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512B1 - 차량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512B1
KR102057512B1 KR1020180078738A KR20180078738A KR102057512B1 KR 102057512 B1 KR102057512 B1 KR 102057512B1 KR 1020180078738 A KR1020180078738 A KR 1020180078738A KR 20180078738 A KR20180078738 A KR 20180078738A KR 102057512 B1 KR102057512 B1 KR 10205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vehicle
key
informatio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종식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18007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77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using additional device, e.g. trusted platform module [TPM], smartcard, USB or hardware security module [H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정보 및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된 IC카드를 구비하는 차량;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장치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IC카드와 RF 통신을 통해 교신하는 인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IC카드가 교신가능 범위에 진입하면 상기 IC카드에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IC카드는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를 수신하면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카드암호키 중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어느 하나의 카드암호키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일회용카드키를 생성하여, 상기 일회용카드키로 상기 차량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난수와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인식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인식장치는 전송받은 상기 난수를 상기 장치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일회용장치키를 생성하여, 상기 일회용장치키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인식 방법을 제공하여, 차량에 구비된 IC카드에는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저장되고, 인식장치에는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장치암호키가 저장되어 있어 차량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IC카드와 인식장치간의 RF통신을 통한 교신에 있어 보안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식장치가 각각 다른 장치암호키를 배분받아 기관별 용도별로 사용함으로써 보안성과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인식 시스템{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정보가 입력된 IC카드가 장착된 차량이 교신가능범위로 진입하면 RF통신에 의해 상기 IC카드에 입력된 차량정보를 식별하되, 보안성이 강화된 차량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교통법규 위반 여부 단속이나, 고속도로 통행료 과금, 주차장 관리 등에 있어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에 기재된 차량번호를 인식하거나 차량에 별도로 부착된 RF태그 등을 인식하여 차량정보를 식별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영상판독장치가 필요하고, 특히 고속주행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한 영상장비의 경우에는 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또한, 차량 번호판을 영상판독장치로 판별하는 경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번호판의 위변조에 취약하며, 인식률 또한 한계가 있어 번호판에 사용되는 문자에 제한이 있다.
한편, RF태그를 이용한 차량정보 식별의 경우에는 간단한 장비로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보안이 매우 취약하여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고 복제가 쉬워 위변조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0493호(2005.12.2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정보가 입력된 IC카드가 장착된 차량이 교신가능범위로 진입하면 RF통신에 의해 상기 IC카드에 입력된 차량정보를 식별하되, 보안성이 강화된 차량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은, 차량 정보 및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된 IC카드를 구비하는 차량;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장치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IC카드와 RF 통신을 통해 교신하는 인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IC카드가 교신가능 범위에 진입하면 상기 IC카드에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IC카드는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를 수신하면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카드암호키 중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어느 하나의 카드암호키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일회용카드키를 생성하여, 상기 일회용카드키로 상기 차량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난수와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인식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인식장치는 전송받은 상기 난수를 상기 장치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일회용장치키를 생성하여, 상기 일회용장치키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에서, 상기 차량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차량에 구비된 IC카드에는 서로 다른 차량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되, 모든 IC카드에는 동일한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에서, 상기 IC카드는 차량의 번호판에 일체화되어 구비되거나, 차대에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은, 데이터 주입키를 구비하여 상기 IC카드에 상기 데이터 주입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정보를 상기 IC카드에 주입하는 차량정보주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복수개가 구비되고,상기 복수개의 인식장치에는 각기 다른 장치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개의 각각의 인식장치에는 각기 다른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IC카드를 통해 인식된 차량정보에 의해 파악된 차량번호와 상기 차량에 부착된 차량번호판에 표시된 차량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주차장의 충돌방지턱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차량의 주차시간을 파악하여 주차요금을 자동으로 과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도로의 톨게이트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인식장치에 인식된 차량정보를 통하여 각 차량의 통행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방법은, 차량정보 및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된 IC카드를 구비하는 차량, 및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장치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IC카드와 RF 통신을 통해 교신하는 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이 상기 IC카드와 상기 인식장치가 교신가능한 범위로 진입하면,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를 상기 IC카드에 전송하는 장치암호키 정보 전송단계; 상기 IC카드에서 난수를 생성하는 난수 생성단계; 상기 IC카드에서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상기 