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851B1 -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851B1
KR102057851B1 KR1020180097061A KR20180097061A KR102057851B1 KR 102057851 B1 KR102057851 B1 KR 102057851B1 KR 1020180097061 A KR1020180097061 A KR 1020180097061A KR 20180097061 A KR20180097061 A KR 20180097061A KR 102057851 B1 KR102057851 B1 KR 102057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dust collecting
housing
unit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현
손병석
정수화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에어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릭스 filed Critical (주)에어릭스
Priority to KR102018009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03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for supplying chemicals to fumes, e.g. using inje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20Sulfur; Compou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10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 F23J2217/102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electrost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화력 발전소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제안된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은 습식 탈황 장치와 가스-가스-히터 사이에 습식 전기 집진 장치를 더 포함한다. 습식 전기 집진 장치는 습식 탈황 장치의 상부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또 습식 전기 집진 장치는 습식 탈황 장치 상부의 데미스터(Demister)를 제거하고 그것을 기능적으로 대체하여 설치된다. 이후에 습식 탈황 장치의 데미스터 세척용 계통이 습식 전기 집진 장치의 세척용 노즐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Exhaustion Gas Cleaning System for Thermal Power Plant}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특히 화력 발전소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화력 발전소는 보일러에 석탄 등을 연소시켜 얻은 에너지로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터빈 축에 연결된 발전기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기력 발전(steam power generation)이 일반적이다. 보일러의 연소실에서 배출된 공기는 화석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황산화물, 질소 산화물 등을 포함하고 있어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을 거쳐 배출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화력 발전소의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10)에서 배출된 유해 물질을 포함한 배출 가스는 탈질 장치(130), 전기 집진기(EP : Electrostatic Precipitator)(150), 탈황 장치(170) 및 가스-가스-히터(GGH : Gas-Gas-Heater)(190)를 통과하여 굴뚝(120)으로 배출된다.
탈황 장치(170)는 배출 가스 중의 황산화물을 석회석 슬러리에 흡수 반응시켜 제거한다. GGH는 연소가스의 여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가스를 가열함으로써 통풍력을 향상시키고 탈황 효율을 개선하며, 굴뚝 출구에서의 흰 연기가 분출되는 백연 현상을 방지한다. GGH는 금속 평판들로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열전달 소자에 의해 열을 전달한다. 수천 개의 이러한 고효율 소자는 축차(Rotor)라 불리는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원통모양의 용기로 구획된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조밀하게 배열된다. 그런데, GGH는 장시간 운전시 열전달 소자에 배출 가스내의 재 성분과 흡수탑에서 배출되는 석고 성분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되어 소자 내부가 막히는 플러깅 현상이 발생한다. 플러깅 현상은 탈황 효율을 떨어뜨리고 배출 가스의 흐름을 막아서 발전소 터빈을 돌리는 보일러의 효율을 떨어 뜨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과열로 인한 보일러 튜브의 파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2005.08.11자 등록된 특허제488,368호는 GGH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트 크리닝 장치를 부가하는 해결책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세척으로 인해 열전달 소자가 식혀지는 등 세척 만으로 플러깅을 해소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세척보다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제안된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화력발전소 배출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기존 설비의 교체를 최소화하면서 가스 가스 히터(GGH)에서 고착물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화력발전소 배출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기존의 굴뚝(stack)까지의 공기 배출 통로에서 메인 팬(main fan)의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공기 흐름 부하의 추가를 최소화하면서 가스 가스 히터(GGH)에서 고착물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화력발전소 배출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필요 없이 기존 설비 가스 가스 히터(GGH)에서 고착물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제안된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은 