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248B1 -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248B1
KR102058248B1 KR1020180108003A KR20180108003A KR102058248B1 KR 102058248 B1 KR102058248 B1 KR 102058248B1 KR 1020180108003 A KR1020180108003 A KR 1020180108003A KR 20180108003 A KR20180108003 A KR 20180108003A KR 102058248 B1 KR102058248 B1 KR 10205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electric range
power
external devic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8026A (en
Inventor
정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트인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트인덕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트인덕션
Priority to KR102018010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248B1/en
Publication of KR2019010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0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04S20/322
    • Y04S20/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사용자로부터 구동에 관련된 키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 조작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응하여 전기 레인지의 구동을 제어하고, 동작중인 전기 레인지에서 측정된 전압에서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변동이 발생되면 동일 전선에 추가 외부 기기가 동작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전기 레인지가 구동되기 전 초기 전압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키 조작 결과를 표시하며, 동일 전선에 추가 외부 기기가 동작중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전압 값을 측정하는 전선 전압 판단부, 추가 외부 기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적정 전력 판단부 및 상기 추가 외부 기기가 동작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알림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operation unit that receives a key operation related to driving from a user, controls driving of the electric range in response to a user's key operation, and sets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a voltage measured in an operating electric range. When the above change occurs, the controller judges that the external device is operating on the same wire, the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initial voltage value before the electric range is driven, and the user's key operation resul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as determined to be in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measuring the initial voltage value, an appropriate power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an additional external device is operated, and the additional external device. Notification to control to output warning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o be working It may include biological father.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에 따른 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배선 환경, 외부 기기 연결 등의 외부 환경에 기반하여 구동을 제어하는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electric range. More specifical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n electric range that controls driving based on an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a wiring environment or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일반적으로, 전기 레인지는 전기에 의해 조리기구를 가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기 레인지는 열 전도율, 부피, 환경오염, 안전 등의 이유로 가스레인지의 대용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전기 레인지는 가열 방식에 따라 상판이 가열되는 방식의 하이라이트, 핫플레이트와 자기장을 활용한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인덕션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하이라이트와 인덕션의 기능을 모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기레인지도 등장하고 있다. In general, an electric range means an apparatus for heating a cookware by electricity. Such electric ranges are in the spotlight as a substitute for gas ranges due to thermal conductivity, volum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afety. The electric range may be divided into highlights of how the top plate is heated according to the heating method, induction to perform induction heating using a hot plate and a magnetic field. In recent years, hybrid electric ranges have been introduced that support both highlight and induction functions.

이러한 전기 레인지는 통상적으로 타 가전 제품보다 소비전력량이 많은 편이며, 일반 가정의 전기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전기레인지의 발열체에 전력을 계속 공급할 경우, 차단기에 의한 전기 차단 및 전기 콘센트의 발열로 인한 화재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These electric ranges usually consume more power than other home appliances, and if the electric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s of the electric range without considering the electric environment of a general household, the fire caused by the electric cutoff of the breaker and the heat of the electric outlet Problems may occur.

한편, 관련 문헌으로는 등록특허공보 10-1586749(전기레인지 소비전력 제한장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lated patent document 10-1586749 (electric range power consumption limiting device).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기기의 동작 여부, 전선의 상태, 외부 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수준 등에 기반하여 전기레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electric range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e state of the wire, the level of power consumed by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사용자로부터 구동에 관련된 키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 조작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응하여 전기 레인지의 구동을 제어하고, 동작중인 전기 레인지에서 측정된 전압에서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변동이 발생되면 동일 전선에 추가 외부 기기가 동작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전기 레인지가 구동되기 전 초기 전압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키 조작 결과를 표시하며, 동일 전선에 추가 외부 기기가 동작중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전압 값을 측정하는 전선 전압 판단부, 추가 외부 기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적정 전력 판단부 및 상기 추가 외부 기기가 동작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알림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operation unit that receives a key operation related to driving from a user, controls driving of the electric range in response to a user's key operation, and sets a preset reference value based on a voltage measured in an operating electric range. When the above change occurs, the controller judges that the external device is operating on the same wire, the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initial voltage value before the electric range is driven, and the user's key operation resul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as determined to be in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measuring the initial voltage value, an appropriate power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an additional external device is operated, and the additional external device. Notification to control to output warning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o be working It may include biological fath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기 레인지는 사용자로부터 발열 단계 조절을 위한 키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 조작부,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레인지의 소비 전력을 포함하는 통합 소비 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전기 레인지의 발열 단계에 대응하는 예측 소비 전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에 의해 발열 단계 조절을 위한 키 조작이 수행되면, 요청된 발열 단계에 대응하는 예측 소비 전력 증가량과 상기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합 소비 전력의 합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합계가 기준치 이상이면 요청된 발열 단계로의 적용을 제한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키 조작 결과를 표시하며, 요청된 발열 단계의 적용이 제한될 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range is connected to the input operation unit,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for receiving a key operation for adjusting the heat generation step from the user,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range from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on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on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heat generation step of the electric range, the requested heat generation when a key operation for adjusting the heat generation step is perform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um of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increase corresponding to the step and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receiv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if the sum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restricting the application to the requested heating step. And the user's key operation result, and the application of the requested heating step is limited. When included,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전기 레인지의 구동 전 전압인 초기 전압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전기 레인지의 구동에 관련된 키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키 조작에 대응하는 출력값으로 전기 레인지를 구동하는 단계, 구동 중인 상태에서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구동중 전압과 초기 전압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구동중 전압과 초기 전압의 차이 및 상기 측정된 구동중 상태에서의 전류에 기반하여 전선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계산하고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선에서의 전력 소모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출력값을 하향 조정하고, 기 설정된 값 미만이면 설정 출력값으로 출력을 유지하는 단계, 출력 유지 상태에서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전압 변동을 판단하는 단계 및 동일 전선 내 외부 기기가 동작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메시지 출력 및 출력값을 하향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controlling an output of an electric range includes storing an initial voltage which is a voltage before driving an electric range, receiving a key operation related to driving the electric range from a user, and corresponding to the key operation. Driving an electric range with an output value, measuring a voltage and a current in a driving state,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a driving voltage and an initial voltage, a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voltage and an initial voltage, and measuring the driving voltage. Calculating the power consumption on the wire based on the current in the stat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if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er than the preset value, the output value is adjusted downward; Maintaining an output, and determining a voltage change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n the output holding state And determining that an external device in the same wire is in operation and adjusting the warning message output and the output value downward.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의 사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전선 발열, 배선 차단기 동작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problems of wire heating and wiring breaker operation that may be caused by the use of an electric range.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선에서 발생되는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해당 값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전기레인지의 동작 또는 출력값 조정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기레인지를 바람직한 상태의 전선(예, 적정 길이의 전선)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권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from the wire and limi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range or the adjustment of the output value when the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may encourage the user to use the electric range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preferred state (for example, the wire of the appropriate length).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전선 내 외부 기기의 추가 연결 여부를 판단하여 전기레인지의 동작 또는 출력 조절을 제한하므로 동일 전선에 외부 기기와 전기 레인지를 함께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과전류에 의한 발열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limits the operation or output control of the electric range by 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device in the same wire is additionally conn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 of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ic range together on the same wire, thereby It can prevent overheating and fi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에서의 소모 전류 및 외부 기기 동작에 따른 출력값 제어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전기레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발열 단계 조절 및 그에 따른 표시 내용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output value control according to a current consumption and an external device operation in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n output of an electric range through interworking with a power consump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djustment of a heating stage of an electric range and display contents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연결되어 IoT(Internet of Things)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또는 사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무선 호출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음향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냉장고, CCTV, TV, 세탁기, 제습기, 전등, 화재 경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vice may be a general apparatus (or thing) connected to a gateway and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For example, the device may be a wireless pager, smartphone, tablet PC, computer,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acoustic sensor, motion sensor, proximity sensor, gas sensor, heat sensor, refrigerator, CCTV, TV, washing machine, dehumidifier , Lights, fire alarms, and the like. However, this is not limitativ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device)는 '기기' 또는 '장치'와 혼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기기' 및 '장치'는 동일한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vic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 'device' or a 'device', and the 'device', the 'device', and the 'device' may be described with the same express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입력 조작부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저장부 130, 구동 제어부 140, 발열부 150, 통신부 160 및 제어부 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1,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operation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driving control unit 140, a heating unit 150, a communication unit 160, and a control unit 170. Can be.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 170는 전선 전압 판단부 171, 적정 전력 판단부 172, 알림 발생부 173, 출력값 제어부 1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a wire voltage determiner 171, an appropriate power determiner 172, a notification generator 173, and an output value controller 174.

