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110B1 -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110B1
KR102059110B1 KR1020180144837A KR20180144837A KR102059110B1 KR 102059110 B1 KR102059110 B1 KR 102059110B1 KR 1020180144837 A KR1020180144837 A KR 1020180144837A KR 20180144837 A KR20180144837 A KR 20180144837A KR 102059110 B1 KR102059110 B1 KR 10205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ain body
case
sub mai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964A (ko
Inventor
나현호
Original Assignee
나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현호 filed Critical 나현호
Publication of KR2019008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휴대폰이 장착되어 휴대폰의 파손을 방지하며, 화재 등과 같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원터치 방식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소형 방독면을 동작시킴으로써, 방독면을 상시 휴대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서 유해 공기를 정화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with gas mask}
본 발명은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에는 휴대폰이 장착되어 휴대폰의 파손을 방지하며, 화재 등과 같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원터치 방식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소형 방독면을 동작시켜 유해 공기를 정화하거나 차단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방독면은 독가스나 세균, 방사성 물질로부터 피해를 막기 위해 얼굴 전체를 가려 보호하도록 만든 기구이다.
이러한 방독면은 부피가 커서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실제 생활하는 동안에 휴대하기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04554호 [제목: 호흡기가 장착된 휴대폰]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휴대폰이 장착되어 휴대폰의 파손을 방지하며, 화재 등과 같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원터치 방식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소형 방독면을 동작시켜 유해 공기를 정화하거나 차단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터치 방식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에 형성된 개방기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휴대폰 케이스와 무선 통신 연결된 휴대폰에 해당 휴대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해당 휴대폰에서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플래시 동작 활성화, 적외선 카메라 동작 활성화,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서버 등에 전송, 경고음 출력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개방기, 정화통 및 제 2 서브 본체가 형성되는 제 1 서브 본체; 및 상기 제 1 서브 본체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 1 호흡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기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본체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된 휴대폰이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둘레턱;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된 상기 휴대폰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연결잭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 단자부; 이어폰의 연결잭이 연결되지 위한 이어폰 연결부;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부가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개구부 상기 휴대폰의 측면에 형성된 음량 조절 버튼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개구부; 및 상기 휴대폰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 화면 온/오프용 버튼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개방기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개방기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 서브 본체에 수납된 상기 제 1 호흡구 및 상기 배출구로 구성된 상기 제 2 서브 본체가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정화통은, 상기 제 1 서브 본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필름에 의해 막힌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상기 필름이 제거되어 상기 정화통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외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호흡기는,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상기 정화통을 통해 전달되는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배관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정화통을 통해 전달되는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입 안에 넣고 호흡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의 상면에 휴대폰이 장착될 때 상기 휴대폰과 통신 연결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어 신호를 상기 휴대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LED부를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GPS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미리 등록된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미리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 배터리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상기 보조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근거로 광원을 출력하는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휴대폰이 장착되어 휴대폰의 파손을 방지하며, 화재 등과 같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원터치 방식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소형 방독면을 동작시킴으로써, 방독면을 상시 휴대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서 유해 공기를 정화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에 형성된 개방기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휴대폰 케이스와 무선 통신 연결된 휴대폰에 해당 휴대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해당 휴대폰에서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플래시 동작 활성화, 적외선 카메라 동작 활성화,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서버 등에 전송, 경고음 출력 등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제공을 통해 해당 응급 상황에서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탈부착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방독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작용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가 구성된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20)이 탈부착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10)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10)의 측면을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10)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방독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작용하는 휴대폰 케이스(10)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가 구성된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10)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10)는 케이스 본체(100), 제 1 서브 본체(200), 제 2 서브 본체(300), 제 2 호흡구(400), 배관(500), 통신부(600) 및 LED(7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하면(또는 하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가 형성되고, 상면에 휴대폰(20)의 배면이 장착(또는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장착된(또는 안착된) 상기 휴대폰(20)이 유동되지 않도록 둘레턱(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장착된 상기 휴대폰(20)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연결잭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 단자부(120), 이어폰(미도시)의 연결잭이 연결되기 위한 이어폰 연결부(130), 상기 휴대폰(20)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부(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 등 포함)가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개구부(140), 상기 휴대폰(20)의 측면에 형성된 음량 조절 버튼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개구부(150), 상기 휴대폰(20)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 화면 온/오프용 버튼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개구부(160) 