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854B1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854B1
KR102058854B1 KR1020130037902A KR20130037902A KR102058854B1 KR 102058854 B1 KR102058854 B1 KR 102058854B1 KR 1020130037902 A KR1020130037902 A KR 1020130037902A KR 20130037902 A KR20130037902 A KR 20130037902A KR 102058854 B1 KR102058854 B1 KR 102058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ck
door
oven
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575A (ko
Inventor
강준석
이지형
이영석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85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도어의 개방시 도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는 랙을 포함하는 오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오븐은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과,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도어의 회전 시 도어와 랙이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인출유닛을 포함하고, 인출유닛은, 도어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중심이 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개방시 도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는 랙을 포함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조리재료를 밀폐된 조리실에서 건열로 조리 재료를 익히도록 설계된 조리기구이며, 열원의 종류에 따라 전기식과 가스식으로 나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의 개방된 전면에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조리실 내부에는 조리할 음식이 그 상면에 안착되어 적재되는 랙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랙은 조리실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오븐의 조리가 완료되면 도어를 개방 시킨 후 랙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조리된 음식을 꺼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오븐의 조리된 음식을 꺼내기 위해서는 오븐의 도어를 개방시킨 후에 랙을 잡아당겨 인출시켜야 하는 2단계의 행동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 오븐의 조리실은 조리 후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로 손을 넣어 랙을 슬라이딩 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화상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븐의 도어 개방시 도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는 랙을 포함하는 오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오븐의 조리실 내부로 사용자가 직접 손을 넣지 않고도 랙을 인출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랙의 자동 인출을 위한 도어와 랙의 연결을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븐은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회전 시 상기 도어와 상기 랙이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인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유닛은,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중심이 상기 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유닛은, 상기 도어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랙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도어 전면에 노출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도어 내부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링크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크와 가이드부는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랙은 상기 가이드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랙의 선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고리부와, 상기 랙의 선단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리부와 상기 제2 고리부는 상기 본체의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는, 그 단부에 상기 고리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랙의 인출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븐 도어의 개방시 도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랙이 인출되므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븐의 조리실 내부로 사용자가 직접 손을 넣지 않고도 랙을 인출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랙의 자동 인출을 위한 도어와 랙의 연결을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중심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랙을 연결하는 인출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유닛의 버튼부와 가이드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유닛에 의한 랙 인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랙을 연결하는 인출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유닛의 버튼부와 가이드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유닛에 의한 랙 인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조리실(2)이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도어(20)는 조리실(2)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10)의 하단부에 힌지(23)결합되며, 도어(20)의 전면(20a) 상부에는 사용자가 도어(20)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21)가 설치된다.
조리실(2)에는 그 상면에 조리할 음식이 놓여지는 랙(50)이 설치된다.
랙(50)은 다수의 와이어가 밴딩 또는 연결되어 형성되며,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부(51)와, 테두리부(51) 내측의 그릴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랙(50)의 그릴부(52) 상면에 조리할 음식이 놓여지게 된다.
랙(50)의 테두리부(51)는 본체(10) 내부 좌우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레일(3)에 안착되며, 랙(50)은 레일(3)을 따라 조리실(2)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레일(3)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레일(3)을 따라 조리실(2)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랙(50)은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조리실(2)의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인입되어 조리실(2)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조리실(2) 내부의 랙(50)을 인출시키기 위해서 본체(10) 전면에 장착된 도어(20)를 열고 랙(50)을 잡아 당겨 조리실(2) 외측으로 이동시켜야 했다.
본 발명 실시예는 도어(20)의 개방 시 도어(20)와 랙(50)이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인출유닛(40)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유닛(40)은 도어(20)가 열리도록 회전 하면, 그 회전중심이 도어(20)와 함께 이동하면서 랙(50)이 인출되도록 도어(20)와 랙(50)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인출유닛(40)은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도어(20)와 랙(50)을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하게 하는 버튼부(30)와, 버튼부(30)의 이동에 의해 랙(50)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41)와, 가이드부(41)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랙(50)에 형성되는 고리부(53)를 포함한다.
버튼부(30)는 도어(20)의 전면(20a) 상부 일측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미관을 좋게 하도록 손잡이(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부(30)는 도어(20) 전면(20a)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31)와, 스위치(31)와 가이드부(41)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31)와 링크(32)는 연결축(31a)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스위치(31)의 좌우 이동에 의해 링크(32)가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31)는 도어(20) 전면(20a)에 위치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위치(31)는 손잡이(21)의 내측면 또는 양측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41)는 링크(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42)와, 제1 가이드(42)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제2 가이드(43)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42)는 링크(32)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42)의 단부와 링크(32)는 제1 가이드(42)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41a)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힌지(41a)는 도어(20)와 랙(50)을 연결하기 위한 인출유닛(40)의 회전중심으로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여 도어(20)의 개방 시 도어(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링크(32)와 링크(3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4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어(20)이 전면(20a)과 후면(20b)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부(41)는 도어(20) 후면(20b)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22)은 제1 가이드(42)의 회동을 위한 제1 가이드 슬릿(22a)과, 제2 가이드(43)의 이동을 위한 제2 가이드 슬릿(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 슬릿(22b)은 스위치(31)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2 가이드(43)가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 슬릿(22a) 보다 좌우측 방향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이드 슬릿(22b)은 그 단부에 랙(5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고정슬릿(44)을 포함한다.
랙(50)의 테두리부(51)에는 인출유닛(40)의 가이드부(41)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53)는 랙(50)의 선단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고리부(53a)와 랙(50)의 선단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고리부(53b)를 포함한다.
제1 고리부(53a)와 제2 고리부(53b)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고리부(53a)와 제2 고리부(53b)는 본체(10)의 제1방향(A)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방향(A)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리부(53)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41)와 버튼부(30)는 도어(20)와 랙(50)을 연결시 제2방향(B)으로 이동하고, 도어(20)와 랙(50)을 분리시 제1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랙(50)의 자동 인출을 원할 경우 스위치(31)를 제2방향(B)으로 이동시키고, 랙(50)의 자동 인출을 원하지 않을 경우 스위치(31)를 이동하지 않고 정 위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리부(53)의 돌출 방향을 제1방향(A)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리부(53)의 돌기 방향을 제2방향(B)으로 형성하고, 가이드부(41) 및 버튼부(30)를 제1방향(A)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어(20)와 랙(50)을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의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랙(50)을 자동 인출할 것인지 판단한다.
랙(50)의 자동 인출을 원할 경우 도어(20) 전면(20a)의 스위치(31)를 이동시킨다.
이때, 스위치(31)는 랙(50)의 고리부(53)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스위치(31)를 이동시키면 스위치(31)와 연결축(31a)으로 연결된 링크(32)가 이동하게 되며, 링크(32)의 양단부에 연결된 가이드부(41)의 고정슬릿(44)에 랙(50)의 고리부(53)가 연결되게 된다.
이렇게 도어(20)의 가이드부(41)와 랙(50)이 연결되면, 사용자는 도어(20)를 당겨 열고, 도어(20)의 개방에 따라 랙(50)이 자동으로 인출되게 된다.
랙(50)은 도어(20)의 개방 각도에 비례하여 인출될 수 있으며, 일정 거리 인출되면 본체(10) 레일(3)에 설치되는 스토퍼(60)에 의해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고 멈추게 된다.
조리실(2) 외부로 이동한 랙(50)의 상부에서 조리가 완료된 음식을 꺼낸 후에 도어(20)를 닫으면 랙(50)은 레일(3)을 따라 조리실(2)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실 내부로 직접 손을 넣지 않고도 랙을 인출할 수 있어 고온에 노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다.
반대로, 랙(50)의 자동 인출을 원하지 않을 경우 도어(20) 전면(20a)의 스위치(31)를 이동시키지 않으면 랙(50)은 도어(20)의 개방 여부에 관계없이 오븐(1)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오븐(1)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 : 오븐 2 : 조리실
10 : 본체 20 : 도어
21 : 손잡이 22 : 가이드 슬릿
30 : 버튼부 31 : 스위치
32 : 링크 40 : 인출 유닛
41 : 가이드부 42 : 제1 가이드
43 : 제2 가이드 43 : 고정슬릿
50 : 랙 53 : 고리부
60 : 스토퍼

