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583B1 -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583B1
KR102058583B1 KR1020140109733A KR20140109733A KR102058583B1 KR 102058583 B1 KR102058583 B1 KR 102058583B1 KR 1020140109733 A KR1020140109733 A KR 1020140109733A KR 20140109733 A KR20140109733 A KR 20140109733A KR 102058583 B1 KR102058583 B1 KR 102058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ndition
blower
heating
rotational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068A (ko
Inventor
최의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583B1/ko
Priority to CN201410783642.3A priority patent/CN104709166B/zh
Priority to US14/573,028 priority patent/US9504116B2/en
Publication of KR2016002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18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varying the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5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interior lamps
    • B60Q2500/2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interior lamps associated with air condit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와 무드램프 등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되, 냉,난방 부하와 외기의 온도조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인자들을 고려하여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황과 주행환경에 따라 차실내의 인테리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드램프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조명장치는, 무드램프의 후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광원들은, 여러 가지 색깔로 발광하는 다색발광 장치이며, 냉,난방 부하에 따라 무드램프의 조명색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냉,난방 부하에 따라 조명장치의 각 광원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CONTROLL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와 무드램프 등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되, 냉,난방 부하와 외기의 온도조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인자들을 고려하여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황과 주행환경에 따라 차실내의 인테리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공조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러(Controller)를 구비한다.
콘트롤러는, 운전석의 전면 패널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과, 하우징(1)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위치(3)와, 무드램프(Mood Lamp)(4)와, 디스플레이부(5)를 구비한다.
스위치(3)는, 로터리식(Rotary Type)과 버튼식(Button Type)이 있으며, 이들 스위치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해당 장치를 온,오프 시키거나, 또는 세부 설정값을 조절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한다.
무드램프(4)는, 로터리식 스위치(3-1)의 둘레에 설치되는 링(Ring)형 무드램프(4-1)와, 하우징(1)의 전면부분에 설치되는 바(Bar)형 무드램프(4-2)가 있다.
링형 무드램프(4-1)는, 로터리식 스위치(3-1)의 둘레에 설치되는 무드링(4a)과, 무드링(4a)을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조명장치는, 무드링(4a)의 후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4b)들,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들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다수의 광원(4b)들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발광된 빛을 무드링(4a)의 후면에 조사한다. 따라서, 무드링(4a)이 발광하면서 로터리식 스위치(3-1)의 둘레를 조명할 수 있게 한다.
바형 무드램프(4-2)는, 하우징(1)의 전면부분에 설치되는 무드바(4c)와, 무드바(4c)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조명장치는, 무드바(4c)의 후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4d)들,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들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다수의 광원(4d)들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발광된 빛을 무드바(4c)의 후면에 조사한다. 따라서, 무드바(4c)가 발광하면서 하우징(1)의 전면을 조명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부(5)는,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와 일련의 작동과정을 표시한다. 특히, 각 스위치(3)를 조작하여 설정값을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도 하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차실내외의 온도와 습도 및 공기의 토출방향 등을 표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5)는, 조명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갖추고 있다. 조명장치는, 디스플레이부(5)의 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광원(도시하지 않음)들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부(5)를 조명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5)가 소정의 밝기로 표시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부(5)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최근 들어, 공조장치의 기능과 구조 및 콘트롤러의 색상 등을, 차량의 고급화의 추세에 맞춰 고기능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사용자들은, 차실내의 인테리어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어 콘트롤러의 디자인과 색상, 조명 등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인테리어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으나, 종래의 콘트롤러는 이러한 요구를 마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트롤러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트롤러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인테리어를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실내의 