습식 탈황 장치와 가스-가스-히터 사이에 습식 전기 집진 장치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습식 전기 집진 장치는 상기 습식 탈황 장치의 상부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습식 전기 집진 장치는 습식 탈황 장치 상부의 데미스터(Demister)를 제거하고 그것을 기능적으로 대체하여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습식 탈황 장치의 데미스터 세척용 계통이 습식 전기 집진 장치의 세척용 노즐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습식 전기 집진 장치는 그 설비 내부가 습식 탈황 장치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습식 탈황 장치와 습식 전기 집진 장치 사이에 상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진 연결 하우징과, 이 연결 하우징 내부에 공기 흐름이 균일하게 느려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에 따라, 배출가스의 이동 경로가 수직인 습식 탈황 장치의 상부에, 마찬가지로 배출 가스의 이동 경로가 수직인 습식 전기 집진 장치를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인 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는 기존에 이미 시공되어 있는 설비를 개선하고자 할 때 추가적인 부지의 확보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 제안된 발명에 따르면, 습식 탈황 장치의 습윤 제거 구성인 더미스터를 대체하여 설치되고, 더미스터의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 계통이 그대로 습식 전기 집진 장치의 세척 노즐에 연결됨으로써 추가적인 설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습식 전기 집진 장치의 세척수가 그 아래쪽의 습식 탈황 설비에서 슬러리의 재순환 싸이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 제안된 발명에 따르면, 습식 전기 집진 장치는 그 설비 내부가 습식 탈황 장치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이로 인해 습식 전기 집진 장치 내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배출 가스의 유속이 습식 탈황 장치 내부의 수직 방향의 유속보다 느려짐으로써, 전기 집진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안된 발명에 따르면, 습식 탈황 장치와 습식 전기 집진 장치 사이에 상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진 연결 하우징 내부에는 공기 흐름이 균일하게 느려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허니콤 전기 집진 요소들 각각이 골고루 집진 효율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통상적인 화력 발전소의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력 발전소의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공지된 탈황 장치(17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공지된 습식 전기 집진 장치(17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황 장치의 흡수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기존의 습식 탈황 장치의 흡수탑에 제안된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부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력 발전소의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10)에서 배출된 유해 물질을 포함한 배출 가스는 먼저 탈질 장치(130)로 공급된다. 도시된 예에서 탈질 장치(130)는 선택적 촉매 환원법(SCR :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을 사용하는 설비이다. 이 장치는 질소 산화물에 환원제인 암모니아를 배출 가스내 허니콤 타입 또는 플레이트 타입의 촉매 전단에 분사하여 질소 가스와 물로 분해한다.
이후에 탈질된 배출 가스는 전기 집진기(EP : Electrostatic Precipitator)(150)를 통과하면서 탈진된다. 전기 집진기는 건식과 습식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설비에는 대용량인 건식 전기 집진기가 사용된다. 건식 전기 집진기(150)는 집진전극과 방전전극 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형성하여 분진 입자를 (-) 전위로 하전시켜 집진전극으로 포집하고, 포집된 분진을 래퍼(rapper)로 충격하여 이탈시켜 불출하는 설비이다. 인렛(inlet)은 전기 집진기의 일측에 형성되고 아웃렛(outlet)은 타측에 형성되어, 인렛으로 들어온 배출 가스는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먼지가 제거되어 아웃렛으로 배출된다.
이후에 배출 가스는 제안된 발명에 따른 개량된 배출 가스 정화 장치(170,210)에서 정화된다. 이 통합된 흡수탑을 가진 정화 장치는 하부에 도 1의 종래기술과 유사한 습식 탈황부(170)를 가진다. 일 양상에 따라, 습식 탈황부(170)의 상부에 습식 전기 집진부(210)가 연속하여 설치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습식 전기 집진부(210)는 습식 탈황부(170)의 데미스터를 대체하여 설치된다. 데미스터는 습식 탈황부(170)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액적을 제거하는 습윤 제거기(mist eliminator)의 기능을 한다. 습식 전기 집진부(210)는 습윤 제거 기능을 개선하고 더 완전하게 하여 후단의 가스-가스-히터(190)의 열 전달 소자들 사이에 플러깅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안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안된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된 탈황 장치를 먼저 설명한다. 도 3은 공지된 탈황 장치(17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탈황 장치(170)는 배연탈황(FGD : Flue Gas Desulfurization) 방식의 설비이다. 배연탈황장치의 흡수탑은 분사 방식과 제조사에 따라 몇 가지 형태가 알려져 있다. 분사 방식에 따라서는 크게 액 분사 방식과 가스 분사 방식으로 나뉜다. 도시된 예시적인 배연탈황 설비에서는 인렛(370)을 통해 배출 가스가 흡수탑 내부로 도입되면 스프레이 존(Spray Zone)(310)과 반응 탱크(330)에서 화학 반응을 통해 아황산 가스가 제거된 후 아웃렛(390)을 통해 배출된다. 스프레이 존 (310)에서는 아황산가스와 물이 반응하여 아황산이 되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석회석 슬러리와 기액 접촉하여 아황산칼슘을 생성한다.
