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896B1 -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5896B1 KR102055896B1 KR1020170116205A KR20170116205A KR102055896B1 KR 102055896 B1 KR102055896 B1 KR 102055896B1 KR 1020170116205 A KR1020170116205 A KR 1020170116205A KR 20170116205 A KR20170116205 A KR 20170116205A KR 102055896 B1 KR102055896 B1 KR 102055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ing plate
- molding
- printer
- guide rail
- bed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29C64/129—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14—Doctor bla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79—Handl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objects, e.g. using robo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bo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형 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을 갖는 조형판, 상기 조형판의 상호 평행하는 2개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조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일측 단부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형판으로부터 완성된 조형물의 분리가 용이한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사고 등에 의해 두개골, 광대뼈, 턱뼈, 치아 등의 골체가 부분적으로 결손된 경우, 그 결손부에 인공 재료로 구성되는 인공 보형물 및 인공 보형물용 지지 부재를 삽입하게 된다.
이러한 보형물은 대표적으로 임플란트를 꼽을 수 있다. 임플란트란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차원 CT에 의해 결손부를 갖는 골체의 잔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잔존부에 해당하는 형상의 모델을 제작한다.
이후, 상기 모델의 뼈 결손부에 지점토 등을 끼워 넣어, 뼈 결손부에 상당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고, 지점토 등으로 형성한 뼈 결손부를 수지 재료 등으로 본뜸으로써, 암형을 제작하고, 이러한 암형을 이용하여 수형을 제작한다.
이후, 상기 수형과 수산화 인회석의 덩어리로 구성되는 블록을 기초로 하여 상기 블록을 가공함으로써 요구되는 형상의 임플란트를 제작한다.
하지만, 임플란트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 충분한 치수 정밀도로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복잡한 형상의 공극을 갖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임플란트 성형이 불가능하다.
최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3D 프린터를 이용한 보형물 제조 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보형물 제조 장치로서,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DLP(Digital Light Processing), MJM(Multi Jet Modeling),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DMT(Laser-aided Direct Metal Tooling), LOM(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PolyJet(Photopolymer Jetting Technology) 및 3DP(Three Dimensional Printing) 등의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 표면 조도가 우수한 장점을 가진 DLP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DLP방식은 프로젝터의 광원에서 광을 이용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가면서 프린팅을 하는 방식이다. 즉, 프로젝터에서 컬러 필터를 제거하고, 광이 발광되게 하며, 화면에는 단층으로 슬라이싱된 화면을 하나씩 비추게 되면 조사된 광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부분만 경화시키고 층 단위로 쌓아가면서 조사하고 프린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조형이 완료된 후 조형물과 조형판은 밀착되어 있어 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칼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분리시킨다. 이때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다칠 위험이 있고, 완성된 조형물이 손상 될 수 있으며, 잘 분리되지 않아 상당한 힘을 가해야 한다.
또한 금속과 금속이 부딪치게 되어 조형판 밑면이 손상을 입거나, 도색이 벗겨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누적될 시 조형의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형판 분리 시 표면 손상을 방지하고 신속하고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는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형 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을 갖는 조형판, 상기 조형판의 상호 평행하는 2개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조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일측 단부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미끄럼 부재, 상기 각각의 미끄럼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형판의 인접하는 외측 모서리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포크부,상기 한 쌍의 포크부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중간 연결부 및 상기 중간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조형판의 부착면에 접촉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주면에 면접촉되도록 소정의 부피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미끄럼 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측 단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미끄럼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폐쇄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조형판의 부착면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중간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중간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부착면 측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포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완료된 조형물의 조형판으로부터의 분리 작업이 정밀해진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던 별도의 탈착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조형판의 자체 구조만으로 쉽게 조형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가 승강 수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가 승강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일측의 포크부 및 블레이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스크레이퍼가 조형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가 승강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일측의 포크부 및 블레이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스크레이퍼가 조형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가 승강 수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가 승강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일측의 포크부 및 블레이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스크레이퍼가 조형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는 조형판(110), 가이드 레일(120) 및 스크레이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레이퍼(130)는 미끄럼 부재(133), 포크부(132), 중간 연결부(131) 및 블레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100)의 조형판(110)은 그 하측에 배치되는 수용부(300)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300)의 내부에는 액상 수지가 충전될 수 있으며, 특히 광경화성 수지가 수용될 수 있고,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부(300)에 충전되는 액상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광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조형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조사 범위 또는 조사각을 조절하면서 수용부(300) 내부의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광을 조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적외선(IR), 가시광선(VR), 자외선(UV)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은 자외선(UV)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다른 가시광선에 비하여 파장이 짧기 때문에 자외선을 광원으로 하는 위상 변조 노광 헤드를 갖추는 것으로 미세한 화소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3차원 구조를 인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자빔(Electron Beam: EB)이나 가시광선과 같이 어떠한 영역의 광도 사용할 수 있다.