인테리어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는, 무드램프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무드램프의 후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은, 여러 가지 색깔로 발광하는 다색발광 장치이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의 조명색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난방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감지하여 상기 냉,난방 부하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외기의 온도조건이 차실내의 냉방조건인지 또는 난방조건인지 또는 냉,난방혼용조건인지를 감지하는 외기조건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조건 감지수단으로부터 냉방조건과 난방조건과 냉,난방혼용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감지될 시에, 감지된 특정 조건과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각 광원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냉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일 시에는, 상기 각 광원을 모두 흰색으로 제어하고,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각 광원을 각기 다른 채도(彩度)의 청색으로 제어하며; 난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일 시에는, 상기 각 광원을 모두 흰색으로 제어하고,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각 광원을 각기 다른 채도(彩度)의 황색으로 제어하며; 냉,난방혼용조건 하에서는,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관계없이 상기 각 광원을 모두 흰색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냉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각 광원을 각기 다른 채도의 청색으로 제어하되, 상기 각 광원의 배열 순서대로 낮은 채도의 청색으로부터 점차 높은 채도의 청색으로 제어하며; 난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각 광원을 각기 다른 채도의 황색으로 제어하되, 상기 각 광원의 배열 순서대로 낮은 채도의 황색으로부터 점차 높은 채도의 황색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냉방조건 또는 난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시에, 상기 각 광원의 조명색상을 각기 다른 채도의 청색 또는 황색으로 제어하되, 상기 각 광원의 조명색상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호 교환시켜, 상기 각 광원들의 조명색상이 일측방향을 향해 연속해서 이동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의하면, "냉,난방 부하"에 따라 각종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분위기와 인테리어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난방 부하"에 따라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되, "외기의 온도조건"까지 고려하여 변경시키는 구조이므로, 조명색상의 변경인자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고, 이로써,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차량의 주행상황과 주행환경에 따라 더욱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차량의 주행상황과 주행환경에 따라 더욱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분위기와 인테리어를 더욱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냉,난방 부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시키되, 냉,난방 부하가 클 경우에는, 부분별 조명색상을 각기 다르게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조명을 더욱 화려하게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난방 부하가 클 경우에는, 조명장치의 부분별 조명색상을 각기 다르게 점멸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에게 현재 차실내의 냉,난방작용이 빠르게 진행중이라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나타내는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냉방조건에서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조명장치의 조명색상 변화를 예시하여 나타내는 색상변화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난방조건에서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조명장치의 조명색상 변화를 예시하여 나타내는 색상변화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냉,난방혼용조건에서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조명장치의 조명색상 변화를 예시하여 나타내는 색상변화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냉방조건인 상태에서 블로어 회전단수가 높을 시에, 조명장치의 부분별 조명색상 변화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난방조건인 상태에서 블로어 회전단수가 높을 시에, 조명장치의 부분별 조명색상 변화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콘트롤러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콘트롤러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는, 하우징(1)과, 하우징(1)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위치(3)와, 무드램프(4)와, 디스플레이부(5)를 구비한다.
스위치(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해당 장치를 온,오프 시키거나, 또는 세부 설정값을 조절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한다.
무드램프(4)는, 로터리식 스위치(3-1)의 둘레에 설치되는 링(Ring)형 무드램프(4-1)와, 하우징(1)의 전면부분에 설치되는 바(Bar)형 무드램프(4-2)가 있다.
링형 무드램프(4-1)는, 로터리식 스위치(3-1)의 둘레에 설치되는 무드링(4a)과, 무드링(4a)을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조명장치는, 무드링(4a)의 후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4b)들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다수의 광원(4b)들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발광된 빛을 무드링(4a)의 후면에 조사한다.
바형 무드램프(4-2)는, 하우징(1)의 전면부분에 설치되는 무드바(4c)와, 무드바(4c)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조명장치는, 무드바(4c)의 후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4d)들로 구성되며, 이렇게 배열된 광원(4d)들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발광된 빛을 무드바(4c)의 후면에 조사한다.
