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580B1 -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 Google Patents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580B1
KR102055580B1 KR1020190091776A KR20190091776A KR102055580B1 KR 102055580 B1 KR102055580 B1 KR 102055580B1 KR 1020190091776 A KR1020190091776 A KR 1020190091776A KR 20190091776 A KR20190091776 A KR 20190091776A KR 102055580 B1 KR102055580 B1 KR 10205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ousing
groove
ball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박강선
김은영
길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09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580B1/ko
Priority to PCT/KR2020/005373 priority patent/WO20210206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5/00Means for application of stress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or the generation of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Means for electroporation or cell fusion
    • C12M35/0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means, e.g. for electroporation or for cell f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3/00Treatment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electrical or wave energy, e.g. magnetism, sonic 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에 관한 발명으로, 교체부의 볼이 접촉부에 형성된 바늘 하우징의 그루브부를 따라 길이 방향 및 회전하여 교체부와 백금선 바늘이 구비된 접촉부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THE ELECTRIC FUSION NEEDLE FOR PRODUCING A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EMBRYO USING A PLATINUM WIRE EASY TO REPLACE}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에 관한 발명으로, 교체부의 볼이 접촉부에 형성된 바늘 하우징의 그루브부를 따라 길이 방향 및 회전하여 교체부와 백금선 바늘이 구비된 접촉부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체세포 복제 기술은 우수형질 개체 확보, 고부가가치 생체반응기 동물의 생산, 질환 모델 동물의 생산, 멸종 위기 동물의 보존 등 그 응용분야의 범위가 매우 넓다.
또한, 체세포 복제 기술을 적용하면 환자 체세포 유래 배반포에서 배아 줄기 세포주를 수립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립된 배아 줄기 세포로부터 치료에 필수적인 세포를 분화시킬 경우, 환자의 면역 거부 반응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임상적 이용성이 높다.
이러한 체세포 복제 기술의 근간은 이가 염색체를 가진 공여핵 체세포와, 유전 물질을 가진 핵이 제거된 수핵난자의 융합이다. 공여핵이 이식될 수핵난자는 체세포와 융합된 후 발생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발생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제2차 감수분열 중기(난자가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배란되는 시기)까지 난자의 발육이 진행된 수핵난자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체외에서 인위적으로 난자를 배양하거나, 호르몬 처치를 통하여 체내에서 난자를 발육시켜 사용한다.
공여핵이 이식된 수핵난자는 전기융합과정을 거친다. 체세포 복제기술에서 전기융합과정은 체세포 핵이식 과정에서 난자내 세포질과 복제할 체세포를 융합시키는데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고가의 수입산 장비를 이용하여 전기융합과정을 진행해야 하는바 이러한 이유로 복제동물 생산비용 현저히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즉, 종래의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은 티타늄이 코팅된 전기융합바늘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티타늄이 코팅된 높은 가격대(1set 가격 150~200만원선)의 수입산 장비를 이용하여 전기융합과정을 진행해야 하는바 실험장비 구성에 금전적 부담을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복제동물 생산비용 현저히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KR 10-0500412호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에 관한 발명으로, 교체부의 볼이 접촉부에 형성된 바늘 하우징의 그루브부를 따라 길이 방향 및 회전하여 교체부와 백금선 바늘이 구비된 접촉부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하여 전기 융합 바늘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작업자의 교체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대부; 상기 지지대부의 후방에 결합된 전극연결부; 상기 지지대부의 전방에 결합된 막대부; 상기 막대부의 전방에 결합되어 전기 융합을 행하는 접촉부; 및 내측에 형성된 볼의 이동으로 상기 접촉부와 상기 막대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교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상기 접촉부는, 바늘 및 상기 바늘이 관통되는 바늘 하우징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상기 바늘의 재질은 백금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상기 바늘 하우징은, 상기 바늘이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중부 바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중부 바늘 하우징에는, 상기 중부 바늘 하우징의 상단에서 시작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단면이 반원 형상인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1 그루브의 단부에서 절곡되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단면이 반원 형상인 제2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볼의 일부는 상기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2 그루브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상기 교체부는, 상기 바늘 하우징을 감싸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한 상기 볼이 형성되어 상기 볼이 제2 그루브의 단부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교체부와 상기 바늘 하우징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상기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중부 바늘 하우징을 중심으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상기 볼은 한 쌍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융합과정에서 백금선 바늘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 종래와는 달리 작업자는 교체부의 길이 방향의 이동 및 회전 동작 만으로 바늘이 포함된 접촉부를 교체부로부터 탈거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바늘만 교체한다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교체부 내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교체부 내부에 접촉부의 바늘 하우징이 삽입되는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바늘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바늘 하우징의 그루브부를 따라 이동하는 교체부의 볼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한 쌍의 볼의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바늘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융합 바늘의 바늘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은 지지대부(100), 전극연결부(200), 막대부(300), 접촉부(400) 및 교체부(500)를 포함한다.
