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061B1 -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061B1
KR102058061B1 KR1020190073616A KR20190073616A KR102058061B1 KR 102058061 B1 KR102058061 B1 KR 102058061B1 KR 1020190073616 A KR1020190073616 A KR 1020190073616A KR 20190073616 A KR20190073616 A KR 20190073616A KR 102058061 B1 KR102058061 B1 KR 102058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te vinyl
chamber
transf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은숙
Original Assignee
권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은숙 filed Critical 권은숙
Priority to KR102019007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3/042Cleaning travelling work the loose articles or bulk material travelling gradually through a drum or other container, e.g. by helix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29B9/065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under-water, e.g. underwater pelletiz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B29B2017/0015Washing, ri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거된 폐비닐에 남아있는 이물질의 제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고품질의 재생비닐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상부에 분쇄날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이송스크류가 구성된 분쇄하우징과; 상기 분쇄 후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폐비닐이 세척수에 의한 1차 세척이 이루어지는 제1 세척실과; 상기 제1 세척실로 부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분쇄 폐비닐의 2차 세척이 이루어지는 제2 세척실과; 상기 컨베어 벨트를 통해 이송된 분쇄 폐비닐의 탈수를 위해 매쉬망 형태를 이루어 고속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탈수통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폐비닐에 대한 고온의 열풍 건조가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건조된 폐비닐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수평이송관이 연결되어져 있는 건조실과; 상기 수평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폐비닐의 고온 가열이 이루어지되, 용융된 재료의 압출 성형을 위한 1차 성형부 및 2차 성형부가 연결 구성된 용융실과; 상기 용융실에서 압출 가공되어진 성형물의 냉각을 위한 온수가 저장되는 냉각조와; 상기 냉각조를 경유한 성형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이 상,하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이송컨베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 장치{WASTE VINYL CLEANING MACHINE}
본 발명은 폐비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수거되어진 폐비닐의 재활용을 위한 이물질 제거 과정인 세척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재생 비닐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합성 물질의 한 종류인 비닐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생활 용품의 하나로써, 도시, 농촌, 어촌 등 지역을 막론하고 매우 다양한 용도를 위해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비닐은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다양한 형태, 다양한 기능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으로는 상품의 포장용 비닐지에서부터 보온성과 방수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닐하우스를 덮어씌우는 덮개 역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닐은 저렴한 가격 때문에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로 인해 쉽게 버려지는 경우도 많아서 쓰레기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일종의 플라스틱 합성 물질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토양에 묻혀도 거의 썩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비닐에 의한 쓰레기 발생이나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폐비닐의 양만 해도 연간 10만 톤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최근, 도시 지역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 등에서도 폐비닐을 별도 수거하여 이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나, 도시 지역에서 수거되는 폐비닐의 경우에는 폐비닐에 음식물 찌꺼기 등 각종 오물 등이 묻어 있는 경우가 많고, 농촌 지역에서 수거되는 폐비닐의 경우에는 폐비닐에 흙이 섞여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렇게 수거된 폐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폐비닐을 세척하는 작업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나, 제대로 된 폐비닐의 세척 장치가 아직도 갖추어 지지 못하여 폐비닐의 원만한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소각되는 양이 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세척 후 폐비닐에 이물질이 남아있게 되면 재생 비닐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61817호(2010.05.28.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51643호(2006.11.23.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폐비닐의 세척 작업이 연속적인 자동화 공정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세척기술을 제공함으로서 재활용 폐비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 장치는, 상부에 쌍을 이루는 분쇄날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분쇄된 폐비닐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가 구성된 분쇄하우징과; 상기 분쇄 후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폐비닐이 세척수에 의한 1차 세척이 이루어지되, 일측에는 세척 스크류가 내부에 구성된 이송관이 연결된 제1 세척실과; 상기 제1 세척실로 부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분쇄 폐비닐의 2차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교반날 형태의 세척날개가 구성되되, 후단측에는 컨베어 벨트가 일정 각도의 상향으로 구비됨과 함께 상기 컨베어 벨트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성된 제2 세척실과; 상기 컨베어 벨트를 통해 이송된 분쇄 폐비닐의 탈수를 위해 매쉬망 형태를 이루어 고속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되, 후단측에는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이송관이 일정 각도의 상향 경사를 이루어 연결 구성된 탈수통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폐비닐에 대한 고온의 열풍 건조가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건조된 폐비닐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수평이송관이 연결되어져 있는 건조실과; 상기 수평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폐비닐의 고온 가열이 이루어지되, 용융된 재료의 압출 성형을 위한 1차 성형부 및 2차 성형부가 연결 구성된 용융실과; 상기 용융실에서 압출 가공되어진 성형물의 냉각을 위한 온수가 저장되는 냉각조와; 상기 냉각조를 경유한 성형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이 상,하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이송컨베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폐비닐 세척장치는, 폐비닐에 남아있는 이물질의 제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고품질의 재생비닐제품 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의 세척장치의 구성중 분쇄부 및 1차 세척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의 세척장치중 2차 세척부 및 탈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의 세척장치 중 건조 및 세척 건조가 완료된 폐비닐을 용융 가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비닐 세척장치 용융 사출물의 절단을 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 2세척 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폐비닐의 분쇄가 이루어지는 분쇄하우징(10)과, 분쇄된 폐비닐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1 세척실(20) 및 제2 세척실(30)과, 세척된 폐비닐의 탈수를 위한 탈수통(40) 및 건조를 위한 건조실(50)과, 성형 가공을 위한 1차 및 2차 용융실(60)(70)과, 냉각조(80) 및 이를 절단하는 절단부(90)로 구성된다.