디스플레이부(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와 일련의 작동과정을 표시하는 것으로, 조명장치의 광원(도시하지 않음)들에 의해 소정의 밝기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콘트롤러의 특징부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트롤러는, 조명장치의 광원(4d)들을 구비하되(본 발명에서는 바형 무드램프(4-2)의 광원(4d)들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장치의 광원(4d)들은, RGB 3색의 LED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명장치의 광원(4d)들은,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무드바(4b)에 조사한다. 이로써, 무드램프(4)가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트롤러는, 외기의 온도조건이 차실내를 냉방할 조건인지 또는 난방할 조건인지 또는 냉,난방을 혼용할 조건인지를 감지하는 외기조건 감지수단(10)을 구비한다.
외기조건 감지수단(10)은, 공기의 토출모드 상태를 감지하는 모드감지센서(12)를 포함한다.
모드감지센서(12)는, 외기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공조장치의 공기토출모드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현재의 공기토출모드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현재의 외기조건을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공조장치는, "냉방조건"인 여름철의 경우에 공기의 토출모드를 벤트 모드(Vent Mode)로 제어하고, "난방조건"인 겨울철의 경우에 공기의 토출모드를 플로어 모드(Floor Mode)로 제어하며, "냉,난방혼용조건"인 봄,가을철의 경우, 벤트 모드와 플로어 모드 이외의 모드, 예를 들면,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와 믹스 모드(Mix Mode)로 제어한다.
따라서, 공조장치의 공기토출모드 상태를 감지하면, 현재의 외기 온도조건이 차실내의 "냉방조건"인지 또는 "난방조건"인지 또는 "냉,난방혼용조건"인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트롤러는, 냉,난방 부하 감지수단(20)을 구비한다. 냉,난방 부하 감지수단(20)은,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를 포함한다.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는, 블로어의 현재 회전단수를 감지함으로써, 공조장치의 냉,난방 부하를 간접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블로어를 자동제어하는 자동제어유닛(22a)으로 구성된다.
자동제어유닛(22a)은, "차실내,외 온도"와 "사용자 설정온도"에 따라 "냉,난방 부하"를 구하고, 구한 "냉,난방 부하"에 따라 최적의 "블로어 회전단수값"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블로어 회전단수값"에 따라 블로어(도시하지 않음)의 회전단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블로어의 자동제어를 위한 "블로어 회전단수 제어신호"를 통해서 "블로어 회전단수"를 감지할 수 있게 하고, 감지된 "블로어 회전단수"를 통해 "냉,난방 부하"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자동제어유닛(22a)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구동회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트롤러는, 제어부(30)를 구비한다.
제어부(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냉,난방 부하 감지수단(20)으로부터 냉,난방 부하가 입력되면, 즉,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입력되면, 입력된 "블로어의 회전단수"에 따라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들을 제어하여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냉,난방 부하, 즉,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냉,난방 부하"별 "각 광원 조명색상"데이터, 즉,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데이터가 미리 내장되어 있다(이하, "냉,난방 부하"가 곧 "블로어 회전단수"이므로, "냉,난방 부하"를 "블로어 회전단수"로 변경하여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특정의 "블로어 회전단수"가 입력될 경우, 입력된 특정의 "블로어 회전단수"에 대응한 "각 광원 조명색상"을 검출한 다음, 이를 근거로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발광색상을 제어하고, 이로써,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을 조절한다.
이러한 제어부(30)는, 제 1 내지 제 3메모리부(32, 34, 36)를 구비한다.
제 1메모리부(32)는, 차실내의 "냉방조건"에 대응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값들이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다.
제 2메모리부(34)는, 차실내의 "난방조건"에 대응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값들이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다.
제 3메모리부(36)는, 차실내의 "냉,난방혼용조건"에 대응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값들이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현재의 외기조건이 "냉방조건"인지 또는 "난방조건"인지 또는 "냉,난방혼용조건"인지의 여부가 감지되면, 감지된 특정의 "조건"에 대응한 특정의 메모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특정 메모리부에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을 다시 검출한 다음, 검출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데이터를 근거로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발광색상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현재의 외기조건이 "냉방조건"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30)는, 이에 대응하는 제 1메모리부(32)에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을 근거로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발광색상을 각각 제어한다.
