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029B1 - 호닝 가이드 - Google Patents

호닝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029B1
KR102056029B1 KR1020190099112A KR20190099112A KR102056029B1 KR 102056029 B1 KR102056029 B1 KR 102056029B1 KR 1020190099112 A KR1020190099112 A KR 1020190099112A KR 20190099112 A KR20190099112 A KR 20190099112A KR 102056029 B1 KR102056029 B1 KR 102056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ing
blade
jig
honing ji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탄욱
Original Assignee
김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탄욱 filed Critical 김탄욱
Priority to KR1020190099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029B1/ko
Priority to PCT/KR2020/006442 priority patent/WO20210295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호닝 가이드는, 다양한 폭과 형상을 지닌 날붙이를 모두 수용하고 고정하여 연마할 수 있고, 연마 시 정확한 각도를 간단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비숙련자라도 간편한 조작으로 전문가와 같이 정확한 각도와 평활도를 가진 날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는 호닝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는, 날붙이를 수용하며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호닝지그; 한 쌍의 호닝지그를 측면에서 관통하는 중심축; 중심축과 평행한 봉 형태로써 일단의 호닝지그에서 타단의 호닝지그를 향하여 돌출되어 호닝지그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호닝지그의 하부의 일단에는 바퀴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휠;을 포함하되, 호닝지그는 날붙이가 삽입되고 수용되는 공간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는 날붙이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중심축은 중앙을 기준으로 나사산이 반대로 형성되고,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호닝지그가 연결바를 따라 상호 접근과 이격이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닝 가이드{Honing Guide}
본 발명은 호닝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날붙이의 날을 연마하는데 있어 날붙이를 고정하고 호닝각도를 조절하며 연마할 수 있는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호닝 가이드는, 상호 간격조절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한 쌍의 호닝지그가 호닝지그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날붙이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날붙이삽입부, 측면이 둥글게 형성된 날붙이도 원활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에서 고정하는 방식의 고정클립, 호닝지그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호닝지그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중심축,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호닝지그가 접근과 이격이 상호 일정한 배치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연결바, 호닝지그가 전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휠, 및 날붙이의 연마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탈부착 형태로 구비되는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양한 폭을 가진 날붙이를 자유롭게 장착하고 원하는 연마각도를 손쉽게 설정하여 전후 이동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균일하게 호닝할 수 있는 호닝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대패, 끌, 칼 등 날이 있는 연장(날붙이)은 장시간 사용 시 날 부분이 마모되며, 재사용을 위해서는 날을 다시 날카롭게 연마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대패, 끌, 칼 등의 날붙이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에서부터, 공작 또는 인테리어, 조각 등 전문분야까지 그 용도가 다양하다. 또한, 인테리어, 조각 등과 같이 전문적인 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패, 끌, 칼 등은 고가이며 제품의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특히,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대패, 끌, 칼 등은 날이 마모될 경우 날을 연마하여 재사용하는 경우가 별로 없지만, 전문 분야에서 사용하는 고가의 대패, 끌, 칼 등은 날이 무뎌지게 되면 연마하여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전문가가 사용하는 날붙이의 날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날의 각도와 면의 평활도가 중요하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연마작업은 숫돌에 날을 대고 물을 뿌려가면서 왕복 이동시켜 수작업으로 날을 세우는 방식이어서 상당한 시간과 고도의 숙련성이 요구된다.
숙련된 작업자를 구하지 못하거나 시간에 쫓기는 경우에는 스스로 날 연마작업을 해야 하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고 연마의 정밀성이 떨어져서 대부분 날붙이를 새로 구입하는 비경제적인 선택을 하게 된다.
한편,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마휠의 표면에 날을 접면시켜 연마하는 방식의 경우, 연마휠이 고가여서 초기의 장비 구입 시, 그리고 연마휠의 마모에 따른 교체 시 상당한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연마의 정밀성이 크게 좌우되는데, 요즘은 숙련된 작업자를 확보하기가 어려울 뿐더러, 그 비용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비숙련자에 의해 날붙이의 날이 크게 손상되는 경우도 많다.