장치암호키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카드암호키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일회용카드키를 생성하는 일회용카드키 생성단계; 상기 IC카드에서 상기 일회용카드키로 상기 차량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난수와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상기 IC카드에서 상기 인식장치로 전송하는 암호화데이터 전송단계; 상기 인식장치에서 상기 난수를 상기 장치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일회용장치키를 생성하는 일회용장치키 생성단계; 및 상기 인식장치에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상기 일회용장치키로 복호화하는 데이터 복호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방법은, 장치암호키 정보전송단계 이전, 데이터 주입키를 이용하여 상기 IC카드에 차량정보를 주입하는 차량정보 주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방법에서, 상기 차량정보 주입단계는, 상기 데이터 주입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장치에도 차량정보를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방법은, 상기 데이터 복호화단계 이후, 상기 인식장치에서 인식된 차량정보에 의해 파악된 차량번호와 상기 차량에 부착된 차량번호판에 표시된 차량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유효성 검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 및 차량인식 방법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IC카드에는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저장되고, 인식장치에는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장치암호키가 저장되어 있어 차량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IC카드와 인식장치간의 RF통신을 통한 교신에 있어 보안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 및 차량인식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인식장치가 각각 다른 장치암호키를 배분받아 기관별 용도별로 사용함으로써 보안성과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가의 영상분석장치가 필요없어 설치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인식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차량번호판에 IC카드가 일체화되어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인식장치가 IC카드로부터 차량정보를 읽어들이는 과정을 설명한 참고도.
도 4는 상기 인식장치가 주차장 관리용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사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인식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인식 시스템(100)은 차량(110), 인식장치(120), 및 차량정보주입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IC카드(1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IC카드(111)에는 차량 정보 및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11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IC카드(111)에는 각각의 상기 차량(110)에 해당되는 각각 다른 차량정보와 함께 서로 동일한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복수개의 상기 차량(110)에 각각 구비된 상기 IC카드(111)에는 각각의 차량에 해당되는 차량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되, 모든 상기 IC카드(111)에는 동일한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IC카드(111)는 차량번호판에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차량번호판(BD)에 IC카드(111)가 일체화되어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IC카드(111)는 차량번호판(BD)에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IC카드(111)는 차량번호판(BD)에 함께 구비되는 RF안테나(112)와 연결되어 후술하는 인식장치(120)와 RF통신을 이용한 교신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IC카드(111)가 차량번호판(BD)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IC카드(111)는 차대에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등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탈부착이 불가능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IC카드(111)에 입력된 차량정보는 차량번호, 차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차종, 등록일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C카드(111)에 입력된 차량정보는 암호화되어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IC카드(111)에는 차량번호, 차대번호, 차종, 등록일 등이 포함된 정보가 암호화되어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인식장치(120)는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장치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IC카드(111)와 RF통신을 통해 교신할 수 있다.
도 3은 인식장치(120)가 IC카드(111)로부터 차량정보를 읽어들이는 과정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인식장치(120)는 상기 차량(11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IC카드(111)가 RF통신을 통해 교신이 가능한 범위에 진입하면 상기 IC카드(111)에 상기 장치참호키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C카드(111)는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를 수신하면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어느 하나의 카드암호키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일회용카드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C카드(111)는 이렇게 생성된 상기 일회용카드키로 상기 차량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C카드(111)는 상기 난수와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상기 인식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IC카드(111)로부터 상기 난수와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인식장치(120)는 상기 난수를 상기 장치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일회용장치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IC카드(111)는 상기 일회용카드키와 동일한 일회용장치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상기 일회용장치키로 복호화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 이해를 돕기위하여 상술한 과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IC카드(111)가 저장하고 있는 복수개의 카드암호키는 제1암호키, 제2암호키, 제3암호키,..., 제n-1암호키, 제n암호키, 제n+1암호키,...,제N암호키일 수 있으며, 상기 인식장치(120)가 저장하고 있는 장치암호키는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즉, 제1암호키 내지 제N암호키 중 어느 하나인 제n암호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IC카드(111)가 RF통신이 가능한 교신가능범위에 진입하면 상기 인식장치(120)는 상기 장치암호키의 번호 정보인 n을 상기 IC카드(111)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IC카드(111)는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난수를 제n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일회용카드키를 생성한 후, 상기 일회용카드키로 상기 차량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난수와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상기 인식장치(120)에 전송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난수와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인식장치(120)는 상기 상기 난수를 상기 장치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일회용장치키를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 장치암호키는 제n암호키이므로 상기 일회용장치키는 상기 난수를 상기 제n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것이다. .