상기 입력 조작부 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즉, 사용자는 입력 조작부 110를 통해 다수의 발열체들(예, 화구) 중 사용할 발열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발열체의 출력(온도 설정) 설정, 선택된 발열체의 동작 시간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put operation unit 110 generates input data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at is, the user may select a heating element to be used from among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eg, a crater) through the input operation unit 110, and set an output (temperature setting) of the selected heating element, an operation time of the selected heating element, and the like.

또한, 상기 입력 조작부 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우선 구동 화구를 선택하고, 선택된 우선구동 화구의 우선 구동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입력 조작부 110는 다수의 발열체들 중 하나 이상의 발열체에 대한 우선 구동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어부 17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operation unit 110 may select a priority driving crat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priority driving of the selected priority driving crater. In other words, the input operation unit 110 may transmit a signal for requesting preferential driving of one or more heating elements among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 조작부 110는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 전기 레인지를 연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put operation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interlocking an electric range with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상기 입력 조작부 110는 버튼, 다이얼, 터치 패드 등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put opera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a dial, a touch pad,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 120는 전기레인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상태는 각 발열체 동작 여부, 동작중인 발열체의 온도(출력, 화력), 동작중인 발열체의 동작 시간, 동작중인 발열체의 동작 잔여시간, 잔류열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range. Here, the operation state may include whether each heating element is operated, a temperature (output, thermal power) of the operating heating element, an operating time of an operating heating element, an operation remaining time of an operating heating element, and a residual heat display.

상기 디스플레이부 120는 7세그먼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LCD)등의 표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may be implemented by display means such as seven segments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상기 저장부 130는 측정된 각종 전기적 수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30는 발열 단계별 적용해야하는 출력값에 대한 정보, 각종 디폴트 값, 에러 코드 정보 또는 경고 메시지 문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various measured electric numerical values.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information on output values to be applied for each heating stage, various default values, error code information, or warning message tex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30는 전기레인지에서 측정된 전기 레인지의 가동 전 초기 전압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초기 전압값은 전기 레인지 내부가 아닌 전기 레인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값이다. The storage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initial voltage valu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range measured in the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itial voltage value is a value for measuring power consumed by a wire su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ic range, not inside the electric ran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30는 발열 단계별 적용해야 하는 출력값에 대한 정보와, 발열 단계별 예측되는 소비 전력 증가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 130는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소비 전력 측정 장치의 식별 값 및 상기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통합 소비 전력 값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30는 전선(전기 레인지로 전류를 공급하는 외부 전선)전력 소비량을 체크한 이후에 동일 전선 내 다른 외부 기기가 작동중임을 판단하기 위한 전압 변동의 기준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output value to be applied in each step of heating and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predicted for each step of heating.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data about an identification value of a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and an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value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a reference value of a voltage change for determining that another external device in the same wire is operating after check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 (an external wire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electric range).

