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742B1 - 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742B1
KR102055742B1 KR1020170175976A KR20170175976A KR102055742B1 KR 102055742 B1 KR102055742 B1 KR 102055742B1 KR 1020170175976 A KR1020170175976 A KR 1020170175976A KR 20170175976 A KR20170175976 A KR 20170175976A KR 102055742 B1 KR102055742 B1 KR 10205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al
user
server
eating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4539A (en
Inventor
민경필
박정운
최인수
박철영
Original Assignee
(주)휴레이포지티브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레이포지티브,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휴레이포지티브
Priority to KR102017017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742B1/en
Publication of KR2019007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5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서버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알람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the serve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 Collecting, by the serv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receiving a meal response signal for the user's eat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Determining, by the server,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eating out, the serve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And generating, by the server, the catering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atering selection menu.

Description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사와 관련하여 주의가 요구되는 대상자에 대한 식사 패턴을 분석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viding a health care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analyzing a meal pattern for a subject in need of attention in relation to a meal to provide a health care service.

최근에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만성질병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수단으로 유헬스가 등장하였고, 나아가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 콘텐츠를 통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이처럼 유헬스 개념의 확대로 인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획일적인 서비스가 아닌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Recently, U-Health has emerged as a means fo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and complications, and further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llow users to receive services through health care contents anytime and anywhere.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u-health,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contents are provided to a large number of users, not uniform service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providing services that can satisfy users.

특히, 당뇨병을 포함한 만성질환자는 어떤 음식이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 아는게 중요하다. 당뇨와 관련하여, 당뇨병 치료의 목표는 당뇨병의 진행을 정지시키는 것과 당뇨병에 동반하는 합병증의 발생 및 진전을 예방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식사요법, 운동요법, 인슐린 요법과 내복약 치료 등을 실시하게 되며, 특히 실제 치료시에는 공복시의 혈당 데이터, 당부하시험 데이터 및 요당 데이터 등을 항상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된다.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for people with chronic conditions, including diabetes, to know what foods affect their health. With regard to diabetes, the goals of diabetes treatment are to stop the progress of diabetes and to prevent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omplications accompanying diabetes. To this end, meal therapy, exercise therapy, insulin therapy and oral medicine treatment are carried out. In particular, during the actual treatment, fasting blood glucose data, glucose load test data, and urine glucose data are always monitored to select an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이와 같이 당뇨병 치료관리의 최우선은 혈당관리이지만 혈압, 체중, 지질수치도 당뇨병과 그에 동반하는 합병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되며, 상기의 요소들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건강관리방법으로 식사요법이 행해지고 있다.As such, the first priority of diabetes treatment management is blood sugar management, but blood pressure, weight, and lipid levels are also important factors for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and diet therapy is performed as a health management method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above factors. have.

종래에 당뇨환자의 개별적인 당뇨관리방법은 병원에서의 진료후에 당뇨수첩 을 이용하여 혈당, 혈압, 체중 및 지질수치 등을 기입한 후 그 변화 추이를 관찰하는 것으로, 당뇨관리의 중요한 요소인 혈당, 혈압, 체중 및 지질수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당뇨환자의 건강관리방법인 식사요법이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여 당뇨병의 치료는 물론, 그에 동반되는 합병증이 효과적으로 예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the individual diabetes management method of the diabetic patient is to record the blood sugar, blood pressure, weight, and lipid values by using the Diabetes Handbook after the treatment in the hospital, and then observe the change trends. , And there was difficulty in systematic management and analysis of body weight and lipid levels. Therefore, dietary therapy, which is a health management method for diabetic patients, was not systematically and intentionally progressed. There is a problem.

특히, 현대인의 불규칙한 식습관은 영양상태의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외식의 경우 평소 섭취하는 열량보다 더 많은 열량을 섭취하거나 건강에 해로운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아 영양상태 불균형에 차지하는 영향이 크다. 많은 현대인들이 자신의 식습관의 어떤 부분이 잘못되어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알기 위해 영양상담을 받기 위한 병원 방문은 사실상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가정 내에서 식사하는 것이 아닌 외식을 하는 경우에는 체계적인 식사요법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10-2010-0008464, 공개일:2010년 1월 26일)를 참고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irregular eating habits of modern people often have an unbalanced nutritional status, and in particular, eating out more calories or eating unhealthy foods than eating in general when eating out has an effect on nutritional imbalances. Big. Many modern people are unaware of what goes wrong with their eating habits and affects their health, and visiting hospitals for nutritional counseling is a real challeng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agement of the systemic meal therapy is not made when eating out at home instead of eating.
As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08464, publication date: January 26, 2010 may be referred to.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관리 대상자가 행하는 식사 행태가 외식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 대상자의 외식 패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server and portabl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to determine whether the eating behavior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ubjects to eat out,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ating out pattern of the management subjects It relates to a termi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서버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알람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 is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the server send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ing to a portable terminal; Collecting, by the serv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receiving a meal response signal for the user's eat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Determining, by the server,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eating out, the serve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And generating, by the server, the catering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atering selection menu.

상기 식사설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식사시점설정정보 및 식사장소설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and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according to whether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식점목록이 존재한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음식점목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음식점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상기 선택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lecting of the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ists by the server; If the restaurant list exists, the server transmitting the restaurant list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ceiving, by the server,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from the selected restaurant input by the user and the menu list provided by the user from the restaurant li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It features.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ll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f the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a meal menu type list for the user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ceiving,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from the meal menu type list.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generat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the server generates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weekly, monthly and yearly units for the user.