특히, 제 1메모리부(32)에 내장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 중,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을 검출한 다음, 검출된 "각 광원 조명색상"에 맞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발광색상을 각각 제어한다.
따라서,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냉방조건"하에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냉방부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현재의 외기조건이 "난방조건"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30)는, 이에 대응하는 제 2메모리부(34)에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을 근거로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발광색상을 각각 제어한다.
특히, 제 2메모리부(34)에 내장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 중,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을 검출한 다음, 검출된 "각 광원 조명색상"에 맞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발광색상을 각각 제어한다.
따라서,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난방조건"하에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난방부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현재의 외기조건이 "냉,난방혼용조건"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30)는, 이에 대응하는 제 3메모리부(36)에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을 근거로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을 각각 제어한다.
특히, 제 3메모리부(36)에 내장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 중,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을 검출한 다음, 검출된 "각 광원 조명색상"에 맞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발광색상을 각각 제어한다.
따라서,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냉,난방혼용조건"하에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제어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냉,난방부하"에 따라 제어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 1 내지 제 3메모리부(32, 34, 36)에 저장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은, 각기 다른 값으로 다양하게 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메모리부(32)에 저장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이하에 대응되는 것, 예를 들면, 4단의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에 대응되는 것은 모두 흰색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5단의 "블로어 회전단수" 이상에 대응되는 것은 "각 광원 조명색상"이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별로 각기 다른 채도(彩度)의 청색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단 이상의 "블로어 회전단수"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은,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별로 각기 다른 채도의 청색으로 설정되어 있되,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배열 순서대로 낮은 채도의 청색으로부터 점차 높은 채도의 청색으로 순차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냉방조건"하에서,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4단" 이하일 경우에는,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이 모두 흰색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5단" 이상일 경우에는,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이 각기 다른 채도의 청색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배열순서에 따라 낮은 채도의 청색으로부터 점차 높은 채도의 청색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무드램프(4)가, 부분별로 각기 다른 채도의 청색으로 발광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블로어 회전단수"가 4단 이하일 경우에는, "냉방 부하"가 작아 차실내의 온도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냉방 부하"가 작을 경우에는, 무드램프(4)의 색상을 흰색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차실내의 온도가 안정적이라는 점을 인식시키고, "블로어 회전단수"가 5단 이상일 경우에는, "냉방 부하"가 커서 차실내의 온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냉방 부하"가 클 경우에는, 무드램프(4)의 각 부분별 색상을 청색계통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차실내의 냉방이 빠르게 진행중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2메모리부(34)에 저장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이하에 대응되는 것, 예를 들면, 4단의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에 대응되는 것은 모두 흰색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5단의 "블로어 회전단수" 이상에 대응되는 것은 "각 광원 조명색상"이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별로 각기 다른 채도(彩度)의 황색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단 이상의 "블로어 회전단수"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은,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별로 각기 다른 채도의 황색으로 설정되어 있되,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배열 순서대로 낮은 채도의 황색으로부터 점차 높은 채도의 황색으로 순차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난방조건"하에서,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4단" 이하일 경우에는,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이 모두 흰색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5단" 이상일 경우에는,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이 각기 다른 채도의 황색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배열순서에 따라 낮은 채도의 황색으로부터 점차 높은 채도의 황색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무드램프(4)가, 부분별로 각기 다른 채도의 황색으로 발광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블로어 회전단수"가 4단 이하일 경우에는, "난방 부하"가 작아 차실내의 온도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난방 부하"가 작을 경우에는, 무드램프(4)의 색상을 흰색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차실내의 온도가 안정적이라는 점을 인식시키고, "블로어 회전단수"가 5단 이상일 경우에는, "난방 부하"가 커서 차실내의 온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난방 부하"가 클 경우에는, 무드램프(4)의 각 부분별 색상을 황색계통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차실내의 난방이 