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157B1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157B1
KR102058157B1 KR1020130166120A KR20130166120A KR102058157B1 KR 102058157 B1 KR102058157 B1 KR 102058157B1 KR 1020130166120 A KR1020130166120 A KR 1020130166120A KR 20130166120 A KR20130166120 A KR 20130166120A KR 102058157 B1 KR102058157 B1 KR 102058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image
security medium
mobile terminal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7592A (ko
Inventor
정대규
양희선
진민식
오준택
류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3016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1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04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digital security elements, e.g. information coded on a magnetic thread or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촬영 조건 하에서 카메라를 통해 보안매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보안매체의 일련번호 및 권종을 판독하는 단계와, 획득된 이미지들을 보안요소 별로 구분하는 단계와, 구분된 보안요소 별 이미지 분석을 통해 보안매체의 진위 여부를 1차 판독하는 단계와, 보안요소 별 1차 판독 결과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보안매체의 진위 여부를 2차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Method for detecting fake security media}
본 발명은 유가증권, 은행권, 상품권, 여권용지, 복사용지, 미술용지 등을 포함하는 보안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가증권, 은행권, 상품권, 여권용지, 복사용지, 미술용지 등의 보안매체에는 다양한 보안요소들을 포함한다. 보안요소들은 예를 들어, 은화(Watermark), 스파스 은화(SPAS, Special Press & Soldering Watermark), 은화 바(Watermark Bar), 은선(Security Thread), 은사(Security Fiber), 은반(Confetti, Planchette), 홀로그램(Hologram), 투명창(Transparent Window), 미세문자(Micro Lettering)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보안요소들을 통해서 위조를 방지하고자 한다.
그런데, 최근 컬러 복사기나 프린터기 등의 보급으로 인해 일반인들이 쉽게 보안매체의 복사 및 위조가 가능하다. 특히, 컬러 복사기나 프린터기 등으로 보안매체를 위조하는 경우 그 정밀도가 높아져 일반인이 육안으로 쉽게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특수 잉크와 같은 보안요소의 경우에는, 육안으로는 보기 어렵고, 적외선 또는 자외선 광을 통해 가시광에서는 보이지 않던 특정한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적외선 또는 자외선 광을 통한 감지를 위해서는 적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램프 등의 특수 모듈이 필요하므로, 일반인들이 진위 여부를 판독하기 쉽지 않다. 이와 같은 다양한 보안요소들이 있지만, 복사기나 프린터기를 통해서 위조한 보안매체를, 여전히 일반인들이 육안으로 위조 여부를 판단하기 쉽지 않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일반인들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촬영 조건 하에서 카메라를 통해 보안매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보안매체의 일련번호 및 권종을 판독하는 단계와, 획득된 이미지들을 보안요소 별로 구분하는 단계와, 구분된 보안요소 별 이미지 분석을 통해 보안매체의 진위 여부를 1차 판독하는 단계와, 보안요소 별 1차 판독 결과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보안매체의 진위 여부를 2차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련번호 및 권종을 판독하는 단계는, 보안매체의 전체 이미지를 스캔하면서, 전체 이미지 크기 정보와 권종을 구분하는 숫자 이미지 블록 및 일련번호 이미지 블록을 저장하는 단계와, 보안매체의 전체 이미지 크기 정보와 진본의 권종별 이미지 크기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권종을 구분하는 숫자 이미지 블록과 진본의 권종별 숫자 이미지 블록을 비교하여 색상값의 차이 및 패턴 이미지화를 통해 권종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요소 별로 구분하는 단계에서, 권종별 보안요소를 구분하기 위해서 권종에 따라 홀로그램 및 은선과 관련된 이미지 블록, 인쇄 패턴과 관련된 이미지 블록, 미세문자와 관련된 이미지 블록, 옐로우 도트와 관련된 이미지 블록을 각각 구분하여 미리보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1차 판독하는 단계는, 획득된 이미지들에서 특징이 되는 이미지 블록을 선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이미지 블록을 확대해서 이를 원본 이미지 블록 및 위조 이미지 블록과 비교 분석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1차 판독하는 단계는, 획득된 각도별 이미지 중에 홀로그램 및 은선에 맞춰진 이미지 블록의 컬러 히스토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각도별 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와, 진본 이미지의 홀로그램 블록과, 획득된 이미지의 홀로그램 블록의 색상차이를 비교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와, 에지 맵 기반 비교를 통한 홀로그램 및 은선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1차 판독하는 단계는, 획득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이미지 인쇄방식을 분석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와, 획득된 이미지 블록 내 화소의 밀집도를 분석하고 화소 밀집도에 따라 선화인쇄인지 또는 망점 