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729B1 - 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729B1
KR102057729B1 KR1020180030644A KR20180030644A KR102057729B1 KR 102057729 B1 KR102057729 B1 KR 102057729B1 KR 1020180030644 A KR1020180030644 A KR 1020180030644A KR 20180030644 A KR20180030644 A KR 20180030644A KR 102057729 B1 KR102057729 B1 KR 10205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input
space
unit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8945A (en
Inventor
김성옥
Original Assignee
김성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옥 filed Critical 김성옥
Priority to KR102018003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729B1/en
Publication of KR2019010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8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29Clothes, clothes hang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걸이 이송장치와 연동하여 간편하게 세탁물을 맡길 수 있도록 하면서 간편하게 세탁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투입 및 회수 장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전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세탁물을 회수하거나 투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가 설치되며, 세탁물을 배치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와 연통되면서 후방으로 관통되게 내측에 관통공간부가 형성되는 투입회수대와; 상기 관통공간부의 후방측에 대응하여 상기 투입회수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간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의 후방으로 배출시키고 옷걸이 이송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는 세탁물배출투입부와; 상기 관통공간부의 하부로 상기 투입회수대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에 의해 상기 관통공간부의 후방으로 배출된 세탁물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세탁물푸시부와;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으로 상기 투입회수대의 외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세탁물의 투입 및 회수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면서 명령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input and recovery device that allows the laundry to be easily collected in conjunction with the hanger transporting device to easily collect the laundry, and the input and recovery device includes a wall;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ront of the wall,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installed on the front to recover or put the laundry,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through space portion to be penetrated to the rea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arrange the laundry A recovery table;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space portion is installed in the intake collection unit, to discharge the laundry put into the through space portion to the rear of the through space portion and to put the laundry delivered through the hanger transfer device into the through space portion Laundry discharge input unit; A laundry push uni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unit under the through space unit and pushing back the laundry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through space unit by the laundry discharge unit; A touch scree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to be expo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and displaying a command execution result while a user can input a command for inputting and retrieving laundry; Include.

Description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Laundry input and recovery device {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

본 발명은 세탁할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탁된 세탁물을 회수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옷걸이 이송장치와 연동하여 간편하게 세탁물을 맡길 수 있도록 하면서 간편하게 세탁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for putting laundry to be washed and to recover the washed laundr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hanger transfer device so that laundry can be easily collected while being easily entrusted with laundry. It relates to a laundry input and recovery device.

일반적으로 산업체, 병원, 호텔, 대형 세탁소 등에는 다량의 의류가 세탁된 후에 보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의류의 관리를 위해 통상적으로 의류 이송 컨베이어가 사용된다. 이런 의류 이송컨베이어의 일예를 도 11과 도 12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의류 이송컨베이어는 회전식으로 작동하며 걸려있는 세탁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100)와, 그 컨베이어장치(100)의 회전을 제어하여 원하는 세탁물을 출고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서버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large amount of clothing should be stored and managed after washing in industrial, hospital, hotel, and large laundries. A clothes transport conveyor is usually used for the management of such clothes. An example of such a clothes conveying conveyor will be described in FIG. 11 and FIG. 12 to describe its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as follows. The conventional clothes conveying conveyor is composed of a conveyor device 100 that rotates and transfers the hanging laundry, and a serve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conveyor device 100 to transfer the desired laundry to the delivery position.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00)는 세탁물을 이송시키는 무한궤도식의 컨베이어(200)와, 그 컨베이어(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M)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00)는 원형봉 형상의 가이드프레임(201)과, 그 가이드프레임(201)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을 걸 수 있는 다수의 걸이부재(202)로 이루어진다.And the conveyor apparatus 100 includes a crawler type conveyor 200 for transporting laundry, and a motor (M) for rotating the conveyor 200. In addition, the conveyor 200 includes a circular rod-shaped guide frame 201 and a plurality of hook members 202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frame 201 to hang laundry.