상기 구동 제어부 140는 다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들은 전력 공급 또는 해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 140는 사용자의 온도 설정(출력 설정)에 따라 발열부 1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력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기들은 인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전력 제어기들은 각각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와 발열체 사이에 위치하며, 공급되는 최대 가용 전력 중 기 설정된 출력에 따른 공급 전력을 해당 발열체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driving controller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The switching elements may determine power supply or release. 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ler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controller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or 150 according to a user's temperature setting (output setting). The power controllers may be implemented as an inverter. The plurality of power controller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rresponding switching element and the heating element, and control the supply pow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utput among the maximum available power to be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상기 발열부 150는 구동 제어부 140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발열체들로 구성된다. 발열체는 인덕션 히터(induction heater;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한 가열기, 가열기 위에 금속을 놓으면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금속에 전류가 발생하고 줄열에 의해 금속이 가열됨), 시즈 히터(sheath heater), 세라믹 히터(ceramics heater), 플레이트 히터 등의 히터로 구현될 수 있다. The heat generating unit 15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to generate heat by us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drive control unit 140. The heating element is an induction heater (a heater using induction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as a heat source, and when a metal is placed on the heater, current is generated in the meta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the metal is heated by Joule heat), sheath heater The heater may be implemented as a heater, a ceramic heater, a plate heater, or the like.

다수의 발열체들은 동일한 최대출력을 가지거나 서로 다른 최대 출력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발열체들의 최대 출력에 따라 화구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may have the same maximum output or different maximum outputs. The size of the crater may vary depending on the maximum output of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상기 통신부 160는 외부 장치인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NFC, RFID,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비 전력 측정 장치는 사물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탭 또는 사물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분전함 관리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사물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탭이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멀티탭은 연결된 기기들이 소비하는 전력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는 연동된 전기레인지 측에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멀티탭에서 측정된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 또는 전기레인지 측에서 요청하는 시점에 전기레인지로 전달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perform NFC, RFID, Zigbee, Bluetooth, or Wi-Fi func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which is an external device. Preferably,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may be a distribution box management device that supports a power strip or an IoT function to perform an IoT function. For example, when a power strip measuring an IoT function is implemented as a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the power tap may measure a degree of power consumed by connected device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linked electric range sid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d in the multi-tap may be delivered to the electric range in real time or when requested by the electric range side.

상기 제어부 170는 입력 조작부 110를 통해 전기 레인지의 온도 조절이 요청되면 요청된 단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발열부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to output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step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electric range is requested through the input operation unit 11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기레인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경고 메시지 및 설정 변경 값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출력값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마이크, 화구에 가열 대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중량 감지 센서, 타이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lectric range includes a speaker for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and information on a setting change value by voic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command of a user for output value manipulation, and a firebal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sensor, a timer, and the like for determining whether a heating target exists.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 17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170는 전선 전압 판단부 171, 적정 전력 판단부 172, 알림 발생부 173, 출력값 제어부 1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voltage determiner 171, an appropriate power determiner 172, a notification generator 173, and an output value controller 174. Can be.

상기 전선 전압 판단부 171는 전기 레인지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전선 전압 판단부 171는 상기 전선에서 소비되는 전력 값을 측정하기 위해 전기 레인지가 가동되기 전 상태의 전압인 초기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선 전압 판단부 171는 전기 레인지로 전력이 공급되는 전선의 위치에서 전기적 데이터(예, 전압, 전류)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 전압 판단부 171는 전기 레인지가 가동중인 상태에서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기 레인지가 가동중일 때의 전압은 가동 전 전압과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는 전선을 통과하는 동안 전압 강하가 일어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선을 이유로 전압이 감소되는 이유는 전선이 갖는 저항에 기인하며, 전선의 저항은 전선의 길이, 단면적 등의 물리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 전압 판단부 171는 가동중 전압과 가동 전 전압의 차이는 전선이 갖는 저항에 의해 발생된 전압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구하기 위해 전기 레인지 가동 전 전압과 가동중 전압을 측정하고 두 값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 전압 판단부는 전기 레인지 가동중 상태의 전압을 측정할 시, 전류도 함께 측정하게 되는데, 이 때 측정된 전류와 전선에서 이루어진 전압 강하의 곱으로 전선에서 발생된 소비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The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171 is a component for measuring power consumed by a wire supplying a current to an electric range. The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171 may measure an initial voltage which is a voltage before the electric range is operated to measure a power value consumed by the wire. At this time, the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171 may measure electrical data (eg, voltage, current) at the position of the wire to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range. In addition, the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171 may measure the voltage and current in the state that the electric range is operating. Typically, the voltage when the electric range is running will be different from the voltage before starting,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voltage drop occurr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wire. The reason why the voltage decreases due to the wire is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wire, and the resistance of the wire can be determined by physical factors such as the length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ire. Accordingly, the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171 determin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operation voltage and the in-operation voltage is a voltage generated by the resistance of the wire and measures the pre-operation voltage and the in-operation voltage in order to obtain this value. The difference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he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when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range of the electric range, and also measures the current, at this time can calculate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in the wire by the product of the measured current and the voltage drop made in the wire. .