지지대부(100), 전극연결부(200), 막대부(300), 접촉부(400) 및 교체부(500)의 배치는 도 1과 같다.
지지대부(100)는 전극연결부(200)와 막대부(300)를 잇는 역할로, 원통형 또는 다각형 등의 모양으로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전극연결부(200)는 지지대부(100)의 후방에 결합된다. 전기융합을 위해 접촉부(4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막대부(300)는 지지대부(100)의 전방에 결합되며, 접촉부(4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400)는 막대부(3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전기 융합을 행한다. 접촉부(4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접촉부(400)는 바늘(410) 및 바늘 하우징(420)을 구비한다. 바늘(410)은 전기 융합을 직접적으로 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백금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종래의 고가의 티타늄 재질의 바늘을 대체할 수 있어 원가 절감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바늘 하우징(420)은 바늘(410)이 관통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바늘 하우징(420)은 상부 바늘 하우징(421), 중부 바늘 하우징(422) 및 하부 바늘 하우징(423)을 구비한다.
중부 바늘 하우징(422)은 중공부가 형성되고,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원통 형상으로 인해 교체부(500)와의 회전 결합이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공부에는 바늘(410)이 관통된다.
상부 바늘 하우징(421)은 중부 바늘 하우징(422)의 상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중부 바늘 하우징(422)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 바늘 하우징(421) 또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바늘(410)이 관통된다. 이로 인해, 후술하겠지만, 교체부(500)의 외부 하우징(510) 또한 상부 바늘 하우징(421)과 중부 바늘 하우징(422)의 직경 차이에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바늘 하우징(420)이 교체부(500)와 결합 시 이탈이 어렵게 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하부 바늘 하우징(423)은 중부 바늘 하우징(42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중공부가 형성되어 바늘(410)이 관통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막대부(300)의 전방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중부 바늘 하우징(422)에는 그루브부(424)가 형성된다. 그루브부(424)는 제1 그루브(4241) 및 제2 그루브(4242)를 구비한다.
제1 그루브(4241)는 중부 바늘 하우징(422)의 상단에서 시작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부 바늘 하우징(422)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그루브(4242)는 제1 그루브(4241)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그루브(4241)와 같이 중부 바늘 하우징(422)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교체부(500)에 형성된 회전 가능한 볼(532)이 제1 그루브(4241) 및 제2 그루브(4242)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볼(532)의 위치에 따라 접촉부(400) 및 교체부(500)의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지니게 된다. 이에 관한 메커니즘은 상세히 후술한다.
이때, 제1 그루브(4241) 및 제2 그루브(4242)의 단면은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 형상의 볼(532)이 이동이 용이하여 접촉부(400) 및 교체부(500)의 고정 및 분리가 작업자로 하여금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교체부(5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교체부(500)는 외부 하우징(510), 내부 하우징(520) 및 연결체(530)를 구비한다.
외부 하우징(510)은 케이스 역할을 하며, 내부에 접촉부(400)를 수용한다. 이때, 접촉부(400)의 바늘(410)이 관통하도록 외부 하우징(510)의 상부에는 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부(400)를 수용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400)의 바늘 하우징(420)의 수용 시, 바늘 하우징(420) 상부와 접촉부(400) 상부 사이에 내부 하우징(520)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하우징(520)으로 인해, 바늘 하우징(420)이 외부 하우징(510) 내부에 밀착되는 효과가 발현되며, 이로 인해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소위 '오링'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내부 하우징(520)에도 중공부가 형성되어 바늘(410)이 고나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510)의 상부는 하부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여, 직경차로 발생된 단차에 상부 바늘 하우징(421)과 중부 바늘 하우징(422)의 경계 지점이 수용된다. 이에 관한 효과는 전술하였다.
연결체(530)는 홈(531), 볼(532) 및 관통핀(533)을 구비한다.