이에 상기 문제점에 근거해 날 연마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폭의 크기가 제각각인 날붙이를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고,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연마장치들도 그 과정이 복잡할뿐더러, 일자형이 아닌 둥근 날의 경우는 고정하는 방법이 없어 연마 자체가 불가해지는 문제점들도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한 날의 연마 각도를 사용 용도에 맞춰 정확하게 연마하고 싶어도 해당 설정 장치가 부족할뿐더러, 있다손 하더라도 호닝각도를 조절하는데 있어 번거롭고 복잡한 과정이 수반되는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날붙이가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이 되고 작업에 이용되어 작업자의 안전상 위험이 존재한데다가, 그 과정이 복잡하거나 상당히 고가의 제품들인 경우가 많아 다양한 활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폭과 형상을 지닌 날붙이를 모두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연마각도를 손쉽게 설정하고 연마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일정한 각도를 지닐 수 있도록 호닝하는 연마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8619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양한 폭을 가진 날붙이을 고정하여 연마할 수 있고, 연마 시 정확한 각도를 간단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비숙련자라도 간편한 조작으로 전문가와 같이 정확한 각도와 평활도를 가진 날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는 호닝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는, 날붙이를 수용하며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호닝지그; 한 쌍의 호닝지그를 측면에서 관통하는 중심축; 중심축과 평행한 봉 형태로써 일단의 호닝지그에서 타단의 호닝지그를 향하여 돌출되어 호닝지그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호닝지그의 하부의 일단에는 바퀴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휠;을 포함하되, 호닝지그는 날붙이가 삽입되고 수용되는 공간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는 날붙이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중심축은 중앙을 기준으로 나사산이 반대로 형성되고,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호닝지그가 연결바를 따라 상호 접근과 이격이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닝지그의 하부의 타단에는 휠의 전면에서 상단 측면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되어, 날붙이가 장착된 호닝지그가 전면을 향하여 기울어진 채 전후 이동을 할 때 바닥과 닿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닝지그는, 호닝지그의 상단에서 호닝지그를 볼트형상으로 관통하여 날붙이삽입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볼트; 고정볼트를 수용하는 복수의 고정홈; 날붙이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중심축을 수용하는 중심홈; 중심홈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연결바를 수용하는 연결홈; 호닝지그의 하부 일단에 내측면으로 반원통형의 패인 공간으로 형성되어 휠을 수용하는 휠하우스; 및 경사부의 표면에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돌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닝지그의 전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되, 각도조절부재는, 판형상으로써 일단은 소정의 각도로 꺾인 형상으로 호닝지그에 결합되는 체결부; 타단은 호닝지그의 전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위치하는 각도부;로 구성되며, 체결부는,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구멍;을 포함하며, 각도부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장홈; 장홈의 측면에 각도 단위가 눈금으로 표시된 각도눈금; 및 장홈에 장착되어 날붙이를 지지하는 조임장치로써 장홈을 따라 이동하며 탈부착이 가능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은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휠이 교체 장착될 수 있도록 호닝지그의 각각의 하단 외측면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호닝 가이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날붙이를 고정하고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소정의 호닝각도로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다.
둘째, 날붙이 고정 시 상단에서 주여주는 형상이기 때문에 일자형 날붙이 뿐 아니라 측면이 둥근 형태의 날붙이도 수용하고 고정하여 연마할 수 있다.
셋째, 날붙이수용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호닝지그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호 접근과 이격이 자유로운 형태이기 때문에 다양한 폭을 가진 날붙이를 장착하여 연마할 수 있다.
넷째,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각도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연마각도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어 비전문가도 전무가처럼 정확한 날의 각도를 연마할 수 있다.