흡수반응 : SO2 + H2O → H2SO3
중화반응 : H2SO3 + CaCO3 → Ca(HSO3) + H2O + CO2
흡수탑의 반응 탱크(Reaction Tank)(330)에서는 아황산칼슘이 산소와 물과 반응하여 석고와 황산을 생성시키며 황산은 다시 석회석과 반응하여 석고를 생성시킨다.
산화반응 : Ca(HSO3)2 + O2 + 2H2O → CaSO42H2O + H2SO4
중화반응 : H2SO4 + CaCO3 + H2O → CaSO4 2H2O + CO2
생성된 석고는 도시되지 않은 석고 탈수 계통을 거쳐 불출된다.
석회석 슬러리는 도시되지 않은 석회석 슬러리 제조 계통을 통해 준비되며, 재순환 펌프(absorber recirculating pumps)에 의해 흡수탑 상부의 스프레이 존에서 노즐로 분사된다. 아황산 가스가 제거된 배출 가스는 데미스터(demister)(350)를 통해 습분(mist)이 제거되어 아웃렛(390)으로 배출된다. 흡수탑을 통과한 배출 가스는 액적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액적은 흡수탑 후단 설비의 부식과 스케일(scale) 생성의 원인이 되므로 데미스터(350)를 통해 제거된다. 데미스터(350)에는 먼지나 석고 분진이 점착되므로 펌프(321)를 통해 압축된 세척수를 노즐(323)을 통해 뿌려서 세척한다. 제안된 발명은 이 데미스터(350)를 대체하거나 혹은 새로운 설비를 추가하여 이 데미스터(350)의 기능을 크게 개선하여 후단의 GGH에서 스케일이 생성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자 한다.
제안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로 제안된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된 습식 전기 집진 장치를 먼저 설명한다. 도 4는 공지된 습식 전기 집진 장치(17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2006.01.09자로 등록된 특허제543,537호 공보는 이러한 습식 전기 집진 장치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습식 전기 집진장치는 소형화에 유리하며, 점착성, 고착분진, 수용성 미스트 처리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전기집진장치는 하부에 배출가스가 도입되는 인렛(450)을 구비하고, 상부에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아웃렛(470)을 구비하는 수직형 구조이다. 상부에서 볼 때 벌집(honeycomb) 모양을 이루는 집진극(433)의 각 통공의 중심에 방전극(431)이 위치한다. 고압이 방전극(431)에 공급되며, 집진극(413)의 표면에 달라 붙은 먼지들은 고압 펌프에 의해 집진극 세척부(490)의 노즐로 분사되는 세척수로 세척되어 하부의 배수구(420)로 물과 함께 배출된다. 습식 전기 집진 장치(170)는 공기 흐름이 수직 방향이며, 벌집 모양의 집진극과 방전극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므로 다른 집진 설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기 저항이 적은 편이다.
