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86B1 - 냉장고 서랍 - Google Patents

냉장고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86B1
KR102057986B1 KR1020130076750A KR20130076750A KR102057986B1 KR 102057986 B1 KR102057986 B1 KR 102057986B1 KR 1020130076750 A KR1020130076750 A KR 1020130076750A KR 20130076750 A KR20130076750 A KR 20130076750A KR 102057986 B1 KR102057986 B1 KR 102057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topper
rail
withdraw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629A (ko
Inventor
배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3007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서랍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만 열림(하프 스트로라고도 함)과 완전개방(풀 스트로크라고도 함)이 가능한 냉장고 서랍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저장실; 상기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브라켓을 갖는 서랍;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록킹부;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일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서랍이 일부 인출된 위치에서 상기 록킹부에 접촉하여 상기 서랍을 일시정지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서랍이 완전 인출된 위치에서 상기 록킹부에 걸려 상기 서랍을 정지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을 제공하여, 서랍이 인출될 때 일시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랍 내부의 저장물 중 인출위치에 있는 저장물만의 인출이 가능하고 나머지 저장물은 정온성이 보장되므로 편리성 및 정온성이 향상되는 강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서랍{A drawer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서랍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만 열림(하프 스트로라고도 함)과 완전개방(풀 스트로크라고도 함)이 가능한 냉장고 서랍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서랍은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의 저장물을 수납하기 위한 구성품이다.
냉장고 서랍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또는 수납이 가능한 구조를 하고 있다.
서랍이 무게가 적게 나가는 저장물을 보관할 때에는 용이하게 인출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서랍 내부에 저장물이 김치통 등 무게가 비교적 많이 나가는 저장물인 경우에 있어서 서랍을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한 번 움직이기 시작한 서랍을 멈추고자 할 때에는 서랍이 수납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여 움직이는 서랍을 멈추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서랍이 내부에 복수개의 저장물을 저장할 때에 복수개의 저장물 가운데 일부 저장물의 인출만이 필요할 때 서랍이 전부 인출되면 인출되지도 않을 저장물마저 외부 대기에 노출되어 정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종래기술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815호는 냉장고의 서랍식용기인출 및 수납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815호의 서랍은 인출시에 불필요한 저장물까지도 외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정온성 저하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기술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815호는 하나의 서랍에 있어서 일부 저장물 인출을 위한 서랍의 인출기능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81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 서랍을 제공함으로써, 원하는 저장물만의 인출을 위하여 서랍이 일시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저장실; 상기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브라켓을 갖는 서랍;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록킹부;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일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서랍이 일부 인출된 위치에서 상기 록킹부에 접촉하여 상기 서랍을 일시정지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서랍이 완전 인출된 위치에서 상기 록킹부에 걸려 상기 서랍을 정지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는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에서 경사를 갖고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라운드부가 상기 록킹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려 상기 서랍이 일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라운드부가 상기 단턱을 넘어서 상기 서랍이 전부 인출될 때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단턱에 걸려서 상기 서랍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랍이 완전 수납된 위치에서 상기 레일을 정지하는 제3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서랍이 인출될 때 일시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랍 내부의 저장물 중 인출위치에 있는 저장물만의 인출이 가능하고 나머지 저장물은 정온성이 보장되므로 편리성 및 정온성이 향상되는 강점이 있다.
둘째, 서랍이 인출될 때 완전 개방을 원치 않을 때에 자동적으로 서랍이 일시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와 제1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와 제2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가 설치된 모습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록킹부(500)와 제1스토퍼(300)의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300)의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록킹부(500)와 제2스토퍼(400)의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610)가 설치된 모습도이다.
서랍(100)은 저장실(200) 내부공간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브라켓(110)은 서랍(100)의 좌우 외측벽에 각각 서랍(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레일(210)은 저장실(200)의 좌우 내측벽에서 각각 저장실(200)의 깊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게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110)은 레일(21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레일(210) 역시 저장실(200) 내측벽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서랍(100)이 저장실(200)로부터 인출될 때에는 일차적으로 레일(210)이 저장실(200)로부터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아웃되고, 다음으로 브라켓(110)이 레일(210)을 따라서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딩 아웃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서랍(100)이 저장실(200)로부터 인출될 때 반만 인출되는 하프스트록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랍(100)에는 김치통 2개가 각각 서랍(100)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데, 서랍(100)을 반만 열게 되면 서랍(100)의 손잡이 근처에 위치한 김치통을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저장실(200) 방향에 놓이게 되는 또 다른 김치통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 되므로 김치의 신선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면서 서랍(100)이 하프스트록 상태, 다시 말해서 반만 열리게 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브라켓(110)에는 제1스토퍼(300)가 설치된다.