홈(531)은 외부 하우징(510)의 하부에서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532)은 관통핀(533)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관통핀(533)의 양 단부가 홈(531) 내에 수용된다. 이로 인해, 볼(532)은 관통핀(53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볼(532)은 홈(531)이 형성된 외부 하우징(510)의 내측면보다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볼(532)의 일부가 그루브부(424)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볼(532)의 그루브부(424) 내에서의 이동에 따른 접촉부(400)와 교체부(50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와 같이, 교체부(500)의 볼(532)이 접촉부(400)의 그루브부(424)의 상부에 수용되도록 바늘 하우징(420)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6과 같이, 바늘 하우징(420)을 상승시켜 외부 하우징(510) 내부로 수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과 같이, 제2 그루브부(4242)가 절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바늘 하우징(420)을 회전시키면, 볼(532)의 절대적 위치는 변경되지 않으나, 바늘 하우징(420)의 회전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제2 그루브부(4242)의 단부에 수용된다.
이로 인해, 볼(532)은 외력 없이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며, 접촉부(400)와 교체부(500)가 결합되는 것이다. 즉, 접촉부(400)의 바늘 하우징(42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 만으로 접촉부(400)와 교체부(500)의 결합을 손쉽게 할 수 있어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분리 과정은 이와 역 방향으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연결체(53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되도록 그루브부(424) 또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접촉부(400)와 교체부(500)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결합 용이성을 위해 한 쌍의 볼(532a,b)은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선 상에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하기에서는 바늘(410)의 교체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기존의 사용된 접촉부(400)가 탈거되었다고 가정하고, 도 2와 같이 작업자는 바늘(410)을 외부 하우징(510) 내에서 관통시킨다. 이후, 바늘 하우징(420)을 바늘(410)이 관통되도록 함과 동시에, 볼(532)이 그루브부(424)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접촉부(400) 전체를 회전시키면, 볼(532)이 제2 그루브(4242)에 위치되어 접촉부(400)와 교체부(500)가 결합되어, 새로운 접촉부(400)가 결합된 전기 융합 바늘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기 융합과정에서 바늘(410)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 종래와는 달리 작업자는 교체부(500)의 길이 방향의 이동 및 회전 동작 만으로 바늘(410)이 포함된 접촉부(400)를 교체부(500)로부터 탈거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바늘(410)만 교체한다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부 바늘 하우징(4221) 및 그루브부(4241)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그루브부(4241)를 형성하는 함몰된 중부 바늘 하우징(422) 부분이 한 쌍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돌출되는 부분 사이에 볼(532)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중부 바늘 하우징 구조보다 볼(532)의 폭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접촉부(400)와 교체부(500)의 체결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부 바늘 하우징(4221)의 단부홈(4221a)을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부 바늘 하우징(422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부 바늘 하우징(4221)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뾰족한 부분의 마찰로 인해 볼(532)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도 10과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부 바늘 하우징(4221)에서 돌출된 부분의 단부에는 각각 함몰되는 단부홈(4221a)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돌출된 부분과 볼(532)의 직접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볼(532)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지지대부,
200 : 전극연결부,
300 : 막대부,
400 : 접촉부,
410 : 바늘,
420 : 바늘 하우징,
421 : 상부 바늘 하우징,
422 : 중부 바늘 하우징,
423 : 하부 바늘 하우징,
424 : 그루브부,
4241 : 제1 그루브,
4242 : 제2 그루브,
500 : 교체부,
510 : 외부 하우징,
520 : 내부 하우징,
530 : 연결체,
531 : 홈,
532 : 볼,
533 : 관통핀.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대부;
    상기 지지대부의 후방에 결합된 전극연결부;
    상기 지지대부의 전방에 결합된 막대부;
    상기 막대부의 전방에 결합되어 전기 융합을 행하는 접촉부; 및
    내측에 형성된 볼의 이동으로 상기 접촉부와 상기 막대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교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바늘 및 상기 바늘이 관통되는 바늘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바늘의 재질은 백금이고,
    상기 바늘 하우징은,
    상기 바늘이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중부 바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중부 바늘 하우징에는,
    상기 중부 바늘 하우징의 상단에서 시작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단면이 반원 형상인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1 그루브의 단부에서 절곡되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단면이 반원 형상인 제2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볼의 일부는 상기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2 그루브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교체부는,