수용부(300)의 하면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바닥부(310)가 형성되고, 바닥부(310)는 상기 광원과 근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외부의 빛이 수용부(30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광경화성 수지는 주로 UV 영역의 광을 조사받으면 가교반응 등을 통해 모노머(monomer)에서 폴리머(polymer) 구조로 변환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다이아조계, 아자이드계, 아크릴산계, 폴리에스터계, 에폭시계 등이 있으며, 입체 조형물의 요구 강도 등을 감안하여 그에 맞는 물성을 가진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액상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조형재료를 조성하는 경우, 광경화의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별도의 증감제, 광개시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자외선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300) 내부에 수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영역의 광에 반응하여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 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이 전자빔(E-Beam)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전자빔 경화수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가시광선의 영역에 해당되는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통해 경화되는 경화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 및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광경화성 수지는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형판(110)의 부착면(111)에는 조형 대상물이 부착될 수 있으며, 조형 대상물이 수용부(300)의 액상 수지 내에서 단위 성형층으로 경화될 때 조형 대상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될 때마다 후술하는 승강 수단(200)을 이용하여 조형판(110)에 배치된 조형 대상물의 단위 성형층을 적층시킬 수 있다. 이때, 조형 대상물이 조형판(1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 구조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 수단(200)은 조형판(110)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고, 조형판(110)은 연결 브래킷(210)을 통하여 승강 수단(2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브래킷(210)은 조형판(110)이 승강 수단(200)과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볼트 결합, 억지끼움 또는 후크 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승강 수단(200)은 조형 대상물의 일측 표면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조형 대상물의 형상에 따른 액상 수지의 경화가 완료될 때마다 조형판(110)을 이동시키되,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자가 인쇄하고자 하는 3차원 구조의 높이 방향(z방향)을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가까워지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수단(200)에 의해 조형판(110)이 z축 방향을 따른 양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수용부(300) 내에서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에는 경화되지 않은 광경화성 수지들이 재충전되고, 이후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됨으로써 3차원 구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3차원 인쇄는 광이 조사되는 2차원 평면에 대응되도록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되,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종국에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3차원 구조를 인쇄하게 되므로, 조형판(110)의 부착면(111)에 배치된 조형 대상물의 하면이 상기 광원을 마주보도록 위치함으로써 수용부(300) 내부의 광경화성 수지를 2차원 평면으로 경화시킬 수 있게 된다.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발생하는 영역은 상기 광원에 근접한 영역, 즉 수용부(300)의 하면에 근접한 영역, 더 바람직하게는 수용부(300) 내부의 최하면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0)은 조형판(110)의 상호 평행하는 2개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조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0)은 후술하는 스크레이퍼(130)의 한 쌍의 미끄럼 부재(133)가 그 내부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레일(1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의 내측면에는 미끄럼 부재(133)가 가이드 레일(120)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폐쇄되는 스토퍼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타단은 미끄럼 부재(133)가 조형판(110)의 가이드 레일(120) 내측으로 자유롭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것은, 가이드 레일(120)의 일단을 통해 미끄럼 부재(133)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미끄럼 부재(133)가 조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레일(120)의 타단에 도달하면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이드 레일(120)의 내주면은 각각의 미끄럼 부재(13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면 접촉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끄럼 부재(133) 및 가이드 레일(120)의 내주면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가이드 레일(12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을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스크레이퍼(13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간 연결부(131), 중간 연결부(13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형성되되, 조형판(110)의 인접하는 외측 모서리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포크부(132), 포크부(132)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되 가이드 레일(120)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도록 결합되는 미끄럼 부재(133) 및 중간 연결부(131)로부터 연장되되 그 단부가 조형판(110)의 부착면(111)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연결부(131)는 조형판(110)의 부착면(111)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포크부(132)는 조형판(110)의 인접하는 외측 모서리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포크부(132)는 조형판(110)의 두께를 감싸는 방향으로 절곡되되, 조형판(110)의 부착면(111) 측으로 절곡되도록 한다.