인쇄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안매체의 진위여부를 판독하는 단계와, 진본 이미지 블록과의 비교를 통해 화소 밀집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1차 판독하는 단계는, 획득된 이미지를 스캔하면서 진본의 권종별 미세문자 이미지 블록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권종별 미세문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매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 후 자체 소프트웨어의 블루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1차 판독하는 단계에서, 블루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이미지의 도트 여부에 따라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고, 부가적으로 도트 판별로 인쇄종류 및 부가정보까지 확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판독하는 단계에서, 획득된 보안매체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위조본의 일련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위조 여부를 판별하고, 1차 판독 단계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판별한다.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2차 판독 결과를 백분율(%)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보안매체 판독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보안매체 판독을 위한 데이터들을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보안매체의 이미지 획득방법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표시된 가이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보안매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2차 판독 결과, 위조여부를 나타내는 백분율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판독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추후 보안매체 판독에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인들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획득 모듈을 통해 쉽게 보안매체를 대상으로 언제 어디서든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홀로그램 및 은선, 인쇄 패턴, 미세문자, 옐로우 도트 등과 관련된 이미지 블록 등을 각각 구분하여 해당 이미지 블록을 대상으로 1차적으로 분석하고, 1차 분석 결과를 종합한 2차 정밀 분석을 통해 위조 여부 판별에 대한 정확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단말이라는 휴대성을 이용하여 기존 이미지나 새로 업그레이드되는 모듈에 대해서도 손쉽게 버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은행권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광고도 제공할 수 있어 수익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서 누구나 손쉽게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게다가 데이터베이스 업그레이드를 통한 수익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단계별로 구분된 진위감별 시스템을 만들어 차별화된 각각의 모델 개발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매체 위조 여부 판독을 위한 모바일 단말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위조 여부 판독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특징 조합에 의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획득된 진권 이미지와 위조권 이미지 일부를 각각 도시한 참조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획득된 진권 이미지의 홀로그램과 위조권 이미지의 홀로그램 일부를 각각 도시한 참조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획득된 진권 이미지의 미세문자와 위조권 이미지의 미세문자 일부를 각각 도시한 참조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획득된 진권 이미지의 홀로그램 및 은선과 위조권 이미지의 홀로그램 및 은선 일부를 각각 도시한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매체 위조 여부 판독을 위한 모바일 단말(1)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은, 설정부(10), 이미지 획득부(11), 이미지 보정부(12), 판독부(13), 통신부(14), 저장부(15) 및 출력부(16)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보안매체 위조 여부 판독 프로세스를 동작시킬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구입하거나 무상으로 다운받거나 자체 설치된 형태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은 보안매체(2)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부(11)를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카메라일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은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발광 모듈이나 형광체를 이용하여 백색광을 발광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여, 해당 모듈을 동작시킨 후 이미지 획득부(11)를 통해 보안매체(2)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1)는 보안매체(2)의 전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고 부분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설정부(10)는 이미지 획득부(11)를 통한 보안매체(2)의 이미지 획득 이전에,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촬영 시의 해상도, 조명, 크기, 조리개 등을 설정한다.
