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03B1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03B1
KR102057903B1 KR1020130056137A KR20130056137A KR102057903B1 KR 102057903 B1 KR102057903 B1 KR 102057903B1 KR 1020130056137 A KR1020130056137 A KR 1020130056137A KR 20130056137 A KR20130056137 A KR 20130056137A KR 102057903 B1 KR102057903 B1 KR 10205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vity
high frequency
b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6113A (en
Inventor
하정형
김완수
심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03B1/en
Publication of KR2014013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 H05B6/701Feed lines using microwave applic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극; 상기 전극으로 공급할 고주파 전력을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 상기 고주파 발진부와 상기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력을 상기 전극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튜너; 및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된 음식물과 상기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매개 부재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In one embodiment, a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cavity forming a cooking chamber; An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cavity; A high frequency oscillator for oscillating high frequency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lectrode; A tuner connected between the high frequency oscillator and the electrode to effectively transmit high frequency power output from the high frequency oscillator to the electrode; And a metall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ood and the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cavity.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In general, a cooking device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by heating food using a heating source.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56781호(공개일 2005년 3월 3일)에는 조리기기의 일 예로 고주파 가열장치가 개시된다.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56781 (published March 3, 2005) discloses a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as an example of a cooking apparatus.

상기 고주파 가열장치는 고주파를 전극으로 공급하여 전기장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유전 가열한다. The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supplies high frequency to the electrode to dielectrically heat food using an electric field.

이와 같은 종래의 고주파 가열장치에서 한 쌍의 전극 중 하측에 위치한 제2전극에 음식물이 위치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전극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전극으로 고주파가 공급되면, 상기 가열실 내의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In the conventional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food is placed on a second electrode located below the pair of electrodes. In this case, when a high frequency is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located above the pair of electrodes,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in the heating chamber.

이와 같은 종래의 고주파 가열장치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전극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에 놓이는 부하 사이에 공기 갭(공기가 위치할 수 있는 갭임)이 큰 경우, 상기 전계의 왜곡(전계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으며 변화가 심함)이 심하고, 특정 영역(일 예로 제1전극의 단부와 부하의 직 상방)에 전계가 집중되어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when the air gap (the gap where air can be located) is larg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ocated above and the load placed on the second electrode among the pair of electrodes,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field is not uniform and the change is severe) is severe, and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region (for example, directly above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load), thereby lowering the heating efficiency.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가열 효율이 향상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the heating efficiency of food is improved.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의 하측 벽보다 상측 벽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되는 전극; 상기 전극으로 공급할 고주파 전력을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 상기 고주파 발진부와 상기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력을 상기 전극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튜너; 및 상기 전극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된 음식물과 상기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매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 부재는, 평판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전극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는, 상기 캐비티의 둘레 벽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 및 상기 전극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 및 상기 전극의 양 단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cavity forming a cooking chamber; An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cavity and fixed to a position closer to an upper wall than a lower wall of the cavity; A high frequency oscillator for oscillating high frequency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lectrode; A tuner connected between the high frequency oscillator and the electrode to effectively transmit high frequency power output from the high frequency oscillator to the electrode; And a medial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isposed between the food and the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cavity and the electrode, wherein the medial member comprises: a plate of a plate; And a plurality of extensions extending toward the electrode at any point of the plate, wherein both ends of the plate are supported by protrusion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avity,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s and Any one of both ends of the electrode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bent portion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f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and both ends of the electr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The bent part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may be bent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The bent par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may be bent downward.

삭제delete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상기 전극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bent portion provided at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may be located above the electrode.
The bent par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may be located inward from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는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plat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는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plate may include a cover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ver may contact the protrusion.

삭제delete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전극과 음식물 사이에 금속 재질의 매개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전극과 음식물 사이의 에어 갭이 줄어들어, 전계의 왜곡 현상이 줄어들고 음식물의 가열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as the metal intermediate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food, the air gap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food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and improving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food.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럭도.
도 4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
도 5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비티 내의 전계 강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b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캐비티 내의 전계 강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c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캐비티 내의 전계 강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
도 7은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
도 8은 제5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5A shows the field strength in a cavity according to the prior art.
5B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in the cav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C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in the cav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럭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조리실(11)을 형성하는 캐비티(1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cavity 10 forming the cooking chamber 11.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캐비티(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조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cooking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case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cavity 10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11.