상기 외식패턴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서버가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generation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the server mapping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with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ime; Generating, by the server,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And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generated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및 심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lood sugar information, blood pressure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medication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ody fat information, and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건강관리 분석정보는 상기 혈당정보 또는 상기 혈압정보에 따른 이상혈당 및 이상혈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식사메뉴, 식사 시간대, 식사 요일, 식사 장소 및 식품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meal menu, a meal time period, a meal day, a meal place, and a food group that may cause abnormal blood sugar and abnormal blood pressure according to the blood sugar information or the blood pressure inform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알람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eating out patterns, based on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a user, wherein a portable terminal outpu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step; Collecting, by the portable terminal,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a meal response signal for the user's eat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Determining, by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eating out, the portable terminal collects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And generating,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ating out selection menu.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according to whethe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generat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the server generates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weekly, monthly and yearly units for the user.

상기 외식패턴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generation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the portable terminal mapping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with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ime; Generating, by the portable terminal,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by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서버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상기 알람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식사응답신호, 상기 현재위치정보 및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식사설정정보, 상기 현재위치정보,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상기 외식패턴정보 및 외식 여부 판단을 위한 프로그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The server for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the user to the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Control the transmission to a portabl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trol the collection of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s eating out. A server controller which control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and generates the food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food selection menu; A server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alarm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meal response signal,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ood selection menu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rver data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catering selection menu, the catering pattern information, and program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eat out.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eats out according to whethe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고,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map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ime and to generat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단말기 자신의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위한 정보를 인터페이스하는 단말 통신부; 및 상기 식사설정정보, 상기 현재위치정보,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상기 외식패턴정보 및 외식 여부 판단을 위한 프로그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메모리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for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outpu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Control the collection of the terminal's ow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and if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eating out, A terminal control unit controlling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eating out menu selected by the controller and generating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ating out menu;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interfacing the information for collec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 terminal memor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catering selection menu, the catering pattern information, and program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eat out.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according to whethe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고,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map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ime and to generat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외식패턴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외식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정 내에서 식사하는 것이 아닌 외식을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당뇨와 관련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이렇게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collects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ating out menu selection of the user, the health according to the eating ou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ollected eating out information By providing analytical information for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diabetes even when eating out instead of eating at home, and effectively improve the user's health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Can man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건강 관리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ealth care system for explaining a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server illustrated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a serv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a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eating out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may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 / or "comprising" specifies the presence of the mention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 / or groups of these.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acts, members, elements and / or group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regions, and / or portions, it is obvious that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Do. These terms do not imply any particular order, up or down, or superiority, a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region or region from another member, region or region. Accordingly, the first member, region, or reg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the second member, region, or reg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shape shown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of the regions shown herei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건강 관리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ealth care system for explaining a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건강 관리 시스템은 서버(10), 통신망(20) 및 휴대용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ealth care system may include a server 10, a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a portable terminal 30.

서버(1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알람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와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서버(10)는 휴대용 단말기(30)와 통신망(2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서버(1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erver 10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30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Determine and collect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to generate the user's eating pattern information. To this end, the server 1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Details of the server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통신망(20)은 서버(10)와 휴대용 단말기(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통신망(20)은 서버(10)와 휴대용 단말기(30) 간에 식사설정정보,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 알람신호,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외식패턴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20)은 유선 통신망으로서 유선 인터넷, L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20)은 무선 통신망로서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server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may transmit / receive meal setting informatio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 information on an alarm signal, a food selection menu, and food pattern information between the server 10 and the mobile terminal 30.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may include a wired Internet, a LAN, or the like a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Internet such as wireless fidelity (WiFi), a mobile Internet such as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or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or CDMA. 2G mobile network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G mobile networks, such a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or CDMA2000, 3.5G mobile, such a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munication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or an LTE-Advanced network, and a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ncluded.

휴대용 단말기(30)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식사설정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식사설정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는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위치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는 서버(10)로부터 제공된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 목록을 출력하고, 출력된 음식점 목록 중에서 선택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출력되는 정보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30 receives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by driving an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input meal sett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10.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30 detect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and transmits the detecte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0.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30 outputs a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1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selected from the output restaurant list to the server 10. The portable terminal 30 may output the output information as a video or audio.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30)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ortable terminal 30 is a smart 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a netbook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camera, or wearable device (e.g. smart glasses, head-mounted-device (HMD), electronic clothing, electronic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acelet, an electronic necklace, an electronic accessory, a smart mirror, or a smart watch. Details of the portable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는 서버 제어부(100), 서버 통신부(110) 및 서버 데이터베이스(DB:120)를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server 10 shown in FIG. 1. 2, the ser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er controller 100, a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server database (DB: 120).

서버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식사설정정보는 서버(10)와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30) 또는 사용자 PC 등의 전자기기(미도시)를 통해 서버(1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서버(10)에제공된 식사설정정보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알람신호를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The server controller 100 generate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30.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10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such as a portable terminal 30 or a user PC connected to the server 10,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erver 10 is a server database It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120. The server controller 100 controls the server communicator 110 to transmit an alarm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user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stored in the server database 120.

여기서,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의 식사시점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사시점 설정정보는 하루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 횟수 및 식사 시작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시점 설정정보는 아침식사정보(오전 7시 30분), 점심 식사정보(정오 12시 30분), 저녁 식사정보(오후 6시 30분) 등의 설정값일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식사시점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식사시점 예를 들어, 점심 식사정보에 해당하는 12시 30분이 도래하는 경우에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의 동작을 제어한다.Here,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meals and the start time of a meal that a user generally eats on a daily basis. For example, the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may be setting values such as breakfast information (7:30 am), lunch information (12:30 noon), dinner information (6:30 pm), and the like. The server controller 100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30 when the m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for example, 12:30 corresponding to the lunch time information arrives, of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Control the operation.