도 5는 제안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황 장치의 흡수탑의 구성을 도시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탈황 장치의 흡수탑은 습식 탈황부(50)와 그 상부의 습식 전기 집진부(40)를 포함한다. 하부의 습식 탈황부(50)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출 가스에서 황산화물을 제거한다. 상부의 습식 전기 집진부(40)는 습식 탈황부(50)의 상부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습식 탈황부(5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정화하여 상부로 배출한다. 공기 흐름은 하부의 습식 탈황부(50)의 인렛에서 상부의 습식 전기 집진부(40)의 아웃렛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습식 탈황부(50)는 하부 하우징(320)과, 스프레이부(310)와, 반응 탱크부(reaction tank)(330)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320)은 그 아래쪽 일측에 배출 가스가 흡수탑 내부로 도입되는 인렛(inlet)(370)을 구비한다. 스프레이부(310)는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노즐을 통해 슬러리 상태의 석회를 분사하여 인렛(370)을 통해 도입된 배출 가스와 화학 반응하여 아황산 칼슘을 생성한다. 반응 탱크부(330)는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며, 스프레이부(310)에서 생성된 아황산 칼슘을 화학 반응하여 석고를 생성한다. 도 3과 비교하면, 습식 탈황부(50)는 습식 탈황 장치의 구성 중 상부 구조물인 아웃렛(390) 및 덮개 구성과, 특히 더미스터(350)의 구성이 제거되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습식 전기 집진부(40)는 상부 하우징(440)과, 집진부(430)와, 집진극 세척부(490)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440)은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부에 아웃렛(470)을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은 그 상부가 아웃렛을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를 이룬다. 테이퍼진 천정부의 공기 흐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판들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집진부(430)는 상부 하우징(440) 내에 위치하며, 벌집 모양을 이루는 집진극(433)과, 각 집진극(433)의 벌집 모양의 통공의 중심에 위치하는 방전극들(431)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방전극들(431)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직류 고전압 발생회로와 애자 등으로 절연된 직류 인가 선로가 구비된다. 집진극 세척부(490)는 집진부(4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집진극(433)의 표면에 달라 붙은 먼지들을 고압 펌프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로 세척한다. 도 5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집진극 세척부(490)의 노즐에서 분사되어 집진극(433)을 세척한 물은 흡수탑의 하부 반응탱크(330) 아래쪽으로 떨어져 고인다. 이 물은 스프레이부(310)에서 분사되어 떨어지는 석회 슬러리에 혼합되고, 석회 재순환 계통에 의해 다시 스프레이부(310)로 분사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습식 전기 집진부(40)의 세척용 노즐에 습식 탈황부(50)의 원래 데미스터에 연결되던 세척 계통이 연결된다. 데미스터의 세척은 반응 탱크(330)의 석회 슬러리의 재순환 제어에 고려되어 있으므로, 데미스터 세척용 계통을 이용하여 집진극 세척부(490)의 세척을 행함으로써 설계 변경으로 인한 제어 프로그램의 수정이나 교체가 불필요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440)은 그 둘레가 하부 하우징(320)의 둘레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식 전기 집진부(40) 내부의 배출 가스의 수직방향 유속이 습식 탈황부(50) 내부의 배출 가스의 수직방향 유속보다 느려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그에 따라 전기 집진이 더 완전하게 이루어지는데 기여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흡수탑은 연결 하우징(531)과 가이드부(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하우징(531)은 하부 하우징(50)과 상부 하우징(40) 사이에 연결되며, 상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태를 가진다. 가이드부(533)는 연결 하우징(531) 내부에 공기 흐름이 균일하게 느려지도록 안내하며, 연결 하우징(531) 내부의 형태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판 형태일 수 있다. 미설명부호 511,513은 습식 탈황부(50) 상부에 설치되는 습식 전기 집진부(4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보강 지지간들이다.