    외부 하우징, 내부 하우징 및 연결체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바늘 하우징을 감싸고, 상기 바늘 하우징 상부와 접촉부 상부 사이에 내부 하우징이 삽입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 및 내부 하우징은 상기 바늘이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면보다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의 일부가 그루브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볼이 상기 그루브부의 상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바늘 하우징을 위치시킨 후, 상기 바늘 하우징을 상승시켜 상기 외부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그루브가 절곡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바늘 하우징을 회전시켜, 상기 볼이 상기 제2 그루브의 단부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교체부와 상기 바늘 하우징이 고정되어, 상기 접촉부와 상기 교체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중부 바늘 하우징을 중심으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인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인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KR1020190091776A 2019-07-29 2019-07-29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KR10205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76A KR102055580B1 (ko) 2019-07-29 2019-07-29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PCT/KR2020/005373 WO2021020694A1 (ko) 2019-07-29 2020-04-23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76A KR102055580B1 (ko) 2019-07-29 2019-07-29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580B1 true KR102055580B1 (ko) 2019-12-13

Family

ID=6884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76A KR102055580B1 (ko) 2019-07-29 2019-07-29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5580B1 (ko)
WO (1) WO20210206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94A1 (ko) * 2019-07-29 2021-02-04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412B1 (ko) 2003-03-06 2005-07-12 (주)엠젠바이오 핵이식에 의한 동물의 복제란 제조방법
KR101840371B1 (ko) * 2017-09-13 2018-03-20 제이피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스윙 타입 카테터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807A (ja) * 2003-11-20 2005-06-16 Olympus Corp 導入物質の保持方法及び保持装置
JP5252556B2 (ja) * 2008-12-24 2013-07-31 学校法人明治大学 生殖細胞凍結保存用デバイス
BR112012029602A2 (pt) * 2010-05-21 2017-07-25 Univ Barcelona Autonoma dispositivo para manipulação de materiais biológicos em um processo de preservação criogênica e um uso de tal dispositivo
KR102055580B1 (ko) * 2019-07-29 2019-12-13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412B1 (ko) 2003-03-06 2005-07-12 (주)엠젠바이오 핵이식에 의한 동물의 복제란 제조방법
KR101840371B1 (ko) * 2017-09-13 2018-03-20 제이피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스윙 타입 카테터 어댑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제품설명서, Electroporation & Electrofusion Products, BTX Harvard Apparatus (2010)(copyright 20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94A1 (ko) * 2019-07-29 2021-02-04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694A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i et al. No peroxisome is an island—peroxisome contact sites
Li et al. Cyborg organoids: implantation of nanoelectronics via organogenesis for tissue-wide electrophysiology
KR102055580B1 (ko) 교체가 용이한 백금선을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란 생산용 전기 융합 바늘
Zegers et al. Epithelial polarity and tubulogenesis in vitro
Voigts et al. An easy-to-assemble, robust, and lightweight drive implant for chronic tetrode recordings in freely moving animals
Weber et al. Cell-accurate optical mapping across the entire developing heart
Wu et al. The coupling apparatus of the sperm head and tail
Skuk et al. Cell therapy in muscular dystrophies: many promises in mice and dogs, few facts in patients
Panteris et al. A role for katanin in plant cell division: microtubule organization in dividing root cells of fra2 and lue1Arabidopsis thaliana mutants
Kemp et al. Generating chimeric zebrafish embryos by transplantation
Winter et al. Cytoskeletal variations in an asymmetric cell division support diversity in nematode sperm size and sex ratios
Mall et al. The novel tool of cell reprogramming for applications in molecular medicine
Varga et al. The functional morphology and role of cardiac telocytes in myocardium regeneration
Passaro et al. Bioengineering of humanized bone marrow microenvironments in mouse and their visualization by live imaging
CN211713118U (zh) 一种用于类器官球体培养的孔板装置
Keating et al. Centrosome dynamics in early embryos of Caenorhabditis elegans
KR102285600B1 (ko) 3차원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뇌신경계질환 치료용 줄기세포 스크리닝 방법
Jana Centrosome structure and biogenesis: Variations on a theme?
Tenreiro et al. Advancing organoid design through co-emergence, assembly, and bioengineering
Apostolou et al. Progress and challenges in stem cell biology
Kierszenbaum Polycystins: what polycystic kidney disease tells us about sperm
Walton et al. Mouse fetal whole intestine culture system for ex vivo manipulation of signaling pathways and three-dimensional live imaging of villus development
Chattong et al. CD34+ cells from dental pulp stem cells with a ZFN-mediated and homology-driven repair-mediated locus-specific knock-in of an artificial β-globin gene
Hotta et al. Two kinesin-14A motors oligomerize to drive poleward microtubule convergence for acentrosomal spindle morphogenesis in arabidopsis thaliana
Macedo A novel 3D dual hollow fibre bioreactor for the production of human red blood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