등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부(12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 일측에 개구되어 형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 상기 휴대폰(20)이 장착된 경우, 상기 연결 단자부(120)는 상기 휴대폰(20)의 일측에 형성된 충전 단자(미도시)가 외부 충전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어폰 연결부(13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의 다른 일측에 개구되어 형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 상기 휴대폰(20)이 장착된 경우, 상기 이어폰 연결부(130)는 상기 휴대폰(2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이어폰 단자(미도시)가 외부 이어폰(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1 개구부(140)와 상기 휴대폰(20)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부가 일정 간격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 1 개구부(140)와 상기 휴대폰(20)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부 사이에는 렌즈부(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부의 구성에 의해, 상기 휴대폰(20)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부는 확대된 영상을 획득(또는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본체(또는 정화구)(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 내부의 하면(또는 하부)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에는 개방기(210), 정화통(220) 및 제 2 서브 본체(3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는 평상시 해당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에 구비(또는 수납)되는 제 1 호흡구(310) 및 배출구(320)로 구성된 제 2 서브 본체(3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는 평상시 해당 제 1 서브 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정화통(22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개방기(또는 버튼)(210)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상면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개방기(210)는 버튼 형식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제어(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개방기(210)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에 수납된(또는 구비된) 상기 제 1 호흡구(310) 및 상기 배출구(320)로 구성된 제 2 서브 본체(300)가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정화통(220)도 개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방기(210)가 버튼 형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에서 홈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홈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개방기(210)를 이동시킬 경우,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에 구성된 제 2 서브 본체(300)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정화통(220)의 일면에 형성된 필름이 제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정화통(220)은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상면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필름 등에 의해 상기 정화통(220)이 막힌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개방기(210)가 동작(또는 제어/선택)되는 경우 상기 필름이 제거되고 상기 정화통(220)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외부의 공기(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되어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정화통(220)은 제 1 여과지(또는 필터)(미도시), 활성탄(미도시), 제 2 여과지(미도시) 등이 순차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정화통(220)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한 후, 상기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제 1 호흡구(310) 및/또는 제 2 호흡구(400)로 전달(또는 배출)한다.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의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내부에는 상기 제 1 호흡구(310) 및 상기 배출구(3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기(210)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는 슬라이딩 방식 등에 의해서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가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여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의 일측(또는 일부)은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 1 호흡구(310)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의 내부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호흡구(310)는 필터 등을 구비하며, 상기 정화통(220)을 통해 전달되는(또는 배출되는) 상기 정화된 공기(또는 호흡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의 입을 상기 제 1 호흡구(310)에 대고 호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호흡구(310)는 사용자의 호흡이 용이하며, 상기 제 1 호흡구(310)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입 안에 넣고 호흡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호흡구(31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는 공기(또는 배출 공기)를 상기 배출구(320)로 전달(또는 배출)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개방기(210)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호흡구(310)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또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 1 호흡구(310)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와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간에 형성된 슬라이딩 구조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또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와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간에 형성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또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20)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의 내부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320)는 필터 등을 구비하며, 외부 공기가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또는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320)는 상기 제 1 호흡구(310) 및/또는 상기 제 2 호흡구(400)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또는 배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개방기(210)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배출구(320)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또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320)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와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간에 형성된 슬라이딩 구조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또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와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간에 형성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 내부(또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서브 본체(300)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는 상기 휴대폰 케이스(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개방기(2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정화통(220), 상기 제 1 호흡구(310), 상기 배출구(320)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된 경우, 사용된 제 1 서브 본체(200)를 상기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제거하고, 새로운 제 1 서브 본체(200)를 상기 휴대폰 케이스(10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호흡구(4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호흡구(400)는 사용자의 호흡이 용이하며, 상기 제 2 호흡구(400)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입 안에 넣고 호흡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호흡구(400)는 상기 배관(500)을 통해 상기 정화통(22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호흡구(4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배관(500)을 통해 상기 정화통(220)으로부터 전달되는(또는 배출되는) 상기 정화된 공기(또는 호흡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호흡구(4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는 공기(또는 배출 공기)를 상기 배관(500)을 통해 상기 배출구(320)로 전달(또는 배출)한다.
