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053B1 -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053B1
KR102056053B1 KR1020190049810A KR20190049810A KR102056053B1 KR 102056053 B1 KR102056053 B1 KR 102056053B1 KR 1020190049810 A KR1020190049810 A KR 1020190049810A KR 20190049810 A KR20190049810 A KR 20190049810A KR 102056053 B1 KR102056053 B1 KR 10205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unition
air
outside
steel pip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석
최인규
하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to KR102019004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6Packages or containers for a plurality of ammunition, e.g. cart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15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heating the ambient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는, 출입문이 설치된 전면 방호벽; 상기 전면 방호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면 방호벽;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의 사이에 배치된 내부 바닥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덕트 파이프; 및 일단이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바닥부의 하부를 통해 상기 후면 방호벽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로가 주로 발생하는 여름철에 장마기간과 장마기간이 아닌 기간을 구분하여 각각 다른 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탄약고 내부의 결로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POWDER MAGAZINE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본 발명은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약고의 내부의 특수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에 관한 것이다.
탄약고는 탄약고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여름철에 탄약고 내부에 결로가 많이 발생한다. 결로 자체는 문제되지 않을 수 있지만, 탄약고 내에 저장된 무기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면 녹이 발생할 수 있고, 탄약 내부의 화약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약고의 결로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제습성능이 뛰어난 전자제품이 많이 개발되어 탄약고 내에 제습기를 설치하여 발생된 결로를 제거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넓고 밀폐되지 않은 탄약고 내부의 결로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전기를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탄약고의 유지비용이 높고, 또한, 초기 탄약고의 공사비용도 높은 문제가 있다.
종래의 탄약고에서 결로 발생을 줄이기 위한 기술은 전기를 사용하는 기술과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기술로 구분될 수 있다. 탄약고의 특성상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유지관점에서 좋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온도차를 줄여주거나 공기유입을 차단하지 못하여 그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그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3195호는 이중바닥 중공층을 이용한 이글루 탄약고 결로감소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 탄약고 내 온도를 높이기 위해 바닥을 이중으로 하여 실외의 따뜻한 공기를 내부로 보내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은 노점 온도를 높여주어 결로 발생을 약간은 낮출 수 있으나 다습한 공기가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구조로, 결로를 완전히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1608호는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탄약고 외부에 길이방향으로 통풍구를 만들어 온도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기술은 결로 발생원인 중 온도차를 줄이는 것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통풍구를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노출시켜야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습한 공기의 내부유입을 차단 할 수 없으며 오히려 강제로 외부공기를 유입 시킬 경우 내부에 결로가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1608호 (2012.04.2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4275호 (2009.02.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3529호 (2007.08.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3195호 (2007.06.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약을 저장하는 탄약고의 내부에 결로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는, 출입문이 설치된 전면 방호벽; 상기 전면 방호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면 방호벽;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의 사이에 배치된 내부 바닥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덕트 파이프; 및 일단이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바닥부의 하부를 통해 상기 후면 방호벽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는 일단이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노출되고,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는 상기 내부 바닥부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파이프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파이프는, 다수의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덕트는 상기 덕트 파이프의 일단 및 타단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전면 방호벽 및 후면 방호벽 사이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덕트는, 상기 후면 방호벽으로 갈수록 배치되는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덕트는, 상기 후면 방호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파이프는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 습도가 일정 이상이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온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온풍기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후면 방호벽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구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 타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홈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는, 출입문이 설치된 전면 방호벽; 상기 전면 방호벽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후면 방호벽;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 배치된 내부 바닥부; 일단이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바닥부의 하부를 통해 상기 후면 방호벽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 및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온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는 일단이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노출되고,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는 상기 내부 바닥부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열온풍기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후면 방호벽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구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 