상기 걸이부재(202)들은 전후 양단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공(H)이 형성되고, 그 힌지공(H)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힌지편(203)으로 다수의 걸이부재(202)들을 연속적으로 체결하여 링크형식으로 연결하여 무한궤도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걸이부재(202)의 돌출 힌지편(203)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표면에 접촉되어 걸이부재(202)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롤러(204)가 구비된다.The hook members 202 are formed in the hinge hole (H)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the front and rear both ends, the hinge hole (H) a plurality of hook members 202 as a protruding hinge piece 203 protruding upwards They are connected continuously in a link form to form an endless track. In addition, a plurality of rollers 204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hinge 203 of each hook member 202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guide frame 201 to prevent the hook member 202 from being separated.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곡선주로 내측에는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회전체(3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회전체(300)는 그 테두리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견인홈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걸이부재 (202)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 힌지편(203)을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Inside the curved circumference of the guide frame 201 is provided with a disk-shaped rotor 300 having the same radius and rotated by a motor (M). The rotating body 300 maintains a predetermined interval at its edge portion and is formed with a traction groove, which serves to pull the protruding hinge piece 203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hook member 202.

또한 상기 회전체(300)의 반대편의 곡선주로의 내측에는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테두리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견인홈(401)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연동 회전체(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 회전체(400)는 걸이부재(202)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disk-shaped interlocking rotor 400 having the same radius on the inner side of the curved main track opposite to the rotor 300 and having a constant interval at the edg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Rotating member 400 serves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hook member 202.

최근에는 의류 이송컨베이어에 옷걸이를 통해 거치된 의류를 일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옷걸이 이송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 clothes hanger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 clothes hang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transfer the clothes mounted on the clothes transfer conveyor to one sid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산업체, 병원, 호텔, 대형 세탁소 등에서 세탁할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탁된 세탁물을 옷걸이 이송장치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that can put laundry to be washed in an industry, hospital, hotel, large laundry, and the like, and automatically recover the washed laundry in conjunction with a hanger transfer device.

등록특허 제1654021호 "의류 보관 및 출고 시스템"(2016.08.30.)Patent No. 1654021, "Clothing Storage and Shipping System" (2016.08.30.) 등록특허 제1658886호 "옷걸이 이송장치"(2016.09.13.)Registered Patent No. 1688686 "Hanger Feeding Devic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옷걸이 이송장치와 연동하여 간편하게 세탁물을 맡길 수 있도록 하면서 간편하게 세탁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input and recovery device that can be easily retrieved laundry while interlocking with the hanger transfer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전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세탁물을 회수하거나 투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가 설치되며, 세탁물을 배치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와 연통되면서 후방으로 관통되게 내측에 관통공간부가 형성되는 투입회수대와; 상기 관통공간부의 후방측에 대응하여 상기 투입회수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간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의 후방으로 배출시키고 옷걸이 이송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는 세탁물배출투입부와; 상기 관통공간부의 하부로 상기 투입회수대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에 의해 상기 관통공간부의 후방으로 배출된 세탁물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세탁물푸시부와;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으로 상기 투입회수대의 외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세탁물의 투입 및 회수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면서 명령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ront of the wall,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installed on the front to recover or put the laundry,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through space portion to be penetrated to the rea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arrange the laundry A recovery table;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space portion is installed in the intake collection unit, to discharge the laundry put into the through space portion to the rear of the through space portion and to put the laundry delivered through the hanger transfer device into the through space portion Laundry discharge input unit; A laundry push uni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unit under the through space unit and pushing back the laundry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through space unit by the laundry discharge unit; A touch scree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to be expo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and displaying a command execution result while a user can input a command for inputting and retrieving laundr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는, 상기 관통공간부의 내측에 후방에 대응하여 판 형태로 구비되고 상단에 상단로드가 상기 투입회수대의 상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단에 하단로드가 상기 관통공간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과, 상기 투입회수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옷걸이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옷걸이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부 전면과 배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돌출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undry discharge input portion of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of the through spa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corresponding to the rear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rod is rotatable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unit And a rotary plate having a lower rod at a lower end thereof so as to rotate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portion,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let collection unit and connected to the upper rod to rotate the rotary plate, and transporting the clothes hang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hanger members, which are attached to protrude whi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front and back of the rotating plate so that the hanger conveyed by the device can be cau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상기 세탁물푸시부는, 상기 관통공간부의 하부의 상기 투입회수대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구비되는 푸시판과, 상기 푸시판의 배면과 상기 투입회수대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푸시판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로 상기 푸시판의 배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수평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투입회수대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면서 상기 가이드바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undry pushing portion of the "washing clothes input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plate provided in the empty space formed in the input collection tabl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space, the back of the push plate and the input recovery times A hydraulic cylinder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bars and capable of moving the push plate rearward; a guide bar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ush plate and being provided horizontally above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guide bar is slidably penetra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block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guide b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상기 벽체는, 상기 투입회수대의 양측으로 상기 벽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옷걸이를 걸 수 있는 한 쌍의 걸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관통공간부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에 설치되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그 하부 일측으로 현금을 투입하고 투입된 현금을 인식하도록 상기 투입회수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현금투입 및 인식기와, 상기 현금투입 및 인식기의 일측으로 투입 확인증과 현금 사용 영수증을 인쇄하여 발행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회수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확인증발행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ll of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air of hooks protruding from the wall to both sides of the input collection and can hang a hanger,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And a transparent window installed in the opening / closing door so that the inside of the through space part can be seen, wherein the touch screen is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to input cash to one side thereof and recognize the input cash. It further comprises a cash injector and recognizer, and a check issuance issuer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input collection unit to print and issue the input confirmation certificate and cash use receipt to one side of the cash input and recogniz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옷걸이 이송장치와 연동하여 간편하게 세탁물을 맡길 수 있고, 간편하게 세탁물을 회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세탁물의 투입과 회수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conjunction with the hanger transfer device can be easily entrusted with the laundry, it is possible to simply collect the laundry,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input and recovery of the laund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의류 회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세탁물 투입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세탁물 투입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이송 컨베이어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이송 컨베이어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1 is a schematic front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thes recovery state of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undry input state of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undry input state of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ransport conveyor;
Figure 1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conventional transport convey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는 벽체(10)와, 상기 벽체(10)에 설치되는 투입회수대(20)와, 상기 투입회수대(20)에 설치되는 세탁물배출투입부(30)와,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30)의 하부로 상기 투입회수대(20)의 배면에 설치되는 세탁물푸시부(40)와, 상기 투입회수대(20)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50)을 포함한다.1 to 10 are schematic views of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10, an input collection stand 20 installed on the wall 10, and a laundry discharge installed on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The input unit 30, the laundry push unit 40 which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aundry discharge unit 30, the laundry recovery unit 20, and the touch screen installed in the input collection unit 20 And 50.