제1스토퍼(300)는 일측에 힌지(36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엔드부(34)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300)는 브라켓(110)의 전방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즉, 제1스토퍼(300)는 서랍(100)이 저장실(200)로부터 반만 개방된 위치에서 (하프스트로크 상태라고도 함) 브라켓(110)의 끝단과 서랍(100)의 손잡이 사이 위치에서 브라켓(110)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스토퍼(300)는 서랍(100)의 손잡이와 후술할 제2스토퍼(400) 사이에 위치한다.
제1스토퍼(300)는 엔드부(34)로부터 힌지(360)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제1연장부(331)를 갖는다.
제2연장부(332)는 힌지(360)로부터 엔드부(34)까지 연장되면서 단면적이 감소한다.
제1연장부(331)와 제2연장부(332)는 오목부(350)를 기준하여 좌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형상을 이룬다.
제2연장부(332)에는 좌측단부에 엔드부(34)가 형성되고, 엔드부(34) 하면은 제1경사면(321)을 이룬다.
제1경사면(321)은 엔드부(34)로부터 우측으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경사면(322)에 이어진다.
제2경사면(322)은 제2연장부(332)의 우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있으며 걸림부(310)에 이어진다.
걸림부(310)는 제1스토퍼(300)의 제2연장부(332)에서 서랍(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걸림부(310)는 크게 제2경사면(322)의 우측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라운드부(311)를 갖는다.
라운드부(311)는 우하향 방향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면(313)은 라운드부(311)의 좌측상방향 단부에서 우측으로 편평하게 이어지고 있으며, 제2면(315)은 제1면(313)의 우측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라운드부(311)의 우측단과 만난다.
제3경사면(323)은 걸림부(310)의 우측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우측으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힌지(360)까지 연장된다.
제4경사면(324)은 엔즈부의 우측으로 뻗어 오목부(350)까지 연장된다.
다음으로 도4를 참조하면서 제1스토퍼(300)가 록킹부(500)에 걸리는 구조를 설명한다.
제1스토퍼(300)는 서랍(100)이 저장실(200)에서 일부 인출된 위치에서 서랍(100)을 일시정지시킨다.
록킹부(500)는 레일(210)에 고정되는 파츠이다.
록킹부(500)는 브라켓(110)의 상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부(111)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하는 제1가이드돌기(510)를 갖고, 브라켓(110)의 하면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112)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하는 제2가이드돌기(520)를 갖는다.
브라켓(110)은 제3면(131)과, 제3면(131)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4면(133)을 갖는다.
제1스토퍼(300)가 록킹부(500)에 걸리는 위치에서의 록킹부(500)의 좌측에는 제3면(131)이, 우측에는 제4면(133)이 각각 배치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가이드부(111)는 서랍(100)에 설치된 브라켓(110)의 상면에서 브라켓(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파인 홈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2가이드부(112)는 서랍(100)에 설치된 브라켓(110)의 하면에서 브라켓(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파인 홈으로 각가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서랍(100)이 인출되거나 수납될 때 브라켓(110)의 제1가이드부(111)는 록킹부(500)의 제1가이드돌기(510)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되고, 브라켓(110)의 제2가이드부(112)는 록킹부(500)의 제2가이드돌기(520)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되므로 서랍(100)이 안정적으로 수납 또는 인출이 가능해진다.
록킹부(500)는 제1가이드돌기(510)로부터 서랍(100)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수용부(511)를 갖는다.
제1수용부(511)는 브라켓(110)의 제1가이드부(111) 측면을 수용한다.
록킹부(500)는 제2가이드돌기(520)로부터 서랍(100)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수용부(522)를 갖는다.
제2수용부(522)는 브라켓(110)의 제2가이드부(112) 측면을 수용한다.
브릿지(550)는 제1수용부(511)의 좌측하면과 제2수용부(522)의 좌측상면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한다.
장공(540)은 브릿지(550)의 우측에서 우상향과 우하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홀이다.
장공(540)은 브릿지(550)와 헤드부(560) 사이에서 형성되고 있다.
제1고정부(571)는 제1수용부(511)의 하측에 형성되고 있으며, 제2고정부(572)는 제2수용부(522)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1고정부(571) 및 제2고정부(572)는 록킹부(500)가 레일(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제1고정부(571)와 제2고정부(572)는 도3에서 도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도1에서 처럼 록킹부(500)가 레일(210)의 좌측단부에서 삽입되어 레일(210)의 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부(5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헤드부(560)는 록킹부(500)의 제1고정부(571) 및 제2고정부(572) 사이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라운드 형상의 돌기이다.