다섯째, 날붙이를 수용하는 복수의 공간과 이를 고정하는 4개 이상의 고정장치를 통해 연마 시 날붙이 고정력이 안정적이고 견고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고 날면의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상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에 날붙이가 장착된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에 둥근 면을 가진 날붙이가 장착된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에 각도조절부재가 장착된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하우스가 없는 호닝 가이드의 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내측에 휠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에 너비조절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상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의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에 날붙이가 장착된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에 둥근 면을 가진 날붙이가 장착된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에 각도조절부재가 장착된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10)는 호닝지그(100), 중심축(200), 연결바(300), 휠(400) 및 각도조절부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호닝 가이드(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호닝지그(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날붙이가 삽입되고 수용되는 공간인 날붙이삽입부(110)를 형성하며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주하며 구성된다.
호닝지그(100)는 두꺼운 판 형상을 지니되 상부 내측면으로 ㄷ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마주하는 한 쌍의 호닝지그(100)는 ㄷ자 형상의 공간이 상호 마주하고 호닝지그(100) 간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되며 내측면에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부가 생기게 된다.
이 공간부가 날붙이삽입부(110)이고, 연마하고자 하는 날붙이가 장착되고 고정되는 공간이다.
날붙이삽입부(110)는 호닝지그(100)의 상단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호닝지그(100) 간 거리의 조정을 통해 폭이 넓은 날붙이도 수용할 수 있다.
즉 날붙이의 일단은 호닝지그(100)의 일단에 수용되고, 날붙이의 타단은 호닝지그(100)의 타단에 수용되며, 날붙이의 중앙 부분은 호닝지그(100) 간 마주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형상이 된다.
날붙이가 날붙이삽입부(110)에서 고정되기 위해 호닝지그(100)의 상단 표면에는 내주연에 나사산(210)이 형성된 고정홈(121)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고정홈(121)은 상단 표면으로부터 날붙이삽입부(110)에 이르기까지 호닝지그(100)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날붙이삽입부(110)에 삽입된 날붙이의 고정을 위해 고정볼트(120)가 고정홈(121)에 삽입되고 날붙이에 접하여 조임으로써 날붙이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닝 가이드(10)는 고정볼트(120)가 날붙이의 상단에서 누르며 조이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날붙이의 고정성을 높일 수 있다.
만일 날붙이삽입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삽입되는 고정장치가 구비된다면 날붙이삽이부(110) 내부에서 날붙이가 상부와 이격되는 공간만큼 지지력이 약화될 수 밖에 없어 고정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고정볼트(120)는 상부에서부터 조이는 방식이므로 날붙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측면이 일자형으로 구성된 날붙이의 경우에는 날붙이삽입부(110)가 직육면체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붙이삽입부(110)의 내측면에 의해 날붙이의 측면이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상부에서 고정볼트(120)가 결합되어 고정시켜줌으로써 날붙이는 날붙이삽입부(110) 내부에서 상부와 측면, 그리고 하부에서 동시에 지지되는 강한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붙이의 측면이 둥근 면을 가진 형태인 경우에는 상부에서 고정볼트(120)가 조이는 작용을 하더라도, 날붙이삽입부(110)의 내측면에 의해 밀착되지 않고 일정 부분 이격되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고정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가령 일본대패의 경우 대패날의 측면이 둥글게 형성된 경우가 많이 존재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측면 고정력을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고정볼트(120)가 상부에서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날붙이삽입부(110)를 향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날붙이는 날붙이삽입부(110) 내부에서 상부와 측면, 하부에서 동시에 지지되는 강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호닝지그(100)의 각각의 하부 일단에는 호닝지그(100)의 이동을 위해 바퀴 형태로 구비되는 휠(4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휠(40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호닝지그(100)의 하부의 일단은 내측면으로 반원통형의 패인 공간으로 형성되는 휠하우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휠(400) 및 휠하우스(160)는 호닝지그(100)의 각각에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휠(400) 및 휠하우스(160)는 호닝지그(100)의 크기 및 작업 용도에 따라 다수의 쌍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휠(400)은 휠하우스(160) 내측면에서 휠고정축(410)을 통해 호닝지그(100)에 결합될 수 있다.