상기 벽체(10)는 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투입회수대(2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들이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벽면의 배면에는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상기 투입회수대(20)로 이송시키는 의류 이송컨베이와 이런 의류 이송컨베이어에서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30)로 옷걸이에 걸린 의류를 이송하는 옷걸이 이송장치가 배치된다.The wall 10 forms a wall surface, and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all devices including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ar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In addition, the back of the wall is a clothes transfer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finished clothes to the input collection unit 20 and a hanger transfer device for transporting the clothes on the hanger from the clothes transfer conveyor 30 to the laundry discharge input unit 30 Is placed.

상기 벽체(10)는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양측으로 상기 벽체(10)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걸고리(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고리(11)는 옷걸이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옷걸이가 걸리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wall 10 further includes a pair of hooks 11 protruding from the wall 10 to both sides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The hook 11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hanger to be transported by the hanger transfer device.

상기 투입회수대(20)는 상기 벽체(10)의 전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세탁물을 회수하거나 투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21)가 설치되며 세탁물을 배치하도록 상기 개폐도어(21)와 연통되면서 후방으로 관통되게 내측에 관통공간부(22)가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회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closing and retrieving stand 20 is install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10,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is opened to the front so that the laundry can be collected or put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to arrange the laundry. The through-space portion 22 is formed to the inside while being communicated with the rear, and serves to provide a space for the user to put the laundry and to recover the clothing is complete.

상기 개폐도어(21)는 사용자가 열어서 세탁할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22)로 투입하거나 세탁이 완료된 옷걸이에 걸린 의류를 상기 관통공간부(22)에서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is to allow the user to open the laundry to be opened and washed into the through space 22 or to take out the clothes caught on the hanger after the washing is completed from the through space 22 to the outside.

상기 개폐도어(21)는 그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창(2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투명창(211)은 사용자가 상기 관통공간부(22)의 내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further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211 installed at the front thereof. The transparent window 211 allows the user to visually see the inside of the through space 22.