포크부(132)는 각각 연장되는 일단에 미끄럼 부재(133)를 구비하고, 미끄럼 부재(133)가 가이드 레일(12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릿(120a)을 통해 가이드 레일(12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간 연결부(131)는 양측의 포크부(132)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양측의 포크부(132)가 조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중간 연결부(131)는 양측의 포크부(132)가 동시에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포크부(13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부(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135)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조형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가압하면 양측의 포크부(132)가 조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중간 연결부(131)에 의해 양측의 포크부(132)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며 이동하게 된다.
블레이드(134)는 중간 연결부(131)로부터 연장되되, 조형판(110)의 부착면(111)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134)는 중간 연결부(131)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134)의 단부가 첨예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134)가 조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조형물 및 조형판 간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블레이드(134)가 중간 연결부(131)로부터 멀어질수록 부착면(111) 측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 조형물 및 조형판 간의 분리가 더욱 용이해지도록 소정 각도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형판(110)의 부착면(111)에서 조형 대상물(P)의 경화가 완료된 경우, 조형판(110)을 승강 수단(200)으로부터 분리하고 반전시킨다.
이후,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130)를 조형판(110)의 가이드 레일(1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결합시킨다. 여기서, 작업자는 스크레이퍼(130)의 파지부(135)를 손으로 잡고 조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하면 미끄럼 부재(133)가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됨으로써 스크레이퍼(130)가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130)의 블레이드(134)에 의해 조형 대상물(P)이 조형판(110)의 부착면(1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국에는 스크레이퍼(130)의 미끄럼 부재(133)가 가이드 레일(120)의 스토퍼부(121)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된 후 이동이 제한되며,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에 의하면 조형판(110)의 부착면(111)에서 조형 대상물의 경화가 완료되는 경우, 파지부(135)를 이용하여 조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조형판(110)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포크부(132)가 조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중간 연결부(131)에 형성된 블레이드(134)가 부착면(111)에 형성된 조형물을 분리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한 분리 작업에 비하여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조형판
120: 가이드 레일
130: 스크레이퍼
131: 중간 연결부
132: 포크부
133: 미끄럼 부재
134: 블레이드
135: 파지부
120: 가이드 레일
130: 스크레이퍼
131: 중간 연결부
132: 포크부
133: 미끄럼 부재
134: 블레이드
135: 파지부
Claims (8)
-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로서,
조형 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을 갖는 조형판;
상기 조형판의 상호 평행하는 2개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조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일측 단부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고,
조형시에는 상기 조형판의 부착면이 수지가 수용된 수용부를 향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조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조형판이 3D 프린터의 승강 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반전된 후 상기 조형 대상물이 스크레이퍼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미끄럼 부재;
상기 각각의 미끄럼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형판의 인접하는 외측 모서리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포크부;
상기 한 쌍의 포크부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중간 연결부; 및