이미지 보정부(12)는 이미지 획득부(11)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이하 '획득 이미지'라 칭함)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보정부(12)는 획득 이미지의 해상도를 제어하거나 강도를 보상할 수 있다. 또는 획득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판독부(13)는 획득된 전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안매체의 일련번호 및 권종을 판독한다. 그리고, 획득된 전체 및 부분 이미지들을 보안요소 별로 구분한 후, 구분된 보안요소 별 이미지 분석을 통해 보안매체의 진위 여부를 1차 판독하며, 보안요소 별 1차 판독 결과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종합하여 보안매체의 진위 여부를 2차 판독한다. 1차 판독을 이미지 단순 분석을 통한 판독이라 한다면, 2차 판독은 이미지 정밀 분석을 통한 판독이라 할 수 있다. 1차 판독은 제1 판독부(131)를 통해 이루어지고, 2차 판독은 제2 판독부(13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판독부(131)를 이용한 보안요소 별 판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출력부(16)는 판독부(13)를 통한 판독 결과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16)는 진위 여부를 백분율(percentage)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5)는 보안매체(2) 위조 여부 판별을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처리된 결과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한다. 각종 데이터는 위조 여부 판별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진본 보안매체 이미지와 위조 보안매체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보정부(12)를 통해 보정된 이미지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판독부(13)는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보안매체(2)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과 분리된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1)은 통신부(14)를 통해 데이터베이스(3)와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위조 여부 판별을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베이스(3)는 모바일 단말(1)의 내부 메모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위조 여부 판독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은 이미지 획득을 위한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200). 예를 들어, 조명, 크기, 조리개 등을 기본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은 보안매체를 대상으로 사용자 조작을 통해 보안매체 이미지를 획득한다(210). 이하, 설명의 용이를 위해 보안매체를 지폐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보안매체는 지폐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일반적인 지폐의 크기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은 지폐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먼저 획득한다. 그리고, 지폐의 부분적인 이미지들을 획득한다. 여기서 획득 이미지의 왜곡이나 비틀림이 있을 경우 위치 보정을 통한 보정작업도 같이 이루어진다. 또는 부분 이미지 블록들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도 있다.
한편, 보안매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210)에 앞서, 사용자에게 획득방법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210)에서는, 사용자가 가이드 정보에 따라 보안매체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고, 모바일 단말은 가이드 정보에 따라 촬영된 보안매체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홀로그램, 은선, 인쇄 패턴, 미세문자, 도트 등과 같은 보안요소에 대한 설명과 지폐에서 해당 보안요소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보다 편리하게 보안매체 판독을 위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단말 입장에서는 보안매체 판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은 획득된 전체 이미지를 대상으로 보안매체의 일련번호 및 권종을 판별한다(220). 권종 별로 홀로그램이나 은선 등의 보안요소의 위치가 상이하므로, 보안매체의 권종을 확인하는 작업을 보안요소 검증 이전에 수행한다.
모바일 단말은 일련번호 및 권종 판별 단계(220)에서, 획득된 전체 이미지의 지폐 단위를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지폐 단위의 위치는 앞면의 경우는 아래쪽 왼쪽에 위치하고, 뒷면의 경우는 오른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권종별 크기 정보와 진본의 권종별 이미지 블록을 가지고 온다. 그리고, 획득된 전체 이미지의 좌표를 따라 스캔해 가면서 전체 이미지 크기 정보와 권종을 구분하는 숫자 이미지 블록 및 일련 번호 이미지 블록을 저장한다. 그리고, 보안매체의 전체 이미지 크기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진본의 권종별 이미지 블록을 비교하고, 권종을 구분하는 숫자 이미지 블록과 진본의 권종별 숫자 이미지 블록을 비교하여 권종을 파악한다. 이때, 색상 값의 차이 또는 패턴 이미지화를 통한 이미지 비교를 통해 권종을 판독할 수 있다.