빠르게 진행중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3메모리부(36)에 저장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어 회전단수"에 관계없이 모두 흰색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냉,난방혼용조건"하에서,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블로어 회전단수"가 입력되면,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이 모두 흰색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냉,난방혼용조건"하에서는, "냉,난방 부하"가 작아 차실내의 온도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무드램프(4)의 색상을 모두 흰색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차실내의 온도가 안정적이라는 점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조건이, "냉방조건"인 상태에서,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발광색상을 각기 다른 채도의 "청색"으로 제어하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발광색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일측방향으로 한 칸씩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발광색상을 서로 다른 채도의 "청색"으로 각각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광원에 표시된 발광색상이 인접하는 다른 광원의 발광색상으로 한 칸씩 옮겨가며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조명색상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호 교환되면서 일측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Moving)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차실내의 냉방작용이 빠르게 진행중이라는 것을 강력하게 인식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발광색상을 각기 다른 채도의 "황색"으로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발광색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일측방향으로 한 칸씩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특히, 어느 하나의 광원에 표시된 발광색상이 인접하는 다른 광원의 발광색상으로 한 칸씩 계속해서 옮겨가며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조명색상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호 교환되면서 일측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Moving)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차실내의 냉방작용이 빠르게 진행중이라는 것을 강력하게 인식시킨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외기조건 감지수단(10)에 의해 "냉방조건"과 "난방조건"과 "냉,난방혼용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감지되면, 감지된 특정 조건을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 변경을 위한 데이터로 적용하되, 상기 외기조건 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된 특정 조건은, 차량의 시동이 온(ON)될 때부터 시동이 오프(OFF)될 때까지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 변경을 위한 데이터로 계속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차량의 주행조건과 주행환경에 따라 외기조건 감지수단(10)에서 입력된 "외기조건", 즉, "냉,난방조건"이 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데, 이러한 경우마다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황색"과 "흰색"과 "청색"을 오가며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30)는, "외기조건"와 "블로어 회전단수"를 고려하여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변경시킬 경우, 수동 변경된 "블로어 회전단수"데이터는 무시하고, 오직 자동제어유닛(22a)에서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데이터만을 가지고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변경시킬 경우, "냉,난방 부하"에 관계없이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한 곳에만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냉,난방 부하"에 따른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 변경"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냉,난방 부하"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는 자동제어유닛(22a)의 "블로어 회전단수" 데이터를 가지고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을 제어함으로써,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냉,난방 부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게 하며, 그 결과, 차실내의 인테리어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자동제어유닛(22a)은,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변경시키더라도, "냉,난방 부하"에 따른 최적의 "블로어 회전단수"값을 지속적으로 산출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고(S101), 공조장치가 온(ON)되면(S103), 제어부(30)는, 현재의 외기조건이 "냉방조건"인지를 판단한다(S105).
판단 결과, "냉방조건"일 경우, 제어부(30)는, "냉방조건"에 대응되는 제 1메모리부(32)에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을 검출한다(S107).
그리고 "냉방조건"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30)는, 현재 자동제어되는 "블로어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예를 들면, "4단" 이하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09).
판단 결과, 현재의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즉, "4단"이하이면, 제어부(30)는, (S107) 단계에서 검출된 "냉방조건"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 중,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을 다시 검출한다(S111).
그리고 "각 광원 조명색상"의 검출이 완료되면, 검출된 "각 광원 조명색상"에 맞춰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제어한다(S113).
그러면,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냉방조건"과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의 조건에 맞춰 변경된다(S115). 예를 들면,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모두 흰색으로 제어된다.
한편, (S109) 단계에서, 판단 결과, 현재의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가 아니면(S109-1), 즉, 현재의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현재의 "블로어 회전단수"가 "5단" 이상이면, 제어부(30)는, (S107) 단계에서 검출된 "냉방조건"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 중,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하는 것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을 다시 검출한다(S117).
그리고 "각 광원 조명색상"의 검출이 완료되면, 검출된 "각 광원 조명색상"에 맞춰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제어한다(S119)(도 2참조).