통상적으로 전선에서 발생되는 소비 전력이 클수록(전선에서 이루어진 전압 강하의 범위가 클수록) 배선 환경이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m의 길이를 갖는 전선이 0.1옴(ohm)의 저항을 갖고 1V만큼의 전압 강하가 일어났다고 가정하면, 동일 전선이 10m의 길이로 형성되면 10옴(ohm)의 저항을 갖고 10V의 전압 강하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선에서 이루어지는 전압 강하가 과하게 발생될 경우, 배선의 발열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전선 전압 판단부 171는 전선에서 발생되는 전력 소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 130는 전선에서 발생되는 전력의 소비에 대한 기준치 값을 기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선 전압 판단부 171는 전선에서 발생되는 전력 소비가 저장부 1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해당 결과에 따라 출력값 제어부 174가 전기레인지의 출력을 제어(예컨대, 요청된 온도 조절 기능 제한)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larger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in the wires (the greater the range of voltage drops made in the wires), the poorer the wiring environment can be. For example, suppose a wire with a length of 1m has a resistance of 0.1 ohms and a voltage drop of 1V has occurred.If the same wire is formed with a length of 10m, it has a resistance of 10 ohms and 10V. Voltage drop can occur. In addition, when excessive voltage drop occurs in the wire, a problem such as heat generation of the wiring may be caused.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171 may determine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from the wi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a reference value for consumption of power generated from the wire. When the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171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from the wir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e output value controller 174 controls the output of the electric range according to the result (eg, the requested value).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상기 적정 전력 판단부 172는 전기 레인지의 가동 중 출력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전압의 변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정 전력 판단부 172는 전압 변동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압의 변동된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적정 전력 판단부 172는 동일 전선 내 다른 외부 기기가 추가로 동작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정 전력 판단부 172가 동일 전선 내 다른 기기가 작동중임을 판단한 경우, 알림 발생부 173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출력값 제어부 174는 적정 전력 판단부 172가 동일 전선 내 다른 기기가 작동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한하여 전기 레인지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제어(예, 전기레인지의 온도 상향 조절 제한, 전기 레인지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하향 조절 등)할 수 있다. The appropriate power determination unit 172 may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fluctuates while the output is maintained while the electric range is in operation. In addition, the appropriate power determination unit 172 may determine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ri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When the changed value of the volt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appropriate power determination unit 172 may determine that another external device in the same wire is additionally operated. When the proper power determination unit 172 determines that another device in the same wire is in operation, the notification generator 173 may control to output a warning message. In addition, the output value control unit 174 temporarily controls the output of the electric range (e.g., limiting the temperature upward adjustment of the electric range, temporarily lowering the output of the electric range) only when the proper power judging unit 172 determines that another device in the same wire is in operation. Adjustmen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정 전력 판단부 172는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 연동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기 레인지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예, 소비 전력이 측정가능한 스마트 멀티탭)과 연동되어 소비 전력 측정 장치에서 측정한 소비 전력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정 전력 판단부 172는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비 전력에 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전기 레인지 외 타 기기의 사용 여부 및 타 기기에서 발생되는 전력 소비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정 전력 판단부 172는 전기 레인지의 출력값 조절(발열 단계 조절)을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을 시,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비 전력(가동중인 전기 레인지의 소비 전력을 포함한 통합 소비 전력)과 사용자가 요청한 발열 단계에 대응하는 예측 소비 전력 증가량의 합산 값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정 전력 판단부 172는 상기 합산 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출력값 제어부 174에 해당 사항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값 제어부 174는 사용자가 요청한 발열 단계의 적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력값 제어부 174는 연동된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예, 스마트 멀티탭)에 연결된 타 기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출력값 제어부 174는 전기 레인지 외의 기기 중 가장 전력 소비가 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1구의 스위치를 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ppropriate power determiner 172 may perform a function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The electric range may receive data regarding power consumption measured by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apparatus in cooperation with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apparatus (eg, a smart power tap capable of measur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ppropriate power determination unit 172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other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ic range and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by other devices based on data on power consump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In addition, when the appropriate power determination unit 172 is requested by the user to adjust the output value of the electric range (heat generation step adjustment), the power consump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includ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unning electric range) And the sum of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increase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step requested by the user may be determined. The appropriate power determination unit 172 may transmit a corresponding matter to the output value control unit 174 when the sum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Accordingly, the output value controller 174 may limit the application of the heating step requested by the user. Alternativel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utput value controller 174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of another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device (for example, a smart power tap) that is linked to the external value. For example, the output value control unit 174 may control to switch off one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with the highest power consumption among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ic range.

이 밖에도 상기 제어부 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 연동하여 전기레인지에서 소비하는 전력과 전기레인지 외 타 기기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조절하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 170는 과전류에 의한 차단기 동작 및 전선의 발열에 따른 화재 위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range and power used by other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ic range and operate the power efficiently by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in various ways. 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may prevent a breaker operation due to overcurrent and a fire hazard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wir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에서의 소모 전류 및 외부 기기 동작에 따른 출력값 제어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output value control according to a current consumption and an external device operation in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 170는 초기 전압값을 저장하는 3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전압값은 전기 레인지가 작동하기 전에 측정되는 전압의 값을 의미한다.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05 for storing the initial voltage value. The initial voltage value refers to the value of the voltage measured before the electric range is operated.

이후 상기 제어부 17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전기 레인지(예, 인덕션)의 가동을 시작하는 3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170는 사용자에 의해 발열 단계가 지정됨에 따라, 해당 발열 단계에 대응하는 출력 값을 설정하는 3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10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range (eg, induc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ddition, as the heating step is designa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15 for setting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step.

이후 상기 제어부 170는 전기레인지가 가동되면 가동중인 전기레인지에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3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70는 이를 통해, 가동중인 전기레인지의 전압과 가동 전 전압(초기 전압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3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70는 초기 전압과 가동중 전압의 차이를 기반으로 전선에서 이루어진 전압 강하를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electric range is operated,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20 to measure voltage and current in the electric range being operated.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25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electric range being operated and the voltage before operation (initial voltage value).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 voltage drop made at the wir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an initial voltage and an operating voltage.

상기 제어부 170는 325동작에서 계산된 초기 전압과 가동중 전압의 차이와, 320동작에서 측정된 전류에 기반하여 전선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70는 전선에서의 전력 소모량이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33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선의 전력 소모량이 설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 170는 출력값을 조절(예, 출력값을 일정 크기만큼 감소 또는 디폴트 출력값으로 변경)하는 33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선의 전력 소모량이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동작을 중지시키고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voltage and the operating voltage calculated in operation 325 and the current measured in operation 3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30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 is larger than the set value,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35 to adjust the output value (for example, reduce the output value by a predetermined size or change the default output valu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 is larger than the set value, the operation may be stopped to display an error message.

상기 제어부 170는 전선의 전력 소모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출력값으로 출력을 유지하는 34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제어부 170는 전압의 변동의 발생을 감지하는 34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 변동이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부 170는 계속하여 설정 출력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34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전압의 변동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 170는 같은 전선 내 다른 기기가 작동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35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30는 상기 전압 변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치를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 170는 변동된 전압의 범위가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같은 전선 내 다른 기기가 작동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 is not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40 of maintaining the output at the output value set by the user. In a situation where the output is maintained,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45 for detecting occurrence of a change in voltage. If the voltage variation does not occur,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40 for continuously controlling the set output value. On the other hand, when a voltage change occurs,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50 to determine that another device in the same wire is in opera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oltage fluctuat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ange of the changed volt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storage unit 130 may determine that another device in the same wire is in operation.