또한,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의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사장소 설정정보는 가정식 식사패턴에 의해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식사장소 설정정보는 인공위성 좌표정보, 통신 기지국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적 위치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meal place where a user generally eats by the home-style meal pattern. In this case, the meal location setting information may b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satellite coordina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서버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한다. 서버(1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30)는 알람 신호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식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 신호 즉, 식사응답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에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를 서버(10)로 전송한다. 그후, 서버 통신부(110)가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식사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서버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30)로 현재위치정보를 요청한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서버 제어부(10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server controller 100 controls the collection of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portable terminal 30 receiving the alarm signal from the server 10 outputs the alarm signal a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a response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30, ie, a meal response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 current intention to eat a meal. The portable terminal 30 transmits the input meal response signal to the server 10. Thereafter, whe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meal response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server control unit 100 reques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portable terminal 30 transmits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0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controller 100. The server controller 100 may control to receiv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and store it in the server database 120.

서버 제어부(100)는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기 저장된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식사설정정보 중의 식사장소 설정정보와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식사장소 설정정보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현재위치정보와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예를 들어, 20[m]) 이상인 경우에는, 서버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erver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pre-stored meal setting information. The server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according to whethe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Wh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location,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20 [m]), the server controller 1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eating out. have.

서버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음식점목록 중에서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반경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eating out, the server controller 100 controls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eating out menu selected by the user. The server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a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exists in the server database 120. The server controller 100 may extract a restaurant list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staurant list stored in the server database 120. Here, the constant radius can be adjusted by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서버 제어부(100)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면, 추출된 음식점목록을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30)는 서버 통신부(110)로부터 음식점목록을 수신하면, 음식점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음식점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식점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선택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서버 통신부(1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 제어부(100)는 수신된 선택 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The server controller 100 controls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the extracted restaurant list to the portable terminal 30 when the restaurant list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is extrac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the mobile terminal 30 receives the restaurant list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the portable terminal 30 outputs the restaurant list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restaurants in the restaurant list, and also selects one menu, that is, the food selection menu, from the menu list provided by the selected restaurant, the portable terminal 30 may enter the selected restaurant and the food selection menu. Information about the server 10 is transmitted. Whe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restaurant and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the server controller 100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d selected restaurant and the food selection menu in the server database 120. To control.

한편, 서버 제어부(100)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식사메뉴 타입목록은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식사메뉴가 우선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리스트화된 것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서버 통신부(110)로부터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수신하면,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 통신부(1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 제어부(100)는 수신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Meanwhile, if the restaurant list does not exist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controller 100 controls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the list of meal menu types for the user to the portable terminal 30. Here, the meal menu type list may be a list so that the meal menu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r selection is preferentially expos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30 receives the meal menu type list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the portable terminal 30 outputs the meal menu type list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menu from the meal menu type list, that is, the food selection menu, the portable terminal 3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inputted food selection menu to the server 10. Accordingly, whe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the server controller 100 controls to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d food selection menu in the server database 120.

서버 제어부(100)는 수집된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외식패턴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 패턴 및 빈도 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controller 100 controls to generate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ollected eating out selection menu. The server controller 100 controls to generate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weekly, monthly and yearly units for the user.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ating out pattern and frequency of the user over time.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100)는 4주간 동안 식사 장소(식당명, 가정식/매식 여부), 식사 종류, 섭취량, 시각, 함께 먹은 사람(가족, 친구, 동료, 업무 미팅), 섭취 후 혈당 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서의 다빈도 섭취 메뉴 세트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균 식사 시각 30분 전후에 특정 GPS 내에 5분 이상 머무는 경우 해당 식당을 유추하여 제시하고, 해당 식당에서 제시하는 순위 메뉴, 평균 섭취 칼로리, 섭취 후 혈당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100)는 평균 식사 시각 내의 GPS 정보를 항시 수집하다가 기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일정 비율(예를 들어, 30%) 이상 달라지는 경우, 활동 반경이 달라진 것으로 판단하여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meal place (restaurant name, home food or meal type), meal type, intake amount, time of day, people who ate together (family, friends, colleagues, business meetings), blood sugar level after ingestion for 4 weeks.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user can check the set of frequent intake menus at the place. Based on the data, the server controller 100 infers and presents the restaurant when it stays in a specific GPS for more than 5 minutes before and after 3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average meal time, and presents the ranking menu, average intake calories, and blood sugar after ingestion. Do it. 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 unit 100 collects GPS information in the average meal time all the time, and when a predetermined ratio (for example, 30%) is different from the pre-registered data, the activity radius is determined to determine whether to eat out or not. You can control to repeat the process.

서버 제어부(100)는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한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심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생체 정보일 수도 있고, 의료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수집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The server controller 100 maps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ime. Here,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blood sugar information, blood pressure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medication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ody fat information, heart rate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user.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biometric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medical institution, o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ensor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ollected.

서버 제어부(100)는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생체 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server controller 100 may map time information of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based on a unit time point. The server controller 100 may control to generat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당뇨병 환자의 식사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매일 일정한 시각에 먹기 2) 적당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비율로 적정 칼로리 만큼 먹기(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율은 5:3:2) 3) 식이섬유 섭취하기 4) 동물성 지방 적게 먹기 5) 소금 섭취 줄이기 6) 절주하기The basic principles of eating for diabetics are: 1) Eat at a certain time every day 2) Eat the right amount of calories at the right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ratio Reduce 6) Sobriety

외식의 경우 상기 2), 3), 4), 5)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교정하거나 최대한 손실을 방지해야 한다. 즉, 외식은 설탕과 기름이 많고 섬유소가 적은 경우가 많아 이를 잘 컨트롤 해야 한다. In the case of eating o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2), 3), 4), and 5). In other words, eating out is often a lot of sugar and oil and less fiber, so it should be well controlled.