이때, 제어부(30)는,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발광색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일측방향으로 한 칸씩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게 제어한다.
그러면,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냉방조건"과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초과 조건에 맞춰 변경된다(S121). 즉,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부분별로 각기 다른 채도의 청색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다른 채도의 부분별 "청색 발광색상"이 한칸씩 옮겨가면서 이동한다(도 4참조).
다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S105) 단계에서, 판단 결과, 현재의 외기조건이 "냉방조건"이 아니면(S105-1), 제어부(30)는, 현재의 외기조건이 "난방조건"인지를 판단한다(S123).
판단 결과, "난방조건"이면, 제어부(30)는, "난방조건"에 대응되는 제 2메모리부(34)에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을 검출한다(S125).
그리고 "난방조건"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30)는, 현재 자동제어되는 "블로어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예를 들면, "4단" 이하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27).
판단 결과, 현재의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즉, "4단"이하이면, 제어부(30)는, (S125) 단계에서 검출된 "난방조건"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 중,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을 다시 검출한다(S129).
그리고 "각 광원 조명색상"의 검출이 완료되면, 검출된 "각 광원 조명색상"에 맞춰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제어한다(S131)(도 2참조).
그러면,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난방조건"과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의 조건에 맞춰 변경된다(S133). 예를 들면,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모두 흰색으로 제어된다.
한편, (S127) 단계에서, 판단 결과, 현재의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가 아니면(S127-1), 즉, 현재의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현재의 "블로어 회전단수"가 "5단" 이상이면, 제어부(30)는, (S125) 단계에서 검출된 "난방조건"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 중,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하는 것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을 다시 검출한다(S135).
그리고 "각 광원 조명색상"의 검출이 완료되면, 검출된 "각 광원 조명색상"에 맞춰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제어한다(S137)(도 2참조).
이때, 제어부(30)는,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발광색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일측방향으로 한 칸씩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게 제어한다.
그러면,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난방조건"하에서의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초과의 조건에 맞춰 변경된다(S139). 즉,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부분별로 각기 다른 채도의 황색으로 표시되며, 표시된 다른 채도의 부분별 "황색 발광색상"이 한칸씩 옮겨가면서 이동한다(도 5참조).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S123) 단계에서, 판단 결과, 현재의 외기조건이 "난방조건"이 아니면(S123-1), 제어부(30)는, 현재의 외기조건이 "냉난방혼용조건"인지를 판단한다(S141).
판단 결과, "냉난방혼용조건"이면, 제어부(30)는, "냉난방혼용조건"에 대응되는 제 3메모리부(36)에서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을 검출한다(S143).
그리고 "냉난방혼용조건"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30)는, 검출된 "냉,난방혼용조건"의 "블로어 회전단수"별 "각 광원 조명색상"들 중, 현재 자동제어되는 "블로어 회전단수"에 대응되는 "각 광원 조명색상"을 다시 검출한다(S145).
그리고 "각 광원 조명색상"의 검출이 완료되면, 검출된 "각 광원 조명색상"에 맞춰 무드램프(4)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제어한다(S147)(도 2참조).