이후 상기 제어부 170는 경고 메시지(예, '동일 전선에 다른 기기의 사용을 중지해주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음)를 출력하는 35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 17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경고 메시지 외에 출력을 조절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 170는 동일 전선 내 다른 기기가 작동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기 레인지의 발열 단계를 하향조정하여 전기레인지에서 소모되는 출력 전력을 줄이는 방법으로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355 for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for example, a message such as' Please stop using another device on the same wire) may be output). Furthermore, the controller 170 may further perform an operation of adjusting an output in addition to the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other device in the same wire is in operation, the controller 170 may cut off the overcurrent by adjusting the heat generation step of the electric range by reducing the output power consumed in the electric range.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전기레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n output of an electric range through interworking with a power consump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의 동작에 따르면, 제어부 170는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예,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스마트 멀티탭)와 통신 연결되는 4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70는 소비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실시간 통합 소비 전력값을 수신하는 4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소비 전력값은 예를 들면 하나의 멀티탭에 3개의 기기가 연결중이라고 가정하면, 연결된 3개의 기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합계를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FIG. 4,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405 in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eg, a smart power tap measuring power consumption). Thereafter,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410 for receiving a real-tim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value from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apparatus.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value may mean, for example, a sum of power consumed by the three connected devices, assuming that three devices are connected to one power strip.

이후 상기 제어부 170는 사용자로부터 발열 단계 조절이 요청됨을 확인하는 4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발열 단계 조절에 대응하는 예측 소비 전력 증가량과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합 소비 전력의 합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4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레인지가 지원하는 각 발열 단계별 예측 소비 전력에 대한 데이터는 저장부 13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 170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발열 단계에 대응하는 예측 소비 전력의 증가량을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415 confirming that the heating step adjustment is requested from the user. Thereafter, the controller may perform operation 420 to determine whether the sum of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increase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at generation step adjustment and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receiv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data on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of each heating stage supported by the electric rang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30. Based on this,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an increase amount of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heat generation step requested by the user.

상기 제어부 170는 420동작에서 판단 결과 통합 소비 전력과 예측 소비전력 증가량의 합이 기준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요청된 발열 단계를 적용하는 43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 170는 420동작에서 예측 소비 전력 증가량과 통합 소비전력의 합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었던 발열 단계 적용을 제한하고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레인지의 기존 발열 단계가 3단계였으나 사용자가 4단계로 발열 단계 상향 조정을 요청하였다고 가정하면, 제어부 170는 현재 멀티탭을 통해 함께 사용되고 있는 기기의 소비 전력 측정치(예, 3000W)와 3단계에서 4단계로 상향 조정 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비전력(예, 100W)의 합계가 최대 허용치(기 설정된 기준치, 예 4000W)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420 that the sum of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and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increase is not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430 to apply the requested heat generation step. In contrast, when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420 that the sum of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increase and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70 may limit the application of the heating step requested by the user and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existing heating stage of the electric range was three stages, but the user requested to adjust the heating stage to four stages, the control unit 170 measures power consumption (eg, 3000 W) and three stages of the equipment currently being used together through the power strip. In step 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eg, 100 W) expected to increase when exceeding the maximum allowable value (a preset reference value, eg, 4000 W) is determined.

상기 제어부 170는 430동작과 425동작 이후 추가 발열 단계에 대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43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70는 상기 435동작에서 추가 조작이 입력됨을 확인하면 상기 420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435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puts to the additional heat generation step after operations 430 and 425. When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that the additional operation is input in operation 435,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operation 420 again.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170는 멀티 탭이 아닌 사물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가정용 분전함과 인터렉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 170는 특정 멀티탭에서의 연결 기기의 동작 상태 및 연결된 기기의 소비 전력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닌, 가정 내에서 소비되는 전체 전력을 기준으로 전기레인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은 가정 내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전기레인지 사용에 따른 전력 공급 차단, 과전류에 의한 발열 또는 기기 고장 등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4,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interaction with a home distribution box that performs an IoT function instead of a multi-tap. 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electric range based on the total power consumed in the home, not only consider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nected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nected devi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due to power supply cut-off, overheating caused by overcurrent, or device failure, which are frequently generated in the home.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170는 사물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탭 등의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전기 레인지 이외의 기기를 통해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 170는 전기 레인지와 스마트 멀티탭이 연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 멀티탭에 코드가 연결된 전기 레인지 이외의 기기들이 존재하는 경우, 전기 레인지가 가동중일 때에 한하여 상기 전기 레인지 이외의 기기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를 일시적으로 OFF하도록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70 may be configured to block standby power consumed by a device other than an electric range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such as a power strip that performs an IoT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re is a device other than an electric range in which a cord is connected to the smart power strip while the electric range and the smart power strip are linked, the controller 170 supplies power to the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ic range only when the electric range is in operation. The power strip can be controlled to temporarily turn off the supply switch.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발열 단계 조절 및 그에 따른 표시 내용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djustment of a heating stage of an electric range and display contents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조작부 110는 중 발열 단계를 조절하기 위한 키는 502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발열 단계 조작을 위한 키는 상향 조정을 위한 키와 하향 조정을 위한 키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key for adjusting the heating stage of the input oper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isplayed as 502. The key for the heating step operation may be composed of a key for upward adjustment and a key for downward adjustment.