따라서, 서버 제어부(100)는 한식과 일식 위주로 식당을 선택하고 메뉴는 다양한 식품군(우리나라 음식은 탄수화물 위주이므로 주로 단백질, 섬유질 중심의 메뉴 선택)이 포함된 메뉴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Therefore, the server control unit 100 selects a restaurant based on Korean food and Japanese food, and the menu is a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a menu including a variety of food groups (mainly, food is carbohydrate-oriented, mainly protein and fiber-based menu selection). Create

또한, 서버 제어부(100)는 국물 음식에 대해서 국물을 남기도록 유도하거나 과식한 경우에 다음 번의 식사량을 줄여 하루의 권장 섭취량을 달성하도록 유도하거나, 권장 식품군을 골고루 먹지 못했다면 다음 번의 식사에 해당 권장 식품군을 먹도록 유도하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 unit 100 induces to leave the broth for the broth food or induces to reduce the amount of the next meal to achieve the recommended intake of the day when the food is overdose, or if the recommended food group has not eaten evenly recommended for the next meal Creat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that leads to eating food groups.

또한, 서버 제어부(100)는 당뇨병 환자의 직업군에 따라 필요한 권장량을 포함하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직의 경우 하루 필요 열량은 표준체중(=적정체중=키의 제곱*22) * 30kcal, 노동직의 경우 표준체중 * 40kcal이므로, 서버 제어부(100)는 이를 기준으로 외식 칼로리에 대한 권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170cm, 80kg의 사무직 남성 당뇨병 환자의 표준 체중은 63.6kg이며, 하루 총 권장 섭취 칼로리는 63.6kg * 30kcal로 1,908kcal이다. 아침 식사를 가정식으로 600kcal를 섭취하였다면 점심과 저녁 식사 권장 섭취량은 1,308kcal로 두 끼로 나누면 654kcal가 된다. 따라서 해당 식당의 메뉴 중 가장 근접한 메뉴를 추천하고 다음 식사에서 보완할 부분을 건강관리 분석정보로서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ler 100 may generat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ommended amount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group of the diabetic. For example, the amount of calories needed per day for office workers is the standard weight (= proper weight = the square of the height * 22) * 30 kcal, the standard weight * 40 kcal for labor workers, so the server control unit 100 based on this recommended amount for eating calories Can be calculated. In other words, the standard weight of a 170cm, 80kg white-collar diabetic patient is 63.6kg, and the total recommended intake of calories per day is 63.6kg * 30kcal, which is 1,908kcal. If you consumed 600 kcal for breakfast, the recommended intake for lunch and dinner would be 1,308 kcal divided into two meals to 654 kcal. Therefore, it recommends the closest menu among the restaurant's menus and provides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the next meal as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또한, 서버 제어부(100)는 같은 식당의 같은 메뉴를 먹은 후 식후 혈당을 측정하도록 유도하여 식사-복약(인슐린 포함)-활동량-식후 혈당 데이터 셋을 확보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식사의 경우에 혈당 측정 바로 전 식사, 활동량은 식사 시작 시점부터 혈당 측정 시점까지, 복약은 식전 및 식후 약물 복용 데이터를 활용한다. 복약 상태는 동일해야 하고 활동량은 평균 측정치의 +-20% 내에 들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동일 메뉴 섭취 후의 식후 혈당을 비교하여 피드백한다.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 unit 100 induces to measure post-prandial blood sugar after eating the same menu of the same restaurant to secure a meal-drug (including insulin) -active-post-blood sugar data set. In the case of a meal, the server control unit 100 uses a meal immediately before blood glucose measurement, an activity amount from a meal start time to a blood glucose measurement time point, and the medication takes data before and after meals. Medication status should be the same and activity should be within + -20% of average measurement. In this state, post-prandial blood sugar levels after the same menu intake are fed back.

그 후, 서버 제어부(100)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라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server controller 100 may control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0.

서버 통신부(110)는 서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서버 통신부(110)는 통신망(2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ntrol unit 100. To this e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by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서버 통신부(110)는 서버 제어부(100)에서 생성된 알람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식사응답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110)는 음식점목록 또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며,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는 생성된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server control unit 100 to the portable terminal 30. Thereafter,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meal response signal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In addi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In addi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 restaurant list or a meal menu type list to the portable terminal 30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 Thereafter,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generated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r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0.

서버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에 관한 식사설정정보,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 사용자의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서버 데이터베이스(120)는 서버 제어부(100)의 외식패턴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데이터베이스(120)는 서버 제어부(100)의 액세스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서버 제어부(100)에 제공하거나, 서버 제어부(100)의 저장 요청에 따라, 해당 저장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erver database 120 stores meal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information on the eating out menu of the user,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r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rver database 120 may store program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eating out pattern of the server controller 100. Accordingly, the server database 120 may provide previously stored data to the server controller 100 according to an access request of the server controller 100, or may store the data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according to a storage request of the server controller 100. Save the data.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3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30)는 단지 서버(10)의 동작에 의해 식사응답신호의 입력, 외식선택메뉴의 입력, 외식패턴정보의 출력, 건강관리 분석정보의 출력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서버(1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3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ortable terminal 30 shown in FIG. The portable terminal 30 illustrated in FIG. 3 is in charge of a user interface such as input of a meal response signal, input of a meal selection menu, output of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output of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server 10. In addition to doing so, the operations performed in the server 10 shown in FIG. 2 may be performed by itself.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는 단말 제어부(200), 단말 통신부(210), 단말 메모리(22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controller 200,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a terminal memory 220, and an input / output interface 230.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단말기 자신의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o output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controls the collection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and if the user is determined to eat out, control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eating out menu selected by the user, and according to the eating out menu. Control to generate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식사설정정보는 단말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된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의 식사시점 설정정보 또는 사용자의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식사시점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식사시점이 도래하는 경우에 알람 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The terminal controller 200 generate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and controls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b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interface 230, the input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220 in advance.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to output an alarm signal for the user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220. Here,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or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o output an alarm signal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when the m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arrives.