그러면,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냉,난방혼용조건"하에서의 "블로어 회전단수"에 맞춰 변경된다(S149). 예를 들면, 무드램프(4)의 발광색상이, 모두 흰색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콘트롤러에 의하면, "냉,난방 부하"에 따라 각종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분위기와 인테리어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냉,난방 부하"에 따라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되, "외기의 온도조건"까지 고려하여 변경시키는 구조이므로, 조명색상의 변경인자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고, 이로써,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차량의 주행상황과 주행환경에 따라 더욱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차량의 주행상황과 주행환경에 따라 더욱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분위기와 인테리어를 더욱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의 조명색상을 냉,난방 부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시키되, 냉,난방 부하가 클 경우에는, 부분별 조명색상을 각기 다르게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조명을 더욱 화려하게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난방 부하가 클 경우에는, 조명장치의 부분별 조명색상을 각기 다르게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에게 현재 차실내의 냉,난방작용이 빠르게 진행중이라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하우징(Housing) 3: 스위치(Switch)
3-1: 로터리식 스위치(Rotary Type Switch)
4: 무드램프(Mood Lamp) 4-1: 링(Ring)형 무드램프
4-2: 바(Bar)형 무드램프 4a: 무드링(Mood Ring)
4b: 광원 4c: 무드바(Mood Bar)
4d: 광원
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 광원
5: 디스플레이부 10: 외기조건 감지수단
12: 모드감지센서(Sensor) 20: 냉,난방 부하 감지수단
22: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 22a: 자동제어유닛(Unit)
30: 제어부 32: 제 1메모리부
34: 제 2메모리부 36: 제 3메모리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무드램프(4)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무드램프(4)의 후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은, 여러 가지 색깔로 발광하는 다색발광 장치이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30)와;
    냉,난방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감지하여 상기 냉,난방 부하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외기의 온도조건이 차실내의 냉방조건인지 또는 난방조건인지 또는 냉,난방혼용조건인지를 감지하는 외기조건 감지수단(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냉방조건과 난방조건과 냉,난방혼용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감지될 시에, 감지된 특정 조건과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냉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일 시에는,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모두 흰색으로 제어하고,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각기 다른 채도(彩度)의 청색으로 제어하며;
    난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 이하일 시에는,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모두 흰색으로 제어하고,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각기 다른 채도(彩度)의 황색으로 제어하며;
    냉,난방혼용조건 하에서는,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관계없이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모두 흰색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냉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각기 다른 채도의 청색으로 제어하되,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배열 순서대로 낮은 채도의 청색으로부터 점차 높은 채도의 청색으로 제어하며;
    난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각기 다른 채도의 황색으로 제어하되,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배열 순서대로 낮은 채도의 황색으로부터 점차 높은 채도의 황색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냉방조건 또는 난방조건 하에서,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가 기준 블로어 회전단수를 초과할 시에,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조명색상을 각기 다른 채도의 청색 또는 황색으로 제어하되,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조명색상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호 교환시켜,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이 일측방향을 향해 연속해서 이동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7. 무드램프(4)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무드램프(4)의 후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은, 여러 가지 색깔로 발광하는 다색발광 장치이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30)와;
    냉,난방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감지하여 상기 냉,난방 부하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외기의 온도조건이 차실내의 냉방조건인지 또는 난방조건인지 또는 냉,난방혼용조건인지를 감지하는 외기조건 감지수단(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냉방조건과 난방조건과 냉,난방혼용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감지될 시에, 감지된 특정 조건과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외기조건 감지수단(10)은,
    외기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공조장치의 현재 공기토출모드 상태를 감지하는 모드감지센서(12)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감지센서(12)에서 감지된 공기의 토출모드가 탑승객의 얼굴측 방향의 벤트 모드(Vent Mode)일 시에는, 차실내의 냉방조건인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모드감지센서(12)에서 감지된 공기의 토출모드가 탑승객의 다리측 방향의 플로어 모드(Floor Mode)일 시에는, 차실내의 난방조건인 것으로 감지하며,
    상기 모드감지센서(12)에서 감지된 공기의 토출모드가 벤트 모드(Vent Mode)와 플로어 모드(Floor Mode) 이외의 모드일 시에는, 차실내의 냉,난방혼용조건인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8. 무드램프(4)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무드램프(4)의 후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은, 여러 가지 색깔로 발광하는 다색발광 장치이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30)와;