사용자에 의해 발열 단계가 조작되면 현재 설정된 발열 단계에 대한 정보가 501에서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현재 발열 단계에 따른 소비전력과 최대 허용 가능한 소비전력의 값은 504에서와 같이 막대 모양으로 시각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504는 소비 전력의 크기에 따라 그 값의 위험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문구(예, 안전, 보통, 주의 등)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고 있는 도면에 근거하면, 전기레인지는 현재 발열 단계가 3단계이고, 그에 대응하는 소비 전력값은 1100(W)이며 안전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기 레인지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창 503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창 503은 경고 메시지를 에러 코드(예, E0, E1, E2 등)로 표시할 수도 있고,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한합니다'와 같은 단어 또는 문장 형태의 알림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창 503의 내용이 변경 표시될 시 경고음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When the heating step is operated by the user,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set heating step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501.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maximum allowable power consumption value according to the current heating stage may be visualized and displayed as a bar as shown in 504. 504 may be accompanied by text (eg, safety, normal, caution, etc.) to measure the risk of the value depending o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ased on the diagram shown in FIG. 5, the electric range may b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 safety stage as the current heat generation stage is three stages, and a power consumption value corresponding thereto is 1100 (W).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ic range may include a display window 503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In this case, the display window 503 may display a warning message as an error code (for example, E0, E1, E2, etc.) or may display a notification in the form of a word or sentence such as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contents of the display window 503 displaying the warning message are changed and displayed, a warning sound may be output together.

도 6의 610과 620은 각각 특정 발명 단계(7단계)에서 발열 단계 상향 조작이 이루어지기 전(610)과 후(620)의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6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 레인지는 발열 단계가 7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이 '주의' 상태에 해당되고 있다. 이 때 504에서 도시하는 소비전력의 상태는 전기레인지 뿐 아니라 외부의 소비 전력 측정 장치에 의해 수신된 소비전력 데이터를 참고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레인지만 동작할 경우 7단계 소비 전력이라 하더라도 '주의' 단계에 이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동일 전선상에서 이용되는 타 기기의 소비 전력이 클 경우 전기레인지의 소비전력과 외부 기기의 소비전력의 합산 값은 '주의'단계에 해당될 수 있고 6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504에 표시되는 막대 모양의 대부분의 영역에 불이 들어올 수 있다. 그리고 경고 메시지 표시창 503에는 추가의 발열 단계 상향 조작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별도의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 E0 : 별도의 경고사항이 없음을 의미할 수 있음) 610 and 620 of FIG. 6 illustrate the situation before (610) and after (620) the heating step up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pecific invention step (step 7), respectively. First, as illustrated at 610, the electric range corresponds to a 'caution' state when the heat generation stage is set to 7. In this case, the state of power consumption illustrated in 504 may represent a result of referring to power consumption data received by an extern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as well as an electric range. For example, when only an electric lane is operated, even a seven-stage power consumption may not reach the 'caution' stage. However, if the power consumption of other devices used on the same wire is large,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rang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xternal device may correspond to the 'attention' stage, and the bar shape indicated at 504 is shown in 610. Most areas of can light up. The warning message display window 503 may not display a separate warning message until an additional heating step upward operation is performed. (E.g., E0: it can mean there is no warning)

그러나 610과 같이 소비 전력에 대한 알림 막대가 '주의'로 표시되는 상황에서 추가의 발열 단계 상향 조작을 601 키를 통해 수행할 경우, 제어부 170는 발열 단계 상향 조작에 따른 소비전력의 증가분+현재 합계 소비전력=(예측 합계 소비 전력)의 수준이 전선의 발열을 야기하는 정도인지 여부 또는 차단기가 내려갈 정도의 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은 상기 예측 합계 소비 전력이 기 설정된 기준치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예측되는 합계 소비 전력이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 170는 사용자의 요청(발열 단계 상향 조작)을 이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그와 동시에 사용자의 요청이 이행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예, 에러코드 'E1' 또는 '외부 기기의 소비전력이 높아 온도를 높일 수 없습니다' 등)를 표시창 503에 표시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additional heating step up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601 key in a situation in which the notification bar for power consumption is displayed as 'caution', such as 610, the control unit 170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heating step up operation + the current su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evel of power consumption = (predicted total power consumption) is enough to cause the wire to generate heat or whether the breaker is low. Th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e estimated total power consumption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stimated total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not to fulfill the user's request (heat generation step up operation). At the same time, a warning message (e.g., error code 'E1' or 'The external device can not increase the temperature due to high power consump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503 indicating that the user's request has not been fulfilled.

이 밖에도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가동중인 전기 레인지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합 소비 전력과 상기 전기 레인지의 소비 전력의 차이를 외부 기기에 의해 발생된 소비 전력으로 산출하고, 외부 기기에 의해 발생된 소비 전력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외부 기기의 연결을 제한하도록 요청하는 경고 메시지(예, '외부 기기의 소비 전력 비중이 높습니다. 전기 레인지 외의 외부 기기의 전원을 꺼주세요'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measures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range in operation, and converts a difference between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receiv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range into power consumption generated by an external device. And a warning message requesting to limit the connection of external devices if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is above the preset threshold (e.g., 'The external device consumes a high percentage of power. Turn off the external device. Please ”.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170는 전기 레인지가 가동중인 경우 대기 전력으로 소모되는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제한하도록 소비 전력 측정 장치(예, 스마트 멀티탭)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a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for example, a smart power tap) to automatically limit the power supply consumed by standby power when the electric range is in operation.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기레인지는 각 콘센트에 연결된 기기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연결 기기별 소비 전력, 대기전력 측정 및 연결된 기기의 전력 공급 중단 등에 관한 기능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 170는 일정 횟수 이상 출력이 제한된 이력이 존재하면(예, 1시간당 3회 이상 출력 제한) 사용자가 기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낮은 전기제품 순서대로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전기 레인지가 OFF 요청을 받을 시, 상기 전기 레인지는 동작중에 타 기기의 전력 공급을 중단한 이력이 있는 경우, 해당 기기의 전력 공급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기 레인지가 높은 수준의 전력이 소비될 것이 예측되는 경우(예, 곰탕 자동조리 기능 선택 또는 타이머 설정에 의해 장시간 높은 단계의 발열 수준이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가 기 설정한 특정 외부기기(예, 에어컨, 전기장판, 공기청정기 등)가 연결된 콘센트의 전력 공급을 일정 시간동안 중단/재개를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레인지의 타이머가 1시간으로 설정되었고, 최대 허용 전력 대비 현재 사용중인 전력의 수준이 높다고 판단될 때, 제어부 170(예, 외부기기 전원제어부(미도시))는 제 1외부 기기(예, 에어컨)에 전력 공급을 10분 단위로 중단 및 재개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ic range may determine a device connected to each outlet. Since the functions related to power consumption, standby power measurement, and power supply interruption of connected devices using smart outlets are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o stop the power supply in order of low priority electric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iority set by the user when there is a history of limited output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output limited more than three times per hour). can do. Thereafter, when the electric range is received an OFF request, the electric range may control to resume power supply of the corresponding device when there is a history of stopping the power supply of another device during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range is predicted to consume a high level of pow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g., when a high level of heat generation is predicted for a long time by selecting the auto cooking function or setting a timer), The power supply to the outlet to which external devices (eg air conditioners, electric blankets, air purifiers, etc.) are connected can be interrupted / resu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when the timer of the electric range is set to 1 hour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level of power currently being used relative to the maximum allowable power is high, the controller 170 (eg, an external device power supply controller (not shown)) determines the first external device. Power supply to (e.g., air conditioners) can be stopped and resumed every 10 minutes.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170는 화구 교체 판단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구 교체 판단부는 전기 레인지가 다수개의 화구를 포함하여 구현될 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구 교체 판단부는 화구별 전원의 ON/OFF 및 각 화구별 발열 단계(출력)에 대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구 교체 판단부가 지원하는 기능에 대하여 아래 표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a crater replacement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The crater replacement determination unit may be provided when the electric range is implemented including a plurality of craters. And the crater replacemen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situation for the ON / OFF of the power for each crater and the heating step (output) for each crater. A function supported by the crater replacement determination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상황 1Situation 1 상황 2Situation 2 상황 3Situation 3 제 1화구 The first crater OO XX XX 제 2화구 The second crater OO OO XX 제 3화구The third crater XX OO XX 제 1 외부기기 First external device OO OO OO 제 2 외부기기Second external device OO OO 제 3 외부기기Third external device XX OO