타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홈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탄약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하는 탄약고의 결로 방지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약고 내부 및 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습도 및 상기 공기유로의 구동 정보가 저장되는 기억부; 상기 탄약고 내부 및 외부의 온도와 습도 및 상기 공기유로의 구동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탄약고 내부 및 외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최적화된 구동 조건을 예측하는 인공지능프로그램부; 및 상기 센서부, 기억부, 표시부 및 인공지능프로그램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는 제1 구동; 및 상기 제1 구동에 의해 변화된 상기 탄약고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는 제2 구동;을 포함하며,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공지능프로그램부에 의해 예측된 최적화된 구동 조건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로가 주로 발생하는 여름철에 장마기간과 장마기간이 아닌 기간을 구분하여 각각 다른 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탄약고 내부의 결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장마기간이 아닌 경우, 덕트 파이프를 이용하여 탄약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출입문에서 멀어질수록 덕트 파이프에 설치된 덕트의 크기가 커지고 간격이 좁아지도록 덕트를 설치하여 탄약고 내부에서 공기의 대류가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하여 탄약고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마기간 동안 외부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탄약고 내부의 바닥에 설치된 강파이프를 통해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여, 탄약고 내부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탄약고 내부의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을 거의 소모하지 않으면서, 탄약고 내부와 외부 온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습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약고 내부의 결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S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의 덕트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의 제1 및 제2 강파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절취선 AA’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절취선 BB’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의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S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탄약고(100) 내부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원인은, 고온 다습한 공기가 차가운 물체에 닿게 되면서 공기내부 습기가 물체에 응결되어 결로수가 되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온도차를 줄여주고 고온다습한 공기의 유입을 막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야전에 설치되는 탄약고의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전력을 거의 소모하지 않으면서도 탄약고(100) 내부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탄약고(100) 내부와 외부 온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습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탄약고(100)에 포함되는 구성들과 상기 구성들의 배치 형태와 관련된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반복한 끝에 본 발명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이, 탄약고(100) 내부의 결로을 줄이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100)는 전면 바닥부(111), 전면 지지부(113), 전면 방호벽(115), 메인 바닥부(117), 메인 지지부(119), 내부 바닥부(120), 출입문(130), 지붕(140), 후면 방호벽(150), 덕트 파이프(170),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를 포함한다.
전면 바닥부(111)은 탄약고(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전면 바닥부(111)은 콘크리트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 지지부(113)는 전면 바닥부(111)의 후방에 배치되고, 탄약고(100) 내부의 메인 바닥부(117)에 연결될 수 있다. 전면 지지부(113)는 전면 바닥부(111)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 방호벽(115)은, 지붕(140)에 토사 등이 덮일 때,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전면 방호벽(1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며, 좌우 폭이 소정 이상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닥부(117)는 탄약고(100)의 외형 바닥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닥부(117)의 일 측은 전면 지지부(113)에 접하고, 탄약고(10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메인 지지부(119)는 메인 바닥부(117)의 내측에 배치되고, 지붕(140) 및 후면 방호벽(150)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바닥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지지부(119)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내부 바닥부(120)의 하부에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바닥부(120)의 외측으로 덕트 파이프(17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바닥부(120)에 의해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는 대부분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출입문(130)은 전면 방호벽(115)의 중앙에 배치된다. 출입문(130)은 탄약고(10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지붕(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붕(140)의 상부에 토사 등이 쌓여, 외부의 포탄 등의 공격을 완충하기 위한 토피층이 포함될 수 있다.
후면 방호벽(150)은 탄약고(100)의 출입문(130)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제1 배출부(152), 제2 배출부(154) 및 제3 배출부(156)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배출부(152), 제2 배출부(154) 및 제3 배출부(156)에는 각각 환기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환기장치는, 자연환기를 위해 회전식 또는 흡출식 환기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후면 방호벽(150)에는 제1 배출부(152)가 위치한 위치에 제1 배출홈(152a)이 배치된다. 제1 배출홈(152a)은 후면 방호벽(15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출부(154)가 위치한 위치에 제2 상부 배출홈(154a) 및 제2 하부 배출홈(154b)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부 배출홈(154a)은 후면 방호벽(15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하부 배출홈(154b)은 후면 방호벽(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배출부(156)가 위치한 위치에 제3 배출홈(156a)이 배치된다. 제3 배출홈(156a)은 후면 방호벽(15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지붕(140)에 토피층이 형성됨에 따라 탄약고(100)의 내부는 외부 기온에 영향을 받지 않고, 1년 내내 일정하게 내부 기온이 유지될 수 있다. 즉, 탄약고(100)의 내부는 상대적으로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탄약고(100)의 특성으로 인해 탄약고(100) 내부는 겨울보다 여름에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결로는, 포화 수증기압보다 현재의 수증기압이 높아질 때, 물체의 표면에 물이 응결되어 맺혀 생성된다. 즉, 고온에서 노점이 높고 저온에서 노점이 낮아지기 때문에 여름 장마철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탄약고(100)에 유입되면, 차가운 내부 벽체와 무기 표면에 결로수가 응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덕트 파이프(170),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를 탄약고(100) 내부에 설치하여, 탄약고(100)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 발생을 방지한다.