    냉,난방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감지하여 상기 냉,난방 부하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외기의 온도조건이 차실내의 냉방조건인지 또는 난방조건인지 또는 냉,난방혼용조건인지를 감지하는 외기조건 감지수단(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냉방조건과 난방조건과 냉,난방혼용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감지될 시에, 감지된 특정 조건과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로터리식 스위치(3-1)의 둘레에 설치되는 링(Ring)형 무드램프(4-1)와, 상기 콘트롤러의 전면부분에 설치되는 바(Bar)형 무드램프(4-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와 외기의 온도조건에 따라 상기 링형 무드램프(4-1)와 바형 무드램프(4-2)의 조명색상이 서로 다르게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링형 무드램프(4-1)와 바형 무드램프(4-2)의 각 광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9. 무드램프(4)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무드램프(4)의 후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은, 여러 가지 색깔로 발광하는 다색발광 장치이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30)와;
    냉,난방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감지하여 상기 냉,난방 부하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외기의 온도조건이 차실내의 냉방조건인지 또는 난방조건인지 또는 냉,난방혼용조건인지를 감지하는 외기조건 감지수단(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냉방조건과 난방조건과 냉,난방혼용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감지될 시에, 감지된 특정 조건과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차량의 시동 온(ON)시에, 상기 외기조건 감지수단(10)에 의해 냉방조건과 난방조건과 냉,난방혼용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감지되면, 감지된 특정 조건을 차량의 시동 오프(OFF)시까지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조명색상 변경을 위한 데이터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10. 무드램프(4)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무드램프(4)의 후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은, 여러 가지 색깔로 발광하는 다색발광 장치이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무드램프(4)의 조명색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30)와;
    냉,난방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감지하여 상기 냉,난방 부하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외기의 온도조건이 차실내의 냉방조건인지 또는 난방조건인지 또는 냉,난방혼용조건인지를 감지하는 외기조건 감지수단(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외기조건 감지수단(10)으로부터 냉방조건과 난방조건과 냉,난방혼용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감지될 시에, 감지된 특정 조건과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부(22)로부터 입력된 블로어 회전단수에 따라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들의 조명색상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블로어 회전단수와 외기의 온도조건에 따라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조명색상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변경시킬 시에, 수동 변경된 블로어 회전단수 데이터는 무시하고, 냉,난방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근거로 상기 각 광원(4d-1, 4d-2, 4d-3, 4d-4, 4d-5, 4d-6, 4d-7, 4d-8)의 조명색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20140109733A 2013-12-17 2014-08-22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205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33A KR102058583B1 (ko) 2014-08-22 2014-08-22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CN201410783642.3A CN104709166B (zh) 2013-12-17 2014-12-16 用于机动车的空调系统控制器
US14/573,028 US9504116B2 (en) 2013-12-17 2014-12-17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ler for mot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33A KR102058583B1 (ko) 2014-08-22 2014-08-22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068A KR20160024068A (ko) 2016-03-04
KR102058583B1 true KR102058583B1 (ko) 2019-12-26

Family

ID=5553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733A KR102058583B1 (ko) 2013-12-17 2014-08-22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941B1 (ko) 2017-09-13 2022-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중앙 집중키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068A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2858B (zh) 具有温度响应变色输出的氛围照明系统
US950411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ler for motor vehicles
RU2674741C2 (ru) Лампа для чт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настройкой света низкой интенсивност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лампой
CN104656717A (zh) 调节车内光环境的系统及其方法
JP2008524790A5 (ko)
CN109070797B (zh) 温度设定的反馈方法
KR10205858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2008260391A (ja) 車室内照明器具
JP2008265511A (ja) 車載用電子機器操作ユニット
JP6154408B2 (ja) 車室内照明装置
KR2011006274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0727176B1 (ko) 자동차의 온도 표시 장치 및 방법
US11076461B2 (en) User control modality for LED color tuning
KR1017447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20585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H05270314A (ja) バス用室内照明装置
KR1020182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12176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145845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16277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CN114128403A (zh) 用于led颜色调节的用户控制模态
KR200485432Y1 (ko) 차량의 시트 통풍 전환 시스템
KR20150044221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21552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20160076582A (ko) 차량의 클러스터 컬러 변경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