(△ : 중단 및 재개 반복, O: ON상태, X : OFF상태)상기 화구 교체 판단부는 예컨대, 표 1의 상황 1에서 제 1화구, 제 2화구의 ON상태와 제 3화구의 OFF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화구 교체 판단부에서 판단한 각 화구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 170(예, 외부기기 전원 제어부)는 기 연동된 외부기기의 전원을 각 기기별 설정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기기별 설정은 예컨대 다음의 표 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 repeating interruption and resumption, O: ON state, X: OFF state) For example, in the situation 1 of Table 1, the crater replacement judging unit checks the 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raters and the OFF state of the third crater. Can b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each crater determined by the crater replacement determiner, the controller 170 (eg, the external device power controller)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interlocked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each device. Device-specific settings may be set,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2 below.

항상 ONAlways ON 중단/재개Suspend / Resume OFFOFF 제 1 외부기기First external device OO XX XX 제 2 외부기기Second external device XX OO XX 제 3 외부기기Third external device XX XX OO

기기별 설정은 항상 ON 상태로 설정되는 제 1옵션, 중단/재개가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제 2옵션, OFF상태로 변경될 시 OFF상태가 유지되는 제 3옵션이 지원될 수 있다. 표 2에서와 같이 특정 기기(예, 제 1외부기기)는 전기레인지의 제어부 170에 의해 전원이 제어되지 않고 항상 ON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항상 ON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제 1외부기기는 예컨대, 냉장고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외부기기와 제 3외부기기는 각각 제 2옵션과 제 3옵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외부기기에 있어서, 제 2옵션과 제 3옵션은 동시에 설정될 수도 있다. 제 2옵션과 제 3옵션이 모두 설정된 외부기기는 예컨대 제 2옵션(중단/재개)만 선택된 기기에 비해 재개 우선순위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The device-specific setting may be supported by a first option which is always set to an ON state, a second option which is set to be suspend / resume, and a third option which is kept OFF when changed to an OFF state. As shown in Table 2, the specific device (for example, the first external device) may be set so that the power is not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70 of the electric range and always remains in the ON state. The first external device, which must always be kept ON, can be, for example, a refrigerator. Similarly, the second external device and the third external device may be set as the second option and the third op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specific external device, the second option and the third option may be set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an external device having both the second option and the third option set may have a resume priority lower than that of the device where only the second option (suspend / resume) is selected.

제어부 170는 표 1의 상황 1에서와 같이 제 1화구와 제 2화구는 ON상태이고 제 3화구가 OFF상태일 때, 제 1외부기기는 ON, 제 2외부기기는 중단/재개를 반복 수행할 수 있는 상태, 제 3외부기기는 OFF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170가 제 1 내지 제 3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기준은 앞서 표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 외부 기기별 설정 정보에 근거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situation 1 of Table 1, the controller 170 is configured to repeat the first external device ON and the second external device to stop / resume when the first and second craters are ON and the third crater is OFF. State, the third external device can be controlled to be in the OFF state. The criteria for controlling the first to third external devices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based on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external device as described in Table 2 above.

표 1의 상황 1에서 상황 2로 화구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화구 교체 판단부는 각 화구의 최대 출력 정보 및 각 화구의 타이머 잔여 시간 등에 기반하여 외부기기 전원 제어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170는 상황 2에 대응하는 외부기기 제어를 표 2의 상황 2(제 1외부기기 ON, 제 2외부기기 ON, 제 3외부기기 중단/재개 반복)에서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output state of the crater has changed from Situation 1 to Situation 2 in Table 1, the crater replacemen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power control level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maximum output information of each crater and the remaining time of each crater. .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2 as in the situation 2 (the first external device ON, the second external device ON, and the third external device stop / resume repetition) of Table 2.

상기 제어부 170는 외부기기 전원 공급 제어 기준을 판단할 시, 표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기기별 설정정보 외에,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을 함께 판단하여, 출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an external device power supply control criterion,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device in addition to the device-specific setting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2 and perform output control.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vari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short,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clude all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or to follow all the order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order shown; Note that it may fall within the scope.