상기 관통공간부(22)는 세탁할 세탁물이 투입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세탁이 완료된 의류가 보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3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through space portion 22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laundry to be washed is stored while providing a place to put the laundry to be washed, and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laundry discharge unit 30 is installed. .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30)는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후방측에 대응하여 상기 투입회수대(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간부(22)에 투입된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후방으로 배출시키고 옷걸이 이송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22)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aundry discharge input part 30 is installed in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space part 22, and the laundry introduced into the through space part 22 is disposed in the through space part ( It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22) and serves to inject the laundry delivered through the hanger transfer device into the through space portion 22.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30)는 상기 관통공간부(22)의 내측에 후방에 대응하여 판 형태로 구비되고 상단에 상단로드(311)가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상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단에 하단로드(312)가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31)과,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로드(31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와, 상기 옷걸이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옷걸이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31)의 상부 전면과 배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돌출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걸이부재(33)를 포함한다.The laundry discharge input unit 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space part 22, and an upper rod 311 at the top thereof is rotatable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And a lower rod 312 at a lower end of the rotary plate 31 rotatably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22, and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let recovery unit 20 and the upper rod ( 31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32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31 and protrude whi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front and back of the rotating plate 31 so that the hanger conveyed by the clothes hanger transfer device can be caught; It includes a pair of hook members 33 to be.

상기 회전판(31)은 상기 관통공간부(22)의 배면측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도어(21)를 통해 상기 관통공간부(22)로 투입된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22)에서 그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옷걸이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의류를 받아서 상기 관통공간부(22)로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The rotating plate 31 is rotated at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space portion 22 while discharging laundry introduced into the through space portion 22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door 21 from the through space portion 22 to the rear thereof. It serves to receive the clothes transported by the hanger transfer device while injecting into the through-space portion 22.

상기 상단로드(311)와 하단로드(312)는 상기 회전판(31)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투입회수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32)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회전판(31)을 회전시키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걸이부재(33)는 옷걸이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의류가 걸린 옷걸이가 걸리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rod 311 and the lower rod 312 are to allow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tating plate 31 to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put collection unit 20. The drive motor 32 is known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31 while being driven by the supply of power. The hanger member 33 serves to provide a place to hang the clothes hanger is carried by the clothes hanger transfer device.

상기 세탁물푸시부(40)는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하부로 상기 투입회수대(2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30)에 의해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후방으로 배출된 세탁물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다른 세탁물이 계속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laundry pushing unit 4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space part 22, and the laundry pushing part 30 of the through space part 22. The laundry discharged to the rear is pushed backward so that other laundry can be continuously added.

이와 같은 상기 세탁물푸시부(40)는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하부의 상기 투입회수대(20)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구비되는 푸시판(41)과, 상기 푸시판(41)의 배면과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푸시판(41)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42)와, 상기 유압실린더(42)의 상부로 상기 푸시판(41)의 배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수평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바(43)와, 상기 투입회수대(20)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바(4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면서 상기 가이드바(43)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44)을 포함한다.The laundry pusher 4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push plate 41 provided in an empty space formed in the input collection table 20 under the through space part 22, and a rear surface of the push plate 41. And a hydraulic cylinder 42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feeding and returning unit 20 and capable of moving the push plate 41 backward, and the push plate 41 above the hydraulic cylinder 42. One end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bar 43 and the horizontally provided, and the guide bar 43 is attached to the inlet recovery table 20 and slidably penetrat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guide bar 43. It includes a guide block 44 for guiding.

상기 푸시판(41)은 상기 회전판(31)에 의해 낙하한 세탁물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42)는 상기 푸시판(41)을 수평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공지의 공유압기기이며, 상기 가이드바(43)와 가이드블록(44)은 상기 푸시판(41)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push plate 41 serves to push the laundry dropped by the rotating plate 31 to the rear, the hydraulic cylinder 42 is a known common pressure device for reciprocating the push plate 41 horizontally The guide bar 43 and the guide block 44 serve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ush plate 41.

상기 터치스크린(50)은 상기 개폐도어(21)의 일측으로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외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세탁물의 투입 및 회수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면서 명령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50)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면서 명령이 수행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수단과 표시수단이 함께 구비된 공지의 전자기기이다.The touch screen 5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to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for the input and recovery of the laundry result It serves to display. That is, the touch screen 50 is a know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and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result of the command being performed while allowing the user to input a command by touching it with a finger.