휠고정축(410)은 휠(400)을 호닝지그(100)에 견고하게 장착시킴과 동시에 원활하게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호닝지그(100)의 각각의 하부 타단은 휠(400)의 전면에서 상단 측면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부(111)는 날붙이가 장착된 호닝지그(100)가 전면을 향하여 기울어진 채 날붙이의 연마를 위한 반복 이동을 할 때 바닥과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경사부(111)는 바닥과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 형상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경사부(111)의 표면에는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돌기(130)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부(111)는 체결돌기(130)를 통해 각도조절부재(500)와 결합을 할 수 있다.
한편 호닝지그(100)의 중심부에는 중심축(200)이 구비될 수 있다.
중심축(200)은 한 쌍의 호닝지그(100)를 측면에서 관통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심축(200)은 봉 형상으로써 나사산(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부분이 호닝지그(100)를 관통하는 영역이 된다.
이때 나사산(210)은 중심축(200)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나사산(210)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호닝지그(100)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중심축(200)의 일단과 타단에는 중심축(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220)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220)를 잡고 돌림으로써 중심축(200)이 회전하게 되고, 중심축(200)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호닝지그(100)는 중심축(200)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호 접근과 이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호닝지그(100)의 중심부, 즉 날붙이삽입부(110)의 하단에는 중심축(200)을 수용하는 중심홈(140)이 구성될 수 있다.
중심홈(140)은 중심축(200)이 삽입되고 회전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사산(210)이 형성되며, 중심축(2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축(200)의 회전을 위해 레버(220)를 돌리면 호닝지그(100)는 중심축(140)의 내주연과 중심축(200)의 나사산(210)이 상호 맞물리면서 한 쌍의 호닝지그(10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중심축(200)의 회전에 따른 호닝지그(100)의 원활하고 정확한 이동과 상호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바(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바(300)는 중심축(200)과 평행한 봉 형태로써 일단의 호닝지그(100)에서 타단의 호닝지그(100)를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지닌다.
따라서 연결바(300)는 한 쌍의 호닝지그(100)를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중심축(200)의 회전에 따라 호닝지그(100)의 접근과 이격이 이뤄질 때 호닝지그(100) 상호 간 설정된 위치의 균형과 원활한 이동이 이뤄지게끔 가이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호닝지그(100)가 중심축(200)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연결바(300)가 호닝지그(100)의 회전을 방지하고 형태를 유지해 주기 때문이다.
연결바(300)는 단일 또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두 개의 연결바(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바(300)가 호닝지그(100)에 수용되기 위해 호닝지그(100)에는 연결바(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결홈(15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연결홈(150)은 중심홈(140)의 양측면에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바(300)의 표면과 연결홈(150)의 내주연은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바(300)와 연결홈(150)은 호닝지그(100)가 중심축(200)에 의해 상호 접근과 이격이 이뤄질 때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동시에 호닝지그(100)의 이동이 반복되더라도 그 형태가 균형을 잃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해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호닝 가이드(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도조절부재(500)는 얇고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써 체결부(520)와 각도부(510)로 구성된다.
각도조절부재(500)의 일단은 소정의 각도로 꺾인 형상으로 호닝지그(100)의 경사부(111)에 결합되는 체결부(520), 타단은 호닝지그(100)의 전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위치하는 각도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부(520)의 꺾인 기울기는 경사부(111)의 기울기에 대응되도록 설정되며, 각도부(510)는 호닝지그(100)의 길이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는 형상으로 설정된다.
즉 각도조절부재(500)는 호닝지그(100)에 장착된 날붙이와 평행한 각도를 이루며 장착되며, 날붙이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형태가 된다.