110 : 입력 조작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저장부
140 : 구동제어부
150 : 발열부
160 : 통신부
170 : 제어부
171 : 전선 전압 판단부
172 : 적정 전력 판단부
173 : 알림 발생부
174 : 출력값 제어부
110: input operation unit
120: display unit
130: storage unit
140: drive control unit
150: heating unit
160: communication unit
170: control unit
171: wire voltage determination unit
172: proper power determination unit
173: notification generator
174: output value control unit

Claims (1)

전기 레인지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발열 단계 조절을 위한 키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 조작부;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전기 레인지의 소비 전력을 포함하는 통합 소비 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전기 레인지의 발열 단계에 대응하는 예측 소비 전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화구에 가열 대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중량 감지 센서;
사용자에 의해 발열 단계 조절을 위한 키 조작이 수행되면, 요청된 발열 단계에 대응하는 예측 소비 전력 증가량과 상기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합 소비 전력의 합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합계가 기준치 이상이면 요청된 발열 단계로의 적용을 제한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키 조작 결과를 표시하며, 요청된 발열 단계의 적용이 제한될 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비 전력 측정 장치는 사물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멀티탭 및 사물 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분전함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자레인지의 발열 단계별 적용해야 하는 출력값에 대한 정보, 발열 단계별 예측되는 소비 전력 증가량에 대한 정보, 소비 전력 측정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소비 전력 측정 장치의 식별값, 상기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통합 소비 전력 값 및 다른 외부 기기가 작동중임을 판단하기 위한 전압 변동의 기준치 값을 저장하고,상기 제어부는
전기 레인지가 가동중인 경우 대기 전력으로 소모되는 전력 공급을 제한하도록 소비 전력 측정 장치를 제어하고,
가동중인 전기 레인지의 소비 전력을 측정하고, 소비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합 소비 전력과 상기 전기 레인지의 소비 전력의 차이를 외부 기기에 의해 발생된 소비 전력으로 산출하고, 외부 기기에 의해 발생된 소비 전력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전자 레인지의 출력을 하향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 단계를 하향 조정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을 제한하도록 요청하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통합 소비 전력은 상기 멀티탭에 연결된 상기 전자레인지 및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합계이고,
상기 경고 메시지는 E0, E1 및 E2 중 어느 하나의 에러코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In the electric range,
An input operation unit which receives a key operation for adjusting a heating stage from a user;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apparatus and receiving data on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includ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ic range from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apparatu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data relating to predicted power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a heat generation step of the electric range;
A weight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a heating object exists in the crater;
When a key operation for adjusting the heat generation step is performed by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m of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increas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heat generation step and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receiv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A control unit for limiting the application to the requested heating step if the su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result of key operation of the user and displays a warning message when the application of the requested heating step is restricted.
The apparatus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includes a power strip for supporting an IoT function and a distribution box for supporting an IoT function.
The storage unit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information on the output value to be applied to each step of the microwave ove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predicted for each step of heating, identification value of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device,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of the voltage change for determining that the other external device is operating, the control unit is
Control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to limit the power supply to standby power when the electric range is running,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unning electric range,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receiv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range as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the consumption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power is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heating step is adjusted downward to adjust the output of the microwave, and displays a warning message requesting to limit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e integrated power consumption is a sum of power consumed by the microwave oven and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The warning message is an electric ra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error code of any one of E0, E1 and E2.
KR1020180108003A 2018-09-10 2018-09-10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102058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03A KR102058248B1 (en) 2018-09-10 2018-09-10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03A KR102058248B1 (en) 2018-09-10 2018-09-10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230A Division KR101899539B1 (en) 2018-03-13 2018-03-13 Electric range to control output based on external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026A KR20190108026A (en) 2019-09-23
KR102058248B1 true KR102058248B1 (en) 2019-12-20

Family

ID=6806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03A KR102058248B1 (en) 2018-09-10 2018-09-10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2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447B1 (en) * 2021-09-28 2023-03-2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Electric stov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1828A (en) 2009-01-06 2010-07-22 Panasonic Corp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power control system
JP2011205821A (en) * 2010-03-26 2011-10-13 Panasonic Corp Power control system
JP2011204431A (en) * 2010-03-25 2011-10-13 Panasonic Corp Heating cooker,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JP2014011129A (en) 2012-07-03 2014-01-20 Panasonic Corp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1586749B1 (en) * 2014-08-28 2016-01-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for limitt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ic ran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1828A (en) 2009-01-06 2010-07-22 Panasonic Corp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power control system
JP2011204431A (en) * 2010-03-25 2011-10-13 Panasonic Corp Heating cooker,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JP2011205821A (en) * 2010-03-26 2011-10-13 Panasonic Corp Power control system
JP2014011129A (en) 2012-07-03 2014-01-20 Panasonic Corp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1586749B1 (en) * 2014-08-28 2016-01-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for limitt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ic r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026A (en)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1923B2 (en)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JP2010075015A (en) Demand control system for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US20150309521A1 (en) Cloud Based Power Management System
JP5456325B2 (en) Power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power control system
JP6573200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2058248B1 (en)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JP2017011907A (en) Power measurement devic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EP2934064B1 (en) Power management for home appliances
CN104883752B (en) Method, device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apparatus with a heating control and/or regulating device
KR101982781B1 (en) Output control device of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heating cycle according to the cooking time
KR101899539B1 (en) Electric range to control output based on external environment
JP5131145B2 (en) Pow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power control system
JP2016154110A (en) Battery and alarm presentation method therefor
KR101182377B1 (en) Consent apparatus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14197960A (en) 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troller, pow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02013351A1 (en) Electric power device controller and working power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KR101528872B1 (en) Apparatus for power controlling in electric range and method thereof
KR20070092377A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200469313Y1 (en) Multi-function switch
KR20120137125A (en) The system for cutting off of the standby power based on a integrated elb
KR101500550B1 (en) How to set up power control method for electrical range
KR1010399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erge usage having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appliance
JP2020058198A (en) Management device
JP6350939B2 (en) Energy saving adapter
KR20180003964A (en) A smart power out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