결국, 상기 일회용카드키와 상기 일회용장치키는 모두 상기 난수를 상기 제n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것이므로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일회용키를 상기 인식장치(120)와 상기 IC카드(111)에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매번 다르게 생성되는 일회용키와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정보의 암호화, 복호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대칭키를 직접적으로 전송하거나, 미리 공유하지 않고 있으므로 외부의 공격에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차량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 이용되는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은 DES, SEED, AES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장치(120)는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차량정보와 연계될 수 있는 다양한 부가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식장치는(120)는 상기 차량정보와 연계된 차주의 인적사항, 차량의 수배여부, 차량관련 각종 범칙금 내역, 차량 정기검사 시기 등의 다양한 차량관련 정보가 저장된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인식장치(120)는 상기 IC카드(111)로부터 읽어들이 상기 차량정보를 통하여, 차주의 인적사항, 차량의 수배여부, 차량관련 각종 범칙금 내역, 차량 정기검사 시기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인식장치(12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인식장치(120)에는 각기 다른 장치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IC카드(111)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읽어들임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인식장치(120)가 다른 하나의 상기 인식장치(120)의 장치암호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은 정보가 나오도록 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상기 차량정보를 각각의 상기 인식장치(120) 마다 서로 다른 키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인것처럼 암호화해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보안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식장치(120)에 구비된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는 서로 상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상기 인식장치(120)에 구비된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에는 정보보호가 필요한 내용은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상기 인식장치(120)에 구비된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에는 차주의 인적사항 및 차량정기검사 시기에 대항 정보가 저장되어있고,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인식장치(120)에 구비된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에는 차주의 인적사항, 차량의 수배여부, 차량관련 각종 범칙금 내역을 포함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에, 어느 하나의 상기 인식장치(120)는 주차장의 입구 등에 구비되어 주차요금을 과금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고속도로 출입구 등에 구비되어 통행요금을 과금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상기 인식장치(120)는 자동차정기검사소에 구비되어 자동차의 정기검사여부를 기록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인식장치(120)는 경찰차 등에 구비되어 차량 검문검색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인식장치(120)는 주차장의 충돌방지턱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차량(110)의 주차위치 및 주차시간을 파악하여 주차요금이 자동으로 과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120)는 도로의 톨게이트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인식장치에 인식된 차량정보를 통하여 각 차량의 통행요금을 과금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인식장치(120)는 상기 IC카드(111)를 통해 인식된 차량정보에 의해 파악된 차량번호와 상기 차량(110)에 부착된 차량번호판에 표시된 차량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차량(110)에 부착된 차량번호판에 표시된 차량번호 또는 차량정보가 위변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인식장치(120)가 주차장 관리용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식장치(120)가 주차장의 충돌방지턱(A)마다 구비되어, 상기 차량(110)의 주차위치, 주차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기 차량의 주차위치를 파악하거나 비어있는 주차공간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주차요금이 자동징수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정보주입장치(130)는 데이터 주입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주입키를 이용하여 상기 IC카드(111)에 차량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정보주입장치(130)는 상기 인식장치(120)에도 상기 데이터 주입키를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데이터 주입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상기 IC카드(111)와 상기 인식장치(120)에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하게 암호화된 차량정보가 상기 IC카드(111)와 상기 인식장치(120)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식장치(120)는 상기 차량정보를 읽어들인 후 이를 상기 데이터 주입키나 상기 데이터 주입키와 키쌍을 이루는 공개키 등에 의해 복호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차량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인식 방법(S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인식 방법(S100)은 차량정보 및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된 IC카드(111)를 구비하는 차량(110), 