덕트 파이프(170)는, 메인 지지부(119)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 바닥부(120)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덕트 파이프(170)의 일단은 제1 흡기부(162)에 배치되고, 덕트 파이프(170)의 타단은 제2 흡기부(164)에 배치된다.
제1 흡기부(162) 및 제2 흡기부(164)는 각각 전면 방호벽(115)의 전방에 배치되고, 서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제1 흡기부(162) 및 제2 흡기부(164)에는 각각 제1 흡기홈(162a) 및 제2 흡기홈(164a)이 형성된다.
따라서 덕트 파이프(170)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제1 흡기홈(162a) 및 제2 흡기홈(164a) 내에 배치되며, 사용자는 제1 흡기홈(162a) 및 제2 흡기홈(164a)을 통해 노출된 덕트 파이프(170)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덕트 파이프(170)는 하나의 파이프로 형성되며, 일단이 제1 흡기부(162) 내에 배치되고, 탄약고(100)의 내부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도록 탄약고(100)에 배치된다. 즉, 덕트 파이프(170)의 양측의 외측에 메인 지지부(119)가 배치되고, 후면 방향의 외측에 후면 방호벽(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 파이프(170)에는 복수의 덕트(172)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덕트(172)는, 상부 방향으로 덕트 파이프(170)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덕트(172)는 각각 덕트 파이프(17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 파이프(17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이러한 덕트 파이프(170)는 탄약고(100)의 내부에 공기 대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된다.
제1 강파이프(182)는 일단이 제1 흡기부(162)에 배치되고, 타 측이 제2 하부 배출홈(154b) 내에 배치된다. 이때, 제1 강파이프(18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탄약고(100)의 바닥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강파이프(184)는 일단이 제2 흡기부(164)에 배치되며, 타단이 제2 하부 배출홈(154b) 내에 배치된다. 이때, 제2 강파이프(184)는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탄약고(100)의 바닥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는 각각 탄약고(100)의 전체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가 탄약고(100) 내부에 전체에 걸쳐 배치됨에 따라 탄약고(100)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는 각각 제2 하부 배출홈(154b)에 배치되고,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를 통과한 공기는 제2 하부 배출홈(154b)과 제2 배출부(154)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흡기부(162) 및 제2 흡기부(164)에 각각 배치된 덕트 파이프(170)의 일단 및 타단, 그리고 제1 흡기부(162) 및 제2 흡기부(164)에 각각 배치된 제1 강파이프(182)의 일단 및 제2 강파이프(184)의 일단 중 하나 이상을 폐쇄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흡기부(162) 및 제2 흡기부(164)에 노출된 덕트 파이프(170),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 중 하나 이상을 폐쇄할 수 있으며, 이렇게 덕트 파이프(170),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 중 하나 이상을 폐쇄함에 따라 탄약고(100) 외부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기간, 예를 들어, 장마기간과 탄약고(100) 외부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기간, 예를 들어, 장마기간이 아닌 기간을 구분하여 탄약고(100) 내로의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제어함으로써 탄약고(100)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약고(100) 외부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기간에는 덕트 파이프(170),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를 모두 개방하여, 탄약고(100) 내부와 외부 온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약고(100) 외부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기간에는 덕트 파이프(170)를 폐쇄하여 습도가 높은 외부의 공기가 탄약고(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는 개방하여 탄약고(100) 내부와 외부 온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탄약고(100)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의 덕트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덕트 파이프(17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덕트 파이프(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끝단은 제1 흡기부(162) 및 제2 흡기부(164)에 노출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덕트 파이프(170)의 길이를 따라 다수의 덕트(17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덕트(172)는 각각 덕트 파이프(170)의 내부 중공과 연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덕트 파이프(170)의 양 끝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다수의 덕트(17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덕트 파이프(170)는 하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탄약고(100)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응결되어 형성된 물방울이 덕트 파이프(170) 내에 고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약고(100) 내부로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결로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통공을 통해 덕트 파이프(170)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물방울은 탄약고(100)에 설치되는 배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로는 탄약고(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게 되어, 상기 물방울이 덕트 파이프(170)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덕트 파이프(170)의 끝단이 탄약고(100)의 출입구 측에 배치됨에 따라 덕트 파이프(170)의 끝단에서 멀어질수록 탄약고(100)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다수의 덕트(172)는 탄약고(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개수가 많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덕트(172)는 탄약고(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덕트(172) 간의 간격이 좁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덕트(172)는 탄약고(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덕트(17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렇게 다수의 덕트(172)가 탄약고(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많이 배치되고, 덕트(172)의 직경도 커짐에 따라 탄약고(100)의 내측에서 공기의 대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약고(100)의 내측에서 