상기 터치스크린(50)은 그 하부 일측으로 현금을 투입하고 투입된 현금을 인식하도록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전면에 설치되는 현금투입 및 인식기(51)와, 상기 현금투입 및 인식기(51)의 일측으로 투입 확인증과 현금 사용 영수증을 인쇄하여 발행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전면에 설치되는 확인증발행기(52)를 더 포함한다.The touch screen 50 is a cash input and recognizer 51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input collection counter 20 to insert the cash into the lower side and recognize the input cash, and the cash input and recognizer 51 It further includes a confirmation issuer 52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put collection unit 20 to be issued by printing the receipt confirmation and cash use receipt to one side.

상기 현금투입 및 인식기(51)는 사용자가 세탁에 소요되는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사용자가 투입시키는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받아서 인식하고 요금 지불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The cash input and recognizer 51 serves to receive and recognize a cash or credit card that the user puts in order to pay a fee for washing and perform a fee payment.

상기 확인증발행기(52)는 상기 터치스크린(5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세탁물의 개수나 종류 등에 대한 확인증을 종이에 인쇄하여 발급하거나 상기 현금투입 및 인식기(51)를 통해 인식된 세탁에 소요된 요금에 대한 영수증을 종이에 인쇄하여 발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확인증은 사용자가 세탁물을 투입할 때 세탁물과 함께 봉투에 담겨져 투입됨으로써, 각 개별 사용자의 세탁물을 세탁업자가 쉽게 인지하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firmation issuer 52 prints a certificate for the number or type of the laundry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50 and issues it on a paper or washes the laundry recognized through the cash input and recognizer 51. The receipt for the fee is printed on paper and issued. Here, the confirmation is to be put in a bag with the laundry when the user puts the laundry, so that the laundry of each individual user can be confirmed while the cleaner easily recognizes.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50)을 통해 회수할 의류를 사용자가 지정하고 회수 버튼을 눌러 회수 작동을 시작하면, 의류 이송컨베이어에서 회수할 의류(C)가 옷걸이 이송장치(A)에 위치하게 되고, 이를 상기 옷걸이 이송장치(A)가 이송하여 상기 걸이부재(33)에 의류(C)가 걸린 옷걸이(H)를 걸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undry input and recover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5 to 6, when the user designates the clothes to be recovered through the touch screen 50 and starts a recovery operation by pressing a recovery button, the clothes C to be recovered from the clothes transport conveyor are transferred to the hanger. It is located in the device (A), and the hanger transfer device (A) is transferred to hang the hanger (H) hangs the clothing (C) on the hanger member (33).

이렇게 상기 옷걸이(H)가 상기 걸이부재(33)에 걸린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32)가 구동되면서 상기 회전판(31)이 180도로 회전되어 상기 관통공간부(22)의 내부로 상기 옷걸이(H)를 위치시킨다.As the driving motor 32 is driven while the clothes hanger H is caught by the hanger member 33, the rotating plate 31 is rotated by 180 degrees so that the clothes hanger H is inside the through space part 22. ).

이때 사용자는 상기 개폐도어(21)를 열고 상기 관통공간부(22)에 위치하고 상기 걸이부재(33)에 걸린 상기 옷걸이(H)를 외부로 빼내어 상기 옷걸이(H)에 걸린 세탁이 완료된 상기 의류(C)를 회수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user opens the opening / closing door 21 and removes the clothes hanger H, which is located in the through space part 22 and is caught by the hanger member 33, to the outside to complete the washing of the clothes hanger H. C) is recovered.

반대로 세탁할 세탁물(B)을 투입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50)을 통해 투입할 세탁물(B)의 종류와 개수를 지정하고 투입 버튼을 눌러 투입 작동을 시작하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개폐도어(21)를 열고 세탁물(B)을 상기 관통공간부(22)로 투입한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put laundry B to be washed, the user designates the type and number of laundry B to be put through the touch screen 50 and starts the feeding operation by pressing the feeding button. As shown, the user open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and inserts the laundry (B) into the through space 22.

이렇게 상기 세탁물(B)이 투입되면 상기 구동모터(32)가 구동되면서 상기 회전판(31)을 회전시켜 상기 세탁물(B)을 상기 관통공간부(22)에서 그 후방으로 배출시키게 된다.When the laundry (B) is introduc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otor 32 is driven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31 to discharge the laundry B from the through space 22 to the rear thereof.