상기 캐비티(10)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캐비티(10)는 상측 벽(101)과, 하측 벽(102)과, 상측 벽(101)과 하측 벽(102)을 연결하는 둘레 벽(1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105)은 양측 벽과 후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vity 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vity 10 may include an upper wall 101, a lower wall 102, and a circumferential wall 105 connecting the upper wall 101 and the lower wall 102.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may include both side walls and the rear wall.

상기 조리기기(1)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1)와, 상기 전원공급부(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주파를 발진하기 위한 고주파 발진부(42)와, 상기 고주파의 전압을 공급받는 전극(20)과, 상기 고주파발진부(42)로부터 상기 전극(20)으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튜너(30)와, 상기 고주파발진부(42)와 상기 튜너(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king apparatus 1 is a power supply unit 41 for supplying pow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41,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unit 42 for oscillating a high frequency, and supplies a voltage of the high frequenc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ceiving electrode 20, the tuner 30 for efficiently transferring power from the high frequency oscillator 42 to the electrode 20, and the high frequency oscillator 42 and the tuner 30. 40).

상기 전극(20)은 상기 캐비티(10) 내에서 상기 상측 벽(101) 및 상기 하측 벽(102)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상측 벽(10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20)과 상기 상측 벽(10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전극(20)과 상기 캐비티(10)의 하측 벽(102) 사이의 거리 보다 짧다. The electrode 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wall 101 and the lower wall 102 in the cavity 10,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wall 101.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upper wall 101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10.

상기 음식물이 놓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기 위하여, 상기 전극(20)은 상기 상측 벽(101)과 상기 하측 벽(102)를 이등분하는 선 상 또는 이등분하는 선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은 상기 전극(20)과 상기 캐비티(10)의 하측 벽(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는 접지된다. In order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food can be placed, the electrode 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line dividing or dividing the upper wall 101 and the lower wall 102. Thus, food may be located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10. The cavity 10 is grounded.

상기 전극(20)은 양 전극 역할을 하고, 상기 캐비티(10)의 하측 벽(102)은 음 전극 역할을 한다. 상기 전극(20)는,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캐비티(10)의 상측 벽(101)에 고정되는 고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20 serves as a positive electrode, and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10 serves as a negative electrode. The electrode 20 may include a plate 21 and a fixing part 22 extending from the plate 21 and fixed to the upper wall 101 of the cavity 10.

상기 고정부(22)는 상기 플레이트(21)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고정부(22)는 상기 캐비티(10)의 상측 벽(101)에 고정되는 것이 도시되나, 상기 캐비티(10)의 둘레 벽(105)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xing part 22 may be combined with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21. In FIG. 2, the fixing part 22 is fixed to the upper wall 101 of the cavity 10, but may be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of the cavity 10.

상기 튜너(30)는, 인덕터(31)와 콘덴서(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터(31)는 가변 인덕터(코일)일 수 있고, 상기 콘덴서(32)는 가변 콘덴서일 수 있다. The tuner 30 may include an inductor 31 and a capacitor 32. The inductor 31 may be a variable inductor (coil), and the capacitor 32 may be a variable capacitor.

상기 튜너(30)는 상기 캐비티(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터(31)는 상기 캐비티(10)를 관통하여 상기 전극(20)에 연결된다. 일 예로 상기 튜너(30)는 상기 캐비티(10)의 상측에 위치되거나 일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tuner 3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vity 10. The inductor 31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20 through the cavity 10. For example, the tuner 30 may be located above or above one side of the cavity 10.

상기 튜너(30)는, 상기 고주파발진부(42)와 상기 전극(20)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tuner 30 is for impedance matching of the high frequency oscillator 42 and the electrode 20, and may be implemented by a 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조리물은 용기(C)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조리물이 수용된 용기(C)는 상기 캐비티(10)의 하측 벽(102)에 놓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ood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C). The container C containing the food may be placed on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10.