일련 번호 및 권종 판별 단계(220) 이후, 모바일 단말은 부분 이미지들을 대상으로 특징이 되는 보안요소 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보안요소 별 분석을 통해 보안매체의 진위 여부를 1차 판독한다(230). 예를 들어, 홀로그램 및 은선과 관련된 이미지 블록, 인쇄 패턴과 관련된 이미지 블록, 미세문자와 관련된 이미지 블록, 옐로우 도트(yellow dot)와 관련된 이미지 블록을 구분하여 미리보기 이미지들이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에 대해서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이하 구분된 각 보안요소 별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획득 이미지를 대상으로 홀로그램 및 은선을 확인하여 위조 여부를 판독한다. 모바일 단말은 홀로그램의 패턴 이미지가 하나로 보이는지, 여러 형상이 다 보이는지를 확인하여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형상이 보이는 경우, 각도별로 형성된 패턴 이미지가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도별, 예를 들어 0도 및 90도에서의 이미지 중에 홀로그램 및 은선에 맞춰진 이미지 블록의 컬러 히스토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각도별 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각도별 이미지는 모바일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 들일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단말은 진본 이미지의 홀로그램 블록과, 획득된 이미지의 홀로그램 블록의 색상차이 비교 또는 에지 맵 기반 비교를 통한 홀로그램 및 은선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홀로그램 및 은선의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획득 이미지를 대상으로 망점 여부를 확인하여 위조 여부를 판독한다. 일반적으로 지폐는 선화 인쇄를 통해서 제조된다. 그러나, 복사기나 프린터기 등을 통해서 위조된 지폐는 망점 인쇄의 형태를 보이게 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모바일 단말은 획득 이미지에서 특징이 되는 이미지 블록을 미리 선정한 후, 선정된 이미지 블록을 확대해서 이를 원본 이미지 및 위조 이미지와 차례로 비교하여 상관계수를 추출한다. 이때, 이미지 블록 내에서 선이나 망점의 유무를 확인하여 위조 여부를 판독할 수 있다. 즉, 그 크기를 작은 필터부터 시작하여, 해당 필터를 통해 망점의 형태를 비교 분석하거나, 이미지 블록 내 화소의 밀집도를 분석하여 화소 밀집도에 따라 선화 인쇄인지 또는 망점 인쇄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 및 세로 1cm 내에서의 망점의 밀도를 원본 이미지의 밀도와 비교하는 진위 여부를 판독할 수 있다. 또는 진본 이미지 블록과의 비교를 통해 화소 밀집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획득 이미지를 대상으로 미세문자를 확인하여 위조 여부를 판독한다. 진본 지폐는 선화 인쇄로 미세문자가 확연히 선명히 드러나지만,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 의해서 제조된 지폐는 미세문자가 거의 뭉게져 있거나 글자의 형태가 깨져 있어 위변조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진본의 권종별 미세문자들을 읽어들인다. 그리고, 진본의 권종별 미세문자 이미지 블록을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상단부터 스캔하면서 읽어들인 진본의 권종별 미세문자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권종별 미세문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위조 여부를 판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획득 이미지를 대상으로 옐로우 도트(yellow dot) 형태를 확인하여 위조 여부를 판독한다. 토너 복사기에 의해서 제조되는 지폐의 고유한 특성 중 하나는 옐로우 도트이다. 따라서, 옐로우 도트가 있는지 여부를 통해 위조 여부를 판독할 수 있다. 특히, 옐로우 도트는 블루 필터 하에서는 그 색이 검정으로 보이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 후 자체 소프트웨어의 블루 필터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필터링하고, 블루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이미지의 도트 여부에 따라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할 수 있다. 이때, 부가적으로 레이터 토너를 통한 위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은 종합적인 위조 여부를 최종 판독하기 위해서 2차 판독을 수행한다(240). 2차 판독 단계(240)는 이미지 정밀분석 단계이다. 2차 판독 단계(24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1차 판독 단계(230)에서 판독된 결과를 가지고 XOR 비교 분석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위조 여부를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판독 단계(240)에서, 모바일 단말은 획득된 보안매체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위조 지폐의 일련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위조 여부를 확인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과거에서부터 최신까지의 위조 지폐의 일련번호가 저장되어 있어, 모바일 단말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조 지폐의 일련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일련번호가 검색되면 해당 지폐를 위조권으로 최종 판독한다. 위조범들은 지폐 위조 시에, 동일한 일련번호를 다량으로 복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일련번호의 위조권이 많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방법은 유용하다. 해당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항상 최신 위조관련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업그레이드 받아 유지해야 한다. 이 경우, 사업화를 위해서는, 데이터 업그레이드 시마다 수익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광고나 홍보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단말은 2차 판독 결과(240)를 토대로 진위 여부를 출력한다(250). 