그중, 분쇄하우징(10)은 도 1에서와 같이 분쇄실(12)의 상부로 폐비닐이 유입되도록 호퍼(11)가 구비되고, 분쇄실(12) 내부에는 유입되는 폐비닐을 분쇄하기 위한 한 쌍의 분쇄날(13)이 구성되되, 분쇄날(13)은 날(13a)가 등각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쇄날(13)의 하단에는 분쇄된 폐비닐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14)가 구성된다.
상기 분쇄날(13)및 이송스크류(14)는 모터(M1)과 연동되도록 이루어져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분쇄와 이송을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세척실(20)은 본체(22)의 내부로 모터(M2)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폐비닐을 세척 이송하는 스크류(21)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22)는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메쉬망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21)의 날개(21a)는 판 형상의 조각판 나나산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날개(21a)가 유입된 폐비닐을 타격하면서 세척을 행함으로 이물질 제거 능률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21)의 내부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관(23)이 삽입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관의 분사노즐(23a)이 위치하는 스크류 관(24)은 요부는 절개부(24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스르류(21)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와류 형태로 분사하고 날개(21a)가 폐비닐을 타격하면서 세척을 행하므로 세척 능률이 향상된다.
한편, 제2 세척실(30)은 제1 세척실(20)로 부터 이송된 분쇄 폐비닐의 2차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교반날 형태의 세척날개(32)가 구성되되, 후단측에는 컨베어 벨트(35)가 일정 각도의 상향으로 구비됨과 함께 상기 컨베어 벨트(35)에는 다수의 돌기부(36)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성된다.
그리고 세척통(31)의 일측부에는 강한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3)이 구비되고, 세척통(31) 바닥부에는 버블기(3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세척날개(32)는 측부에 구비된 모터(M3)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2 세척실의 구성 작용을 살피면, 모터에 의해 세척날개(32)가 회전하면서 폐비닐을 타격하여 세척을 행함과 동시에, 측부에 구비된 분사노즐(33)에서 분사하는 세척수의 압력에 폐비닐 세척이 이루어지면서, 하단부의 버블기(34)에서 버블이 발생하여 세척통 내에 와류가 이루도록 된다.
그리고, 탈수통(40)은 매쉬망 형태의 본체(41)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고속회전을 하면서 폐비닐의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고 폐비닐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스크류(42)가 구비되며, 본체의 측부에는 탈수된 폐비닐을 건조실(50)로 이송하는 이송관(42)이 구비된다.
또한, 건조실(50)은 상기 이송관(42)을 통해 이송된 폐비닐에 대한 고온의 열풍 건조가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건조된 폐비닐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수평이송관(56)이 연결된다.
