and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s are checked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parking spaces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model information. Excluding the non-parking spac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nd determining a parking space that is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except the non-parking space among the identified parking spaces as the guideable parking space. and,
The route providing unit,
As another vehicle parks in the parking space allocated for the vehicle, the closest parking available space is re-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determined based on the vehicle mode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Re-guiding the parking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re-determined parking space through at least one of a display device, a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located arou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결정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을 기반으로 이동하고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과 연관된 주차 경로 상에 해당 차량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주차 경로 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차량이 주차 경로로 올바르게 주행 중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주차 경로 상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parture determining unit,
As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and moves, the vehicle number of the moving vehicle is recognized based on the vehicle images photographed by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the vehicle number is associated with the vehicle based on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Check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included in the parking path,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driving correctly in the parking path as the current location is determined to be included in the parking path, and the current location is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has left the parking path as it is determined not to be included in the parking path.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공부는,
상기 주차장 내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대상으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 가능 공간으로의 방향 정보가 안내되도록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oute providing unit,
The display apparatus close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for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the determined direction information is guided to the parking available spac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the determined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display devices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주차 공간 주변에 위치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을 기반으로 획득한 차량 번호 및 상기 결정된 주차 공간의 IoT 센서로부터 수신된 주차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 공간에 지정된 차량이 주차 완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주차 완료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 the basis of a vehicle number acquired based on a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located around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and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oT sensor of the determined parking space, whether a vehicle specifi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has completed parking. Parking completion confirmation department to confirm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more.
KR1020180055476A 2018-05-15 2018-05-1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KR102059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476A KR102059849B1 (en) 2018-05-15 2018-05-1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476A KR102059849B1 (en) 2018-05-15 2018-05-1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36A KR20190130836A (en) 2019-11-25
KR102059849B1 true KR102059849B1 (en) 2019-12-27

Family

ID=6873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476A KR102059849B1 (en) 2018-05-15 2018-05-1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84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328B1 (en) * 2020-11-26 2021-05-07 김민구 System for providing user oriented parking information based on use
KR20210099336A (en) 2020-02-04 2021-08-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arking space alert system
KR102326320B1 (en) * 2020-07-30 2021-11-15 (주)애드파인테크놀러지 Coating materials, and application process for ultra thin glass as cover window of ultrathi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s by using the same
KR20220121961A (en)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ctv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307B1 (en) 2020-07-07 2022-09-30 (주)제이엔디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integrated service system using vehicle wireless detection sensor and parking reservation method using this
KR102278030B1 (en) * 2020-12-07 2021-07-15 주식회사 디에이치디 System for guiding the vehicles based on the vehicle tracking information acknowledged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e parking booth
KR102565883B1 (en) * 2020-12-30 2023-08-11 강준영 System for offering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s near to the parked vehicles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cognition
KR102565897B1 (en) * 2020-12-30 2023-08-11 강준영 System guiding with the acknowledged information of the speciality vehicles to the parking booth
KR102576261B1 (en) * 2021-01-06 2023-09-15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Parking Management Method by Using Image Data and Kiosk and System thereof
KR102256896B1 (en) * 2021-02-24 2021-05-27 더함비즈 주식회사 Unmanned smart parking system
KR102362776B1 (en) * 2021-04-26 2022-02-14 주식회사 알에스솔루션즈 PARKING CONTROL SYSTEM BASED ON IoT PLATFORM HAVING REMOTE CONTROLLING FUNCTION AND METHOD PERFORMING THE SAME
CN113223320A (en) * 2021-04-30 2021-08-06 广东科陆智泊信息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parking space of on-road parking lo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689732A (en) * 2021-08-27 2021-11-2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Vehicle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g data
KR102428104B1 (en) * 2021-12-29 2022-08-03 (주)진명아이앤씨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perat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KR102463985B1 (en) * 2022-05-23 2022-11-04 김병수 Internet of things-based traffic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5534935B (en) * 2022-12-02 2023-06-16 广汽埃安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5889A (en) * 2005-07-13 2007-02-01 Fujitsu Ten Ltd Parking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611A (en) * 2007-06-19 2008-12-24 최호림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service via network
KR101237200B1 (en) * 2011-03-16 2013-02-25 장보영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management of parking lot
KR101771652B1 (en) * 2015-08-27 2017-08-28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Parking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5889A (en) * 2005-07-13 2007-02-01 Fujitsu Ten Ltd Parking management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336A (en) 2020-02-04 2021-08-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arking space alert system
KR102326320B1 (en) * 2020-07-30 2021-11-15 (주)애드파인테크놀러지 Coating materials, and application process for ultra thin glass as cover window of ultrathi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s by using the same
KR102249328B1 (en) * 2020-11-26 2021-05-07 김민구 System for providing user oriented parking information based on use
KR20220073611A (en) * 2020-11-26 2022-06-03 김민구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KR20220073612A (en) * 2020-11-26 2022-06-03 김민구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considering adaptive situation
KR102439338B1 (en) * 2020-11-26 2022-08-31 김민구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KR102441878B1 (en) * 2020-11-26 2022-09-07 김민구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considering adaptive situation
KR20220121961A (en)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ctv
KR102603969B1 (en) * 2021-02-25 2023-11-23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c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36A (en)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8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JP6813595B2 (en) How to verify the content and location of traffic signs
JP6503218B2 (en) Driving support system,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US20200175558A1 (en) Ridesharing management device, ridesharing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N107249940B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in autonomous operating mode and located on a parking lot
US8209123B2 (en) Road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road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and road information generating program
US20200209011A1 (en) Vehicle system, autonomous vehicle,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20114893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of vehicle, 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lot guidance service using them
JP6785960B2 (en) Free space notification device, free space notification system and free space notification method
TWI550567B (en) Parking lot search guide system
CN110164164B (en) Method for enhancing accuracy of mobile phone navigation software for identifying complex road by utilizing camera shooting function
KR102441677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JP2019079325A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commercial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commercial facility management program
US20190120644A1 (en) Vehicle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commended path
JP2015105833A (en) Route search system
CN104729480A (en) Elevated road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JP2022030770A5 (en)
US20230111327A1 (en) Techniques for finding and accessing vehicles
US20220156504A1 (en) Audio/video capturing device, vehicle mounted device, control centre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JP7109905B2 (en) Routing device and routing method
KR201801208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toll gate area in vehicle
KR102393619B1 (en) System for producing parking map using deep-learning
JP7153510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21007221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ar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WO20201217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oving object, and moving object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