단말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한다. 알람 신호의 출력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식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 신호 즉, 식사응답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GPS 좌표정보 또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정보 등을 참조하여 자신의 지리적 현재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he collection of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ortable terminal 30.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the user may input a response signal, ie, a meal response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 current intention to eat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230.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llects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meal response signal. The terminal controller 200 may extract its own geographical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GPS coordinate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00 may control to extract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the same in the terminal memory 220.

단말 제어부(200)는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기 저장된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식사설정정보 중의 식사장소 설정정보와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식사장소 설정정보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현재위치정보와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예를 들어, 20[m]) 이상인 경우에는,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pre-stored meal setting informa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according to whethe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Wh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location, if the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20 [m]), the terminal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eating out. have.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단말 메모리(220)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된 음식점목록 중에서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eating out,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eating out menu of the user. The terminal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exists in the terminal memory 220. The terminal controller 200 may extract a restaurant list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staurant list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220.

단말 제어부(200)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면, 추출된 음식점목록을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가 음식점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면, 사용자가 음식점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식점을 선택한다. 그 후, 사용자가 선택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단말 제어부(200)는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o output the extracted restaurant list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when the restaurant list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is extrac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230 outputs the restaurant list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the user selects any restaurant from the restaurant list. 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menu from the menu list provided by the selected restaurant, that is, the food selection menu, the terminal controller 200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restaurant and the food selection menu in the terminal memory 220. To control.

한편, 단말 제어부(200)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가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면, 사용자가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한다. 그 후,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Meanwhile, if the restaurant list does not exist within a certain radiu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o output a meal menu type list for the user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Accordingly, whe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230 outputs the meal menu type list a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the user selects any one menu from the meal menu type list, that is, the food selection menu. Thereafter,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he terminal memory 220 to store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selected by the user.

단말 제어부(200)는 수집된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o generate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ollected eating out selection menu. The terminal controller 200 controls to generate the foo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weekly, monthly and annual units for the user.

단말 제어부(200)는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고,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생체 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라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ler 200 may map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ime and generat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 informa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00 may map the time information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based on the unit time point. The terminal controller 200 may control to output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단말 통신부(210)는 단말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서버(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기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서버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통신부(210)는 통신망(2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serv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200. In addition,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other servers providing other services. To this e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by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단말 통신부(210)는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현재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타의 서버로부터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음식점목록 또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서버(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생성된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서버(10) 또는 외부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another server that provi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ortable terminal 30. In addition,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a restaurant list or a meal menu type list from the server 10. In addition,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the generated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r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server 10 or an external terminal (not shown).

단말 메모리(220)는 사용자에 관한 식사설정정보,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 사용자의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단말 메모리(220)는 단말 제어부(200)의 외식패턴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메모리(220)는 단말 제어부(200)의 액세스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단말 제어부(200)에 제공하거나, 단말 제어부(200)의 저장 요청에 따라, 해당 저장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terminal memory 220 stores meal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information on the eating out menu of the user,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r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memory 220 may store program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eating out pattern of the terminal controller 200. Accordingly, the terminal memory 220 provides the pre-stored data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200 according to the access request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200 or, according to the storage request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200, to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Save the data.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단말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단말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른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식사설정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알람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transmits a command or data input from a user or another external device to the terminal controller 200.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230 outputs a command or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00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may receive meal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may output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may receive a meal response signal for the user's me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230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food selection menu from a user.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230 may output the user's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r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ating out selection menu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면, 키 보드(key board), 패널 (touch panel), 스캐닝 펜(scanning pen), 또는 초음파 (ultrasonic)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 보드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스캐닝 펜은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디바이스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마이크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In order to receive data,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 board, a touch panel, a scanning pen, an ultrasonic input device, or the like. . The keyboard may, for example, comprise a physical button, an optical key, or a keypad. For example, the touch panel may use at least one of capacitive, resistive, infrared, or ultrasonic methods. The touch panel may further include a tactile layer to provide a tactile response to the user. The scanning pen may be part of the touch panel or may include a separate sheet for recognition. The ultrasonic input device may check data by detecting micro sound waves through an input tool for generating an ultrasonic signal.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단말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영상 출력을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 (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 (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을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outputs a command or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200 as an image or audio signal. For image output,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or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display. Or electronic paper displays.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may display various contents (eg, text, images, videos, icons, symbols, etc.) to the user. Also, for audio output,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30 may process voice information input or output through, for example, a speaker, a receiver, an earphone, a microphone, or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between a serv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a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eating out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식사설정정보를 등록한다(S400). 그 후, 서버(10)는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02). 휴대용 단말기(30)는 수신된 알람 신호를 출력하며, 그 후, 사용자로부터 식사응답신호를 입력받는다(S404).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06). 서버(10)는 수신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에 요청한다(S408). 휴대용 단말기(30)는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검출하고(S410), 검출된 현재위치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12). 서버(10)는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와 기 저장된 식사설정정보 중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S414).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는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 또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16). 휴대용 단말기(30)는 수신된 음식점목록 또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식선택메뉴를 입력받는다(S418).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20). 서버(10)는 수신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S422). 그 후, 서버(10)는 생성된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의 기 수집된 생체 정보를 매핑하여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S424). 서버(10)는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26). 그 후, 휴대용 단말기(30)는 수신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S428). First, the server 10 registers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S400). Thereafter, the server 10 transmi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to the portable terminal 30 (S402). The portable terminal 30 outputs the received alarm signal, and then receives a meal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S404). The portable terminal 30 transmits the input meal response signal to the server 10 (S406). The server 10 requests the portable terminal 30 fo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received meal response signal (S408). The portable terminal 30 detects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410) and transmits the det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0 (S412). The server 1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y compa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ortable terminal 30 with meal location setting information among previously stored meal setting information (S41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eating out, the server 10 transmits a list of restaurants or meal menu type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0 (S416). The portable terminal 30 receives a food selection menu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received restaurant list or meal menu type list (S418). The portable terminal 30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inputted food selection menu to the server 10 (S420). The server 10 generates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eating out selection menu (S422). Thereafter, the server 10 generates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by mapping the generated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collect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S424). The server 10 transmits the generated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0 (S426). 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30 outputs the received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S428).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5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서버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S500 단계). 식사설정정보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일반 PC 등의 전자기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의 식사시점 설정정보 또는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사시점 설정정보는 하루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 횟수 및 식사 시작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식사장소 설정정보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가정식 식사패턴으로 식사하는 식사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는 식사시점 설정정보에 해당하는 식사시점 예를 들어, 점심식사정보에 해당하는 12시 30분이 도래하는 경우에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server transmi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step S500).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or a user's general PC. The server transmits an alarm signal for the user to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Here,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or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meals and the start time of meals that a user generally eats on a daily basis. In additio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meal place where a user eats in a general home-style meal pattern. The server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m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for example, 12:30 corresponding to the lunch time information arrives.