도 6은 기존의 습식 탈황 장치의 흡수탑에 제안된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부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기존의 설비인 습식 탈황 장치를 계측하고 분석하여 그기에 올려 설치할 수 있는 습식 전기 집진부를 설계한다(단계 611). 여기서, 습식 전기 집진부는 일반적인 습식 전기 집진 장치와 달리 완전한 집진극 세척부를 구비하지 않고, 단지 노즐과 배관만을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이후에 습식 전기 집진부를 설계에 따라 제작한다(단계 613). 이후에 현장에서 습식 탈황 장치의 상부 구조물을 철거한다(단계 631). 이 철거되는 상부 구조물은 상부의 아웃렛(390)과 덮개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후에 습식 탈황 장치의 데미스터(350)를 철거한다(단계 635). 데미스터(350)는 데미스터(350)에 연결된 고압 펌프(321)와 배관 등 세척 계통은 그대로 두고 데미스터만 철거한다. 이후에, 습식 탈황부(50) 상부에 습식 전기 집진부(40)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거치한다(단계 650). 이후에 거치된 상태에서 용접 및 볼트 작업을 통해 습식 탈황부(50) 상부에 습식 전기 집진부(40)의 하부를 연결한다(단계 670). 이 연결 작업은 연결 하우징(531)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 하우징(531)을 먼저 습식 탈황부(50) 상부에 연결한 후 그 위에 습식 전기 집진부(40)의 하부를 연결할 수도 있고, 미리 습식 전기 집진부(40)의 하부에 연결 하우징(531)이 연결된 상태로 제작하여 바로 습식 탈황부(50) 상부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후에, 데미스터 세척 계통을 집진극 세척 노즐로 연결한다(단계 690).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110 : 보일러 120 : 굴뚝
130 : 탈질 장치 150 : 전기 집진기
170 : 습식 탈황 장치 210 : 습식 전기 집진 장치
310 : 스프레이부 320 : 하부 하우징
321 : 고압 펌프 323 : 노즐
330 : 반응 탱크부 350 : 데미스터
370 : 인렛 390 : 아웃렛
40 : 습식 전기 집진부
420 : 배수구
430 : 집진부 431 : 방전극
433 : 집진극 440 : 상부 하우징
470 : 아웃렛 490 : 집진극 세척부
50 : 습식 탈황부
511, 513 : 보강 지지간
531 : 연결 하우징 533 : 가이드부

Claims (16)

  1.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출 가스에서 황산화물을 제거하며, 아래쪽 일측에 인렛을 구비하는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노즐을 통해 슬러리 상태의 석회를 분사하여 인렛을 통해 도입된 배출 가스와 화학 반응하여 아황산 칼슘을 생성하는 스프레이부와,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며, 스프레이부에서 생성된 아황산 칼슘을 화학 반응하여 석고를 생성하는 반응 탱크부를 포함하는 습식 탈황부와;
    탈황된 배출 가스를 가열하여 굴뚝으로 배출하는 가스-가스-히터와;
    상기 습식 탈황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탈황부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정화하여 가스-가스-히터로 공급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부에 아웃렛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벌집 모양의 통공을 이루는 집진극과 각 집진극의 통공의 중심에 위치하는 방전극들을 포함하는 집진부와, 상기 집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집진극의 표면에 달라 붙은 먼지들을 고압 펌프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로 세척하는 집진극 세척부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 집진부;
    를 포함하는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습식 전기 집진부는 상기 습식 탈황부의 데미스터(Demister)를 제거하고 그것을 대체하여 설치되며, 그 집진극 세척부에 습식 탈황부에 있던 데미스터 세척 계통이 연결되는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습식 전기 집진부는 허니콤 방식 전기 집진부인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습식 전기 집진 장치 내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배출 가스의 유속이 습식 탈황 장치 내부의 수직 방향의 유속보다 느리도록 습식 전기 집진 장치는 그 설비 내부가 습식 탈황 장치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가지는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습식 탈황 장치와 습식 전기 집진 장치 사이에 상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진 연결 하우징과;
    상기 연결 하우징 내부에 공기 흐름이 균일하게 느려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7.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출 가스에서 황산화물을 제거하며, 아래쪽 일측에 인렛을 구비하는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노즐을 통해 슬러리 상태의 석회를 분사하여 인렛을 통해 도입된 배출 가스와 화학 반응하여 아황산 칼슘을 생성하는 스프레이부와,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며, 스프레이부에서 생성된 아황산 칼슘을 화학 반응하여 석고를 생성하는 반응 탱크부를 포함하는 습식 탈황부와;
    상기 습식 탈황부의 상부에 데미스터(Demister)를 제거하고 그것을 대체하여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습식 탈황부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정화하여 상부로 배출하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부에 아웃렛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벌집 모양의 통공을 이루는 집진극과, 각 집진극의 통공의 중심에 위치하는 방전극들을 포함하는 집진부와, 상기 집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집진극의 표면에 달라 붙은 먼지들을 고압 펌프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로 세척하며 습식 탈황 장치에 있던 데미스터 세척 계통이 연결되는 집진극 세척부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 집진부;를 포함하는 배출 가스 정화 장치.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상부 하우징은 그 둘레가 하부 하우징의 둘레보다 크게 구성되는 배출 가스 정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며, 상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진 연결 하우징과;
    상기 연결 하우징 내부에 공기 흐름이 균일하게 느려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배출 가스 정화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의 습식 탈황 장치의 상부에 아웃렛과 데미스터를 철거하는 철거 단계;
    습식 탈황 장치의 상부에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벌집 모양을 이루는 집진극과 각 집진극의 통공의 중심에 위치하는 방전극들을 포함하는 집진부와, 집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집진극의 표면에 달라 붙은 먼지들을 세척하는 노즐과 배관을 포함하는 습식 전기 집진 장치를 설치하되, 습식 전기 집진 장치의 하우징은 습식 탈황 장치의 하우징에 연속하여 이어서 설치되는 이음 설치 단계;
    집진극 세척부는 습식 탈황 장치에 있던 데미스터 세척 계통에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세척 계통 연결 단계;
    를 포함하는 배출 가스 정화 장치 개량 시공 방법.