그리고 건조실(50) 내부에 열풍 공급용 송풍팬(51)과 함께 UV램프(53)가 구성되고, 중단 높이에는 철망(52)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이송관(43)을 통해 이송된 폐비닐이 열풍과 함께 UV램프(53)에서 발생되는 자외선 열화에 의해 보다 깊숙히 폐비닐 내로 열전달이 이루어져 건조가 촉진됨과 함께 살균작용이 이루어지게 되어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철망(52)이 수평으로 설치됨으로 자체 열전도에 따른 폐비닐 접촉 건조가 이루어짐과 함께 열풍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송관(43)에서 낙하되는 폐비닐이 1차로 걸려진 후 낙하가 이루어짐에 따른 낙하속도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서 건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용융실(60)은 상기 수평이송관(56)을 통해 이송된 폐비닐의 고온 가열이 이루어지되, 용융된 재료의 압출 성형을 위한 1차 성형부(61) 및 2차 성형부(70)가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냉각조(80)에는 상기 용융실(70)에서 압출 가공되어진 성형물의 냉각을 위한 냉수 또는 온수가 저장되며, 이송컨베어(92)에는 상기 냉각조(80)를 경유한 성형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91)이 상,하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2 세척실(30) 내의 하부에는 폐비닐 세척과정에서 발생되어 바닥면에 쌓인 이물질이 다시 상승되어 폐비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선별판(34)이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되, 상기 선별판(34)은 일정 각도의 경사형상을 이룸으로서 이물질의 하향 유도가 이루어짐과 함께 바닥에 쌓인 이물질의 다시 상승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선별판(34) 하부에는 산화 알루미늄 성분의 맥반석(35)이 구비됨으로서 이물질의 흡착 및 수류에 의한 영향을 방지토록 하게 된다.
특히, 맥반석(35) 표면에는 내구성 향상 및 이물질 점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굴패각 분말, 실리콘, 폴리글리콜, 이산화티탄, 클로브 오일, 탄소 분말, 나노은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점착 코팅층을 박막으로 형성시킴으로서 맥반석(35)의 내구성을 증대시킴과 함께 이물질이 표면에 점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점착 코팅층을 이루는 성분인 실리콘은 코팅층의 균일한 두께가 유지되도록 하고, 폴리글리콜은 점도를 유지하며, 이산화티탄은 코팅층의 내구성 강화를 통한 크랙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클로브 오일 및 탄소 분말은 맥반석(35)의 변색을 방지하고, 나노은은 항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세척장치에 의한 세척과정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폐비닐 투입단계>
먼저, 수거된 폐비닐을 분쇄하우징(10)으로 투입하게 되는데, 이때 투입이 이루어지는 분쇄하우징(10)은 상부에는 쌍을 이루는 분쇄날(13)의 회동이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분쇄된 폐비닐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14)가 구성된 것을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분쇄단계>
이와 같이 투입이 이루어진 폐비닐은 분쇄하우징(10) 상부에서 고속 회전이 이루어지는 분쇄날(13)에 의해 분쇄되어진다.
<1차 세척단계>
이후, 분쇄된 폐비닐은 분쇄하우징(10) 하부에서 회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송스크류(14)에 의해 일측의 제1 세척실(20)로 이송되어 제1 세척실(20) 내에서 세척수에 의한 1차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세척관(23)이 회전을 하면서 폐비닐의 표면으로 분사되고, 판 형상의 낮개로 이루어진 세척날(21a) 폐비닐을 타격하면서 세척을 행하므로 세척효율이 향상된다.
<2차 세척단계>
그리고, 제2 세척실(30)로 이송된 분쇄 폐비닐은 세척날개(32)의 회동에 의한 2차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때에는 세척수가 일정 수위로 저장되어 있는 제2 세척실(30)에서 일정 속도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교반날 형태의 세척날개(32)에 의한 수류가 형성됨으로서 1차 세척단계에서 세척되지 않고 남아 있던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방에서 강한 압력의 세척수가 분사되고 하단에서는 버블기에 의해 버블이 발생함으로 세척통(31)의 내부가 와류가 발생하여 세척능률이 극대화된다.
<탈수단계>
한편, 제2 세척실(30)에서 세척이 이루어진 분쇄 폐비닐은 물위에 떠서 유동되는 과정에서 컨베어 벨트(35)에 의해 일정 각도의 상향으로 이동되어진 후, 탈수통(40)으로 이송되어 탈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컨베어 벨트(35)에는 분쇄 폐비닐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부(36)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탈수통(40)은 물이 빠질 수 있도록 원통의 매쉬망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구동모터로 부터 고속으로 이송스크류(42)가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고속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서 폐비닐에 남아있는 물기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건조단계>
이와 같이 탈수가 이루어진 분쇄 폐비닐은 건조실 이송관(43)을 통해 건조실(50)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건조실 이송관(43)은 상향으로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룸과 함께 건조실 이송관 내에는 이송스크류가 구성됨으로 스크류 구동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이송 과정에서 남아 있던 물기는 건조실 이송관(43)을 통해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건조실(50) 에서는 송풍팬(51) 및 히터(미도시)에 의한 고온의 열풍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서 폐비닐에 대한 건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용융단계>
이후, 건조실(50)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폐비닐은 고온 가열이 이루어지는 용융실(60)로 공급하여 용융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때에는 수평이송관(56) 내에서 이송스크류(52)가 스크류 모터(M4)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어짐으로서 폐비닐이 용융실(60)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용융실(60)에서는 이송된 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가공단계>
그리고, 용융되어진 폐비닐 용융물은 일정 두께의 연속적인 성형물로 가공하는 가공단계가 실시 되는데, 이때에는 1차 성형부(61)와 2차 성형부(62)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압출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1차 성형부(61)에서는 대략 3~5cm 지름의 가래떡 형태로 압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후 다시한번 용융실(70)을 경유하는 가운데 용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2차 성형부(71)에서는 1~3cm 지름을 갖는 성형물로 다시한번 압출성형에 따른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냉각단계>
이후, 상기 압출 가공되어진 성형물을 25~55℃의 냉각조(80) 내의 온수를 통과시켜서 냉각을 실시하게 된다.