S500 단계 후에, 서버는 알람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의 수신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한다(S502 단계). 서버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는 알람 신호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식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 신호 즉, 식사응답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를 서버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현재 식사의향이 있다는 식사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 현재위치정보를 요청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step S500, the server collec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meal response signal for the user's me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step S502).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the alarm signal from the server outputs the alarm signal a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willing to eat, that is, a meal response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meal response signal to the server. Accordingly, when receiving a meal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a current meal inten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server reques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The server may receiv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store it in the server database.

S502 단계 후에, 서버는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S504 단계). 서버는 식사설정정보 중의 식사장소 설정정보와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반경 20[m]를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장소 설정정보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현재위치정보와의 거리 차이가 20[m] 이상인 경우에는, 서버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fter step S502,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meal setting information (step S504).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according to whethe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Here, the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arbitrarily set, for example, a radius of 20 [m] can be illustrated. For example, when the meal location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location and the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20 [m] or more, the serv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eating out.

S504 단계에서,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506 단계). 외식선택메뉴는 사용자가 외식을 위해 선택한 음식물의 종류를 의미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4 that the user is eating out, the server collects information on the eating out menu selected by the user (step S506). The food selection menu refers to the type of food selected by the user for eating ou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506)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FIG. 6 is a flowchart of an exemplary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tep (S506)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a food selection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서버는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S600 단계). 서버는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식점목록 중에서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반경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a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ists (S600). The server may extract a list of restaurant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ist of restaurants stored in the server database. Here, the constant radius can be adjusted by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S600 단계 후에,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면, 서버는 추출된 음식점목록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S602 단계).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음식점목록을 수신하면, 음식점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After the step S600, when the restaurant list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the server transmits the extracted restaurant list to the portable terminal (step S602).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restaurant list from the server,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restaurant list a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S602 단계 후에, 서버는 음식점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선택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S604 단계). 사용자가 출력된 음식점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식점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선택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fter the step S602, the server receives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restaurant input by the user from the list of restaurants and the menu of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from the menu list provided by the selected restaurant (step S604).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restaurant from the output restaurant list, and also selects one menu, that is, the food selection menu, from the menu list provided by the selected restaurant,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selected restaurant and the food selection menu. Send information to the server. Accordingly, the serv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restaurant and the food selection menu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portable terminal.

그러나, S600 단계에서,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서버는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S606 단계).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지 않는다면, 서버는 사용자가 외식 메뉴로 선택할 수 있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사메뉴 타입목록은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식사메뉴가 우선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리스트화된 것일 수 있다. However, if there is no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S600, the server transmits a list of meal menu types for the user to the portable terminal (step S606). If the list of restaurants existing within a certain radius is not extrac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erver transmits a list of meal menu types that the user can select as an eating out menu to the portable terminal. Here, the meal menu type list may be a list so that the meal menu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r selection is preferentially exposed.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수신하면,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When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meal menu type list from the server,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meal menu type list on the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eal menu type menus, that is, the food selection menu,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inputted food selection menu to the server. Accordingly, the serv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restaurant and the food selection menu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portable terminal.

한편, S506 단계 후에, 서버는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S508 단계).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외식패턴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 패턴 및 빈도 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step S506, the server generates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ating out menu selection (step S508). The server generates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weekly, monthly and yearly units for the user.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ating out pattern and frequency of the user over time.

S508 단계 후에, 서버는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한다(S510 단계). 여기서,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및 심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생체 정보일 수도 있고, 의료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수집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외식패턴정보와 생체 정보의 매핑은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생체 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하는 것일 수 있다. After step S508, the server maps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ime (step S510).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lood sugar information, blood pressure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medication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ody fat information, and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user.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biometric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medical institution, o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ensor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ollected.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to map the time information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belonging to a predetermined time range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living body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unit viewpoint.