상기 배관(또는 호스)(500)은 기체(또는 공기), 액체 등이 유동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배관(500)은 상기 케이스 본체(100) 내부의 측면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배관(500)은 상기 제 2 호흡구(400)와 상기 정화통(220), 상기 배출구(320) 등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배관(500)은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화재에 따른 연기, 가스 사고에 따른 위험 가스,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에 대해서, 휴대가 간편한 휴대폰 케이스(10)에 정화 기능이 있는 소형 방독면을 구성하여, 신속하게 화재 및 응급 상황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통신부(6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상기 휴대폰(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60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60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60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상기 휴대폰(20)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 상기 휴대폰(20)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600)는 상기 휴대폰(20)으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주파수 에너지를 이용해서 동작하며, 근거리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폰(20)과 통신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개방기(210)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600)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제어 신호를 상기 휴대폰(2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이때, 상기 휴대폰(또는 스마트폰/단말)(20)은 상기 통신부(6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휴대폰(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휴대폰(20)에 구비된 LED부(미도시)를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또는 신호), 상기 휴대폰(20)에 구비된 카메라(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 등 포함)(미도시)를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상기 휴대폰(20)에 구비된 GPS 모듈(미도시)을 통해 해당 휴대폰(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휴대폰(20)의 위치 정보를 미리 등록된 서버(예를 들어 경찰청 서버, 응급구조 신고 서버 등 포함)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상기 휴대폰(20)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미리 설정된 경고음(또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휴대폰(20)은 상기 통신부(6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20)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휴대폰(20)에 구비된 LED부(또는 플래시부)(미도시)를 동작시켜, 응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게 외부 광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20)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휴대폰(20)에 구비된 적외선 카메라(미도시)를 동작시켜, 상기 휴대폰(20)을 통해 적외선 영상을 출력하여, 응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게 상기 적외선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20)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휴대폰(20)에 구비된 GPS 모듈(미도시)을 통해 해당 휴대폰(2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20)은 상기 확인된 휴대폰(20)의 위치 정보, 구조 요청 신호 등을 미리 등록된 119 서버에 대응하는 응급구조 서버(미도시)에 전송하여, 응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 대한 구조를 요청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20)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휴대폰(20)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미리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여, 응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위치를 다른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LED(또는 LED부/플래시)(7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외면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본체(2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개방기(210)가 동작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7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하면 다른 일측에 형성된 보조 배터리부(8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근거로 광원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휴대폰이 장착되어 휴대폰의 파손을 방지하며, 화재 등과 같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원터치 방식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소형 방독면을 동작시켜, 방독면을 상시 휴대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서 유해 공기를 정화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휴대폰 케이스 20: 휴대폰
100: 케이스 본체 200: 제 1 서브 본체/정화구
300: 제 2 서브 본체 400: 제 2 호흡구
500: 배관 600: 통신부
700: LED 800: 보조 배터리부
110: 둘레턱 120: 연결 단자부
130: 이어폰 연결부 140: 제 1 개구부
150: 제 2 개구부 160: 제 3 개구부
210: 개방기/버튼 220: 정화통
310: 제 1 호흡구 320: 배출구

Claims (8)

  1.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개방기, 정화통 및 제 2 서브 본체가 형성되는 제 1 서브 본체; 및
    상기 제 1 서브 본체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 1 호흡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기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본체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 2 서브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기는,
    상기 제 1 서브 본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개방기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 서브 본체에 수납된 상기 제 1 호흡구 및 상기 배출구로 구성된 상기 제 2 서브 본체가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화통은,