공기의 대류가 원활해짐에 따라 탄약고(100) 내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덕트 파이프(170)에 공기가 유입되어 탄약고(100) 내에서 대류를 원활하게 하는 것은, 장마기간이 아닌 기간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덕트 파이프(170)로 유입되는 공기는 가급적 수분이 없는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어야 탄약고(100) 내부에 수분이 적게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마기간에는 덕트 파이프(170)로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덕트 파이프(170)의 양 끝단은 페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의 제1 및 제2 강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강파이프(182)는 일단이 제1 흡기부(162)에 노출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약고(1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탄약고(100)의 출입구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시 탄약고(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강파이프(182)의 타단이 제2 하부 배출홈(154b)에 노출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강파이프(184)는 일단이 제2 흡기부(164)에 노출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약고(1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탄약고(100)의 출입구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시 탄약고(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 강파이프(184)의 타단이 제2 하부 배출홈(154b)에 노출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바닥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 내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내부 바닥부(120)를 따뜻한 공기를 이용하여 따뜻하게 하여 탄약고(100) 내부가 온돌방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라도 무관하며, 여름철의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 된다. 이렇게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탄약고(100) 내부는 온돌방의 효과로 내부에 발생된 결로를 빠르게 증발시켜 발생된 결로를 제거하고,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는 장마기간에 탄약고(100)의 결로를 방지할 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마기간 동안 탄약고(100)의 내부에 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문(130)을 개방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 파이프(17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외부의 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1 배출부(152), 제2 배출부(154) 및 제3 배출부(156)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제2 배출부(154)에 환기장치 등을 설치하여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절취선 AA’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절취선 BB’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강파이프(182)가 내부 바닥부(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강파이프(182)의 일단은 제1 흡기부(162)의 제1 흡기홈(162a)을 통해 노출된다. 그리고 제1 강파이프(182)의 타단은 제2 하부 배출홈(154b)에 노출된다. 따라서 제1 강파이프(182)의 일단으로 유입된 공기는 내부 바닥부(120)의 하부를 거쳐 제2 하부 배출홈(154b)을 통해 제2 배출부(154)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는 각각 내부 바닥부(120)의 하면에 일부가 매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로 유입된 따뜻한 공기의 온도가 내부 바닥부(12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덕트 파이프(170)는 하부에는 배수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부(174)는 덕트 파이프(170)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부(174)는 덕트 파이프(170)의 중앙부분과 끝부분에 대략 두 개 정도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100)는, 전면 바닥부(111), 전면 지지부(113), 전면 방호벽(115), 메인 바닥부(117), 메인 지지부(119), 내부 바닥부(120), 출입문(130), 지붕(140), 후면 방호벽(150), 덕트 파이프(170), 제1 강파이프(182), 제2 강파이프(184) 및 열온풍기(1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온풍기(190)는 출입문(130)에 설치될 수 있다. 열온풍기(190)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흡수된 열을 탄약고(100) 내부에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열온풍기(190)는, 태양열로 공기를 데우기 위해 집진판을 포함할 수 있고, 집진판 내부에 덕트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집진판에서 태양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탄약고(10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집진판은 태양열의 흡수를 위해 검정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리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덮개로 덮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원을 이용하여 탄약고(100)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탄약고(100)에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태양광 전지판 및 배터리를 이용하고, 전원의 공급을 받아 탄약고(100)의 덕트 파이프(170)와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탄약고(100)의 외부 및 내부에 각각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설치하고, 탄약고(100) 내부와 외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덕프 파이프(170)와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외부온도가 내부온도보다 높으면, 송풍기가 작동되도록 하고,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덕트 파이프(170)와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탄약고(100)의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보다 낮으면, 덕트 파이프(170)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보다 높으면,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제1 배출부(152), 제2 배출부(154) 및 제3 배출부(156)가 개폐되도록 자동으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탄약고(100)는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1000)이 적용되어,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최적화된 운영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약고의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1000)은, 제어부(1100), 센서부(1200), 기억부(1300), 표시부(1400), 및 인공지능프로그램부(1500)을 포함한다.