각도조절부재(500)는 호닝지그(100)에 손쉽게 탈부착 되며, 날 연마작업을 하기 전에 연마 각도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호닝지그(100)에 각도조절부재(500)를 부착한 후 날붙이를 장착하여 각도조절부재(500)에 표시된 각도 표시에 따라 날의 위치를 맞추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연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각도조절부재(500)는 호닝지그(100)에 원활히 결합되기 위해 체결부(520)에 체결구멍(5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구멍(521)은 호닝지그(100)의 경사부(111)에 형성된 체결돌기(130)에 대응되도록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체결돌기(130)와 체결구멍(521)의 조합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인접하여 위치하지 않고 상호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크기 또한 상호 간에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도부(510)의 상단 표면 좌우측면에는 날붙이의 연마 각도 설정을 위해 각도 단위가 눈금으로 표시된 각도눈금(511)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날붙이가 호닝지그(100)의 전면으로 돌출이 많이 될수록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므로 날카로운 날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날붙이가 호닝지그(100)의 전면에 돌출이 적게 될수록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커지므로 상대적으로 무딘 날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도눈금(511)은 호닝지그(100)에서 멀어질수록 각도의 설정 값이 커지고 무딘 날을 의미하며, 호닝지그(100)에 가까울수록 각도의 설정 값이 작아지고 예리한 날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각도눈금(511)에 맞춰 날붙이의 끝단을 조절함으로써 연마 각도를 손쉽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날붙이의 연마 각도를 설정하기 위해 각도부(510) 위에서 날붙이를 이동을 하며 조절을 하는 과정에는 날붙이가 고정볼트(120)에 의해 호닝지그(100)에 고정된 상태가 아닌 상황이 된다.
따라서 각도눈금(511)에 맞춰 정확하게 연마 각도를 설정하여 연마를 하기 위해서는 고정볼트(120)로 조이는 과정을 하기 전에 설정된 각도눈금(511)에 맞춰 날붙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각도부(510)는 중앙에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장홈(512)이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고, 장홈(512)을 따라 이동하며 날붙이의 끝단을 지지하는 조임장치로써 스토퍼(513)가 포함될 수 있다.
스토퍼(513)는 장홈(512)을 따라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조임과 풀림이 원활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스토퍼(513)는 장홈(512)의 상단에서 삽입되는 스토퍼볼트(513a), 장홈(512)의 하단에서 스토퍼볼트(513a)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스토퍼너트(513b), 그리고 스토퍼볼트(513a)와 스토퍼너트(513b)가 각도부(510)와 맞닿는 위치에 완충 및 지지수단으로 구비되는 스토퍼블록(513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10)의 사용예를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호닝지그(100) 간의 간격을 충분히 넓혀준다.
이를 위해 중심축(200)의 레버(220)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호닝지그(100)는 중심축(200)의 중앙을 기점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멀어진다.
호닝지그(100)의 상호 배치 각도 등 구성형태는 복수의 연결바(300)를 따라 움직이므로 변형되지 않고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도조절부재(500)의 체결부(520)를 경사부(111)에 접하게 하면서 체결구멍(521)과 체결돌기(130)를 맞춰 결합시킨다.
이때 각도조절부재(500)의 각도부(510)에는 스토퍼(513)가 장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연마하고자 하는 날붙이를 날붙이삽입부(110)에 삽입한다.
연마하고자 하는 날의 각도에 따라 날붙이의 끝단을 각도눈금(511)에 맞추고 스토퍼(513)를 조임으로써 날붙이 끝단을 각도조절부재(500)에 지지하고 고정시킨다.
날붙이가 각도눈금(511)에 설정되고, 스토퍼(513)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호닝지그(100)의 고정볼트(120)를 조여서 날붙이를 날붙이삽입부(110) 내에 강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날붙이가 측면이 둥근 형태라면 복수의 고정볼트(120)가 날붙이삽입부(110)의 외측면에서 삽입되어 조여주는 과정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날붙이의 각도조절 및 고정이 완료되면 각도조절부재(500)는 호닝지그(100)에서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호닝지그(100)를 연마재 위에 위치하고 날붙이를 연마재에 닿도록 기울인 후 전후 반복이동을 통해 날붙이를 연마한다.