헤드부(560)는 우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530)은 제2수용부(522)에서 브라켓(1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스토퍼(300)의 걸림부(310)가 걸리게 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스토퍼(300)에 형성된 걸림부(310)의 라운드부(311)는 록킹부(500)에 형성된 단턱(530)에 접촉하면서 서랍(100)이 일차적으로 멈추는 하프스트록 상태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서랍(100)이 저장실(200)로부터 인출될 때 제1스토퍼(300)가 결국 록킹부(500)에서 걸리게 되면서 서랍(100)이 반만 열리는 하프스트록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스토퍼(300)의 걸림부(310)는 라운드부(311)를 갖기 때문에 서랍(100)이 저장실(200)로부터 완전 인출될 때에는 라운드부(311)가 단턱(530)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결국 제1스토퍼(300)는 록킹부(500)로부터 록킹이 해제되는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라운드부(311)가 단턱(530)을 부드럽게 넘어가고 이어서 제3경사면(323)이 단턱(530)을 지나게 되면서 결국 제1스토퍼(300)는 록킹부(500)로부터 록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제1스토퍼(300)는 힌지(36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걸림부(310)가 단턱(530)을 넘을 때 제1스토퍼(300)는 힌지(360)를 중심으로 조금 회전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서랍(100)이 저장실(200)로부터 인출된 모습이다.
서랍(100)이 저장실(200)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 즉 풀스트로크 상태에서는 서랍(100)에 들어있는 김치통(미도시)을 모두 위로 들어올려 꺼낼 수 있게 된다.
서랍(100)이 저장실(200)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된 상태에서는 도5처럼 서랍(100)이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하도록 제2스토퍼(400)가 록킹부(500)에 걸리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스토퍼(400)는 브라켓(110)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스토퍼(400)는 브라켓(110)의 후방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2스토퍼(400)는 브라켓(110)에서 서랍(100)의 손잡이로부터 최대 이격된 브라켓(110)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스토퍼(200)는 서랍(100)이 저장실(200)로부터 완전 개방된 위치에서 (풀스트로크 상태라고도 함) 브라켓(110)의 끝단에 설치된다.
중공부(120)는 제2스토퍼(400)의 우측에서 브라켓(110)에 형성된 구멍이다.
따라서, 서랍(100)이 풀스트로크 상태, 즉 저장실(200)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될 때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서랍(100)이 저장실(200)로 수납될 때에는 제2스토퍼(400)가 록킹부(500)의 단턱(53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이어서, 제1스토퍼(300)의 제3경사면(323)이 단턱(530)을 부드럽게 넘어가면서 결국 제1스토퍼(300) 전체가 록킹부(500)를 지나가게 되면서 서랍(100)이 저장실(200)로 완전하게 수납 되는 것이다.
제3스토퍼(미도시)는 저장실(200) 내벽에 설치되어 서랍(100)이 완전 수납된 위치에서 슬라이딩 된 레일(210)을 정지시킨다.
앞서 설명된 서랍(100)을 포함한 저장실(2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수납부(950)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도어(910)와 제2도어(920)로 여닫는 상부 저장공간과 제3도어(930)와 제4도어로 여닫는 하부 저장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저장공간에는 저장실(200)이 설치되도록 상부 저장공간의 일부를 구획하는 격벽부재(61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격벽부재(610)에는 후크가 형성되면서 서랍수납부 바닥(630)에 고정될 수 있다.
서랍(100)이 수납 또는 인출되는 저장실(200)은 격벽부재(610)의 지지편(620)과 서랍수납부(950)의 내벽 사이에서 슬라이딩 결합 된다.
저장실(200)에는 직접냉각이 가능하도록 냉각코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냉각코일(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저장실(200) 전면부에 설치된다.
격벽부재(610)는 상부 저장공간의 일부분을 구획하고, 서랍수납부(950)가 구획된 부분에 저장실(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격벽부재(610)의 상단에는 서랍수납부(950)를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미도시)가 올려진다.
따라서, 제1도어(910)가 열리면 격벽부재(610)에 의해 구획된 서랍수납부(950)의 일부만이 외기에 노출되는 것이다.