제어부(1100)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1200)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공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고, 이를 기억부(1300)에 저장하며, 그에 따라 변화되는 탄약고(100) 내부의 온도, 습도 정보를 다시 센서부(1200)에 의해 측정하도록 하여 이를 기억부(1300)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프로그램부(1500)가 탄약고(100) 외부의 온도, 습도 조건에 따라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를 최적화된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유로는 전술한 덕프 파이프(170), 제1 강파이프(182), 제2 강파이프(184), 제1 배출부(152), 제2 배출부(154) 및 제3 배출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0)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는 탄약고(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모두 측정한다.
기억부(1300)에는 센서부(1200)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습도가 저장된다. 또한, 기억부(1300)에는,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1000)에 의하여 개폐되는 상기 공기유로의 구동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구동 정보에는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가 저장된다. 상기 개폐정도는 상기 공기유로의 일단, 예를 들어, 유입구와 타단, 예를 들어, 배출구의 개폐정도를 포함하며, 일 예로 '50% 개방', '100% 개방'과 같은 형태로 표시부(14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400)는, 측정 시의 탄약고(100)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습도 상태, 덕트 파이프(170), 제1 강파이프(182) 및 제2 강파이프(184)의 구동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인공지능프로그램부(1500)는, 예를 들어, 그램마-유전자프로그래밍(Grammar-based Genetic Programming, GBGP) 기술에 의하여 수학적으로 표현되는 진화적 공정모델시스템(Evolutionary process induction system)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진화적 공정모델시스템은 문맥자유문법(context-free grammar)의 그램마(grammar)를 이용하여 공정모델의 초기 개체군을 생성시키고, 상기 진화적 공정모델시스템에서 공정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진화적 공정모델시스템을 통해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1000)이 상기 공기유로의 상기 구동 정보에 관한 수학식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수학식의 산정을 통해 상기 탄약고(100)의 내부, 외부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최적화된 상기 구동 조건을 예측하여, 이를 제어부(1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100)는 센서부(1200)에 의해 측정된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를 기억부(1300)에 저장하는 제1 구동 및 상기 제1 구동에 의해 변화된 상기 탄약고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를 기억부(1300)에 저장하는 제2 구동을 포함하여, 기억부(1300)에 저장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인공지능프로그램부(1500)에 의해 예측된 최적화된 구동 조건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정보, 제2 정보, 제3 정보, ..., 제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방법으로,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1000)은 탄약고(100)가 설치된 각 환경과 탄약고(10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습도 조건에 따라 최적화된 상기 구동 조건이 설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가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써, 탄약고(100) 내의 결로 발생을 방지하는 최적화된 운영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탄약고
111: 전면 바닥부
113: 전면 지지부
115: 전면 방호벽
117: 메인 바닥부
119: 메인 지지부
120: 내부 바닥부
130: 출입문
140: 지붕
150: 후면 방호벽
152: 제1 배출부
152a: 제1 배출홈
154: 제2 배출부
154a: 제2 상부 배출홈
154b: 제2 하부 배출홈
156: 제3 배출부
156a: 제3 배출홈
162: 제1 흡기부
162a: 제1 흡기홈
164: 제2 흡기부
164a: 제2 흡기홈
170: 덕트 파이프
172: 덕트
174: 배수부
182: 제1 강파이프
184: 제2 강파이프
190: 열온풍기
1000: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
1100: 제어부
1200: 센서부
1300: 기억부
1400: 표시부
1500: 인공지능프로그램부

Claims (18)

  1. 출입문이 설치된 전면 방호벽;
    상기 전면 방호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면 방호벽;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의 사이에 배치된 내부 바닥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덕트 파이프; 및
    일단이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바닥부의 하부를 통해 상기 후면 방호벽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파이프는, 다수의 덕트가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덕트는 상기 덕트 파이프의 일단 및 타단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전면 방호벽 및 후면 방호벽 사이로 배출하는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는 일단이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노출되고,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는 상기 내부 바닥부의 하면과 접촉된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 파이프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덕트는, 상기 후면 방호벽으로 갈수록 배치되는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된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덕트는, 상기 후면 방호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배치된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 