상기 중간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조형판의 부착면에 접촉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미끄럼 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부재는 슬릿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측 단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미끄럼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폐쇄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조형판의 부착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중간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중간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부착면 측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포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205A KR102055896B1 (ko) | 2017-09-11 | 2017-09-11 |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205A KR102055896B1 (ko) | 2017-09-11 | 2017-09-11 |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9094A KR20190029094A (ko) | 2019-03-20 |
KR102055896B1 true KR102055896B1 (ko) | 2019-12-16 |
Family
ID=6603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6205A KR102055896B1 (ko) | 2017-09-11 | 2017-09-11 |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589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173802A1 (en) * | 2021-10-30 | 2023-05-03 | Zortrax S.A. | A mounting system of a platform and a resin vat for a uv lcd 3d prin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49551A (zh) * | 2019-09-26 | 2021-03-26 | 广州黑格智造信息科技有限公司 | 脱模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19814A (zh) * | 2014-11-26 | 2016-06-01 | 成都美律科技有限公司 | 一种3d打印机工作台 |
KR101772997B1 (ko) * | 2016-07-14 | 2017-08-31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3d 프린팅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4554A (ko) | 2014-09-22 | 2016-03-30 | 최읍제 | 3차원 프린터의 배드에서 입체 조형물 분리 장치 및 방법 |
-
2017
- 2017-09-11 KR KR1020170116205A patent/KR1020558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19814A (zh) * | 2014-11-26 | 2016-06-01 | 成都美律科技有限公司 | 一种3d打印机工作台 |
KR101772997B1 (ko) * | 2016-07-14 | 2017-08-31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3d 프린팅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173802A1 (en) * | 2021-10-30 | 2023-05-03 | Zortrax S.A. | A mounting system of a platform and a resin vat for a uv lcd 3d printer |
WO2023072689A1 (en) * | 2021-10-30 | 2023-05-04 | Zortrax S.A. | A recurrent mounting system for a uv lcd 3d prin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9094A (ko) | 2019-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29832B1 (en) | Additive manufacturing device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sacrificial mould for creating an object | |
KR101772999B1 (ko) | 3d 프린팅 장치 | |
US20170144874A1 (en) | Unpacking system for use in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 dimensional work pieces | |
US10471653B2 (en) | Method for producing silicone elastomer parts | |
KR102648208B1 (ko) | 적층 제조 시스템 및 적층 제조 방법 | |
US10213278B2 (en) | Method and tools for indirect bracket positioning | |
US748164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3-D objects | |
CN109561948B (zh) | 用增材制造制成的模具通过模制制造可摘的假牙的方法 | |
KR102055896B1 (ko) | Dlp 방식의 3d 프린터용 베드 어셈블리 | |
CN205167579U (zh) | 基于立体光固化技术的3d打印机 | |
JP2018530457A (ja) | 積層造形装置とシステム、モジュラービルドプラットフォームとビルドプラットフォームユニット | |
JP2019514722A (ja) | Lcd方式3dプリンター | |
JP6964125B2 (ja) | 光硬化性材料から物体を漸進的にビルドアップ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EP3554792B1 (en) | Hybridized light sources | |
CN112265262B (zh) | 一种光固化型3d打印装置 | |
EP2918387A1 (en) | Method for molding interior and exterior members of vehicles | |
EP3168033B1 (en) | Leveling slider exchange arrangement for use i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work pieces | |
US961590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dental component | |
JP2010005392A (ja) | コンピュータ誘導人工歯根手術のために使用するサージカルテンプレートを製造する方法 | |
CN118369066A (zh) | 正畸矫治器的制造和质量评估系统 | |
KR101772997B1 (ko) | 3d 프린팅 장치 | |
KR101839084B1 (ko) | 레진 수용 장치 및 3차원 프린터 | |
KR20190115528A (ko) | Dlp방식 3d 프린터의 구동 제어방법 | |
JP2004042545A (ja) | 光固化着色造形方法及び装置 | |
CN112384358A (zh) | 由能够在受到电磁辐射的冲击时固化的第一可固化材料和第二可固化材料形成第一三维物体和第二三维物体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