본 실시 예의 조리기기는 상기 용기(C)에 놓일 수 있는 매개 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개 부재(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전극(20)과 평행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member 50 which may be placed in the container C. The intermediate member 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have a plane parallel to the electrode 20.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20)과 음식물(부하) 간의 에어 갭이 크면 클수록 전계의 왜곡이 심하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경우 상기 매개 부재(50)는 상기 전극(20)과 음식물 사이에 위치되어 전극과 음식물 사이의 에어 갭이 줄어들 수 있다. Specifically, as mentioned in the prior art, the larger the air gap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food (load), the more severe the electric field distor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member 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food to reduce the air gap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food.

일 예로 상기 매개 부재(50)가 상기 용기(C)에 놓이면, 상기 매개 부재(50)가 상기 전극(20)과 상기 음식물 사이의 에어 갭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전극(20)과 상기 매개 부재(50) 사이의 전계의 왜곡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전극(20)과 상기 매개 부재(50) 사이에서 전계의 왜곡이 줄어드는 경우 상기 음식물로 가해지는 전계의 강도 또는 양이 증가되므로,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termediate member 50 is placed in the container C, the intermediate member 50 serves to reduce the air gap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food, and the electrode 20 and the intermediate medium.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members 50 can be reduced. When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50 is reduced, since the strength or amount of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food is increased, the heating efficiency may be improved.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will be described.

상기 고주파발진부(41)에서 발진된 고주파 전력을 상기 튜너(30)를 지나 상기 전극(20)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조리실(11)에는 전기장(E)이 발생하고, 상기 전극(20)과 상기 캐비티(10)의 하측 벽(102) 사이 음식물(F)은 유전 가열된다. The high frequency power oscillated by the high frequency oscillator 41 is supplied to the electrode 20 through the tuner 30. Then, an electric field E is generated in the cooking chamber 11, and the food F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10 is dielectrically heated.

도 4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며, 도 5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비티 내의 전계 강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b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캐비티 내의 전계 강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c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캐비티 내의 전계 강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c에서는 매개 부재가 캐비티의 둘레 벽에 지지되지 않고, 용기에 지지된 것이 도시된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5a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in the cavit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5b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in the cav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c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in the cav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FIG. 5C it is shown that the intermediate member is not supported by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avity but is supported by the container.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매개 부재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diating member.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매개 부재(60)는 상기 캐비티의 둘레 벽(105)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intermediate member 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upported by a protrusion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of the cavity.

상기 매개 부재(60)는, 평판의 플레이트(61)와, 상기 플레이트(6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62)와, 상기 복수의 연장부(62)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member 60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ate 61 of the flat plate, the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62 extending upward from the plate 61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62 are close to each other. It may include a bent portion 63 to be.

상기 매개 부재(60)는 일 예로 "U"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개 부재(60)의 단부(일 예로 절곡부(63))는 상기 전극(20)과 비접촉하되, 상기 전극(20)의 단부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61)는 상기 전극(20)과 음식물(F)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member 6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U". In this case, an end (eg, the bent portion 63) of the intermediate member 60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20, bu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electrode 20. In addition, the plate 6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food (F).

이 때, 상기 플레이트(61)에서 상기 캐비티의 둘레 벽(105)과 접촉하는 부분은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플레이트(61)에는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캐비티의 둘레벽(105)에 접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plate 61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of the cavity may be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Alternatively, the plate 61 may include a cover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ver may contact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of the cavity.