이상의 동작 순서는 일 실시예에 따르며 사용자의 작업환경이나 사용 편리성, 기타 다양한 상황에 따라서 사용하는 절차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호닝 가이드(10)에 휠하우스(160)가 없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하우스(160)가 없는 호닝 가이드(10)의 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호닝 가이드(10)에 휠하우스(160)가 구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휠(400)이 호닝 가이드(10)의 하단 외측면에 부착되어 돌출된 형태를 지닌다.
기존 일 실시예에 있어 휠(400)은 휠하우스(160) 내에 수용되어 호닝지그(100)에 절반 정도 파묻힌 형상이었던 것에 반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휠(400)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호닝 가이드(10)는 무게 중심이 바깥쪽으로 분산되면서 균형감과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마하고자 하는 날붙이가 여타 날붙이보다 더 무겁거나, 더 넓은 형태인 경우에 기존 일 실시예의 호닝 가이드(10) 대비 보다 안정성 있고 적은 힘으로도 연마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있어서 휠(400)은 휠하우스(160) 없이 독립적으로 호닝지그(100)에 부착된 형태이므로, 휠(400)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휠(400)을 교체 장착할 수 있다.
즉 휠고정축(410)을 풀고 휠(400)을 제거한 후 사이즈가 더 큰 한 쌍의 휠(400)을 교체 장착할 수 있다.
휠(400)이 커지면 날붙이가 연마재와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휠(400)이 커지면 날붙이가 호닝지그(100)의 전면에 돌출될 수 있는 영역도 더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휠(400)의 크기 조절에 따라 본 발명의 호닝 가이드(10)에 장착하여 연마할 수 있는 날붙이의 종류가 그만큼 더 다양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휠(400)이 커지면 각도조절부재(500)의 각도눈금(511)의 설정값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각도부(510)의 일측면에 표시된 각도눈금(511)은 표준 사이즈의 휠(400)에 적용되는 각도눈금(511)으로 표시하고, 각도부(510)의 타측면에 표시되는 각도눈금(511)은 변형 사이즈의 휠(400)에 적용될 수 있도록 기존 각도눈금(511) 대비 비례값으로 표시되어 사이즈의 변화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호닝 가이드(10)의 내측면으로 휠하우스(160)가 형성되고 휠(400)이 호닝 가이드(10)의 내측에 장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10)의 내측에 휠(400)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휠하우스(160)가 호닝지그(100)의 내측으로 형성되고 휠(400)이 그 안에 장착된 형태에서는 호닝지그(100)의 무게중심이 중앙으로 집중되는 구조를 지닌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10)는 날붙이가 얇거나, 가벼운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얇거나 가벼운 날붙이를 무게중심이 넓게 형성된 호닝 가이드(1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힘이 가해질 수 있어 보다 정교하고 미세한 연마가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작업공간이 좁거나 소폭의 이동만으로 연마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무게중심이 중앙으로 집중되어 안정화 된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10)는 가볍거나 얇은 날붙이를 사용하거나, 좁고 미세한 동작으로 연마를 해야하는 작업 환경 등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에 따라 호닝 가이드(10)에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부재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날붙이의 일단은 얇고 타단은 굵은 형상으로 구성된 끌과 같은 경우, 즉 날붙이의 너비가 일정하지 않은 날붙이의 경우에도 고정되어 호닝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너비조절부재(600)가 호닝 가이드(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에 따른 호닝 가이드(10)에 너비조절부재(600)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너비조절부재(600)는 한 쌍의 호닝지그(100)의 날붙이삽입부(110)에 각각 수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직육면체의 바(bar)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너비조절부재(600)의 일단은 날붙이삽입부(110)에 수용되어 날붙이의 너비를 조절하고 고정시키는 너비고정부(610)로 구성될 수 있다.
너비조절부재(600)의 타단은 직각으로 굽어진 형상으로써 날붙이삽입부(110)의 외측면 호닝지그(100)에 걸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크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너비조절부재(600)는 날붙입삽입부(600)의 경사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너비고정부(610)와 끝부분이 굽어져 호닝지그(100)의 외측면에 걸쳐지는 링크부(620)로 구성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너비조절부재(600)는 날붙이삽입부(600)에 삽입된 후 날붙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날붙이의 형상에 따라 너비를 조절하게 된다.