S510 단계 후에, 서버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S512 단계). 건강관리 분석정보는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및 심박정보에 따른 이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식사 메뉴, 식사 시간대, 식사 요일, 식사 장소 및 식품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혈당은 정상 범위를 초과한 혈당의 발생 빈도가 일정 빈도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이상혈압은 정상 범위를 초과한 혈압의 발생 빈도가 일정 빈도 이상인 것일 수 있다. After step S510, the server generates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step S512).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al menu, meal time, day of the week, meal place, and food group that may cause abnormalities according to blood sugar information, blood pressure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medication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ody fat information, and heart rate information. It may include. Here, the abnormal blood sugar may be a frequency of occurrence of blood sugar exceeding a normal range or more, and the abnormal blood pressure may be a frequency of occurrence of blood pressure exceeding a normal range or more.

S512 단계 후에, 서버는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S514 단계).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After step S512, the server transmits the generated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step S514).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may output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7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한다(S700 단계). 식사설정정보는 이전에 휴대용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와 접속하여 식사설정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오디오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step S700). Meal setting information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the portable terminal may receive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output an alarm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user through an output unit (for example, a display module or an audio output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S700 단계 후에, 알람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한다(S702 단계). 알람 신호의 출력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식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 신호 즉, 식사응답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GPS 좌표 정보 또는 통신용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fter the step S700, according to the meal response signal for the user's me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the portable terminal collects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tep S702).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the user may input a response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 current intention to eat meal. The portable terminal collects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meal response signal. The portable terminal may collect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using GPS coordinate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base station.

S702 단계 후에, 휴대용 단말기는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S704 단계). 휴대용 단말기는 식사설정정보 중의 식사장소 설정정보와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식사장소 설정정보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현재위치정보와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fter step S702,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meal setting information (step S704).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according to whethe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Here, the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arbitrarily set. When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location,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ortabl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eating out.

S704 단계 후에,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706 단계).After step S70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eating out, the portable terminal collects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step S706).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메모리에 저장된 음식점목록 중에서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반경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extract a restaurant list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staurant list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Here, the constant radius can be adjusted by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면, 추출된 음식점목록을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오디오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음식점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선택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extracted restaurant list through the display module or the audio output module when the restaurant list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is extrac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from the menu list provided by the user and the selected restaurant input by the user from the restaurant list.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지 않는다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외식 메뉴로 선택할 수 있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출력한다. 여기서, 식사메뉴 타입목록은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식사메뉴가 우선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리스트화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선택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ist of restaurants existing within a certain radiu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extracted,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a list of meal menu types that the user can select as a dining menu. Here, the meal menu type list may be a list so that the meal menu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r selection is preferentially exposed.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eal menu type menus, that is, the food selection menu,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food selection menu.

S706 단계 후에, 휴대용 단말기는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S708 단계).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식패턴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 패턴 및 빈도 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fter step S706,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ating out menu (step S708). The portable terminal may generate eating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weekly, monthly and yearly units for the user.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ating out pattern and frequency of the user over time.

S708 단계 후에, 휴대용 단말기는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한다(S710 단계). 생체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생체 정보일 수도 있고, 의료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수집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외식패턴정보와 생체 정보의 매핑은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생체 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하는 것일 수 있다. After step S708, the portable terminal maps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ime (step S710).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biometric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medical institution, o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ensor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ollected.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mapping of the time information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belonging to a predetermined time range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living body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unit viewpoint.

S710 단계 후에, 휴대용 단말기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 및 출력한다(S712 단계). 건강관리 분석정보는 혈당정보 또는 혈압정보에 따른 이상혈당 및 이상혈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식사 메뉴, 식사 시간대, 식사 요일, 식사 장소 및 식품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휴대용 단말기는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After step S710,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and outputs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step S712).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meal menu, a meal time, a meal day, a meal place, and a food group that may cause abnormal blood sugar and abnormal blood pressure according to blood sugar information or blood pressure information. 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generated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s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재생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각 재생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layback apparatuses by implementing a software program and recording the data on a computer-readable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Various playback devices may be PCs, laptops, portable terminal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hard disk, a flash memory, a RAM, a ROM, or the like as an internal type of each playback device, or an optical disc such as a CD-R or a CD-RW, a compact flash card, a smart media, a memory stick, or a multimedia card.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qu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서버
20: 통신망
30: 휴대용 단말기
100: 서버 제어부
110: 서버 통신부
120: 서버 DB
200: 단말 제어부
210: 단말 통신부
220: 단말 메모리
23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10: server
20: network
30: portable terminal
100: server control unit
110: server communication unit
120: server DB
200: terminal control unit
210: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20: terminal memory
230: input and output interface unit