이때, 백분율(%)로 진위 정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2차 판독 결과, 위조여부를 나타내는 백분율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판독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추후 보안매체 판독에 사용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예를 들어 위조 95%일 수 있다. 이 경우는 위조일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해당 위조 결과를 추후 사용함에 따라 보안매체 판독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특징 조합에 의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이미지를 획득(300)하면, 해상도를 조절(resolution control)(310)하고, 강도를 보상(Intensity compensation)한다(320). 그리고, 앵글을 탐지(Angle detection)하고 중심축을 계산(Calculation of center axis)(330)하여 위치를 보정(Translation and rotation)한다(340). 여기까지가 이미지 획득(300) 이후 보정의 예가 된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은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기존 이미지 블록과, 보정이 이루어진 보안요소 별 이미지 블록 영역을 비교 분석한다(350). 이때, 모바일 단말은 가중치 테이블(4)을 이용하여 이미지 블록들 중 소정의 블록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기존 이미지 블록과 비교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획득된 진권 이미지와 위조권 이미지의 일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획득된 진권 이미지의 홀로그램과 위조권 이미지의 홀로그램 일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획득된 진권 이미지의 미세문자와 위조권 이미지의 미세문자 일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획득된 진권 이미지의 홀로그램 및 은선과 위조권 이미지의 홀로그램 및 은선 일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바일 단말 2: 보안매체
3: 데이터베이스 10: 설정부
11: 이미지 획득부 12: 이미지 보정부
13: 판독부 14: 통신부
15: 저장부 16: 출력부

Claims (14)

  1.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에 있어서,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촬영 조건 하에서 카메라를 통해 보안매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보안매체의 일련번호 및 권종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들을 보안요소 별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보안요소 별 이미지 분석을 통해 보안매체의 진위 여부를 1차 판독하는 단계; 및
    보안요소 별 1차 판독 결과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보안매체의 진위 여부를 2차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 번호 및 권종을 판독하는 단계는,
    보안매체의 전체 이미지를 스캔하면서, 전체 이미지 크기 정보와 권종을 구분하는 숫자 이미지 블록 및 일련 번호 이미지 블록을 저장하는 단계;
    보안매체의 전체 이미지 크기 정보와 진본의 권종별 이미지 크기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권종을 구분하는 숫자 이미지 블록과 진본의 권종별 숫자 이미지 블록을 비교하여 색상값의 차이 및 패턴 이미지화를 통해 권종을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요소 별로 구분하는 단계는,
    권종별 보안요소를 구분하기 위해서 권종에 따라 홀로그램 및 은선과 관련된 이미지 블록, 인쇄 패턴과 관련된 이미지 블록, 미세문자와 관련된 이미지 블록, 옐로우 도트와 관련된 이미지 블록을 각각 구분하여 미리보기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독하는 단계는,
    획득된 이미지들에서 특징이 되는 이미지 블록을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이미지 블록을 확대해서 이를 원본 이미지 블록 및 위조 이미지 블록과 비교 분석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독하는 단계는,
    획득된 각도별 이미지 중에 홀로그램 및 은선에 맞춰진 이미지 블록의 컬러 히스토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각도별 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진본 이미지의 홀로그램 블록과, 획득된 이미지의 홀로그램 블록의 색상차이를 비교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및
    에지 맵 기반 비교를 통한 홀로그램 및 은선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독하는 단계는,
    획득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이미지 인쇄방식을 분석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획득된 이미지 블록 내 화소의 밀집도를 분석하고 화소 밀집도에 따라 선화인쇄인지 또는 망점 인쇄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안매체의 진위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및
    진본 이미지 블록과의 비교를 통해 화소 밀집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독하는 단계는,
    획득된 이미지를 스캔하면서 진본의 권종별 미세문자 이미지 블록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권종별 미세문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매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 후 자체 소프트웨어의 블루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상기 1차 판독하는 단계는, 블루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이미지의 도트 여부에 따라 보안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독하고, 부가적으로 도트 판별로 인쇄종류 및 부가정보까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판독하는 단계는,