<절단단계>
그리고, 상기 냉각이 이루어진 성형물이 이송 컨베어(92)를 따라 이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는 절단날(91)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로 연속적인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폐비닐의 세척이 이루어짐과 함께 일정 길이로 절단 가공이 이루어진 재생 비닐은, 이물질의 함유 비율을 최소화 하게 됨으로 보다 고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폐비닐 세척장치 및 방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분쇄하우징 13 : 분쇄날
14 : 이송스크류 20 : 제1 세척실
21 : 세척스크류 30 : 제2 세척실
40 : 탈수통 50 : 건조실
60, 70 : 용융실 61,71 : 1차 및 2차 성형부
80 : 냉각조

Claims (3)

  1. 폐비닐을 분쇄하는 것으로, 분쇄실의 내부에는 날이 등각격으로 구성된 쌍을 이루는 분쇄날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분쇄된 폐비닐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가 구비되며, 상기 분쇄날 및 이송스크류를 회전 작동하는 모터 가 구비된 분쇄하우징과;
    상기 분쇄하우징에 의해 분쇄된 폐비닐을 1차 세척하는 것으로, 매쉬망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 내부로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폐비닐을 세척이송하는 스크류가 구비되되, 스크류관 외부에 나사산형태로 구비되는 판 형상의 조각판으로 구성되어 폐비닐을 타격하도록 이루어진 날개와, 상기 스크류관의 내부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관이 이루어지되, 세척관의 분사노즐이 위치하는 스크류관에는 절개부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져 폐비닐을 타격하면서 세척하는 제1 세척실과;
    상기 제1 세척실로 부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분쇄 폐비닐의 2차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세척수가 담겨지는 세척통과, 상기 세척통 내부로 교반날 형태의 세척날개와, 일측에는 강한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분사노즐과, 바닥면에는 세척통 내부에 버블을 발생하도록 버블기가 구비되어 세척통 내부에 와류 현상이 일어나도록 이루어지며, 후단측에는 컨베어 벨트가 일정 각도의 상향으로 구비됨과 함께 상기 컨베어 벨트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성되어 세척이 완료된 폐비닐 조각을 이송하도록 이루어진 제2세척실과;
    상기 컨베어 벨트를 통해 이송된 분쇄 폐비닐의 탈수를 위해 매쉬망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는 고속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스크류로 이루어져 탈수를 행하는 탈수통과;
    내부에 열풍 공급용 송풍팬과 함께 UV램프가 구성됨으로서 자외선에 의한 침투건조 및 살균작용이 이루어지고, 중단 높이에는 철망이 수평으로 설치됨으로 열풍의 균일한 분산 및 폐비닐의 낙하속도 조절이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건조된 폐비닐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수평이송관이 연결되어져 있는 건조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세척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실 내의 하부에는 폐비닐 세척과정에서 발생되어 바닥면에 쌓인 이물질이 다시 상승되어 폐비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선별판이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되, 상기 선별판은 일정 각도의 경사형상을 이룸으로서 이물질의 하향 유도가 이루어짐과 함께 바닥에 쌓인 이물질의 상승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선별판 하부에는 수류의 영향을 제한하기 위해 다수의 맥반석이 구비되되, 상기 맥반석 표면에는 내구성 향상 및 이물질 점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굴패각 분말, 실리콘, 폴리글리콜, 이산화티탄, 클로브 오일, 탄소 분말, 나노은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점착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세척 장치.
  3. 제 1항에 의해 세척된 폐비닐을 압출 재생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폐비닐의 고온 가열이 이루어지되, 용융된 재료를 일정 지름으로 압출 성형을 위한 1차 성형부 및 압출 성형물을 더욱 감소된 지름으로 압출 성형하기 위한 2차 성형부가 연결 구성된 용융실과;
    상기 용융실에서 압출 가공되어진 성형물의 냉각을 위한 온수가 저장되는 냉각조와;
    상기 냉각조를 경유한 성형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이 상,하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이송컨베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압출재생 장치.