이와 같이 배출된 상기 세탁물(B)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후방 아래로 낙하하게 되고, 이렇게 낙하한 상기 세탁물(B)은 상기 유압실린더(42)의 구동으로 상기 푸시판(41)에 의해 후방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밀려나게 된다. 상기 세탁물(B)을 밀어낸 상기 푸시판(41)은 상기 유압실린더(42)의 작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e laundry B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falls down the rear of the through space 22 as shown in FIGS. 9 and 10, and the laundry B thus dropped is the hydraulic cylinder 42. By the driving of the push plate 41 is pushed back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ush plate 41 pushing the laundry B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42.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벽체
11 : 걸고리
20 : 투입회수대
21 : 개폐도어 211 : 투명창
22 : 관통공간부
30 : 세탁물배출투입부
31 : 회전판 311 : 상단로드 312 : 하단로드
32 : 구동모터 33 : 걸이부재
40 : 세탁물푸시부
41 : 푸시판 42 : 유압실린더
43 : 가이드바 44 : 가이드블록
50 : 터치스크린
51 : 현금투입 및 인식기 52 : 확인증발행기
A : 옷걸이 이송장치
H : 옷걸이
C : 의류
B : 세탁물
10: wall
11: hook
20: input collection
21: opening and closing door 211: transparent window
22: through space part
30: laundry discharge input unit
31: rotating plate 311: top rod 312: bottom rod
32: drive motor 33: hook member
40: laundry push unit
41: push plate 42: hydraulic cylinder
43: guide bar 44: guide block
50: touch screen
51: cash input and recognizer 52: verification machine
A: Hanger Feeding Device
H: Hanger
C: clothing
B: laundry

Claims (4)

벽체(10)와;
상기 벽체(10)의 전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세탁물을 회수하거나 투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21)가 설치되며, 세탁물을 배치하도록 상기 개폐도어(21)와 연통되면서 후방으로 관통되게 내측에 관통공간부(22)가 형성되는 투입회수대(20)와;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후방측에 대응하여 상기 투입회수대(20)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간부(22)에 투입된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후방으로 배출시키고 옷걸이 이송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세탁물을 상기 관통공간부(22)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는 세탁물배출투입부(30)와;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하부로 상기 투입회수대(20)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30)에 의해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후방으로 배출된 세탁물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세탁물푸시부(40)와;
상기 개폐도어(21)의 일측으로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외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세탁물의 투입 및 회수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면서 명령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50)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물푸시부(40)는,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하부의 상기 투입회수대(20)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구비되는 푸시판(41)과,
상기 푸시판(41)의 배면과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푸시판(41)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42)와,
상기 유압실린더(42)의 상부로 상기 푸시판(41)의 배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수평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바(43)와,
상기 투입회수대(20)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바(4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면서 상기 가이드바(43)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
The wall 10;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10,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is opened to the front so that the laundry can be collected or put into, the communica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to arrange the laundry through the rear An input collection stage 20 in which a through space portion 22 is formed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space portion 22 is installed in the intake collection unit 20, the laundry introduced into the through space portion 22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through space portion 22 and the hanger transfer device A laundry discharge input unit 30 for introducing laundry delivered through the laundry into the through space 22;
It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inlet collection unit 2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space 22, and pushes the laundry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through space 22 by the laundry discharge unit 30 to the rear. Washing push unit 40 and;
A touch screen 5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1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and displaying a command execution result while a user can input a command for inputting and collecting laundry. of; Including,
The laundry push unit 40,
A push plate 41 provided in an empty space formed in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below the through space portion 22;
A hydraulic cylinder 42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push plate 41 and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and capable of moving the push plate 41 backward;
A guide bar 43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ush plate 41 and being provided horizontally above the hydraulic cylinder 42;
Laundry inpu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block 44 which is attached to the input collection table 20 and guid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guide bar 43 while the guide bar 43 is slidably penetrated. Recove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배출투입부(30)는,
상기 관통공간부(22)의 내측에 후방에 대응하여 판 형태로 구비되고 상단에 상단로드(311)가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상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단에 하단로드(312)가 상기 관통공간부(22)의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31)과,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로드(31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와,
상기 옷걸이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옷걸이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31)의 상부 전면과 배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돌출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걸이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aundry discharge injection unit 30,
The inner side of the through-space portion 2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corresponding to the rear and the upper rod 311 at the upper end is rotatably provid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intake recovery table 20 and the lower rod 312 at the bottom Rotating plate 31 is rotatably provided to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22,
A drive motor 32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and connected to the upper rod 311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31;
A pair of hanger members (33) are attached to protrude whi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front and back of the rotary plate 31 so that the hanger conveyed by the hanger transfer device,
Laundry input and recovery apparatus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10)는,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양측으로 상기 벽체(10)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옷걸이를 걸 수 있는 한 쌍의 걸고리(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도어(21)는,
상기 관통공간부(22)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21)에 설치되는 투명창(211)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50)은,
그 하부 일측으로 현금을 투입하고 투입된 현금을 인식하도록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전면에 설치되는 현금투입 및 인식기(51)와,
상기 현금투입 및 인식기(51)의 일측으로 투입 확인증과 현금 사용 영수증을 인쇄하여 발행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회수대(20)의 전면에 설치되는 확인증발행기(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투입 및 회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ll 10,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hooks 11 which ar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wall 10 to both sides of the input collection table 20 and can hang a hanger,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Further comprising a transparent window 211 install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to see the interior of the through space 22,
The touch screen 50,
A cash input and recognizer 51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to input cash to one side of the lower part and recognize the input cas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erification issuer 52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input collection stand 20 to print and issue the input confirmation certificate and cash use receipt to one side of the cash input and recognizer 51, Laundry input and recovery device.
KR1020180030644A 2018-03-16 2018-03-16 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 KR102057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44A KR102057729B1 (en) 2018-03-16 2018-03-16 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44A KR102057729B1 (en) 2018-03-16 2018-03-16 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45A KR20190108945A (en) 2019-09-25
KR102057729B1 true KR102057729B1 (en) 2019-12-19