    상기 제 1 서브 본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필름에 의해 막힌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상기 필름이 제거되어 상기 정화통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상기 제 1 호흡구는,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상기 정화통을 통해 전달되는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전달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된 휴대폰이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둘레턱;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된 상기 휴대폰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연결잭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 단자부;
    이어폰의 연결잭이 연결되지 위한 이어폰 연결부;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부가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개구부
    상기 휴대폰의 측면에 형성된 음량 조절 버튼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개구부; 및
    상기 휴대폰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 화면 온/오프용 버튼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배관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정화통을 통해 전달되는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전달하며, 사용자가 입 안에 넣고 호흡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의 상면에 휴대폰이 장착될 때 상기 휴대폰과 통신 연결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어 신호를 상기 휴대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LED부를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GPS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미리 등록된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미리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 배터리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개방기가 동작할 때, 상기 보조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근거로 광원을 출력하는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20180144837A 2018-01-05 2018-11-21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2059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1700 2018-01-05
KR1020180001700 2018-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964A KR20190083964A (ko) 2019-07-15
KR102059110B1 true KR102059110B1 (ko) 2020-02-11

Family

ID=6725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837A KR102059110B1 (ko) 2018-01-05 2018-11-21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9907A1 (en) * 2019-08-31 2022-09-08 Earth Support Llc Wallet-type smartphone case
KR102275568B1 (ko) 2019-12-27 2021-07-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 구명 로프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282289B1 (ko) * 2020-05-13 2021-07-27 나현호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554Y1 (ko) * 2005-08-10 2005-12-26 박승환 호흡기가 장착된 휴대폰
US20140251368A1 (en) * 2012-06-13 2014-09-1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mpartment
KR200476393Y1 (ko) 2014-09-16 2015-02-27 양은재 스마트폰용 플립커버
JP2016049223A (ja) 2014-08-29 2016-04-11 株式会社ミカミ 緊急ユニット及び緊急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311A (ko) * 2013-05-15 2014-11-26 주식회사 아뮬레토 방독 및 방연 마스크 팩 내장형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102046353B1 (ko) * 2013-05-21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70029781A (ko) * 2015-09-08 2017-03-16 유제빈 살균기능이 포함된 휴대폰용 음이온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554Y1 (ko) * 2005-08-10 2005-12-26 박승환 호흡기가 장착된 휴대폰
US20140251368A1 (en) * 2012-06-13 2014-09-1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mpartment
JP2016049223A (ja) 2014-08-29 2016-04-11 株式会社ミカミ 緊急ユニット及び緊急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KR200476393Y1 (ko) 2014-09-16 2015-02-27 양은재 스마트폰용 플립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964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110B1 (ko) 소형 방독면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US7342502B2 (en) Wireless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DE102013018053B4 (de) Gebläsefiltergerät, Atemschutzsystem, Einsatzinfrastruktur und Verfahren
KR101418960B1 (ko) 긴급대피용 산소호흡기
US9961517B2 (en) Push to talk system with wireless interface
WO2011145838A3 (ko) 공기호흡장치용 안전경보시스템
JP2015163090A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CN103801037A (zh) 一种便携式呼吸装置
CN108363345A (zh) 一种消防灾害现场通讯系统
CN213313019U (zh) 动力送风和空气旁通二合一的呼吸防护装置
CN203816108U (zh) 一种便携式呼吸装置
AU2015201443B2 (en) Mine escape self-rescuer system and method
CN202605558U (zh) 接力式压缩氧自救器
CN111792029A (zh) 用于给人员通气供氧的自主飞行器
CN104618856B (zh) 一种智能救援方法及系统
CN207838053U (zh) 一种组合式空气呼吸防护系统
WO2013085143A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US2022033947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Features for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KR101980853B1 (ko)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CN206026897U (zh) 一种对讲防护罩
CN205052990U (zh) 一种安全矿灯帽
CN205672367U (zh) 具有声光报警功能的空气呼吸器
CN104288931A (zh) 空气呼吸器双重报警装置
KR20160066771A (ko) 휴대용 공기 저장팩
CN203915819U (zh) 集成式空气呼吸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