Claims (19)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서버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알람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생성된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설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식사시점 설정정보 및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시점 설정정보는 식사 횟수 및 식사 시작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장소 설정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장소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식사 시작시점에서 상기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장소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거리 차이가 상기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일정 주기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일정 주기 동안 외식 장소, 외식 종류, 외식 섭취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 장소에서의 섭취 메뉴에 따른 식후 혈당정보를 상기 외식패턴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서버는,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상기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상기 생체 정보 중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및 심박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하고, 상기 일정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생체 정보의 매핑에 따라 상기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식 장소를 다음에 이용하는 경우에, 이전의 식사정보, 식전 및 식후 약물 복용 데이터에 의한 복약정보, 식사 시작 시점부터 혈당 측정 시점까지의 활동량 정보에 근거한 식후 혈당 데이터 셋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장소에서의 권장 식사 메뉴에 대한 상기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Transmitting, by the server,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based on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Collecting, by the serv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a meal response signal for the user's eat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Determining, by the server,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eating out, the serve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Generating, by the server,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ating out selection menu;
Mapping, by the server, the generated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ime;
Generating, by the server,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And
The server transmitting the generated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and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the meal point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meals and a meal start time, and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is generally used by the user. Includes a dining area for meals,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meal place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meal start time,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eats out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erver generates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of the user, and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post-prandial blood suga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ake menu of the eating out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eating out place, eating out type, and eating out amount Generated by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The server,
Mapping time information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with blood sugar information, blood pressure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medication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ody fat information, and heart rate information based on a unit time point;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and when the user uses the eating out place next time, the previous meal information, pre-meal and post-meal drug taking data are generated. Eating out pattern, the eating out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meal menu of the user through the post-prandial blood sugar data set based on the activity information from the meal start time to the blood sugar measurement time Of health care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식점목록이 존재한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음식점목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음식점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상기 선택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Determining, by the server, whether there is a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f the restaurant list exists, the server transmitting the restaurant list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ceiving, by the server,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from the selected restaurant input by the user and the menu list provided by the user from the restaurant li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characterized i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food selection menu
If there is no restaurant lis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a meal menu type list for the user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ating out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eating out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in the meal menu type li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분석정보는 상기 혈당정보 또는 상기 혈압정보에 따른 이상혈당 및 이상혈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식사메뉴, 식사 시간대, 식사 요일, 식사 장소 및 식품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al menu, a meal time, a meal day, a meal place, and a food group that may cause abnormal blood sugar and abnormal blood pressure according to the blood sugar information or the blood pressure information.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atter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상기 알람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식사응답신호, 상기 현재위치정보 및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식사설정정보, 상기 현재위치정보,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상기 외식패턴정보 및 외식 여부 판단을 위한 프로그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고, 상기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식사설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식사시점 설정정보 및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시점 설정정보는 식사 횟수 및 식사 시작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장소 설정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장소를 포함할 때,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식사 시작시점에서 상기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장소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거리 차이가 상기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일정 주기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일정 주기 동안 외식 장소, 외식 종류, 외식 섭취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 장소에서의 섭취 메뉴에 따른 식후 혈당정보를 상기 외식패턴정보로 생성하고,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상기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상기 생체 정보 중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및 심박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하고, 상기 일정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생체 정보의 매핑에 따라 상기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식 장소를 다음에 이용하는 경우에, 이전의 식사정보, 식전 및 식후 약물 복용 데이터에 의한 복약정보, 식사 시작 시점부터 혈당 측정 시점까지의 활동량 정보에 근거한 식후 혈당 데이터 셋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장소에서의 권장 식사 메뉴에 대한 상기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서버.
On the basis of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the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and upon receiving the meal response signal for the user's eating inten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 the collection of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eating out based on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and when the user is determined to eat out, the food selection menu input by the user A server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control unit and to generate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ating out menu;
A server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alarm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meal response signal,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ood selection menu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It includes a server data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catering selection menu, the catering pattern information and program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eat out,
The server control unit,
Mapping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on a time basis, generating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and controlling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meal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meal time setting information and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the meal point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meals and a meal start time, and the meal place setting information is generally used by the user. When the meal includes a dining place, the server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dining place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t a meal start tim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tance difference is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bove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eats out, and generates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he user, based on the eating out place, the type of eating out, and the intake of eating out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Post-prandial blood suga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ake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generated, unit The time information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and blood biometric information, blood pressure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medication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ody fat information, and heart rate information are mapped to each other based on a point.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eating out pattern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within a time range, and when the user uses the eating out place next time, the previous meal information, pre-meal and post-meal drug taking data are generated. The health care analysis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meal menu of the user at the eating out place is generated through the post-prandial blood sugar data set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activity amount information from the start of meal to the measuring time of blood sugar. Server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75976A 2017-12-20 2017-12-20 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KR1020557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76A KR102055742B1 (en) 2017-12-20 2017-12-20 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76A KR102055742B1 (en) 2017-12-20 2017-12-20 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39A KR20190074539A (en) 2019-06-28
KR102055742B1 true KR102055742B1 (en) 2019-12-13

Family

ID=6706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976A KR102055742B1 (en) 2017-12-20 2017-12-20 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74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1431A (en) * 2009-10-02 2011-04-21 Sony Corp Behavior pattern analysis system, portable terminal, behavior pattern analysis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536B1 (en) * 2011-04-25 2013-03-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searching restaurant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KR20170048921A (en) * 2015-10-27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care based on dietary pattern
KR20170081911A (en)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a lo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1431A (en) * 2009-10-02 2011-04-21 Sony Corp Behavior pattern analysis system, portable terminal, behavior pattern analysis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39A (en)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5583B1 (en) Location enabled food database
JP7127086B2 (en) health tracking device
JP7022780B2 (en) Location-based wireless diabetes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equipment
KR10254921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profile
JP2023116568A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wellness and nutri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using analyte data
KR101500673B1 (en)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EP2463796A2 (en) Health care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ealth care
US20190006040A1 (en) Cognitive diabetic regulator
KR20120108543A (en) A customized integrated smart health care service system for metabolic syndrome
US20220202319A1 (en) Meal and activity logging with a glucose monitoring interface
KR201800072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ssociated with health care
JP2016173658A (en) Health management system, health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00131504A1 (en) Hypothesis based solicitation of data indicating at least one objective occurrence
KR102055742B1 (en) 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KR20210052123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food information service and server using the same
KR1023691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formation Processing
US20100131448A1 (en) Hypothesis based solicitation of data indicating at least one objective occurrence
JP2016184332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4120145A (en) Dietary habits suppor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KR102395631B1 (en) Personal dietarian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trays
JP688274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methods and programs
KR20240005255A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JP2022029882A (en) Meal management device, meal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KR20240061453A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platform
CN115335914A (en) Indicating dependency nutrient calculation and preservation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