도 5a를 참조하면, 전극과 음식물 사이에 매개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극의 단부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직 상방에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음식물 외의 영역에 전계가 집중되는 경우 음식물로 가해지는 전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가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Referring to FIG. 5A, when no intermediate member exists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food, it can be seen that an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not only at the end of the electrode but directly above the foo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food,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food is relatively reduced, thereby lowering the heating efficiency.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20)과 음식물(F) 사이에 매개 부재(50, 60)가 구비되면, 상기 매개 부재(50, 60)가 전극(20)과 음식물(F)의 에어 갭을 줄이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전극(20)과 상기 매개 부재(50, 60) 사이의 전계의 왜곡이 줄어들 수 있다. 5B and 5C, when the intermediate members 50 and 60 are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food F, the intermediate members 50 and 60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20 and the food F. Referring to FIGS. Since it serves to reduce the air gap of the,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50, 60) can be reduced.

실질적으로 상기 전극(20)과 상기 매개 부재(50, 60) 사이의 전계가 균일하며, 이는 상기 음식물(F) 이외의 영역에 전계가 집중되지 않고, 상기 음식물(F)로 가해지는 전계의 양이 큰 것을 의미한다. Substantially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50, 60 is uniform, which is an amount of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food F without concentrating the electric field in a region other than the food F. This means big.

따라서,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전극(20)과 상기 음식물(F) 사이에 금속 재질의 매개 부재(50, 60)가 구비되는 경우, 전계의 왜곡 현상이 줄어들어 음식물의 가열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metal intermediate members 50 and 60 are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food F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is reduced and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food is improved. have.

도 6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2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매개 부재 및 전극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electrode.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매개 부재(60)는, 평판의 플레이트(61)와, 상기 플레이트(6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매개 부재(60)에서는 제2실시 예의 절곡부가 생락된다. 그리고, 상기 매개 부재(60)는 상기 캐비티의 둘레 벽(105)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61)에서 상기 캐비티의 둘레 벽(105)과 접촉하는 부분은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플레이트(61)에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캐비티의 둘레 벽(105)에 접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intermediate member 6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plate 61 of a flat plate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62 extending upward from the plate 61. In the intermediate member 60 of this embodiment,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omitted.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member 60 may be supported by a protrusion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of the cavity.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plate 61 contacting the peripheral wall 105 of the cavity may be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Alternatively, the plate 61 may include a cover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cover may contact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of the cavity.

한편, 상기 전극(20)은, 상기 플레이트(21)의 단부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복수의 절곡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절곡부(23)는 상기 플레이트(2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3)는 상기 연장부(62)와 비접촉하되 상기 연장부(62)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de 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23 that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end of the plate 21.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ent portions 23 may be bent downward at the end of the plate 21. The bent portion 23 may be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ortion 62 but adjacent to the extension portion 62.

본 실시 예에 의해서도, 상기 매개 부재(60)에 의해서 에어 갭이 줄어들어 전계의 왜곡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air gap is reduc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60 can reduce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도 7은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매개 부재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diating member.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70)는, 상기 캐비티(10)의 하측벽(10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매개 부재(70)는, 평판의 플레이트(71)와, 상기 플레이트(7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장부(72)에서 상기 캐비티의 하측 벽(102)에 접촉하는 부분은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플레이트(61)에는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측 벽(102)에 접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intermediate member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eated on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10. The intermediate member 70 may include a plate 71 of a flat plate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7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late 71.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s 72 contacting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may be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Alternatively, the plate 61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cover may contact the lower wall 102.

즉, 본 실시 예의 매개 부재(70)는 역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intermediate member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U" shape.

본 실시 예에 의해서도, 상기 매개 부재(70)에 의해서 상기 전극(20)과 음식물(F) 사이의 에어 갭이 줄어들 수 있게 되어 전계의 왜곡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air gap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food (F) can be reduc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70 can reduce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도 8은 제5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4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매개 부재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ourth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diating member.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매개 부재(70)는, 상기 캐비티의 하측 벽(10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매개 부재(70)는, 다수의 플레이트(81 내지 85)와, 인접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8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다수의 플레이트 중에서 상기 캐비티의 하측 벽(102)에 접촉하는 부분(81, 85)은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플레이트 중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81, 85)에는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캐비티의 하측 벽(102)에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음식물(F)의 높이에 따라 상기 매개 부재(80)의 형태를 가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intermediate member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eated on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The intermediate member 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81 to 85 and a hinge 86 to allow two adjacent plates to be rotatab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portions 81 and 85 of the plurality of plates contacting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may be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Alternatively, two plates 81 and 85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plates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and the cover may contact the lower wall 102 of the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intermediate member 80 may var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ood F.