및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장치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IC카드(111)와 RF통신을 통해 교신하는 인식장치(120)를 포함하는 차량인식 시스템(100)을 이용한 차량인식 방법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인식 방법(S100)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인식 방법(S100)은 차량정보 주입단계(S110), 장치암호키 정보 전송단계(S120), 난수 생성단계(S130), 일회용카드키 생성단계(S140), 암호화데이터 생성단계(S150), 암호화데이터 전송단계(S160), 일회용장치키 생성단계(S170), 데이터 복호화단계(S180), 및 데이터 유효성 검증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정보 주입단계(S110)는 데이터 주입키를 이용하여 상기 IC카드(111)에 차량정보를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차량정보 주입단계(S110)에서는 상기 인식장치(120)에도 차량정보를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는데, 이때에도 상기 데이터 주입키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정보 주입단계(S110)에서 주입되는 차량정보는 상기 데이터 주입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차량정보 주입단계(S110)는 상기 데이터 주입키에 의해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상기 IC카드(111)와 상기 인식장치(120)에 입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장치암호키 정보 전송단계(S120)는 상기 차량(110)이 상기 IC카드(111)와 상기 인식장치(120)가 RF통신에 의해 교신가능한 범위로 진입하면,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를 상기 IC카드에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에는 번호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떤 번호의 카드암호키와 동일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특정 카드암호키를 지칭하는 번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장치암호키 정보 전송단계(S120)는 상기 복수개의 상기 카드암호키 중 상기 장치암호키와 동일한 특정 카드암호키의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난수 생성단계(S130)은 상기 IC카드(111)에서 난수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상기 난수 생성단계(S130)는 매번 다른 난수가 랜덤하게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회용카드키 생성단계(S140)는 상기 IC카드(111)에서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카드암호키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일회용카드키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일회용카드키 생성단계(S140)는 상기 장치암호키 정보 전송단계(S120)에서 전송받은 번호에 해당하는 특정 카드암호키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일회용카드키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암호화데이터 생성단계(S150)는 상기 일회용카드키로 상기 차량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암호화데이터 전송단계(S160)는 상기 난수와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상기 IC카드(111)에서 상기 인식장치(120)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IC카드(111)에서 상기 인식장치(120)로 전송되는 것은 난수와 암호화데이터 뿐으로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일회용장치키 생성단계(S170)는 상기 인식장치(120)에서 상기 난수를 상기 장치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일회용장치키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장치암호키는 상기 일회용카드키를 생성할 때 상기 IC카드(111)에서 사용한 특정 카드암호키와 동일하므로 결국 상기 일회용카드키와 동일한 일회용장치키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복호화 단계(S180)는 상기 인식장치(120)에서 상기 암호화데이터르 f상기 일회용장치키로 복호화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인식장치(120)는 상기 차량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데이터 유효성 검증단계(S190)은 상기 인식장치(120)에서 인식된 상기 차량정보에 의해 파악된 차량번호와 상기 차량(110)에 부착된 차량번호판에 표시된 차량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번호판 또는 차량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100) 및 차량인식 방법(S100)에 의하면, 차량(110)에 구비된 IC카드(111)에는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저장되고, 인식장치(120)에는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장치암호키가 저장되어 있어 차량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IC카드(111)와 인식장치(120)간의 RF통신을 통한교신에 있어 보안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인식 시스템(100) 및 차량인식 방법(S100)에 의하면, 복수의 인식장치(120)가 각각 다른 장치암호키를 배분받아 기관별 용도별로 사용함으로써 보안성과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가의 영상분석장치가 필요없어 설치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4)

  1. 차량 정보 및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된 IC카드를 구비하는 차량;
    상기 복수개의 카드암호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장치암호키가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IC카드와 RF 통신을 통해 교신하는 인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IC카드가 교신가능 범위에 진입하면 상기 IC카드에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IC카드는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를 수신하면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카드암호키 중 상기 장치암호키의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어느 하나의 카드암호키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일회용카드키를 생성하여, 상기 일회용카드키로 상기 차량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난수와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인식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인식장치는 전송받은 상기 난수를 상기 장치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일회용장치키를 생성하여, 상기 일회용장치키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하되,