KR1020190073616A 2019-06-20 2019-06-20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 장치 KR102058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16A KR102058061B1 (ko) 2019-06-20 2019-06-20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16A KR102058061B1 (ko) 2019-06-20 2019-06-20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061B1 true KR102058061B1 (ko) 2019-12-23

Family

ID=6905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616A KR102058061B1 (ko) 2019-06-20 2019-06-20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0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2975A (zh) * 2020-03-30 2020-06-16 衢州林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分类处理装置
CN111686881A (zh) * 2020-06-29 2020-09-22 谢双 一种用于中药材制备的粉碎装置
CN112474557A (zh) * 2020-10-22 2021-03-12 中山市东望洋化工有限公司 一种化工生产用高效原料漂洗装置
KR102395320B1 (ko) * 2021-06-21 2022-05-09 배덕관 세척스크류를 구비한 회수된 폐비닐과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CN115921407A (zh) * 2022-12-30 2023-04-07 江苏优迪亚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原料的预处理设备
KR102533191B1 (ko) * 2021-12-24 2023-05-17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폐플라스틱 파쇄 및 세척 시스템
KR102618516B1 (ko) * 2022-09-27 2023-12-27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세척수의 재사용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세척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232B1 (ko) 2017-02-06 2019-02-28 김두현 타격식 세척 탈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232B1 (ko) 2017-02-06 2019-02-28 김두현 타격식 세척 탈수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2975A (zh) * 2020-03-30 2020-06-16 衢州林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分类处理装置
CN111282975B (zh) * 2020-03-30 2021-05-28 南京溧水高新产业股权投资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分类处理装置
CN111686881A (zh) * 2020-06-29 2020-09-22 谢双 一种用于中药材制备的粉碎装置
CN112474557A (zh) * 2020-10-22 2021-03-12 中山市东望洋化工有限公司 一种化工生产用高效原料漂洗装置
KR102395320B1 (ko) * 2021-06-21 2022-05-09 배덕관 세척스크류를 구비한 회수된 폐비닐과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KR102533191B1 (ko) * 2021-12-24 2023-05-17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폐플라스틱 파쇄 및 세척 시스템
KR102618516B1 (ko) * 2022-09-27 2023-12-27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세척수의 재사용이 가능한 폐플라스틱 세척 시스템
CN115921407A (zh) * 2022-12-30 2023-04-07 江苏优迪亚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原料的预处理设备
CN115921407B (zh) * 2022-12-30 2023-07-21 江苏优迪亚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原料的预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061B1 (ko) 폐비닐 세척 및 압출재생 장치
KR102058066B1 (ko) 폐비닐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활용방법
CN1076264C (zh) 回收和粒化由树脂材料制成的废容器的方法
CN106808614A (zh) 一种pet瓶片再生料生产工艺
CN104647637B (zh) 塑料瓶回收加工方法及其回收加工生产线
CN104416689A (zh) Abs、pp混合大型塑料件破碎分类清洗线
AU2011207141B2 (en) Method for preparing and detoxifying
CN204263409U (zh) 一种废塑料清洗分离装置
KR20130054337A (ko)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N204471653U (zh) 塑料瓶回收加工生产线
CN104708732A (zh) 一种新型再生塑料薄膜粉碎装置
CN106965348A (zh) 一种废旧塑料瓶的瓶、标及盖的分离系统及其加工方法
CN111037785A (zh) 一种pet瓶片清洗机
CN108162241A (zh) 废旧混合塑料回收分离装置及方法
CN202862448U (zh) 对塑料的分离及干洗系统
KR101982532B1 (ko) 폐스티로폼 재활용 및 연료화를 위한 대용량 스팀식 감용기
CN204566464U (zh) 一种新型再生塑料薄膜粉碎装置
EP1084016A1 (en)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products made of plastic material of the recyclable type
KR20070019318A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6840496U (zh) 一种塑料瓶回收处理系统
CN110549516A (zh) 一种回收的中空日化包装瓶的自动分解及材质分选系统
KR100366232B1 (ko) 가연성쓰레기의 재생연료 제조 장치
CN211221577U (zh) 一种回收的中空日化包装瓶的自动分解及材质分选系统
CN106965347A (zh) 一种废旧塑料瓶循环利用生产系统
CN210506977U (zh) 一种造纸行业用纸塑回收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