    획득된 보안매체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위조본의 일련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위조 여부를 판별하고, 1차 판독 단계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상기 2차 판독 결과를 백분율(%)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보안매체 판독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보안매체 판독을 위한 데이터들을 업그레이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보안매체의 이미지 획득방법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가이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보안매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은,
    상기 2차 판독 결과, 위조여부를 나타내는 백분율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판독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추후 보안매체 판독에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KR1020130166120A 2013-12-27 2013-12-27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KR102058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120A KR102058157B1 (ko) 2013-12-27 2013-12-27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120A KR102058157B1 (ko) 2013-12-27 2013-12-27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592A KR20150077592A (ko) 2015-07-08
KR102058157B1 true KR102058157B1 (ko) 2019-12-23

Family

ID=5379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120A KR102058157B1 (ko) 2013-12-27 2013-12-27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747A1 (ko) * 2022-02-08 2023-08-17 대한민국(관리부서: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Yolo 알고리즘 기반의 은행권 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403B1 (ko) 2018-06-19 2020-04-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조 영상 인쇄물 감식을 통한 코드인증방법과 그 응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7165A1 (en) 1988-12-15 1990-06-28 Paul Palmer Banknote counterfeit detecting apparatus
US20010014169A1 (en) 1998-09-29 2001-08-16 Liang Louis H. First-order authent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7165A1 (en) 1988-12-15 1990-06-28 Paul Palmer Banknote counterfeit detecting apparatus
US20010014169A1 (en) 1998-09-29 2001-08-16 Liang Louis H. First-order authent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747A1 (ko) * 2022-02-08 2023-08-17 대한민국(관리부서: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Yolo 알고리즘 기반의 은행권 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592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4419B2 (ja) 紙幣の真贋判定方法、及び紙幣の真贋判定装置
ES2424480T3 (es) Patrones de autenticación visibles para documento impreso
US9747483B2 (en) Methods for securing invisible 2D barcodes and printed images
US20050169511A1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using primary and secondary pictorial image comparison
US8805025B2 (en) Stain detection
JP4510643B2 (ja) 印刷媒体の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CA2841146C (en) Encoding hidden information in spatial line frequencies
WO2011058554A1 (en) Computerized integrated authentication/ document bearer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US20110298204A1 (en) Document security by aligning visible and hidden marks
CN108602374B (zh) 对设置有安全元素的对象的验证
RU2598296C2 (ru)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оптического защитного признака ценного документа
CN101848257A (zh) 移动终端
KR101707218B1 (ko) 스마트폰 연동형 위조지폐감별장치 및 방법
Uddin et al. Image-based approach for the detection of counterfeit banknotes of Bangladesh
JP2002092682A (ja) 透かし検出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058157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Garain et al. On automatic authenticity verification of printed security documents
KR100874752B1 (ko) 지폐 인식장치 및 그 인식방법
KR101812206B1 (ko)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117359B1 (ko)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KR101824099B1 (ko) 지폐 위조 방지 시스템 및 위조지폐 경보 시스템
TWI378406B (en) Method for performing color analysis operation on image corresponding to monetary banknote
KR102163122B1 (ko)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4288998B2 (ja) 紙の真贋判別方法
KR2015007106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보안 인쇄물의 진위 식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