  16. 청구항 15에 따른 개량 시공 방법에 있어서, 철거 단계와 이음 설치 단계 사이에 :
    내부에 공기 흐름이 균일하게 느려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진, 상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진 연결 하우징을 습식 탈황 장치의 하우징 상부에 설치하는 연결 하우징 설치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출 가스 정화 장치 개량 시공 방법.
KR1020180097061A 2018-08-20 2018-08-20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KR102057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61A KR102057851B1 (ko) 2018-08-20 2018-08-20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61A KR102057851B1 (ko) 2018-08-20 2018-08-20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851B1 true KR102057851B1 (ko) 2019-12-20

Family

ID=6906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061A KR102057851B1 (ko) 2018-08-20 2018-08-20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467A (ko) 2020-11-24 2022-05-31 배성로 풍력터빈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공기 청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410458U (zh) * 2011-11-23 2012-09-05 浙江菲达脱硫工程有限公司 一种复合污染物脱除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410458U (zh) * 2011-11-23 2012-09-05 浙江菲达脱硫工程有限公司 一种复合污染物脱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467A (ko) 2020-11-24 2022-05-31 배성로 풍력터빈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공기 청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8878B2 (ja) 脱硫排水からの脱水濾液の噴霧乾燥装置及び排ガス処理システム
CN103458995A (zh) 来自脱硫排水的脱水滤液的喷雾干燥装置及废气处理系统
WO2014038354A1 (ja) 脱硫装置及び煤塵除去システム
CN101496986B (zh) 同时脱除烟气中PM2.5颗粒、SO2和NOx并回收副产物的方法
CN201524521U (zh) 一种带有湿式静电除雾器的大型湿法脱硫装置
KR101774774B1 (ko) 배연탈황설비의 스케일 제거 장치
CN103111173B (zh) 一种烟气净化系统及其方法
CN103785275B (zh) 脱硫、除灰、脱硝一体式烟气净化器
JP2015020169A (ja) 湿式スクラバノズルシステム及びプロセスガスを浄化するために使用する方法
US6302945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removing SO2
CN107261781A (zh) 一种脱硫脱硝除尘系统
EP3357556A1 (en) Dust removal and desulfurization multiplier and wet desulfurization device
CN110917826A (zh) 一种药剂削峰的脉冲电晕等离子体烟气脱硫脱硝装置
CN109772124A (zh) 一种烟气脱硫脱硝脱白设备
CN205182484U (zh) 一种高效节能脱硫脱硝除尘系统
CN104307326B (zh) 低温湿式电离氧化脱硝、超净化工艺
KR102057851B1 (ko) 화력 발전소 배출 가스 정화 시스템
CN203777900U (zh) 烟气脱硫系统
CN207042235U (zh) 一种烟气除尘脱硫装置
CN110508118A (zh) 一种陶瓷制品加工生产用的烟气净化脱白处理设备
CN206483575U (zh) 可脱除细颗粒物的湿式电除尘装置
CN107638784A (zh) 单塔循环流化床锅炉脱硫除尘深度净化装备
CN212548813U (zh) 一种烟气净化超低排放处理系统
CN210186812U (zh) 一种烟气反应塔
JP2018030090A (ja) 粒子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