    상기 인식장치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인식장치에는 각기 다른 장치암호키가 입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차량에 구비된 IC카드에는 서로 다른 차량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되, 모든 IC카드에는 동일한 복수개의 카드암호키가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C카드는 차량의 번호판에 일체화되어 구비되거나, 차대에 일체화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주입키를 구비하여 상기 IC카드에 상기 데이터 주입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정보를 상기 IC카드에 주입하는 차량정보주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각각의 인식장치에는 각기 다른 차량정보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IC카드를 통해 인식된 차량정보에 의해 파악된 차량번호와 상기 차량에 부착된 차량번호판에 표시된 차량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는 주차장의 충돌방지턱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차량의 주차시간을 파악하여 주차요금을 자동으로 과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는 도로의 톨게이트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인식장치에 인식된 차량정보를 통하여 각 차량의 통행요금을 과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인식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078738A 2018-07-06 2018-07-06 차량인식 시스템 KR10205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38A KR102057512B1 (ko) 2018-07-06 2018-07-06 차량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38A KR102057512B1 (ko) 2018-07-06 2018-07-06 차량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512B1 true KR102057512B1 (ko) 2019-12-19

Family

ID=6905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738A KR102057512B1 (ko) 2018-07-06 2018-07-06 차량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228B1 (ko) * 2023-09-12 2023-12-27 코나아이 (주) 자동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을 위한 ic 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4093B2 (ja) * 1995-02-16 2002-0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非接触icカードシステム
JP5929921B2 (ja) * 2012-01-12 2016-06-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憶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4093B2 (ja) * 1995-02-16 2002-0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非接触icカードシステム
JP5929921B2 (ja) * 2012-01-12 2016-06-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憶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228B1 (ko) * 2023-09-12 2023-12-27 코나아이 (주) 자동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을 위한 ic 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96431B (zh) 基于物联网应用场景的隐私查询和隐私身份验证的保护方法
US20040210757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unauthorized vehicle control
CN106415611B (zh) 自认证芯片
JP3156562B2 (ja) 車両用通信装置及び走行車両監視システム
EP09980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equipment authentication and key delivery
CN101589409B (zh) 行驶记录仪
KR20130114247A (ko) 액세스 권한들 및 특권들을 연관시키기 위한 사용자/차량-id
CN101884188A (zh) 身份鉴别和受保护访问系统、组件和方法
KR19990072922A (ko) 기기인증및암호통신시스템
Baldini et al. Regulated applications for the roa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case study of the smart tachograph in the European Union
JPH10143695A (ja) 相互認証システムと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と料金収受システムの相互認証方法
KR102057512B1 (ko) 차량인식 시스템
JP3656352B2 (ja) 車載用通信装置及び路車間通信装置
CN101065789B (zh) 记录对区域的访问尝试
CN113112243A (zh) 一种汽车身份识别装置及数据处理与通信方法
KR100785272B1 (ko) 차량용 전자 요금 징수 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요금 징수 시스템
CN115776396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70024466A1 (en) Syste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vehicle
RU2605914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о наличных денежных расчётах и/или расчётах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латёжных карт при работе контрольно-кассовых машин с функциями фиксации 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ервера оператора фискальных данных
CN102693559A (zh) 用来验证道路交通控制事务的方法
JP2004348321A (ja) 無線決済システム
JPH10326365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その自動料金収受方法
CN214540837U (zh) 一种汽车身份识别装置
JP3159100B2 (ja) 路車間通信装置
EP4006864A1 (en) Vehicl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