Claims (9)

  1.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회전 시 상기 도어와 상기 랙이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랙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랙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인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도어 전면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양 끝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내부에서 좌우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함께 좌우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링크에 의해 좌우 이동되어 상기 랙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후면에는,
    제1 가이드의 회동을 위한 제1 가이드 슬릿 및 제2 가이드의 이동을 위한 제2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은 상기 스위치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상기 제2 가이드가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 슬릿 보다 좌우측 방향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링크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크와 가이드부는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가이드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랙의 선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고리부와, 상기 랙의 선단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부와 상기 제2 고리부는 상기 본체의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는,
    그 단부에 상기 고리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랙의 인출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KR1020130037902A 2013-04-08 2013-04-08 오븐 KR102058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902A KR102058854B1 (ko) 2013-04-08 2013-04-08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902A KR102058854B1 (ko) 2013-04-08 2013-04-08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575A KR20140121575A (ko) 2014-10-16
KR102058854B1 true KR102058854B1 (ko) 2019-12-26

Family

ID=5199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902A KR102058854B1 (ko) 2013-04-08 2013-04-08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8027A (zh) * 2019-01-14 2019-03-29 郭鑫 空气炸锅
EP3967933A1 (en) * 2020-09-10 2022-03-1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ppliance, in particular cooking appliance
CN116045655A (zh) * 2023-01-10 2023-05-02 佛山市蓝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半导体线框的烘箱以及烘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430Y1 (ko) 2001-08-17 2001-12-24 엘지전자주식회사 토스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430Y1 (ko) 2001-08-17 2001-12-24 엘지전자주식회사 토스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575A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014B2 (en) Oven appliance with dual pocketing doors
KR102280927B1 (ko) 오븐
US10429077B2 (en) Domestic oven having a door with two door wings
US9395093B2 (en) Range having an adjustable rear panel
KR102605675B1 (ko) 레벨링 도어 핸들을 갖는 가전 기기
US9255712B2 (en) Oven appliance with doors having a tongue and groove interface
US9593856B2 (en) Oven appliance with directed vent openings
KR102058854B1 (ko) 오븐
US9574778B2 (en) Oven with door having a convex shaped surface
EP3680557B1 (en) Cooking appliance
US9713204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hood
EP3108779A1 (en) Cooking appliance
US20130167830A1 (en) Grill Moving Mechanism for Oven
KR102103721B1 (ko) 조리기기
JP6425811B2 (ja) 引出し式ケース
JP2017161152A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EP3973828B1 (en) Cooking appliance
KR101898797B1 (ko)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220988516U (zh) 联动装置及烹饪设备
KR100863839B1 (ko) 오븐
JP4144670B2 (ja) ビルトイン形加熱調理器
JP5442882B2 (ja) 加熱調理器
US20130167829A1 (en) Grill Moving Mechanism for Oven
KR20200087653A (ko) 조리기기
KR20240035303A (ko) 조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