파이프는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 습도가 일정 이상이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되는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방호벽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온풍기를 더 포함하는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열온풍기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전면 방호벽과 후면 방호벽 사이에 공급하는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 방호벽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구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강파이프 타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홈이 노출된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에 따른 탄약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로를 포함하는 탄약고의 결로 방지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약고 내부 및 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습도 및 상기 공기유로의 구동 정보가 저장되는 기억부;
    상기 탄약고 내부 및 외부의 온도와 습도 및 상기 공기유로의 구동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탄약고 내부 및 외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최적화된 구동 조건을 예측하는 인공지능프로그램부; 및
    상기 센서부, 기억부, 표시부 및 인공지능프로그램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는 제1 구동; 및
    상기 제1 구동에 의해 변화된 상기 탄약고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는 제2 구동;
    을 포함하며,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공지능프로그램부에 의해 예측된 최적화된 구동 조건으로 구동되는, 인공지능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190049810A 2019-04-29 2019-04-29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KR10205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10A KR102056053B1 (ko) 2019-04-29 2019-04-29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10A KR102056053B1 (ko) 2019-04-29 2019-04-29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053B1 true KR102056053B1 (ko) 2020-01-22

Family

ID=6936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810A KR102056053B1 (ko) 2019-04-29 2019-04-29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141A (ko) * 2020-12-16 2022-06-23 청암이앤씨주식회사 결로방지를 위한 제어가 가능한 지중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262B1 (ko) * 2004-12-30 2005-10-24 이성태 캐비티 결로(結露) 방지 시스템
KR100733195B1 (ko) 2006-07-11 2007-06-28 주식회사 동양건설산업 이중바닥 중공층을 이용한 이글루 탄약고 결로감소 시스템
KR100753529B1 (ko) 2006-08-22 2007-09-04 이성태 이그루탄약고 결로(結露)방지 및 제습 시스템
KR100884275B1 (ko) 2007-10-01 2009-02-17 (주)엔학 이그루 탄약고의 결로 방지 시스템
KR101141608B1 (ko) 2011-02-01 2012-05-18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결로방지 탄약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262B1 (ko) * 2004-12-30 2005-10-24 이성태 캐비티 결로(結露) 방지 시스템
KR100733195B1 (ko) 2006-07-11 2007-06-28 주식회사 동양건설산업 이중바닥 중공층을 이용한 이글루 탄약고 결로감소 시스템
KR100753529B1 (ko) 2006-08-22 2007-09-04 이성태 이그루탄약고 결로(結露)방지 및 제습 시스템
KR100884275B1 (ko) 2007-10-01 2009-02-17 (주)엔학 이그루 탄약고의 결로 방지 시스템
KR101141608B1 (ko) 2011-02-01 2012-05-18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결로방지 탄약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141A (ko) * 2020-12-16 2022-06-23 청암이앤씨주식회사 결로방지를 위한 제어가 가능한 지중구조물
KR102483052B1 (ko) * 2020-12-16 2022-12-30 청암이앤씨주식회사 결로방지를 위한 제어가 가능한 지중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2334A (en) Heat recovery ventilator with room air defrosting feature
KR100917374B1 (ko) 외장커튼월을 배기공간으로 활용하는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US4813475A (en) Temperature control means for a self service banking system
EP1688690B1 (en) Flat surface dryer
KR100532188B1 (ko) 환기장치
KR102167857B1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시스템
KR100979213B1 (ko) 공조시스템을 가지는 광고판
KR102056053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탄약고
KR200424420Y1 (ko) 환기기능을 갖는 에어컨 실외기 일체형 창호시스템
KR101080261B1 (ko) 무창돈사용 환기 시스템
KR20080051643A (ko) 창호 환기시스템
WO2019050484A1 (en) VENTILATION DEVICE
CA2967088C (en) Air curtain apparatus
JP557305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US20180328610A1 (en) Air curtain apparatus
JP6225061B2 (ja) 鶏舎の換気構造及び鶏舎の換気方法
US9746200B2 (en) Building ventilator
KR102483052B1 (ko) 결로방지를 위한 제어가 가능한 지중구조물
JP3172984B2 (ja) 農産物等の保冷貯蔵庫
KR20170051117A (ko) 환기구
CN220338802U (zh) 冰箱
BE1030597B1 (nl) Ventilatie-unit met behuizing
KR20070089001A (ko) 창호형 환기장치
KR20060121052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JP2020070965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