가령 날붙이의 형상이, 연마재에 접하여 호닝이 이뤄지는 일단은 얇고 손잡이에 부착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굵어지는 경우에, 한 쌍의 너비고정부(610)가 이루는 너비는 날붙이의 일단 부위에서는 좁게 형성되고, 날붙이의 타단 부위에서는 넓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날붙이는 한 쌍의 너비조절부재(600)의 중간에 끼이는 형상으로 위치가 설정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볼트(120)가 호닝지그(100)의 상부와 측면에서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을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날붙이가 얇은 일단에서는 너비고정부(610) 간의 간격이 좁으므로 측면에서 삽입되는 고정볼트(120)는 깊게 인입되어 너비고정부(610)를 길게 밀어넣으면서 날붙이를 고정시킨다.
또한 날붙이가 넓은 타단에서는 너비고정부(610) 간의 간격이 넓으므로 측면에서 삽입되는 고정볼트(120)는 짧게 인입되어 너비고정부(610)를 짧게 밀어넣으면서 날붙이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부에서 삽입되는 고정볼트(120)는 너비고정부(610)를 강하게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너비고정부(610)는 날붙이를 너비에 맞게 강하게 지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부위마다 너비가 다르게 형성된 날붙이도 본 발명의 호닝 가이드(10)에서는 너비조절부재(600)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원활하게 호닝이 이뤄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호닝 가이드
100 : 호닝지그
110 : 날붙이삽입부
111 : 경사부
120 : 고정볼트
121 : 고정홈
130 : 체결돌기
140 : 중심홈
150 : 연결홈
160 : 휠하우스
200 : 중심축
210 : 나사산
220 : 레버
300 : 연결바
400 : 휠
410 : 휠고정축
500 : 각도조절부재
510 : 각도부
511 : 각도눈금
512 : 장홈
513 : 스토퍼
513a : 스토퍼볼트
513b : 스토퍼너트
513c : 스토퍼블록
520 : 체결부
521 : 체결구멍
600 : 너비조절부재
610 : 너비고정부
620 : 링크부

Claims (5)

  1. 날붙이를 수용하며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호닝지그;
    한 쌍의 호닝지그를 측면에서 관통하는 중심축;
    중심축과 평행한 봉 형태로써 일단의 호닝지그에서 타단의 호닝지그를 향하여 돌출되어 호닝지그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및
    호닝지그의 하부의 일단에는 바퀴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휠;을 포함하되,
    호닝지그는 날붙이가 삽입되고 수용되는 공간으로 내측면에 형성되는 날붙이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중심축은 중앙을 기준으로 나사산이 반대로 형성되고,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호닝지그가 연결바를 따라 상호 접근과 이격이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닝 가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호닝지그의 하부의 타단에는 휠의 전면에서 상단 측면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되어, 날붙이가 장착된 호닝지그가 전면을 향하여 기울어진 채 전후 이동을 할 때 바닥과 닿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호닝 가이드.
  3. 제 2항에 있어서,
    호닝지그는, 호닝지그의 상단에서 호닝지그를 볼트형상으로 관통하여 날붙이삽입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볼트; 고정볼트를 수용하는 복수의 고정홈; 날붙이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중심축을 수용하는 중심홈; 중심홈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연결바를 수용하는 연결홈; 호닝지그의 하부 일단에 내측면으로 반원통형의 패인 공간으로 형성되어 휠을 수용하는 휠하우스; 및 경사부의 표면에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호닝 가이드.
  4. 제 3항에 있어서,
    호닝지그의 전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되,
    각도조절부재는, 판형상으로써 일단은 소정의 각도로 꺾인 형상으로 호닝지그에 결합되는 체결부; 타단은 호닝지그의 전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위치하는 각도부;로 구성되며,
    체결부는,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구멍;을 포함하며,
    각도부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장홈; 장홈의 측면에 각도 단위가 눈금으로 표시된 각도눈금; 및 장홈에 장착되어 날붙이를 지지하는 조임장치로써 장홈을 따라 이동하며 탈부착이 가능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닝 가이드.