반대로 제2도어(920)가 열리고 제1도어(910)가 닫혀 있으면 격벽부재(610)에 의해 구획된 서랍수납부(950) 일부가 외기에 노출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서랍(100)이 수납되는 저장실(200)은 격벽부재(610)에 의해 구획된 서랍수납부(950)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저장실(200)은 제1도어(910) 또는 제2도어(920)에 의해서 노출되어 서랍(100)의 인출 또는 수납이 가능하거나 노출이 차단된 채 저온성을 보장받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격벽부재(610)가 탈거된 상태에서 서랍수납부(950) 전체에 맞는 저장실(200) 하나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바,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인 사상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이 반드시 하기의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 수준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으로부터 상업적인 설계변경의 수준, 모양의 변화, 재질의 변화, 부품의 숫자 증감, 색상의 변화 등 본 발명의 기술과 균등범위에 있거나 하위개념에 속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일이 언급하지 않음을 밝힌다.
100 : 서랍 110 : 브라켓
111 : 제1가이드부 112 : 제2가이드부
120 : 중공부 131 : 제3면
133 : 제4면 200 : 저장실
210 : 레일 300 : 제1스토퍼
310 : 걸림부 311 : 라운드부
313 : 제1면 315 : 제2면
321 : 제1경사면 322 : 제2경사면
323 : 제3경사면 324 : 제4경사면
331 : 제1연장부 332 : 제2연장부
340 : 엔드부 350 : 오목부
360 : 힌지 400 : 제2스토퍼
500 : 록킹부 510 : 제1가이드돌기
511 : 제1수용부 520 : 제2가이드돌기
522 : 제2수용부 530 : 단턱
540 : 장공 550 : 브릿지
560 : 헤드부 571 : 제1고정부
572 : 제2고정부 610 : 격벽부재
620 : 지지편 910 : 제1도어
920 : 제2도어 930 : 제3도어
940 : 제4도어

Claims (4)

  1. 레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저장실;
    상기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브라켓을 갖는 서랍;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록킹부;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레일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서랍이 일부 인출된 위치에서 상기 록킹부에 접촉하여 상기 서랍을 일시정지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서랍이 완전 인출된 위치에서 상기 록킹부에 걸려 상기 서랍을 정지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에는 상기 단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상기 서랍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는 일측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의 완전 인출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단턱을 넘을 때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냉장고 서랍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걸림부에 형성된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가 상기 록킹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려 상기 서랍이 일부 인출되는 냉장고 서랍.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라운드부가 상기 단턱을 넘어서 상기 서랍이 전부 인출될 때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단턱에 걸려서 상기 서랍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서랍이 완전 수납된 위치에서 상기 레일을 정지하는 제3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


KR1020130076750A 2013-07-01 2013-07-01 냉장고 서랍 KR102057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750A KR102057986B1 (ko) 2013-07-01 2013-07-01 냉장고 서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750A KR102057986B1 (ko) 2013-07-01 2013-07-01 냉장고 서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29A KR20150003629A (ko) 2015-01-09
KR102057986B1 true KR102057986B1 (ko) 2019-12-20

Family

ID=5247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750A KR102057986B1 (ko) 2013-07-01 2013-07-01 냉장고 서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1936A (zh) * 2017-08-10 2017-11-1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税票箱及包括其的自助税票售卖装置
CN108168203B (zh) * 2018-02-02 2024-04-26 无锡海达尔精密滑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抽屉的滑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29A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098B1 (ko) 냉장고
EP3209959B1 (en) Refrigerator
KR101028466B1 (ko) 냉장고의 서랍안전장치
CN102901317B (zh) 密封存储装置
EP2792978A2 (en) Food container
WO2015117564A1 (zh) 搁物架组件及具有该搁物架组件的冰箱
KR20100137377A (ko) 냉장고
US10772423B2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60044294A (ko) 냉장고
KR102057986B1 (ko) 냉장고 서랍
KR101508556B1 (ko) 슬라이드 방식 칸막이형 운반 상자
KR20090121029A (ko) 병홀더를 구비한 선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CN105698475A (zh) 冰箱
CN202947417U (zh) 密封存储装置
KR20070102872A (ko)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KR200441767Y1 (ko) 미닫이 장롱
KR20130053844A (ko) 서랍 자동닫힘 냉장고
KR20040082699A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20060101038A (ko) 상향 경사 인출이 가능한 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CN208891944U (zh) 一种便于存取的储物柜
KR20050105342A (ko) 냉장고
CN209214182U (zh) 冰箱
KR20240009617A (ko) 냉장고용 냉기 커버의 자동 슬라이딩 구조
KR102012358B1 (ko) 냉장고용 트레이
KR200155035Y1 (ko) 냉장고용 보조선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