본 실시 예에 의해서도, 상기 매개 부재(80)에 의해서 상기 전극(20)과 음식물(F) 사이의 에어 갭이 줄어들 수 있게 되어 전계의 왜곡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air gap between the electrode 20 and the food F may be reduc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80, thereby reducing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10: 캐비티 20: 전극
30: 튜너
10: cavity 20: electrode
30: Tuner

Claims (9)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의 하측 벽보다 상측 벽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되는 전극;
상기 전극으로 공급할 고주파 전력을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
상기 고주파 발진부와 상기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력을 상기 전극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튜너; 및
상기 전극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된 음식물과 상기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매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 부재는,
평판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전극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는, 상기 캐비티의 둘레 벽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 및 상기 전극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 및 상기 전극의 양 단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리기기.
A cavity forming a cooking chamber;
An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cavity and fixed to a position closer to an upper wall than a lower wall of the cavity;
A high frequency oscillator for oscillating high frequency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lectrode;
A tuner connected between the high frequency oscillation unit and the electrode to effectively transmit high frequency power output from the high frequency oscillation unit to the electrode; And
A medial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isposed between the food and the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cavity;
The intermediate member,
Plates of plates; And
A plurality of extensions extending toward the electrode at any point on the plate,
Both ends of the plate are supported by protrusion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avity,
Each one of each of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s and both ends of the electrode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bent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one of each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 and the both ends of the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ent part provided at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is bent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하방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Bending par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is bent downw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상기 전극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bent part provided in each end part of the said some extension part is a cooking apparatus located above the said electr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상기 복수의 연장부의 각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ending par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are located inward from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는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Both ends of the plat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is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는 유전체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Both ends of the plate are provided with a cover formed of a dielectric or non-conductive material, the cover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삭제delete
KR1020130056137A 2013-05-20 2013-05-20 Cooking appliance KR1020579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137A KR102057903B1 (en) 2013-05-20 2013-05-20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137A KR102057903B1 (en) 2013-05-20 2013-05-20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13A KR20140136113A (en) 2014-11-28
KR102057903B1 true KR102057903B1 (en) 2019-12-20

Family

ID=5245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137A KR102057903B1 (en) 2013-05-20 2013-05-20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0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0474A (en) 2008-04-02 2009-10-29 Fuji Denpa Koki Kk Heating drying device of cylindrical body by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0474A (en) 2008-04-02 2009-10-29 Fuji Denpa Koki Kk Heating drying device of cylindrical body by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13A (en)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0907B (en) Tunable wireless power supply architecture
US9876481B2 (en) Microwave processing device
CN106031304A (en) Microwave oven having a physically adjustable waveguide dynamically displaced by a movement control means
JPH06111933A (en) Waveguide system of microwave oven
JP5973600B2 (en) Capacitive element coupling in wireless power
KR102057903B1 (en) Cooking appliance
JP6874687B2 (en) Microwave heating device
CN109315029B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KR102035810B1 (en) Cooking appliance
KR102037310B1 (en) Cooking appliance
WO2020079812A1 (en) Dielectric heating device
KR102035805B1 (en) Cooking appliance
US5973307A (en) High voltage transformer with side insulation support and formed with through-holes for lead wires
WO2017081852A1 (en) Microwave heating device
CN111052861B (en) Microwave heating device
JPS59198697A (en) High frequency heater
US10470258B2 (en)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CN212912891U (en) Electromagnetic heating device and cooking utensil with same
CN112237049B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WO2019082364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WO2018131441A1 (en)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adjustment device, and, microwave heating device
JP5445155B2 (en) Microwave heating device
KR200175173Y1 (en) Guide structure for circular polarzation wave in microwave oven
KR200150808Y1 (en) Microwave oven
KR101298003B1 (en) Connecting device of microwav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