  5. 제 1항에 있어서,
    휠은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휠이 교체 장착될 수 있도록 호닝지그의 각각의 하단 외측면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닝 가이드.
KR1020190099112A 2019-08-13 2019-08-13 호닝 가이드 KR102056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112A KR102056029B1 (ko) 2019-08-13 2019-08-13 호닝 가이드
PCT/KR2020/006442 WO2021029518A1 (ko) 2019-08-13 2020-05-15 호닝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112A KR102056029B1 (ko) 2019-08-13 2019-08-13 호닝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029B1 true KR102056029B1 (ko) 2019-12-13

Family

ID=6884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112A KR102056029B1 (ko) 2019-08-13 2019-08-13 호닝 가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6029B1 (ko)
WO (1) WO20210295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518A1 (ko) * 2019-08-13 2021-02-18 김탄욱 호닝 가이드
KR200497490Y1 (ko) * 2023-04-28 2023-11-24 한경환 길이조절식 캠핑용품 걸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96A (ja) * 1995-07-10 1997-02-04 Shoji Shirai 鉋刃の研磨具
KR101786191B1 (ko) 2015-08-20 2017-10-17 조혁상 날 연마각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5422A (en) * 1973-06-01 1976-08-11 Stanley Tools Ltd Blade holder for use when sharpening and/or honing
ATE545486T1 (de) * 2003-04-17 2012-03-15 Valley Tools Ltd Lee Honführung
KR101499538B1 (ko) * 2013-03-26 2015-03-09 김권중 끌, 대패 및 날 연마 가이드
US20140342644A1 (en) * 2013-05-17 2014-11-20 Tom Hiroshi Hasegawa Blade Sharpening Stand
KR102056029B1 (ko) * 2019-08-13 2019-12-13 김탄욱 호닝 가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96A (ja) * 1995-07-10 1997-02-04 Shoji Shirai 鉋刃の研磨具
KR101786191B1 (ko) 2015-08-20 2017-10-17 조혁상 날 연마각도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518A1 (ko) * 2019-08-13 2021-02-18 김탄욱 호닝 가이드
KR200497490Y1 (ko) * 2023-04-28 2023-11-24 한경환 길이조절식 캠핑용품 걸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9518A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029B1 (ko) 호닝 가이드
US2888965A (en) Mountings for a portable electric motor
US55825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pening a cutting tool
US20090223064A1 (en) Tool with exchangeable piece
US9302405B2 (en) Planer accessory tool for an oscillating power tool
EP1987916B1 (en) A grinding machine and a grinding jig therefore
US4621871A (en) Quickly replaceable cutter socket
US7549910B2 (en) Blade sharpening holder
US3744349A (en) Chain saw sharpener
US9168640B2 (en) Holder for sharpening and faceting
US4603717A (en) Sliding dovetail template
EP0471490B1 (en) A multiple purpose tool grinding device
US7115027B2 (en) Grinding tool for sharpening work pieces
US7131898B2 (en) Adjustable surface positioning guide for a rotary hand-held tool
US4498360A (en) Sharpener for a spreading tool
US6021771A (en) Surfacing machine with "strip-sert" cutter assemblies
JP2005519777A (ja) 交換可能に保持された超硬合金板を有する、ナイフ等刃類の手動研ぎ具
KR100474637B1 (ko) 공구 연삭기
US6263929B1 (en) Dowel maker
JP2019084621A (ja) 研磨装置及び研磨システム
US10512978B2 (en) Blade and blade attachment system for an oscillating tool
US6386068B1 (en) Apparatus for sharpening/bevelling of ski or snowboard edges
KR102025515B1 (ko) 조각도 연마 장치
US555228A (en) Spokeshave and rabbet-plane
EP0008798B1 (en) A cutterhead for a portable power pl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