Family

ID=6806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44A KR102057729B1 (en) 2018-03-16 2018-03-16 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7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1233B (en) * 2019-12-10 2021-01-12 江西服装学院 Clothing production water line based on thing networking
KR102606552B1 (en) * 2023-06-12 2023-11-29 주식회사 청세 Laundry forward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107B2 (en) * 1991-11-20 2001-01-15 東都化成株式会社 Composition for magnetic paint
JP4064270B2 (en) 2003-03-17 2008-03-19 日本スチール株式会社 Clothes storage mechanism and cleaning store using the same
KR101654021B1 (en) 2015-04-14 2016-09-09 유지훈 System for keeping and taking-out cloth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886B1 (en) 2015-04-14 2016-09-22 유지훈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hang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107B2 (en) * 1991-11-20 2001-01-15 東都化成株式会社 Composition for magnetic paint
JP4064270B2 (en) 2003-03-17 2008-03-19 日本スチール株式会社 Clothes storage mechanism and cleaning store using the same
KR101654021B1 (en) 2015-04-14 2016-09-09 유지훈 System for keeping and taking-out clot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45A (en)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3553B (en) ATM with stack transporter for bulk note deposit
KR102057729B1 (en) 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
US4554444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JP3631928B2 (en) Paper sheet feeding unit and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WO2015180407A1 (en) Circulation all-in-one machine and bank note distributing device thereof
CN102166570A (en) Vertical banknote sorter
JP2013200623A (en) Coin checking auxiliary unit and cash handling device using coin checking auxiliary unit
CN107680268A (en) Rotary hair clothing machine
CN102750793B (en) Bill scanning recovering device
JP4736746B2 (en) Empty container collection device
KR101654021B1 (en) System for keeping and taking-out clothing
CN205722170U (en) A kind of Large Copacity automatic vending machine avoiding kinds of goods to damage
CN105809208A (en) Online banking key issuing machine
CN108961609B (en) Automatic bankbook read-write issuing equipment
CN207397386U (en) Rotary hair clothing machine
CN207182472U (en) A kind of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and 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JP2006127131A (en) Circulation type paper money dispenser
KR102115650B1 (en) Apparatus for drop off and pick up the laundry
KR20100079663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CN204470127U (en) Spool sorting mechanism
CN203882381U (en) Paper currency collecting and storing warehouse and paper currency processing device
CN205929597U (en) Limit machine is made to braided bag
KR100557303B1 (en) Apparatus for drawing coins
CN205428013U (en) Automatic smooth paper currency processing apparatus of paper currency dog -ear
EP1403830A2 (en) Automatic device for withdrawing and delivering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